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041B1 - 카트리지, 카트리지 유닛 및 액체 분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카트리지 유닛 및 액체 분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041B1
KR102178041B1 KR1020197036242A KR20197036242A KR102178041B1 KR 102178041 B1 KR102178041 B1 KR 102178041B1 KR 1020197036242 A KR1020197036242 A KR 1020197036242A KR 20197036242 A KR20197036242 A KR 20197036242A KR 102178041 B1 KR102178041 B1 KR 102178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artridge
unit
fluid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713A (ko
Inventor
요시히로 고이즈미
히로유키 나카무라
아유미 요코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8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41J2/1753Details of contacts on the cartridge, e.g. protection of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6Means for regulating the pressure in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41J2002/17516Inner structure comprising a collapsible ink holder, e.g. a flexible bag

Landscapes

  • Ink Jet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카트리지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부와, 카트리지의 액체 분사 장치로의 장착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오목부와, 오목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는 유체 수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카트리지 유닛 및 액체 분사 시스템{CARTRIDGE, CARTRIDGE UNIT, AND LIQUID SPRAY SYSTEM}
본 발명은 카트리지에 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체 분사 장치의 홀더(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카트리지는 내부에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팩(ink pack)과, 프린터의 에어 연통구(air communication port)에 접속되고 가압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 유입구(유체 수납부(fluid receiving portion))를 갖는다. 에어 연통구 및 에어 유입구를 거쳐서 카트리지 내에 이송된 가압 공기에 의해 잉크 팩이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잉크 팩 내의 잉크가 프린터에 공급된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11-235652 호
상기 기술에 있어서, 유체 수납부는 카트리지 중 2 방향이 개구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 수납부에 대해서,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여러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접촉하는 등에 의해 유체 수납부에 외력이 가해져, 유체 수납부가 변형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유체 수납부에 이물이 부착함으로써, 유체 수납부로서의 기능을 해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착탈시에, 누설된 잉크가 에어 주입구나 그 주위에 부착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수납부에 대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저비용화, 자원 절약화, 제조의 용이화, 사용 편리성의 향상 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가압 유체를 공급하는 가압 기구와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부를 구비하는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flexible)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액체 분사 장치로의 장착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는 유체 수납부를 구비한다.
본 형태에 따르면, 유체 수납부가 장착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 수납부에 직접 외력이 가해지거나 유체 수납부에 액체 등의 이물이 부착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2)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는 제 1 장치측 위치 결정부와 맞물리는 제 1 위치 결정부와,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와 맞물리는 제 2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수납부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 사이에 위치해도 좋다.
본 형태에 따르면, 제 1 위치 결정부와 제 2 위치 결정부 사이의 위치에 유체 수납부가 위치하므로, 유체 수납부의 액체 분사 장치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수납부는 복수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본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유체 수납부가 직접 외력을 받거나, 복수의 유체 수납부에 액체 등의 이물이 부착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4)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는, 상기 액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를 향하여 도출하는 액체 도출부로서, 소정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을 갖는 액체 도출부를 더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유체 수납부는 제 1 유체 수납부와 제 2 유체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체 수납부와 상기 제 2 유체 수납부는, 상기 중심축을 관통하고, 또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의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에서 수직 방향에 평행한 가상 평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형태에 따르면, 액체 도출부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가상 평면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유체 수납부가 배치됨으로서, 카트리지가 액체 도출부를 중심으로 해서 경사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5)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는, 복수의 상기 유체 수납부 중 적어도 1개에 의해 상기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의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는 가압실로서, 상기 액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하기 위해서, 공급된 상기 가압 유체에 의해 상기 액체 수용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실과, 복수의 상기 유체 수납부 중 다른 적어도 1개에 의해 상기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의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는 교반(攪拌)부로서, 상기 액체 수용부를 가압해서 상기 액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형태에 따르면, 가압 유체를 이용해서, 액체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의 액체 분사 장치로의 공급과 액체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의 교반을 실시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카트리지 유닛이 제공된다. 본 카트리지 유닛은 제 1 카트리지로서의 상기 형태로 기재된 카트리지와, 제 2 카트리지로서의 상기 형태로 기재된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의 상기 가압실이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카트리지의 상기 가압실은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지 않고, 상기 제 1 및 제 2 카트리지의 각각은 상기 가압실이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지 않을 때에, 상기 교반부가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는다.
본 형태에 따르면, 가압실이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지 않을 때에, 교반부에 의해 액체 수용부의 액체를 교반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액체 분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액체 분사 시스템은 액체 분사 장치와, 상기 형태로 기재된 카트리지 또는 상기 형태로 기재된 카트리지 유닛을 구비한다.
본 형태에 따르면, 유체 수납부에 직접 외력이 가해지거나 유체 수납부에 액체 등의 이물이 부착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 형태가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는 모두가 필수의 것은 아니고,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혹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서, 적절히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의 일부의 구성 요소에 대해, 그 변경, 삭제, 새로운 다른 구성 요소와의 교체, 한정 내용의 일부 삭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혹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포함되는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포함되는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와 조합해서, 본 발명의 독립된 일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액체 수용부와, 유체 수납부와, 오목부의 복수의 요소 중 1개 이상의 요소를 갖는 장치이어도 실현 가능하다. 즉, 본 장치는 액체 수용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갖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장치는 오목부를 갖고 있어도 좋고, 갖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장치의 소형화, 저비용화, 자원 절약화, 제조의 용이화, 사용 편리성의 향상 등의 여러 과제 중 적어도 1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카트리지 또는 액체 분사 시스템의 각 형태의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는 모두 본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형태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고, 카트리지, 액체 분사 시스템 외에,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카트리지의 액체 소비 장치에의 장착 구조, 액체 공급 장치 등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액체 분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제 1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카트리지 장착부의 제 2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카트리지로부터 제 2 케이스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7은 카트리지의 전면(前面)측의 제 1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카트리지의 전면측의 제 2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카트리지의 전면측의 제 3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카트리지의 도 10의 F11-F11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 형태로서의 액체 분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 1 변형예로서의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 제 1 실시 형태:
A-1. 액체 분사 시스템(1)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액체 분사 시스템(1)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공간축인 XYZ축이 그려져 있다. X축, Y축, Z축의 화살표가 향하고 있는 방향은 각각 X축, Y축, Z축을 따르는 정(+)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X축, Y축, Z축을 따르는 정(+)의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한다. X축, Y축, Z축의 화살표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이 각각 X축, Y축, Z축을 따르는 부(-)의 방향이다. X축, Y축, Z축을 따르는 부(-)의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한다. X축, Y축, Z축을 따르는 방향에서 정부를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것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이라고 부른다. 이 이후에 나타내는 도면 및 설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른 도면에 그려진 XYZ축은 도 1의 XYZ축에 방향이 대응하고 있다. 액체 분사 시스템(1)(프린터(20))의 사용 상태에서는, +Z축 방향이 수직 상 방향으로 되고, -Z축 방향이 수직 하 방향으로 된다. 여기서, 「액체 분사 시스템(1)(프린터(20))의 사용 상태」란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수평의 설치면에 액체 분사 시스템(1)이 설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액체 분사 시스템(1)은 액체 분사 장치로서의 프린터(20)와, 4개의 카트리지(4C, 4M, 4Y, 4K)를 구비한다. 프린터(20)는 액체로서의 잉크를 액체 분사부로서의 기록 헤드(225)로부터 토출(분사)하는 잉크젯 프린터이다. 여기서, 4개의 카트리지(4C, 4M, 4Y, 4K)를 구별하지 않고 이용하는 경우에는 부호 「4」를 이용한다. 또, 카트리지(4)는 「어댑터(4)」라고도 부를 수 있다.
프린터(20)는 대략 직사각형 박스 형상의 본체 케이스(212)와, 본체 케이스(212) 내에 배치된 제어부(230)를 구비한다. 제어부(230)는 프린터(20)의 각종 동작(예를 들면, 인쇄 동작)의 제어를 실시하거나, 카트리지(4)와의 사이에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한다.
본체 케이스(212) 내에는, 플래튼(platen)(213)이 본체 케이스(212)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르도록 배열되어 있다. 플래튼(213)은 분사 대상물로서의 기록용지(P)를 지지하는 지지대이다. 플래튼(213) 상에는, 도시하지 않는 종이 이송 기구에 의해 기록용지(P)가 주주사 방향(X축 방향)과 직교하는 부주사 방향을 따라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프린터(20)는 가이드 축(214)과, 캐리지(215)와, 구동 풀리(drive pulley)(216)와, 피구동 풀리(driven pulley)(217)와, 캐리지 모터(218)를 더 구비한다.
가이드 축(214)은 플래튼(213)보다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가이드 축(214)은 주주사 방향을 따르는 봉 형상의 부재이다. 가이드 축(214)에는 캐리지(215)가 가이드 축(214)을 따라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구동 풀리(216) 및 피구동 풀리(217)는 가이드 축(214)보다 -Y축 방향측에 위치하며 가이드 축(214)의 양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 풀리(216)에는 캐리지 모터(218)가 연결됨과 아울러, 한 쌍의 풀리(216, 217) 사이에는 캐리지(215)를 지지한 무단(endless) 형상의 타이밍 벨트(219)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지(215)는 캐리지 모터(218)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 축(214)을 따라서 주주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헤드(225)는 주주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록 헤드(225)는, X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위치가 고정된 라인 헤드이어도 좋다.
