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381B1 - 식품 보존용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보존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381B1
KR102189381B1 KR1020180006640A KR20180006640A KR102189381B1 KR 102189381 B1 KR102189381 B1 KR 102189381B1 KR 1020180006640 A KR1020180006640 A KR 1020180006640A KR 20180006640 A KR20180006640 A KR 20180006640A KR 102189381 B1 KR102189381 B1 KR 102189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ttom portion
concave
side wal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288A (ko
Inventor
지카코 아오마츠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2581/3439Means for affecting the heating or cooking properties
    • B65D2581/3455Packages having means for improving the internal circulation of air
    • B65D2581/3456Means for holding the contents at a distance from the base of the package, e.g. raised islands or protru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ok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과제) 냉장 보존 또는 냉동 보존된 식품을 마이크로파 가열하는 경우에, 가열 불균일을 억제함과 함께, 식품의 식감이나 식미를 손상시키지 않는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식품 보존용 용기 (1) 는, 바닥부 (2) 와 바닥부 (2) 의 사방을 둘러싸는 측벽부 (3) 와, 측벽부 (3) 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 (4) 로 이루어지는, 상부가 개구된 상자형상체이다. 바닥부 (2) 는, 액 고이개가 되는 복수의 오목부 (21) 와, 인접하는 오목부 (21) 사이에 형성된 볼록부 (22) 를 갖는다. 측벽부 (3) 는, 용기 (1) 의 플랜지부 (4) 로부터 바닥부 (2) 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유로 (31) 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 (31) 는, 측벽부 (3) 가 융기된 볼록상의 능선부 (32)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 (3) 에 있어서 홈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식품 보존용 용기{CONTAINER FOR PRESERVING FOOD}
본 발명은, 식품을 보존할 수 있고 또한 마이크로파 가열하는 데에 적합한 합성 수지제의 식품 보존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단기 또는 장기 보존하는 방법으로는, 냉장 보존이나 냉동 보존이 잘 알려져 있다. 그 때의 식품의 간편한 수납 방법으로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가 있는 용기에 수납하여 보존하는 방법, 접시에 올려놓은 식품의 위에서부터 랩하여 보존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는 식품의 건조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식품의 식감이나 식미 (食味) 가 크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냉장 보존 또는 냉동 보존한 식품을 먹는 경우에는, 식품을 데우는 경우는 자주 있으며, 데우는 방법으로서 전자레인지를 사용한 마이크로파 가열이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냉장 보존 또는 냉동 보존한 식품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데우면, 가열되기 쉬운 부분과 잘 가열되지 않는 부분이 혼재하여, 식품 중에 가열 불균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가열 불균일은 물 (5 ℃) 의 유도 손실 계수 (전파 에너지가 흡수되어 열 에너지로 변환되는 비율) 가 5 ∼ 15 인 것에 비해, 얼음 (-12 ℃) 의 유도 손실 계수는 0.003 이 되기 때문에, 마이크로파가 언 부분보다 녹은 부분에 많이 흡수되고, 온도차가 벌어지는 것에 주로 기인한다.
냉장 보존 또는 냉동 보존한 식품을 마이크로파 가열하는 예로서 취반미 (炊飯米) 를 들 수 있다. 취반미의 경우, 냉장 보존하면 식미가 손상되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냉동 보존이 추장된다.
그러나 냉동 보존한 취반미를 용기에 봉입하여 냉동시키면, 증발된 수분이 차가워져 응결되고, 용기 본체의 바닥부에 모인다. 이 상태 그대로 마이크로파 가열하면, 바닥부의 취반미가 그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취반미의 식감, 식미 등이 크게 손상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용기의 형상을 연구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용기 바닥부에 상하로 돌출되는 모퉁이를 갖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용기 바닥부에 그 볼록부로 둘러싸인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모퉁이를 갖는 볼록부에 마이크로파를 집중시켜, 가열 불균일을 일으키지 않는 마이크로파 조리용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또, 비특허문헌 1 에서는, 용기의 내측 바닥부에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열 불균일을 개선한 식품 보존용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또, 비특허문헌 2 에서는, 용기 본체의 내부에 구멍을 뚫은 내용기를 형성하여, 이중 구조로 한 취반미 보존용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서는, 용기 본체의 바닥부에 수분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공간을 구비하고, 취반미와 수분을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취반미 보존용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1559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04670호
「키친토상 밥 냉동 보존 용기」, 제품 정보, [online], 주식회사 쿠레하, [2013년 11월 30일 검색], 인터넷 <URL : http://kurelife.jp/products/ricecontainer/> 「절품 밥 보존」제품 정보, [online], 에비스 주식회사 홈페이지, [2013년 11월 30일 검색], 인터넷 <URL : http://www.ebisu-grp.co.jp/products/frozen-storage.html>
냉장 보존 또는 냉동 보존한 식품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간편하게 데워서 먹는다는 행위는 일반 가정 중에서 일상적인 것이고, 재가열한 식품도 맛있게 먹고싶다는 소비자의 요망은 높아지고 있어, 보존하는 과정 및 재가열하는 과정에 있어서 가열 불균일을 저감시키고, 식품의 식감이나 식미 등을 잃어버리게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용기의 형상에서는, 마이크로파 가열시의 가열 불균일을 개선하고 있지만, 냉동 보존에 의해 용기 바닥부에 응결된 수분이 가열에 의해 용해되고, 식품에 흡수됨으로써 식감이나 식미가 상실되는 점은 과제로서 남는다.
