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479A - 도공 장치 - Google Patents

도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479A
KR20150015479A KR1020147033039A KR20147033039A KR20150015479A KR 20150015479 A KR20150015479 A KR 20150015479A KR 1020147033039 A KR1020147033039 A KR 1020147033039A KR 20147033039 A KR20147033039 A KR 20147033039A KR 20150015479 A KR20150015479 A KR 20150015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web
region
ro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기타무라
히로시 마츠오
아키라 사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5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4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mov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e.g. to a moving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2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after th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7Dry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10Modular constructions, e.g. using preformed elements or profile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Advancing Web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제품 원료나, 도포 횟수, 웨브의 도포면 등의 변경에 대응하여, 도공 장치의 일부 혹은 전체에 있어서의 패스 라인의 플렉시블한 변경이 가능한 도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공 장치 (1) 는, 웨브 (T) 를 송출하는 공급 롤 (11) 을 갖는 공급 영역 (3) 과, 도포액을 도포하는 코터 수단 (12) 을 갖는 도포 영역 (5) 과, 도포액을 건조시키는 건조 영역 (7) 과, 웨브 (T) 를 권취하는 권취 롤 (17) 을 갖는 권취 영역 (9) 을 구비하고, 도포 영역 (5) 은, 1 개 이상의 피드 롤 (18) 과, 코터 수단 (12) 을 직방체상의 구획 스페이스 (21) 내에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단일의 도포 유닛 (6) 을 구성하고, 그 도포 유닛 (6) 은, 상기 피드 롤 (18) 의 둘레면을 둘러싸고 위치하는 4 개의 가상면 (21a ∼ 21d) 중 어느 면으로부터도 웨브 (T) 가 출입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공 장치{COATING DEVICE}
본 발명은, 종이, 플라스틱 필름, 금속박 등을 기재로 하는 장척 띠상의 웨브에 연속적으로 도포막을 형성하는 도포 영역을 구비하는 도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공 장치 내에서 웨브가 통과하는 경로인, 이른바 패스 라인의 플렉시블한 변경에 대응 가능하게 구성한 도포 영역을 구비하는 도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척 띠상의 웨브에 연속적으로 도포막을 형성하는 도공 장치 (101) 는, 통상적으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브 (T) 를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공급 롤 (111) 을 갖는 공급 영역 (103), 웨브 (T) 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코터 수단 (112) 을 갖는 도포 영역 (105), 웨브 (T) 상에 도포된 도포액을 건조시켜 도포막으로 하는 건조 장치 (115) 를 갖는 건조 영역 (107) 및 그 도포막을 갖는 웨브 (T') 를 권취하는 권취 롤 (117) 을 갖는 권취 영역 (109) 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공 장치는, 제품에 대한 고객으로부터의 요구 등으로부터, 예를 들어 도포액 혹은 웨브의 종류 등의 제품 원료의 변경이나, 도포 횟수나 웨브의 도포면 등의 변경을 해야 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 때, 제품 원료를 변경하려면, 그에 수반하여, 상이한 코터 수단을 갖는 도포 영역에 대한 설비 변경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 도포 횟수, 웨브의 도포면 등을 변경, 예를 들어 편면 도포에서 양면 도포로의 변경을 실시하려면, 도공 장치 전체에 걸쳐서 패스 라인의 변경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들의 경우, 종래의 도공 장치 (101) 에서는, 공급 영역 (103), 도포 영역 (105), 건조 영역 (107) 및 권취 영역 (109) 이 장치 전체적으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고객으로부터의 새로운 요구에 따라, 제품 원료, 도포 횟수 등을 변경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 그 변경에 수반한 도공 장치의 일부 혹은 전체를 새로 제조하거나 개량하거나 해야 하며, 이것은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결과, 고객으로부터의 신규 제품 요구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공 장치의 일부, 예를 들어 도포 영역을 구성하는 코터 수단을 개량 (또는 교환) 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복수의 도공구를 모듈화하여 간편한 교환을 가능하게 한 도공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도공 장치는, 도공구 자체를 모듈화하고, 상이한 복수의 코터 수단을 교환 가능하게 구성하기만 한 것에 불과하며, 예를 들어, 웨브에 대하여, 편면 도포에서 양면 도포로 변경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 편면 도포에서 사용한 도공 장치의 일부, 예를 들어 도포 영역을, 양면 도포에서 사용하는 도공 장치의 일부, 예를 들어 도포 영역으로서 그대로 유효 이용하여, 도공 장치 전체의 패스 라인을 변경하는 것에 대해서는 조금도 고려되어 있지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8119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코터 수단을 갖는 도포 영역을 전체적으로 단일의 도포 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제품 원료나, 도포 횟수, 웨브의 도포면 등의 변경에 대응하여, 도공 장치의 일부 혹은 전체에 있어서의 패스 라인의 플렉시블한 변경이 가능해지고, 특히 패스 라인 변경 전의 도공 장치를 구성하는 도포 영역을, 패스 라인 변경 후의 도공 장치의 도포 영역으로서 그대로 유효 이용할 수 있는 도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이하와 같다.
(1) 장척 띠상의 웨브를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공급 롤을 갖는 공급 영역과, 그 공급 롤로부터 송출되어 반송되는 상기 웨브의 적어도 편면 상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코터 수단을 갖는 도포 영역과, 상기 웨브 상에 도포된 도포액막을 건조시켜 도포막으로 하기 위한 건조 영역과, 그 도포막을 갖는 상기 웨브를 권취하는 권취 롤을 갖는 권취 영역을 구비하는 도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포 영역은, 1 개 이상의 피드 롤과, 도포액을 도포하는 코터 수단을 직방체상의 구획 스페이스 내에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단일의 도포 유닛을 구성하고, 그 도포 유닛은, 상기 피드 롤의 둘레면을 둘러싸고 위치하는 직방체상의 구획 스페이스의 4 개의 가상면 중 어느 면으로부터도 웨브를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2) 상기 구획 스페이스가, 프레임체로 구획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도공 장치.