프린터(20)는 카트리지(4)를 자유롭게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부(홀더)(6)를 더 구비한다. 카트리지 장착부(6)는 본체 케이스(21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12)의 일부분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개폐 가능한 일부분을 개방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카트리지(4)의 착탈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6)는 본체 케이스(21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장착부(6)는 본체 케이스(21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카트리지 장착부(6)는 4개의 카트리지(4C, 4M, 4K, 4Y)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다. 카트리지(4K)는 흑색의 잉크를 수용한다. 카트리지(4C)는 시안색의 잉크를 수용한다. 카트리지(4M)는 마젠타 잉크를 수용한다. 카트리지(4Y)는 황색의 잉크를 수용한다. 각 잉크는 물 등의 분산매와 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안료 잉크이다. 4개의 카트리지(4C, 4M, 4Y, 4K)에 대응해서, 프린터(20)는 4개의 액체 유통로(223)를 구비한다. 액체 유통로(223)는 튜브이다. 액체 유통로(223)는 카트리지(4)와 기록 헤드(225)를 연통시킨다.
카트리지(4)는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 경우, 각각 대응하는 각 액체 유통로(223)의 상류단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각 액체 유통로(223)의 하류단은 캐리지(215) 상에 탑재된 밸브 유닛(224)의 상류측과 각각 접속된다. 밸브 유닛(224)의 하류측은 캐리지(215)의 하면측(-Z축 방향측)에 마련된 액체 분사 헤드로서의 기록 헤드(225)에 접속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4)에 수용된 잉크는 액체 유통로(223)를 통해서 기록 헤드(225)에 공급된다.
카트리지 장착부(6)와 플래튼(213) 사이에는, 기록 헤드(225)의 퇴피 위치로 되는 홈 포지션(HP)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의 개시전 등에는, 이 홈 포지션(HP)에 있어서, 기록 헤드(225)에 대한 클리닝 등, 각종 보수 처리가 실행된다.
프린터(20)는 카트리지(4)에 가압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 기구(280)를 더 구비한다. 가압 기구(280)는 본체 케이스(21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 기구(280)는 가압 유체로서의 가압 공기의 공급원인 가압 펌프(226)와, 가압 공기를 카트리지(4)에 유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체 유통로(227)를 구비한다.
가압 펌프(226)는 유체 유통로(227)의 상류단에 접속되어 있다. 유체 유통로(227)는 튜브이다. 유체 유통로(227)는 가압 펌프(226)의 하류측에 배열된 분배기(228)를 경계로 분기되어 있다. 분기된 유체 유통로(227)의 하류단은 각각 대응하는 카트리지(4)에 접속되어 있다.
카트리지(4C, 4M, 4Y)에 대응하는 유체 유통로(227C, 227M, 227Y)는 1개씩 마련되어 있다. 한편으로, 카트리지(4K)에 대응하는 유체 유통로(227K)는 밸브(V)보다 하류측(카트리지(4K)측)에서 3개로 분기되어 있다. 3개로 분기된 유로를 제 1 유체 유통로(227K1), 제 2 유체 유통로(227K2), 제 3 유체 유통로(227K3)로도 부른다. 제어부(230)는 가압 펌프(226)나 밸브(V) 등의 가압 기구(28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유체 유통로(227)를 통해서 가압 유체를 카트리지(4)에 공급한다.
유체 유통로(227K1, 227C, 227M, 227Y)는 카트리지(4)에 수용된 잉크를 기록 헤드(225)에 공급하기 위한 가압 공기를 유통시킨다. 유체 유통로(227K1, 227C, 227M, 227Y)는 카트리지(4)의 후술하는 가압실에 가압 공기를 유통시킨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의 액체 수용부가 가압된다. 액체 수용부가 가압됨으로써, 액체 유통로(223)를 통해 잉크가 기록 헤드(225)에 공급된다.
제 2 유체 유통로(227K2)와 제 3 유체 유통로(227K3)는 카트리지(4K)의 액체 수용부를 교반하기 위한 가압 공기를 유통시킨다. 상세하게는, 제 2 유체 유통로(227K2)와 제 3 유체 유통로(227K3)는 카트리지(4K)의 후술하는 교반용 부재에 가압 공기를 유통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4K)에 대응하는 유체 유통로(227K1~227K3)는 3개 마련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체 유통로(227K)는 2개 이하이어도 좋고, 4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4C, 4M, 4Y)에 대응하는 유체 유통로(227C, 227M, 227Y)는 1개씩 마련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4K)와 마찬가지로 3개 마련되어도 좋고, 그 이외의 수만큼 마련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유체 유통로(227K1, 227K2, 227K3, 227C, 227M, 227Y)는 공통의 가압 펌프(226)로부터 가압 공기가 이송되고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압 펌프(226)는 각 유체 유통로(227K1, 227K2, 227K3, 227C, 227M, 227Y)에 대응해서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A-2. 카트리지 장착부의 상세 구성:
도 2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1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2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내부의 구성을 시인할 수 있도록, 일부의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장착 방향은 -Y축 방향이다.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의 분리(떼어냄) 방향은 +Y축 방향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이하에 설명하는 6개의 벽부에 의해 카트리지(4)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수용실(61)을 형성한다. 카트리지 수용실(61)은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또한, 카트리지 수용실(61) 중, 4개의 카트리지(4C, 4M, 4Y, 4K) 중 하나를 수용하는 부분을 각각 슬롯이라고도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K)를 수용하는 부분을 슬롯(61K)이라 하고, 카트리지(4C)를 수용하는 부분을 슬롯(61C)이라 하고, 카트리지(4M)를 수용하는 부분을 슬롯(61M)이라 하고, 카트리지(4Y)를 수용하는 부분을 슬롯(61Y)이라 한다.
카트리지 장착부(6)는 장치측 전벽(前壁)부(62)와, 제 1 장치측 측벽(側壁)부(63)와, 제 2 장치측 측벽부(64)를 구비한다. 또, 카트리지 장착부(6)는 제 3 장치측 측벽부(65)와, 제 4 장치측 측벽부(66)와, 개구 벽부(61A)를 구비한다. 이러한 6개의 벽부(62, 63, 64, 65, 66, 61A)에 의해 카트리지 수용실(61)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6개의 벽부(62, 63, 64, 65, 66, 61A)의 외형은 각각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측 전벽부(62)는 카트리지 수용실(61)에 대해서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장치측 전벽부(62)는 프린터(20)의 사용 상태에서, 수직인 벽부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장치측 단자부(69)와, 액체 공급 기구(640)와, 액체 공급용 가압부(67)와, 제 1 장치측 위치 결정부(82)와,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4)와, 장치측 고정 구조(75)를 갖는다. 각 부(69, 640, 67, 82, 84, 75)는 장치측 전벽부(62)에 마련되어 있다. 각 부(69, 640, 67, 82, 84, 75)는 각 카트리지(4C, 4M, 4Y, 4K)에 대응해서 슬롯(61C, 61M, 61Y, 61K)마다 마련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 장착부(6)는 카트리지(4K)에 대응해서 제 1 교반용 가압부(70)와 제 2 교반용 가압부(72)를 구비한다. 제 1 교반용 가압부(70)와 제 2 교반용 가압부(72)는 장치측 전벽부(62)에 마련되어 있다.
장치측 단자부(69)는 액체 공급 기구(640)보다 수직 상측(+Z축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장치측 단자부(69)는 장치측 단자(692)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측 단자(692)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9개) 마련되어 있다. 장치측 단자(692)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측 단자(692)는 판 스프링(leaf spring)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장치측 단자(692)는 Y축 방향과 Z축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면을 따라서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치측 단자(692)는 카트리지(4)의 후술하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접촉함으로써, 카트리지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장치측 단자부(69)는 도시하지 않는 배선에 의해 프린터(20)의 제어부(2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서, 카트리지(4)와 제어부(230) 사이에서 각종 신호(예를 들면, 잉크 잔량에 관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액체 공급 기구(640)는 커버 부재(650)와, 액체 공급부(액체 수입관)(643)를 구비한다. 액체 공급부(643)는 카트리지(4) 내의 잉크를 프린터(20) 측에 유통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액체 공급부(643)는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중심축(CT)을 갖는 관 형상이다. 액체 공급부(643)는 카트리지(4)에 접속된다.
커버 부재(650)는 중심축(CT)을 중심으로 한 액체 공급부(643)의 주위를 둘러싼다. 커버 부재(650)는 카트리지(4)의 착탈시에 외부로 잉크가 흩어 날릴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한 부재이다. 커버 부재(650)는 액체 공급 기구(640)가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는 프레싱(pressing) 부재(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Y축 방향측으로 프레싱되어 있다. 커버 부재(650)는 Y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카트리지(4)가 장착될 때에는, 카트리지(4)가 당접됨으로써 프레싱 부재의 프레싱 힘에 대항해서 커버 부재(65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643)의 +Y축 방향측 단부가 커버 부재(650)보다 +Y축 방향측으로 돌출해서, 카트리지(4)에 접속된다.
