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946B1 -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인쇄기 및 잉크 리저버의 청소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인쇄기 및 잉크 리저버의 청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946B1
KR102165946B1 KR1020197025295A KR20197025295A KR102165946B1 KR 102165946 B1 KR102165946 B1 KR 102165946B1 KR 1020197025295 A KR1020197025295 A KR 1020197025295A KR 20197025295 A KR20197025295 A KR 20197025295A KR 102165946 B1 KR102165946 B1 KR 102165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fountain
ink
roller
fountain rolle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659A (ko
Inventor
마사유키 이즈메
Original Assignee
아이머 플래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머 플래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머 플래닝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5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5/00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5/04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for ink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41F31/04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with duct-blades or like me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41F31/04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with duct-blades or like metering devices
    • B41F31/05Position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41F31/08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with ink ejecting means, e.g. pump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41F31/14Applications of messenger or other moving transfe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20Ink-removing or coll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10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 B41P2235/20Wi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10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 B41P2235/20Wiping devices
    • B41P2235/21Scrapers, e.g. absorbent pads

Landscapes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인쇄기는,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의 사이에 잉크 리저버를 형성하여, 잉크 파운틴 롤러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한 덕터 롤러를 통해 플레이트 실린더에 잉크를 공급한다. 인쇄기는, 잉크 파운틴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을 베이스를 따라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잉크 파운틴의 선단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을 제어하는 슬라이드 기구와, 잉크 파운틴 롤러로부터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너와, 클리너를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촉하는 위치와 비접촉 위치의 사이에서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기구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에 의해 슬라이드 기구와 전후진 기구를 제어하여, 간극을 넓혀, 잉크 중의 협잡물과 잉크를 간극을 통과시키며, 또한 클리너를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촉시켜, 잉크 중의 협잡물과 잉크를 제거한다.

Description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인쇄기 및 잉크 리저버의 청소 방법
본 발명은 인쇄기에서의 잉크 리저버의 청소에 관한 것이다.
재생지에 인쇄하는 빈도가 늘어남에 따라, 종이가루에 의해 인쇄기가 오염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종이가루는 블랭킷 실린더 등으로부터 잉크에 올라타 잉크 파운틴 측으로 이동하여,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에 가득찬다. 이에 따라, 잉크 파운틴 롤러를 통해 덕터 롤러에 공급되는 잉크량이 감소하여, 인쇄 농도가 저하한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잉크 파운틴을 세정하여 종이가루를 제거하고 있지만, 이것은 작업자의 부담이 되며, 또한 청소 시에 인쇄를 정지할 필요가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을 제시한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 3194174)에서는, 잉크 파운틴의 표면을, 감기와 풀기가 가능한 시트로 덮고, 시트를 감아 새로운 시트로 잉크 파운틴을 덮음으로써, 간단하게 잉크를 교환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블레이드로 잉크 파운틴 롤러의 잉크를 긁어내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 2(일본 특허 2866997)에서는, 덕터 롤러를 복수의 개별 롤러로 분할하고, 개별의 덕터 롤러마다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접촉 시간을 제어하여, 인쇄 농도를 덕터 롤러마다 조정한다. 한편, 종래의 덕터 롤러에서는, 롤러 전체를 잉크 파운틴 롤러에 대하여 전후진시키고, 덕터 롤러는 개별의 롤러로 분할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3194174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2866997
본 발명의 과제는, 인쇄를 정지하지 않고서 잉크 리저버로부터 종이가루 등의 협잡물(잉크의 오염 먼지)을 제거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의 사이에 잉크 리저버를 형성하여, 잉크 파운틴 롤러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한 덕터 롤러에 잉크를 공급하는 인쇄기를 위한,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에 있어서,
잉크 파운틴의 잉크 파운틴 롤러 측의 단부를 선단, 잉크 파운틴 롤러에서 먼 측의 단부를 기단으로 하고,
잉크 파운틴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을 베이스를 따라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잉크 파운틴의 선단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을 제어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간극을 잉크가 통과하는 통상 위치와, 상기 간극을 잉크 중의 협잡물과 잉크가 통과하는 청소 위치의 사이에서, 잉크 파운틴을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의 사이에 잉크 리저버를 형성하여, 잉크 파운틴 롤러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한 덕터 롤러를 통해 플레이트 실린더에 잉크를 공급하는 인쇄기에 있어서,
잉크 파운틴의 잉크 파운틴 롤러 측의 단부를 선단, 잉크 파운틴 롤러에서 먼 측의 단부를 기단으로 하고,
잉크 파운틴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을 베이스를 따라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잉크 파운틴의 선단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을 제어하는 슬라이드 기구와, 잉크 파운틴 롤러로부터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너와, 클리너를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촉하는 위치와 비접촉 위치의 사이에서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기구와, 슬라이드 기구와 전후진 기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간극을 잉크가 통과하는 통상 위치와, 상기 간극을 잉크 중의 협잡물과 잉크가 통과하는 청소 위치의 사이에서, 잉크 파운틴을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잉크 파운틴의 슬라이드와 동기하여 클리너를 전후진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기구와 전후진 기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의 사이에 잉크 리저버를 형성하여, 잉크 파운틴 롤러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한 덕터 롤러를 통해 플레이트 실린더에 잉크를 공급하는 인쇄기를 위한, 잉크 리저버의 청소 방법에 있어서,
잉크 파운틴의 잉크 파운틴 롤러 측의 단부를 선단, 잉크 파운틴 롤러에서 먼 측의 단부를 기단으로 하고,
인쇄기는, 잉크 파운틴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을 베이스를 따라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잉크 파운틴의 선단과 잉크 파운틴 롤러의 간극을 제어하는 슬라이드 기구와, 잉크 파운틴 롤러로부터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너와, 클리너를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촉하는 위치와 비접촉 위치의 사이에서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기구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슬라이드 기구와 전후진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간극을 넓혀, 잉크 중의 협잡물과 잉크를 상기 간극을 통과시키며, 또한 상기 간극을 넓히는 것과 동기하여 클리너를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촉시켜, 잉크 중의 협잡물과 잉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베이스를 따라서 잉크 파운틴을 슬라이드시켜, 청소 위치로 후퇴시킨다. 청소 위치에서, 잉크 파운틴의 선단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은 통상 시보다도 넓어져, 간극으로부터 종이가루 등으로 인해 응어리진 잉크를 배출한다. 잉크 리저버의 청소가 종료되면, 잉크 파운틴을 잉크 파운틴 롤러 측으로 전진시켜 통상 위치로 복귀시키고,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을 통상의 값으로 되돌린다. 플레이트 실린더와 잉크 파운틴 롤러의 사이에는 덕터 롤러와 니딩 롤러가 있고, 이들에 비축되어 있는 잉크에 의해, 잉크 리저버의 청소 중에도 인쇄를 속행한다. 그리고 청소 후에,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을 통상의 값으로 되돌린다.