또 상기 특허문헌 2 및 비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용기의 형상에서는, 마이크로파 가열시의 가열 불균일의 개선에 더하여, 용기 바닥부에 응결된 수분을 식품과 분리할 수 있지만, 용기 본체의 크기에 비해, 내용기에 수용할 수 있는 식품의 용량이 적기 때문에 냉동고 내에서 부피가 커지고, 사용 후에 세정하기 어렵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 동일 용기를 포갤 수 없어 수납성이 나쁜 것 등의 다른 과제가 존재한다. 또한, 내용기를 형성하는 구조로 인해 고비용인 점도 단점이다.
또한, 상기 과제는, 취반미의 보존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식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예를 들어 냉동 슈마이나 냉동 야채, 냉동 타코야끼와 같은 냉동 식품을 용기에 넣고,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해동, 가열하는 경우에도 가열 불균일이 발생하는 과제, 용기 바닥부에 응결된 수분을 식품이 흡수하여, 식감이나 식미를 손상시킨다는 과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냉장 보존 또는 냉동 보존된 식품을 마이크로파 가열하는 경우에, 식품의 가열 불균일을 억제함과 함께, 식품의 식감이나 식미를 손상시키지 않는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수증기의 응집 전열 효과에 착안하여, 용기 바닥면 및 벽면에 요철을 형성하고, 나아가 용기 전체의 오목부를 잇는 구조로 함으로써, 마이크로파 가열시에 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용기 전체에 순환시켜 가열 불균일을 저감시킴과 함께, 보존 중이나 재가열 중에 발생한 응결수를, 용기 바닥부에 있어서 식품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1] 바닥부와 측벽부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구된 식품 보존용 용기로서, 상기 측벽부에는 기체 또는 액체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에 의해 상기 유로를 흐르는 기체 또는 액체가 순환하거나 또는 체류하는 순환 체류부가 형성된 식품 보존용 용기.
[2] 상기 유로는 상기 바닥부를 향해 형성된 홈상인 상기 [1] 의 식품 보존 용기.
[3]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의 정상점 간 거리가 1 ∼ 9 ㎜ 인 상기 [2] 의 식품 보존용 용기.
[4]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1 ∼ 3 ㎜ 인 상기 [3] 의 식품 보존용 용기.
[5]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공간의 체적은 상기 바닥부의 투영 면적 100 ㎠ 당 1 ∼ 25 ㎤ 인 상기 [3] 또는 [4] 의 식품 보존용 용기.
[6] 상기 바닥면의 표면적은 바닥면의 투영 면적의 1.5 배 이상인 상기 [3] ∼ [5] 중 어느 하나의 식품 보존용 용기.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 보존 또는 냉동 보존된 식품을 마이크로파 가열하는 경우에, 식품의 가열 불균일을 저감시키고, 또한 용기 바닥부에서 응결된 물을 식품과 분리함으로써 식감이나 식미가 손상되지 않는 식품 보존용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A-A' 의 단면 (端面)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바닥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바닥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7 은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은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 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바닥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바닥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 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유로 및 능선부의 모식도 (세로 홈상) 이다.
도 13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유로 및 능선부 또는 오목부 및 볼록부의 모식도 (관통 줄눈상) 이다.
도 14 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유로 및 능선부 또는 오목부 및 볼록부의 모식도 (말타기 줄눈상) 이다.
도 15 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모식도 (사반 (四半) 줄눈상) 이다.
도 16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모식도 (위커워크상) 이다.
도 17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모식도 (바구니상) 이다.
도 18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모식도 (3 단 체크무늬상) 이다.
