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207B1 -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207B1
KR102202207B1 KR1020167010586A KR20167010586A KR102202207B1 KR 102202207 B1 KR102202207 B1 KR 102202207B1 KR 1020167010586 A KR1020167010586 A KR 1020167010586A KR 20167010586 A KR20167010586 A KR 20167010586A KR 102202207 B1 KR102202207 B1 KR 102202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positioning
cam
bobbin
winding machin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708A (ko
Inventor
에랄도 페세티
Original Assignee
콜린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린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콜린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60060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26Mechanisms for controlling contact pressure on winding-web package, e.g. for regulating the quantity of air between web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20Cutting-off the expiring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4Diameter, e.g. of roll or package
    • B65H2511/142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43)에 대해 진동식 작동 요소(40, 60)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보빈 즉 코어(43) 또는 보빈(42)의 직경 크기가 변경되는 필름(41)의 보빈(42) 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진동식 작동 요소(40, 60)는 그룹 내에서 상대적 액츄에이터에 의해 진동되고 와인딩 머신의 프레임(47)과 연결된 핀(46)에 힌지연결된 레버(45)의 제1 자유 단부에서 지지되며, 상기 레버(45)는 상기 진동식 작동 요소(40, 60)를 가지는 단부에 대해 맞은편 위치에서 돌출부(48) 내로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48)는 액츄에이터(52)에 의해서 프레임(47)에 대해 회전하는 각각의 캠(50) 상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접합부(49, 49') 쌍과 상호작동하고, 상기 각각의 접합부(49, 49')는 상기 회전 캠(50)의 회전축(51)에 대해 상이한 반경방향 수치로 상기 캠 위에 위치된다. 상기 진동식 작동 요소는 접압롤(40) 또는 커팅 블레이드(60)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AUTOMATIC POSITIONING GROUP IN A WINDING MACHINE OF PLASTIC FILM}
본 발명은 보빈 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보빈 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머신 분야, 특히, 소위, 연신 필름(stretch film) 또는 신축식 필름(extensible film) 시장에서, 각각, "수동" 사용 및 "자동" 사용과 같은 공통적인 사용 방법에 대해 정의된, 2 또는 3인치의 직경을 가진 코어 상에 감겨진 보빈이 요구된다.
"수동" 사용을 위한 보빈은 상대적으로 짧은 감겨진 재료(wound material)의 길이로 제작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높은 제작 속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보빈-변경 사이클(bobbin-change cycle)은 짧은 시간에 구현되어야 한다. 600 m/분에서 150 ml의 보빈을 제작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분당 4회의 변경이 요구되며, 따라서, 매 15초마다 한 번씩 변경된다.
이는 높은 속도에서 현저하게 줄어든 직경 및 중량을 가진 보빈의 온라인 제작(online production)이 원하는 대로 수행될 수 없게 한다.
게다가, 매우 얇은 필름(6 μm 내지 12 μm)을 제작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이러한 얇은 필름을 감는 동안 발생하는 기본 문제들을 제거하기에 적절한 다양한 방법들을 연구하고 개발하여 왔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선택적인 외측 직경 즉 2" 또는 3"의 외측 직경을 가진 코어 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을 수 있는 와인더(winder)는 빠른 시간에 이러한 릴(reel)들의 다양한 스핀들의 사용을 위해 준비해야 한다.
실제로, 보빈이 감기기 시작하는 2개의 상이한 직경을 가진 코어를 재료적으로 필요하게 만들면, 상기 목적을 구현하는 머신의 몇몇 보조 요소(accessory element)의 위치가 변경되며, 와인딩 및 보빈-변경 상태(winding and bobbin-change phase)에 활동적으로 참여한다(actively participate).
특히, 잘 알려져 있는 것과 같이, 와인딩 머신은 릴의 스핀들(44) 상에 감겨지는 필름을 수반하는 접압롤(contact roll)을 가진다. 이러한 장치는 특정 량의 공기가 필름의 다양한 층들 사이에 유지되어 버블(bubble)을 생성하며 부정확하고 비-균일적으로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 경우, 필름은 균일하게 감기지 않을 것이며, 나란하게 정렬되지 않고 중첩된(superimposed) 코일은 불규칙적인 표면과 함께 변형된 보빈(deformed bobbin)을 생성한다.