청소 시에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을 통과한 잉크는, 닥터 블레이드, 브러시 등의 클리너로 제거한다. 여기서, 클리너는 잉크 파운틴 롤러의 회전 방향을 따르며, 잉크 파운틴의 선단과 덕터 롤러의 사이에 있다. 그리고,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을 넓히는 것과 동기하여, 클리너를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촉시켜, 잉크 중의 협잡물과 잉크를 제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근하는 방향의 운동을 전진, 잉크 파운틴 롤러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운동을 후퇴로 한다. 또한, 잉크 파운틴의 선단에 평행한 방향(잉크 파운틴 롤러의 축에 평행한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한다. 잉크 파운틴에 관해서, 잉크 파운틴 롤러 측의 단부를 선단, 반대 측의 단부를 기단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청소 장치에 관한 기재는 인쇄기에도 청소 방법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잉크 파운틴의 기단의 좌우 두 곳에 설치되며, 잉크 파운틴의 기단의 좌우 두 곳을 동일한 스트로크만큼 슬라이드시킨다. 이 때문에, 잉크 파운틴의 선단은 잉크 파운틴 롤러의 축과 평행하게 유지되고, 잉크 파운틴의 선단을 따라서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은 동일한 값으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잉크 파운틴의 기단에 부착된 나사와 너트로 이루어지며, 또한 잉크 파운틴의 기단에 좌우 한 쌍 마련된 이송 나사 기구와,
상기 너트를 요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아암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아암을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로드와,
한쪽의 아암을 요동시키는 구동부와,
잉크 파운틴을 잉크 파운틴 롤러 측으로 밀어붙이는 복수의 압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잉크 파운틴의 기단과, 좌우 한 쌍의 이송 나사 기구와, 좌우 한 쌍의 아암과, 로드가 4절 링크를 구성한다.
4절 링크에 의해 좌우 한 쌍의 아암을 등각도로 요동시킴으로써, 이송 나사 기구의 너트를 요동시켜, 나사를 작은 스트로크로 등거리만큼 전후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에어 실린더 등이라도 좋지만, 구동부를 서보 모터로 하면, 잉크의 종류, 원하는 인쇄 농도 등에 따라서,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베이스와 잉크 파운틴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진다.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면, 톱니바퀴도 나사도 이용하지 않고서 잉크 파운틴을 슬라이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백래시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와 잉크 파운틴의 사이에 리니어 모터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 파운틴의 기단 측의 스페이스를 점유하지 않는다. 즉, 슬라이드 기구가 필요 이상의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잉크 파운틴은 선단이 아래, 기단이 위가 되도록 경사지고, 리니어 모터의 전원을 오프로 하면, 자중(自重)에 의해 잉크 파운틴을 밀착 위치로 슬라이드시킨다. 이 경우, 잉크 파운틴으로부터 잉크 파운틴 롤러에 가해지는 힘은, 잉크 파운틴의 자중 미만이며, 과대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리니어 모터는, 영구 자석, 반자성체, 혹은 자성체 등과 전자석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 압전 소자를 이용하는 리니어 압전 모터 등이라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리니어 모터는 인코더를 구비하고, 컨트롤러는, 전원을 온으로 했을 때의 인코더 값으로 잉크 파운틴이 밀착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하여, 통상 위치에서의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격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니어 모터에서는, 전원을 오프로 하면 잉크 파운틴은 자연스럽게 밀착 위치로 슬라이드하며, 전원을 온으로 했을 때의 인코더의 출력은 밀착 위치에서의 인코더 출력을 나타낸다. 그래서 전원을 온으로 했을 때의 인코더의 출력을 원점(밀착 위치)에서의 출력으로 하여, 잉크 파운틴의 통상 위치를 제어하면, 잉크 파운틴의 통상 위치를 간단하면서 또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잉크 파운틴과 베이스의 사이에, 잉크를 블록하는 시일을 마련하여, 잉크 미스트 등의 오물이 잉크 파운틴과 베이스의 사이에 침입하지 않게 한다. 시일은 예컨대 고무 등의 탄성체이지만, 테플론(등록상표) 등의 자기 윤활성이 있는 시트, 플레이트 등으로 하고, 시일의 재료는 임의이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와 잉크 파운틴의 바닥면의 사이에, 잉크 파운틴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선접촉으로 잉크 파운틴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마련한다. 이와 같이 하면, 잉크 파운틴을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잉크 파운틴을 청소 위치로 슬라이드시키기 전 또는 후에, 덕터 롤러가 잉크 파운틴 롤러로부터 수취하는 잉크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상 수단을 마련한다. 잉크 파운틴을 청소 위치로 후퇴시키고, 클리너를 전진시켜, 협잡물이 섞인 잉크를 회수하면, 덕터 롤러가 수취하는 잉크량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보상 수단에 의해, 잉크 파운틴을 청소 위치로 슬라이드시키기 전 또는 후에, 덕터 롤러가 잉크 파운틴 롤러로부터 수취하는 잉크량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잉크 리저버의 청소에 의한 인쇄 농도의 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보상 수단에 의해 잉크 파운틴을 청소 위치로 슬라이드시키기 전 또는 후, 바람직하게는 전후 양쪽에서, 잉크 리저버에 잉크를 보충한다. 잉크 리저버의 잉크량이 늘어나면, 잉크 파운틴 롤러와 잉크 파운틴의 간극을 지나는 잉크의 양이 늘어난다. 예컨대 청소 전에 잉크를 보충하고, 청소 중에 부족한 잉크를, 덕터 롤러와 니딩 롤러 등에 미리 공급한다. 혹은 청소 후에 잉크를 보충하고, 덕터 롤러와 니딩 롤러 등에 청소에 의해 부족한 잉크를 보충한다.
바람직하게는, 덕터 롤러는 가변의 듀티비로 잉크 파운틴 롤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보상 수단은, 잉크 파운틴을 청소 위치로 슬라이드시키기 전 또는 후, 바람직하게는 전후 양쪽에서, 듀티비를 늘린다. 듀티비를 늘리면, 덕터 롤러가 잉크 파운틴 롤러로부터 수취하는 잉크량이 늘어나, 청소에 의해 부족한 잉크를 보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덕터 롤러는, 잉크 파운틴 롤러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개별로 전후진하여 잉크 파운틴 롤러와 접촉하는 복수의 개별 롤러로 이루어지고,
컨트롤러는, 잉크 파운틴을 청소 위치로 슬라이드시킬 때에, 클리너에 의해 잉크가 제거된 잉크 파운틴 롤러의 피청소면에, 상기 복수의 개별 롤러가 동일한 횟수만큼 접촉하도록 슬라이드 기구와 전후진 기구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면, 청소는 복수의 개별 롤러에 균일하게 영향을 줘, 덕터 롤러의 축 방향을 따라 인쇄 농도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통상 위치와 청소 위치, 그리고 잉크 파운틴의 선단이 잉크 파운틴 롤러 측으로 전진하여 상기 간극으로부터 잉크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 위치의 3 위치로, 잉크 파운틴을 슬라이드시킨다. 통상 위치에서 인쇄하고, 청소 위치에서 잉크 리저버를 청소하고, 밀착 위치에서 잉크 리저버로부터 잉크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야간 등의 인쇄기의 휴지 시에, 잉크 리저버에 잉크가 남아 있더라도 잉크는 새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의 인쇄기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인쇄기의 주요부 배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의, 아암과 이송 나사 기구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서의 잉크 파운틴의 압박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서의 잉크 파운틴의 가이드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에어 실린더를 구동부로 하는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양측 샤프트의 서보 모터를 구동부로 하는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의 청소 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실시예의 동작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서의, 잉크 리저버의 청소 시의 덕터 롤러와, 잉크 파운틴 및 블레이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최적 실시예에서의, 잉크 파운틴과 베이스를 겹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최적 실시예에서의 인쇄기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3은 최적 실시예에서의 리니어 모터의 제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최적 실시예의 동작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변형예에서의 잉크 파운틴의 슬라이드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의 인쇄기에서의 잉크 보충 장치와 덕터 롤러의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에서의 청소 전후의 잉크 보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에서의 청소 전후에 있어서의, 덕터 롤러의 듀티비의 증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에서의, 분할 덕터 롤러와 청소의 동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도 1~도 10에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인쇄기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인쇄기의 종류는 예컨대 오프셋 인쇄기이지만, 철판 인쇄기라도 좋다. 인쇄하는 대상은 종이이지만, 캔, CD-ROM 등의 디스크 등이라도 좋다. 캔, 디스크 등의 경우, 수주(水舟)로부터 혼입된 수분 등의 협잡물을 잉크 리저버로부터 제거한다.