도 19 는 비교예 2 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평면도이다.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본 실시형태」라고 한다.)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식품 보존용 용기 (1) (이하, 간단히「용기 (1)」라고 한다.) 는, 주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기로서, 도 1 내지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 (2) 와 바닥부 (2) 의 사방을 둘러싸는 측벽부 (3) 와, 측벽부 (3) 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 (4) 로 이루어지는, 상부가 개구된 상자형상체이다.
바닥부 (2) 는, 특히 도 4 의 A-A 단면도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기체 또는 액체가 순환하거나 또는 체류하는 순환 체류부가 되는 복수의 오목부 (21) 와, 인접하는 오목부 (21) 사이에 형성된 볼록부 (22) 를 갖는다. 오목부 (21) 는, 도 2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반원상이고, 전체적으로 구상 (球狀) 을 이루고, 볼록부 (22) 는, 평면에서 보아 정방형상이고,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상을 이룬다. 또, 바닥부 (2) 는, 도 1 및 도 4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용기 (1) 의 길이 방향 양측에, 바닥부 (2) 의 면이 솟아오른 단차부 (23) 를 2 개 구비한다.
측벽부 (3) 는,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1) 의 플랜지부 (4) 로부터 바닥부 (2) 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유로 (31) 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 (31) 는, 측벽부 (3) 가 융기된 볼록상의 능선부 (32)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부 (3) 에 있어서 홈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는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측벽부 전체에 걸쳐, 플랜지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 (3) 에 형성된 유로 (31) 를 흐르는 액체는, 바닥부 (2) 의 오목부 (21) 를 향하고, 오목부 (21) 에 체류됨과 동시에, 용기 (1) 내에 발생한 수증기 등의 기체는 측벽부 (3) 의 유로 (31) 로부터 바닥부 (2) 의 오목부 (21) 를 향하고, 오목부 (21) 에 흘러들어, 순환할 수 있는 순환 체류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유로 (31) 와 오목부 (21) 는, 유로로서 접속된 관계에 있다.
여기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는 1 ∼ 9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취반한 쌀알이 오목부 (21) 에 잘 끼이지 않아, 사용 후의 세정도 용이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는 2 ∼ 5 ㎜ 이다.
또한,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는, 이웃하는 볼록부 (22) 의 정상점끼리의 거리를 측정한 수치이다. 여기서, 볼록부 (22) 의 정상점이란, 볼록부 (22) 의 단면 형상이 원호상이나 삼각형이나 오각형 등, 그 높이가 극대가 되는 부분을 갖는 경우에는 그 극대점 간의 거리를 의미하고, 사각형, 육각형 등, 극대점을 갖지 않고 평탄부가 되는 경우에는 평탄부 중앙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 바닥부 (2) 에 형성된 오목부 (21) 의 깊이 (H) 는 1 ∼ 3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깊이 (H) 가 1 ㎜ 이상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취반미를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했을 때에 결로되는 수분을 충분히 오목부 (21) 에 수용할 수 있고, 용기 (1) 의 바닥부 (2) 의 취반미에 잘 흡수되지 않아, 식미나 식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깊이 (H) 가 3.0 ㎜ 이하이면, 스펀지나 자동 식기 세정기에 의한 세정으로 청결하게 세정할 수 있고, 취반미와 냉동고 사이의 공간 (단열층) 이 적당하고, 전분 노화 온도역 (0 ∼ 10 ℃) 에서의 체류 시간이 짧아져, 취반미의 식미나 식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목부 (21) 의 깊이 (H) 는 1 ∼ 2 ㎜ 이다.
또한, 오목부 (21) 의 깊이 (H) 는, 볼록부 (22) 의 정상점과 인접하는 오목부 (21) 의 최심점의 고저차를 말한다.
바닥부 (2) 의 오목부 (21)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체적 (V) 은, 바닥부 (2) 전체를 평면에서 볼 때의 투영 면적 100 ㎠ 당 1 ∼ 2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취반미를 마이크로파 가열했을 때에 응결되는 수분을 이 공간에 수용하기 쉽고, 공간으로부터 수분이 흘러나오지 않아, 취반미의 바닥부에 잘 닿지 않기 때문에, 식미나 식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의 체적 (V) 은, 오목부 (21) 가 순환 체류부로서 기능하는, 요컨대, 액체가 모일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즉, 도 7 내지 도 9 에 3 개의 패턴으로서 나타내는 것 중, 사선으로 표시한 영역이 오목부 (21)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사선부의 체적의 합계가 여기서 말하는 체적 (V) 이 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오목부 (21) 와 볼록부 (22) 에 의해, 균등하게 액 고이개가 형성되는 패턴, 도 8 에 나타내는, 볼록부 (22) 정상점의 높이가 상이하고, 공간의 높이가 오목부 (21) 의 지점에 따라 상이한 패턴, 도 9 에 나타내는, 오목부 (21) 및 볼록부 (22) 가 중앙을 향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고, 중앙을 향함에 따라 볼록부 (22) 정상점의 높이가 낮아짐과 함께, 오목부 (21) 의 바닥부도 낮아지고, 그것에 수반하여 액 고이개로서의 오목부 (21)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도 변화되는 패턴이다.
