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335A -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335A
KR20240039335A KR1020220117753A KR20220117753A KR20240039335A KR 20240039335 A KR20240039335 A KR 20240039335A KR 1020220117753 A KR1020220117753 A KR 1020220117753A KR 20220117753 A KR20220117753 A KR 20220117753A KR 20240039335 A KR20240039335 A KR 20240039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hot water
internal space
food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상
김석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7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335A/ko
Priority to PCT/KR2023/009851 priority patent/WO2024063279A1/ko
Publication of KR2024003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97Combination of dishwashers with other household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이다. 본 발명은 내부공간(12')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내부공간(12')을 덮는 커버(3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내부공간(12')에 있는 온수가 배출되는 배수공(20)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30)에는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온수가 들어가는 입수공(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수공(38)의 유동단면적은 상기 배수공(20)의 유동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12')에는 상기 입수공(38)을 통해 내부공간(12')으로 들어가는 온수의 양이 일정 이상으로 되면, 항상 내부공간(12')에는 온수가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식물 조리장치는 식기세척기(50) 내에 설치되어, 식기세척기(50)에서 온수를 계속해서 공급함에 의해 항상 조리대상물(M)이 온수에 잠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소정 시간동안 일정양의 열을 조리대상물(M)이 공급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Cook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이다.
음식물을 조리함에 있어서 굽거나, 끓이거나 볶는 식의 직접 가열 방식은 조리대상물에 열을 정확하게 가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조리과정에서 열을 지나치게 조리대상물에 가하여 타거나 지나치게 조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조리대상물에 직접 열을 가하면 가열되는 온도를 조리대상물 전체적으로 고르고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일명 수비드 방식이라는 조리방법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동안 조리대상물 전체에 열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대상물에 상대적으로 정확한 양의 열을 가할 수 있다.
수비드 방식으로 요리를 하게 되면, 조리대상물을 질기지 않고 연하게 만들 수 있고, 재료 자체의 영양소와 맛이 고스란히 보존되기 때문에 더욱 촉촉하고 뛰어난 풍미의 음식을 맛볼 수 있다.
하지만, 수비드 방식은 소정 온도의 온수에 조리대상물을 장시간 담궈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수비드 방식으로 요리를 하기 위해서는 전용 장치가 필요하다.
선행문헌1인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47526호에 개시된 음식카트리지는 수비드 요리를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 음식카트리지는 수비드 요리를 위한 전용 장치가 필요하고, 이 음식카트리지 자체의 구성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물공급 및 배출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선행문헌2인 국제공개 WO 2017/00083664호에는 수비드 요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수비드 요리장치는 직접 수비드 요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복잡한 구성을 가져서 사용하기가 어렵고, 일반인 들이 쉽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3은 한국 등록특허 제10-1203844호로서, 식기세척기에서 과일을 세척할 수 있는 트레이를 제공하고 있다. 선행문헌3에서는 식기세척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수비드 요리가 아니라 단순히 과일을 세척하기 위해 별도의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선행문헌 001)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47526호 (선행문헌 002) 국제공개 WO 2017/00083664호 (선행문헌 003) 한국 등록특허 제10-120384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비드 요리를 위한 간소화된 음식물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비드 요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간단한 장치를 사용하여 온수로부터 열을 조리대상물로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비드 요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항상 일정량의 온수가 조리장치 내에 보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도하게 공급된 온수를 재순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세척기에서 수비드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세척기에서 수비드 요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조리대상물로 온수가 골고루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세척기의 분사노즐을 통해 낙하되는 물이 조리장치에 진동을 주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내부공간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음식물 조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공간에 조리대상물을 넣고 정해진 시간 동안 정해진 양의 열을 공급하여 수비드 요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를 통과한 온수가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소정 시간 머무르다가 중력작용에 의해 내부공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수비드 요리를 수행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수공에 비해서 입수공의 유동단면적이 훨씬 크게 되어 있어서, 내부공간 내에 항상 일정량의 온수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오버플로우 펜스가 형성하는 공간에 대기하는 온수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배수공을 통해 배출된 양만큼 유동될 수 있어서, 항상 일정량의 온수가 내부공간 내에 위치하면서 수비드 요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비드 요리용 음식물 조리장치를 식기세척기에 위치시켜서 온수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아 수비드요리를 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에서는 물을 재순환시켜서 사용할 수 있어서, 수비드요리를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하여 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에 음식물 조리장치를 두고, 지속적으로 온수를 공급하므로, 조리대상물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어서, 수비드요리가 식기세척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의 내부공간 내에 온수가 항상 일정량 채워져 있을 수 있도록 하여 조리대상물로 열이 골고루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식기세척기의 분사노즐을 통해 음식물 조리장치에 물이 낙하되어 커버에 부딪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물이 낙하하여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열전달이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리대상물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일방향으로 개구되고 배수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덮어 조리대상물이 상기 내부공간에 있도록 하고 상기 배수공을 통해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온수의 양보다 더 많은 온수가 통과하는 입수공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수공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입수된 온수가 상기 내부공간에 머무르면서 조리대상물에 열을 전달하고 상기 배수공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에는 안착단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안착날개가 상기 안착단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에 