KR102205658B1 - 작업 로봇 - Google Patents

작업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658B1
KR102205658B1 KR1020187025744A KR20187025744A KR102205658B1 KR 102205658 B1 KR102205658 B1 KR 102205658B1 KR 1020187025744 A KR1020187025744 A KR 1020187025744A KR 20187025744 A KR20187025744 A KR 20187025744A KR 102205658 B1 KR102205658 B1 KR 102205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arm
robot
contact
receiving membe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801A (ko
Inventor
마사유키 가몬
소이치 다마다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8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1Touching devices, e.g. pressure-sensi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7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for sensing other physical parameters, e.g. electrical or 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91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 B25J19/063Safety devices working only upon contact with an outside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25J9/0012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making use of synthetic construction materials, e.g. plastics, 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로봇 아암 표면에 설치되고, 로봇 아암(1)이 물체와 접촉했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완충 부재(5)와, 로봇 아암(1)과 물체의 접촉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 수단(6)을 구비한다. 접촉 검출 수단(6)은, 충격 완충 부재(5)의 표면측에 설치되고, 충격 완충 부재(5)보다 부드러운 연성 다공질 부재와, 연성 다공질 부재를 내포하며,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수용 부재와, 수용 부재에 물체가 접촉하여 수용 부재의 용적이 감소했을 때에 수용 부재로부터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관과, 배출된 유체를 이용하여 수용 부재의 용적 변화를 검출하는 용적 변화 검출부를 갖는다. 사람과 로봇의 협조 작업 등에 있어서, 로봇 아암에 사람이 접촉한 경우에도 충분히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 로봇
본 발명은, 로봇 아암을 구동하여 워크의 반송 등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업 로봇에 관한 것이다.
근년, 사람과 로봇의 협조 작업을 상정한 로봇의 개발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로봇과의 협조 작업시에 사람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책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한 방책 중 하나로서, 로봇에 사람이 접근한 것을 센서로 검지하여, 그 검지 결과에 의거해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예를 들어, 로봇에 사람이 접근한 것을 센서로 검지하면, 로봇의 동작을 정지시켜 사람과의 접촉을 회피하고, 혹은, 로봇의 동작 속도를 늦추어, 사람과 접촉한 경우에도 사람에게 주는 충격력을 줄인다고 하는 것이다.
또, 로봇 아암의 표면에 센서(예를 들어, 정전 용량 센서)를 장착하여, 사람이나 장애물이 로봇 아암 표면에 접근한 것을 센서로 검지하면, 로봇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2008-30249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표 2013-54562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9-229453호 공보
그런데, 사람이나 장애물의 접근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에 오검출이 발생하면, 작업 중의 로봇의 동작이 불필요하게 제한되어, 작업 시간이 감소하고 생산 효율의 저하가 일어나므로, 그러한 오작동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람이나 장애물의 접근을, 로봇 아암에 접촉하기 전에 센서로 검지하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센서의 감도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하여 오류 검출을 방지하려고 해도, 다양한 작업 환경 모두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은 어려우며, 오검출의 가능성을 허용 레벨까지 충분히 줄이는 것이 어려웠다.
또, 로봇 아암의 표면에 완충재를 설치함으로써, 동작 중의 로봇 아암에 사람이 접촉한 경우에도, 그때에 사람에게 주는 충격을 완화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 경우에도, 사람과 로봇 아암의 접촉을 검지한 후, 로봇의 동작에 어떠한 제한을 가하도록 하지 않으면, 계속 움직이는 로봇 아암에 의해서 사람이 사이에 끼일 가능성이 있는 등, 충분한 안전 레벨을 확보할 수 없다.
그래서, 로봇 아암에 사람이 접촉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로봇 아암에 배치하려고 하면, 로봇 아암의 표면에는 완충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센서의 배치 위치의 확보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완충재의 내부에 센서를 매설하여, 완충재의 변형으로 센서를 동작시키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센서의 동작이 완충재의 변형 상태에 의존하기 때문에, 충분한 감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완충재의 표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센서를 동작시키는데 충분한 변형 상태가 완충재에 있어서 발생하므로 문제없다고 하더라도, 완충재의 표면에 대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완충재의 변형 상태가, 센서를 동작시키기에는 불충분하게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동작 중의 로봇 아암이 사람에 접촉한 경우에도, 그 접촉 방향에 의해서는 센서가 작동하지 않고, 로봇 아암이 계속 움직여 사람이 사이에 끼일 가능성이 있다.
