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980B1 - 탈황 처리 장치 및 탈황 처리 장치의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탈황 처리 장치 및 탈황 처리 장치의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980B1
KR102165980B1 KR1020187027947A KR20187027947A KR102165980B1 KR 102165980 B1 KR102165980 B1 KR 102165980B1 KR 1020187027947 A KR1020187027947 A KR 1020187027947A KR 20187027947 A KR20187027947 A KR 20187027947A KR 102165980 B1 KR102165980 B1 KR 102165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tower
organic matter
opening
blowdown wat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403A (ko
Inventor
나오유키 가미야마
고이치로 히라야마
사토루 스기타
요시토 다나카
세이지 가가와
도시히로 후쿠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nan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23Water in cooling circ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8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urification of gaseous effl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4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8Chemical Oxygen Demand [COD];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3Treatment of partial or bypass str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냉각탑(11)으로부터의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를 도입하는 블로우다운수 라인(L1)과, 블로우다운수 라인(L1)에 배치되고,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 중의 유기물을 활성탄에 의해 제거하는 유기물 제거 장치(21)와, 보일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배기 가스(30) 중의 유황 산화물을 흡수액(33)으로 흡수하는 흡수탑(31)과, 유기물 제거 장치(21)와 접속되고, 유기물을 제거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를 흡수탑(31)의 보급수(32)로서 도입하는 보급수 도입 라인(L2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탈황 처리 장치 및 탈황 처리 장치의 운전 방법
본 발명은 탈황 처리 장치 및 탈황 처리 장치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대형 공조 설비 등에 이용되는 순환식 냉각탑에 있어서, 순환수의 증발에 의한 농축에 기인하여 냉각수를 접촉하는 금속부의 부식이나 조류(藻類)의 발생이나 스케일 석출의 요인이 되므로, 농축된 물의 일부를 버릴 필요가 있고, 이러한 버리는 물은 별도 처리되어, 방류되고 있다. 이러한 농축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처리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어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여과기, 역침투막(RO막)으로 처리하여, 다시 냉각탑에 공급하는 프로세스가 검토되고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평2-95493 호 공보
그런데, 플랜트 배기 가스 중, 예를 들어 화력 발전 플랜트에서의 배연 처리 시스템의 유황 산화물을 제거하는 습식 탈황 장치에 따른 흡수액을 순환시키는 흡수탑에 있어서도, 외부의 하천 호수 및 늪 등의 물을 일차 처리한 공업용수를 보급수로서 공급할 필요가 있어, 해당 탈황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공업용수의 취수량의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의 수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로부터 탈황 장치의 보급수를 생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역침투막 장치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동력비(動力費)가 높아지는 동시에, 또한 역침투막(RO막) 자체에 있어서도 그 폐색을 회피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약제 세정을 필요로 하고, 또한 해당 역침투막의 전처리 장치도 복잡하게 되는 것으로부터 비용 증대로 연결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처리하여 탈황 장치의 보급수로 함에 있어서, 그 처리수는 순수(純水) 레벨이기 때문에 역침투막 장치의 수처리 능력은 과잉인 것, 동(同) 부지 내의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는 무처리 또는 필요 최저한의 성분 제거나 pH 조정 처리를 실행한 후에 하천에 방류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간이(簡易)한 처리 장치에 의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의 재이용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그대로 탈황 장치의 보급수로서 이용했을 경우, 블로우다운수 중에 포함되는 유기성 약제 성분에 의해서, 흡수액의 심각한 산화 저해나 탈황 흡수제로서의 탄산칼슘의 활성 저해가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간이한 처리 장치에 의해 재이용을 도모하는 탈황 처리 장치 및 탈황 처리 장치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보일러 냉각탑으로부터의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도입하는 블로우다운수 라인과, 상기 블로우다운수 라인에 배치되고,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활성탄 등의 유기 흡착 필터에 의해 제거하는 유기물 제거 장치와, 보일러로부터의 배기 가스 중의 유황 산화물을 흡수하는 흡수탑과, 상기 유기물을 제거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상기 흡수탑의 보급수로서 도입하는 보급수 도입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의 재이용에 의해, 현재 하천 또는 공업용수로서 취수하고 있는 탈황 장치 보급수를 위한 취수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의 간이한 처리는 활성탄 등에 의한 유기물의 흡착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역침투막 장치를 이용한 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동력비가 염가로 될 수 있고, 역침투막의 정기 약제 세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성이 양호해진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제거 장치가, 직렬로 복수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유기물 제거 장치 각각이, 상기 블로우다운수 라인에 개재되고,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제거하는 유기물 흡착 필터와,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의 입구측에 마련되고,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주 유로 개폐 밸브와, 상기 주 유로 개폐 밸브의 상류측의 상기 블로우다운수 라인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의 출구측의 블로우다운수 라인에 접속하는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개재되고, 바이패스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물 흡착 필터를 복수 직렬로 배치하고, 특정의 필터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라인을 갖는 것에 의해, 흡착 능력이 저하했을 경우에는 해당 흡착 능력이 저하한 필터를 바이패스시키고, 예비의 필터를 통과하는 유로로 전환하여, 장기에 걸쳐 흡착 능력을 유지할 수 있어, 연속 운전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의 운전 시간에 따라서,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전환하여,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후류측의 유기물 필터에 바이패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물 흡착 필터의 운전 시간 및 재생 유지보수 이력이나 교환 이력에 따라서, 유기물 흡착 필터를 번갈아 가게 하여, 적절한 유기물 흡착 필터의 운전 대수나 유기물 흡착 필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와, 상기 주 유로 개폐 밸브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에 유입되는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즉 유기물 흡착 필터 처리수 성상을 TOC 분석계나 COD 분석계 등을 이용하여 계측하는 계측 장치와, 상기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 처리수의 성상(性狀)에 근거하여, 상기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 처리수의 성상에 근거하여,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전환하여,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바이패스시켜, 후류측의 건전한 유기물 필터에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바이패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 처리수의 성상을 계측하는 계측 기기를 설치하고, 계측 대상이 되는 유기물 흡착 필터의 계측 데이터의 계측 결과를 기초로 해당 대상 필터의 흡착 능력의 변화를 파악하고, 해당 필터의 흡착 능력이 소정치 이하가 되면, 제어 장치에 의해 각 밸브를 개폐하여 자동으로 유로의 전환을 실행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의 전후에 마련되고,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의 차압을 계측하는 계측 장치와, 상기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된 차압으로부터 구한 필터의 폐색 정도에 근거하여, 상기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차압에 근거하여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전환하여,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바이패스시켜, 후류측의 건전한 유기물 필터에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바이패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물 흡착 필터의 차압 상태를 계측하는 계측 기기를 설치하고, 계측 데이터의 계측 결과를 기초로 필터의 흡착 능력의 변화를 파악하고, 필터의 차압이 소정치 이상이 되면, 제어 장치에 의해 각 밸브를 개폐하여 자동으로 유로의 전환을 실행할 수 있다.