상기 커버가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 양단에 하나씩 잠금구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양단을 동시에 눌러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구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아치형단면의 잠금구몸체와, 상기 잠금구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를 눌러주는 누름단과, 상기 누름단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상기 잠금구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한 잠금구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안착단에는 오버플로우 펜스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동되는 온수가 일정량 대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에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잠금구가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입수공이 상기 요철부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의 중앙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에는 돌출비드가 더 형성될 수 있어 조리대상물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배수공의 위치에서 조리대상물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틈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장치는 조리대상물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고 바닥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덮어 조리대상물이 상기 내부공간에 있도록 하고 상기 배수공 전체의 유동단면적보다 큰 전체 유동단면적을 가지는 다수개의 입수공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오버플로우 펜스가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입수공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들어가는 온수가 대기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안착단의 가장자리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는 잠금구가 각각 설치될 수 있어 상기 안착단에 안착된 커버의 가장자리를 눌러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게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커버의 중앙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터브가 구비되고 도어에 의해 내부가 개폐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을 가압하여 전달하는 펌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물의 온도를 설정하는 히터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터브의 내외부로 입출가능한 선반과, 상기 터브의 내부에서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선반에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된 물이 중력작용에 의해 통과하면서 열을 조리대상물에 전달하도록 하는 음식물 조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식물 조리장치는, 조리대상물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바닥에 배수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조리대상물이 있도록 하며 상기 배수공을 통해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온수의 양보다 더 많은 온수가 통과하는 입수공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에 상기 커버가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의 양단에 하나씩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양단을 동시에 눌러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잠금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구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아치형 단면의 잠금구몸체와, 상기 잠금구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를 눌러주는 누름단과, 상기 누름단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상기 잠금구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한 잠금구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안착단에는 오버플로우 펜스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동되는 온수가 일정량 대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게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요철부에는 입수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의 중앙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장치는 물이 중력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본체와 물이 중력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고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덮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조리대상물을 커버로 덮은 상태에서 온수가 중력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리대상물에 열을 전달하여 수비드 요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장치는 매우 간소화된 구성으로 수비드 요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에 형성된 배수공의 전체 유동단면적에 비해 커버에 형성된 입수공의 전체 유동단면적이 훨씬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전달된 온수가 내부공간 내에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머무르면서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조리대상물로 일정하게 열을 공급하여 수비드 요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수공과 입수공의 유동단면적 차이를 두면서 본체에 오버플로우펜스를 두어서, 일정 이상 공급된 온수는 오버플로우펜스를 넘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체의 내부공간에는 항상 일정량의 온수가 보유될 수 있고, 오버플로우 펜스를 넘은 온수는 재순환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조리장치를 식기세척기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식기세척기 내의 온수 공급시스템을 활용하여 수비드 요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수비드 요리 전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식기세척기의 온수제어시스템을 활용하여 수비드 요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조리장치를 식기세척기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분사노즐을 통해서 분사노즐 하부에 위치된 음식물 조리장치로 온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된 온수는 음식물 조리장치의 커버에 형성된 다수개의 입수공을 통해 내부공간의 조리대상물로 골고루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온수가 낙하되어 음식물 조리장치의 커버에 충돌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동은 열전달을 촉진하게 되어 온수로부터 조리대상물로 보다 신속하게 열이 전달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조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분리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단면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본체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잠금구를 사용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식물 조리장치가 채용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식기세척기에 음식물 조리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식기세척기에 음식물 조리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식물 조리장치가 식기세척기의 선반에 위치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음식물 조리장치와 선반의 설치가이드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보인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식물 조리장치에 조리대상물이 위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음식물 조리장치가 식기세척기에 장착되어 조리가 진행되는 것을 보이는 동작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음식물 조리장치에 온수가 낙하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보이는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식물 