바닥부 (2) 의 표면적, 즉, 바닥부 (2) 의 오목부 (21) 의 면적과, 볼록부 (22) 의 표면적의 합은, 바닥부 (2) 전체의 평면에서 볼 때의 투영 면적의 1.5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1.5 배 이상이면, 식품을 용기 (1) 내부에 넣었을 때에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대한 부착 면적이 작아지고, 내용물의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대한 부착이 경감되어 내용물을 꺼내기 쉽다.
용기 (1) 의 높이 (1L) (도 3 참조) 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식품, 예를 들어 취반미 등을 넣어 보존할 수 있는 최저한의 높이이면 되는데, 20 ∼ 150 ㎜ 이면, 마이크로파에 의한 가열의 효율이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용기 (1) 의 바닥부 (2) 및 개구의 면적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닥부 (2) 의 길이 방향 길이가 300 ㎜ 이하이면, 가정용 냉장고나 식기 선반에 수납하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 (1) 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수지제이면, 냉장, 냉동 보존을 할 수 있고, 또한 그대로 마이크로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합성 수지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폴리스티렌, 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합성 수지 재료는 단일이어도 되고 복수의 조합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은 내열성, 내한성, 성형 가공성, 비용 면에서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또, 용기 (1) 의 성형 가공법은 주지의 기법을 사용하면 되고, 예를 들어 열 성형, 사출 성형, 진공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진공 성형법으로 성형 가공하는 경우, 성형 전의 시트 두께는 0.8 ∼ 2.5 ㎜ 이면 열전도성을 유지하고, 또한 수분 배리어성, 악취 배리어성을 충분히 가지므로, 수용한 식품의 건조나 냉동취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6 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 (2) 에 형성된 오목부 (21) 의 형상으로는 정방형상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장방형, 마름모꼴, 삼각형, 다각형 등의 기하 모양뿐만 아니라, 별형, 하트형, 가마니형, 다이아몬드형 등의 의장성을 포함하는 형상 등을 들 수 있으며, 단일 형상, 또는 복수 종류의 형상을 동시에 사용해도 된다.
또, 바닥부 (2) 에 형성된 볼록부 (22) 단면의 형상도, 도 5 에 나타낸 양태 외에, 동일하게 임의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 (21) 및 볼록부 (22) 모두를 단면 원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용기 (1) 내에 수용하는 식품, 특히 취반미의 바닥부 (2) 에 대한 밀착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경우에는, 볼록부 (22) 는,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측벽부 (3) 에 형성된 유로 (31) 및 능선부 (32) 의 형상으로는,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용기 (1) 전체에 대한 수증기의 순환을 촉진하는 이유로 벽면에 설치된 유로 (31) 가 플랜지부 (4) 측으로부터 바닥부 (2) 를 향해 일련의 흐름을 형성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유로 (31) 를 정면에서 본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2 ∼ 15 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홈상, 관통 줄눈상, 말타기 줄눈상, 사반 줄눈상을 들 수 있다.
바닥부 (2) 에 설치된 볼록부 (22) 는, 바닥부 (2)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복수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의 배열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오목부 (21) 가 형성하는 공간이 일련으로 이어져 있는 구조이면, 수증기를 용기 전체에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다른 양태로서, 예를 들어 도 13 ∼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관통 줄눈상, 말타기 줄눈상, 사반 줄눈상, 위커워크상, 바구니상, 3 단 체크무늬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 를 사용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1) 의 길이 방향 양측에, 바닥부 (2) 의 면이 솟아오른 단차부 (23) 를 형성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과제의 해결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용기 (1) 의 바닥부 (2) 의 일부 또는 복수 부분을 내용물측으로 융기시키는 단차부 (23) 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형태의 용기 본체 외에, 소쿠리, 증기 밸브, 배수 마개, 수분 흡수층, 내부 덮개 등의 부자재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용기 (1)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식품, 예를 들어 취반미 등을 넣어 보존할 수 있는 형상이면, 정방형, 장방형, 원형, 타원형, 그릇형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 용기 (1) 에 조합하는 덮개는, 용기 (1) 의 플랜지부 (4) 와 끼워맞췄을 때에 적당한 밀폐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가능한 한 용기 (1)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에 들어가지 않게 할 수 있고, 또 용기 (1) 가 옆으로 쓰러졌을 때에 용기의 내용물의 누설을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준비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다.