제 6 발명은, 제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탈황 처리 장치를 이용하고, 복수의 직렬로 배치한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는, 하나 이상의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를 예비로 하고, 나머지의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흡착하고,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의 일부를 바이패스할 때에는, 예비의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의 운전 방법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비의 유기물 흡착 필터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유기물 흡착 필터의 파과(破過)가 있으면, 흡수탑의 운전 능력은 현상(現狀)인 채의 상태에서, 이 예비의 유기물 흡착 필터로 전환하여,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흡착 처리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제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탈황 처리 장치를 이용하고, 복수의 직렬로 배치한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는, 전부의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흡착하고,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의 복수 중의 일부를 바이패스할 때에는, 상기 흡수탑의 운전 능력의 부하를 저감시켜 탈황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의 운전 방법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비의 유기물 흡착 필터를 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기물 흡착 필터의 파과가 있으면, 흡수탑의 운전 능력의 부하를 저감시켜, 파과된 유기물 흡착 필터를 바이패스시키고, 나머지의 유기물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흡착 처리할 수 있다.
제 8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 내를 순환하는 흡수액 중의 산화 환원 전위를 계측하는 산화 환원 전위계와, 상기 산화 환원 전위계에 의해 계측된 상기 흡수액의 산화 환원 전위의 값에 근거하여, 상기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흡수액의 산화 환원 전위의 값이 저하하는 경우, 예비의 사용하고 있지 않는 유기물 제거 장치의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전환하여, 예비의 상기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의 유입을 정지하고, 예비의 유기물 흡착 필터에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유입시켜,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의 운전 방법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탑 내의 산화 환원 전위의 값이 적정치까지 회복하지 않는 경우에, 예비의 유기물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유기물의 처리를 우선시켜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약제를, 현상의 제거량보다 한층 더 제거량의 증대를 도모하여, 흡수탑 내로의 유기물의 유입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의 재이용에 의해, 현재 하천 또는 공업용수로서 취수하고 있는 탈황 장치 보급수를 위한 취수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활성탄에 의한 처리에 의하므로, 역침투막 장치를 이용한 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동력비가 염가이고, 역침투막 처리와 같이 정기적인 약제 세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성이 양호해진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탈황 처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따른 탈황 처리 장치의 유기물 제거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 따른 운전 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3에 따른 탈황 처리 장치의 유기물 제거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4에 따른 탈황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시예 3에 따른 운전 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5에 따른 탈황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실시예 5에 따른 탈황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실시예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각 실시예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탈황 처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탈황 처리 장치(10)는, 보일러 냉각탑(이하 「냉각탑」이라고 함)(11)으로부터의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를 도입하는 블로우다운수 라인(L1)과, 블로우다운수 라인(L1)에 배치되고,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 중의 유기물을 활성탄에 의해 제거하는 유기물 제거 장치(21)와, 보일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배기 가스(30) 중의 유황 산화물을 흡수액(33)으로 흡수하는 흡수탑(31)과, 유기물 제거 장치(21)와 접속되고, 유기물을 제거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를 흡수탑(31)의 보급수(32)로서 도입하는 보급수 도입 라인(L20)을 구비한다. 