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601B1 - 엑세스 장치를 구비한 철도 차량 - Google Patents

엑세스 장치를 구비한 철도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601B1
KR102204601B1 KR1020140028834A KR20140028834A KR102204601B1 KR 102204601 B1 KR102204601 B1 KR 102204601B1 KR 1020140028834 A KR1020140028834 A KR 1020140028834A KR 20140028834 A KR20140028834 A KR 20140028834A KR 102204601 B1 KR102204601 B1 KR 102204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movable
vehicle
vehicle body
rail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990A (ko
Inventor
프라달 다니엘 바라베스
클라우드 파스칼 푸욜
에릭 마르셀 레지 보셰
프란체스코 쥬세페 비르질리오 판티니
Original Assignee
알스톰 트랜스포트 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스톰 트랜스포트 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알스톰 트랜스포트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140111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61D23/025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electrically or flui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0Floors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통행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고정 바닥부(15, 16)를 갖춘 차체(3) 및 상기 차체(3)의 두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통상 문(10)에 의하여 닫히는 차체(3)의 출입구(9)의 맞은 편에 배치되는 플랫폼(18)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랫폼(18)은 바닥부(15, 16)와 정렬되는 높은 위치 및 플랫폼(18)이 바닥부(15, 16)와 정렬되지 않는 낮은 위치 사이에서 바닥부(15, 16)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한다. 낮은 위치는 승차/하차의 상황에 상응한다. 철도 차량은 또한 바닥부(15, 16)와 이동식 플랫폼(18) 사이의 2개의 이동식 통로(21, 22)를 포함한다. 각 이동식 통로(21, 22)는 플랫폼(18)의 높은 위치와 낮은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 및 플랫폼(18)의 높은 위치의 사이에 2개의 이동식 계단(24, 25)을 포함한다. 높은 위치에서, 각 계단(24, 25)은 바닥부(15, 16) 및 이동식 플랫폼(18)과 정렬된다.

Description

엑세스 장치를 구비한 철도 차량{RAILWAY VEHICLE HAVING ACCESS DEVICE}
본 발명은
- 철도 차량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통행로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바닥부(floor)를 갖춘 차체,
- 상기 차체의 두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통상 문에 의해 닫히는 차체의 출입구의 맞은 편에 배치되는 플랫폼으로서, 플랫폼이 바닥부와 정렬되는 높은 위치 및 플랫폼이 바닥부와 정렬되지 않으며 승차/하차 상황에 해당하는 낮은 위치 사이에서 바닥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 및
- 바닥부와 이동식 플랫폼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통로
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철도 차량을 포함하는 모든 유형의 철도 열차에 관한 것이다.
철도 차량은 수직으로 이동하는 엑세스 플랫폼 및 차량의 고정 바닥부와 플랫폼 사이의 이동식 통로를 포함하는 엑세스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으로는 승차 및 하차시에 역 플랫폼의 높이에 맞추기 위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차량 주행시에 플랫폼과 바닥부를 동일한 높이로 두기 위하여 플랫폼은 바닥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는 장애인이 높이가 상이한 역 플랫폼으로부터 차량으로 자율적으로 엑세스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철도 차량 전체에서 통행할 수 있게 한다.
