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650B1 - 차폐 부재를 구비한 접합 장치 - Google Patents

차폐 부재를 구비한 접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650B1
KR102196650B1 KR1020207010019A KR20207010019A KR102196650B1 KR 102196650 B1 KR102196650 B1 KR 102196650B1 KR 1020207010019 A KR1020207010019 A KR 1020207010019A KR 20207010019 A KR20207010019 A KR 20207010019A KR 102196650 B1 KR102196650 B1 KR 10219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ember
air
turn bar
optical film
air 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008A (ko
Inventor
히로후미 사이고
키요타카 츠츠미
요시미츠 사토
나오야 시모소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2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5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specific variables not covered by groups B29C66/91 - B29C66/9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32Arrangements for turning or revers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에어 턴바로부터의 유출 공기의 영향으로 패널 부재 등에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구를 갖는 접합 장치를 제공한다. 접합 장치는 광학 필름 반송라인과, 패널 부재 반송라인과, 광학 필름의 반송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에어 턴바와, 에어 턴바로부터의 유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차폐 부재를 구비한다. 에어 턴바는 반송면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광학 필름을 반송면으로부터 뛰우면서 반송 방향을 전환한다. 에어 턴바와 상기 에어 턴바에 의해 반송 방향이 전환되어 있는 광학 필름의 사이로부터는 공기가 유출하고, 차폐 부재는 이 유출 공기가 접합 장치 내의 기류를 어지럽히지 않도록 유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차폐 부재를 구비한 접합 장치
본 발명은 광학적 표시 유닛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턴바(Air Turn Bar)를 이용하여 광학 필름의 반송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좁은 스페이스에도 설치 가능하게 된 광학 필름의 접합 장치에 있어서, 에어 턴바로부터의 공기가 광학 필름이나 패널 부재에 주는 악영향을 저감시키는 차폐 부재를 구비한 접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학적 표시 유닛의 제조 현장에 있어서, 별도의 설비로 미리 시트 형상으로 잘라낸 광학 필름 적층체를 반입해서 패널 부재에 접합하는 매엽식의 제조 장치 대신에, 롤·투·패널 방식(이하, RTP 방식이라고 한다)의 제조 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RTP 방식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띠 형상 광학 필름 적층체를 풀어내고, 풀어내어진 띠 형상 광학 필름 적층체에 장치 내에 있어서 절개선을 넣음으로써 시트 형상의 광학 필름을 형성하고, 시트 형상 광학 필름을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박리해서 패널 부재에 연속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
이러한 RTP 방식의 제조 장치로서, 종래, 직선형의 장치가 채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직선형의 제조 장치는 패널 부재의 반송 경로, 패널 부재의 양면에 접합되는 광학 필름의 공급부, 광학 필름의 반송 경로, 절개선의 형성부, 패널 부재와 광학 필름 시트의 접합부 등이,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장치이다. 직선형의 장치에서는, RTP 방식 이전에 채용되고 있던 매엽식의 제조 장치를 RTP 방식의 제조 장치로 교체하는 경우에, 설치 스페이스의 제약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출원의 출원인은, 이 문제에 대처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해서, 장치 전체의 길이 및 폭을 축소해서 좁은 스페이스에도 설치할 수 있게 한 콤팩트한 RTP 방식의 제조 장치(이하, 컴팩트 RTP 장치라고 한다)를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1). 컴팩트 RTP 장치에 있어서는, 패널 부재의 양면에 접합되는 2개의 광학 필름의 반송 경로의 일부가 상하로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고, 필름 반송 경로의 도중에 에어 턴바를 배치할 수 있다. 에어 턴바는 외주면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광학 필름을 부상시키면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에어 턴바를 사용했을 경우, 에어 턴바의 외주면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에어 턴바와 반송 방향이 전환되어 있는 광학 필름 사이로부터 유출된다. 에어 턴바의 양단부에 있어서 그 외주면과 광학 필름 사이로부터 유출된 공기는, 접합 장치 내의 기류를 어지럽히게 된다. 기류가 흐트러지면 유출 공기가 패널 부재 반송라인에 직접 닿아, 반송되고 있는 패널 부재나 광학 필름에 이물이 부착되거나, 접합 장치 내의 이물이 감아 올려지고, 감아 올려진 이물이 반송라인의 컨베이어 등의 구성 부품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패널 부재나 광학 필름에 부착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 제6280966호 공보