게다가, 접압롤이 존재하면, 롤은 제1 와인딩 턴(winding turn)으로부터 바로 각각의 코어를 둘러싸는(enveloping) 필름 상의 작동 접촉 위치(operative contact position) 내에 배열되어야 하는데, 상기 작동 접촉 위치는 롤이 삽입되어(intervene) 감겨지는 필름의 제1 턴과 코어 사이의 밀접한 접촉(close contact)을 생성하는 위치이다.
따라서, 접압롤의 시작 위치(starting position)는 선택된 코어의 초기 직경에 대해 조절되어야 하며, 코어의 초기 직경은, 이미 특정한 것과 같이, 상이할 수 있다.
현재의 와인딩 머신에서, 이러한 작동은 일반적으로, 롤의 지지 레버(supporting lever) 상에 특정 기기를 작동시킴으로써, 예비 시동 상태(preliminary start-up phase) 동안 라인 운영자(line operator)에 의해 구현된다. 운영자 부분 상에 개입(intervening)할 필요성은 항상 인간의 에러(error)의 가능성을 수반하고, 그 결과, 임의의 경우에서, 와인딩이 부정확하게 구현된다. 게다가, 레버 쌍에 이러한 기기들을 삽입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으로 인해, 개입을 위한 중지 시간이 필요하게 되며, 그 외의 경우 정상 제작(normal production)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운전자의 개입에 관한 추가적인 문제는, 이러한 개입을 구현하기 위하여, 운영자는 사고가 발생하는 일정한 위험을 가진 채 와인딩 머신에 개입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는 안전성 측면에서 볼 때 다수의 문제점을 생성한다.
이제, 보빈에 감겨진 필름의 테일(tail)의 횡단방향 커팅 그룹(transversal cutting group)이 생성되고 완료됨에 따라, 보빈이 매번 변경될 때 개입되는, 유사한 문제가 발생된다.
실제로, 코어 상에 감겨진 필름은, 정확한 직경 크기에 도달하고 나면, 보빈이 와인딩 머신으로부터 제거되도록 배열되게 한다.
시작 코어들이 상이한 직경을 가지면, 이에 따라 보빈들도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데: 상기 직경은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최종 사용 방법에 관해 결정된다.
최종 보빈을 제거하기 위하여, 위에서 언급한, 보빈 상에 감겨진 필름의 테일의 횡단방향 커팅 그룹이 고려된다.
보빈의 직경이 변경되면, 이러한 그룹은 감겨진 필름의 코일을 손상시키거나 또는 감겨진 필름의 테일이 절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런(run)을 가져야 한다.
이전의 그룹에서와 같이, 현재에도, 운영자 부분 상에 개입(intervention)이 있는데, 운영자는 필름의 테일의 횡단방향 커팅 그룹을 가진 한 쌍의 레버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또한, 상기 개입은 시간 소모, 가능한 위치배열 에러 및 임의의 경우에서 보호 없이 시스템에 들어가야 하는 운영자에 대한 가능한 위험을 수반하는데, 특히, 상기 경우에서는, 개입 작업이 커팅 블레이드에 근접해서 수행되기 때문에, 이러한 안전 측정(safety measurement)은 공정들을 모두 완료하기에 필요한 추가적인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매우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특히 기능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머신 중지를 위한 데드 타임(dead time)을 감소하는 보빈 위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머신 내에 들어가는 임의의 타입의 인간 개입을 제거하여, 심지어 우발적이라 하더라도 임의의 상해 위험을 없애는 보빈 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의의 인간 요인에 무관하게 요구되는 정확한 위치(correct position)를 보장하는 보빈 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 기술된 목적들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청구항들에 특징지어진 특성들을 가진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기능적인 특성들 및 종래 기술에 대한 본 발명의 이점들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보빈 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자명하게 될 것이다.