문헌 FR2918339호는, 승객 공간의 고정 바닥부와 엑세스 플랫폼 사이의 연결을 보장하는 이동 램프에 연결된, 차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하는 이러한 플랫폼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을 개시한다. 램프의 경사는 엑세스 플랫폼의 수직 변위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경우에, 플랫폼의 높이를 역 플랫폼의 높이로 조정하는 것은 램프의 급경사의 영향을 받아 플랫폼의 큰 수직 변위를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의 기술 규격은 12%의 최대 경사를 권장한다. 이 규격을 준수하기 위하여, 램프의 길이는 충분히 커야 하므로 승객 공간의 단부에서 좌석을 제거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을 위한 차량 엑세스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지하는 부피가 작고 추락의 위험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장애인이 자율적으로 높이가 다른 역 플랫폼으로부터/역 플랫폼으로 차량에 접근/차량에서 하차할 수 있게 하는 엑세스 장치를 구비한 철도 차량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또는 각각의 이동식 통로가 한편으로 높은 위치와 낮은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 및 다른 한편으로 플랫폼의 높은 위치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계단을 포함하는 상기한 유형의 철도 차량을 대상으로 한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계단은 바닥부 및 이동식 플랫폼과 정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철도 차량은 단독으로 또는 가능한 모든 기술적 조합에 따라 취해지는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한다:
- 차체가 플랫폼과 두 고정 바닥부 사이에, 플랫폼의 양 측에 배치된 2개의 이동식 통로를 포함함;
- 철도 차량이 플랫폼을 변위시킬 수 있는 구동 시스템을 포함함;
- 철도 차량이 상기 또는 각각의 이동식 계단의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이들 구동 수단은 플랫폼의 변위에 의하여 가동됨;
- 플랫폼에 의한 상기 또는 각각의 이동식 계단의 구동 수단은 플랫폼과 바닥부에 대하여 관절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푸시로드를 포함함;
- 상기 또는 각각의 푸시로드는 바닥부 및 플랫폼 중 하나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함;
- 철도 차량은 차량의 차체에 대하여 플랫폼을 평행이동시키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함;
- 상기 또는 각각의 푸시로드는 상기 또는 각각의 이동식 계단에 관절연결되고 상기 또는 각각의 이동식 계단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미끄러져 장착됨;
- 철도 차량은 상기 또는 각각의 계단을 차체에 대하여 평행이동시키는 가이드하는 수단을 포함함;
- 상기 또는 각각의 이동식 계단은 그 가이드에 의하여 바닥부, 플랫폼 및 인접 계단 중 하나와 협력할 수 있는 횡방향 가이드면을 구비함;
- 철도 차량은, 플랫폼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하고 플랫폼과 문 사이에 개재하는 차단 슬라이드, 및 플랫폼이 차체에 대하여 변위할 때 차단 슬라이드의 인접 자유 단부에 의하여 문의 프로필을 추종하는 수단을 포함함;
- 철도 차량은, 차체에 대한 역 플랫폼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단, 역 플랫폼의 위치에 따라, 플랫폼의 승차/하차 위치를 계산하는 수단, 및 계산된 승차/하차 위치까지의 변위를 위해 플랫폼을 자동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함;
- 철도 차량은, 움츠러든 위치 및 차체에 대하여 돌출되어 나오는 위치 사이에서 변위할 수 있는, 플랫폼 아래에 배치된 이동식 갭 필러판을 포함함.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로서만 제시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교시에 의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주행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종방향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주행 상태 동안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엑세스 장치의 사시도로서, 따라서, 엑세스 장치는 높은 위치에 있다.
도 3은 도 2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차량이나 승차/하차 상태 동안이므로, 엑세스 장치는 낮은 위치에 있다.
도 4는 플랫폼의 낮은 위치 및 높은 위치에 있는 엑세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6은 플랫폼이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엑세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8은 플랫폼이 역 플랫폼과 동일한 높이에 있을때, 각각, 갭 필러의 전개 동안 및 갭 필러의 전개 후의 역 플랫폼에 도착한 차량의 횡방향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11은 플랫폼이 역 플랫폼과 동일한 높이에 있지 않을 때, 각각, 갭 필러의 전개 동안, 갭 필러의 전개 후 및 갭 필러의 흔들림 후의 역 플랫폼에 도착한 차량의 횡방향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철도 차량(1)은 엑세스 공간(6)을 한정하는 차체(3)를 포함한다. 차체(3)는 기저부(4)를 포함한다. 차체(3)에는 이 공간(6)으로의 엑세스를 위하여 출입구(9)가 마련된다. 출입구(9)는 문(10)으로 닫히며 문의 표면은 예컨대 둥근 윤곽을 가진다. 상기 공간(6)은 두 승객 공간(12 및 13) 사이에 있다. 승객 공간(12 및 13)은 여정 동안 승객이 체류하는 특권이 부여된 구역이다. 상기 승객 공간은 차체(3)의 두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고정 바닥부를 포함한다. 이들 바닥부는 차량의 차체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에 있고 철도 차량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통로를 한정한다.