본 발명은 에어 턴바의 가까이에 패널 부재 반송라인 및 광학 필름 반송라인이 배치된 접합 장치에 있어서, 에어 턴바와 상기 에어 턴바의 반송면을 주행하는 광학 필름 사이로부터 유출된 공기의 영향에 의해, 패널 부재 반송라인 및 그것에 의해서 반송되는 패널 부재, 및 광학 필름 반송라인 및 그것에 의해서 반송되는 광학 필름에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패널 부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광학 필름의 시트를 접합하기 위한접합 장치를 제공한다. 접합 장치는 광학 필름을 반송하는 광학 필름 반송라인과, 패널 부재를 반송하는 패널 부재 반송라인과, 광학 필름의 반송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에어 턴바와, 에어 턴바로부터의 유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차폐 부재를 구비한다. 에어 턴바는 광학 필름 반송라인의 도중에 배치되고, 반송면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광학 필름을 반송면으로부터 뛰우면서 반송 방향을 전환한다. 에어 턴바와 상기 에어 턴바에 의해 반송 방향이 전환되어 있는 광학 필름 사이로부터는 공기가 유출되고, 차폐 부재는 이 유출 공기가 접합 장치 내의 기류를 어지럽히지 않도록 유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에어 턴바가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차폐 부재는 에어 턴바와 패널 부재 반송라인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에어 턴바가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차폐 부재는 에어 턴바와 패널 부재 반송라인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폐 부재는 적어도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패널 부재 반송 부분의 폭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갖는 판상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에어 턴바가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서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차폐 부재는 에어 턴바의 상방에 있어서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에어 턴바가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서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차폐 부재는 에어 턴바의 하방에 있어서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에어 턴바가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접합 장치는 기류 생성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류 생성부는 하강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하강기류는 에어 턴바의 폭방향 바깥쪽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게 되어 있고, 그 하강기류와 함께 유출 공기가 패널 반송라인의 폭방향 바깥쪽을 하방을 향해서 흐른다. 기류 생성부는, 일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에어 턴바의 폭방향 양단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접합 장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를 청정 공기로 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흡기수단으로 할 수 있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에어 턴바의 폭방향 양단부의 상방에 배치된 송풍수단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RTP 방식의 접합 장치와 비교해서 장치 전체의 길이 및 폭을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좁은 스페이스에도 설치할 수 있는, 에어 턴바를 구비하는 콤팩트한 RTP 방식의 접합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a)는 평면도, (b)는 (a)에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B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에어 턴바를 구비하는 콤팩트한 RTP 방식의 접합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차폐 부재 및 기류 생성부와, 그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차폐 부재 및 기류 생성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평면도, (b)는 (a)의 부분을 패널 부재의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c)는 (a)의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에어 턴바로부터의 유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차폐 부재 및 기류 생성부가 없을 경우에 있어서의 에어 턴바로부터의 유출 공기의 흐름을, 패널 부재의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b)는 그 측면도이며, (c)는 차폐 부재 및 기류 생성부가 있을 경우에 있어서의 에어 턴바로부터의 유출 공기의 흐름을, 패널 부재의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d)는 그 측면도이다.
도 4는 에어 턴바를 구비하는 콤팩트한 RTP 방식의 접합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차폐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상기 차폐 부재가 있는 부분의 평면도, (b)는 (a)의 부분을 패널 부재의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c)는 (a)의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에어 턴바로부터의 유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에어 턴바로부터의 유출 공기의 흐름을 패널 부재의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b)는 그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접합 장치의 구성)
도 1은 종래의 RTP 방식의 접합 장치와 비교하여, 장치 전체의 길이 및 폭을 더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좁은 스페이스에도 설치할 수 있는 접합 장치(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a)는 접합 장치(1)의 평면도이며, 도 1(b)는 도 1(a) 중에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B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접합 장치(1)는 에어 턴바(23) 및 에어 턴바(33)를 구비하고, 패널 부재의 양면에 접합되는 2개의 광학 필름의 반송 경로의 일부가 상하로 겹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접합 장치보다 콤팩트한 외형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접합 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합 장치(1)는 패널 부재(W)를 반송하는 패널 부재 반송라인(10)과, 패널 부재(W)의 한쪽 면(W1)(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TFT)측의 면)에 광학 필름(F1)의 시트(S1)를 접합시키는 접합부(40)와, 패널 부재(W)의 다른쪽 면(W2)(예를 들면, 컬러필터(CF)측의 면)에 광학 필름(F2)의 시트(S2)를 접합시키는 접합부(50)를 구비한다. 접합 장치(1)는 또한, 광학 필름(F1)을 공급하고, 접합부(40)까지 반송하는 광학 필름 반송라인(20)과, 광학 필름(F2)을 공급하고, 접합부(50)까지 반송하는 광학 필름 반송라인(30)을 구비한다.