폴리프로필렌제 시트 (두께 1.2 ㎜) 를 진공 성형법에 의해, 도 1 내지 3 에 나타내는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 (1) 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식품 보존용 용기 (1) 의 각 치수는 표 1 에 기재하였다. 치수의 측정법은 하기와 같다.
<정상점 간 거리의 측정>
정상점 간 거리 (L) (도 5 참조) 의 측정은 상기 정상점 중, 이웃하는 정상점을 2 개 이상 포함하도록 가리키는 소형 커터로 1 ㎜ 두께의 절편을 작성하고, 그 단면을 마이크로스코프로 관찰했을 때에 이웃하는 정상점끼리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오목부의 깊이의 측정>
오목부 (21) 의 깊이 (H) (도 5 참조) 는, 정상점 간 거리 (L) 의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작성한 절편의 단면을 마이크로스코프로 관찰했을 때에 볼록부 (22) 의 정상점과, 이 볼록부 (22) 와 이웃하는 오목부 (21) 의 가장 깊이 방향으로 패인 부분의 고저차를 측정하였다.
<투영 면적의 계산 방법>
투영 면적은, 용기 (1) 의 바닥면 투영도의 바닥부 (2) 의 폭 방향 길이 및 길이 방향 길이의 실측 치수를 노니우스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이것들을 곱함으로써 산출하였다.
<바닥부와 바닥부에 설치된 오목부 및 볼록부로 형성되는 공간의 체적의 계산 방법>
볼록부 (22) 의 정상점 거리의 측정 및 오목부 (21) 의 깊이 (H) 의 측정에 의해 측정한 정상점 간 거리 (L) 및 오목부 (21) 의 깊이 (H) 의 측정 결과로부터 산출하였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취반미의 조제법,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미반 (米飯) 의 조제법>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식품 보존용 용기 (1) 를 사용하여, 이하의 순서 (1) ∼ (5) 에 의해 보존 미반을 조제하였다.
(1) 취반 : 미에현산 코시히카리 무세미 (無洗米) 600 g 에 수돗물 798 g (무세미 중량의 1.33 배) 을 IH 전기밥솥 (조지루시 제조) 의 무세미 코스를 선택하여 취반하였다.
(2) 충전 : (1) 의 방법으로 취반 후, 즉시 솥 안의 취반미가 균일해지도록 주걱으로 잘 섞고, 그 중 180 g 을 식품 보존 용기에 용기 내부의 취반미가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충전하고, 용기를 밀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덮개를 사용하여 밀폐하였다.
(3) 방랭 : 밀폐 후의 취반미를 실온 (23 ℃) 에서 30 분 방랭하였다.
(4) 냉동 : 용기 내의 취반미가 60 ℃ 이하가 된 것을 확인 후, 냉장고 (히타치 RG5700G) 의 냉동실 내에서 18 시간 냉동 보존하였다.
(5) 재가열 : 이상의 수법으로 냉동시킨 냉동미를 전자레인지 (SHARP 사 제조 RE-26A) 를 출력 500 W 로 설정하고, 3 분간 가열하였다.
<냉동 보존 후의 미반 식미의 관능 시험>
20 대 ∼ 50 대의 주부 100 명에 의해 미반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미반의 조제법에 의해 조제한 미반을 꺼내어 두께 방향에서 2 분할하고, 충전 방향의 상반부에 상당하는 상부와 하반부에 상당하는 하부로 나누었다.
실시예와 비교예 각각의 상부와 하부 각각의 미반에 대해, 입자감 (입자를 인식할 수 있는 느낌), 폭신감 (쌀 중앙부의 부드러움), 점성 (쌀 중앙부의 부드러움), 경도, 바람직한 정도에 대해, 취반 후 1 시간 이내의 갓 지은 취반미를 5 점으로 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1 점 ∼ 5 점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을 표 2 에 나타낸다.