엑세스 공간(6)에는, 바닥부(15 및 16)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18)을 포함하고 차체(3)의 두 측면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엑세스 장치가 위치한다. 철도 차량(1)의 주행 상태에서, 플랫폼(18)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5 및 16)와 정렬된다.
상기 장치는 도 2 및 3에 자세히 도시된 이동식 통로(21 및 22)를 또한 포함한다. 이동식 통로(21)는 바닥부(15)와 이동식 플랫폼(18) 사이를 연결하고 이동식 통로(22)는 바닥부(16)와 이동식 플랫폼(18)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이들 이동식 통로는 평탄로 또는 승강로를 형성하며 이의 더 큰 경사 라인은 차량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통로(21 및 22)는 차량의 횡방향 평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로(21 및 22)는 어긋나 있다.
이동식 플랫폼(18)과 고정 바닥부(15)(또는 16) 사이의 이동식 통로(21)(또는 22)는 2개의 이동식 계단(24 및 25)(또는 27 및 28) 또는 2개 이상의 계단을 포함한다.
장애인용의 핸드레일(30)은 이동식 통로(21 및 22)의 양 측에 차량 벽에 고정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통로(21)만을 상세히 설명할 것인데, 통로(22)는 구조적으로 및 운동학적으로 통로(21)와 동일하다.
엑세스 장치는 두 쌍의 빔(31 및 31')을 포함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 시스템(29)을 포함한다. 각 쌍의 빔(31 및 31')은 차량의 차체(3)와 플랫폼(18) 사이에서 플랫폼(18)의 아래에 배치되고 가위형 부재(scissor)에 관절연결된다. 엑츄에이터(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동일 쌍의 빔 사이에 연결되어 이들을 접근시키거나 분리시킨다. 이러한 엑츄에이터는 예컨대 유압식, 수압식 또는 전기식이다. 에너지가 중단되거나 또는 부족한 경우, 엑츄에이터는 비정상 모드에서 수동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동식 계단(24 및 25)은 구동 수단(32)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들 구동 수단(32)은 여기서 2개의 평행한 푸시로드(33A 및 33B)를 포함하는 구동 갠트리(gantry)이다. 2개의 푸시로드(33A 및 33B)는 형성된 유닛이 횡방향 중앙면에 대하여 대칭이도록 각각 통로(21)의 양측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부 도면에 기재된 참조 부호에서, 문자 A는 통로(21)의 사이드측을 의미하고 문자 B가 뒤따르는 동일한 숫자는 동일한 기관을 의미하지만 통로(21)의 다른 사이드측에서 대칭이다.
각 푸시로드(33A 및 33B)는 관절연결부(35A, 35B)에 의하여 플랫폼(18)에 대하여 관절연결된 제1 단부 및 관절연결부(34A, 34B)에 의하여 바닥부(15)에 대하여 관절연결된 제2 단부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관절연결부(35)는 구동 시스템(29)의 상부에 고정된다. 구동 시스템(29)의 상부는 플랫폼(18)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통로(21)의 한 사이드측만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푸시로드(33A)는 그 관절연결된 단부에 제공된 슬라이드(36A)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바닥부(15)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하여 장착된다. 슬라이드(36A)는 차체(3)의 기저부(4)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T자형 지주(41A)에 형성된 세로로 긴 슬롯(38A)을 포함한다. 관절연결부(34A)는 세로로 긴 슬롯(38A) 안에 미끄럼 이동하여 장착된다. 푸시로드(33A)는 관절연결부(35A)에 의하여 플랫폼(18)에 관절연결된 그 단부에서 평행이동하여 고정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T자형 지주(41A)는 클립 부재에 의하여 기저부(4)에 고정된다.