액체 공급용 가압부(67)는 카트리지(4)의 잉크를 기록 헤드(225)에 공급하기 위한 가압 유체로서의 가압 공기가 유통하는 통 형상의 부재이다. 액체 공급용 가압부(67)는 대응하는 유체 유통로(227K1, 227C, 227M, 227Y)(도 1)의 일단부(하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액체 공급용 가압부(67)는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서, 카트리지(4)에 접속된다. 액체 공급용 가압부(67)의 내주면에는 통 형상의 실링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링 부재는 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된다.
제 1 장치측 위치 결정부(82)는 장치측 전벽부(62)로부터 +Y축 방향측으로 돌출하는 부재이다. 제 1 장치측 위치 결정부(82)는 원 기둥 형상의 부재(봉 형상 부재)이다. 제 1 장치측 위치 결정부(82)는 수직 방향에 대해 장치측 단자부(69)와 액체 공급 기구(640)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장치측 위치 결정부(82)의 선단부(+Y축 방향측 단부)는 장치측 단자(692), 액체 공급부(643), 액체 공급용 가압부(67), 제 1 교반용 가압부(70), 제 2 교반용 가압부(72)보다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4)는 제 1 장치측 위치 결정부(82)와 동일한 형상이다. 즉,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4)는 장치측 전벽부(62)로부터 +Y축 방향측으로 돌출하는 부재이다.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4)는 원 기둥 형상의 부재(봉 형상 부재)이다.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2)는 액체 공급 기구(640) 및 액체 공급용 가압부(67)보다 수직 하 방향측에 위치한다. 또,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4)는 제 1 장치측 위치 결정부(82)보다 수직 하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4)의 선단부(+Y축 방향측 단부)는 장치측 단자(692) 및 액체 공급부(643)보다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2, 84)는 카트리지(4)가 장착될 때의 카트리지(4)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상세하게는, 제 1 및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2, 84)는 카트리지(4)의 장착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카트리지(4)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장치측 고정 구조(75)는 장착 상태에서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고정한다. 장치측 고정 구조(75)는 장착 상태에서 카트리지(4)와 맞물리는 로킹 핀(locking pin)(737)을 갖는다. 이 체결에 의해, 장치측 고정 구조(75)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고정한다. 여기서, 장착 상태에서, 카트리지(4)는 커버 부재(650)에 의해 +Y축 방향측으로의 가압력을 받고 있다. 이 가압력에 의해 카트리지(4)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장치측 고정 구조(75)는 카트리지(4)와 체결하는 것으로 규제한다. 즉, 장치측 고정 구조(75)는 장착 상태에서의 카트리지(4)의 +Y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장치측 고정 구조(75)는 장치측 전벽부(62)보다 +Y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는다. 장치측 고정 구조(75)의 적어도 일부와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4)의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교반용 가압부(70)는 카트리지(4K)의 액체 수용부를 교반하기 위한 가압 공기가 유통하는 통 형상의 부재이다. 제 1 교반용 가압부(70)는 제 2 유체 유통로(227K2)(도 1)의 일단부(하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교반용 가압부(70)는 카트리지(4K)의 장착 상태에서 카트리지(4K)에 접속된다. 제 1 교반용 가압부(70)의 내주면에는 통 형상의 실링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링 부재는 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된다.
제 2 교반용 가압부(72)는 카트리지(4K)의 액체 수용부를 교반하기 위한 가압 공기가 유통하는 통 형상의 부재이다. 제 2 교반용 가압부(72)는 제 3 유체 유통로(227K3)(도 1)의 일단부(하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교반용 가압부(72)는 카트리지(4K)의 장착 상태에서 카트리지(4K)에 접속된다. 제 2 교반용 가압부(72)의 내주면에는 통 형상의 실링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링 부재는 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된다.
A-3.카트리지(4K)의 개략 구성:
도 4는 카트리지(4K)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카트리지(4K)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카트리지(4K)로부터 제 2 케이스(7)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4~도 6에는, 카트리지(4K)의 장착 상태에서의 X축, Y축, Z축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 이후의 도면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서 카트리지(4K)의 장착 상태에서의 X축, Y축, Z축을 나타내고 있다.
카트리지(4K)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형이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카트리지(4K)는 Y축 방향, Z축 방향, X축 방향의 순서로 치수가 작아진다. 카트리지(4K)는 외각을 구성하는 케이스(8)를 구비한다. 케이스(8)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스티렌 등의 합성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 하우징이다.
카트리지(4)는 전면(전벽)(42)과, 후면(후벽)(47)과, 제 1 측면(제 1 측벽)(43)과, 제 2 측면(제 2 측벽)(44)과, 제 3 측면(제 3 측벽)(45)과, 제 4 측면(제 4 측벽)(46)을 구비한다. 또, 카트리지(4)는 전면(42)보다 +Y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2 면(제 2 벽, 제 2 전벽)(41)을 더 갖는다. 제 2 면(41)과 전면(42)은 장착 방향(-Y축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여기서, 제 1 측면(43)을 상면(43)이라고도 하고, 제 2 측면(44)을 저면(44)이라고도 하고, 제 3 측면(45)을 우측면(45)이라고도 하고, 제 4 측면(46)을 좌측면(46)이라고도 한다. 전면(42)과 후면(47)은 Y축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고, 전면(42)이 -Y축 방향(장착 방향) 측에, 후면(47)이 +Y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1 측면(43)과 제 2 측면(44)은 전면(42) 및 후면(47)과 교차하고, Z축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제 1 측면(43)이 +Z축 방향측에, 제 2 측면(44)이 -Z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3 측면(45)과 제 4 측면(46)은 전면(42), 후면(47), 제 1 측면(43) 및 제 2 측면(44)과 교차하고, X축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제 3 측면(45)이 +X축 방향측에, 제 4 측면(46)이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2개의 면(요소)이 「교차한다」는 것은 2개의 면(요소)이 서로 실제로 교차하는 상태와, 한쪽의 면(요소)의 연장 부분이 다른쪽의 면(요소)에 교차하는 상태와, 상호의 연장 부분이 교차하는 상태의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X축 방향을 카트리지(4K)의 폭 방향이라고도 하고, Y축 방향을 카트리지(4K)의 길이 방향이라고도 하고, Z축 방향을 카트리지(4K)의 높이 방향이라고도 한다.
전면(42)은 제 2 면(41)으로부터 -Y축 방향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8)에 형성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전면(42)의 형상은 Z축 방향의 치수가 X축 방향의 치수보다 큰 대략 직사각형이다. 전면(42)은 장착 상태에서 장치측 전벽부(62)(도 3)와 대향한다.
카트리지(4K)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5)와, 제 2 케이스(7)와, 액체 수용체(410)와, 시트 부재(필름)(430)와, 제 1 교반용 부재(402)와, 제 2 교반용 부재(404)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케이스(5, 7)는 합성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케이스(8)는 제 1 케이스(5)와 제 2 케이스(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5)는 +X 방향측이 개구되는 오목 형상이다. 제 1 케이스(5)는 주로, 전면(42), 제 1 측면(43), 제 2 측면(44), 제 4 측면(46), 후면(47), 제 2 면(41), 돌출부(48)를 형성한다.
시트 부재(430)는 박막 형상의 부재이다. 시트 부재(430)는 제 1 케이스(5)의 개구를 봉지하도록, 개구를 규정하는 단면(59)에 기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해의 용이를 위해서, 도 6에 있어서, 단면(59)은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단면(59)에 시트 부재(430)가 기밀하게 접합됨으로써, 후술하는 교반부(403, 407), 액체 수용부(412)를 수용하는 내부실(440)이 구획 형성된다. 이 내부실(440)은 제 1 유체 유통로(227K1)를 유통하는 가압 공기의 공급을 받는다. 내부실(440)은 공급된 가압 공기에 의해, 액체 수용부(412)를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412)에 수용된 잉크가 가압된다. 장착 상태에서, 액체 수용부(412)에 수용된 잉크가 가압됨으로써, 액체 수용부(412)의 잉크가 프린터(20)측에 공급된다. 즉, 내부실(440)은 액체 수용부(412)의 잉크를 프린터(20)에 공급하기 위해서, 액체 수용부(412) 내의 잉크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실으로서도 기능한다.
제 2 케이스(7)는 시트 부재(430)를 덮도록 제 1 케이스(5)에 장착된다. 제 2 케이스(7)는 주로 우측면(45)를 형성한다. 제 1 케이스(5)와 제 2 케이스(7)에 의해, 제 1 교반용 부재(402), 제 2 교반용 부재(404), 액체 수용체(410), 시트 부재(430)가 보호되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된다.