또, 로봇 아암에 사람이 접촉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완충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로봇 아암에 직접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그 경우에는, 접촉을 순식간에 또한 확실히 검출하여 로봇 아암의 동작에 제한을 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사람과 로봇의 협조 작업 등에 있어서, 로봇 아암에 사람이 접촉한 경우에도, 접촉을 순식간에 또한 확실히 검출하여 로봇의 동작에 제한을 가함으로써, 그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작업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작업 로봇은, 로봇 아암과, 상기 로봇 아암의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로봇 아암이 물체와 접촉했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 완충 부재와, 상기 로봇 아암과 상기 물체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접촉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 검출 수단은, 상기 충격 완충 부재의 표면측에 설치되며, 상기 충격 완충 부재보다 부드러운 연성 다공질 부재와, 상기 연성 다공질 부재를 내포하고,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에 연통하는 유체 배출관이며, 상기 수용 부재에 상기 물체가 접촉하여 상기 수용 부재의 용적이 감소했을 때에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관과, 상기 유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상기 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 부재의 용적이 변화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용적 변화 검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로봇 아암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봇 컨트롤러는, 상기 용적 변화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로봇 아암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로봇 컨트롤러는, 기지(旣知)의 물체에 대해서 소정의 동작으로 상기 로봇 아암을 접촉시키고, 그때의 상기 용적 변화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접촉 검출 수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지의 물체는, 상기 작업 로봇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 부재는, 상기 수용 부재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 부재는,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는,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의한 작업 로봇은, 로봇 아암과, 상기 로봇 아암의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로봇 아암과 상기 물체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접촉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 검출 수단은, 상기 로봇 아암이 물체와 접촉했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갖는 연성 다공질 부재와, 상기 연성 다공질 부재를 내포하고,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에 연통하는 유체 배출관이며, 상기 수용 부재에 상기 물체가 접촉하여 상기 수용 부재의 용적이 감소했을 때에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관과, 상기 유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상기 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 부재의 용적이 변화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용적 변화 검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양태는, 제8 양태에 있어서, 상기 로봇 아암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봇 컨트롤러는, 상기 용적 변화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로봇 아암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0 양태에 의한 작업 로봇은, 로봇 아암과, 상기 로봇 아암의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로봇 아암과 상기 물체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접촉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 검출 수단은, 연성 다공질 부재와, 상기 연성 다공질 부재를 내포하고,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에 연통하는 유체 배출관이며, 상기 수용 부재에 상기 물체가 접촉하여 상기 수용 부재의 용적이 감소했을 때에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관과, 상기 유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상기 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 부재의 용적이 변화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용적 변화 검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 양태는, 제10 양태에 있어서, 상기 로봇 아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로봇 아암이 물체와 접촉했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 완충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충격 완충 부재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 양태는, 제10 또는 