도면에서:
- 도 1은, 접압롤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에 적절한,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보빈 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의 제1 실시예를 포함하는 와인딩 머신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단부도;
- 도 2는 전체적으로 도 1의 그룹을 도시한 전방도로서, 요소들의 일부분이 도시되고;
- 도 3은, 필름의 횡단방향 커팅 블레이드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에 적절한,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보빈 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의 제2 실시예를 포함하는 도 1과 유사한 도면;
- 도 4는 전체적으로 도 3의 그룹을 도시한 전방도로서, 요소들의 일부분이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2개의 상이한 상태 하에서 예시된 각각의 그룹이 작동될 수 있으나, 대안으로, 그리고 이와 거의 비슷하게, 2개보다 많은 위치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앞에서 이미 언급한 것과 같이,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되며 오직 일부분만 도시된, 보빈 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상기 제1 자동 위치배열 그룹은 필름(41) 상의 접압롤(40)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에 적절하며, 상기 필름(41)은 스핀들(44) 상에 위치된 코어(43) 위에서 제작되는 보빈(42) 상에 감겨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그룹은 감겨진 필름의 최종 보빈 또는 코어의 직경 크기가 변경될 때 필름(41) 또는 코어(43)에 대해 진동식 작동 요소(oscillating operative element)의 자동 위치배열을 구현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진동식 작동 요소는 접압롤(40)로 구성된다.
상기 접압롤(40)은, 중간 위치에서, 2개의 핀(46)들로 피벗회전되는 레버(45)의 제1 자유 단부에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지지되며, 상기 2개의 핀(46)들은 단부에서 와인딩 머신의 프레임과 연결되며 일부분이 부분(47)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레버(45)는, 접압롤(40)을 가진 단부에 대해 맞은편 위치에서, 돌출부(appendices)(48) 내로 연장되며, 상기 예에서 상기 돌출부는 각각의 레버(45)의 바디(body)에 대해 직각으로 배열된다. 상기 돌출부(48)는 각각의 회전 캠(50) 위에 위치된 사전선택된 가변식 반경방향 수치(radial dimension)를 가진 하나 이상의 접합부(49, 49') 쌍과 상호작동한다(collaborate). 상기 예에서, 접합부(49, 49')는 캠(50)의 둘레(perimeter) 위에 위치된 위치 평면(61) 내에서 회전축에 대해 약간 삽입된 나사 요소(screw element)들로 구성된다. 또한, 접합부(49, 49') 쌍은 캠(50)의 회전축(51)에 대해 떨어진 거리에서 캠(50)의 둘레 상에 위치되는 평평한 접합 영역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회전 캠(50)은, 와인딩 머신의 한 측면(side) 상에 위치된, 단일-작동식 공압 실린더로 구성된 액츄에이터(52)에 의해 프레임(47')의 부분들에 대해 지지되는 샤프트(51)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샤프트(51)는 2개의 캠(50) 둘 모두의 움직임(movement)을 생성하고 상호연결된다(correlate).
실린더(52)의 스템(53)이 부분(54)에서 캠(50)에 힌지연결되며(hinged) 실린더(52)의 바디는 부분(55)에서 프레임(47)의 한 부분에 힌지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레버(45)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단일-작동식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된 액츄에이터(56)에 의해 핀(46) 주위로 진동된다. 특히, 실린더(56)의 스템(57)이 부분(58)에서 레버(45)에 힌지연결되며 실린더(56)의 바디는 부분(59)에서 프레임(47)의 한 부분에 힌지연결된다.