액체 수용체(410)는 액체 수용부(412)와 액체 도출부(액체 유통구)(414)를 구비한다. 액체 수용부(412)는 잉크를 수용한다. 액체 수용부(412)는 가요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액체 수용부(412)는 봉지체이다. 충전된 잉크의 소비에 따라서, 액체 수용부(412)의 용적은 작아진다. 또한, 액체 수용부(412)는 전체가 가요성을 갖는 부재가 아니어도 좋고,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액체 도출부(414)는 액체 공급원으로서의 액체 수용부(412)에 수용된 잉크를 프린터(20)를 향해서 유통시킨다. 카트리지(4K)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액체 도출부(414)의 내부에, 관 형상의 액체 공급부(643)(도 3)가 삽입됨으로써, 액체 도출부(414)와 액체 공급부(643)는 접속된다. 장착 과정에 있어서, 액체 도출부(414)와 액체 공급부(643)의 접속은 위치 결정 체결 개시 시점보다 후에 개시된다. 액체 수용부(412)의 잉크는 액체 도출부(414) 및 액체 공급부(643)를 흘러서 프린터(20)의 기록 헤드(225)에 공급된다. 액체 도출부(414)는 소정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CL)을 갖는다. 중심축(CL)은 장착 방향(-Y축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액체 도출부(414)는 내부로 잉크가 유통 가능한 통 형상 부재이다. 액체 도출부(414)는 액체 수용부(412)의 +Y축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액체 도출부(414) 내에는 밸브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밸브 기구는 액체 공급부(643)가 액체 도출부(414)에 접속됨으로써 개방된다.
제 1 교반용 부재(402)는 제 1 교반부(403)와, 제 1 유체 유통부(406)를 갖는다. 제 1 교반부(403)는 가요성을 갖는 봉지체이다. 제 1 유체 유통부(406)는 일단부가 제 1 교반부(403)에 접속되고, 타단부(406A)가 후술하는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유체 유통부(406)는 제 1 교반용 가압부(70)(도 3)로부터 공급되는 가압 공기를 제 1 교반부(403)로 유통시킨다.
제 1 교반부(403)는 프린터(20)의 가압 펌프(226)(도 1)에 의해 공급된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는다. 공급된 가압 유체에 의해 제 1 교반부(403)의 외형이 팽창함으로써, 제 1 교반부(403)는 액체 수용부(412)를 가압해서 액체 수용부(412)에 수용된 잉크를 교반한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412) 내의 -Z축 방향 부분에 침강한 안료 입자가 유동한다. 안료 입자가 유동함으로써, 액체 수용부(412) 내의 잉크 중의 안료 입자의 농도 분포의 불균일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제 1 교반부(403)는 액체 수용부(412)의 주면(본 실시 형태에서는, -X축 방향측의 면)과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가압 공기가 공급된 제 1 교반부(403)는 용적이 증대해서 외형이 팽창된다. 가압 공기의 공급이 정지됨으로써, 제 1 교반부(403)는 용적이 감소되어 외형이 축소된다. 즉, 제 1 교반부(403)의 외형은 가압 공기의 공급과 정지가 반복됨으로써, 신축이 반복된다. 제 1 교반부(403)의 외형이 팽창함으로써, 액체 수용부(412)가 제 1 교반부(403)에 의해 가압된다.
제 2 교반용 부재(404)는 제 2 교반부(407)가 제 1 교반부(403)보다 +Y축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교반용 부재(404)는 제 2 교반부(407)와, 제 2 유체 유통부(408)를 갖는다. 제 2 교반부(407)는 제 1 교반부(403)와 동일한 구성이다. 제 2 유체 유통부(408)는 일단부가 제 2 교반부(407)에 접속되고, 타단부(408A)가 후술하는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유체 유통부(408)는 제 2 교반용 가압부(72)(도 3)로부터 공급되는 가압 공기를 제 2 교반부(407)로 유통시킨다. 제 2 교반부(407)는 제 1 교반부(403)와 마찬가지로, 액체 수용부(412)를 가압함으로써 액체 수용부(412)에 수용된 잉크를 교반한다. 제 2 교반부(407)의 외형은 제 1 교반부(403)와 마찬가지로, 가압 공기의 공급과 정지가 반복됨으로써, 신축이 반복된다. 제 2 교반부(407)의 외형이 팽창함으로써, 액체 수용부(412)가 제 2 교반부(407)에 의해 가압된다.
제 1 교반부(403)와 제 2 교반부(407)는 교대로 가압 공기가 공급된다. 즉, 제 1 교반부(403)에 가압 공기가 공급되고 있을 때에는, 제 2 교반부(407)로의 가압 공기의 공급은 정지되고 있다. 또, 제 2 교반부(407)에 가압 공기가 공급되고 있을 때에는, 제 1 교반부(403)로의 가압 공기의 공급은 정지되고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수용부(412)의 잉크를 교반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교반용 부재(402, 404)를 갖고 있었지만, 교반용 부재의 개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교반용 부재(402)뿐이어도 좋고, 교반용 부재는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도 7은 카트리지(4K)의 전면(42)측의 제 1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카트리지(4K)의 전면(42)측의 제 2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카트리지(4K)의 전면(42)측의 제 3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카트리지(4K)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카트리지(4K)의 F11-F11 부분 단면도이다.
카트리지(4K)는 제 1 위치 결정부(제 1 카트리지측 위치 결정부)(422)와, 제 2 위치 결정부(제 2 카트리지측 위치 결정부)(424)와, 고정 구조(카트리지측 고정 구조)(49)를 갖는다. 제 1 위치 결정부(422)와, 제 2 위치 결정부(424)는 전면(42)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422)는 제 1 장치측 위치 결정부(82)(도 3)와 체결되기 위한 부분이다. 제 1 위치 결정부(422)는 전면(42)에 형성된 관통 구멍이다. 카트리지(4K)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하는 과정(장착 과정)에 있어서, 관통 구멍인 제 1 위치 결정부(422)에는 봉 형상의 제 1 장치측 위치 결정부(82)가 삽입됨으로써 양쪽 부분(422, 82)은 체결된다.
제 2 위치 결정부(424)는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4)(도 3)와 체결되기 위한 부분이다. 제 2 위치 결정부(424)는 전면(42)에 형성된 관통 구멍이다. 제 2 위치 결정부(424)는 카트리지(4K)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1 위치 결정부(422)보다 수직 하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422)와 제 2 위치 결정부(424)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Z축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장착 과정에 있어서, 관통 구멍인 제 2 위치 결정부(424)에는 봉 형상의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4)가 삽입됨으로써 양쪽 부분(424, 84)은 체결된다.
제 1 및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2, 84)와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422, 424)의 위치 결정 기능을 추가로 설명한다.
카트리지(4K)의 장착 과정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2, 84)의 선단(+Y축 방향측 단부)이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422, 424)에 삽입된다(위치 결정 체결 개시 시점). 추가로 카트리지(4K)를 장착 방향(-Y축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카트리지(4K)는 제 1 및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2, 84)에 의해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전면(42)을 따르는 방향)의 카트리지(4K)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즉, 카트리지(4K)는 제 1 및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2, 84)를 기준으로 해서 장착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위치 결정부(422)는 원형의 구멍이며, 제 2 위치 결정부(424)는 Z축 방향으로 연장한 긴 구멍이다. 제 1 위치 결정부(422)는 액체 도출부(414)의 중심축(CL) 방향(카트리지(4K)의 장착 방향)에 수직인 단면 형상이 원형 형상이다. 중심축(CL) 방향에 수직인 단면 형상에 있어서, 제 1 위치 결정부(422)와 제 1 장치측 위치 결정부(82)는 거의 대응하는 외형이다.
제 2 위치 결정부(424)는 액체 도출부(414)의 중심축(CL) 방향(카트리지(4K)의 장착 방향)에 수직인 단면 형상이 Z축 방향으로 연장한 긴 구멍 형상이다.
제 2 위치 결정부(424)를 긴 구멍으로 형성함으로써, 위치 결정 정밀도를 유지하는 한편, 치수 오차 등의 허용이 용이해진다. 상세하게는, 중심축(CL) 방향(카트리지(4K)의 장착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제 2 위치 결정부(424)의 외형은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4)의 외형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위치 결정부(424)에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4)가 삽입된 경우에, 제 2 위치 결정부(424)의 내주면과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4)의 외주면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가 생긴다. 즉, 장착 과정에 있어서, 카트리지(4K)의 위치 결정의 정밀도는 제 1 위치 결정부(422)에 의해 담보되고, 치수 오차 등에 의한 제 2 위치 결정부(424)와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84)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에 대해서는, 제 2 위치 결정부(424)에 의해 흡수된다.
고정 구조(49)(도 9)는 장치측 고정 구조(75)와 체결되기 위한 부분이다. 고정 구조(49)는 제 2 측면(44)에 형성된 홈(고정 홈)이다. 카트리지(4K)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착탈시에는, 로킹 핀(737)(도 3)이 홈 형상의 고정 구조(49) 내를 이동한다. 또, 카트리지(4K)의 장착 상태에서는, 로킹 핀(737)이 홈 형상의 고정 구조(49)와 체결된다. 카트리지(4K)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4K)를 -Y축 방향측으로 누름으로써, 로킹 핀(737)과 고정 구조(49)의 체결이 해제되고, 카트리지(4K)를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카트리지(4K)(도 7)는 오목부(90)와,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와,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와,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와, 회로 기판(50)과, 유통구 배치 구멍(445)을 더 갖는다. 여기서, 제 2 면(41) 중, 제 1 측면(43)에 접속된 면을 제 2 상면(41A)이라 하고, 제 2 측면(44)에 접속된 면을 제 2 하면(41B)이라 한다. 제 2 하면(41B)은 후술하는 오목부(90)의 저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 2 하면(41B)을 오목부 저면(99)이라고도 한다.