잉크 파운틴(4)의 선단(5)은 잉크 파운틴 롤러(10)와 마주 보며, 선단(5)과 롤러(10)와의 간극을, 간극이 거의 0인 밀착(예컨대 10 ㎛ 이하), 통상(예컨대 0.05 ㎜~0.2 ㎜ 정도), 청소(예컨대 0.2~0.3 ㎜ 정도)의 세 가지로 변화시킨다. 잉크 파운틴(4)의 기단(6)에는 이송 나사 기구(20)가 좌우 한 쌍 마련되고, 너트(23)에 의해 양두 나사(double-ended screw)(22)를 전후진시킴으로써, 잉크 파운틴(4)을 3 위치로 슬라이드시킨다. 잉크 파운틴(4)은 가이드 부재(42)를 통해 베이스(8)에 지지되고, 다른 위치에서는 잉크 파운틴(4)의 바닥면과 베이스(8)의 사이에는 간극(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서는, 좌우는 잉크 파운틴 롤러(10)의 축과 평행한 방향이며, 기단(6)의 길이 방향이기도 하고, 전후진에 관해서, 잉크 파운틴 롤러(10)에 접근하는 운동을 전진, 잉크 파운틴 롤러(10)로부터 멀어지는 운동을 후퇴라고 한다.
잉크 파운틴 롤러(10)와 잉크 파운틴(4)의 사이에 잉크 리저버(18)가 있고, 잉크 공급구(17)는 컨트롤러(46)의 제어에 의해 잉크를 잉크 리저버(18)에 공급한다. 잉크 파운틴 롤러(10)는 잉크 리저버(18)로부터 잉크를 인출하여, 잉크막(70)으로 만들고, 덕터 롤러(12)를 통해 도시하지 않는 니딩 롤러에 잉크를 공급한다. 덕터 롤러(12)는 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개별 롤러로 분할되고, 개별 롤러마다 잉크 파운틴 롤러(10) 측으로 전후진하여, 잉크 파운틴 롤러(10)와의 접촉 시간을 개별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개별 롤러로 분할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덕터 롤러라도 좋다. 도 1의 원호형의 화살표는 잉크 파운틴 롤러(10)의 회전 방향을, 수평의 화살표는 덕터 롤러(12)의 전후진 방향을 나타낸다. 잉크 파운틴(4)의 좌우 양단의 블레이드(19)는, 잉크 리저버(18)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잉크가 새는 것을 방지하며, 영구 자석 등에 의해 잉크 파운틴 롤러(10)와 잉크 파운틴(4)에 밀착되어 있다.
잉크 파운틴(4) 아래쪽의 닥터 블레이드(이하 「블레이드」)(14)는 잉크 파운틴 롤러(10)로부터 잉크막(70)을 긁어내고, 긁어낸 잉크는 팬(15)에 모이게 된다. 에어 실린더 등의 실린더(16)에 의해, 블레이드(14)는 잉크막(70)을 긁어내는 청소 위치와, 잉크 파운틴 롤러(10)로부터 떨어진 후퇴 위치의 사이를 이동한다.
각 부재를 부착하는 인쇄기의 프레임 등은 도시를 생략하고, 도 1은 인쇄기의 잉크 1색분의 유닛을 도시하며, 인쇄기는 CMYK 등에 상당하는 복수의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각 유닛은, 덕터 롤러(12)의 하류 측에, 도시하지 않는 니딩 롤러와 플레이트 실린더와 블랭킷 실린더 등을 가져, 종이에 인쇄한다.
잉크 파운틴(4)은 도시하지 않는 시트로 덮이며, 잉크 파운틴(4)의 기단(6)의 위쪽으로부터 시트를 공급하고, 베이스(8)와 팬(15)의 사이에서 시트를 권취한다. 시트는 설치하지 않아도 좋으며, 실시예에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실시예에서의 잉크 파운틴(4)과 잉크 파운틴 롤러(10)의 간극은, 시트의 두께를 제외한 간극으로 나타낸다.
46은 유닛 전체의 컨트롤러, 47은 서보 모터(32)의 컨트롤러, 48은 덕터 롤러(48)의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컨트롤러(46~48)는, 개별로 설치하더라도, 1개의 컨트롤러에 집약하더라도 좋다. 또한, 컨트롤러(46~48) 전체가 청구범위의 컨트롤러에 상당한다.
청소 장치(2)는, 잉크 파운틴 롤러(4), 좌우 한 쌍의 이송 나사 기구(20), 이송 나사 기구(20)를 구동하는 도 2의 4절 링크(40), 서보 모터(32), 블레이드(14)와 팬(15), 실린더(16) 및 서보 모터(32)의 컨트롤러(47)로 이루어진다.
이송 나사 기구(20)를 설명한다. 잉크 파운틴(4)의 기단(6)에, 양두 나사(22)의 나사의 한쪽의 나사를 조여 고정하고, 나사의 다른 쪽을 너트(23)와 맞물리게 하여, 너트(23)를 고정 부재(24)로 지지한다. 고정 부재(24)는, 고정부(25)에 의해 베이스(8)에 고정하고, 부재(24a, 24b)에 의해 너트(23)를 끼워 넣고, 잉크 파운틴(4) 측의 부재(24a)와 너트(23)의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26)을 마련한다. 잉크 파운틴(4)과는 반대쪽의 부재(24b)와 너트(23)의 사이에 압박 부재(28)를 마련하여, 너트(23)를 스러스트 베어링(26) 측으로 밀어붙이고, 압박 부재(28)를 중간 부재(27)로 지지하고, 중간 부재(27)와 단부의 부재(24b) 사이에 베어링(26)을 마련한다. 이와 같이 하여, 너트(23)를 스러스트 베어링(26) 측으로 밀어붙이며, 또한 고정 부재(24)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한다. 또한, 부재(24a)와 양두 나사(22)의 사이에 간극(29)을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양두 나사(22)의 선단과 부재(24b)의 사이에도 간극을 형성하여, 고정 부재(24)에 대한 양두 나사(22)의 전후진을 가능하게 한다.