접합 장치(1)에 있어서는, 패널 부재(W)는 패널 부재 반송라인(10)에 형성된 입구부(11)로부터 출구부(12)까지 직선적으로 반송된다. 패널 부재 반송라인(10)의 도중에 접합부(40)와 접합부(50)가 설치되어 있다. 패널 부재(W)의 한쪽 면(W1)에는 접합부(40)에 있어서 광학 필름(F1)의 시트(S1)가 접합된다. 광학 필름(F1)의 시트(S1)가 접합된 패널 부재(W)는 접합부(40)로부터 나와서 패널 부재 반송부(14)에 의해 반송된다.
접합부(40)를 나온 패널 부재(W)의 방향은, 필요에 따라서 접합부(40)로부터 접합부(50)까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설치된 선회부(15)에 있어서 90°선회시킬 수 있다. 선회한 패널 부재(W)는 패널 부재 반송부(16)에 건네진다. 패널 부재 반송부(16)는 선회부(15)와 접합부(50)를 직선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패널 부재(W)는 직선적으로 접합부(50)에 반송된다.
접합부(50)에 있어서는, 패널 부재(W)의 다른쪽 면(W2)(즉, 광학 필름(F1)의 시트(S1)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면)에 광학 필름(F2)의 시트(S2)가 접합된다. 광학 필름(F2)의 시트(S2)가 접합된 패널 부재(W)는, 접합부(50)로부터 나와서 패널 부재 반송부(17)에 의해 반송되어, 출구부(12)로부터 나온다.
광학 필름 반송라인(20)은 광학 필름 적층체(L1)를 접합부(40)까지 반송한다. 광학 필름 적층체(L1)는 캐리어 필름(C1) 상에 광학 필름(F1)이 적층된 것으로 할 수 있다. 광학 필름 반송라인(20)은 광학 필름 적층체의 롤(R1)로부터 광학 필름 적층체(L1)를 풀어내서 패널 부재 반송라인(1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부터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21)를 갖는다. 필름 공급부(21)는 패널 부재 반송라인(10)의 입구부(11)와 출구부(12)를 연결하는 직선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필름 공급부(21)로부터 풀려나온 광학 필름 적층체(L1)는, 필름 반송부(22)와, 방향 전환부(23)와, 필름 반송부(24)를 경유하여 접합부(40)에 반송된다.
방향 전환부(23)는 필름 반송부(22)에 의해 패널 부재 반송라인(1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광학 필름 적층체(L1)의 반송 방향을, 패널 부재 반송라인(10)의 도중에 장착된 접합부(40)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을 향해서 90°전환할 수 있다. 접합 장치(1)에 있어서는 방향 전환부(23)로서 에어 턴바가 사용된다. 에어 턴바는 광학 필름 적층체(L1)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방향을 갖는 원통형상 또는 반원통형상의 외주면을 갖고, 방향을 전환하려고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L1)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공기를 분출하는 외주면에 광학 필름 적층체(L1)를 감아걸고, 광학 필름 적층체(L1)와 외주면 사이의 공기압에 의해 광학 필름 적층체(L1)를 부상시킴으로써, 외주면과 비접촉 상태에서 광학 필름 적층체(L1)의 반송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방향 전환부(23)에 의해 반송 방향이 전환된 광학 필름 적층체(L1)는, 필름 반송부(24)에 의해 접합부(40)를 향해서 반송된다. 필름 반송부(24)에는 광학 필름(F1)으로부터 광학 필름의 시트(S1)를 형성하기 위한 절개선 형성부(25)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의 시트(S1)는 접합부(40)에 있어서 패널 부재(W)의 한쪽 면(W1)에 접합된다. 광학 필름 적층체(L1)는 방향 전환부(23)에 의해 방향 전환된 후 접합부(40)에 보내지고, 한편, 패널 부재(W)는 접합부(40)를 사이에 두고 광학 필름 적층체(L1)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측의 방향으로부터, 한쪽 면(W1)이 하향의 상태에서 접합부(40)에 보내진다. 접합부(40)에 있어서는 박리수단(41)에 의해 광학 필름 적층체(L1)로부터 광학 필름의 시트(S1)가 박리된다. 박리된 시트(S1)와 패널 부재(W)는 접합 롤러(42)를 사용해서 접합할 수 있다.