한 변형예에서, 슬라이드(36A)는 플랫폼(18)의 측면 슬라이스에 배치된다. 푸시로드(33A)는 바닥부(15)에서 평행이동하는 고정 관절연결 단부를 가진다.
각 계단(24 및 25)은 사이드에서로 각 측에 측벽(43A, 44A)을 포함한다. 각 측벽은 상응하는 계단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응하는 계단의 상면과 직각을 이룬다. 푸시로드(33A)는 측벽(43A 및 44A)에 대한 표면에 대하여 각 계단(24 및 25) 아래로 연장된다. 상기 푸시로드는 각각 46A 및 47A로 표시되는 관절연결부에 의하여 각 측벽(43A, 44A)에 관절연결된다. 이들 관절연결부(46A 및 47A)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로 긴 슬롯(48A 및 49A)에 미끄럼 이동하여 장착된다.
각 계단(24 및 25)에는 또한 횡방향의 라이저(24C, 25C) 및 횡방향 슬라이스(24D, 25D)가 제공된다. 계단 장착의 흐름 방향으로, 라이저는 계단의 전방에 보이는 벽을 가리키고 슬라이스는 후방벽을 가리킨다. 마찬가지로, 바닥부(15)는 라이저(15C)를 포함한다. 각각, 유사한 명칭의 시스템이 계단(27 및 28) 및 바닥부(16)에 대하여 이용된다. 플랫폼(18)은 계단(25)에 인접하는 제1 횡방향 슬라이스(18D) 및 계단(28)에 인접하는 제2 횡방향 슬라이스(18D')를 포함한다.
구동 시스템(29)의 가동 후, 한편으로는 플랫폼(18)이 도 5에 도시된 플랫폼(18)의 높은 위치에 상응하는 제1 위치(P1)와 도 6에 도시된 플랫폼(18)의 낮은 위치에 상응하는 제2 위치(P2) 사이에서 변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계단(24 및 25)이 구동 갠트리(27)를 매개로 하여 플랫폼(18)에 의한 그 연동 작용으로 변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랫폼(18)이 높은 위치(P1)에 있을 때 플랫폼(18)은 바닥부(15, 16)와 정렬된다. 따라서, 트레인이 주행하거나 정지하거나 한다.
플랫폼(18)이 낮은 위치(P2)에 있을 때, 플랫폼(18)은 바닥부(15, 16)와 정렬되지 않는다. 이 경우, 계단(24 또는 25)이 중간 위치(Pi1 또는 Pi2)에 있으며, 중간 위치(Pi1, Pi2)는 높은 위치(P1)와 낮은 위치(P2) 사이에 있다. 따라서, 트레인이 승차/하차 상태에 있다.
또한, 계단(24, 25)은 그 변위시 수직 평행이동으로 가이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직 평행이동으로의 가이드는 계단(24)의 라이저(24C)와 계단(25)의 슬라이스(25D) 사이, 계단(24)의 슬라이스(24D)와 바닥부(15)의 슬라이스(15C) 사이 및 계단(25)의 라이저(25C)와 플랫폼(18)의 슬라이스(18D) 사이의 횡방향 접촉면의 지지에 의하여 보장된다. 이들 접촉면은 협력하여 계단(24 및 25)의 수직 평행이동으로의 가이드를 보장할 수 있다. 유사한 논리가 계단(27 및 28), 라이저(27C, 28C 및 16C), 슬라이스(27D, 28D 및 18D') 및 바닥부(16)에 대하여 적용되므로 상응하는 설명은 이하에서 상술하지 않는다.