도 1~도 3을 참조하여, 이송 나사 기구(20)와 4절 링크(40)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송 나사 기구(20)를 잉크 파운틴(4)의 기단(6)의 좌우 두 곳에 설치한다. 너트(23)를 4절 링크(40)의 아암(30)과 계합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볼트(39)에 의해, 아암(30)과 너트(23)가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아암(30)에 핀(33)을 통해 연결용의 로드(31)를 요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좌우 한 쌍의 아암(30, 30)을 로드(31)에 의해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단(6)과 아암(30, 30) 및 로드(31)에 의해 4절 링크(40)를 구성한다. 또한, 한쪽의 아암(30)에 핀(34)을 통해 나사(36)를 요동 가능하게 부착한다. 구동원으로서의 서보 모터(32)는, 샤프트(35)의 선단에 나사 구멍을 구비하고, 이 나사 구멍에 나사(36)를 전후진 가능하게 부착한다.
4절 링크(40)에서는, 서보 모터(32)의 샤프트(35)가 회전하면, 나사(36)가 전후진하고, 이에 따라 4절 링크(40)가 동작하여, 좌우 한 쌍의 아암(30, 30)이 동일한 각도로 요동한다. 또한, 서보 모터(32)는 요동 가능하게 베이스(8)에 부착, 예컨대 베이스(8)에 고정한 핀(37)에 의해 서보 모터(32)를 요동 가능하게 부착한다.
이송 나사 기구(20)와 아암(30)은, 잉크 파운틴(4)을 좌우 균일하게 슬라이드시키기 위해서, 좌우 적어도 두 곳에 마련하지만, 기단(6)의 중앙과 좌우의 합계 세 곳 등에 설치하여도 좋다. 서보 모터(32)는 예컨대 전자 브레이크(32a)를 구비하여, 전원을 오프로 하면, 야간 등에 인쇄기의 전원을 떨어뜨리더라도 혹은 순간 정전 등에 의해 전원이 오프로 되더라도 아암(30)은 고정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30)에서는 너트(23)를 통과시키는 구멍에 분할 홈(38)이 연결되어, 볼트(39)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너트(23)를 아암(30)에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한다. 조립 시에는, 볼트(39)를 조이기 전에 너트(23)를 회전시켜 잉크 파운틴(4)의 선단 위치를 조정하고, 이어서 볼트(39)를 조인다.
도 2, 도 4를 참조하여, 잉크 파운틴(4)을 잉크 파운틴 롤러(10) 측으로 밀어붙이는 압박 부재(52)를 설명한다. 기단(6)의 두 곳 이상에 부착 부재(50)를 부착하고, 부착 부재(50)와 기단(6)의 사이에 압박 부재(52)를 마련하고, 볼트(53, 53)에 의해 부착 부재(50)를 베이스(8)에 고정하고, 압박 부재(52)에 의해 잉크 파운틴(4)을 잉크 파운틴 롤러(10) 측으로 밀어붙인다. 또한, 스프링형의 압박 부재(52)를 핀(54)으로 로킹하지만, 핀(54)은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도 5를 참조하여, 잉크 파운틴(4)의 좌우 방향 단면을 따라서 잉크 파운틴(4)의 슬라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42)를 설명한다. 가이드 부재(42)를 나사부(43)에 의해 베이스(8)에 고정하고, 잉크 파운틴(4)의 홈(44)에 가이드 부재(42)의 상부를 수용하고, 잉크 파운틴(4)의 슬라이드 방향에 평행한 접촉부(45)로 가이드 부재(42)와 잉크 파운틴(4)의 바닥면을 선접촉시킨다. 가이드 부재(42)는 좌우 한 쌍 설치하지만, 3개 이상 설치하여도 좋다.
여기서 서보 모터(32)를 동작시키면, 좌우의 아암(30)이 요동하고, 이에 따라 좌우의 너트(23)가 요동한다. 이 결과, 너트(23)와 맞물리는 좌우의 양두 나사(22)가 전후진하여, 잉크 파운틴(4)은 좌우 균등하게 전후진한다. 또한, 잉크 파운틴(4)의 전후진을 가이드 부재(42)에 의해 지지하고, 나사(22)와 너트(23) 등으로 생기는 백래시를, 압박 부재(52)에 의해 잉크 파운틴(4)을 잉크 파운틴 롤러(10) 측으로 밀어붙임으로써 방지한다. 서보 모터(32)는, 잉크 파운틴(4)과 잉크 파운틴 롤러(10)의 간극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의 종류, 목표로 하는 인쇄 농도와의 오차 등에 따라서 간극을 조정할 수 있다.
잉크 파운틴(4)은, 베이스(8)에 대하여, 양두 나사(22)를 통해 너트(23)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가이드 부재(42)에 의해서 지지되며, 잉크 파운틴(4)의 바닥면과 베이스(8)의 상면의 사이에는 간극(41)이 있다. 이 때문에 잉크 파운틴(4)은 너트(23)의 요동에 의해, 가이드 부재(42)에 가이드되어 원활하게 전후진한다. 또한, 잉크 파운틴(4)을 압박 부재(52)에 의해 잉크 파운틴 롤러(10)로 향해 밀어붙여, 백래시의 영향을 방지하고, 잉크 파운틴(4)을 밀착 위치로 전진시켜 인쇄기의 전원을 오프로 하면, 잉크 파운틴(4)과 잉크 파운틴 롤러(10)의 간극으로부터 잉크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도 7에 변형예를 도시한다. 잉크의 종류 등에 따라서, 잉크 파운틴(4)과 잉크 파운틴 롤러(10)의 간극을 조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보 모터(32) 대신에, 3 포지션의 에어 실린더(58)를 설치하여도 좋다. 혹은 서보 모터(32) 대신에 펄스 모터를 설치하여, 제어의 정밀도를 내리더라도 좋다. 또한, 4절 링크(40) 이외의 기구에 의해 좌우의 너트(23, 23)를 요동시키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으로 샤프트가 연장되는 서보 모터(59)를 이용하여, 베벨 기어(60, 61) 등에 의해, 너트(23)에 접속한 축(62)을 요동시키더라도 좋다. 단, 이러한 기구는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며, 베벨 기어(60, 61)를 이용하기 때문에 백래시도 크다.
도 8은 인쇄기의 제어계를 도시한다. 메인 컨트롤러(46)는 인쇄기의 유닛 전체 혹은 인쇄기 전체를 제어하고, 서보 컨트롤러(47)는 서보 모터(32)를, 덕터 롤러의 컨트롤러(48)는 덕터 롤러(12)의 구동 기구(66) 등을 제어한다. 메인 컨트롤러(46)는, 타이머에 의해 1시간에 1회 등의 빈도로 잉크 파운틴(4)의 청소를 지령한다. 타이머로 청소를 지령하는 대신에, 종이가루 센서(64)의 신호에 의해 청소를 지령하여도 좋다. 종이가루가 잉크 리저버(18)에 쌓이면, 잉크 파운틴(4)과 잉크 파운틴 롤러(10)와의 간극이 가득차, 잉크 파운틴 롤러(10)의 잉크막(70)이 얇아진다. 카메라, 라인 센서 등의 종이가루 센서(64)에 의해, 잉크 파운틴 롤러(10)의 잉크막의 색의 농담을 감시하여, 잉크막이 담색으로 되면 청소를 지령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소정의 인쇄 매수에 달할 때마다 청소를 지령하여도 좋다. 또한, 종이가루 때문에 인쇄 농도가 내려갔음을 검출하여 청소하여도 좋고, 혹은 작업자가 메뉴얼로 메인 컨트롤러(46)에 청소를 지시하여도 좋다.