광학 필름 반송라인(30)은 광학 필름 적층체(L2)를 접합부(50)까지 반송한다. 광학 필름 적층체(L2)는 캐리어 필름(C2) 상에 광학 필름(F2)이 적층된 것으로 할 수 있다. 광학 필름 반송라인(30)은 광학 필름 적층체의 롤(R2)로부터 광학 필름 적층체(L2)를 풀어내어 패널 부재 반송라인(1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부터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31)를 갖는다. 필름 공급부(31)는 패널 부재 반송라인(10)의 입구부(11)와 출구부(12)를 연결하는 직선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필름 공급부(31)로부터 풀려나온 광학 필름 적층체(L2)는 필름 반송부(32)와, 방향 전환부(33)와, 필름 반송부(34)를 경유하여 접합부(50)로 반송된다.
방향 전환부(33)는 필름 반송부(32)에 의해 패널 부재 반송라인(1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광학 필름 적층체(L2)의 반송 방향을, 패널 부재 반송라인(10)의 도중에 장착된 접합부(50)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을 향해서 90°전환할 수 있다. 접합 장치(1)에 있어서는, 방향 전환부(23)와 마찬가지로 방향 전환부(33)로서 에어 턴바가 사용된다. 에어 턴바는 광학 필름 적층체(L2)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방향을 갖는 원통형상 또는 반원통형상의 외주면을 갖고, 방향을 전환하려고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L2)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공기를 분출하는 외주면에 광학 필름 적층체(L2)를 감아 걸고, 광학 필름 적층체(L2)와 외주면 사이의 공기압에 의해 광학 필름 적층체(L2)를 부상시킴으로써, 외주면과 비접촉의 상태에서 광학 필름 적층체(L2)의 반송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방향 전환부(33)에 의해 반송 방향이 전환된 광학 필름 적층체(L2)는, 필름 반송부(34)에 의해 접합부(50)를 향해서 반송된다. 필름 반송부(34)에는 광학 필름 적층체(L2)로부터 광학 필름의 시트(S2)를 형성하기 위한 절개선 형성부(35)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의 시트(S2)는 접합부(50)에 있어서 패널 부재(W)의 다른쪽 면(W2)에 접합된다. 광학 필름 적층체(L2)는 방향 전환부(33)에 의해 방향 전환된 후 접합부(50)에 보내지고, 한편, 패널 부재(W)는 다른쪽 면(W2)이 상향인 상태에서 접합부(50)에 보내진다. 접합부(50)에 있어서는 박리수단(51)에 의해 광학 필름 적층체(L2)로부터 광학 필름의 시트(S2)가 박리된다. 박리된 시트(S2)와 패널 부재(W)는 접합 롤러(52)를 사용해서 접합할 수 있다.
상술의 접합 장치(1)는, 특허문헌 1의 도 2에 나타내어지는 구성의 장치이지만, 컴팩트 RTP 장치의 다른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일부가 광학 필름 반송라인의 측방에 배치된 구성이나,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광학 필름 반송라인이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하방에만 배치된 구성 등을 갖는 장치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어느 구성의 접합 장치에 있어서나 사용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상기와 같이, 접합 장치(1)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 적층체(L1)의 반송 방향을 전환하는 에어 턴바(23)와, 광학 필름 적층체(L2)의 반송 방향을 전환하는 에어 턴바(33)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 턴바(23, 33)에 있어서, 에어 턴바(23, 33)의 외주면에서 분사된 공기가 에어 턴바(23, 33)의 외주면과, 그 외주면 상에서 반송 방향이 전환되어 있는 광학 필름 적층체(L1, L2)의 사이로부터 유출된다. 에어 턴바(33)의 외주면과 광학 필름 적층체(L2) 사이로부터 유출된 공기는, 그 일부가 에어 턴바(33)의 하방으로 흘러 접합 장치(1)의 내부의 기류를 어지럽히거나, 하방에 위치하는 패널 부재 반송라인(10) 상에 도달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에어 턴바(23)의 양단부에 있어서 외주면과 광학 필름 적층체(L1) 사이로부터 유출된 공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접합 장치(1)의 내부의 기류를 어지럽힐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접합 장치(1)에 유출 공기가 패널 부재 반송라인(10) 상에 도달하지 않도록 유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목적으로, 차폐 부재(5)와, 필요에 따라서 기류 생성부(6)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유출 공기가 패널 부재 반송라인(10) 상에 도달하지 않는다는 것은, 유출 공기가 패널 부재 반송라인(10)상에 전혀 도달하지 않을 경우 뿐만 아니라, 가령 유출 공기가 패널 부재 반송라인(10) 상에 도달했다고 해도 그 유출 공기를 원인으로 해서 패널 부재(W)에 악영향이 끼쳐지지 않는 정도로 유출 공기의 일부가 도달할 경우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차폐 부재(5) 및 기류 생성부(6)의 구성과 그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2(a)는 차폐 부재(5) 및 기류 생성부(6)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부분을 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 2(c)는 도 2(a)의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차폐 부재(5) 및 기류 생성부(6)는, 에어 턴바(33)의 외주면과 광학 필름 적층체(L2) 사이로부터 유출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도 2(a)에 있어서는, 하우징(7)의 상면(천장)은 나타내고 있지 않다. 또한, 도 2(b) 및 도 2(c)에 있어서는, 도면이 번잡하게 되지 않도록, 패널 부재 반송부(14)의 하방에 위치하는 구성요소는 나타내고 있지 않다.