(3) 상기 도포 유닛이, 상기 1 개 이상의 피드 롤을 포함하는 2 개 이상의 배치 형성 롤을 갖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도공 장치.
(4) 상기 도포 유닛은, 웨브가 상기 1 개 이상의 피드 롤 중, 적어도 1 개의 피드 롤과 접촉하고, 또한 웨브의 도포액 막 형성측의 표면이 도포 유닛 내의 어느 배치 형성 롤과도 접촉하지 않고 웨브가 도포 유닛을 통과하도록 상기 배치 형성 롤을 배치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3) 에 기재된 도공 장치.
(5) 상기 적어도 1 개의 피드 롤은, 웨브와의 측면각이 5 도 이상이 되도록 배치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4) 에 기재된 도공 장치.
(6) 상기 배치 형성 롤이, 그 배치 형성 롤의 축선과 직교하는 횡단면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봤을 때, 종횡 격자상으로 그은 가상 라인의 어느 교점 위치 또는 그 교점 위치의 근방에 배치 형성되는 상기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공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코터 수단을 갖는 도포 영역을 전체적으로 단일의 도포 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제품 원료나, 도포 횟수, 웨브의 도포면 등의 변경에 대응하여, 도공 장치의 일부 혹은 전체에 있어서의 패스 라인의 플렉시블한 변경이 가능해지고, 특히 패스 라인 변경 전의 도공 장치를 구성하는 도포 영역을, 패스 라인 변경 후의 도공 장치의 도포 영역으로서 그대로 유효 이용할 수 있는 도공 장치의 제공이 가능해졌다.
도 1 은 종래의 도공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레이아웃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공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레이아웃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도공 장치의 도포 영역 (도포 유닛) 만을 발출한 확대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도공 장치를 구성하는 도포 영역 (도포 유닛) 의 주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도공 장치를 구성하는 도포 영역 (도포 유닛) 에 있어서, 배치 형성 롤을 교점 위치 (X) 로부터 가상 라인 (m) 상에서 이동 가능함을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도 5(A) 가 이동 전, 도 5(B) 가 이동 후의 상태이다.
도 6 의 No.1 ∼ No.16 은 본 발명의 도공 장치를 구성하는 도포 영역 (도포 유닛) 내에 2 개의 배치 형성 롤을 배치 형성한 경우, 도포 영역 내를 웨브 (T) 가 통과 가능한 패스 라인의 다양한 양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 의 No.1 ∼ No.67 은 본 발명의 도공 장치를 구성하는 도포 유닛 내에, 종횡 격자상으로 그은 가상 라인의 어느 교점 위치에 배치 형성된 2 ∼ 9 개의 배치 형성 롤에 대하여, 웨브 (T) 가 통과 가능한 패스 라인의 다양한 양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도공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레이아웃도로서, 웨브의 편면 도포용 도공 장치의 일례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도공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레이아웃도로서, 웨브의 양면 도포용 도공 장치의 일례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도공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레이아웃도로서, 도포 유닛을 도포 영역 및 가이드 영역에 있어서 사용하였을 때의 웨브의 편면 도포용 도공 장치의 일례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도공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레이아웃도로서, 도포 유닛을 도포 영역, 가이드 영역 및 라미네이트 영역에 있어서 사용하였을 때의 웨브의 양면 도포용 도공 장치의 일례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도공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레이아웃도로서, 도포 유닛을 도포 영역, 가이드 영역 및 라미네이트 영역에 있어서 사용하였을 때의 웨브의 양면 도포용 도공 장치의 일례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도공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레이아웃도로서, 도포 유닛을 도포 영역 및 라미네이트 영역에 있어서 사용하였을 때의 웨브의 양면 도포용 도공 장치의 일례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도공 장치의 주요부의 개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도공 장치 (1) 는, 공급 영역 (3) 과 도포 영역 (5) 과 건조 영역 (7) 과 권취 영역 (9) 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공급 영역 (3) 은, 장척 띠상의 웨브 (T) 를 연속적으로 송출하기 위한 공급 롤 (11) 을 갖고 있다. 웨브 (T) 로는, 공급 롤 (11) 에 코일상으로 권취할 수 있고, 또한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는 표면을 갖는 장척 띠상의 시트 재료 또는 필름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면 되며,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종이, 플라스틱 필름, 금속박 등을 들 수 있다.
도포 영역 (5) 은, 공급 롤 (11) 로부터 송출되어 반송되는 웨브 (T) 의 적어도 편면 상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도포액막을 형성하기 위한 코터 수단 (12) 을 갖고 있다.
코터 수단 (12) 을 구성하는 도포 장치 (코터) (12a) 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다이 코터, 그라비아 코터, 키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롤 나이프 코터, 로드 코터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코터 (12a) 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또, 코터 수단 (12) 은, 도 2 에서는, 코터 (12a) 와, 웨브 (T) 를 사이에 두고 상기 코터 (12a) 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웨브 (T) 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2 개의 텐션 롤 (12b, 12b) 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어, 도 7a 의 No.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터 (12a) 와, 웨브 (T) 를 사이에 두고 상기 코터 (12a) 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1 개의 백업 롤 (12c) 로 구성해도 되고, 본 발명에서는, 코터 수단 (12) 의 구성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건조 영역 (7) 은, 도 2 에서는, 웨브 (T) 상에 도포된 도포액막을 건조시켜 도포막으로 하는 건조 장치 (15) 를 갖고 있다. 건조 장치 (15) 로는, 예를 들어, 열풍 건조기, 적외선 건조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연속 라인에 있어서, 대기 중에서의 자연 건조로 하기만 하는 건조 영역 (7) 의 치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건조 장치 (15) 를 작동시킬 필요는 없으며, 나아가서는, 건조 장치 (15) 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당업자라면 분명한 것이다.