도 9, 도 10에 실시예의 제어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인쇄기를 정지시키기 전에, 서보 모터(32)는 아암(30)을 밀착 위치로 요동시킨다. 인쇄기를 정지시키면, 서보 모터(32)의 전원이 오프로 되며, 전자 브레이크에 의해 샤프트(35)를 고정하고, 아암(30)도 고정한다. 그리고 압박 부재(52)에 의해 잉크 파운틴(4)은 잉크 파운틴 롤러(10)에 밀착하여, 잉크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인쇄기를 동작시키면(도 10의 a)), 서보 모터(32)가 온으로 되어, 잉크의 종류, 인쇄 농도 등에 따라서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을 조정한다. 타이머 등에 의해 혹은 종이가루 센서(64)에 의해, 적절한 빈도로 잉크 파운틴(4)을 청소한다. 청소함에 있어서는, 잉크 파운틴(4)을 잉크 파운틴 롤러(10)로부터 후퇴시켜 간극을 크게 하여, 종이가루 등으로 응어리진 잉크가 간극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도 10의 b)). 이에 따라 두꺼운 잉크막(72)이 생기고, 이것을 블레이드(14)에 의해 긁어내어, 종이가루 등의 오물을 제거한다. 또한, 블레이드(14)로 잉크막을 긁어내면, 잉크 파운틴 롤러(10)에는 잉크막이 없는 피청소면(74)이 생긴다. 가능한 경우, 덕터 롤러(12)가 잉크 파운틴 롤러(10)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에, 피청소면(74)이 이들 간극을 통과하도록 청소 타이밍을 컨트롤한다(도 10의 c)). 그리고 이어서 덕터 롤러(12)가 잉크 파운틴 롤러(10)에 접촉할 때는, 이들 사이에 통상의 잉크막(70)이 있도록 잉크 파운틴(4)과 블레이드(14)를 통상의 위치로 되돌려, 청소를 종료한다(도 10의 d)).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인쇄를 정지하지 않고서 자동적으로 종이가루 등의 잉크의 오물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잉크 파운틴 롤러(10)의 잉크막(72)을 긁어냄으로 인한 인쇄 농도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2) 잉크 파운틴(4)을 밀착, 통상, 청소의 3 위치로 전후진시킬 수 있고, 특히 통상 위치에서의 잉크 파운틴 롤러(10)와 잉크 파운틴(4)의 간극을, 서보 모터(32)에 의해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3) 4절 링크(40)에 의해, 좌우의 아암(30, 30)을 동일한 각도만큼 요동시킬 수 있다.
4) 압박 부재(52)에 의해, 나사(22)와 너트(23) 등으로 생기는 백래시를 없애, 잉크 파운틴 롤러(10)와 잉크 파운틴(4)와의 간극을 목표치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야간 등에 인쇄기의 전원을 떨어뜨리면, 잉크 파운틴(4)을 잉크 파운틴 롤러(10)에 밀착하는 위치에 유지하여, 잉크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가이드 부재(42)에 의해 잉크 파운틴(4)을 원활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최적 실시예
도 11~도 14에, 최적 실시예의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와 인쇄기 및 잉크 리저버의 청소 방법을 도시한다. 최적 실시예에 있어서, 도 1~도 10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내며, 이하에 설명하는 점 이외에는 최적 실시예는 도 1~도 10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파운틴(4)과 베이스(8)의 사이에, 좌우 한 쌍의 리니어 모터(82, 82)와, 좌우 한 쌍의 리니어 가이드(86, 86)가 마련되고, 이들은 예컨대 베이스(8)에 형성한 오목부(80)에 수용한다. 리니어 모터(82)는, 전자석 및 인코더 등으로 이루어지는 1차 측의 요소(83)와, 영구 자석 혹은 Al 플레이트 등의 2차 측의 요소(84)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1차 측의 요소(83)가 베이스(8) 측에, 2차 측의 요소(84)가 잉크 파운틴(4) 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리니어 가이드(86)는, 예컨대 고정부가 베이스(8) 측에, 가동부(87)가 잉크 파운틴(4) 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리니어 모터(82, 82) 대신에, 잉크 파운틴(4)과 베이스(8)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1개의 리니어 모터(85)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리니어 가이드(86) 대신에, 도 5의 가이드 부재(42)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잉크 파운틴(4)과 베이스(8)를, 풀기와 감기가 가능한 시트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의 미스트 등의 오염물이 리니어 모터(82), 리니어 가이드(86)에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리니어 모터(82, 82) 및 리니어 가이드(86, 86)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고무 등의 패킹으로 이루어지는 시일(88)을 마련한다. 도 12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일(88)의 상하의 돌기를 잉크 파운틴의 홈(89)과 베이스(8)의 홈(90)에 수용하여, 잉크 파운틴(4)과 베이스(8)에 고정한다.
고무 시일(88) 대신에, 테플론(등록상표) 등의 자기 윤활성 재료의 테이프 혹은 판을 이용하여도 좋다. 자기 윤활성 재료의 시일은, 잉크 파운틴(4)이 반복하여 슬라이드하여도 상하지 않으며, 또한 잉크 파운틴(4)과의 사이 및 베이스(8)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잉크의 미스트 등을 블록할 수 있다.
리니어 모터(82)는 전원을 오프시키면 유지력을 잃는다. 이 때문에, 자중에 의해 잉크 파운틴(4)의 선단(5)은 잉크 파운틴 롤러(10)에 접촉하고, 잉크 파운틴(4)은 밀착 위치로 슬라이드한다. 이때, 잉크 파운틴(4)이 잉크 파운틴 롤러(10)에 가하는 힘은 잉크 파운틴(4)의 자중 미만이다.
도 13은 리니어 모터(82)의 제어계를 도시한다. 광학식 혹은 자기식의 인코더(92)는, 2차 측의 요소(84)의 위치 변화를 검출하면, 정부(正負)의 펄스를 출력하고, 카운터(93)는 이 펄스의 수를 적산한다. 리니어 모터(82)의 전원을 온으로 했을 때의 카운터(93)의 출력은, 잉크 파운틴(4)이 잉크 파운틴 롤러(10)와 밀착하고 있을 때의 출력이다. 그래서, 한 쌍의 리니어 모터(82, 82)를 제어하는 컨트롤러(97)는, 리니어 모터마다, 전원이 온일 때의 출력을 원점(밀착 위치)에서의 출력으로서 기억한다. 그리고 컨트롤러(97)는, 원점 출력과의 차가 통상 위치 등에서의 목표치가 되도록 리니어 모터(82, 82)를 제어한다.
도 14는 최적 실시예의 제어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도 9의 알고리즘과 다른 점은, 전원 온일 때의 카운터(93)의 출력(인코더 값)을, 원점 위치를 나타내는 출력으로서 기억하는 점과, 전원이 오프로 되면 잉크 파운틴(4)은 자중으로 밀착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점이다.