회로 기판(50)은 전면(42)과 제 2 상면(41A)을 연결하는 면인 단자 배치부(80)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 배치부(80)는 장착 방향(-Y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면(경사벽)(484)과, 경사면(484)과 제 2 상면(41A)을 연결하는 접속면(접속벽)(482)을 갖는다. 경사면(484)은 +Z축 방향 성분과 -Y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접속면(482)은 장착 상태에서 수평인 면이다. 회로 기판(50)은 경사면(484)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50)은 제 1 위치 결정부(422)보다 수직 상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50)의 표면(50fa)에는, 장치측 단자부(69)의 장치측 단자(692)(도 3)와 접촉하는 카트리지측 단자(52)가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단자(52)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692)에 대응해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9개) 마련되어 있다. 장착 과정에 있어서, 장치측 단자(692)와 카트리지측 단자(52)의 접촉은, 후술하는 위치 결정 체결 개시 시점보다 후에 개시된다.
회로 기판(50)의 이면에는 기억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기억 장치는 카트리지(4K)의 잉크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잉크 잔량이나 수용하는 잉크색) 등을 저장한다. 카트리지측 단자(52)가 인쇄 장치(20)의 장치측 단자(692)와 접촉함으로써, 예를 들면,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이 기억 장치와 인쇄 장치(20)의 제어부(230) 사이에서 행해진다.
유통구 배치 구멍(445)은 전면(42)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4K)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유통구 배치 구멍(445)은 수직 방향에 대해 제 1 위치 결정부(422)와 제 2 위치 결정부(424) 사이에 위치한다. 유통구 배치 구멍(445)은 액체 도출부(414)를 받아들이고 있다. 유통구 배치 구멍(445)에는 적어도 액체 도출부(414)의 일단(선단)인 개구부가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90)는 전면(42)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90)는 카트리지(4K)의 장착 상태에서, 제 1 위치 결정부(422)와 제 2 위치 결정부(424) 사이에 위치한다. 오목부(90)는 장착 방향(-Y축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오목부(90)는 오목부 저면(99)(도 7)과, 개구부(91)(도 7)와, 제 1 오목부 측면(93)(도 9)과, 제 2 오목부 측면(94)(도 7)과, 제 3 오목부 측면(95)(도 8)과, 제 4 오목부 측면(96)(도 7)을 갖는다. 각 요소(99, 91, 93, 94, 95, 96)에 의해 오목부(90)가 구획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저면(99)과 개구부(91)는 Y축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도 7). 오목부 저면(99)은 +Y축 방향(분리 방향) 측에 위치하고, 개구부(91)는 -Y축 방향(장착 방향) 측에 위치한다. 제 1 오목부 측면(93)과 제 2 오목부 측면(94)은 Z축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도 10). 제 1 오목부 측면(93)은 +Z축 방향(수직 상 방향) 측에 위치하고, 제 2 오목부 측면(94)은 -Z축 방향(수직 하 방향) 측에 위치한다. 제 3 오목부 측면(95)과 제 4 오목부 측면(96)은 X축 방향(카트리지(4K)의 폭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도 10). 제 3 오목부 측면(95)은 +X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제 4 오목부 측면(96)은 -X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오목부 저면(99)의 외형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개구부(91)는 전면(42)에 위치하고, 장착 과정에 있어서, 가압 기구(280)의 일부인 액체 공급용 가압부(67), 제 1 교반용 가압부(70) 및 제 2 교반용 가압부(72)(도 3)가 통과한다. 제 1 오목부 측면(93)과, 제 2 오목부 측면(94)과, 제 3 오목부 측면(95)과, 제 4 오목부 측면(96)은 오목부 저면(99)의 외형(둘레)을 형성하는 각 변으로부터 장착 방향측으로 세워서 마련된다.
오목부(90)는 제 1 케이스(5)와 제 2 케이스(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 저면(99)과 제 4 오목부 측면(96)과 제 1 오목부 측면(93)은 제 1 케이스(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도 9, 도 10). 제 2 오목부 측면(94)과 개구부(91)는 제 1 및 제 2 케이스(5, 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도 10). 제 3 오목부 측면(95)은 제 2 케이스(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도 8).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와,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와,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는 오목부(9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는 통 형상 부재이다(도 7).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는 중심축(CL)과 평행한 중심축(C1)을 갖는다.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는 오목부 저면(99)으로부터 장착 방향을 향해 돌출한다.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의 기단부(+Y축 방향측 부분)는 오목부 저면(99)에 접속되어 있다.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는 카트리지(4K)의 외부와 내부실(440)(도 5)을 연통시킨다.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의 선단부(-Y축 방향측 부분)(957F)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액체 공급용 가압부(67) 내에 삽입됨으로써 액체 공급용 가압부(67)에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선단부(957F)가 액체 공급용 가압부(67)가 갖는 통 형상의 실링 부재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액체 공급용 가압부(67)와 기밀하게 접속된다. 선단부(957F)는 액체 공급용 가압부(67)를 통해서 공급되는 가압 유체를 받는다. 즉, 프린터(20)로부터 공급된 가압 유체가 선단부(957F)에 도달한다. 선단부(957F)는 개구되어 있고, 개구를 통과한 가압 유체는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의 내부 유로를 통해서 내부실(440)로 유통된다.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는 통 형상 부재이다.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는 중심축(CL)과 평행한 중심축(C2)을 갖는다.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는 오목부 저면(99)으로부터 장착 방향을 향해 돌출한다.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의 기단 부분(+Y축 방향측 부분)은 오목부 저면(99)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는 카트리지(4K)의 외부와 제 1 유체 유통부(406)를 연통시킨다.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의 선단부(-Y축 방향측 부분)(958F)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1 교반용 가압부(70)(도 3) 내에 삽입됨으로써 제 1 교반용 가압부(70)에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선단부(958F)가 제 1 교반용 가압부(70)가 갖는 통 형상의 실링 부재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제 1 교반용 가압부(70)와 기밀하게 접속된다. 선단부(958F)는 제 1 교반용 가압부(70)를 통해서 공급되는 가압 유체를 받는다. 즉, 프린터(20)로부터 공급된 가압 유체가 선단부(958F)에 도달한다. 선단부(958F)는 개구되어 있고, 개구를 통과한 가압 유체는 제 1 교반용 가압부(70)의 내부 유로를 통해서 제 1 유체 유통부(406)로 유통된다. 제 1 유체 유통부(406)를 통해서 제 1 교반부(403)에 가압 유체가 도입된다.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는 통 형상 부재이다.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는 중심축(CL)과 평행한 중심축(C3)을 갖는다.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는 오목부 저면(99)으로부터 장착 방향을 향해 돌출한다.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의 기단 부분(+Y축 방향측 부분)은 오목부 저면(99)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는 카트리지(4K)의 외부와 제 2 유체 유통부(408)를 연통시킨다.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의 선단부(-Y축 방향측 부분)(959F)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2 교반용 가압부(72)(도 3) 내에 삽입됨으로써 제 2 교반용 가압부(72)에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선단부(959F)가 제 2 교반용 가압부(72)가 갖는 통 형상의 실링 부재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제 2 교반용 가압부(72)와 기밀하게 접속된다. 선단부(959F)는 제 2 교반용 가압부(72)를 통해서 공급되는 가압 유체를 받는다. 즉, 프린터(20)로부터 공급된 가압 유체가 선단부(959F)에 도달한다. 선단부(959F)는 개구되어 있고, 개구를 통과한 가압 유체는 제 2 교반용 가압부(72)의 내부 유로를 통해서 제 2 유체 유통부(408)로 유통된다. 제 2 유체 유통부(408)를 통해서 제 2 교반부(407)에 가압 유체가 도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와,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와,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는 각각, 각각의 중심축(C1, C2, C3)을 중심으로 한 주위가 오목부(90)를 형성하는 벽(오목부 측면)(93, 94, 95, 9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또, 오목부(90)는 장착 방향의 일방향만이 개구되어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 및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와,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는 가상 평면(PL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가상 평면(PL1)은 액체 도출부(414)의 중심축(CL)을 지나고, 또한 장착 상태에서 수직 방향에 평행한 면이다. 가상 평면(PL1)은 카트리지(4K)의 폭 중앙을 통과한다.
여기서,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와,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와,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의 적어도 1개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기재된 「유체 수납부」에 상당한다. 또,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기재된 「제 1 유체 수납부」에 상당한다. 또,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와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기재된 「제 2 유체 수납부」에 상당한다.
A-4. 카트리지(4C, 4M, 4Y)의 구성에 대해:
카트리지(4C, 4M, 4Y)는 제 1 및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 959)(도 7)와, 제 1 및 제 2 교반용 부재(402, 404)(도 5)를 갖지 않는 점, 및 액체 수용부(412)에 수용되는 잉크량이 적은 점에 있어서 카트리지(4K)와 상이하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카트리지(4C, 4M, 4Y)와 카트리지(4K)는 동일한 구성이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4C, 4M, 4Y)는 전면(42)에 오목부(90)를 갖는다. 오목부(90)는 장착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오목부(90)의 내측에는,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가 배치되어 있다.