변형예에서, 각 측벽(43A, 44A)은, 그 외측면에, 차량의 차체(3)에 수직으로 마련되어 차체(3)에 대하여 수직 평행이동으로의 가이드를 보장하는 도시되지 않은 레일 안으로 수용되는, 측벽(43A)에 대하여 51A 및 52A로 표시되고 측면(44A)에 대하여 53A 및 54A로 표시되는 2개의 부재를 포함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세스 장치는, 플랫폼의 평면에서 플랫폼(18)에 대하여 미끄러지며 문(10)과 플랫폼(18) 사이에 엑세스 공간(6)에 배치되어 문(10)과 플랫폼(18)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차단 슬라이드(63)를 추가로 포함한다. 차체(3)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2개의 홈(66 및 67)을 포함하며 상기 홈의 프로필은 문(10)의 형태와 정합한다. 상기 홈(66 및 67)은 차단 슬라이드(63)의 폭과 동일한 거리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차단 슬라이드(63)는 문(10)과 마주보는 그 에지 양쪽에 홈(66 및 67) 안에 미끄러져 수용되는 바퀴를 포함한다. 차단 슬라이드(63)는 플랫폼(18)에 구비된 슬라이드(69 및 70)에 의하여 문(10)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플랫폼(18)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미끄러져 장착된다.
엑세스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안으로 움츠러드는 위치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밖으로 나오는 위치 사이에서 차량의 차체(3)에 대하여 기계화된 갭 필러판(77)을 포함한다.
움츠러든 위치에서, 상기 판(77)은 플랫폼(18)의 아래에서 차량의 차체(3) 안에 전체적으로 감추어진다. 나온 위치에서, 상기 판(77)은 문(10) 아래 차체에 마련된 개구부를 가로질러 차체(3) 밖으로 돌출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수압식, 유압식 또는 전기식의 제2 구동 시스템은 이들 두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갭 필러판(77)을 변위시킬 수 있다.
차체(3)는 플랫폼(18) 아래에 출입구(9)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판(77)의 폭과 동일한 거리를 두고 이격된 레일(78 및 79)을 포함한다. 상기 판(77)은 레일(78 및 79)에 미끄럼 이동하여 장착되며, 또한 나온 위치에 있을 때, 즉 레일(78 및 79)의 길이를 따라 평행이동으로 변위하는 과정의 끝에 출입구(9)의 한계 지점 아래에 위치된 종축 주위에서 피봇 장착된다.
차량은 또한 도시되지 않은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 제어 시스템은 이하의 수단을 일부 또는 전부 포함한다:
- 예컨대 거리 센서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차체(3)에 대한 역 플랫폼(80)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단,
- 예컨대 피에조전기 또는 정전용량 센서인, 각 이동식 통로(21 및 22)의 높이에 위치된 매스를 감지하는 수단,
- 갭 필러판(77)의 단부에 위치된 장애물 감지 수단, 및
- 감지된 역 플랫폼(80)의 높이로부터, 플랫폼(18)의 최적 위치, 즉 갭 필러판(77)이 튀어나와 피봇될 때 이것의 12% 미만의 경사를 보장하는 위치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기, 및
- 승차/하차 위치에 상응하는, 계산된 최적 위치까지의 변위를 위해 플랫폼(18)을 자동제어하는 수단.
본 발명의 가능한 이용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데, 이것은 예로서만 제시되는 것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제1 시기에서, 철도 차량은 주행 상태에 있다. 플랫폼(18)은 플랫폼(18)과 각 바닥부(15 및 16) 사이에 기복이 없도록 높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장애인이 철도 차량 전체에서 자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 내지 11을 참조하면, 제2 시기에서, 철도 차량이 역 플랫폼(80)에 도착하여 엑세스 조정 과정이 개시된다.
장애인이 플랫폼(18) 위에 위치한다. 이동식 통로(21 및 22) 상에 사람 또는 물체가 있으면 통로(21) 아래에 배치된 힘 센서로 인하여 조정 과정이 대기 상태가 된다. 위치 센서가 차체(3)에 대한 역 플랫폼(80)의 높이를 측정한다. 이 정보는 이후 계산기에 의하여 처리된다. 이 정보로부터, 계산기는 플랫폼(18)의 최적 위치를 계산한다. 끝으로, 플랫폼(18)이 플랫폼(18) 아래에 배치된 가위형 구동 시스템(29)을 통해 계산된 위치를 향하여 역 플랫폼(80)에 대하여 수직으로 평행이동하여 변위된다. 플랫폼(18)의 움직임은 관절연결된 구동 갠티스(32)를 매개로 하여 통로(21 및 22)를 연동시켜 이것이 변형되어 계단을 형성하게 하고, 동시에 차단 슬라이드(63)가 홈(66 및 67)의 길이를 따라 수직으로 평행이동하여 연동된다. 차단 슬라이드(63)는 플랫폼(18)에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하여 문(10)의 홈이 패인 프로필과 정합하여 플랫폼(18)과 문(10) 사이의 완전한 밀폐를 보장한다.