권취 영역 (9) 은, 도포막을 갖는 웨브 (T') 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 롤 (17) 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 상의 주된 특징은, 코터 수단 (12) 을 갖는 도포 영역 (5) 을 전체적으로 모듈화된 단일의 도포 유닛 (6) 으로 구성하는 것에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포 영역 (5) 이, 1 개 이상의 피드 롤, 도 2 에서는 1 개의 피드 롤 (18) (도 2 에서는 피드 롤을 흑색 동그라미로 나타낸다) 및 5 개의 가이드 롤 (19) (도 2 에서는 가이드 롤을 백색 동그라미로 나타낸다) 로 이루어지는 배치 형성 롤 (20) 과, 도포액을 도포하는 코터 수단 (12) 을 직방체상의 구획 스페이스 (21) 내에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단일의 도포 유닛 (6) 을 구성하고, 이 도포 유닛 (6) 이, 피드 롤 (18) 의 둘레면을 둘러싸고 위치하는 4 개의 가상면 (21a ∼ 21d) 중 어느 면으로부터도 웨브 (T) 를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있으며,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제품 원료나, 도포 횟수, 웨브 (T) 의 도포면 등의 변경에 대응하여, 도공 장치 (1) 의 일부 혹은 전체에 있어서의 패스 라인의 플렉시블한 변경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발명의 도공 장치 (1) 는, 패스 라인 변경 전의 도공 장치를 구성하는 도포 영역 (도 8 참조) 을, 패스 라인 변경 후의 도공 장치의 도포 영역 (도 9 참조) 으로서 그대로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도 3 은 도 2 의 도공 장치의 도포 영역 (도포 유닛) 만을 발출하여 확대시켜 나타낸 것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도포 영역 (5) 을 구성하는 도포 유닛 (6) 을 비스듬히 바라봤을 때의 것이다.
도포 유닛 (6) 은, 직방체상의 구획 스페이스 (21) 에 코터 수단 (12) 과 배치 형성 롤 (20) 을 갖는다. 직방체상의 구획 스페이스 (21) 란, 6 개의 가상 상의 면인 가상면 (21a ∼ 21f) (가상면 (21e 및 21f) 은 도시 생략) 에 둘러싸여, 직방체상으로 구획된 공간이다. 도포 유닛 (6) 은, 직방체상으로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추가로 프레임체에 6 장의 판 커버를 장착하여, 직방체상으로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이어도 된다. 또, 프레임체는 직방체 형상이어도 되지만,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터 수단 (12) 과 배치 형성 롤 (20) 을 지지하고, 직방체상으로 구획된 공간에 코터 수단 (12) 과 배치 형성 롤 (20) 을 갖고 있으면,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또, 구획 스페이스 (21) 는, 엄밀하게 직방체상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지만, 도포 유닛 (6) 이, 피드 롤 (18) 의 둘레면을 둘러싸고 위치하는 직방체상의 구획 스페이스 (21) 의 4 개의 가상면 (21a ∼ 21d) 중 어느 면으로부터도 웨브 (T) 를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점에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 형성 롤의 축선과 직교하는 횡단면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봤을 때, 구획 스페이스 (21) 의 4 개의 가상면 (21a ∼ 21d) 을, 상하 대칭, 좌우 대칭 또는 상하 좌우 대칭이 되는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포 유닛 (6) 이 직방체 형상의 구획 스페이스 (21) 를 갖는 프레임체로 구성되고, 또한 배치 형성 롤 (20) 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횡 격자상으로 그은 가상 라인 (m, n) 의 어느 교점 위치 (X) 또는 그 교점 위치 (X) 의 근방에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도포 유닛 (6) 의 교점 위치 (X) 에 배치된 배치 형성 롤 (20, 20) 끼리의 위치 관계가 상하 및 좌우 중 적어도 일방에서 대칭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포 유닛 (6) 을 전후 방향으로 180 °회전시켜 사용하는 것이나, 상하 좌우 방향으로 90 °, 180 °또는 270 °만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고, 혹은 도포 유닛 (6) 을 다단으로 쌓아올려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결과, 도포 영역 (5), 나아가서는 도공 장치 (1) 의 전체에 있어서의 패스 라인의 플렉시블한 변경을 가능하게 하여, 도포 유닛 (6) 의 유효 이용과 도공 장치 (1) 의 설치 장소의 공간 절약화를 달성할 수 있다.
교점 위치 (X) 의 근방이란, 구체적으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상 라인 (m, n) 의 어느 라인 상에 있고, 또한 배치 형성 롤 간 거리의 20 % 이내의 거리만큼 교점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까지를 의미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도공 장치를 구성하는 도포 영역 (도포 유닛) 에 있어서, 배치 형성 롤을 교점 위치 (X) 로부터 가상 라인 (m) 상에 이동 가능함을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도 5A 가 이동 전, 도 5B 가 이동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 에 나타내는 도포 유닛 (6) 은, 배치 형성 롤 (20) 을 6 개 배치하고 있으며, 가상 라인 (m) 상에 배치된 배치 형성 롤 (20, 20) 간의 거리는, 예를 들어, 400 ㎜ 이다.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유닛 (6) 중의 배치 형성 롤 (20) 은, 도 5A 의 배치 형성 롤 (20) 중 하나를 가상 라인 (m) 상이고 가상 라인 (n) 의 상방, 예를 들어, 80 ㎜ 상방의 위치, 즉, 배치 형성 롤 (20, 20) 간의 거리의 20 % 이내의 거리의 위치로 이동시켜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 형성 롤 (20) 의 위치를 교점 위치 (X) 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웨브 (T) 의 배치 형성 롤에 대한 측면각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배치 형성 롤을 교점 위치 (X) 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웨브 (T) 의 배치 형성 롤에 대한 측면각이 작아짐으로써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배치 형성 롤을 교점 위치 (X) 로부터 이동시킬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7c 의 No.42, 44, 45, 47 등에 도시되는 도포 유닛 (6) 내의 웨브 (T) 의 패스 라인에 있어서, 피드 롤 (18) 의 위치를 교점 (X) 으로부터, 가상 라인 (m) 상이고 또한 가상 라인 (n) 의 상방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웨브 (T) 의 백업 롤 (12c) 에 대한 측면각이 작아져, 웨브 (T) 에 도포액을 안정적으로 도포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예상된다.