[평가]
100 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가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4 점 ≤ 평균값 ≤ 5 점
○ : 3 점 ≤ 평균값 < 4 점
△ : 2 점 ≤ 평균값 < 3 점
× : 1 점 ≤ 평균값 < 2 점
<용기 바닥부의 미반의 수분율 측정법과 평가법>
상기 방법으로 조제한 미반을 꺼내고, 충전 방향 상의 바닥 부분 표면부의 쌀알 2.0 g, 상기 방법으로 취반한 취반 후 5 분 이내의 갓 지은 취반미 2.0 g 을 채취하고, 각각 가열 건조식 수분계 (A and D 사 MS-70) 를 급속 모드로, 시료 접시 온도 140 ℃, 측정 정밀도 MID. 모드, 종료 조건 0.10 %/min 으로 설정하고, 수분율을 측정하여, 하기 식 (1) 에 의해 보존 미반의 수분율 변화량을 구하였다.
수분율 변화량 (바닥부) = 수분율 측정값 (바닥부) - 수분율 측정값 (갓 지은 것) … (1)
보존 미반의 수분율이 갓 지은 취반미에 가까운 경우에는 수분율 변화량 ≒ 0 이 되고, 수분율 변화량 < 0 이 되는 경우에는 갓 지은 취반미보다 건조하여, 딱딱한 미반이 된다. 반대로 수분율 변화량 > 0 이 되는 경우에는, 수분이 과다하여, 끈적한 미반이 된다.
[평가]
상기 수분율 변화량의 절대값으로 평가하였다. 또한『|수분율 변화량|』이란 수분율 변화량의 절대값을 의미한다.
◎ : 0 ≤|수분율 변화량|< 2
○ : 2 ≤|수분율 변화량|< 3
△ : 3 ≤|수분율 변화량|< 5
× : 5 ≤|수분율 변화량|
<가열 불균일의 평가법>
가열 불균일은 요오드 전분 반응을 사용한 방법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분풀 50 g 을 수돗물 150 g 에 용해한 풀물을 조제하였다. 이 풀물 중 40 g 을 상기의 미반 조제법 (1) 에 의해 조제한 취반미 200 g 을 첨가하여 잘 저어서 섞고, 취반미의 입자가 풀물로 균일하게 코팅된 상태로 하였다. 여기에 요오드 용액 4.0 g 을 적하하고, 취반미 전체가 균일한 보라색이 될 때까지 잘 저어서 섞었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한 보라색의 미반 중 180 g 을 상기의 미반 조제법 (2)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보존 용기에 충전하고, 상기 미반 조제법 (4) 와 동일한 방법으로 냉동 보존하였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한 냉동미를 출력 500 W 로 설정한 상기의 전자레인지로 2 분 30 초간 가열하였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한 미반을 식품 보존용 용기 (1) 로부터 꺼내고, 보라색의 정색 (呈色) 반응이 소실되고, 하얗게 된 부분의 중량의 비율을 하기 식 (2) 로 산출하여, 이것을 가열 불균일로 하였다.
가열 불균일 = (미반의 흰 부분의 중량 (g)/180 g) × 100 … (2)
[평가]
상기 방법에 의해 산출된 가열 불균일에 대해,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75 < 가열 불균일 ≤ 100
○ : 50 < 가열 불균일 ≤ 75
△ : 25 < 가열 불균일 ≤ 50
× : 0 ≤ 가열 불균일 ≤ 25
<전분 부착도>
상기의 미반 조제법에 의해 조제한 미반을 꺼낸 후의 식품 보존용 용기 (1) 에 요오드 용액을 수돗물로 30 배로 희석시킨 것을 용기 전체에 적하하고, 요오드 전분 반응에 의해 보라색으로 변색된 면적을 화상 해석에 의해 측정하고, 정색 반응이 있었던 면적의 비율을 하기 식 (3) 으로 산출하여, 이것을 전분 부착도로 하였다.
전분 부착도 = (정색부 면적/바닥면 투영 면적) × 100 … (3)
[평가]
상기 방법에 의해 산출된 전분 부착도에 대해,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0 ≤ 전분 부착도 < 25
○ : 25 ≤ 전분 부착도 < 50
△ : 50 ≤ 전분 부착도 < 75
× : 75 ≤ 전분 부착도 ≤ 100
<세정 용이성>
20 대 ∼ 50 대의 주부 100 명에 의해 식품 보존용 용기의 세정 용이성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의 미반 조제법에 의해 조제한 미반을 꺼낸 후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식기 세정용 스펀지 (3M 사, 스카치·브라이트TM 항균 우레탄 스펀지 S-21KS) 에 수돗물을 함침시켜 식기용 세제 (아사히카세이 홈 프로덕츠 주식회사 프로슈R 알로에베라) 를 3 방울 적하하고, 용기 내부를 씻었을 때의 세정 용이성 (스펀지가 닿는 방식) 에 대해, 바닥면 및 벽면에 요철이 없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및 비교예와 동일한 형상의 보존 용기 (비교예 1 과 동일한 것) 에 대해 동일한 시험을 실시했을 때를 5 점으로 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1 점 ∼ 5 점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100 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가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4 점 ≤ 평균값 ≤ 5 점
○ : 3 점 ≤ 평균값 < 4 점
△ : 2 점 ≤ 평균값 < 3 점
× : 1 점 ≤ 평균값 < 2 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상세를 이하에 서술한다.