변형예
도 15는 회전형의 서보 모터(102)를 잉크 파운틴(100)과 베이스(8)의 사이에 마련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서보 모터(102)에 의해 나사(104)를 회전시킨다. 나사(104)를 좌우 한 쌍의 캠(105, 106)의 너트와 맞물리게 하고, 나사(104)의 양끝을 베어링(107, 107)으로 지지한다. 이들 부재는 예컨대 베이스(8)의 오목부(110)에 수용한다. 잉크 파운틴(100)의 바닥부에 좌우 한 쌍의 경사면(111, 112)을 형성하여, 캠(105, 106)이 좌우로 슬라이드하면, 잉크 파운틴(100)이 전후진하게 한다. 또한, 나사(104)와 캠(105, 106)의 맞물림 때문에 백래시가 생기므로, 도시하지 않는 압박 수단에 의해 잉크 파운틴(100)을 잉크 파운틴 롤러(10) 측으로 밀어붙인다. 또한, 전원을 오프로 하기 전에, 잉크 파운틴(100)을 밀착 위치보다도 약간 후퇴한 위치로 이동시켜, 압박 수단에 의해 잉크 파운틴을 밀착 위치로 전진시킨다.
보완
도 16~도 19에 실시예에 대한 보완을 도시한다. 도 16에 있어서, 인쇄기(160)는, 도 1에 도시한 요소 이외에, 덕터 롤러(12)를 개별 롤러마다 잉크 파운틴 롤러(10) 측으로 전후진시키는 구동 장치(162)와, 잉크 리저버(18)에 잉크를 보충하는 잉크 보충 장치(16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6에서는 좌우 한 쌍의 이송 나사 기구(20)를 서보 모터(32)와 4절 링크에 의해 구동한다. 그러나 도 12의 리니어 모터(82)에 의해 잉크 파운틴(4)을 슬라이드시키더라도 좋다. 그리고 컨트롤러(46)는 구동 장치(162)와 잉크 보충 장치(164)를 제어하며, S1은 잉크 보충 장치(164)의 제어 신호이다. 또한, 특별히 지적하는 점 이외에는, 도 1~도 10의 실시예 혹은 도 11~도 14의 최적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덕터 롤러(12)의 도 16에서의 좌측에, 복수의 니딩 롤러와 플레이트 실린더와 블랭킷 실린더가 배치되고, 잉크 파운틴 롤러(10)로부터 덕터 롤러(12)가 수취한 잉크는, 니딩 롤러 등에 버퍼되어, 플레이트 실린더에 공급된다.
잉크 리저버(18)를 청소하면, 덕터 롤러에 잉크가 보내지지 않아, 인쇄 농도가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도 9, 도 14에 이것에 대한 대책을 도시했지만, 보다 범용성이 높은 예를 도 17에 도시한다. 도 17에서는, 청소 전과 청소 후 양쪽에 잉크 리저버에 잉크를 보충하여, 인쇄 농도의 저하를 방지한다. 또한, 잉크 리저버의 잉크량을 늘리면,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의 간극을 지나는 잉크량이 늘어난다. 청소 전의 잉크 보충은, 니딩 롤러 등에서의 잉크의 버퍼량을 미리 늘려, 인쇄 농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청소 후의 잉크 보충은, 청소에 의해 저하한 잉크의 버퍼량을 회복시키기 위해서이다. 예컨대 청소에 의해 잃게 되는 잉크량의 반량(半量)을 청소 전에, 반량을 청소 후에 보충한다. 잉크의 보충은 바람직하게는 청소 전과 후 양쪽에서 행하는데, 청소 전 혹은 청소 후에만 행하여도 좋다.
청소에 의한 인쇄 농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다른 범용의 수법은, 청소 전후에 덕터 롤러가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촉하는 듀티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덕터 롤러는 소정의 주기로 동작하며,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촉하는 듀티비를 조정함으로써 인쇄 농도를 조정한다. 그래서 청소 전과 청소 후 양쪽에서 듀티비를 늘리면, 도 17과 같이 청소 전에 잉크의 버퍼량을 늘리고, 청소 후에 저하한 버퍼량을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전에만 혹은 청소 후에만, 덕터 롤러가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촉하는 듀티비를 증가시키더라도 좋다.
도 19에 분할 덕터 롤러(12)와 청소의 동기를 도시한다. 분할 덕터 롤러(12)에서는, 개별 롤러가 잉크 파운틴 롤러 측으로 전진(on)하고, 후퇴(off)한다. 덕터 롤러(12)의 동작 주기 T1의 마지막에, 전체 개별 롤러가 후퇴하고 있는 기간 T2이 있다. 또한, 잉크 파운틴이 전진하여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을 넓힌 후, 블레이드의 위치까지 잉크 파운틴 롤러가 회전할 때까지의 지연을 D2, 덕터 롤러와 마주 향하는 위치까지의 지연을 D1로 한다.
인쇄가 저속으로 기간 T2 동안에 청소를 할 수 있으면, 청소는 인쇄 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경우는, 도 17, 도 18의 처리도 불필요하고, 도 9, 도 14와 같이, 기간 T2 동안에, 잉크 파운틴 롤러로부터 청소에 의해 잉크막을 제거한 면(피청소면)을, 덕터 롤러와 마주 향하는 위치를 통과시키면 된다. 그러나 인쇄가 고속이며 덕터 롤러의 동작 주기가 짧은 경우, 도 9, 도 14의 처리는 어렵기 때문에, 도 17, 도 18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덕터 롤러가 복수의 개별 롤러로 이루어지는 경우, 모든 개별 롤러에 청소의 영향이 균일하게 미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대책을 도 19에 도시한다.
도 19의 1)는 덕터 롤러의 동작을, 2)는 잉크 파운틴의 전후진을, 3)은 블레이드의 전후진을 나타낸다. 청소에 의해 잉크를 제거한 피청소면에, 모든 개별 롤러가 동일한 횟수만큼 접촉하면, 청소의 영향은 균일하게 된다. 그래서 이 조건이 충족되도록 잉크 파운틴을 슬라이드시키고, 또한 블레이드를 전후진시킨다.