또, 도포 유닛 (6) 내의 모든 배치 형성 롤 (20) 이 이와 같은 교점 위치 (X) 또는 교점 위치 (X) 의 근방 중 어느 쪽에 배치 형성됨으로써, 배치 형성 롤 (20, 20)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도포 유닛 (6) 내의 웨브 (T) 의 패스 라인이 기본적으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조합이 되는 결과, 웨브 (T) 가 적절한 텐션 (장력) 을 유지하면서, 웨브 (T) 가 배치 형성 롤 (20) 의 둘레면을 둘러싸는 도포 유닛 (6) 의 4 개의 면 (21a ∼ 21d) 의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원활하게 출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도포 유닛 (6) 내에서 웨브 (T) 가 다양한 패스 라인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복수의 도공 장치의 어느 도포 유닛으로 하더라도 동일한 도포 유닛 (6) 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도공 장치 전체적으로 플렉시블하게 패스 라인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배치 형성 롤 (20) 이란, 모터에 의한 구동으로 회전 속도가 제어된 구동 롤인 피드 롤 (18) 이나, 반송의 방향을 변경하는 롤러나, 장거리 반송시에 텐션 (장력) 을 유지하기 위한 롤러 등과 같은 모든 가이드 롤러가 포함된다.
피드 롤 (18) 은, 예를 들어, 웨브 (T) 를 흡인에 의해 롤 상에 유지하는 석션 롤, 웨브 (T) 를 다른 롤과의 사이에 끼워넣음으로써 유지하는 닙 롤 등을 들 수 있다.
피드 롤 (18) 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전원 등의 구동 수단에 대해서는, 특별히 도시되지 않지만, 이 구동 수단을 도포 유닛 (6) 내에 장착해도 되고, 혹은 도포 유닛 (6) 과는 별체로 하여 외부에 형성해도 되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도포 유닛 (6) 내에 배치된 배치 형성 롤 (20) 의 갯수를 2 개로 한 경우, 도포 유닛 (6) 내에 있어서 웨브 (T) 의 상정되는 패스 라인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 도 6 에 도시되는 도면 번호 No.1 ∼ 16 의 각각에 대해, 웨브 (T) 가 도포 유닛 (6) 을 통과할 때의 반입구 및 반출구가 되는 구획 스페이스 (21) 의 가상면 (21a ∼ 21d) 을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도 6 중의 도포 유닛 (6) 은, 흑색 동그라미로 나타내는 1 개의 피드 롤 (18) 과, 백색 동그라미로 나타내는 1 개의 가이드 롤 (19) 과, 5 각형으로 나타내는 코터 (12a) 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또, 도면 중의 화살표는 웨브 (T) 의 반송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에 기재한「좌」,「하」,「우」,「상」은 각각 가상면 (21a ∼ 21d) 의「면 (21a)」,「면 (21b)」,「면 (21c)」,「면 (21d)」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1
도 6 및 표 1 로부터, 웨브 (T) 는 피드 롤 (18) 의 둘레면을 둘러싸고 위치하는 4 개의 가상면 (21a ∼ 21d) 중 어느 면으로부터도 출입 가능하고, 배치 형성 롤 (20) 이 2 개인 경우, 합계 16 가지의 패스 라인을 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웨브 (T) 가 도포 유닛 (6) 의 4 개의 가상면 (21a ∼ 21d) 중 어느 면으로부터도 출입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도공 장치를 구성하는 도포 유닛 (6) 을 사용하면, 예를 들어 3 개의 면, 2 개의 면 또는 1 개의 면만으로부터 웨브 (T) 를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도공 장치를 구성하는 도포 유닛 (6) 내에 있어서, 웨브 (T) 의 다양한 패스 라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 중의 도포 유닛 (6) 은, 흑색 동그라미로 나타내는 1 개의 피드 롤 (18) 과, 백색 동그라미로 나타내는 각종 가이드 롤 (19) 과, 5 각형으로 나타내는 코터 (12a) 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또, 도면 중의 화살표는 웨브 (T) 의 반송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표 2 중에 기재한「좌」,「하」,「우」,「상」은 각각 가상면 (21a ∼ 21d) 의「면 (21a)」,「면 (21b)」,「면 (21c)」,「면 (21d)」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2
도 7 및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공 장치를 구성하는 도포 유닛 (6) 을 사용하면, 피드 롤 (18) 의 둘레면을 둘러싸고 위치하는 구획 스페이스 (21) 의 4 개의 가상면 (21a ∼ 21d) 중 어느 면으로부터도 웨브 (T) 가 출입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포 유닛 (6) 은, 도포 형식이나 패스 라인 등의 변경에 따라 피드 롤 (18) 을 포함하는 배치 형성 롤 (20) 의 갯수나 위치를 적절히 보충 및 교환 등 할 수 있다. 