A-5. 효과: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체 수납부(957, 958, 959)가 장착 방향(-Y축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오목부(90)에 마련되어 있다(도 7).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90)는 장착 방향만이 개구된다. 즉, 중심축(C1, C2, C3)을 중심으로 한 유체 수납부(957, 958, 959)의 주위가 오목부(90)를 형성하는 벽(93, 94, 95, 9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K)의 조립 작업시나 이용자가 취급할 때 등에 사람의 손이 유체 수납부(957, 958, 959)에 직접 접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설치면 등의 카트리지(4K) 이외의 다른 부재에 유체 수납부(957, 958, 959)가 충돌하거나 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유체 수납부(957, 958, 959)에 직접 외력이 가해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수납부(957, 958, 959)가 변형하거나, 유체 수납부(957, 958, 959)에 이물이 부착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카트리지(4K)의 착탈 조작시 등에 액체 공급부(643)나 액체 도출부(414)로부터 누설된 잉크가 유체 수납부(957, 958, 959)나 그 주위에 부착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 수납부(957, 958, 959)에 대한 문제점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유체 수납부(957, 958, 959)와 카트리지 장착부(6)의 대응하는 부분(67, 70, 72)(도 3)의 접속 불량(예를 들면, 접속시의 실링성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불량)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위치 결정부(422)와 제 2 위치 결정부(424) 사이의 위치에 유체 수납부(957, 958, 959)가 위치하므로, 유체 수납부(957, 958, 959)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트리지(4K)는 복수의 유체 수납부(957, 958, 959)를 갖는다(도 7). 복수의 유체 수납부(957, 958, 959)를 배치하는 경우, 배치하기 위한 배치 공간을 넓게 취할 필요가 있다. 배치 공간이 넓어질수록, 이용자 등이 배치 공간 내의 유체 수납부(957, 958, 959)를 손대거나, 유체 수납부(957, 958, 959)에 잉크 등의 이물이 부착하거나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렇지만,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유체 수납부(957, 958, 959)가 장착 방향(-Y축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오목부(90)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유체 수납부로서의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와, 제 2 유체 수납부로서의 제 1 및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 959)가 액체 도출부(414)의 중심축(CL)을 지나고, 또한, 수직 방향에 평행한 가상 평면(PL1)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10).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K)가 액체 도출부(414)를 중심으로 해서 X축 방향(카트리지(4K)의 폭 방향)으로 경사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체 수납부(957, 958, 959)가 접속되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대응하는 부분(67, 70, 72) 내에는 실링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상태에서는, 유체 수납부(957, 958, 959)는 실링 부재로부터 탄성력을 받기 때문에 카트리지(4K)가 제 1 위치 결정부(422)나 액체 도출부(414)를 중심으로 해서 경사지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상 평면(PL1)을 사이에 두도록 제 1 유체 수납부(957)와 제 2 유체 수납부(958, 959)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상 평면(PL)에 대해서 한쪽 측에 복수의 유체 수납부(957, 958, 959)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카트리지(4K)에 대해서 밸런스 좋게 복수의 유체 수납부(957, 958, 959)가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K)가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카트리지(4K)의 경사짐을 억제함으로써, 유체 수납부(957, 958, 959)와 카트리지 장착부(6)의 대응하는 부분(67, 70, 72)의 접속시에 있어서의 실링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트리지(4K)는 액체 수용부(412)를 가압 유체에 의해 가압해서 액체 수용부(412)에 수용된 잉크를 기록 헤드(225)에 공급하기 위한 내부실(440)과, 액체 수용부(412)에 수용된 잉크를 가압 유체에 의해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403, 407)를 갖는다(도 5). 이것에 의해, 가압 유체를 이용해서, 액체 수용부(412)에 수용된 잉크의 기록 헤드(225)로의 공급과, 액체 수용부(412)에 수용된 잉크의 교반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교반을 위한 가압 유체와 기록 헤드(225)로의 잉크 공급을 위한 가압 유체가, 공통되는 가압 펌프(226)를 이용해서 카트리지(4K)에 공급된다(도 1). 이것에 의해, 프린터(20)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B. 제 2 실시 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로서의 액체 분사 시스템(1a)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실시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1)(도 1)과 상이한 점은 카트리지 장착부(6a)가 흑색 잉크를 수용하는 2개의 카트리지(4K)를 장착할 수 있는 점과, 가압 기구(280a)의 구성이 상이하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1)과 제 2 실시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1a)에서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과 아울러 설명을 생략한다. 또, 설명에 필요가 없는 부분(예를 들면, 도 1의 가이드 축(214))에 대해서는 적절히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6a)는 2개의 카트리지(4K)를 장착할 수 있다. 즉, 슬롯(61K)(도 3)이 2개 마련되어 있고, 각 카트리지(4K)에 대응해서 카트리지(4K)를 접속하기 위한 부재(예를 들면, 액체 공급용 가압부(67), 제 1 교반용 가압부(70), 제 2 교반용 가압부(72), 액체 공급부(643))가 마련되어 있다. 또, 프린터(20a)는 가압 펌프(226)에 접속된 유체 유통로(227)를 갖는다. 유체 유통로(227)는 2개로 분기되고, 분기된 끝 부분에는 밸브(V1, V2)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V1, V2)의 하류측에는 각각, 제 1 유체 유통로(227K1)와, 제 2 유체 유통로(227K2)와, 제 3 유체 유통로(227K3)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유체 유통로(227K1)는 카트리지(4K)가 수용하는 잉크를 기록 헤드(225)에 공급하기 위한 가압 공기를 카트리지(4K)(상세하게는, 가압실(440))로 유통시킨다. 제 2 및 제 3 유체 유통로(227K2, 227K3)는 교반용 부재(402, 403)(도 5)로 가압 공기를 유통시킨다.
제어부(230)는 가압 기구(280a)를 이하와 같이 제어한다. 즉, 제 1 카트리지(4K1)의 가압실(440)에 대해서 제 1 유체 유통로(227K1)를 통해서 가압 공기를 공급하고 있을 때에는, 제 2 카트리지(4K2)의 가압실(440)에는 가압 공기를 공급하지 않는다. 즉, 제 1 카트리지(4K1)의 가압실(440)이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고 있을 때에는, 제 2 카트리지(4K2)의 가압실(440)은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지 않는다. 또, 제 1 및 제 2 카트리지(4K1, 4K2)의 각각에 있어서, 가압실(440)에 가압 공기를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에, 제 2 유체 유통로(227K2) 및 제 3 유체 유통로(227K3)를 통해서 가압 공기를 교반부(403, 407)에 공급한다. 즉, 제 1 및 제 2 카트리지(4K1, 4K2)의 각각은 가압실(440)이 가압 공기의 공급을 받지 않을 때에, 교반부(403, 407)가 가압 공기의 공급을 받는다.
제 2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압실(440)이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지 않을 때에, 교반부(403, 407)에 의해 액체 수용부(412)의 잉크를 교반할 수 있다. 따라서, 교반부(403, 407)에 의해 효율 좋게 액체 수용부(412)의 잉크를 교반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점에 있어서,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면, 유체 수납부(957, 958, 959)가 장착 방향(-Y축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오목부(90)에 마련되어 있다(도 7).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K)의 조립 작업시나 이용자가 취급할 때 등에 사람의 손이 유체 수납부(957, 958, 959)에 직접 접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카트리지(4K1)와 제 2 카트리지(4K2)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기재된 「카트리지 유닛」에 상당한다.
C.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C-1. 제 1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4)는 프린터(20)에 공급되는 액체 공급원으로서의 액체 수용체(410)를 갖고 있었지만(도 5),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생략해도 좋다. 도 13은 제 1 변형예로서의 카트리지(4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트리지(4a)는 액체 공급 장치(1000)의 일 구성 요소이다. 액체 공급 장치(1000)는 카트리지(4a)와 액체 공급 유닛(900)을 갖는다. 액체 공급 유닛(900)은 카트리지(4a)의 외측에 배치된 액체 공급원으로서의 탱크(910)와, 유통구 배치 구멍(445) 내에 배치되는 액체 도출부(414)와, 탱크(910)와 액체 도출부(414)를 연통시키는 접속 부재(튜브)(912)를 갖는다. 또한, 액체 도출부(414)는 카트리지(4a)의 구성 요소로서 파악해도 좋다. 액체 공급 유닛(900)이 구비하는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탱크(910)의 잉크가 액체 도출부(414)를 향해 공급된다.
카트리지(4a)는 도 4에 나타내는 카트리지(4K) 중, +Y축 방향측 부분을 생략한 외관을 나타낸다. 즉, 카트리지(4a)의 후면(47)은 개구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4a)는 내측에 시트 부재(430)나 액체 수용부(412)나 제 1 교반용 부재(402)나 제 2 교반용 부재(404)(도 8)는 수용되어 있지 않다. 카트리지(4a)는 카트리지(4K)와 마찬가지의 오목부(90)를 갖고, 오목부(90)의 내측에는,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4a)는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를 갖지 않아도 좋고, 갖고 있어도 좋다. 또,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957),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958),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959)는 케이스(8) 내에 가압 유체를 유통시킨다고 하는 본래의 기능을 갖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해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점에 있어서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면, 유체 수납부(957, 958, 959)가 장착 방향(-Y축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오목부(90)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4a)의 조립 작업시나 이용자가 취급할 때 등에 사람의 손이 유체 수납부(957, 958, 959)에 직접 접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C-2. 제 2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액체 수용부(412)는 가요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지만,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C-3. 제 3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오목부(9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 저면(99)(도 10)을 갖고 있었지만, 오목부(90)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착 방향만이 개구되도록 한 형상이면 좋다. 예를 들면, 오목부 저면(99)이 원형으로 되도록 한 오목부 형상이어도 좋다.