조리장치에 온수가 공급되면서 조리가 진행되는 것을 보이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례의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례의 음식물 조리장치는 조리대상인 음식물을 밀봉한 상태에서 소정 온도의 물속에 잠기게 하여 조리하는 액체침수요리(fluid immersion cooking)인 일명 수비드조리에 사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의 음식물 조리장치는 밀봉된 음식물, 즉 조리대상물(M)이 물에 잠긴 상태에서 정해진 온도로 일정 시간 이상 있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의 조리장치는 소정의 내부공간(12')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12')을 덮어주는 커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와 커버(3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내부공간(12') 내에 상기 조리대상물(M)이 위치되고, 상기 내부공간(12')에 소정 시간 동안 소정의 온도를 가지는 온수가 지속적으로 일정량 이상 있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12)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14)이 일체로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와 측벽(14)이 상기 내부공간(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본체(10)의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본체(10)가 납작한 육면체 형상의 내부공간(12')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 본체(10)는 다양한 형상의 내부공간(12')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납작한 원통형상으로 상기 내부공간(12')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를 형성하는 재료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12')의 형상과 상기 본체(10)의 외관은 거의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가 금속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물론, 다르게는 상기 본체(10)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는 본 발명의 조리장치가 놓여져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형상과 대응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식기세척기(50)의 선반(66)에 위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66)에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측벽(14)의 끝부분에는 안착단(1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안착단(16)은 상기 측벽(14)의 상부 부분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16)은 소정의 폭만큼 돌출된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단(16)은 상기 내부공간(12')의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16)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어 오버플로우 펜스(1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18)는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2')에 온수가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12')으로 공급될 온수를 모아두는 공간을 만드는 역할을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18)가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2')에서 배수되는 양보다 본체(10)로 공급되는 온수의 양이 많은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18)를 온수가 넘어서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2')에서 온수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배수공(20)이 상기 베이스(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공(20)은 상기 베이스(12)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상기 배수공(20)이 상기 측벽(1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측벽(14)에 배수공(2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되도록 상기 베이스(12)에 인접한 위치의 측벽(14)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내부공간(12')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온수가 남아 있지 않고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12)에는 돌출비드(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비드(22)는 상기 베이스(12)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비드(22) 근처에는 상기 배수공(2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돌출비드(22)는 조리대상물과 상기 베이스(12)의 표면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공(20)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배수공(20)의 전체 유동단면적은 아래에서 설명될 입수공(38)의 전체 유동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비드(22)는 조리대상물(M)이 완전히 베이스(12)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와 조리대상물(M)의 사이에 상기 돌출비드(22)가 틈새를 형성하여, 이 틈새에 있는 온수로 부터 조리대상물(M)로 열이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비드(22)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군데에만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돌출비드(22)는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갯수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 전체 영역에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돌출비드(22)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비드(22)는 반구형상으로 되어 상기 조리대상물(M)과 접촉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돌출비드(2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베이스(12)에 상기 배수공(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비드(22)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12)의 저면에는 도피용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를 금속판으로 만드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비드(22)의 형성을 위해 베이스(12)의 표면이 돌출되게 하면, 상기 베이스(12)의 저면에는 상기 도피용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피용홈(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선반(66)의 구성에 따라 그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도피용홈(22')이 있음으로 해서 선반(66)에 있는 설치가이드(67)와 상기 본체(10)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베이스(12)에 형성된 구성의 다른 실시례가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는 상기 베이스(12)에 형성되는 돌출비드(22)의 돌출방향이 지금과 반대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12)의 저면으로 돌출비드(22)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2)의 상면에서는 상기 돌출비드(22)와 대응되는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배수공(20)은 상기 돌출비드(22)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실시례의 돌출비드(22)와 배수공(2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서와 같은 기능을 위해 그 돌출방향과 그 형성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18)나 상기 안착단(16)의 일측에는 잠금구걸이슬롯(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구걸이슬롯(24)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18)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구걸이슬롯(24)에는 잠금구(26)가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구(26)는 그 구성이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잠금구(26)의 외관과 골격을 잠금구몸체(260)가 형성한다. 