또, 배치 형성 롤 (20) 을 교환하는 등의 수고를 덜기 위해, 도포 유닛 (6) 자체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90 °, 180 °또는 270 °만큼 회전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어, 도 7 의 No.2 와 No.29 를 대비해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포 유닛 (6) 의 전후 방향으로 180 °반전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코터 수단 (12) 은, 도포액의 웨브 (T) 로의 도포면에 대응하며, 임의의 위치에 배치 형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a ∼ 도 7d 의 No.1, 26, 39, 51 에 나타내는 도포 유닛과 같이, 코터 수단 (12) 을 배치 형성 롤 (20) 의 좌측, 우측, 상측, 하측과 각각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백업 롤 (12c) 인 배치 형성 롤 (20) 에 웨브 (T) 를 압착시키면서 도포액을 도포하는 경우나, 도 7 의 No.17 에 나타내는 도포 유닛과 같이, 2 개의 텐션 롤 (12b, 12b) 로 텐션을 부여한 웨브 (T) 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웨브 (T) 는, 웨브 (T) 의 반송을 원활하게 또한 확실하게 실시하기 위해, 도포 유닛 (6) 이, 1 개 이상의 피드 롤 (18) 을 포함하는 2 개 이상의 배치 형성 롤 (20) 을 갖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도포 유닛 (6) 은, 웨브 (T) 가 상기 1 개 이상의 피드 롤 (18) 중, 적어도 1 개의 피드 롤 (18) 과 접촉하고, 또한 웨브 (T) 의 도포액 막 형성측의 표면이 도포 유닛 (6) 내의 어느 배치 형성 롤 (20) 과도 접촉하지 않고 웨브 (T) 가 도포 유닛 (6) 을 통과하도록 상기 배치 형성 롤 (20) 을 배치 형성하는 것이, 배치 형성 롤 (20) 의 둘레면에 부착된 도포액의 일부에 의해 웨브 (T) 의 표면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 적어도 1 개의 피드 롤 (18) 은, 웨브 (T) 와의 측면각이 5 도 이상, 특히 15 도 이상인 것이 웨브 (T) 를 안정 반송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8 은 도포액을 웨브 (T) 에 편면 도포할 때의 본 발명의 도공 장치의 개략 레이아웃도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도공 장치 (1A) 는, 공급 영역 (3), 도포 영역 (5), 건조 영역 (7), 권취 영역 (9) 을 갖고, 도포 영역 (5) 이 모듈화된 도포 유닛 (6) 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공 장치 (1A) 는, 공급 영역 (3), 도포 영역 (5) (도포 유닛 (6)), 건조 영역 (7), 권취 영역 (9) 의 순서로 횡일렬로 배치된 레이아웃으로 함으로써, 웨브 (T) 가 공급 영역 (3), 도포 영역 (5) (도포 유닛 (6)), 건조 영역 (7), 권취 영역 (9) 의 순서로 도공 장치 (1A) 의 패스 라인을 통과하고, 도포액을 웨브 (T) 에 편면 도포할 수 있다.
도 9 는 도포액을 웨브 (T) 에 양면 도포할 때의 본 발명의 도공 장치의 개략 레이아웃도이다. 도 9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도공 장치 (1B) 는, 공급 영역 (3), 2 개의 도포 영역인 제 1 도포 영역 (5a) 및 제 2 도포 영역 (5b), 2 개의 건조 영역인 제 1 건조 영역 (7a) 및 제 2 건조 영역 (7b), 및 권취 영역 (9) 을 갖고, 2 개의 도포 영역인 제 1 도포 영역 (5a) 및 제 2 도포 영역 (5b) 이 각각 모듈화된 제 1 도포 유닛 (6a) 및 제 2 도포 유닛 (6b) 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공 장치 (1B) 는, 각 영역이 상하 2 단에 걸쳐서 배치되고, 하단에 위치하는 공급 영역 (3) 으로부터 송출된 웨브 (T) 가 제 1 도포 영역 (5a) (제 1 도포 유닛 (6a)), 제 1 건조 영역 (7a) 의 순서로 통과하고, 그 후, 상단에 위치하는 제 2 도포 영역 (5b) (제 2 도포 유닛 (6b)) 및 제 2 건조 영역 (7b) 의 순서로 통과하고, 권취 영역 (9) 에서 권취되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하여, 도포액을 웨브 (T) 에 양면 도포할 수 있다.
이들 도공 장치 (1A, 1B) 는, 패스 라인이 상이하기는 하지만, 일방의 도공 장치 (1A 또는 1B) 의 도포 유닛을 다른 도공 장치 (1B 또는 1A) 의 도포 유닛에 적용할 수 있다. 즉, 편면 도포용 도공 장치 (1A) 를 구성하는 도포 유닛 (6) 은, 양면 도포용 도포 장치 (1B) 를 구성하는 도포 유닛 (6a 및 6b) 의 어느 쪽에라도 이용할 수 있다. 또, 반대로 양면 도포용 도포 장치 (1B) 를 구성하는 도포 유닛 (6a 및 6b) 중 어느 것을 편면 도포용 도공 장치 (1A) 를 구성하는 도포 유닛 (6) 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도공 장치 (1A) 는, 도포 영역 (5) 을 단일의 도포 유닛 (6) 으로 하여 구성하는 것을 필수의 발명 특정 사항으로 하지만, 도공 장치 (1A) 의 다른 영역, 예를 들어, 공급 영역 (3), 건조 영역 (7) 및 권취 영역 (9) 의 각각에 대해서도, 도포 영역 (5) 과 동일하게, 모듈화된 유닛으로서 구성하면, 변경 전의 도공 장치를 구성하는 각 유닛을 그대로 유효 이용하고, 다양한 도공 장치, 예를 들어, 도공 장치 (1B) 에 재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도공 장치는, 도포 유닛 (6) 을 도포 영역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도 10 ∼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유닛 (6) 을 가이드 영역 (4) 및 라미네이트 영역 (10) 에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도공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레이아웃도로서, 도포 유닛을 도포 영역 및 가이드 영역에 있어서 사용하는 웨브의 편면 도포용 도공 장치의 일례이다.