여기서, 도 1 중, 부호 L31은 흡수액(33)의 순환 라인, P는 순환 라인(L31)에 개재된 흡수액(33)을 송액(送液)하는 송액 펌프, 34는 흡수탑(31)의 흡수액 저장부(31a)로부터 뽑아낸 흡수액(이하 「탈황 배수」라고 함)(35A)으로부터 석고(36)를 고액 분리하는 고액 분리기, 35B는 탈황 배수(35A)로부터 석고(36)가 분리된 분리액, L32는 순환 라인(L31)으로부터 분기된 탈황 배수(35A)를 뽑아내는 라인, L33은 석고(36)를 배출하는 석고 배출 라인, 37은 분리액(35B)을 저장하는 저장조, L34는 분리액(35B)을 저장조(37)에 공급하는 분리액 공급 라인, L35는 분리액(35B)을 저장조(37)로부터 흡수액 저장부(31a)로 되돌리는 분리액 복귀 라인, L36은 분리액(35B)을 저장조(37)로부터 방류하는 분리액 방류 라인을 각각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수탑(31)에 보급수(32)로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를 공급하는 블로우다운수 라인(L1)에 유기물 제거 장치(21)를 설치함으로써,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에 포함되는 예를 들어 스케일 방지제, 방청제 등의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급수(32)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이 제거되므로, 유기물에 기인하는 탈황 장치에서의 산화 및 흡수제의 활성 저해가 없는 탈황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물로서는, 예를 들어 중합 인산염, 아크릴산 폴리머, 유기 인 약제 등의 유기 약제가 예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물 제거 장치(21)의 상류측에, 전처리 장치(20)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전처리 장치(20)는, 예를 들어 비교적 간이적인 모래 여과 장치, 정밀 여과 장치, 한외(限外) 여과 장치, 나노 여과 장치 등의 막 여과 설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처리 장치(20)의 설치에 의해, 유기물 제거 장치(21)의 고형분 등의 부착에 의한 처리 유량 부하 저하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유기물 제거 장치(21)로서는, 예를 들어 활성탄에 의한 유기물 제거 이외에는, 예를 들어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이온 교환 설비 등을 들 수 있다. 활성탄에 의한 처리에 의하면, RO(역침투막 장치)를 이용한 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동력비가 염가가 된다. 또한, 역침투막의 정기 약제 세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성이 양호해진다. 활성탄에 의한 처리에 의하면, 역침투막(RO) 장치를 이용한 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역침투막 장치를 이용했을 경우의 운전보다 동력비가 염가가 되어, 탈황 처리 장치의 플랜트 운전 비용이 경제적이 된다. 또한, 역침투막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역침투막의 정기 약제 세정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정기적인 세정 처리가 불필요해져, 탈황 처리 장치의 유지보수성이 양호해진다.
냉각탑(11)으로부터의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는 냉각탑(11)으로부터 필요한 양만큼 분취하고, 나머지는 배수로서 방류한다. 냉각탑(11)은, 냉각수를 펌프(P1)에 의해 순환시키는 순환 라인(16)과, 냉각수를 펌프(P2)에 의해 뽑아내고, 모래 여과 장치(17)가 개재되는 정화 라인(15)과, 냉각탑 보급수(18)를 냉각탑(11)에 도입하는 도입 라인(19)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황 처리 장치(10)에 있어서, 냉각탑(11)이나 흡수탑(31)의 구성은 공지의 장치 구성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의 재이용에 의해, 현재 하천수(또는 공업용수)(39)로서 취수하고 있는 탈황 장치 보급수를 위한 취수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 1에 의하면, 냉각탑(11)으로부터의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 중의 유기물을 활성탄 등에 의한 유기물 제거 장치(21)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흡수탑(31)의 탈황 장치에서의 산화 저해나 활성 저해가 억제된다. 또한, 흡수탑(31)의 보급수(32)로서 전용함으로써,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 자체의 외부로의 배수량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탈황 처리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 2에 따른 탈황 처리 장치의 유기물 제거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제거 장치는, 직렬로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제 1 내지 제 5 유기물 제거 장치(21-1, 21-2, 21-3, 21-4, 21-5)가 접속되고 있다. 제 1 유기물 제거 장치(21-1) 내지 제 5 유기물 제거 장치(21-5)의 구성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 1 유기물 제거 장치(21-1)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 1 유기물 제거 장치(21-1)는, 블로우다운수 라인(L1)에 개재되고,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 중의 유기물을 제거하는 제 1 유기물 흡착 필터(22-1)와, 제 1 유기물 흡착 필터(22-1)의 입구측에 마련되고,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의 유입을 개폐하는 제 1 주 유로 개폐 밸브(V1)와, 제 1 주 유로 개폐 밸브(V1)의 상류측의 제 1 블로우다운수 라인(L1)으로부터 분기되고, 제 1 유기물 흡착 필터(22-1)를 바이패스하여, 제 1 유기물 흡착 필터(22-1)의 출구측의 제 2 블로우다운수 라인(L2)에 접속하는 제 1 바이패스 라인(L11)과, 제 1 바이패스 라인(L11)에 개재되고, 바이패스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의 유입을 개폐하는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V1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제 1 유기물 제거 장치(21-1) 내지 제 5 유기물 제거 장치(21-5)를 5개 직렬로 배치시키고, 제 1 내지 제 5 유기물 흡착 필터(「제 1 내지 제 5 필터」라고 함)(22-1 내지 22-5)를 블로우다운수 라인에 직렬로 접속하고, 각 제 1 내지 제 5 유기물 흡착 필터(22-1)에는, 제 1 내지 제 5 바이패스 라인(L11 내지 L15)이 각각 마련되고, 각각의 제 1 내지 제 5 유기물 흡착 필터(22-1 내지 21-5)를 우회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5개의 유기물 흡착 필터를 설치했을 경우, 운전 초기는 제 1 필터(22-1), 제 2 필터(22-2), 제 3 필터(22-3)를 직렬로 하여 통과하는 유로로 운전하고, 제 4 필터(22-4) 및 제 5 필터(22-5)는 제 4 바이패스 라인(L14), 제 4 바이패스 라인(L15)을 이용하여 바이패스시켜, 예비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필터(22-1)의 흡착 능력이 저하했을 때에는, 제 4 필터(22-4)의 유로를 바이패스 라인(L14)으로부터 전환하여, 제 4 필터(22-4)를 통과하는 유로로 전환하는 동시에, 제 1 필터의 밸브(V1)를 폐쇄하고, 제 1 필터(22-1)를 바이패스시켜 운전한다.