상기 잠금구몸체(260)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아치형 판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잠금구몸체(260)의 일측 끝부분에는 누름단(2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단(262)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의 일측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누름단(262)의 반대쪽에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잠금구걸이(26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잠금구걸이(264)는 상기 잠금구걸이슬롯(24)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잠금구(26)가 상기 본체(10)의 오버플로우 펜스(18)에 대해 소정 각도 만큼 회전하여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잠금구(26)는 상기 본체(1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의 양측을 상기 본체(10)의 안착단(16) 상에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들 잠금구(26)가 동시에 상기 커버(30)의 양측을 눌러줌에 의해 커버(30)가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커버(3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2')을 덮어주는 것이다. 상기 커버(30)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2')에 있는 조리대상물(M)이 상기 본체(10) 외부로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내부공간(12')의 입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평면도로 볼 때, 상기 커버(30)는 사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의 외관과 골격을 커버본체(3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32)는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사각판형상이다. 상기 커버본체(32)에는 요철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34)는 상기 커버본체(32)의 표면에서는 오목하게 들어가고, 상기 커버본체(32)의 저면에서는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32)의 저면으로 상기 요철부(34)가 돌출됨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2')에 있는 조리대상물(M)을 고정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조리대상물(M)의 두께가 충분한 경우에만, 상기 커버(30)에 의해 조리대상물(M)이 눌러질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커버(30)는 조리대상물(M)이 온수에 부력에 의해 떠서 본체(10) 외부로 가려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3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안착날개(3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안착날개(36)는 상기 본체(10)의 안착단(16)에 놓여지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날개(36)는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18)와 간섭되지 않는다. 즉,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18)의 내면에 상기 안착날개(36)의 끝부분이 인접하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4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32)에는 다수개의 입수공(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수공(38)은 상기 커버본체(32)의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수공(38)들의 전체 유동단면적은 상기 본체(10)의 배수공(20)에 비해 훨씬 넓게 되어 있다. 이는 상기 입수공(38)을 통해 온수가 상기 내부공간(12')으로 들어가서 바로 본체(10)의 내부공간(12')에서 배출되지 않고, 상기 내부공간(12')에서 소정 시간을 머무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배수공(20)을 통해 단위시간당 배출될 수 있는 온수의 양보다 상기 입수공(38)을 통해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되는 온수의 양이 훨씬 많도록 하여, 항상 상기 내부공간(12')에 일정 이상의 온수가 있어서 조리대상물(M)이 온수에 잠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수공(38)은 상기 커버본체(32)의 요철부(34) 등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날개(36)에는 상기 입수공(38)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안착날개(36)는 상기 본체(10)의 안착단(16)에 안착되므로, 상기 안착날개(36)에 입수공(38)이 있더라도 상기 내부공간(12')과 연통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안착날개(36)의 돌출폭을 넓게 해서 상기 안착날개(36)의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12')과 마주보는 경우에는, 이 부분에 입수공(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32)에는 손잡이(4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커버본체(32)의 중앙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커버본체(32)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커버본체(32)의 일측을 절개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40)가 형성됨에 의해 상기 커버본체(32)에는 손잡이통공(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통공(42)은 일종의 입수공(38)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통공(42)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서 상기 손잡이(40)를 잡아 커버(30)를 취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리장치는 수비드요리 전용 장치에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가전제품의 제어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하여 수비드요리를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를 사용하는 가전제품에 본 실시례의 조리장치를 넣고 수비드요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전제품의 예로서, 세탁기와 식기세척기(50)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이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50)를 사용하여 수비드요리를 하기 위해 본 발명 실시례의 조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례의 조리장치가 위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5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50)는 외관을 케이스(5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2)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전면으로 개방되게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의 공간은 도어(5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53)는 상기 케이스(52)의 하부 앞쪽에 연결된 힌지(도시되지 않음)를 중심으로 개폐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53)는 상기 케이스(52)에서 전방 바닥을 향해 회전되어 상기 케이스(52)의 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도어(53)는 상기 케이스(52)의 전방 바닥에서 회전되어 상기 케이스(52)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하여 케이스(52)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닫을 수 있다.
상기 케이스(52) 내부의 공간에는 터브(5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터브(54)는 내부에 물이 공급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터브(54)는 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도어(53)가 개방되면 내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터브(5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선반(62,64,66)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반(62,64,66)은 식기세척기(50)로의 사용 시에는 세척될 식기 들이 놓여지는 부분이다. 상기 선반(62,64,66)중 제3선반(66)에는 본 실시례의 조리장치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터브(54)의 하부에는 섬프(5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섬프(56)는 물이 모일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을 가져서 물을 모아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섬프(56)는 모인 물에서 이물이 걸러져서 재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섬프(56)의 하부에는 펌프(5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펌프(58)는 물을 가압하여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펌프(58)는 외부에서 공급된 물과 상기 섬프(56)를 거쳐 재순환되는 물을 가압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분사노즐(68,70,72)로 보낼 수 있다.