도 10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도공 장치 (1C) 는, 공급 영역 (3), 웨브 (T) 를 어느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예를 들어, 공급 영역 (3) 에서 도포 영역 (5) 으로 도포 영역 (5) 에서 건조 영역 (7) 으로 또는 건조 영역 (7) 에서 권취 영역 (9) 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롤을 갖는 가이드 영역 (4), 도포 영역 (5), 건조 영역 (7) 및 권취 영역 (9) 을 갖고, 도포 영역 (5) 및 가이드 영역 (4) 이 각각 본 발명의 모듈화된 도포 유닛 (6) 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공 장치 (1C) 는, 공급 영역 (3), 가이드 영역 (4), 도포 영역 (5), 건조 영역 (7), 권취 영역 (9) 의 순서로 횡일렬로 배치된 레이아웃으로 함으로써, 웨브 (T) 가 공급 영역 (3), 가이드 영역 (4), 도포 영역 (5), 건조 영역 (7), 권취 영역 (9) 의 순서로 도공 장치 (1C) 의 패스 라인을 통과하고, 도포액을 웨브 (T) 에 편면 도포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도공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레이아웃도로서, 도포 유닛을 도포 영역, 가이드 영역 및 라미네이트 영역에 있어서 사용하는 웨브의 양면 도포용 도공 장치의 일례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도공 장치 (1D) 는, 제 1 공급 영역 (3), 3 개의 가이드 영역인 제 1 가이드 영역 (4a), 제 2 가이드 영역 (4b) 및 제 3 가이드 영역 (4c), 2 개의 도포 영역인 제 1 도포 영역 (5a) 및 제 2 도포 영역 (5b), 2 개의 건조 영역인 제 1 건조 영역 (7a), 제 2 건조 영역 (7b), 권취 영역 (9), 박리지 등의 웨브 (U) 를 송출하는 웨브 (U) 의 공급 롤을 갖는 제 2 공급 영역 (13) 및 웨브 (T) 와 웨브 (U) 를 라미네이트하는 라미네이터를 갖는 라미네이트 영역 (10) 을 갖는다.
도공 장치 (1D) 는, 제 1 도포 영역 (5a) 및 제 2 도포 영역 (5b), 3 개의 가이드 영역인 제 1 가이드 영역 (4a), 제 2 가이드 영역 (4b) 및 제 3 가이드 영역 (4c) 그리고 라미네이트 영역 (10) 이, 각각 본 발명의 모듈화된 도포 유닛 (6) 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공 장치 (1D) 는, 각 영역이 상하 2 단에 걸쳐서 배치되고, 하단에 위치하는 제 1 공급 영역 (3) 으로부터 송출된 웨브 (T) 가, 제 1 가이드 영역 (4a), 제 1 도포 영역 (5a), 제 1 건조 영역 (7a), 제 2 도포 영역 (5b) 의 순서로 통과하고, 그 후, 상단에 위치하는 제 2 가이드 영역 (4b), 제 2 건조 영역 (7b), 제 3 가이드 영역 (4c) 의 순서로 통과하고, 그 후, 하단에 위치하는 라미네이트 영역 (10) 에 있어서, 웨브 (T) 는, 웨브 (U) 의 공급 롤을 갖는 제 2 공급 영역 (13) 으로부터 송출된 웨브 (U) 와 라미네이트되고, 권취 영역 (9) 에서 권취되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하여, 도포액을 웨브 (T) 에 양면 도포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도공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레이아웃도로서, 도포 유닛을 도포 영역, 가이드 영역 및 라미네이트 영역에 있어서 사용하는 웨브의 양면 도포용 도공 장치의 일례이다.
도 12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도공 장치 (1E) 는, 제 1 공급 영역 (3), 2 개의 도포 영역인 제 1 도포 영역 (5a) 및 제 2 도포 영역 (5b), 5 개의 가이드 영역인 제 1 가이드 영역 (4a), 제 2 가이드 영역 (4b), 제 3 가이드 영역 (4c), 제 4 가이드 영역 (4d) 및 제 5 가이드 영역 (4e), 2 개의 건조 영역인 제 1 건조 영역 (7a) 및 제 2 건조 영역 (7b), 라미네이트 영역 (10), 권취 영역 (9), 웨브 (U) 를 송출하는 웨브 (U) 의 공급 롤을 갖는 제 2 공급 영역 (13) 그리고 웨브 (U) 의 2 개의 가이드 영역인 제 6 가이드 영역 (14a) 및 제 7 가이드 영역 (14b) 을 갖는다.
도공 장치 (1E) 는, 제 1 도포 영역 (5a) 및 제 2 도포 영역 (5b), 제 1 가이드 영역 (4a), 제 2 가이드 영역 (4b), 제 3 가이드 영역 (4c), 제 4 가이드 영역 (4d) 및 제 5 가이드 영역 (4e), 제 6 가이드 영역 (14a) 및 제 7 가이드 영역 (14b), 그리고 라미네이트 영역 (10) 이, 각각 본 발명의 모듈화된 도포 유닛 (6) 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공 장치 (1E) 는, 각 영역이 상하 2 단에 걸쳐서 배치되고, 하단에 위치하는 제 1 공급 영역 (3) 으로부터 송출된 웨브 (T) 가, 가이드 영역 (4a), 제 2 가이드 영역 (4b), 제 1 도포 영역 (5a), 제 1 건조 영역 (7a), 제 3 가이드 영역 (4c) 의 순서로 통과하고, 그 후, 웨브 (T) 는, 라미네이트 영역 (10) 에 있어서, 웨브 (U) 의 공급 롤을 갖는 제 2 공급 영역 (13) 으로부터 송출되어 제 6 가이드 영역 (14a), 제 7 가이드 영역 (14b) 을 통과한 웨브 (U) 와 라미네이트되고, 다시 제 3 가이드 영역 (4c) 을 통과하고, 하단에 위치하는 제 4 가이드 영역 (4d), 제 2 도포 영역 (5b), 제 2 건조 영역 (7b), 제 5 가이드 영역 (4e) 의 순서로 통과하고, 권취 영역 (9) 에서 권취되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하여, 도포액을 웨브 (T) 에 양면 도포할 수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도공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레이아웃도로서, 도포 유닛을 도포 영역 및 라미네이트 영역으로서 사용하는 웨브의 양면 도포용 도공 장치의 일례이다.