이러한 바이패스시킨 열화한 제 1 필터(22-1)는, 신품의 유기물 흡착 필터를 조립하도록 해도 좋고, 유기물 흡착 필터로서 활성탄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재생 처리하여 재이용함으로써, 장기에 걸쳐 흡착 능력을 유지시켜, 연속 운전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속 운전 시간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정기 유지보수의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필터를 직렬 배치로 함으로써, 하나 당의 유기물 흡착 필터에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유기물이 고농도인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에 대응할 수 있다. 즉, 고농도의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를 이용하여 1개만의 유기물 흡착 필터로 처리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유기물 흡착 필터의 파과가 있으면, 유기물 흡착 필터 그 자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필터 교환에 수반하여, 유기물 제거 처리를 정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하천수의 취수량이 증대한다. 이에 대해서, 복수의 유기물 제거 장치(21)를 직렬 배치로 분산 처리함으로써, 유기물 흡착 필터 파과의 정도를 분산시킬 수 있다.
유기물 흡착 필터의 수의 설치의 일례로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실행한다.
1) 처리하는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의 흡수탑(31)에의 보급수(32)로서의 보급량을 결정하면, 이 보급량의 용량에 따라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의 유기물의 함유량이 구해지고, 이 유기물량을 흡착 처리하는 필요한 활성탄의 사용량을 계산에 의해 구한다.
2) 이 계산에 의해 직렬 배치의 유기물 흡착 필터의 하나 당의 활성탄량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5열의 직렬 배치의 유기물 흡착 필터를 필요로 하는 경우, 예비의 직렬의 배치의 필터를 하나 이상 배치시켜 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 4, 제 5 필터(22-4, 22-5)를 예비의 필터로서 배치하고 있다.
3) 예비의 필터는 당초는 사용하지 않고, 제 4 바이패스 라인(L14), 제 5 바이패스 라인(L15)에 의해 바이패스시켜 둔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예비의 유기물 흡착 필터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유기물 흡착 필터의 파과가 있으면, 흡수탑(31)의 운전 능력은 현상인 채의 상태에서, 이 예비의 유기물 흡착 필터로 전환하여,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흡착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비의 필터는 적어도 1개의 유기물 흡착 필터가 있으면 좋지만, 2개 이상의 유기물 흡착 필터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대해서, 복수의 직렬로 배치한 유기물 흡착 필터(22)에 있어서, 전부의 제 1 내지 제 5 필터(22-1 내지 22-5)를 사용하여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 중의 유기물을 흡착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유기물 흡착 필터(22)의 복수 중의 일부를 바이패스할 때에는, 흡수탑(31)의 운전 능력의 부하를 저감시켜 탈황 처리할 수 있다. 흡수탑(31)의 운전 능력의 부하를 저감시키므로, 보급수(32)의 공급량을 일시적으로 저감시켜, 바이패스에 의한 흡착 처리의 저하를 보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열 직렬의 제 1 내지 제 5 필터(22-1 내지 22-5)를 이용하여 직렬 처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 1 필터(22-1)의 흡착 능력이 저하했을 때에는, 흡수탑(31)에서의 운전 부하를 저감시켜, 보급수(32)의 공급량을 저감시키고, 나머지 4개의 제 2 내지 제 5 필터(22-2 내지 22-5)로 운전함으로써, 흡착 처리의 부하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비의 유기물 흡착 필터를 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기물 흡착 필터의 파과가 있으면, 흡수탑의 운전 능력의 부하를 저감시켜, 파과된 유기물 흡착 필터를 바이패스시키고, 나머지의 유기물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흡착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물 흡착 필터를 직렬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5개) 배치하고, 각 유기물 흡착 필터를 우회하는 유로를 마련했을 경우의 운전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 2에 따른 운전 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 1 내지 제 3 필터(22-1 내지 22-3)를 3대 직렬로 하여 운전하고 있는 경우, 그러한 각 필터의 운전 시간에 따라서, 바이패스 운전의 배치를 번갈아 가게 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초기는, 제 1 필터(22-1), 제 2 필터(22-2), 제 3 필터(22-3)로 3열 직접 운전하고, 제 4 필터(22-4), 제 5 필터(22-5)는 예비의 바이패스 운전하고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3의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초기는 제 1 필터(22-1), 제 2 필터(22-2), 제 3 필터(22-3)로 3열 직접 운전하고 있다.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도 3의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4 필터(22-4)를 바이패스 운전으로부터 필터를 통과하는 운전으로 전환하고, 그 후 V1을 폐쇄하고, 제 1 필터(22-1)의 제 1 바이패스 라인(L11)을 바이패스 운전시킨다. 그 후의 경과 시간에 따라 제 5 필터(22-5)를 바이패스 운전으로부터 필터를 통과하는 운전으로 전환하고, 그 후 V2를 폐쇄하고, 제 2 필터(22-2)의 제 2 바이패스 라인(L12)을 바이패스 운전시킨다.