상기 펌프(58)로 공급되는 물이나 펌프(58)에서 나온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60)의 위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리 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펌프(58)에 의해 물이 펌핑되기 전에 히터(60)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펌프(58)를 나온 물은 밸브(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유로가 달리되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54) 내에는 높이차를 두고 제1선반(62), 제2선반(64), 제3선반(66)이 차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반(62,64,66)의 갯수는 식기세척기(50)의 크기에 따라 달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선반(64)과 제3선반(66)만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선반(62)과 제2선반(64)은 상기 터브(54)의 양측 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도면부호 부여않음)을 따라 서랍식으로 입출될 수 있다. 상기 제3선반(66)은 가장 크기가 큰 것으로 다수개의 롤러(6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선반(66)은 상기 롤러(66')에 의해 상기 도어(53)가 개방되었을 때, 도어(53)의 내면을 따라 내외부로 입출될 수 있다. 상기 선반(62,64,66)들은 주로 소정의 굵기를 가지는 와이어를 결합하여 만들어져서 물이 원활하게 통과하면서 세척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선반(66)에는 설치가이드(67)가 눕혀지거나 세워질 수 있도록 있을 수 있다.(도 12 참고) 필요한 경우, 상기 설치가이드(67)를 직립되게 세워서 그릇 등을 지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설치가이드(67)가 눕혀졌을 때, 상기 본체(10)의 도피용홈(22')과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본체(10)를 설계할 때, 상기 본체(10)의 크기를 상기 제3선반(66) 내에 위치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크기가 큰 선반이 제3선반(66)이고, 가장 아래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브(54) 내에는 제1분사노즐(68), 제2분사노즐(70), 제3분사노즐(72)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분사노즐(68,70,72)은 상기 선반(62,64,66)의 갯수에 따라 갯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들 분사노즐(68,70,72)은 그 형태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분사노즐(68)은 터브(54)의 가장 상부에 있는 것으로, 물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는 파이프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분사노즐(70)과 제3분사노즐(72)은 직선의 막대 또는 십자 형태로 되어 회전하면서 다수개의 구멍을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들 분사노즐(68,70,72)의 형상은 물을 분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한편, 상기 분사노즐(68,70,72)로는 유로관(74)을 통해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유로관(74)은, 예를 들면 상기 터브(54)의 일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로관(74)에 상기 분사노즐(68,70,72)이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유로관(74)으로는 상기 펌프(58)에 의해 물이 펌핑되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밸브를 통해 물이 각각의 분사노즐(68,70,72)로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분사노즐(70)로만 물이 전달되게 하거나, 제1분사노즐(68)과 제2분사노즐(70)에 물이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조합으로 또는 하나의 분사노즐(68,70,72)에만 물이 전달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노즐(68,70,72) 중에서 상기 제1분사노즐(68)은 상기 터브(54)의 가장 상부에 위치되어 하부로 물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2분사노즐(70)은 상기 제2선반(64)의 하부 또는 상기 제3선반(66)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분사노즐(72)은 상기 제3선반(66)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분사노즐(70)에서 분사되는 온수가 주로 상기 제3선반(66)에 있는 조리장치의 본체(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2')에 조리대상물(M)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조리대상물(M)은 외부와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진공포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리대상물(M)을 포장함에 의해, 조리대상물(M)이 온수와 직접 닿아 육즙이 빠지는 등의 문제가 없도록 하고, 온수에 의해 조리대상물(M) 원래의 풍미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가 상기 본체(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대상물(M)을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2')에 넣는다. 상기 조리대상물(M)은 그 크기나 두께 등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2')에 놓여지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조리대상물(M)이 상기 본체(10)의 배수공(20)을 막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는 상기 커버(30)와 본체(10)를 통과하는 온수의 양이 일정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조리대상물(M)에 의해 상기 배수공(20)이 막히게 되면, 온수의 배출과 공급이 설계된 대로 되지 않아서, 본체(10)의 내부공간(12') 내에 있는 온수의 온도가 설정된 값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2') 내에 조리대상물(M)을 안착시킨 이후에는, 상기 커버(30)를 닫는다. 상기 커버(30)는 그 안착날개(36)가 상기 본체(10)의 안착단(16) 상에 놓여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잠금구(26)를 회전시켜, 상기 잠금구(26)의 누름단(262)이 상기 안착날개(36)를 눌러주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구(26)가 동작되는 것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좌측에는 상기 잠금구(26)가 상기 커버(30)를 누르지 않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30)를 상기 본체(10)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잠금구(26)를 회전시켜, 상기 잠금구(26)의 누름단(262)이 상기 커버(30)의 안착날개(36)를 눌러주게 된다. 