2: 청소 장치 4: 잉크 파운틴
5: 선단 6: 기단
8: 베이스 10: 잉크 파운틴 롤러
12: 덕터 롤러 14: 블레이드
15: 팬 16: 실린더
17: 잉크 공급구 18: 잉크 리저버
19: 블레이드 20: 이송 나사 기구
22: 양두 나사 23: 너트
24: 고정 부재 25: 고정부
26: 스러스트 베어링 26: 베어링
27: 중간 부재 28: 압박 부재
29: 간극 30: 아암
31: 로드 32: 서보 모터
32a: 전자 브레이크 33, 34: 핀
35: 샤프트 36: 나사
37: 핀 38: 분할 홈
39: 볼트 40: 4절 링크
41: 간극 42: 가이드 부재
43: 나사부 44: 홈
45: 접촉부 46~48: 컨트롤러
50: 부착 부재 52: 압박 부재
53: 볼트 54: 핀
58: 에어 실린더 59: 서보 모터
60, 61: 베벨 기어 62: 축
64: 종이가루 센서 66: 구동 기구
70, 72: 잉크막 74: 피청소면
80: 오목부 82, 85: 리니어 모터
83: 1차 측의 요소 84: 2차 측의 요소
86: 리니어 가이드 87: 가동부
88: 시일 89, 90: 홈
92: 인코더 93: 카운터
97: 컨트롤러 100: 잉크 파운틴
102: 서보 모터 104: 나사
105, 106: 캠 107: 베어링
110: 오목부 111, 112: 경사면
160: 인쇄기 162: 구동 장치
164: 잉크 보충 장치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의 사이에 잉크 리저버를 형성하여, 잉크 파운틴 롤러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한 덕터 롤러에 잉크를 공급하는 인쇄기를 위한,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에 있어서,
    잉크 파운틴의 잉크 파운틴 롤러 측의 단부를 선단, 잉크 파운틴 롤러에서 먼 측의 단부를 기단, 잉크 파운틴의 선단에 평행한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잉크 파운틴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을 베이스를 따라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잉크 파운틴의 선단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을 제어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간극을 잉크가 통과하는 통상 위치와, 상기 간극을 잉크 중의 협잡물과 잉크가 통과하는 청소 위치의 사이에서, 잉크 파운틴을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잉크 파운틴의 기단에 부착된 나사와 너트를 포함하고, 잉크 파운틴의 기단에 좌우 한 쌍 마련된 이송 나사 기구와,
    상기 너트를 요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아암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아암을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로드와,
    한쪽의 아암을 요동시키는 구동부와,
    잉크 파운틴을 잉크 파운틴 롤러 측으로 밀어붙이는 복수의 압박 수단을 구비하고,
    잉크 파운틴의 기단과, 좌우 한 쌍의 이송 나사 기구와, 좌우 한 쌍의 아암과, 로드가 4절 링크를 구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잉크 파운틴의 기단의 좌우 두 곳을 동일한 스트로크만큼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잉크 파운틴과 베이스의 사이에, 잉크를 블록하는 시일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와 잉크 파운틴의 바닥면의 사이에, 잉크 파운틴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선접촉으로 잉크 파운틴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잉크 파운틴 롤러로부터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너와,
    클리너를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비접촉 위치의 사이에서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기구와,
    상기 슬라이드 기구와 상기 전후진 기구를 제어하여, 잉크 파운틴의 청소 위치로의 슬라이드와 동기하여 클리너를 접촉 위치로 전진시키는 컨트롤러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잉크 파운틴의 청소 위치로의 슬라이드 전 또는 후에, 덕터 롤러가 잉크 파운틴 롤러로부터 수취하는 잉크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상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수단은, 잉크 파운틴을 청소 위치로 슬라이드시키기 전 또는 후에 잉크 리저버에 잉크를 보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덕터 롤러는 가변의 듀티비로 잉크 파운틴 롤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상 수단은, 잉크 파운틴을 청소 위치로 슬라이드시키기 전 또는 후에, 상기 듀티비를 늘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터 롤러는, 잉크 파운틴 롤러의 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며, 개별로 전후진하여 잉크 파운틴 롤러와 접촉하는 복수의 개별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잉크 파운틴을 청소 위치로 슬라이드시킬 때에, 클리너에 의해 잉크가 제거된 잉크 파운틴 롤러의 피청소면에, 상기 복수의 개별 롤러가 동일한 횟수만큼 접촉하도록, 슬라이드 기구와 전후진 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가, 통상 위치와, 청소 위치, 그리고 잉크 파운틴의 선단이 잉크 파운틴 롤러 측으로 전진하여 상기 간극으로부터 잉크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 위치의 3 위치로, 잉크 파운틴을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13.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의 사이에 잉크 리저버를 형성하여, 잉크 파운틴 롤러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한 덕터 롤러를 통해 플레이트 실린더에 잉크를 공급하는 인쇄기에 있어서,
    잉크 파운틴의 잉크 파운틴 롤러 측의 단부를 선단, 잉크 파운틴 롤러에서 먼 측의 단부를 기단, 잉크 파운틴의 선단에 평행한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잉크 파운틴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을 베이스를 따라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잉크 파운틴의 선단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을 제어하는 슬라이드 기구와, 잉크 파운틴 롤러로부터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너와, 클리너를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촉하는 위치와 비접촉 위치의 사이에서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기구와, 슬라이드 기구와 전후진 기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간극을 잉크가 통과하는 통상 위치와, 상기 간극을 잉크 중의 협잡물과 잉크가 통과하는 청소 위치의 사이에서, 잉크 파운틴을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잉크 파운틴의 슬라이드와 동기하여 클리너를 전후진시키도록, 슬라이드 기구와 전후진 기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잉크 파운틴의 기단에 부착된 나사와 너트를 포함하고, 잉크 파운틴의 기단에 좌우 한 쌍 마련된 이송 나사 기구와,
    상기 너트를 요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아암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아암을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로드와,
    한쪽의 아암을 요동시키는 구동부와,
    잉크 파운틴을 잉크 파운틴 롤러 측으로 밀어붙이는 복수의 압박 수단을 구비하고,
    잉크 파운틴의 기단과, 좌우 한 쌍의 이송 나사 기구와, 좌우 한 쌍의 아암과, 로드가 4절 링크를 구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잉크 파운틴의 기단의 좌우 두 곳을 동일한 스트로크만큼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14.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의 사이에 잉크 리저버를 형성하여, 잉크 파운틴 롤러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한 덕터 롤러를 통해 플레이트 실린더에 잉크를 공급하는 인쇄기를 위한, 잉크 리저버의 청소 방법에 있어서,
    잉크 파운틴의 잉크 파운틴 롤러 측의 단부를 선단, 잉크 파운틴 롤러에서 먼 측의 단부를 기단, 잉크 파운틴의 선단에 평행한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인쇄기는, 잉크 파운틴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을 베이스를 따라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잉크 파운틴의 선단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을 제어하는 슬라이드 기구와, 잉크 파운틴 롤러로부터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너와, 클리너를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촉하는 위치와 비접촉 위치의 사이에서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기구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잉크 파운틴의 기단에 부착된 나사와 너트를 포함하고, 잉크 파운틴의 기단에 좌우 한 쌍 마련된 이송 나사 기구와,
    상기 너트를 요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아암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아암을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로드와,
    한쪽의 아암을 요동시키는 구동부와,
    잉크 파운틴을 잉크 파운틴 롤러 측으로 밀어붙이는 복수의 압박 수단을 구비하고,
    잉크 파운틴의 기단과, 좌우 한 쌍의 이송 나사 기구와, 좌우 한 쌍의 아암과, 로드가 4절 링크를 구성하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슬라이드 기구와 전후진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간극을 넓혀, 잉크 중의 협잡물과 잉크를 상기 간극을 통과시키며, 상기 간극을 넓히는 것과 동기하여 클리너를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촉시켜, 잉크 중의 협잡물과 잉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저버의 청소 방법.