이러한 플랜트의 운전 시간에 따라서, 바이패스 운전의 배치를 번갈아 가게 운전하는 피드포워드(feed forward; FF) 제어함으로써, 흡수탑(31)에 보급수(32)로서 도입하는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 중의 유기물의 제거를 항상 안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유기물 흡착 필터를(5)개 직렬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유기물 흡착 필터의 설치수는 5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처리하는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나 플랜트의 설비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탈황 처리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 3에 따른 탈황 처리 장치의 유기물 제거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실시예 2의 구성 부재와 중복하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제거 장치는, 제 1 유기물 흡착 필터(22-1 내지 22-5)와 제 1 내지 제 5 주 유로 개폐 밸브(V1 내지 V5)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제 1 내지 제 5 유기물 흡착 필터(22-1 내지 22-5)에 각각 유입되는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의 성상을 계측하는 제 1 내지 제 6 계측 장치(25-1 내지 25-6)와, 제 1 내지 제 6 계측 장치(25-1 내지 25-6)에 의해 계측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의 성상에 근거하여, 제 1 내지 제 5 주 유로 개폐 밸브(V1 내지 V5)와 제 1 내지 제 5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V11 내지 V15)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50)를 구비하며, 제어 장치(50)는,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의 성상(예를 들면, 흡착 능력의 상한에 이르렀을 경우의 사전설정한 소정치)에 근거하여, 제 1 내지 제 5 주 유로 개폐 밸브(V1 내지 V5)와 제 1 내지 제 5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V11 내지 V15)의 개폐를 전환하여, 제 1 내지 제 5 바이패스 라인(L11 내지 L15)에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를 바이패스시켜, 후류측의 유기물 필터에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를 바이패스시킨다.
각 필터의 전후에 계측 장치(25)를 설치하고, 계측 장치(25)의 계측 데이터를 기초로 필터의 흡착 능력의 변화를 파악한다. 그리고, 계측 장치의 결과보다, 제어 장치(50)에 있어서, 사전설정한 필터의 흡착 능력이 소정치 이하가 된다고 판단하면, 제어 장치(50)에 의해 각 밸브(V1, V11)를 개폐하여 유로를 전환한다.
여기서, 계측 장치로서는,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의 성상을 계측하는 전체 유기체 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계, 화학적 산소 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계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의 성상(예를 들면, 흡착 능력의 상한에 이르렀을 경우, 사전설정한 TOC치, COD치)에 근거하여, 바이패스 라인을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TOC계 또는 COD계의 경우는, 유기물 흡착 필터 출구의 유기물 농도로부터 흡착 능력을 구할 수 있다.
또한, 계측 장치로서, 압력계를 이용하는 경우는, 각 유기물 흡착 필터의 전후의 차압으로부터 폐색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계측 장치(25)를 이용하여, 계측 결과를 기초로, 제어 장치(50)에 의한 제어에 의해 실시예 1의 유로 전환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의 변형예로서, 각 계측 계기에서, 각 유기물 흡착 필터 출구의 TOC 또는 COD의 값이 소정치를 초과하여, 유기물 흡착 필터에 흡착 능력이 허용 상한에 이르렀을 경우, 혹은 각 유기물 흡착 필터의 차압이 소정치를 초과하여 허용의 폐색도 상한에 이르렀을 경우에, 열화하고 있지 않는 유기물 흡착 필터를 조합하는 피드백(FB) 제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각 필터 출구의 TOC 또는 COD의 측정 분석 장치는, 도 4의 일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필터의 출구에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운전 관리해도 좋다. 또는, 각 유기물 흡착 필터의 출구에 샘플링 밸브를 마련하여 이것을 개별적으로 전환함으로써 대표 계기에 순차로 송액하여 분석을 실행하고, 각 유기물 흡착 필터 상태 관리는 운전 관리 장치에 의해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유기물 흡착 필터의 흡착 능력이 저하한 유기물 흡착 필터는 바이패스시켜 운전 계열로부터 분리하여 역세(逆洗)나 재생의 유지보수를 실행한다.
또한, 역세·재생도 불가능하게 되어 사용 한계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활성탄 필터의 교환을 실행한다. 교환 필터는 하우징과 함께 교환하는 카트리지식으로 하고, 별도 카트리지 내부의 활성탄을 바꿔넣어 유지보수성을 향상시켜도 좋다. 또한, 타워 내에 트레이를 설치하고, 이 트레이로부터 활성탄을 인출하여 교환해도 좋다.
직렬로 함으로써 하나 당의 유기물 흡착 필터에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고농도 배액에 대응할 수 있다.
계측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흡착 능력이 저하한 유기물 흡착 필터를 특정하는 동시에, 그 열화한 유기물 흡착 필터를 유로로부터 제외함으로써, 운전을 정지하지 않고 유지보수가 가능해진다.
또한, 계측 장치(25)로서 압력계를 유기물 흡착 필터(22)의 전후에 마련하고, 유기물 흡착 필터(22-1 내지 22-5)의 차압을 각각 계측하고, 계측 장치(25)에 의해 계측된 차압으로부터 구한 필터의 폐색 정도에 근거하여, 주 유로 개폐 밸브(V1)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V1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50)를 구비하며, 제어 장치(50)는, 차압에 근거하여, 주 유로 개폐 밸브(V1)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V11)의 개폐를 전환하여, 바이패스 라인(L11)에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바이패스시켜, 후류측의 유기물 필터에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를 바이패스시킨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탈황 처리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 4에 따른 탈황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탈황 처리 시스템은, 흡수탑(31) 내를 순환하는 흡수액(33) 중의 산화 환원 전위를 계측하는 산화 환원 전위(ORP)계(40)와, 산화 환원 전위계(40)에 의해 계측된 흡수액의 ORP의 값에 근거하여,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50)는, 흡수탑(31)을 순환하는 흡수액(33)의 ORP의 값이 저하하는 경우, 예비의 사용하고 있지 않는 제 4 유기물 제거 장치(21-4)의 주 유로 개폐 밸브(V4)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V14)의 개폐를 전환하여, 예비의 바이패스 라인(L14)으로의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의 유입을 정지하고, 예비의 제 4 유기물 필터(22-4)에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를 유입시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 중의 유기물을 제거한다.