C-4. 제 4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가압 유체는 가압 공기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기체이어도 좋고, 물 등의 액체이어도 좋다.
C-5. 제5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에서는, 카트리지(4, 4a)는 회로 기판(50)을 갖고 있었지만 생략해도 좋다.
C-6. 제6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카트리지(4K)는 액체 수용부(412)를 교반하기 위한 요소(958(도 7), 959(도 7), 402(도 5), 404(도 5))를 갖고 있었지만 생략해도 좋다. 또, 카트리지(4C, 4M, 4Y)는, 액체 수용부(412)를 교반하기 위한 요소 958(도 7), 959(도 7), 402(도 5), 404(도 5)를 갖고 있어도 좋다.
C-7. 제7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카트리지(4, 4a)는 프린터(20)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있었지만, 다른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액체 분사 장치를 이하에 열거한다.
(1) 팩시밀리 장치 등의 화상 기록 장치
(2)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용의 컬러 필터의 제조에 이용되는 색재(色材) 분사 기록 장치
(3)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나, 면 발광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의 전극 형성에 이용되는 전극재 분사 장치
(4) 바이오 칩 제조에 이용되는 생체 유기물을 포함한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5) 정밀 피펫(pipette)으로서의 시료 분사 장치
(6) 윤활유의 분사 장치
(7) 수지액의 분사 장치
(8) 시계나 카메라 등의 정밀 기계에 핀 포인트로 윤활유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9) 광 통신 소자 등에 이용되는 미세 반구 렌즈(광학 렌즈)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자외선 경화 수지액 등의 투명 수지액을 기판 상에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10) 기판 등을 에칭하기 위해서 산성 또는 알칼리성의 에칭액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11) 다른 임의의 미소량의 액적을 토출시키는 액체 소비 헤드를 구비하는 액체 분사 장치
또한, 「액적」이란 액체 분사 기록 장치 또는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액체 상태를 말하고, 입자 형상, 눈물 형상, 테이퍼진 실 형상의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여기서 말하는 「액체」란 액체 소비 기록 장치 또는 액체 분사 장치(액체 소비 장치)가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재료이면 좋다. 예를 들면, 「액체」는 물질이 액상일 때의 상태의 재료이면 좋고, 점성이 높은 또는 낮은 액 상태의 재료, 및 콜로이드 용액, 겔 수, 그 외의 무기 용제, 유기 용제, 용액, 액상 수지, 액상 금속(금속 융액)과 같은 액 상태의 재료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 물질의 일 상태로서의 액체뿐만 아니라, 안료나 금속 입자 등의 고형물로 이루어지는 기능 재료의 입자가 용매로 용해, 분산 또는 혼합된 것 등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 액체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잉크나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잉크는 일반적인 수성 잉크 및 유성 잉크 및 젤 잉크, 핫 멜트(hot melt) 잉크 등의 각종 액체 상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자외선을 조사해서 경화 가능한 UV 잉크를 이 액체 수용부에 수용해서 프린터에 접속한 경우는, 설치면으로부터 액체 수용 봉지가 뜨기 때문에, 설치면의 열이 액체 수용부에 전달되어 경화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C-8. 제 8 변형예: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나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명의 개요란에 기재된 각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실시 형태나 변형예의 기술적 특징은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혹은, 상술의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서, 적절히 대체나 조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중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히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1a : 액체 분사 시스템
4, 4a, 4C, 4M, 4Y, 4K, 4K1, 4K2 : 카트리지
5 : 제 1 케이스 6, 6a : 카트리지 장착부
7 : 제 2 케이스 8 : 케이스
20, 20a : 인쇄 장치 41 : 제 2 면
41A : 제 2 상면 41B : 제 2 하면
42 : 전면 43 : 제 1 측면
44 : 제 2 측면 45 : 제 3 측면
46 : 제 4 측면 47 : 후면
48 : 돌출부 49 : 고정 구조
50 : 회로 기판 50fa : 표면
52 : 카트리지측 단자 59 : 단면
61 : 카트리지 수용실 61A : 개구 벽부
61C, 61M, 61Y, 61K : 슬롯 62 : 장치측 전벽부
63 : 제 1 장치측 측벽부 64 : 제 2 장치측 측벽부
65 : 제 3 장치측 측벽부 66 : 제 4 장치측 측벽부
67 : 액체 공급용 가압부 69 : 장치측 단자부
70 : 제 1 교반용 가압부 72 : 제 2 교반용 가압부
75 : 장치측 고정 구조 80 : 단자 배치부
82 : 제 1 장치측 위치 결정부 84 :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
90 : 오목부 91 : 개구부
93 : 제 1 오목부 측면 94 : 제 2 오목부 측면
95 : 제 3 오목부 측면 96 : 제 4 오목부 측면
99 : 오목부 저면 212 : 본체 케이스
213 : 플래튼 214 : 가이드 축
215 : 캐리지 216 : 구동 풀리
217 : 피구동 풀리 218 : 캐리지 모터
219 : 타이밍 벨트 223 : 액체 유통로
224 : 밸브 유닛 225 : 기록 헤드
226 : 가압 펌프
227, 227C, 227K, 227K1, 227K2, 227K3 : 유체 유통로
228 : 분배기 230 : 제어부
280, 280a : 가압 기구 402 : 제 1 교반용 부재
403 : 제 1 교반부 404 : 제 2 교반용 부재
406 : 제 1 유체 유통부 406A : 타단부
407 : 제 2 교반부 408 : 제 2 유체 유통부
408A : 타단부 410 : 액체 수용체
412 : 액체 수용부 414 : 액체 도출부
422 : 제 1 위치 결정부 424 : 제 2 위치 결정부
430 : 시트 부재 440 : 내부실(가압실)
445 : 유통구 배치 구멍 482 : 접속면
484 : 경사면 640 : 액체 공급 기구
643 : 액체 공급부 650 : 커버 부재
692 : 장치측 단자 737 : 로킹 핀
900 : 액체 공급 유닛 910 : 탱크
957 : 액체 도출용 유체 수납부(제 1 유체 수납부)
957F : 선단부 958 : 제 1 교반용 유체 수납부
958F : 선단부 959 : 제 2 교반용 유체 수납부
959F : 선단부 1000 : 액체 공급 장치
C1 : 중심축 C2 : 중심축
C2 : 중심축 CL : 중심축
P : 기록용지 PL, PL1 : 가상 평면
V, V1, V2 : 밸브

Claims (12)

  1. 가압 유체를 공급하는 가압 기구와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부를 구비하는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액체 분사 장치로의 장착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는 유체 수납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를 향하여 도출하는 액체 도출부로서, 소정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을 갖는, 액체 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수납부는, 상기 액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 도출용 유체의 공급을 받는 제 1 유체 수납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를 가압해서 상기 액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용 유체의 공급을 받는 제 2 유체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체 수납부와 상기 제 2 유체 수납부는 상기 중심축을 지나고, 또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의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에서 수직 방향에 평행한 가상 평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장치측 위치 결정부와 맞물리는 제 1 위치 결정부와,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와 맞물리는 제 2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수납부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평면은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폭 중앙을 통과하는
    카트리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체 수납부는 복수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 2 유체 수납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에서 상기 제 1 유체 수납부와 상기 가상 평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체 수납부에 의해 상기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의 상기 액체 도출용 유체의 공급을 받는 가압실로서, 공급된 상기 액체 도출용 유체에 의해 상기 액체 수용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실과,
    상기 제 2 유체 수납부에 의해 상기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의 상기 교반용 유체의 공급을 받는 교반부로서, 상기 액체 수용부를 가압해서 상기 액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를 더 구비하는
    카트리지.
  6. 카트리지 유닛으로서,
    제 1 카트리지로서의 제 5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와,
    제 2 카트리지로서의 제 5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의 상기 가압실이 상기 액체 도출용 유체의 공급을 받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카트리지의 상기 가압실은 상기 액체 도출용 유체의 공급을 받지 않고,
    상기 제 1 및 제 2 카트리지의 각각은, 상기 가압실이 상기 액체 도출용 유체의 공급을 받지 않을 때에, 상기 교반부가 상기 교반용 유체의 공급을 받는
    카트리지 유닛.
  7. 액체 분사 장치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액체 분사 시스템.
  8. 액체 분사 장치와,
    제 6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 유닛을 구비하는
    액체 분사 시스템.