제1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로봇 아암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봇 컨트롤러는, 상기 용적 변화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로봇 아암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과 로봇의 협조 작업 등에 있어서, 로봇 아암에 사람이 접촉한 경우에도, 접촉을 순식간에 또한 확실히 검출하여 로봇의 동작에 제한을 가함으로써, 그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작업 로봇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작업 로봇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작업 로봇의 주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작업 로봇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작업 로봇의 주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은, 사람과 로봇의 협조 작업시에, 사람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1)은, 로봇 기대(基臺)(2)와, 로봇 기대(2)에 기단부가 접속된 로봇 아암(3)과, 로봇 아암(3)의 동작을 제어하는 로봇 컨트롤러(4)를 구비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6축 다관절형 로봇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이 되는 작업 로봇은, 6축 다관절형 로봇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봇 아암을 구비한 각종의 작업 로봇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1)에 있어서는, 또한, 로봇 아암(3)이 물체(사람이나 장애물)와 접촉했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 완충 부재(5)가, 로봇 아암(3)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충격 완충 부재(5)는, 예를 들어 스펀지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충격 완충 부재(5)의 경도(단단함/부드러움) 및 두께는, 예를 들어, 최고 속도로 동작하고 있는 로봇 아암(3)이 사람에 충돌한 경우에도, 사람에게 위해를 가하지 않는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로봇 아암(3)의 선단측의 링크에 충격 완충 부재(5)를 설치하고 있는데, 충격 완충 부재(5)를 설치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작 중에 사람이나 장애물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로봇 아암(3)의 적당한 부위에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1)은, 또한, 로봇 아암(3)과 물체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접촉 검출 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접촉 검출 수단(6)은, 충격 완충 부재(5)의 표면에 배치해도 완충 효과를 줄이는 일이 없도록, 전체가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 검출 수단(6)은, 충격 완충 부재(5)의 표면측(로봇 아암(3)과 반대측)에 설치된 스펀지 부재(7)를 갖고 있다. 이 스펀지 부재(7)는, 연속 기포의 연성 다공질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연성 다공질 부재는, 충격 완충 부재(5)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스펀지 부재(7)는, 그 전체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주머니형상의 수용 부재(8) 중에 수용되어 있다. 수용 부재(8)는, 그 이면측이 충격 완충 부재(5)의 표면에 올려놓여져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 있어서는, 충격 완충 부재(5)가 수용 부재(8)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로봇 아암(3)의 표면에 설치된 충격 완충 부재(5) 위에, 스펀지 부재(7)를 내포하는 수용 부재(8)가 적층된 구조이다.
수용 부재(8)에는, 수용 부재(8)의 내부에 연통하는 유체 배출관(9)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 유체 배출관(9)은, 수용 부재(8)에 물체가 접촉하여 스펀지 부재(7)가 변형되고, 수용 부재(8)의 용적이 감소했을 때에, 수용 부재(8)의 내부로부터 밀려나오는 공기(유체)를 배출한다.
유체 배출관(9)의 타단은, 용적 변화 검출부(10)에 접속되어 있고, 용적 변화 검출부(10)는, 유체 배출관(9)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접촉 검출 수단(6)의 수용 부재(8)의 내부의 압력의 변화를 검출하며, 이것에 의해, 수용 부재(8)의 용적이 변화(감소)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적 변화 검출부(10)의 출력 신호는, 로봇 아암(3)의 구동을 제어하는 로봇 컨트롤러(4)에 전송된다. 로봇 컨트롤러(4)는, 용적 변화 검출부(1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로봇 아암(3)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로봇 컨트롤러(4)는, 용적 변화 검출부(10)에 의해서, 수용 부재(8)의 용적이 변화된 것이 검출되면, 동작 중의 로봇 아암(3)의 동작 속도를 늦추거나, 혹은 동작을 정지시키는 등, 로봇 아암(3)의 동작을 제한하여 사람의 안전을 확보한다.
여기서, 수용 부재(8)의 내부의 압력은, 예를 들어 온도의 상승에 의해서 공기가 팽창하여 변화하기도 하므로, 그러한 자연의 변화와, 사람과의 접촉에 의한 변화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용적 변화 검출부(10)는, 수용 부재(8)의 내압의 변화량의 감시에 더하여, 혹은 내압의 변화량의 감시를 대신하여, 내압의 변화율(변화량의 시간 미분값)을 감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내압의 변화율을 감시하도록 하면, 온도의 변화에 의해서 공기가 팽창하여 서서히 압력이 변화하는 경우와, 사람과의 접촉에 의해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를 구별할 수 있다.