계측 장치(25)가 없는 경우에는, 소정 시간의 운전을 번갈아 가게 실행하고 있지만, 이러한 경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의 유기물 농도가 통상보다 높은 경우에는, 소정 시간의 운전 이전에 유기물 흡착 필터의 파과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 흡수탑(31) 내에서 유기물 농도가 증대하는 결과, 탈황 저해가 발생한다. 이 ORP치가 저하하여 탈황 처리의 산화 저해가 커지는 경우에는, 유기물 흡착 필터의 능력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또한, 계측 장치(25)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계기치의 계측 결과의 낮은 값의 유기물 흡착 필터를 조합함으로써, 유기물 제거를 실행한다.
여기서, 산화 저해가 없는 통상 ORP 예로서는, ORP치가 80mV로부터 100mV 이상이다. 이에 대해서, 산화 성능 저하시의 ORP 예로서는, ORP치가 80mV 이하이다.
약제(예를 들면, 아크릴산)가 유기물 흡착 필터로 제거되지 않고, 흡수탑(31) 내에 도입되는 경우, 흡수액(33) 내에서의 산화 속도를 저하시켜, 흡수탑(31) 내에서의 산화 저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흡수탑(31)에 있어서의 산화 저해란, 흡수액으로서 석회를 이용하는 습식 탈황 장치의 경우, 배기 가스(30) 중의 SOx와 흡수액(석회:탄산칼슘)(33)이 반응하여, SOx를 흡수해서, 아황산칼슘(고형물, 스케일링 장해)이 되지만, 이 ORP치가 저하하는(100mV 이하가 됨) 경우에는, 흡수액(33) 중에 필요량의 산소가 저하하여 산화 부족이 되는 결과, 이 아황산칼슘이 그대로의 상태로 존재하여, 황산칼슘(석고)까지 산화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또한, 흡수탑(31) 내에, ORP 제어 장치가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ORP치가 적정치 이하가 되는 경우, 흡수액(33) 내의 산화용 공기를 증대시키도록, 공기(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산소 공급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ORP 제어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공급 공기량의 증대, 제트 에어 스파저(jet air sparger)의 가동 개수의 증대 등이 있다.
도 6은 실시예 3에 따른 운전 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통상의 ORP 제어를 실행하고 있어도, 흡수탑(31) 내의 ORP의 값이 적정치까지(100mV 이상) 회복되지 않는 경우에는,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 중의 약제량이 상정 이상으로 과잉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6의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비의 유기물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유기물의 처리를 우선시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 중의 약제를 현상의 제거량보다 한층 더 제거량의 증대를 도모하여, 흡수탑 내로의 유기물의 유입을 억제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탈황 처리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 5에 따른 탈황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탈황 처리 장치는,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유기물 제거 장치(21-1, 21-2, 21-3)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블로우다운수 라인(L0)으로부터 분기된 복수의 병렬 도입 라인(L31, L32, L33)에 각각 개재되고,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 중의 유기물을 제거하는 제 1 내지 제 3 유기물 흡착 필터(22-1 내지 22-3)와, 제 1 내지 제 3 유기물 흡착 필터(22-1 내지 22-3)의 입구측에 마련되고,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의 유입을 개폐하는 제 1 내지 제 3 유로 개폐 밸브(V31 내지 V33)를 구비한다.
이 탈황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병렬로 배치한 유기물 흡착 필터(22)는, 항상 하나 이상의 유기물 흡착 필터를 예비(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유기물 흡착 필터(22-3))로 하고, 나머지의 제 1, 제 2 유기물 흡착 필터(22-1, 22-2)를 이용하여,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 중의 유기물을 병렬 흡착하고, 제 1 유기물 흡착 필터(22-1)를 정지할 때에는, 예비의 제 3 유기물 흡착 필터(22-3)를 이용하여,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 중의 유기물을 흡착한다. 이것에 의해, 운전을 정지하지 않고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의 제거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복수의 병렬로 배치한 유기물 흡착 필터에 있어서, 모든 제 1 내지 제 3 유기물 흡착 필터(22-1 내지 22-3)를 사용하여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 중의 유기물을 흡착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하고 있는 유기물 흡착 필터(22)의 일부를 정지할 때에는, 흡수탑(31)의 운전 능력의 부하를 저감시켜 탈황 처리할 수 있다. 흡수탑(31)의 운전 능력의 부하를 저감시키므로, 보급수(32)의 공급량을 일시적으로 저감시켜, 정지에 의한 흡착 처리의 저하를 보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열의 필터(22-1 내지 22-3)를 이용하여 병렬 처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 1 필터(22-1)의 흡착 능력이 저하했을 때에는, 흡수탑(31)에서의 운전 부하를 저감시켜, 보급수(32)의 공급량을 저감시키고, 나머지 2개의 제 2 내지 제 3 필터(22-2 내지 22-3)로 운전함으로써, 흡착 처리의 부하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제 1 내지 제 3 유기물 흡착 필터(22-1 내지 22-3)와 제 1 내지 제 3 유로 개폐 밸브(V31 내지 V33) 사이의 각각에 마련되고, 제 1 내지 제 3 유기물 흡착 필터(22-1 내지 22-3)에 유입되는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12)의 성상을 계측하는 제 1 내지 제 3 계측 장치(25-1 내지 25-3)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 제 1 내지 제 3 계측 장치(25-1 내지 25-3)로 유기물 흡착 필터의 열화를 감시하고, 필터의 흡착 능력의 변화를 파악하여, 필터를 교환하도록 하고, 계측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흡착 능력이 저하한 필터를 특정하는 동시에, 그 열화한 필터를 유로로부터 제외함으로써, 운전을 정지하지 않고 유지보수가 가능해진다.