갭 필러판(77)이 또한 슬라이드(78 및 79)의 길이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여 문(10) 아래로 차체(3)로부터 돌출하여 나온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플랫폼(80)의 높이가 상기 판(77)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조금 큰 첫번째 경우, 상기 판(77)은 그 코스의 끝 전에 역 플랫폼에 대하여 지지된다(도 7-8).
장애물 감지 수단은 상기 판(77)의 단부에 검출기를 구비하여 상기 판(77)의 돌출을 정지시킨다.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플랫폼(80)의 높이가 상기 판(77)의 높이보다 낮은 두번째 경우, 갭 필러판(77)은 그 코스의 끝까지 횡방향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상기 판은 역 플랫폼(80)의 위에 평행하게 존재한다. 상기 판(77)의 코스의 끝에 도달했을 때, 상기 판(77)은 종축 주위에서 피봇하여 차체(3)와 역 플랫폼(80) 사이에 완만한 경사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판(77)은 도 11에 도시된 상태로 피봇하여 역 플랫폼(80)에 지지된다.
문(10)이 열리고, 정상인 및 장애인의 모든 승객이 철도 차량에서 나올 수 있다.
변형예에서는, 차단 슬라이드(63)가 플랫폼(18)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하여 장착되고 차단 슬라이드(63)와 플랫폼(18) 사이에 탄성 기관이 개입하여 문(10)에 대하여 차단 슬라이드를 탄성적으로 작용시킨다. 차단 슬라이드(63)의 자유 단부는 문(10)의 표면에 닿고 문(10)의 표면에서 슬라이딩하여 차단 슬라이드(63)를 탄성 기관의 작용의 반대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추종 지지면을 포함하다.
첨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는, 갭 필러판(77)이 플랫폼(18)에 구비되어 있다. 레일(78, 79)이 플랫폼(18)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판(77)은 레일(78, 79)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여 장착되고 출입구(9)를 가로질러 튀어나오는 위치를 향해 변위할 수 있다. 갭 필러판(77)의 튀어나오는 위치는 사전에 문(10)의 열림 위치를 나타낸다.

Claims (10)

  1. - 철도 차량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통행로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바닥부(15, 16)를 갖춘 차체(3),
    - 상기 차체(3)의 두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통상 문(10)에 의하여 닫히는 차체(3)의 출입구(9)의 맞은 편에 배치되는 플랫폼(18)으로서, 플랫폼(18)이 바닥부(15, 16)와 정렬되는 높은 위치 및 플랫폼(18)이 바닥부(15, 16)와 정렬되지 않으며 승차/하차 상황에 해당하는 낮은 위치 사이에서 바닥부(15, 16)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랫폼(18), 및
    - 바닥부(15, 16)와 이동식 플랫폼(18)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통로(21)
    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으로서,
    상기 또는 각각의 이동식 통로(21)가 플랫폼(18)의 높은 위치와 낮은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 및 플랫폼(18)의 높은 위치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계단(24, 25)을 포함하여, 상기 높은 위치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계단(24, 25)이 바닥부(15, 16) 및 이동식 플랫폼(18)과 정렬되는, 철도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3)가 플랫폼(18)과 두 고정 바닥부(15, 16) 사이에서 플랫폼(18)의 양 측에 배치된 2개의 이동식 통로(21, 22)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 차량이 플랫폼(18)을 변위시킬 수 있는 구동 시스템(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철도 차량이 상기 또는 각각의 이동식 계단(24, 25)의 구동 수단(32)을 포함하고, 이들 구동 수단(32)이 플랫폼(18)의 변위에 의하여 가동되는, 철도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18)에 의한 상기 또는 각각의 이동식 계단(24)의 구동 수단(32)은 플랫폼(18)과 바닥부(15, 16)에 대하여 관절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푸시로드(33A; 33B)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푸시로드(33A)가 바닥부(15) 및 플랫폼(18) 중 하나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철도 차량이 차량의 차체(3)에 대하여 플랫폼(18)을 평행이동시키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푸시로드(33A)가 상기 또는 각각의 이동식 계단(24)에 관절연결되고 상기 또는 각각의 이동식 계단(24, 25)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미끄러져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철도 차량이 상기 또는 각각의 계단(24)의 차체(3)에 대한 평행이동을 가이드하는 수단(51A, 52A, 53A, 54A)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이동식 계단(24, 25)은 횡방향 가이드면을 구비하되 상기 횡방향 가이드면에 의한 가이드에 의하여 횡방향 가이드면은 바닥부(15), 플랫폼(18) 및 인접 계단(24, 25) 중 하나와 협력할 수 있는, 철도 차량.