도 1은 스핀들(44) 상에 위치된 코어(43)가 와인딩 머신에 사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제2 코어(도시되지 않음)의 수치보다 더 작은 제1 수치를 가진 제1 위치를 전체 선(whole line)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 코어(43)가 존재하면, 회전 캠(50) 상에 배열된, 더 작은 반경방향 수치를 가진 제1 접합부(49)의 사용을 결정한다. 제1 접합부(49)가 돌출부(48)와 상응하여 위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실린더(52)의 스템(53)은 추출된 위치(extracted position)에 있다. 스템(53)이 부분(54)에서 캠(50)에 힌지연결되고 캠(50)은 샤프트(51)에 의해 다른 캠(50)에 연결되기 때문에, 두 캠(50)의 원하는 위치 및 좌표가 결정된다.
이전 코어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코어(43)가 스핀들(44) 위에 위치될 때, 접압롤(40)은 스핀들(44)에 대해 보다 떨어진 위치(detached position)에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실린더(52)의 스템(53)은 재-삽입되어 캠(50)이 샤프트(51) 주위로 회전되게 한다. 따라서, 이전 접합부에 대해 보다 큰 반경방향 수치를 가진 제2 접합부(49')는 레버(45)의 돌출부(48)에 상응하여 위치된다. 이에 따라, 더 큰 직경 크기를 가진 코어(43)를 가진, 스핀들(44)에 대해 보다 떨어진 위치에서 실린더(56)가 작동되어 레버(45)가 중지하게 된다.
이것들은 모두 완벽하게 자동화되고 현저하게 빠른 속도로 구현되는데, 머신 내에 임의의 개입(intervention) 없이, 그리고, 제작에 있어서 중지에 따른 임의의 시간 손실 없이 구현된다.
이전 코어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코어의 사용이 결정되는 즉시, 모든 것이 자동으로 구현되어, 지금까지 알려진 머신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추가적인 예는 도 3 및 4의 보빈 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의 제2 실시예에 도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보빈 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은, 보빈(42)이 거의 준비되고 완료되고 나면, 스핀들(44)의 코어(43) 상에 감겨지는 필름(41)의 횡단방향 커팅 블레이드(60)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에 적절하다. 따라서, 상기 그룹은 감겨진 필름(41)의 최종 보빈(42)의 수치가 변경될 때 필름(41) 또는 코어(43)에 대해 진동식 작동 요소의 자동 위치배열을 구현한다.
도 3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진동식 작동 요소는 커팅 블레이드(60)로 구성된다.
가능하다면, 상기 제2 실시예에 대해서도, 동일하거나 균등한 요소들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상기 커팅 블레이드(60)는 레버(45)의 제1 자유 단부에서 지지되며, 레버(45)는, 거의 중간 위치에서, 단부에서 머신의 프레임(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 핀(46)에 의해 구속된다(constrained).
상기 레버(45)는, 커팅 블레이드(60)를 가진 단부에 대해 맞은편 위치에서, 상기 예에서 각각의 레버(45)의 바디에 대해 거의 나란하게 배열된 돌출부(48) 내로 연장된다. 상기 돌출부(48)는 각각의 회전 캠(50) 상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접합부(49, 49') 쌍과 상호작동한다. 상기 예에서 단순한 접합부 표면으로 구성된 접합부(49, 49')는 상이한 반경방향 거리(radial distance)에 위치되며, 상기 반경방향 거리는 캠(50)의 회전 중심(rotation center)에 대해 사전선택되고 가변적이다. 각각의 회전 캠(50)은, 예를 들어, 단일-작동식 공압 실린더로 구성된 액츄에이터(52)에 의해 프레임의 부분들(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지지되는 샤프트(51)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실린더(52)의 스템(53)이 부분(54)에서 캠(50)에 힌지연결되며 실린더(52)의 바디는 부분(55)에서 프레임(47)의 한 부분에 힌지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레버(45)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단일-작동식 공압 실린더로 구성된 액츄에이터(56)에 의해 핀(46) 주위로 진동된다. 특히, 실린더(56)의 스템(57)이 부분(58)에서 레버(45)에 힌지연결되며 실린더(56)의 바디는 부분(59)에서 프레임(47)의 한 부분에 힌지연결된다.