상기 잠금구(26)는 상기 커버(30)의 양측에서 동시에 상기 안착날개(36)를 눌러주게 되어 상기 커버(30)가 상기 본체(10)에 대해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는 상기 식기세척기(50)의 제3선반(66)에 본 발명 실시례의 조리장치인 커버(30)가 닫힌 본체(10)로 안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도어(53)를 개방하고, 상기 도어(53)의 배면을 따라 상기 제3선반(66)이 상기 케이스(52)의 외부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케이스(52)의 외부로 나온 제3선반(66)에 본 발명 실시례의 조리장치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는 도 9에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53)를 닫아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선반(62,64,66)들이 모두 케이스(52)의 터브(54) 내부로 들어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3선반(66)에는 본 발명 실시례의 조리장치를 구성하는 본체(10)가 안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도피용홈(22')에는 도 12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눕혀져 있는 설치가이드(67)가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본체(10)가 기울어짐 없이 상기 제3선반(66)에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본체(10)가 수평을 맞춰서 상기 제3선반(66)에 설치됨에 의해 상기 커버(30)와 본체(10)를 통해서 온수의 유동이 설계된 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례의 조리장치가 상기 제3선반(66)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52)의 내부에 들어간 것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본체(10)가 상기 제3선반(66)에 안착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30)에 형성된 입수공(38)을 통한 온수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배수공(20)을 통한 온수의 이동 또한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선반(66)에 본 발명 실시례의 조리장치가 얹어져 있어서, 배수공(20)과 입수공(38)이 모두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입수공(38)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온수가 들어가는 것과 상기 배수공(20)을 통해 온수가 내부공간(12')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상기 제2분사노즐(70)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는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2')으로 들어가고 배출되는 것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입수공(38)의 전체 유동단면적이 상기 배수공(20)의 전체 유동단면적보다 훨씬 커서, 단위 시간당 상기 내부공간(12')으로 들어가는 온수는 양이 상대적으로 많고, 상기 내부공간(12')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온수는 양이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12')에는 온수가 가득 찰 수 있다.
만약, 상기 내부공간(12')에 온수가 가득차면, 상기 배수공(20)을 통해 내부공간(12')에서 배출되는 양만큼의 온수가 상기 입수공(38)을 통해 내부공간(12')으로 들어갈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2분사노즐(70)을 통해서 온수를 계속해서 공급해서, 상기 입수공(38)을 통해 필요한 양(배수공(20)을 통해 배출되는 양)만큼의 온수가 내부공간(12')으로 들어가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오버플로우 펜스(18)가 있어서, 상기 커버(30)와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18)가 형성하는 공간에 소정 양의 온수가 있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18)가 없다면, 상기 커버(30)에는 상기 요철부(34)의 체적에 해당되는 양만큼의 온수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 있는 온수가 상기 배수공(20)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를 대신해서 내부공간(12')으로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18)가 있음으로 해서, 상기 내부공간(12')으로 들어가기를 대기하고 있는 온수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져서, 상기 내부공간(12') 내에 있는 온수양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4에는 식기세척기(50) 내에서, 예를 들어 상기 제2분사노즐(70)을 통해 공급된 온수가 상기 커버(30)를 거쳐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2')으로 들어가고, 상기 내부공간(12')에서 상기 본체(10)의 배수공(20)을 통해 중력에 의해 배출되는 것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2')을 통과하는 온수가 일정하게 되면, 상기 온수로부터 조리대상물(M)로 열이 전달되고, 온도가 낮아진 온수가 배수공(2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동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2') 내에서는 조리대상물(M)로 일정하게 열이 전달될 수 있어서, 수비드요리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2')에서 중력방향으로 빠져나온 온수는 상기 섬프(56)에 모이게 되고, 이물질이 필터링된 상태로 히터(60)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온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의 온도로 만들어진 온수는 상기 펌프(58)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유로관(74)을 통해, 예를 들면 상기 제2분사노즐(7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분사노즐(70)로 공급된 온수는 본 발명 실시례의 조리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분사노즐(70)에서 분사된 온수가 상기 커버(30)에 낙하되고, 상기 커버(30) 상에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18)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에 위치되었다가, 상기 입수공(38)을 통해 내부공간(12')으로 들어갈 수 있다. 물론,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18)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온수가 가득차 있고, 상기 배수공(20)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의 양보다 많은 양이 공급되면,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18)를 넘어서 외부로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2')으로 상기 입수공(38)을 통해 온수가 공급되고, 내부공간(12')에서 열을 조리대상물(M)로 전달하고 배수공(20)을 통해 외부로 온수가 배출되는 것과 오버플로우 펜스(18)를 넘어서 온수가 넘치는 것을 도 16에 화살표 들로 표시하였다. 