도 13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도공 장치 (1F) 는, 웨브 (Ta 및 Tb) 를 각각 송출하는 2 개의 공급 영역인 제 1 공급 영역 (3a) 및 제 2 공급 영역 (3b), 2 개의 도포 영역인 제 1 도포 영역 (5a) 및 제 2 도포 영역 (5b), 2 개의 건조 영역인 제 1 건조 영역 (7a) 및 제 2 건조 영역 (7b), 권취 영역 (9), 2 개의 라미네이트 영역인 제 1 라미네이트 영역 (10a) 및 제 2 라미네이트 영역 (10b) 그리고 웨브 (U) 를 송출하는 웨브 (U) 의 공급 롤을 갖는 제 3 공급 영역 (13) 을 갖는다.
도공 장치 (1F) 는, 제 1 도포 영역 (5a) 및 제 2 도포 영역 (5b) 그리고 제 1 라미네이트 영역 (10a) 및 제 2 라미네이트 영역 (10b) 이, 각각 본 발명의 모듈화된 도포 유닛 (6) 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공 장치 (1F) 는, 각 영역이 상하 2 단에 걸쳐서 배치되고, 상단에 위치하는 제 1 공급 영역 (3a) 으로부터 송출된 웨브 (Ta) 가, 제 1 도포 영역 (5a), 제 1 건조 영역 (7a) 의 순서로 통과하고, 그 후, 웨브 (Ta) 는, 제 1 라미네이트 영역 (10a) 에 있어서, 웨브 (U) 의 공급 롤을 갖는 제 3 공급 영역 (13) 으로부터 송출되어 웨브 (U) 와 라미네이트된다. 한편, 하단에 위치하는 제 2 공급 영역 (3b) 으로부터 송출된 웨브 (Tb) 가, 제 2 도포 영역 (5b), 제 2 건조 영역 (7b) 의 순서로 통과하고, 그 후 웨브 (Tb) 는, 웨브 (U) 와 라미네이트된 웨브 (Ta) 와 함께 제 2 라미네이트 영역 (10b) 에 있어서 중첩된 후, 권취 영역 (9) 에서 권취되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하여, 도포액을 웨브 (T) 에 양면 도포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코터 수단을 갖는 도포 영역을 전체적으로 단일의 도포 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제품 원료나, 도포 횟수, 웨브의 도포면 등의 변경에 대응하여, 도공 장치의 일부 혹은 전체에 있어서의 패스 라인의 플렉시블한 변경이 가능해지고, 특히 패스 라인 변경 전의 도공 장치를 구성하는 도포 영역을, 패스 라인 변경 후의 도공 장치의 도포 영역으로서 그대로 유효 이용할 수 있는 도공 장치의 제공이 가능해졌다.
1 : 도공 장치
3 : 공급 영역
4 : 가이드 영역
5 : 도포 영역
6 : 도포 유닛
7 : 건조 영역
9 : 권취 영역
10 : 라미네이트 영역
11 : 공급 롤
12 : 코터 수단
12a : 코터
12b : 텐션 롤
12c : 백업 롤
13 : 웨브 (U) 의 공급 영역
14 : 웨브 (U) 의 가이드 영역
15 : 건조 장치
18 : 피드 롤
19 : 가이드 롤
20 : 배치 형성 롤
21 : 구획 스페이스
21a, 21b, 21c, 21d : 구획 스페이스 (21) 의 가상면
T : 웨브
U : 웨브 (T) 와 라미네이트하는 웨브
T' : 도포막을 갖는 웨브
m : 세로의 가상 라인
n : 가로의 가상 라인
X : 가상 라인 (m, n) 의 교점 위치

Claims (6)

  1. 장척 띠상의 웨브를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공급 롤을 갖는 공급 영역과,
    그 공급 롤로부터 송출되어 반송되는 상기 웨브의 적어도 편면 상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코터 수단을 갖는 도포 영역과,
    상기 웨브 상에 도포된 도포액막을 건조시켜 도포막으로 하기 위한 건조 영역과,
    그 도포막을 갖는 상기 웨브를 권취하는 권취 롤을 갖는 권취 영역을 구비하는 도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포 영역은, 1 개 이상의 피드 롤과, 도포액을 도포하는 코터 수단을 직방체상의 구획 스페이스 내에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단일의 도포 유닛을 구성하고,
    그 도포 유닛은, 상기 피드 롤의 둘레면을 둘러싸고 위치하는 직방체상의 구획 스페이스의 4 개의 가상면 중 어느 면으로부터도 웨브를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스페이스가, 프레임체로 구획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유닛이, 상기 1 개 이상의 피드 롤을 포함하는 2 개 이상의 배치 형성 롤을 갖는 도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유닛은, 웨브가 상기 1 개 이상의 피드 롤 중, 적어도 1 개의 피드 롤과 접촉하고, 또한 웨브의 도포액 막 형성측의 표면이 도포 유닛 내의 어느 배치 형성 롤과도 접촉하지 않고 웨브가 도포 유닛을 통과하도록 상기 배치 형성 롤을 배치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도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 개의 피드 롤은, 웨브와의 측면각이 5 도 이상이 되도록 배치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도공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형성 롤이, 그 배치 형성 롤의 축선과 직교하는 횡단면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봤을 때, 종횡 격자상으로 그은 가상 라인의 어느 교점 위치 또는 그 교점 위치의 근방에 배치 형성되는 도공 장치.