도 3은 커팅 블레이드(60)가 와인딩 머신 상에서 제작될 수 있는 추가적인 제2 보빈(도시되지 않음)의 직경보다 더 작은 제1 직경을 가진 보빈 상에서 개입되는 제1 위치를 전체 선(whole line)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 보빈이 존재하면, 회전 캠(50)의 회전 중심에 대해 더 작은 반경방향 거리에서 제1 중지 표면 또는 접합부(49)의 사용을 결정한다.
제1 중지 표면 또는 접합부(49)의 위치가 돌출부(48)와 상응하여 위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실린더(52)의 스템(53)은 추출된 위치에 있다. 스템(53)이 부분(54)에서 캠(50)에 힌지연결되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배열이 얻어진다.
이전 보빈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보빈이 스핀들(44) 위에 위치될 때, 커팅 블레이드(60)는 스핀들(44)에 대해 보다 떨어진 위치로 배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실린더(52)의 스템(53)은 재-삽입되어 캠(50)이 샤프트(51) 주위로 회전되게 한다. 그 결과, 회전 중심에 대해 보다 큰 반경방향 수치를 가진 제2 중지 표면 또는 접합부(49')는 레버(45)의 돌출부(48)에 상응하여 배열된다. 이에 따라, 더 큰 직경 크기를 가진 보빈을 가진, 스핀들(44)에 대해 보다 떨어진 위치에서 실린더(56)가 작동될 때 레버(45)가 중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예에서, 전체 공정은 완벽하게 자동화되고 현저하게 빠른 속도로 구현되는데, 머신 내에 임의의 개입 없이, 그리고, 제작에 있어서 중지에 따른 임의의 시간 손실 없이 구현된다.
이전 보빈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보빈의 제작이 결정되는 즉시, 모든 것이 자동으로 구현되어, 지금까지 알려진 머신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3에서, 레버(45)의 돌출부(48)는 작동 중지(stop)를 완충시키기 위해(cushion) 접합부 표면(49 및 49')과 상호작동하는 버퍼 요소(62)를 추가로 가진다.
두 경우 모두, 종래 기술에 따르면, 머신의 몇몇 보조 요소(accessory element)의 위치를 재료적으로 변경시킬(materially changing) 필요가 있는, 2개의 상이한 시작 직경(starting diameter)을 가진다는 사실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것이 실린더 및 캠을 작동시킴으로써 자동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러(error) 가능성 및 상기 공정에서 소모되는 데드 타임(dead time)을 제거한다.
두 경우 모두, 상기 공정이 자동화(automation)되면, 안전성 측면에서 볼 때 유용한데, 그 이유는 운영자가 사고 위험을 있는 채로 와인더(winder)에 들어갈(enter)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앞부분에서 언급한 목적들은 모두 구현되었다.
본 발명의 그룹을 제작하기 위한 구성의 형태, 재료 및 조립 모드는 도면에서 단지 비-제한적이고 예시적인 목적으로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하기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6)

  1. 코어(43)에 대해 진동식 작동 요소(40, 60)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보빈 즉 코어(43) 또는 보빈(42)의 직경 크기가 변경되는 필름(41)의 보빈(42) 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으로서, 상기 진동식 작동 요소(40, 60)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진동되고 와인딩 머신의 프레임(47)과 연결된 핀(46)에 힌지연결된 레버(45)의 제1 자유 단부에서 지지되는,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에 있어서,
    상기 레버(45)는 상기 진동식 작동 요소(40, 60)를 가지는 단부에 대해 맞은편 위치에서 돌출부(48) 내로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48)는 액츄에이터(52)에 의해서 프레임(47)에 대해 회전하는 각각의 캠(50) 상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접합부(49, 49') 쌍과 상호작동하고, 상기 각각의 접합부(49, 49')는 상기 회전 캠(50)의 회전축(51)에 대해 상이한 반경방향 수치(radial dimension)로 상기 캠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식 작동 요소는 접압롤(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접합부(49, 49') 쌍은 캠(50)의 둘레(perimeter) 위에 위치된 평면(61) 상에서 상기 캠(50)의 회전축(51)에 대해 일부가 삽입된 나사 요소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식 작동 요소는 커팅 블레이드(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접합부(49, 49') 쌍은 캠(50)의 회전축(51)에 대해 떨어진 거리에서 캠(50)의 둘레 상에 위치되는 평평한 접합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