또, 사람이 로봇 아암(3)에 접촉했다고 판단한 후, 사람이 이미 로봇 아암(3)으로부터 멀어졌는지, 혹은 아직 접촉 상태인 채인지를 판별하기 위해서, 내압의 변화율에 더하여, 혹은 그것을 대신하여, 내압 그 자체를 계측하여, 어느 역치와 비교하여 사람의 접촉을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용적 변화 검출부(10)는, 반드시 로봇 컨트롤러(4)와 별체로 구성할 필요는 없으며, 로봇 컨트롤러(4)의 제어 회로 중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로봇 컨트롤러(4)는, 접촉 검출 수단(6)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아닌지를, 일상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로봇 컨트롤러(4)는, 기지의 물체에 대해서 소정의 동작으로 로봇 아암(3)을 접촉시키고, 그때의 접촉 검출 수단(6)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접촉 검출 수단(6)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로봇 아암(3)을 소정의 동작으로 접촉시키는 상기 서술한 기지의 물체는, 작업 로봇(1)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조체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용 로봇(1)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조체를 이용함으로써, 작업 장소에 있어서의 로봇의 설치 상황에 상관없이, 공통의 동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서술한 소정의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촉 검출 수단(6)의 수용 부재(8)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는 공기인데, 공기 이외의 기체여도 되고, 액체여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용적 변화 검출부(10)에 있어서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고 있는데, 이것을 대신하여, 혹은 이것에 더하여, 유체의 흐름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특히, 유체로서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흐름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 검출 수단(6)과 충격 완충 부재(5)의 양쪽 모두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커버 부재(도시 생략)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 검출 수단(6)과 충격 완충 부재(5)를 로봇 아암(3)의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으로서 커버 부재를 이용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1)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서, 도 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 아암(3)에 설치된 접촉 검출 수단(6)에 물체(사람이나 장애물)(11)가 접촉하면, 접촉 검출 수단(6)을 구성하는 가요성의 수용 부재(8)의 일부 및 그 내부의 스펀지 부재(7)의 일부가, 로봇 아암(3)의 표면 측을 향해 변형된다. 이때, 수용 부재(8)는 그 이면측도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펀지 부재(7)의 하방으로의 변형에 수반하여, 수용 부재(8)의 이면도 하방으로 변형된다.
여기서, 접촉 검출 수단(6)은, 스펀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충격 완충 부재(5) 위에 설치되어 있는데, 접촉 검출 수단(6)의 스펀지 부재(7)는, 충격 완충 부재(5)를 구성하는 재료(스펀지)보다 부드러우므로(즉, 충격 완충 부재(5)가 단단하므로), 외력에 의해서 스펀지 부재(7)는 그 두께 방향으로 충분히 압축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 부재(8)의 용적이 감소하여, 유체 배출관(9)을 통해 수용 부재(8)의 내부의 공기가 밀려나온다.
용적 변화 검출부(10)는, 유체 배출관(9)을 통해 배출된 공기를 이용하여, 수용 부재(8)의 용적이 변화(감소)한 것을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가 로봇 컨트롤러(4)에 전송된다. 로봇 컨트롤러(4)는, 용적 변화 검출부(10)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로봇 아암(3)의 동작 속도를 늦추거나, 혹은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로봇 아암(3)에 의해서 사람이 사이에 끼이는 등의 위험한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로봇 아암(3)의 표면에는 충격 완충 부재(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로봇 아암(3)이 사람과 접촉했을 때의 충격이 완화되어, 접촉시에 사람에게 위해를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1)에 의하면, 로봇 아암(3)에 사람이 접촉한 경우에도, 충격 완충 부재(5)에 의해서 접촉시의 충격을 완화함과 더불어, 용적 변화 검출부(1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접촉을 순식간에 또한 확실히 검출하여 로봇의 동작에 제한을 가할 수 있으므로, 사람과 로봇의 협조 작업 등에 있어서, 그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로봇 컨트롤러(4)는, 접촉 검출 수단(6)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아닌지를 일상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람과 로봇의 협조 작업 등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또, 접촉 검출 수단(6)과 충격 완충 부재(5)가 각각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접촉 검출 수단(6)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충격 완충 부재(5)를 그대로 두고, 접촉 검출 수단(6)만을 교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와 상위한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화한다.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도 1)에 의한 작업 로봇(1)에 있어서는, 충격 완충 부재(5)와 접촉 검출 수단(6)이, 각각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었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20)에 있어서는, 충격 완충 부재(5)와 접촉 검출 수단(6)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20)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 완충 부재(5)가, 스펀지 부재(7)와 함께 수용 부재(8)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충격 완충 부재(5) 위에 스펀지 부재(7)가 적층되어 있으며, 양자의 전체가 수용 부재(8)에 내포되고, 수용 부재(8)의 이면이, 로봇 아암(3)의 표면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 아암(3)에 설치된 접촉 검출 수단(6)에 물체(사람이나 장애물)(11)가 접촉하면, 접촉 검출 수단(6)을 구성하는 가요성의 수용 부재(8)의 일부 및 그 내부의 스펀지 부재(7)의 일부가, 로봇 아암(3)의 표면측을 향해 변형된다.