차폐 부재(5)는 에어 턴바(33)와 에어 턴바(33)의 하방에 위치하는 패널 부재 반송부(14) 사이에 배치되고, 에어 턴바(33)로부터의 유출 공기가 패널 부재 반송부(14) 상에 도달하지 않도록 차폐하기 위한 부재이다. 차폐 부재(5)는 사각형의 판상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폐 부재(5)의 폭(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길이)은, 적어도 패널 부재 반송부(14)의 패널 부재 반송 부분(즉, 양단부의 프레임(142) 사이에 있어서 패널 부재(W)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144)가 배치된 부분)의 폭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갖고, 패널 부재 반송부(14)의 폭보다 넓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폐 부재(5)의 길이(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의 길이)는 적어도 에어 턴바(33)의 전단(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 최전방에 위치하는 단부)과 후단(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 최후방에 위치하는 단부)의 거리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 부재(5)가 배치되는 높이 방향의 위치는, 예를 들면 메인터넌스 작업시 등에 패널 부재 반송부(14) 상에 있는 패널 부재(W)에 액세스 가능하게 되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면, 가능한 한 패널 부재 반송부(14)에 가까운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차폐 부재(5)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폐 부재(5)의 재질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경량인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폐 부재(5)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는 방법은, 후술되는 하강기류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패널 부재(W) 및 광학 필름 적층체(L1, L2)의 반송에 영향을 주거나 하는 것이 아닌 한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패널 부재 반송부(14)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에 부착하거나, 패널 부재 반송부(14)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지지 부재에 부착하거나, 하우징(7)의 천장으로부터 매어 달거나 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기류 생성부(6)는 하우징(7)의 천장으로부터 하방을 향하는 하강기류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며, 접합 장치(1)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를 청정 공기로 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흡기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는 HEPA 필터가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PA 필터를 구비한 흡기수단으로서, 당업자에게 주지인 시판의 HEPA 필터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기류 생성부(6)는 접합 장치 내의 공기를 흡인해서 하방으로 송출하게 되어 있는 송풍수단이라도 된다.
기류 생성부(6)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패널 부재 반송부(14)의 폭방향 양단부의 상방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류 생성부(6)를 이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어 턴바(33)로부터의 유출 공기가 기류 생성부(6)로부터의 하강기류와 함께, 차폐 부재(5) 및 패널 부재 반송부(14)의 폭방향 양단부와 하우징(7) 사이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기류 생성부(6)의 패널 부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2(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에어 턴바(33)의 전단(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 최전방에 위치하는 단부)과 후단(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 최후단에 위치하는 단부) 사이의 중앙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류 생성부(6)에 의해 생성되는 기류의 유량은, 에어 턴바(33)로부터의 유출 공기가 차폐 부재(5) 및 패널 부재 반송부(14)와 하우징(7) 사이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으면,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20∼35㎥/분으로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차폐 부재(5) 및 기류 생성부(6)가 없을 경우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며, 도 3(b)는 그 측면도이다. 도 3(c)는 차폐 부재(5) 및 기류 생성부(6)가 있을 경우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며, 도 3(d)는 그 측면도이다.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공기의 흐름은, HEPA 필터 유닛(9) 또는 기류 생성부(6)의 근방에 미스트 발생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하고, 생성된 미스트를 HEPA 필터 유닛(9) 또는 기류 생성부(6)를 통과해서 하우징(7)의 내부에 도입시켜, 하우징(7)의 내부에 있어서의 미스트의 흐름을 육안으로 확인한 것이다. 미스트 발생 장치는 당업자에게 주지인 시판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접합 장치에 있어서는 HEPA 필터 유닛(9)이 하우징(7)의 천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에어 턴바(33)와 패널 부재 반송부(14) 사이에는 아무것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폐 부재(5) 및 기류 생성부(6)가 없을 경우에는, 에어 턴바(33)로부터의 유출 공기는 일부가 에어 턴바(33)의 하방으로 흘러, 패널 부재 반송부(14) 상에 도달할 경우가 있다. 