  15.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 롤러의 사이에 잉크 리저버를 형성하여, 잉크 파운틴 롤러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한 덕터 롤러에 잉크를 공급하는 인쇄기를 위한,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에 있어서,
    잉크 파운틴의 잉크 파운틴 롤러 측의 단부를 선단, 잉크 파운틴 롤러에서 먼 측의 단부를 기단으로 하고,
    잉크 파운틴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잉크 파운틴과, 잉크 파운틴을 베이스를 따라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잉크 파운틴의 선단과 잉크 파운틴 롤러와의 간극을 제어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간극을 잉크가 통과하는 통상 위치와, 상기 간극을 잉크 중의 협잡물과 잉크가 통과하는 청소 위치의 사이에서, 잉크 파운틴을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되고,
    잉크 파운틴 롤러로부터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너와,
    클리너를 잉크 파운틴 롤러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비접촉 위치의 사이에서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기구와,
    상기 슬라이드 기구와 상기 전후진 기구를 제어하여, 잉크 파운틴의 청소 위치로의 슬라이드와 동기하여 클리너를 접촉 위치로 전진시키는 컨트롤러와,
    잉크 파운틴의 청소 위치로의 슬라이드 전 또는 후에, 덕터 롤러가 잉크 파운틴 롤러로부터 수취하는 잉크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상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KR1020197025295A 2017-06-01 2017-11-27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인쇄기 및 잉크 리저버의 청소 방법 KR102165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08878 2017-06-01
JPJP-P-2017-108878 2017-06-01
JPJP-P-2017-136919 2017-07-13
JP2017136919 2017-07-13
PCT/JP2017/042331 WO2018220884A1 (ja) 2017-06-01 2017-11-27 インキ溜の清掃装置、印刷機及びインキ溜の清掃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659A KR20190105659A (ko) 2019-09-17
KR102165946B1 true KR102165946B1 (ko) 2020-10-14

Family

ID=6445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295A KR102165946B1 (ko) 2017-06-01 2017-11-27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인쇄기 및 잉크 리저버의 청소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00001596A1 (ko)
EP (1) EP3632685A1 (ko)
JP (1) JPWO2018220884A1 (ko)
KR (1) KR102165946B1 (ko)
CN (1) CN111372781A (ko)
BR (1) BR112019024482A2 (ko)
MX (1) MX2019014325A (ko)
RU (1) RU2724593C1 (ko)
WO (1) WO2018220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29B1 (ko) * 2018-12-13 2020-03-09 박대석 인쇄장치
CN110091589A (zh) * 2018-12-13 2019-08-06 株洲三新包装技术有限公司 两端向内喷水吹气清理的刮墨刀刀架
DE102022100518A1 (de) 2022-01-11 2023-07-13 Koenig & Bauer Ag Verfahren zur Reinigung eines Farbwerkes und Farbwe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859A (ja) 1998-07-25 2000-02-08 Techno Rooru Kk 印刷機インキ壺装置
JP2000343681A (ja) 1999-06-03 2000-12-12 Mitsubishi Heavy Ind Ltd インキ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139113A1 (de) * 1978-10-19 1979-12-12 Hermann Doebler Farbwerk
JPS60178055A (ja) * 1984-02-24 1985-09-12 J- P Ii Kk 印刷機におけるインク壺キー装置
JPH0796293B2 (ja) * 1986-12-29 1995-10-18 東芝精機株式会社 印刷機のインク供給量調整装置
SU1532310A1 (ru) * 1987-07-20 1989-12-30 Одесское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олиграф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Красочный аппарат машины дл флексографской печати
JPH04126853U (ja) * 1991-05-13 1992-11-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キつぼのインキ除去装置
JPH0531948U (ja) * 1991-09-19 1993-04-27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ヨン 印刷機のインキ壺装置
JP2866997B2 (ja) 1992-01-10 1999-03-08 アイマー・プランニング株式会社 印刷機のインキ供給装置
JP3194174B2 (ja) 1993-09-10 2001-07-30 アイマー・プランニング株式会社 印刷機のインキ供給装置
JPH0939207A (ja) * 1995-07-31 1997-02-10 Komori Corp 印刷機のインキ壷装置
JP3453295B2 (ja) * 1998-03-13 2003-10-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印刷機のインキ貯留装置
JP3224790B2 (ja) * 1998-04-01 2001-11-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印刷機のインキ供給装置および該装置に装着されるインキトレー
JP3189893B2 (ja) * 1998-09-08 2001-07-16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インキ壺装置におけるインキ出し隙間調整装置
DE19914099C1 (de) * 1999-03-27 2000-06-21 Roland Man Druckmas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Farbe oder ähnlichen Medien aus einem einseitig offenen Behälter, dem eine Walze zugeordnet ist, in einer Rotationsdruckmaschine
JP4395639B2 (ja) * 2005-03-29 2010-01-13 アイマー・プランニング株式会社 印刷機
DE102013225691B4 (de) * 2013-12-12 2017-11-16 Koenig & Bauer Ag System zum Zuführen und Dosieren von Druckfarbe in ein Farbwerk einer Druckmaschine sowie Verfahren zum Erneuern einer zur Farbdosierung wirksamen Dosierkante
JP3194174U (ja) 2014-08-29 2014-11-06 信代 樋口 雨のしずく傘カバー付き一体型長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859A (ja) 1998-07-25 2000-02-08 Techno Rooru Kk 印刷機インキ壺装置
JP2000343681A (ja) 1999-06-03 2000-12-12 Mitsubishi Heavy Ind Ltd インキ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01596A1 (en) 2020-01-02
RU2724593C1 (ru) 2020-06-25
EP3632685A1 (en) 2020-04-08
JPWO2018220884A1 (ja) 2020-03-19
KR20190105659A (ko) 2019-09-17
BR112019024482A2 (pt) 2020-06-16
MX2019014325A (es) 2020-01-27
WO2018220884A1 (ja) 2018-12-06
CN111372781A (zh)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946B1 (ko) 잉크 리저버의 청소 장치, 인쇄기 및 잉크 리저버의 청소 방법
US6125752A (en) Multi-color flexographic rotary machine with main drum and independent separate color units
US9242454B2 (en) Independent inker control and method
JPS6038160A (ja) 書籍印刷並びにオフセツト印刷機用のインキ調量装置
KR20150075371A (ko) 인쇄기
US3762319A (en) Plate wiping mechanism for intaglio press
US20160193757A1 (en) Surface Fastener Molding Apparatus and its Operational Method,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Surface Fastener
CN210390422U (zh) 一种径向在线调速印刷装置
EP0069834B1 (de)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Farbe oder Feuchtmittel
JP2019093679A (ja) インキ壺装置と印刷機及び印刷機の制御方法
EP0477389A1 (en) Monobloc ink duct for the feed rollers of offset printing machines
JP6882800B2 (ja) 印刷機とそのインキ壺装置及びインキ壺回りの清掃方法
EP3603973B1 (en) Ink fountain device
DE10255041A1 (de) Antrieb für einen umlaufenden Zylinder einer drucktechnischen Maschine
KR20000058115A (ko)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DE102015017062B4 (de) Verfahren zum Anpassen eines Druckbildes und/oder mindestens eines Zylinderaufzugs an eine Bedruckstoffänderung in einer Druckmaschine
WO2020141322A1 (en) Roller support
DE102015017071B4 (de) Verfahren zum Anpassen eines Druckbildes und/oder mindestens eines Zylinderaufzugs an eine Bedruckstoffänderung in einer Druckmaschine
DE102015017063B4 (de) Verfahren zum Anpassen eines Druckbildes und/oder mindestens eines Zylinderaufzugs an eine Bedruckstoffänderung in einer Druckmaschine
JP2008126563A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