여기서, 접촉 검출 수단(6)의 스펀지 부재(7)는, 스펀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충격 완충 부재(5) 위에 적층되어 있는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접촉 검출 수단(6)의 스펀지 부재(7)는, 충격 완충 부재(5)를 구성하는 재료(스펀지)보다 부드러우므로(즉, 충격 완충 부재(5)가 단단하므로), 외력에 의해서 그 두께 방향으로 충분히 압축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 부재(8)의 용적이 감소하여, 유체 배출관(9)을 통해 수용 부재(8)의 내부의 공기가 밀려나온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20)에 있어서도,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로봇 아암(3)에 사람이 접촉한 경우에도, 충격 완충 부재(5)에 의해서 접촉시의 충격을 완화함과 더불어, 용적 변화 검출부(1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로봇의 동작에 제한을 가할 수 있으므로, 사람과 로봇의 협조 작업 등에 있어서, 그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충격 완충 부재(5)가 접촉 검출 수단(6)과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로봇 아암(3)으로의 장착 작업 등에 있어서의 취급이 용이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와 상위한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화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에 있어서는, 접촉 검출 수단(6)의 스펀지 부재(7)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스펀지 부재(7) 자체가 단독으로, 로봇 아암(3)이 물체와 접촉했을 때의 충격을 충분히 완화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펀지 부재(7)가, 충격 완충 부재(5)를 겸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접촉 검출 수단(6)의 스펀지 부재(7)가 충격 완충 부재(5)를 겸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와 상위한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화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로봇에 있어서는, 로봇 아암(3) 자체가, 물체와 접촉했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완충 부재(5)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로봇 아암(3)이, 충격 완충 부재(5)를 겸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로봇 아암(3)이 충격 완충 부재(5)를 겸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1, 20 작업 로봇
2 로봇 기대
3 로봇 아암
4 로봇 컨트롤러
5 충격 완충 부재
6 접촉 검출 수단
7 스펀지 부재
8 수용 부재
9 유체 배출관
10 용적 변화 검출부
11 물체(사람이나 장애물)

Claims (12)

  1. 로봇 아암과,
    상기 로봇 아암의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로봇 아암이 물체와 접촉했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 완충 부재와,
    상기 로봇 아암과 상기 물체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접촉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 검출 수단은,
    상기 충격 완충 부재의 표면측에 설치되며, 상기 충격 완충 부재보다 부드러운 연성 다공질 부재와,
    상기 연성 다공질 부재를 내포하고,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에 연통하는 유체 배출관이며, 상기 수용 부재에 상기 물체가 접촉하여 상기 수용 부재의 용적이 감소했을 때에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관과,
    상기 유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상기 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 부재의 용적이 변화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용적 변화 검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로봇.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봇 아암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봇 컨트롤러는, 상기 용적 변화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로봇 아암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 로봇.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봇 컨트롤러는, 기지(旣知)의 물체에 대해서 소정의 동작으로 상기 로봇 아암을 접촉시키고, 그때의 상기 용적 변화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접촉 검출 수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 로봇.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지의 물체는 상기 작업 로봇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조체인, 작업 로봇.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 부재는 상기 수용 부재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 로봇.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 부재는,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 로봇.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공기인, 작업 로봇.