패널 부재 반송부(14)에 도달한 공기에 이물이 포함되어 있으면, 그 이물이 반송중의 패널 부재(W)에 직접 부착되거나, 패널 부재 반송부(14)의 컨베이어 등의 구성부품을 통해서 패널 부재(W)에 부착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HEPA 필터 유닛(9)으로부터의 공기나 에어 턴바(33)로부터의 유출 공기의 일부는, 직접적으로 패널 부재 반송부(14) 상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접합 장치(1) 내의 기류를 어지럽히고, 이물의 감아 올림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3(c) 및 도 3(d)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폐 부재(5) 및 기류 생성부(6)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에어 턴바(33)로부터의 유출 공기는 차폐 부재(5)의 상면에 닿아 차폐 부재(5)의 바깥쪽을 향해서 흐른다. 한편, 패널 부재 반송부(14)의 폭방향 양단부의 상방에 부착된 기류 생성부(6)로부터 하우징(7) 내에 흡인된 공기는, 에어 턴바(33), 차폐 부재(5) 및 패널 부재 반송부(14)의 각각의 폭방향 단부와 하우징(7) 사이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흐르고, 예를 들면 하우징(7)의 하방 또는 바닥에 형성된 배기부로부터 배기된다. 이 과정에서, 기류 생성부(6)로부터의 하강기류가 차폐 부재(5)의 상면에 닿아서 바깥쪽으로 흐른 유출 공기, 및 에어 턴바(33)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흐른 유출 공기를 말려들게 하면서 하방을 향해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에어 턴바(33)로부터의 유출 공기는 접합 장치(1) 내의 기류를 어지럽혀서 이물의 감아 올림을 일으키는 일도, 패널 부재 반송부(14) 상에 도달할 일도 없다. 또한, 차폐 부재(5)는 에어 턴바(33)로부터의 이물이 패널 부재 반송부(14) 상에 낙하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4는 차폐 부재(8)와 그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4(a)는 차폐 부재(8)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부분을 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 4(c)는 도 4(a)의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어지는 차폐 부재(8)는, 에어 턴바(23)의 외주면과 광학 필름 적층체(L1) 사이로부터 유출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 도 4(a)에 있어서는, 하우징(7)의 상면(천장)은 나타내고 있지 않다. 또한, 도 4(b) 및 도 4(c)에 있어서는, 도면이 번잡하게 되지 않도록, 패널 부재 반송부(16)의 상방에 위치하는 구성요소는 나타내고 있지 않다.
차폐 부재(8)는 에어 턴바(23)와 에어 턴바(23)의 상방에 위치하는 패널 부재 반송부(16) 사이에 배치되어, 에어 턴바(23)로부터의 유출 공기가 상방으로 흐르지 않도록 차폐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부재이다. 또, 도 4(a)에 있어서는, 본래는 차폐 부재(8) 상에도 패널 부재(W)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164)가 존재하지만, 여기에서는 도면이 번잡하게 되지 않도록 차폐 부재(8) 상의 반송 롤러(164)는 그리고 있지 않다. 차폐 부재(8)는 사각형의 판상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폐 부재(8)의 폭(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길이)은, 적어도 패널 부재 반송부(16)의 패널 부재 반송 부분(즉, 양단부의 프레임(162)의 사이에 있어서 패널 부재(W)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164)가 배치된 부분)의 폭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갖고, 패널 부재 반송부(16)의 폭보다 넓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폐 부재(8)의 길이(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의 길이)는 적어도 에어 턴바(23)의 전단(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 최전방에 위치하는 단부)과 후단(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 최후단에 위치하는 단부)의 거리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 부재(8)가 배치되는 높이 방향의 위치는, 예를 들면 메인터넌스 작업시 등에 에어 턴바(23)에 액세스 가능하게 되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면, 가능한 한 에어 턴바(23)에 가까운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차폐 부재(8)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폐 부재(8)의 재질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경량인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폐 부재(8)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는 방법은, 패널 부재(W) 및 광학 필름 적층체(L1, L2)의 반송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한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패널 부재 반송부(16)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에 부착하거나, 패널 부재 반송부(16)로부터 매달린 복수의 지지 부재에 부착하거나, 바닥으로부터 기립된 복수의 지지 부재에 부착하거나 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구성의 접합 장치가 사용될 경우에 있어서는, 에어 턴바(23)의 상방에, 예를 들면 광학 필름 적층체(L2)에 절개선을 형성하기 위한 절개선 형성 장치(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가 배치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들 기기의 메인터넌스를 위해서 에어 턴바(23)의 상방에 스테이지가 배치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이 스테이지를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폐 부재(8)로서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4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에어 턴바(23)로부터의 유출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a)는 에어 턴바(23)로부터의 유출 공기의 흐름을 패널 부재(W)의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며, 도 5(b)는 그 측면도이다. 