  9. 가압 유체를 공급하는 가압 기구와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부를 구비하는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 가능한, 복수의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유닛으로서,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액체 분사 장치로의 장착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는 복수의 유체 수납부와,
    복수의 상기 유체 수납부 중 적어도 1개에 의해 상기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의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는 가압실로서, 상기 액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하기 위해서, 공급된 상기 가압 유체에 의해 상기 액체 수용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실과,
    복수의 상기 유체 수납부 중 다른 적어도 1개에 의해 상기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의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는 교반부로서, 상기 액체 수용부를 가압해서 상기 액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카트리지는, 제 1 카트리지와 제 2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의 상기 가압실이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카트리지의 상기 가압실은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지 않고,
    상기 제 1 및 제 2 카트리지의 각각은, 상기 가압실이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지 않을 때에, 상기 교반부가 상기 가압 유체의 공급을 받는
    카트리지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는,
    제 1 장치측 위치 결정부와 맞물리는 제 1 위치 결정부와,
    제 2 장치측 위치 결정부와 맞물리는 제 2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수납부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유닛.
  11.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액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를 향하여 도출하는 액체 도출부로서, 소정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을 갖는, 액체 도출부를 더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유체 수납부는 제 1 유체 수납부와 제 2 유체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체 수납부와 상기 제 2 유체 수납부는 상기 중심축을 지나고, 또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의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에서 수직 방향에 평행한 가상 평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유닛.
  12. 액체 분사 장치와,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 유닛을 구비하는
    액체 분사 시스템.
KR1020197036242A 2015-03-30 2016-02-29 카트리지, 카트리지 유닛 및 액체 분사 시스템 KR102178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7853 2015-03-30
JP2015067853A JP2016187876A (ja) 2015-03-30 2015-03-30 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PCT/JP2016/001073 WO2016157715A1 (ja) 2015-03-30 2016-02-29 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674A Division KR20170125911A (ko) 2015-03-30 2016-02-29 카트리지, 카트리지 유닛 및 액체 분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713A KR20190138713A (ko) 2019-12-13
KR102178041B1 true KR102178041B1 (ko) 2020-11-12

Family

ID=570048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674A KR20170125911A (ko) 2015-03-30 2016-02-29 카트리지, 카트리지 유닛 및 액체 분사 시스템
KR1020197036242A KR102178041B1 (ko) 2015-03-30 2016-02-29 카트리지, 카트리지 유닛 및 액체 분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674A KR20170125911A (ko) 2015-03-30 2016-02-29 카트리지, 카트리지 유닛 및 액체 분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9643422B2 (ko)
EP (1) EP3278993B1 (ko)
JP (1) JP2016187876A (ko)
KR (2) KR20170125911A (ko)
CN (1) CN106004057B (ko)
AU (1) AU2016241445B2 (ko)
BR (1) BR112017020521A2 (ko)
RU (1) RU2675122C1 (ko)
TW (1) TWI621539B (ko)
WO (1) WO20161577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3881B2 (ja) * 2015-03-27 2018-10-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
JP2018122518A (ja) * 2017-02-01 2018-08-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WO2019098287A1 (ja) * 2017-11-20 2019-05-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7165049B2 (ja) * 2018-12-26 2022-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7183823B2 (ja) * 2019-01-29 2022-1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7131421B2 (ja) * 2019-02-12 2022-09-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EP4003738B1 (en) 2019-07-30 2024-06-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niform print head surface coating
US20220143980A1 (en) * 2019-07-30 2022-05-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ejection head service with non-wetting layer
KR20210053389A (ko) 2019-11-01 202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허벅지 형상에 기초하여 변형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
JP7415549B2 (ja) * 2019-12-25 2024-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JP2023004665A (ja) * 2021-06-28 2023-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2023050981A (ja) * 2021-09-30 2023-04-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印刷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8840A (ja) * 2003-06-05 2004-12-24 Seiko Epson Corp 液体容器
JP2005254565A (ja) * 2004-03-10 2005-09-22 Seiko Epson Corp 液体容器
JP2007136980A (ja) * 2005-11-22 2007-06-07 Seiko Epson Corp インクパック
JP2010000671A (ja) * 2008-06-19 2010-01-07 Ricoh Co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3105504A1 (ja) * 2012-01-13 2013-07-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印刷材供給システム、印刷装置、液体収容容器、印刷システム、及び端子接続構造
JP2013163364A (ja) * 2012-01-12 2013-08-22 Seiko Epson Corp 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4042A (en) * 1997-06-04 2000-06-13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ntainer having a guide feature for insuring reliable fluid, air and electrical connections to a printing system
US7188918B2 (en) * 1997-01-21 2007-03-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 delivery system adapter
EP1287997B1 (en) 1997-06-04 2006-04-05 Hewlett-Packard Company Ink delivery system Adapter
US5832900A (en) 1998-04-23 1998-11-10 Siemens Automotove Corporation Fuel recircul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irect fuel injection system
JP3907364B2 (ja) * 1999-12-13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296345B1 (en) * 2000-01-05 2001-10-02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horizontally loading and unloading an ink-jet print cartridge from a carriage
ES2334100T3 (es) * 2000-01-21 2010-03-05 Seiko Epson Corporation Cartucho de tinta para un aparato de registro y aparato de registro de inyeccion de tinta.
JP2001293882A (ja) * 2000-04-11 2001-10-23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100518205B1 (ko) * 2001-11-12 2005-10-0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잉크 카트리지
US7806523B2 (en) * 2003-08-08 2010-10-05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container holder thereof
EP2383122B1 (en) * 2005-02-02 2015-11-04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supply apparatus
JP2007168081A (ja) * 2005-12-19 2007-07-05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
JP4609665B2 (ja) * 2006-03-31 2011-01-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収納装置に対する保護装置
TWI581981B (zh) * 2006-11-06 2017-05-11 Seiko Epson Corp A liquid container, a container holder, and a liquid consuming device
BRPI0718250A2 (pt) * 2006-11-06 2014-01-07 Seiko Epson Corp Recipiente para líquido
US8287064B2 (en) * 2008-09-30 2012-10-16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ejecting apparatus
US8960871B2 (en) 2012-01-13 2015-02-24 Seiko Epson Corporation Mounting member, liquid container with mounting member, and liquid supply system
US9440755B2 (en) 2012-01-13 2016-09-13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consumption apparatus
US8931887B2 (en) 2012-01-13 2015-01-13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sumption apparatus, liquid supply member, and liquid supply system
US8646889B2 (en) 2012-01-13 2014-02-11 Seiko Epson Corporation Cartridge and printing device
JP6028424B2 (ja) * 2012-07-06 2016-1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材供給システムおよびそのカートリッジ
JP6163734B2 (ja) * 2012-08-31 2017-07-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液体消費装置
JP2016141087A (ja) * 2015-02-04 2016-08-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8840A (ja) * 2003-06-05 2004-12-24 Seiko Epson Corp 液体容器
JP2005254565A (ja) * 2004-03-10 2005-09-22 Seiko Epson Corp 液体容器
JP2007136980A (ja) * 2005-11-22 2007-06-07 Seiko Epson Corp インクパック
JP2010000671A (ja) * 2008-06-19 2010-01-07 Ricoh Co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63364A (ja) * 2012-01-12 2013-08-22 Seiko Epson Corp 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WO2013105504A1 (ja) * 2012-01-13 2013-07-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印刷材供給システム、印刷装置、液体収容容器、印刷システム、及び端子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78993A4 (en) 2018-11-21
US10414164B2 (en) 2019-09-17
AU2016241445B2 (en) 2018-08-09
KR20170125911A (ko) 2017-11-15
US20180319172A1 (en) 2018-11-08
CN106004057B (zh) 2019-09-03
TW201637884A (zh) 2016-11-01
US20170203577A1 (en) 2017-07-20
WO2016157715A1 (ja) 2016-10-06
AU2016241445A1 (en) 2017-08-31
US20160288514A1 (en) 2016-10-06
US9643422B2 (en) 2017-05-09
KR20190138713A (ko) 2019-12-13
US10046569B2 (en) 2018-08-14
RU2675122C1 (ru) 2018-12-17
BR112017020521A2 (pt) 2018-07-10
EP3278993B1 (en) 2021-10-20
EP3278993A1 (en) 2018-02-07
JP2016187876A (ja) 2016-11-04
CN106004057A (zh) 2016-10-12
TWI621539B (zh) 2018-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041B1 (ko) 카트리지, 카트리지 유닛 및 액체 분사 시스템
US20150352853A1 (en)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tank
CN108698410B (zh) 液体供给装置、液体喷射系统以及液体喷射装置
US11014369B2 (en) Cartridge and liquid ejecting system
CN115107373A (zh)
JPWO2019098287A1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2022096205A (ja) カートリッジ、印刷装置、および、印刷システム
WO2017090374A1 (ja) 液体供給ユニット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6511910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2016187877A (ja) 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US20170232757A1 (en) Liquid container, liquid jet apparatus
JP7131421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CN110171208B (zh) 墨水连接针、墨水填充用器具、墨盒
CN110481163B (zh) 液体喷射装置
WO2022065203A1 (ja) カートリッジ、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
WO2022091759A1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2023009790A (ja) カートリッジ
JP2024024218A (ja) カートリッジ
JP2022154024A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2021053911A (ja) 液体噴射装置
TW201932314A (zh) 卡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