  8. 로봇 아암과,
    상기 로봇 아암의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로봇 아암과 물체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접촉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 검출 수단은,
    상기 로봇 아암이 물체와 접촉했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갖는 연성 다공질 부재와,
    상기 연성 다공질 부재를 내포하고,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에 연통하는 유체 배출관이며, 상기 수용 부재에 상기 물체가 접촉하여 상기 수용 부재의 용적이 감소했을 때에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관과,
    상기 유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상기 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 부재의 용적이 변화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용적 변화 검출부를 가지며,
    상기 용적 변화 검출부는 상기 수용 부재의 용적의 변화의 검출에 의해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의 압력의 변화율을 감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로봇.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봇 아암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봇 컨트롤러는, 상기 용적 변화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로봇 아암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 로봇.
  10. 로봇 아암과,
    상기 로봇 아암의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로봇 아암과 물체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접촉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 검출 수단은,
    연성 다공질 부재와,
    상기 연성 다공질 부재를 내포하고,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에 연통하는 유체 배출관이며, 상기 수용 부재에 상기 물체가 접촉하여 상기 수용 부재의 용적이 감소했을 때에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관과,
    상기 유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상기 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 부재의 용적이 변화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용적 변화 검출부를 가지며,
    상기 용적 변화 검출부는 상기 수용 부재의 용적의 변화의 검출에 의해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의 압력의 변화율을 감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로봇.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로봇 아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로봇 아암이 물체와 접촉했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 완충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충격 완충 부재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 로봇.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로봇 아암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봇 컨트롤러는, 상기 용적 변화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로봇 아암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 로봇.
KR1020187025744A 2016-02-08 2017-02-07 작업 로봇 KR102205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22162 2016-02-08
JP2016022162A JP6850538B2 (ja) 2016-02-08 2016-02-08 作業ロボット
PCT/JP2017/004402 WO2017138524A1 (ja) 2016-02-08 2017-02-07 作業ロボ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801A KR20180108801A (ko) 2018-10-04
KR102205658B1 true KR102205658B1 (ko) 2021-01-21

Family

ID=5956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744A KR102205658B1 (ko) 2016-02-08 2017-02-07 작업 로봇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123883B2 (ko)
JP (1) JP6850538B2 (ko)
KR (1) KR102205658B1 (ko)
CN (1) CN108602194B (ko)
DE (1) DE112017000700B4 (ko)
WO (1) WO20171385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4800B2 (ja) * 2016-11-29 2020-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
JP6687573B2 (ja) * 2017-09-07 2020-04-2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
IT201700121883A1 (it) * 2017-10-26 2019-04-26 Comau Spa "Dispositivo automatizzato con una struttura mobile, in particolare un robot"
JP7156865B2 (ja) * 2018-08-30 2022-10-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緩衝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ロボット
KR102518302B1 (ko) * 2022-09-25 2023-04-06 (주) 마가커피 인공지능 카메라에 기반한 협동 로봇 토탈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7158A1 (en) * 2013-11-01 2015-05-07 Seiko Epson Corporation Robot, robot system, and robot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6371A (en) * 1978-05-10 1979-11-15 Kobe Steel Ltd Safety apparatus for robot
JPS6133894A (ja) 1984-07-25 1986-02-17 神鋼電機株式会社 産業用ロボツトの安全ア−ム及び安全ハンド
JPS6339786A (ja) * 1986-08-05 1988-0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工業用ロボツトの安全装置