  6. 제1 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린더(56)의 스템이 레버(45)의 중간 위치에서 부분(58)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실린더(56)의 스템은 한 자유 단부에서 프레임(47)의 한 부분에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
KR1020167010586A 2013-09-25 2014-09-16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 KR102202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13A001575 2013-09-25
IT001575A ITMI20131575A1 (it) 2013-09-25 2013-09-25 Gruppo di posizionamento automatico in una macchina di avvolgimento di film plastico
PCT/EP2014/002501 WO2015043723A1 (en) 2013-09-25 2014-09-16 Automatic positioning group in a winding machine of plastic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708A KR20160060708A (ko) 2016-05-30
KR102202207B1 true KR102202207B1 (ko) 2021-01-14

Family

ID=4948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586A KR102202207B1 (ko) 2013-09-25 2014-09-16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878864B2 (ko)
EP (1) EP2938564B1 (ko)
JP (1) JP6558589B2 (ko)
KR (1) KR102202207B1 (ko)
CN (1) CN105579373B (ko)
BR (1) BR112016006520B1 (ko)
CA (1) CA2923524C (ko)
ES (1) ES2665575T3 (ko)
IT (1) ITMI20131575A1 (ko)
MX (1) MX2016003848A (ko)
PL (1) PL2938564T3 (ko)
RU (1) RU2664294C2 (ko)
WO (1) WO20150437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635B1 (ko) 2018-07-02 2020-01-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모듈화 스마트 센서-플러그 플랫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화 스마트 센서-플러그 시스템
WO2020011792A1 (en) * 2018-07-10 2020-01-16 MTorres Tissue S.r.l. Device for loading rolls on a machine and a machine comprising said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33078U1 (ko) 1986-12-10 1987-02-05 Lenze Gmbh & Co Kg Aerzen, 3258 Aerzen, De
GB2238527A (en) 1989-11-30 1991-06-05 Achenbach Buschhuetten Gmbh Strip winding apparatus
US20050103920A1 (en) 2003-01-15 2005-05-19 Fabio Perini S. P.A. Rewinding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logs, with means to control the final diameter of the log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3158A (en) * 1958-09-19 1961-02-28 Mercury Engineering Corp Cut-off knife assembly for continuous rewinders
US3733035A (en) * 1971-03-10 1973-05-15 C Schott Winder
JPS5219816B2 (ko) * 1973-03-05 1977-05-31
US4326680A (en) * 1980-07-02 1982-04-27 The Black Clawson Company Web cutter for a surface winder
SU1212398A1 (ru) * 1984-08-08 1986-02-23 Украинский полиграф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Ивана Федорова Листорезальна ротационна машина
DE237903T1 (de) * 1986-03-17 1988-04-07 Mitsubishi Jukogyo K.K., Tokio/Tokyo, Jp Automatischer trenn- und wickelapparat fuer bandfoermiges material, wie zum beispiel film.