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18)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하고 플랫폼(18)과 문(10) 사이에 개재하는 차단 슬라이드(63), 및 플랫폼(18)이 차체(3)에 대하여 변위할 때 차단 슬라이드(63)의 인접 자유 단부에 의하여 문(10)의 프로필을 추종하는 수단(66, 67)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
  9. 제3항에 있어서,
    - 상기 차체(3)에 대한 역 플랫폼(80)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단,
    - 역 플랫폼(80)의 위치에 따라, 플랫폼(18)의 승차/하차 위치를 계산하는 수단, 및
    - 승차/하차 위치까지의 변위를 위해 플랫폼(18)을 자동제어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움츠러든 위치 및 차체에 대하여 돌출되어 나오는 위치 사이에서 변위할 수 있는 플랫폼(18) 아래에 배치된 이동식 갭 필러판(77)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
KR1020140028834A 2013-03-12 2014-03-12 엑세스 장치를 구비한 철도 차량 KR102204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2199A FR3003223B1 (fr) 2013-03-12 2013-03-12 Vehicule ferroviaire pourvu d'un dispositif d'acces
FR1352199 2013-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990A KR20140111990A (ko) 2014-09-22
KR102204601B1 true KR102204601B1 (ko) 2021-01-19

Family

ID=4857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834A KR102204601B1 (ko) 2013-03-12 2014-03-12 엑세스 장치를 구비한 철도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778009B1 (ko)
KR (1) KR102204601B1 (ko)
CN (1) CN104044602B (ko)
ES (1) ES2714282T3 (ko)
FR (1) FR3003223B1 (ko)
PL (1) PL277800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7263B3 (de) * 2016-04-28 2017-09-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Fahrzeug,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DE102017000497B4 (de) * 2017-01-20 2018-09-13 Knorr-Bremse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Türmodul zur Anordnung in einer Türöffnung einer Wand eines Wagenkastens eines Schienenfahrzeugs
DE102017201445A1 (de) 2017-01-30 2018-08-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ienenfahrzeug mit Innenraumabschnitten auf verschiedenen Fußbodenhöhen
FR3071801B1 (fr) * 2017-10-03 2019-10-25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Voiture de vehicule ferroviaire comportant un dispositif d'acces a hauteur variable
CN108423021A (zh) * 2018-04-04 2018-08-21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车辆及其多高度站台出入口系统
CN109050578B (zh) * 2018-08-29 2020-01-10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控制轨道车辆升降的方法及系统
DE102018123200A1 (de) * 2018-09-20 2020-03-26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winden einer Höhendifferenz und Schienenfahrzeug mit der Vorrichtung
DE102018132634A1 (de) * 2018-12-18 2020-06-18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Personentransportfahrzeug
EP3712030B1 (en) * 2019-03-18 2023-05-03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Railway vehicle with adjustable floor height
CN110015315B (zh) * 2019-04-25 2020-11-13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的登车辅助装置