JP3077514B2 (ja) * 1994-06-28 2000-08-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ロボット
JP3249424B2 (ja) 1997-03-13 2002-01-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光学式ロボット用接触センサ
JP2004034251A (ja) 2002-07-05 2004-02-05 Mitsubishi Heavy Ind Ltd 圧力感知センサ及び該センサを備えたロボット
CN100358682C (zh) * 2004-09-09 2008-01-02 山东鲁能智能技术有限公司 热交换器受热面管道检测机器人
EP1810795A1 (en) * 2006-01-19 2007-07-25 Abb Ab Safety device for an industrial robot with elastic sealed bag comprising a fluid or gas
US8676379B2 (en) 2006-07-04 2014-03-18 Panasoni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arm, robot, and robot arm control program
CN102079094B (zh) * 2009-11-26 2013-11-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机器人结构
JP2009229453A (ja) 2008-02-28 2009-10-08 Seiko Epson Corp 圧力検出装置及び圧力検出方法
JP2010214474A (ja) * 2009-03-13 2010-09-30 Panasonic Corp マニピュレータ
WO2011001569A1 (ja) * 2009-07-02 2011-0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ロボットアームの制御装置、及びロボットアームの制御プログラム
DE102010063214A1 (de) 2010-12-16 2012-06-21 Robert Bosch Gmbh Sicherungseinrichtung für eine Handhabungsvorrichtung, insbesondere einen Industrieroboter,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r Sicherungseinrichtung
US20140316571A1 (en) * 2013-04-22 2014-10-23 Quanta Storage Inc. Articulation module for a robo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5902664B2 (ja) 2013-12-25 2016-04-1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保護部材を有する人協調型産業用ロボット
JP5931167B1 (ja) * 2014-12-11 2016-06-0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人間協調型ロボットシステム
EP3222394A3 (en) * 2016-03-25 2017-10-18 Seiko Epson Corporation Robot and external-force detecting device
JP6794800B2 (ja) * 2016-11-29 2020-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
AT519655B1 (de) * 2017-04-24 2018-09-15 Blue Danube Robotics Gmbh Erkennung einer Kollision eines Handhabungsgeräts mit einem Hindernis
JP2019000930A (ja) * 2017-06-13 2019-01-10 住友理工株式会社 安全装置
JP2020179443A (ja) * 2019-04-24 2020-11-0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水平多関節ロボット
US20230001568A1 (en) * 2021-07-05 2023-01-05 Mantis Robotics, Inc. Safety System for Hand-Guiding a Robo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7158A1 (en) * 2013-11-01 2015-05-07 Seiko Epson Corporation Robot, robot system, and robot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50538B2 (ja) 2021-03-31
WO2017138524A1 (ja) 2017-08-17
JP2017140660A (ja) 2017-08-17
KR20180108801A (ko) 2018-10-04
US11679515B2 (en) 2023-06-20
CN108602194A (zh) 2018-09-28
US20210268669A1 (en) 2021-09-02
CN108602194B (zh) 2021-09-10
US20190039254A1 (en) 2019-02-07
DE112017000700T5 (de) 2018-10-18
US11123883B2 (en) 2021-09-21
DE112017000700B4 (de)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658B1 (ko) 작업 로봇
US9669548B2 (en) Mobile collaborative robot
JP4938118B2 (ja) 人間協調ロボットシステム
EP1810795A1 (en) Safety device for an industrial robot with elastic sealed bag comprising a fluid or gas
JP5797407B2 (ja) 車両における前面衝突をセンシングするための回路装置
JP4966467B2 (ja) 副次緩衝システム
CN107020601B (zh) 打入机
US11964381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 handling device
EP2139653B1 (en) Collision sensing device
JP4483925B2 (ja) 衝突判定装置、及び乗員保護装置
KR100781711B1 (ko) 검출회로부를 구비한 수충격 방지장치
KR102163960B1 (ko) 유연 관절 모듈
JP6697793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の脱レール検出装置
US11890760B2 (en) Balancer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and balancer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JP677659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3117853A (ja) 打撃装置
KR20180099053A (ko) 체크밸브 슬램 및 수충격 방지용 회동댐퍼를 구비하는 수배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압력탱크 연결구
CN217598578U (zh) 一种止挡设备、气动止挡系统及车辆
JP6154717B2 (ja) 工業用ロボットの緩衝装置
KR101563272B1 (ko) 로봇 오작동 충격 방지용 안전 댐퍼
KR100588848B1 (ko) 자동차의 전방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장치
KR200266924Y1 (ko) 휠로다의 조향 충격방지장치
JP2017132017A (ja) ターンテーブルの旋回端検知装置
CN115998192A (zh) 一种避障型扫地机器人
JP2016011515A (ja) 建設機械の動作制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