US5267703A (en) * 1988-01-29 1993-12-07 Fabio Perini S.P.A.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oduction of paper rolls produced by the rewinder in order to ensure steadiness of length of the wound paper and/or of reached diameter
US4993652A (en) * 1989-11-06 1991-02-19 The Black Clawson Company Continuous winder for web materials
US5275345A (en) * 1989-11-30 1994-01-04 Werner Stahl Strip coiler
JP3585051B2 (ja) * 1994-07-29 2004-11-04 日本輸送機株式会社 シート巻出装置
JP3627155B2 (ja) * 1995-07-18 2005-03-09 東芝機械株式会社 フィルム用巻取装置
JPH1035959A (ja) * 1996-07-25 1998-02-10 Mitsubishi Heavy Ind Ltd フィルム巻取装置
EP1015147B1 (en) * 1997-07-15 2003-05-21 Alcoa Inc. High speed transfer of strip in a continuous strip processing application
JP2002087657A (ja) * 2000-09-07 2002-03-27 Toray Ind Inc シートロール体の製造装置
JP2003292207A (ja) * 2002-04-08 2003-10-15 Taisei Tekkosho:Kk ペーパーロールの製造方法
ITFI20030312A1 (it) * 2003-12-05 2005-06-06 Perini Fabio Spa Metodo e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33078U1 (ko) 1986-12-10 1987-02-05 Lenze Gmbh & Co Kg Aerzen, 3258 Aerzen, De
GB2238527A (en) 1989-11-30 1991-06-05 Achenbach Buschhuetten Gmbh Strip winding apparatus
US20050103920A1 (en) 2003-01-15 2005-05-19 Fabio Perini S. P.A. Rewinding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logs, with means to control the final diameter of the lo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23524C (en) 2021-06-15
KR20160060708A (ko) 2016-05-30
BR112016006520A2 (pt) 2017-08-01
US9878864B2 (en) 2018-01-30
PL2938564T3 (pl) 2018-07-31
JP6558589B2 (ja) 2019-08-14
RU2664294C2 (ru) 2018-08-16
BR112016006520B1 (pt) 2021-06-15
ES2665575T3 (es) 2018-04-26
MX2016003848A (es) 2017-01-05
WO2015043723A1 (en) 2015-04-02
CN105579373B (zh) 2017-07-11
RU2016108606A (ru) 2017-10-30
JP2017502894A (ja) 2017-01-26
ITMI20131575A1 (it) 2015-03-26
US20160200538A1 (en) 2016-07-14
EP2938564A1 (en) 2015-11-04
EP2938564B1 (en) 2018-01-31
CA2923524A1 (en) 2015-04-02
CN105579373A (zh) 2016-05-11
RU2016108606A3 (ko) 2018-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63837A (zh) 用于改善纺织机的卷绕过程的方法和卷绕工位
KR102202207B1 (ko) 플라스틱 필름을 감기 위한 와인딩 머신 내의 자동 위치배열 그룹
KR102662087B1 (ko) 보빈에 권취된 시트 재료를 공급 및 스플라이싱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2602748B (zh) 校准纱线调节器的枢转路径的方法及纱线接头装置
JP2007260973A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HRP20220939T1 (hr) Stroj i postupak za proizvodnju bobina od rastezljivog filma
TWI548584B (zh) 捲線機及其操作方法
CN207883852U (zh) 电池制造控制系统及电池制造设备
CN105564025B (zh) 一种机组式凹版印刷机放卷换卷自动检测卷径的控制方法
DE102014215599B4 (de) Garnwickelmaschine und garnwickelverfahren
DE102014002123B4 (de) Garnwickelmaschine
WO2015029292A1 (ja) 糸巻取装置
JP6874474B2 (ja) タンク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2113205B1 (ko) 변류기 환형코아 권취 자동제작 시스템 및 그 변류기 권취 환형코아 자동 제작 시스템 운용방법
JPH0578012A (ja) 糸の巻取装置
JP5416604B2 (ja) 糸の巻取装置
KR20160060674A (ko) 플라스틱 필름의 권취 기계내에 배열된 권취 스핀들의 고정 및 지지 장치
WO2015056215A1 (en) High performance rewinding machine of extendable film
IT202000019312A1 (it) Roccatrice automatica munita di un gruppo compensatore elettronico per la regolazione della distanza tra una bocchetta di aspirazione lato rocca e la rocca medesima, e relativo metodo di regolazione
CN102328851B (zh) 交叉卷绕筒子更换机件及其操作方法
CH427602A (de) Automatische Kreuzspulmaschine
CN104229550A (zh) 筒子架旋转角位置的调节方法、纺织机及步进马达的应用
CN105108383A (zh) 焊环成形装置
AU2014101006A4 (en) Device for unrolling fiber cloth
US2732141A (en) luc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