10 : 탈황 처리 장치 11 : 보일러 냉각탑
12 :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L1 : 블로우다운수 라인
21 : 유기물 제거 장치 31 : 흡수탑
32 : 보급수 L20 : 보급수 도입 라인

Claims (8)

  1. 보일러용 보일러 냉각탑으로부터 배출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도입하는 블로우다운수 라인과,
    상기 블로우다운수 라인에 배치되고,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활성탄에 의해 제거하는 유기물 제거 장치와,
    보일러로부터의 배기 가스 중의 유황 산화물을 흡수하는 흡수탑과,
    상기 유기물을 제거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상기 흡수탑의 보급수로서 도입하는 보급수 도입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제거 장치가 상기 블로우다운수 라인 직렬로 복수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유기물 제거 장치 각각이,
    상기 블로우다운수 라인에 개재되고,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제거하는 유기물 흡착 필터와,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의 입구측에 마련되고,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주 유로 개폐 밸브와,
    상기 주 유로 개폐 밸브의 상류측의 상기 블로우다운수 라인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의 출구측의 블로우다운수 라인에 접속하는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개재되고, 바이패스한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의 유입을 개폐하는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의 운전 시간에 따라서,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전환하여,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후류측의 유기물 필터에 바이패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와 상기 주 유로 개폐 밸브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에 유입되는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 처리수의 성상을 계측하는 계측 장치와,
    상기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된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 처리수의 성상에 근거하여, 상기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 처리수의 성상에 근거하여,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전환하여,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바이패스시켜, 후류측의 유기물 필터에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바이패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의 전후에 마련되고,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의 차압을 계측하는 계측 장치와,
    상기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된 차압으로부터 구한 필터의 폐색 정도에 근거하여, 상기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차압에 근거하여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전환하여,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바이패스시켜, 후류측의 유기물 필터에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바이패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탈황 처리 장치를 이용하고,
    복수의 직렬로 배치한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는, 하나 이상의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를 당초는 사용하지 않고 예비로 하고, 나머지의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흡착하고,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의 일부를 바이패스할 때에는, 예비의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의 운전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탈황 처리 장치를 이용하고,
    복수의 직렬로 배치한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는, 전부의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흡착하고,
    상기 유기물 흡착 필터의 복수 중의 일부를 바이패스할 때에는, 상기 흡수탑의 운전 능력의 부하를 저감시켜 탈황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의 운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 내를 순환하는 흡수액 중의 산화 환원 전위를 계측하는 산화 환원 전위계와,
    상기 산화 환원 전위계에 의해 계측된 상기 흡수액의 산화 환원 전위의 값에 근거하여, 상기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흡수액의 산화 환원 전위의 값이 저하하는 경우, 예비의 사용하고 있지 않는 유기물 제거 장치의 주 유로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용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전환하여, 예비의 상기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의 유입을 정지하고, 예비의 유기물 필터에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를 유입시켜, 상기 보일러 냉각탑 블로우다운수 중의 유기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처리 장치의 운전 방법.
KR1020187027947A 2016-03-31 2017-02-21 탈황 처리 장치 및 탈황 처리 장치의 운전 방법 KR102165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2508A JP6723793B2 (ja) 2016-03-31 2016-03-31 脱硫処理装置及び脱硫処理装置の運転方法
JPJP-P-2016-072508 2016-03-31
PCT/JP2017/006429 WO2017169309A1 (ja) 2016-03-31 2017-02-21 脱硫処理装置及び脱硫処理装置の運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403A KR20180116403A (ko) 2018-10-24
KR102165980B1 true KR102165980B1 (ko) 2020-10-15

Family

ID=5996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947A KR102165980B1 (ko) 2016-03-31 2017-02-21 탈황 처리 장치 및 탈황 처리 장치의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17996B2 (ko)
EP (1) EP3437720B1 (ko)
JP (1) JP6723793B2 (ko)
KR (1) KR102165980B1 (ko)
CN (1) CN108883362B (ko)
PL (1) PL3437720T3 (ko)
WO (1) WO2017169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251B1 (ko) * 2019-03-29 2020-12-03 한국동서발전(주) 탈황공정수 재순환방법
EP3896445A1 (en) * 2020-04-17 2021-10-20 Uros AG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redox potential analysis in an aqueous solution
CN113548738B (zh) * 2021-08-06 2022-10-14 河北国华定州发电有限责任公司 电厂排污水中阻垢剂浓度监控及去除方法
DE102022123613B3 (de) * 2022-09-15 2023-11-16 CERAFILTEC Germany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Sättigungsdauer eines Adsorptionsmittels und zum Abschätzen des Ist-DOC-Anteils eines zu filtrierenden Testmediums
CN117101300B (zh) * 2023-08-25 2024-05-24 深圳市睿维盛环保科技有限公司 VOCs废气处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964A (ja) 1998-10-20 2000-07-11 Nitto Denko Corp 造水装置および造水方法