도 5에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공기의 흐름은,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HEPA 필터 유닛(9)의 근방에 미스트 발생 장치를 배치하고, 생성된 미스트를 HEPA 필터 유닛(9)으로부터 하우징(7)의 내부에 도입시켜, 하우징(7)의 내부에 있어서의 미스트의 흐름을 육안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에어 턴바(23) 위에 차폐 부재(8)가 배치되었을 경우에는, 에어 턴바(23)로부터의 유출 공기는 차폐 부재(8)의 하면에 닿아서 하방으로 흐른다. 따라서, 에어 턴바(23)로부터의 유출 공기는 접합 장치(1) 내의 기류를 어지럽혀서 이물의 감아 올림을 야기할 일이 없기 때문에, 이물의 패널 부재(W)나 광학 필름으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패널 부재 반송부가 에어 턴바와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에어 턴바의 측방에 배치된 구성의 접합 장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 도 2에 있어서의 구성요소 중 패널 부재 반송부(14)가 같은 높이인 채로 에어 턴바(33)의 측방에 배치된 구성의 접합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접합 장치의 경우에는, 도 2와 같은 차폐 부재(5)가 에어 턴바(33)의 하방에 있어서 패널 부재 반송부(14)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이 접합 장치에는 에어 턴바(33)의 폭방향 양단부의 상방에 기류 생성부(6)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실시형태)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 도 4에 있어서의 구성요소 중 패널 부재 반송부(16)가 같은 높이인 채로 에어 턴바(23)의 측방에 배치된 구성의 접합 장치가 사용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접합 장치의 경우에는, 도 4와 같은 차폐 부재(8)가, 에어 턴바(23)의 상방에 있어서 패널 부재 반송부(16)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 구성의 접합 장치에 있어서도, 에어 턴바(23)로부터의 유출 공기는 차폐 부재(8)의 하방으로 흐르기 때문에 접합 장치(1) 내의 기류를 어지럽힐 일이 없다.
W : 패널 부재
W1 : 한쪽 면
W2 : 다른쪽 면
L1, L2 : 광학 필름 적층체
R1, R1 : 광학 필름 적층체의 롤
1 : 접합 장치
5, 8 : 차폐 부재
6 : 기류 생성부
7 : 하우징
9 : HEPA 필터 유닛(종래기술)
10 : 패널 부재 반송라인
11 : 입구부
12 : 출구부
14, 16, 17 : 패널 부재 반송부
142, 162 : 패널 부재 반송부의 프레임부
144, 164 : 패널 부재 반송부의 반송 롤러
15 : 선회부
20, 30 : 광학 필름 반송라인
21, 31 : 필름 공급부
22, 24, 32, 34 : 필름 반송부
23, 33 : 방향 전환부
25, 35 : 절개선 형성부
40, 50 : 접합부

Claims (10)

  1. 패널 부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광학 필름의 시트를 접합하기 위한 접합 장치로서,
    광학 필름을 반송하는 광학 필름 반송라인과,
    패널 부재를 반송하는 패널 부재 반송라인과,
    상기 광학 필름 반송라인의 도중에 배치되고, 반송면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광학 필름을 상기 반송면으로부터 뛰우면서 광학 필름의 반송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에어 턴바와,
    상기 에어 턴바와 상기 에어 턴바에 의해 반송 방향이 전환되어 있는 광학 필름 사이로부터 유출한 유출 공기가 상기 접합 장치 내의 기류를 어지럽히지 않도록 유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턴바가 상기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 부재가 상기 에어 턴바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에어 턴바가 상기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 부재가 상기 에어 턴바의 상방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접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턴바가 상기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접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턴바가 상기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접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턴바가 상기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접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턴바가 상기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접합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적어도 상기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패널 부재 반송 부분의 폭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갖는 판상체인 접합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턴바의 폭방향 바깥쪽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는 하강기류를 생성하고, 상기 하강기류와 함께 유출 공기가 상기 에어 턴바의 폭방향 바깥쪽을 하방으로 향해서 흐르도록 하기 위한 기류 생성부를 더 갖는 접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생성부는 상기 패널 부재 반송라인의 폭방향 양단부의 상방에 배치된 접합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생성부는 상기 에어 턴바의 폭방향 양단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접합 장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를 청정 공기로 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흡기수단인 접합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생성부는 상기 에어 턴바의 폭방향 양단부의 상방에 배치된 송풍수단인 접합 장치.