[실시예 1]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측벽부 (3) 에 설치된 유로 (31) 를 흐르는 액체가, 바닥부 (2) 에 형성된 오목부 (21) 에 액 고이개로서 체류하고, 또한 수증기가 유로 (31) 와 오목부 (21) 를 순환할 수 있는 순환 체류부가 되는 관계, 즉, 유로 (31) 와 오목부 (21) 가 접속되어 있는 식품 보존용 용기 (1) 를 얻었다. 각 사이즈는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
[실시예 2]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1.5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 (1) 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
[실시예 3]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3.0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
[실시예 4]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4.0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은 양호한 결과였지만, 바닥부 (2) 에 형성된 오목부 (21) 의 깊이가 깊기 때문에, 바닥면 오목부 (21) 에 끼인 전분 얼룩을 스펀지에 의한 세정으로는 충분히 다 제거할 수 없어,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이 불충분하며, 부적합하였다.
[실시예 5]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0.5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가열 불균일이 크고, 또한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이 높고, 끈적한 미반이 되며, 부적합하였다.
[실시예 6]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가 0.5 ㎜ 이고,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1.5 ㎜, 또한 바닥부 (2) 의 볼록부 (22) 정상점의 정방형의 1 변의 길이가 0.2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은 양호한 결과였지만, 바닥부 (2) 에 형성된 오목부 (21) 의 깊이가 깊기 때문에, 바닥면 오목부 (21) 에 끼인 전분 얼룩을 스펀지에 의한 세정으로는 충분히 다 제거할 수 없어,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이 부적합하였다.
[실시예 7]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가 1.0 ㎜ 이고, 바닥면 요철의 깊이가 1.5 ㎜, 또한 바닥부 (2) 의 볼록부 (22) 정상점의 정방형의 1 변의 길이가 0.5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
[실시예 8]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가 2.0 ㎜ 이고,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2.0 ㎜, 또한 바닥부 (2) 의 볼록부 (22) 정상점의 정방형의 1 변의 길이가 1.0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
[실시예 9]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가 5.0 ㎜ 이고,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1.5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
[실시예 10]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가 9.0 ㎜ 이고,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1.5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
[실시예 11]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가 10.0 ㎜ 이고,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1.5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바닥면에 설치된 오목부에 쌀알이 끼이고, 미반이 완전하게 용기 바닥부에 부착된 상태가 되었기 때문에,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부적합하였다.
[실시예 12]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및 볼록부 (22) 의 형상이 반구상이고, 그 반구상의 볼록부 (22) 의 평면에서 본 반경이 1.5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 (1) 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
[비교예 1]
바닥부 (2) 및 측벽부 (3) 에 요철이 없고, 평면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스펀지에 의한 세정 용이성은 고평가였지만, 미반의 가열 불균일이 크고, 또한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이 높아 끈적한 미반이 되며, 부적합하였다.
[비교예 2]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 (3) 에 형성된 유로 (31) 와 능선부 (32) 와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와 볼록부 (22) 의 경계에 평활면을 이루는 평면부 (5) 가 개재되고, 유로 (31) 와 오목부 (21) 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은 양호했지만, 미반의 식미, 가열 불균일은 부적합하였다.
Figure 112018006246764-pat00001
Figure 112018006246764-pat00002
1 : 식품 보존용 용기
2 : 바닥부
21 : 오목부
22 : 볼록부
3 : 측벽부
31 : 유로
32 : 능선부
4 : 플랜지부
5 : 평면부

Claims (5)

  1. 바닥부와 측벽부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구된 취반미 보존용 용기로서,
    상기 측벽부에는 수증기 또는 응결수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에 의해 상기 유로를 흐르는 수증기가 순환하고 응결수가 체류하는 순환 체류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측벽부 전체에 걸쳐, 플랜지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오목한 형상의 상기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한 형상의 상기 유로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오목부와 이어져 있고,
    상기 바닥부는 용기의 길이 방향 양측에, 바닥부의 면이 솟아오른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공간의 체적은 상기 바닥부의 투영 면적 100 ㎠ 당 1 ~ 25 ㎤ 이고,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1 ∼ 2 ㎜ 인 취반미 보존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바닥부를 향해 형성된 홈상인 취반미 보존용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의 정상점 간 거리가 1 ∼ 9 ㎜ 인 취반미 보존용 용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표면적은 바닥부의 투영 면적의 1.5 배 이상인 취반미 보존용 용기.