JP2005313034A (ja) * 2004-04-27 2005-11-10 Miura Co Ltd 給水システム
JP2007007580A (ja) * 2005-06-30 2007-01-18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処理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230A (ja) 1983-09-09 1985-04-04 Babcock Hitachi Kk 排煙脱硫方法および装置
JPH0295493A (ja) * 1988-10-03 1990-04-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循環式冷却水の処理方法
JPH04367506A (ja) * 1991-06-12 1992-12-18 Kobe Steel Ltd ヘリウム精製装置
EP0883433B1 (en) * 1996-03-01 2002-09-11 Ebara Corporation Desulfurizing method and apparatus by irradiation of electron beam
US5762763A (en) * 1996-09-11 1998-06-09 Flai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water from compressed air system condensate
JP4472050B2 (ja) * 1998-10-20 2010-06-02 日東電工株式会社 造水装置および造水方法
JP2001327830A (ja) * 2000-05-22 2001-11-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排煙処理装置
JP2002085941A (ja) * 2000-07-13 2002-03-26 Toray Ind Inc 造水方法および造水装置
JP4841065B2 (ja) * 2001-06-21 2011-12-21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排煙のso3分除去装置
JP5084130B2 (ja) * 2005-10-25 2012-11-28 中国電力株式会社 廃液処理方法及び廃液処理システム
CN100355663C (zh) * 2006-02-20 2007-12-19 张贵祥 火电厂废水循环利用处理技术
JP4540628B2 (ja) * 2006-03-16 2010-09-08 三井造船株式会社 廃棄物ガス化装置
US8387545B2 (en) * 2009-07-17 2013-03-05 Conocophillips Company Water recovery from flue gas in steam-assisted production
CN201605173U (zh) * 2009-11-10 2010-10-13 天津大沽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电厂废水回收装置
EP2335806A1 (en) * 2009-12-04 2011-06-22 Alstom Technology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densing water vapour from a carbon dioxide rich flue gas
JP5589464B2 (ja) * 2010-03-17 2014-09-17 三浦工業株式会社 濾過システム
US8518148B2 (en) * 2010-07-12 2013-08-27 Babcock & Wilcox Power Generation Group, Inc. Integrated flue gas dehumidification and wet cooling tower system
CA2808563C (en) 2010-10-15 2015-06-16 Nobuyuki Ukai System for processing mercury in flue gas
JP5728963B2 (ja) * 2011-01-20 2015-06-03 株式会社Ihi 酸素燃焼システムの排煙脱硫方法及び装置
JP2013006144A (ja) * 2011-06-23 2013-01-10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処理装置及び排ガス処理装置のorp制御方法
CN102343201A (zh) * 2011-10-11 2012-02-08 南京大学 一种利用烟道气余热脱除其酸性气体的工艺
JP5874925B2 (ja) * 2012-08-01 2016-03-02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焼却プラント排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設備
EP2703063A1 (en) * 2012-09-04 2014-03-05 Alstom Technology Ltd Desulphurization and cooling of process gas
JP5974386B2 (ja) * 2013-02-28 2016-08-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海水淡水化システム
JP6298296B2 (ja) * 2014-01-08 2018-03-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6287666B2 (ja) * 2014-07-30 2018-03-07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排水処理方法及び排水処理装置
CN104689676B (zh) * 2015-03-13 2016-11-30 北京中能诺泰节能环保技术有限责任公司 湿法脱硫废水利用系统及其工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964A (ja) 1998-10-20 2000-07-11 Nitto Denko Corp 造水装置および造水方法
JP2005313034A (ja) * 2004-04-27 2005-11-10 Miura Co Ltd 給水システム
JP2007007580A (ja) * 2005-06-30 2007-01-18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処理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05604A1 (en) 2019-04-11
CN108883362A (zh) 2018-11-23
WO2017169309A1 (ja) 2017-10-05
US10617996B2 (en) 2020-04-14
EP3437720B1 (en) 2021-01-06
CN108883362B (zh) 2021-05-11
JP2017177074A (ja) 2017-10-05
JP6723793B2 (ja) 2020-07-15
PL3437720T3 (pl) 2021-07-05
KR20180116403A (ko) 2018-10-24
EP3437720A4 (en) 2019-10-02
EP3437720A1 (en) 201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980B1 (ko) 탈황 처리 장치 및 탈황 처리 장치의 운전 방법
CN106082407B (zh) 水处理设备
JP5909281B2 (ja) 水処理装置
JP5955389B2 (ja) 脱塩処理装置及び脱塩処理装置の運転方法
US20170275189A1 (en) Deposit monitor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device, water treatment device, operating method for same, and washing method for water treatment device
US10464024B2 (en) Water treatmen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water treatment device
JP2021006335A (ja) 分離膜プラントにおける分離膜の酸化リスク評価方法および造水装置
JP2008194658A (ja) 純水製造システム
US20120187050A1 (en) Aeration apparatus, seawater flue gas desulphuriz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on method of aeration apparatus
JP2005279462A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KR20120082754A (ko)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역삼투막필터 세정방법
KR20110097713A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JP2017113735A (ja) 分離膜ろ過装置および浄水装置の運転方法
US20170296975A1 (en) Raw water filtration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filtration device
KR19980016045A (ko) 역삼투압 정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81075B1 (ko) 침지식 연속유동 막여과장치 및 그의 역세척방법
KR101400921B1 (ko) 연속유동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2457869B1 (ko) 세정수에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켜 멤브레인에서 이물질을 부상시켜 세정할 수 있는 멤브레인 세정장치 및 방법
KR101541654B1 (ko) 교차 운전을 이용한 역삼투막 여과장치 및 여과방법
JP2005017098A (ja) 水質計測方法及び水質計測システム
KR20030021022A (ko)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200669A (ja) リン除去装置
JP4355867B2 (ja) プール水の高度オゾン浄化装置
CN112939286A (zh) 一种钢材加工用废水处理智能控制系统
KR20000006880U (ko) 이온제거기능이 부가된 폐수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