CN111086536A (zh) * 2020-01-02 2020-05-01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无障碍通行系统和具有该系统的轨道车辆
CN112726436B (zh) * 2021-01-06 2022-09-06 江苏鑫环球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升降式路面交通站台乘客用脚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3497A (en) * 1974-10-23 1975-10-21 Boeing Co Movable step assembly for transit vehicles
US4583466A (en) * 1982-11-08 1986-04-22 Vapor Corporation Step lift for railway cars
GB2223211B (en) * 1988-10-04 1992-10-28 Youichi Tokunaga Vehicle access safety device
US5316432A (en) * 1992-12-07 1994-05-31 Reb Manufacturing Co., Inc. Wheelchair lifts with automatic barrier
DE29906022U1 (de) * 1999-04-01 2000-08-10 Alstom Lhb Gmbh Personeneinstieg für Schienenfahrzeuge
DE19914965B4 (de) * 1999-04-01 2007-07-12 Alstom Lhb Gmbh Personeneinstieg für Schienenfahrzeuge
DE10113074A1 (de) * 2001-03-15 2002-09-19 Mbb Liftsystem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brücken von Niveauunterschieden
FR2918339A1 (fr) * 2007-07-02 2009-01-09 Alstom Transport Sa Vehicule ferroviaire et dispositif d'acces audit vehicule
FR2928601B1 (fr) * 2008-03-11 2011-09-09 Alstom Transport Sa Voiture de vehicule ferroviaire facilitant l'acces aux voyageurs a mobilite reduite
FR2928893B1 (fr) * 2008-03-20 2010-10-08 Alstom Transport Sa Vehicule ferroviaire a plate-forme et marchepied mobiles
CN201800725U (zh) * 2010-08-29 2011-04-20 张立苗 乘客列车门处的踏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778009T3 (pl) 2019-06-28
EP2778009B1 (fr) 2018-12-05
ES2714282T3 (es) 2019-05-28
KR20140111990A (ko) 2014-09-22
CN104044602B (zh) 2018-06-19
FR3003223A1 (fr) 2014-09-19
CN104044602A (zh) 2014-09-17
EP2778009A1 (fr) 2014-09-17
FR3003223B1 (fr)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601B1 (ko) 엑세스 장치를 구비한 철도 차량
US8601953B2 (en) Railway vehicle with movable platforms and running boards
KR101503063B1 (ko) 철도 차량 및 철도 차량의 출입 장치
JP5489495B2 (ja) 移動能力の制約された乗客が出入りし易い鉄道車両客車
US20080276827A1 (en)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porting Workpieces and Assemblers on a Production Line
ITTO20110579A1 (it) Gruppo porte per veicoli su rotaia, in particolare per treni metropolitani
CN110816573A (zh) 车辆高度控制方法及相关车辆
CN110198865B (zh) 用于设置在轨道车辆的车厢的壁的门开口中的门模块
CN110510487B (zh) 用于电梯系统的区域对象检测系统
KR101400806B1 (ko)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CN101203450A (zh) 电梯装置
US20030056686A1 (en) Railcar designs
EP3636508A1 (en) Railway train and compartment thereof
JP7373329B2 (ja) 隙間段差低減システム
KR101727479B1 (ko) 철도차량 높이제어장치
JP4291224B2 (ja) 車両用プラグドア装置
RU2689913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вагон с пассажирским отсеком, доступным через подвижную и неподвижную площадки между двумя уровнями
JP5778057B2 (ja) 鉄道車両の車体制御装置
CN114269665B (zh) 混合式缆索/轨道运输系统
KR10191489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617209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용 이탈방지장치
JP2018094957A (ja) 乗降システム
US20230192153A1 (en) High throughput transportation system with seamless carriage switching between tracks along the vertical plane
TW202227355A (zh) 車用維修裝置和操作車用維修裝置的方法
KR20090037408A (ko) 통합형 승강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