KR1020180006640A 2015-12-01 2018-01-18 식품 보존용 용기 KR102189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35172 2015-12-01
JP2015235172 2015-12-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606A Division KR20170064451A (ko) 2015-12-01 2016-01-08 식품 보존용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475A Division KR20190019988A (ko) 2015-12-01 2019-02-18 식품 보존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288A KR20180011288A (ko) 2018-01-31
KR102189381B1 true KR102189381B1 (ko) 2020-12-11

Family

ID=5905872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606A KR20170064451A (ko) 2015-12-01 2016-01-08 식품 보존용 용기
KR1020180006640A KR102189381B1 (ko) 2015-12-01 2018-01-18 식품 보존용 용기
KR1020190018475A KR20190019988A (ko) 2015-12-01 2019-02-18 식품 보존용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606A KR20170064451A (ko) 2015-12-01 2016-01-08 식품 보존용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475A KR20190019988A (ko) 2015-12-01 2019-02-18 식품 보존용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7362233B2 (ko)
KR (3) KR201700644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1952B2 (ja) * 2019-03-04 2023-07-03 株式会社クラレ 包装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蒸気殺菌製品
KR20240039335A (ko) * 2022-09-19 202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933B2 (ja) * 1998-07-03 2001-07-09 守 加茂 合成樹脂シート製容器
JP2003081242A (ja) * 2001-09-14 2003-03-19 Denki Kagaku Kogyo Kk 容 器
US20100258471A1 (en) * 2009-04-08 2010-10-14 PWPI Industries Rotisserie chicken tra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857B2 (ja) * 1990-07-05 1995-11-08 株式会社タイヘイ産商 食品保存方法
JPH09215594A (ja) 1996-02-09 1997-08-19 Snow Brand Milk Prod Co Ltd 電子レンジ用容器
JP3108145U (ja) 2004-10-07 2005-04-07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包装用容器
JP2006304670A (ja) 2005-04-27 2006-11-09 Kajiwara Kogyo Kk 容器入炊飯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40954A (ja) 2010-05-18 2011-12-01 Tablemark Co Ltd 食品包装用トレー形容器及び包装食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933B2 (ja) * 1998-07-03 2001-07-09 守 加茂 合成樹脂シート製容器
JP2003081242A (ja) * 2001-09-14 2003-03-19 Denki Kagaku Kogyo Kk 容 器
US20100258471A1 (en) * 2009-04-08 2010-10-14 PWPI Industries Rotisserie chicken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288A (ko) 2018-01-31
JP2017105540A (ja) 2017-06-15
JP2022051764A (ja) 2022-04-01
JP7254220B2 (ja) 2023-04-07
JP7362233B2 (ja) 2023-10-17
KR20170064451A (ko) 2017-06-09
KR20190019988A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4220B2 (ja) 食品保存用容器
CA2334506C (en) Vented container with handles and embossment
DK148733B (da) Beholder for levnedsmidler
AU2017200738A1 (en) Cooking apparatus
CN205397028U (zh) 一种食品保鲜箱
JP2012121581A (ja) 蒸器及び蒸器の製造方法
JP6846942B2 (ja) 食品保存用容器
JP3864166B2 (ja) パスタの電子レンジ調理用システム容器
WO2013108781A1 (ja) 蒸し調理用の冷凍食品の包装袋、並びにそれを用いた冷凍食品包装体及び梱包体
JP2011235940A (ja) 食品分割保存容器
CN109090962A (zh) 一种具有杀菌保温功能的食物罩
WO2013010801A2 (de) Kältegerät mit herausziehbarem behälter
CN107752738A (zh) 一种蒸笼的蒸格及分体式蒸笼
CN205568571U (zh) 家用热菜保温盒
JP3205664U (ja) 電子レンジ用内箱
JP2006218143A (ja) ピザ用皿
RU2410009C2 (ru) Кастрюля
KR200471140Y1 (ko) 냉동식품 포장용기
KR20130005906U (ko) 주방용기용 뚜껑
JP2009285439A (ja) 水滴をとる中仕切金属板・金属球
JP3124827U (ja) 冷凍カニ類セット
CN207384154U (zh) 一种砧板套件
JP3100343U (ja)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容器及びその容器付き食品
JP3189964U (ja) 冷凍可能な成型食器
JP3158187U (ja) 電子レンジ用調理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56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18

Effective date: 202004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