KR1020207010019A 2018-06-11 2019-05-22 차폐 부재를 구비한 접합 장치 KR102196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0867 2018-06-11
JP2018110867A JP6626158B2 (ja) 2018-06-11 2018-06-11 遮へい部材を備えた貼合装置
PCT/JP2019/020222 WO2019239828A1 (ja) 2018-06-11 2019-05-22 遮へい部材を備えた貼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008A KR20200042008A (ko) 2020-04-22
KR102196650B1 true KR102196650B1 (ko) 2020-12-30

Family

ID=6884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019A KR102196650B1 (ko) 2018-06-11 2019-05-22 차폐 부재를 구비한 접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26158B2 (ko)
KR (1) KR102196650B1 (ko)
CN (1) CN111405973B (ko)
TW (1) TWI714106B (ko)
WO (1) WO201923982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0966B1 (ja) * 2016-10-04 2018-02-14 日東電工株式会社 省スペース型の光学機能フィルム貼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0354U (ja) * 1983-12-14 1985-07-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帯状紙用タ−ンバ−
JP3905616B2 (ja) * 1997-11-07 2007-04-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張付装置
US5849088A (en) * 1998-01-16 1998-12-15 Watkins-Johnson Company Free floating shield
JP2000247515A (ja) * 1999-02-25 2000-09-12 Kawasaki Steel Corp 帯状材の進行方向変更装置
JP2003063711A (ja) * 2001-08-23 2003-03-05 Fuji Photo Film Co Ltd ウェブ走行方向変換装置
TWI295658B (en) * 2003-08-21 2008-04-11 Daifuku Kk Transporting apparatus
JP2008081230A (ja) * 2006-09-26 2008-04-10 Fujifilm Corp ウエブ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JP5079115B2 (ja) * 2010-03-30 2012-11-21 住友化学株式会社 基板搬送機構および偏光フィルムの貼合装置における搬送手段を備えた基板支持装置
JP6538586B2 (ja) * 2016-02-19 2019-07-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流延装置及び溶液製膜方法
WO2018051805A1 (ja) * 2016-09-13 2018-03-2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フィルム搬送装置及びフィルム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0966B1 (ja) * 2016-10-04 2018-02-14 日東電工株式会社 省スペース型の光学機能フィルム貼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05973A (zh) 2020-07-10
KR20200042008A (ko) 2020-04-22
TWI714106B (zh) 2020-12-21
TW202000563A (zh) 2020-01-01
JP2019214131A (ja) 2019-12-19
CN111405973B (zh) 2021-10-08
JP6626158B2 (ja) 2019-12-25
WO2019239828A1 (ja)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354B1 (ko) 기판처리방법 및 기판처리장치
JP5349881B2 (ja) スクライブ装置および基板分断システム
KR20070092648A (ko) 워크 반송 장치 및 워크 반송 방법
TWI629745B (zh) 吸附構件、液晶單元吸附移動裝置、及光學膜貼合生產線
KR10181936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커버 장치
TWI577254B (zh) Chip separation method for circuit board and chip separation device for circuit board
KR20150015479A (ko) 도공 장치
KR20150115723A (ko) 시트재 취급 방법, 및 시트재 취급 장치
KR102196650B1 (ko) 차폐 부재를 구비한 접합 장치
JP2007076794A (ja) ゲート切り換え装置
JP2008205160A (ja) 基板搬送機
TWI620962B (zh) 光學膜貼合裝置及方法
TWI670220B (zh) 省空間型的光學機能薄膜貼合裝置
KR101702313B1 (ko) 하측 uv조사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용 라미네이팅 장치
JP2008041989A (ja) 薄板状材料搬送用エアテーブル及び薄板状材料搬送装置
JP2012096920A (ja) ガラス基板欠陥検査装置及びガラス基板欠陥検査方法並びにガラス基板欠陥検査システム
TW201620846A (zh) 用於玻璃網狀物的流體操控之方法及操控設備
JP5821944B2 (ja) 搬送装置、製造システム
JP5308647B2 (ja) 浮上搬送塗布装置
KR20170086545A (ko) 광학적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9296960A (ja) 海苔の連接方法及びその装置
US8317962B2 (en) Base material processing device and base material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4338952A (ja) 空気吹付け式押さえつけ装置及びこの押さえつけ装置が設けられたシート整列装置
KR20170138834A (ko) 라미네이팅 장치
JP2012035940A (ja) 板状体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