이와 같이 배출된 온수는 위에서 설명된 재순환과정을 거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분사노즐(70)에서 분사된 온수는 상기 커버(30) 상에 낙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수가 낙하되어 상기 커버(30) 상에 부딪히게 되면,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온수가 낙하하여 발생하는 진동은 도 15에서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이와 같이 온수가 낙하하면서 발생시킨 진동은 온수와 조리대상물(M) 사이에서의 열전달이 보다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음파의 전파속도가 빠를 수록 진동자 부근의 압력변화 추이가 심하게 나타나고, 음파의 전파속도가 빠를 수록 액체 내에서 발생하는 음압분포가 높아진다는 특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액상에서 발생하는 음압을 수치적해법(FE-BEM)을 이용하여 계산하여 진동이 발생할 수록 열전달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하면 진동으로 인해 열전달은 향상될 수 있는데, 온수가 낙하되어 커버(30) 상에 떨어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은 다양한 주파수를 생성하면서 열전달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수비드요리 초기에 온수를 조리에 필요한 온도가 되도록 해야 하는데, 상기 히터(60)의 순간가열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단시간에 온수의 온도를 원하는 값까지 높여야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전체 조리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히터(60) 동작 후에 온수가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히터(60)보호를 위해 히터(60)를 끈다. 그리고, 히터(60)를 재동작할 때에는 최대파워에서 동작을 시작한다. 최대파워의 계산은 온수발생 동작시작 수초(예를 들면 2초) 이상에서 목표온도 도달시간 단축 유량 안정화를 한 후 최대파워를 계산한다. 최대 파워를 조절하여 목표 온도 이상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히터(60)의 최대파워는 목표온도와 입수되는 온도의 차이값을 확인해서 조정한다. 목표온도에 도달하는 오차를 0으로 만들기 위해 PID 제어로 온도 피드백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식기세척기(50)에서 수비드 요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비드 요리를 위한 동작알고리즘이 식기세척기(50)의 제어부에 있어야 한다. 새로 출시되는 식기세척기(50)에서는 미리 수비드 요리를 수행하기 위한 동작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미 출시되어 판매된 식기세척기(50)의 경우는, 온라인 상으로 해당 동작알고리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처럼, 동작알고리즘이 식기세척기(50)에 주어지고 나면, 사용자는 위에서와 같이 조리장치를 식기세척기(50)에 장착하고, 수비드 요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씽큐(ThinQ) 앱을 통해서 재료를 선택하고, 원하는 숙성정도를 선택하면, 알맞은 온도와 동작시간이 결정되어, 수비드 요리가 진행될 수 있다. 수비드 요리의 진행이 끝나면 배수하고 상기 본체(10)에서 커버(30)를 제거하여 조리대상물(M)을 꺼내게 된다.
물론, 수비드 요리가 진행되고 배수를 진행한 후에, 조리대상물(M)을 냉각시키기 위해 소정의 온도를 가지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리대상물(M) 및 상기 터브(54) 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한 후에 조리대상물(M)을 냉각하게 되면, 조리대상물(M)에 대한 세균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대상물(M) 내부의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 Wifi온도계(탐침)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Wifi 온도계를 통해 제어시간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 본체 12: 베이스
12': 내부공간 14: 측벽
16: 안착단 18: 오버플로우 펜스
20: 배수공 22: 돌출비드
22': 도피용홈 24: 잠금구걸이슬롯
26: 잠금구 260: 잠금구몸체
262: 누름단 264: 잠금구걸이
30: 커버 32: 커버본체
34: 요철부 36: 안착날개
38: 입수공 40: 손잡이
50: 식기세척기 52: 케이스
53: 도어 54: 터브
56: 섬프 58: 펌프
60: 히터 62: 제1선반
64: 제2선반 66: 제3선반
66': 롤러 67: 설치가이드
68: 제1분사노즐 70: 제2분사노즐
72: 제3분사노즐 74: 유로관
M: 조리대상물

Claims (20)

  1. 조리대상물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일방향으로 개구되고 배수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덮어 조리대상물이 상기 내부공간에 있도록 하고 상기 배수공을 통해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온수의 양보다 더 많은 온수가 통과하는 입수공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공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입수된 온수가 상기 내부공간에 머무르면서 조리대상물에 열을 전달하고 상기 배수공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조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에는 안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안착날개가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는 음식물 조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커버가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 양단에 하나씩 잠금구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양단을 동시에 눌러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음식물 조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아치형단면의 잠금구몸체와, 상기 잠금구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를 눌러주는 누름단과, 상기 누름단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상기 잠금구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한 잠금구걸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조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안착단에는 오버플로우 펜스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동되는 온수가 일정량 대기할 수 있는 음식물 조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에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잠금구가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음식물 조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수공이 상기 요철부에 다수개 형성되는 음식물 조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중앙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되는 음식물 조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에는 돌출비드가 더 형성되어 조리대상물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배수공의 위치에서 조리대상물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틈새를 제공하는 음식물 조리장치.