KR1020147033039A 2012-06-04 2013-05-27 도공 장치 KR201500154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26750A JP5914182B2 (ja) 2012-06-04 2012-06-04 塗工装置
JPJP-P-2012-126750 2012-06-04
PCT/JP2013/064603 WO2013183477A1 (ja) 2012-06-04 2013-05-27 塗工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479A true KR20150015479A (ko) 2015-02-10

Family

ID=4971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039A KR20150015479A (ko) 2012-06-04 2013-05-27 도공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83039A1 (ko)
EP (1) EP2857110A4 (ko)
JP (1) JP5914182B2 (ko)
KR (1) KR20150015479A (ko)
TW (1) TW201404478A (ko)
WO (1) WO2013183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3478A (zh) * 2013-12-24 2014-04-02 吴江华尔美特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壁纸收卷烘干装置
CN103817040B (zh) * 2014-02-20 2016-06-08 浙江达峰汽车技术有限公司 尾气颗粒捕集器中载体上活性涂层的涂覆装置
CN105317192A (zh) * 2014-07-29 2016-02-10 天津金邦建材有限公司 一种建筑外包围金属装饰墙纸烘干装置
CN106694318A (zh) * 2017-01-19 2017-05-24 北京太空板业股份有限公司 腻子刮涂设备及其生产工艺
CN108296126A (zh) * 2017-03-13 2018-07-20 上海展枭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适合于多孔基材的涂布装置及涂布方法
JP7362246B2 (ja) * 2018-12-12 2023-10-1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通紙方法
CN110435233B (zh) * 2019-08-15 2021-07-23 浙江索凡胶粘制品有限公司 一种不干胶加工工艺
EP4029611A1 (en) * 2021-01-18 2022-07-20 GE.MA.TA. S.p.A. Machine for the treatment of a support tape of a chemical substance to be applied to a leather.
CN113042300B (zh) * 2021-03-16 2022-05-24 宁夏大斌家纺科技有限公司 一种羊毛复合毡制作用均匀涂胶设备
CN114772340B (zh) * 2022-06-17 2022-09-06 江苏众润光电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eva封装胶膜压光生产用具有干燥功能的收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1802A1 (de) * 1979-12-21 1981-07-09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ollautomatischen lackieren von bandfoermigen materialien
US4443491A (en) * 1982-06-10 1984-04-17 Acumeter Laboratorie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dhesive-coated sheet materials usable with radiation-cured silicone release coatings and the like
JPH05293411A (ja) * 1992-04-20 1993-11-09 Tomoegawa Paper Co Ltd 塗料等の塗工方法及び装置
JPH07898A (ja) * 1993-06-11 1995-01-06 Yasui Seiki:Kk 塗工装置
JP3015463U (ja) * 1994-12-12 1995-09-05 株式会社康井精機 塗工システム
JP2756768B2 (ja) 1995-04-11 1998-05-25 井上金属工業株式会社 塗工装置及び塗工設備
US6152068A (en) * 1998-06-22 2000-11-28 Hunter Douglas Inc.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djustabl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DE29818148U1 (de) * 1998-10-10 2000-02-17 Roland Man Druckmasch Beschichtungsmaschine zum Veredeln von Bogenmaterial
DE10228114A1 (de) * 2002-06-24 2004-01-15 Voith Paper Patent Gmbh Vorrichtung zum beidseitigen Streichen und zum Trocknen einer Materialbahn, insbesondere aus Papier oder Karton
DE202004018588U1 (de) * 2004-11-30 2005-01-27 Herbert Olbrich Gmbh & Co Kg Variabel einsetzbare Beschichtungsvorrichtung für eine zu beschichtende Bahn
DE102006004574A1 (de) * 2005-06-06 2006-12-07 Advanced Photonics Technologi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arb- bzw. Lackbeschichtung eines wickelfähigen Bleches
DE202005015824U1 (de) * 2005-10-08 2005-12-22 Timatec,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s Mittels auf bahnförmiges Material, insbesondere zum Beschichten, Imprägnieren und Drucken
EP1880846B1 (de) * 2006-07-18 2012-12-19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Bogenoffsetdruckmaschine
USD601597S1 (en) * 2008-09-03 2009-10-06 P & B Construction, Inc. Enclosed chamber, adjustable finish-applicator for flat and dimensional surfaces
US8171638B2 (en) * 2008-12-22 2012-05-08 Lexmark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providing improved electrical properties on a roll for use in electrophotograph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48590A (ja) 2013-12-12
EP2857110A1 (en) 2015-04-08
WO2013183477A1 (ja) 2013-12-12
JP5914182B2 (ja) 2016-05-11
US20150083039A1 (en) 2015-03-26
TW201404478A (zh) 2014-02-01
EP2857110A4 (en)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5479A (ko) 도공 장치
US20060121202A1 (en) Production apparatus of multilayer coating film
US8876418B2 (en) Printing system, sheet processing system, and sheet-path switching apparatus
US9884497B2 (en) Corrugated-board machine
AU2010349675B2 (en) Printing system, sheet treatment system, and device for switching direction of sheet
JP6924566B2 (ja) スプライシング設備及び材料ウェブを接合する方法
CN104955749B (zh) 片材供给装置
WO2011125724A1 (ja) ウェットワイプ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3544197A5 (ko)
JP2013544197A (ja) 箔押機械のためのストリップを案内するための装置
EP2786848B1 (en) A fibre fabric cutting system
US20100193381A1 (en) Package for a detergent bar
WO2018066194A1 (ja) 省スペース型の光学機能フィルム貼合装置
US9199501B2 (en) Feed module for supplying stamping foil
WO2011129330A1 (ja) ウェットワイプス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ウェットワイプス
WO2010147154A1 (ja) ウェブの走行方向変更方法およびウェブの走行方向変更装置
ITFI20090033A1 (it)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cartone ondulato"
EP3020669B1 (en) Device for decurling a web of material, such as a paper web
JP2013054932A (ja) 電池用極板のロールプレス装置
CN109311336B (zh) 利用水分分布的打印方法及打印设备
CN105752753B (zh) 纺织机
CN1320070A (zh) 层压纸板类纸板材料及其制造方法和设备
JP2014065020A (ja) 塗工装置
TWM507418U (zh) 膠帶切割分捲裝置
WO2008122164A1 (fr) Dispositif de collage par pression à cylindre mécanique pour carton ondul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