  10. 조리대상물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고 바닥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덮어 조리대상물이 상기 내부공간에 있도록 하고 상기 배수공 전체의 유동단면적보다 큰 전체 유동단면적을 가지는 다수개의 입수공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음식물 조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오버플로우 펜스가 형성되어 상기 입수공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들어가는 온수가 대기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음식물 조리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안착단의 가장자리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음식물 조리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는 잠금구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안착단에 안착된 커버의 가장자리를 눌러 고정하는 음식물 조리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게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중앙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되는 음식물 조리장치.
  15. 내부에 터브가 구비되고 도어에 의해 내부가 개폐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을 가압하여 전달하는 펌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물의 온도를 설정하는 히터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터브의 내외부로 입출가능한 선반과,
    상기 터브의 내부에서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선반에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된 물이 중력작용에 의해 통과하면서 열을 조리대상물에 전달하도록 하는 음식물 조리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조리장치는, 조리대상물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바닥에 배수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조리대상물이 있도록 하며 상기 배수공을 통해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온수의 양보다 더 많은 온수가 통과하는 입수공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커버가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의 양단에 하나씩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양단을 동시에 눌러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잠금구를 더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아치형 단면의 잠금구몸체와, 상기 잠금구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를 눌러주는 누름단과, 상기 누름단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상기 잠금구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한 잠금구걸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안착단에는 오버플로우 펜스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 펜스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동되는 온수가 일정량 대기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게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에는 입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중앙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20117753A 2022-09-19 2022-09-19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240039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753A KR20240039335A (ko) 2022-09-19 2022-09-19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PCT/KR2023/009851 WO2024063279A1 (ko) 2022-09-19 2023-07-11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가전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753A KR20240039335A (ko) 2022-09-19 2022-09-19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335A true KR20240039335A (ko) 2024-03-26

Family

ID=90454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753A KR20240039335A (ko) 2022-09-19 2022-09-19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9335A (ko)
WO (1) WO202406327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844B1 (ko) 2005-03-17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과일세척용 랙
WO2017083664A2 (en) 2015-11-11 2017-05-18 Liss Robin Apparatus and methods for at least semi-autonomous meal storage and cooking via fluid immersion
KR20200047526A (ko) 2017-07-12 2020-05-07 홈 테크 이노베이션, 아이엔씨 요리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음식 카트리지 및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618Y1 (ko) * 2000-10-09 2001-10-25 전한실업주식회사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GB2381442A (en) * 2001-11-03 2003-05-07 Christopher Bridges Combined oven and dishwasher using a single chamber for both functions
CN101006836B (zh) * 2006-01-27 2011-05-11 本视力(香港)有限公司 健康电饭煲及去除大米中淀粉的方法
KR20170064451A (ko) * 2015-12-01 2017-06-09 아사히 가세이 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식품 보존용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844B1 (ko) 2005-03-17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과일세척용 랙
WO2017083664A2 (en) 2015-11-11 2017-05-18 Liss Robin Apparatus and methods for at least semi-autonomous meal storage and cooking via fluid immersion
KR20200047526A (ko) 2017-07-12 2020-05-07 홈 테크 이노베이션, 아이엔씨 요리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음식 카트리지 및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63279A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9127B2 (ja) 加熱調理器
CN107105936B (zh) 用于制备食物的装置和方法
CN100536736C (zh) 自动涂覆油脂的煎炸锅
CA1295360C (en) Food treatment cabinet with flash steamer
JP5009959B2 (ja) 蒸気投入型コンベアオーブン
US6827004B2 (en) Drip coffee maker with horizontal spray shower head
KR20150109944A (ko) 식기세척기
EP2720589B1 (en) Roasting oven
KR20240039335A (ko) 음식물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JP2021196090A (ja) 加熱調理器
TWI599335B (zh) 烹調機
JP2021004693A (ja) 加熱調理器
JP7174582B2 (ja) 調理庫の洗浄機能付き加熱調理器
JP7161897B2 (ja) 加熱調理器
JP7174583B2 (ja) 加熱調理器
JP7261690B2 (ja) 加熱調理器
US20220000310A1 (en) Appliance for preparing chopped-up food cooked in the presence of fat
JP7222826B2 (ja) 加熱調理器
JP2011058677A (ja) 加熱調理器
KR20200009239A (ko) 식기세척기
JP7261673B2 (ja) 加熱調理器
CN213850213U (zh) 炸锅组件及空气炸锅
KR102392404B1 (ko) 전기압력밥솥
JP2019138571A (ja) 加熱調理器
JPH076603U (ja) 蒸気調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