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115A -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115A
KR20000058115A KR1020000008102A KR20000008102A KR20000058115A KR 20000058115 A KR20000058115 A KR 20000058115A KR 1020000008102 A KR1020000008102 A KR 1020000008102A KR 20000008102 A KR20000008102 A KR 20000008102A KR 20000058115 A KR20000058115 A KR 20000058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ink
ink bottle
roller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8031B1 (ko
Inventor
피나라파엘
Original Assignee
다니엘구이산,화우스토지오리
드라루지오리에쓰.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엘구이산,화우스토지오리, 드라루지오리에쓰.에이. filed Critical 다니엘구이산,화우스토지오리
Publication of KR2000005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41F31/04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with duct-blades or like me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1/00Inking devices; Recovering printing ink
    • B41P2231/12Axially segmented ink blades

Landscapes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 Paper (AREA)
  • Coloring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잉크통 바닥에 있는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에지(12)와 잉크통 롤러(6)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도록 이동할 수 있는 여러 개의 근접한 세그먼트(11)로 분리되어 있다. 세그먼트(11)는 서로 평행하게, 블레이드 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Ink fountain blade for a printing machine}
본 발명은 블레이드 에지(edge)가 잉크통 롤러상에 소정의 잉크 두께를 유지하고,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에지와 잉크통 롤러의 원주면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도록 움직일 수 있는 여러 개의 인접한 몇 개의 세그먼트로 분리되어 있는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잉크통 롤러, 에지가 잉크통 롤러의 원주면에 근접하여 있는 블레이드 형태의 바닥, 및 잉크통의 바닥과 접하여 있고 잉크통의 측면을 밀봉하는 2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인쇄기용 잉크통에 관한 것이다.
상기 블레이드와 잉크통은 잉크통 롤러에 도포되는 잉크의 양이 많은 요판 인쇄기에 주로 사용되어, 인쇄판에 새겨진 요판 무늬의 잉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잉크통 블레이드 및 잉크통은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DD 110 632호에 공지된 잉크통은, 바닥에 잉크통 롤러의 원주면에 근접하여 있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블레이드의 에지와 롤러 사이의 간격, 즉 롤러에 도포되는 잉크 두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블레이드는 그 블레이드를 조이는 나사에 의해 잉크통 롤러에 대하여 타측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단점은 블레이드의 변형으로 도포되는 잉크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것은 변형된 블레이드의 형상이 블레이드 상의 점 위치에서 나사가 조여지는 것으로 인하여 둥근 형상을 갖기 때문이고, 이는 잉크의 양이 부정확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다른 시스템이 유럽 특허 출원 제 0 600 43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잉크통 블레이드는 잉크통 롤러에 도포되는 잉크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서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여러 개의 인접한 블레이드렛(bladelet)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변형을 얻기 위해서, 여기서도 역시 잉크통 롤러를 중심으로 블레이드렛의 다른쪽에 레버(lever)를 사용하여 블레이드렛을 상기 롤러와 가깝게 이동시켜 각각의 블레이드렛의 에지와 잉크통 롤러의 원주면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켜 도포되는 잉크의 두께를 변화시킨다.
이 시스템은, 특히 블레이드렛의 변형이 잉크통 롤러를 향해 이루어진다는 몇가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조작시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블레이드가 롤러와 접하여 손상될 위험이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변형은 재료의 피로를 야기시켜 조기 마모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시스템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통 롤러를 손상시키지 않고, 정확하고 반복적으로 잉크통 롤러에 일정한 두께의 잉크가 도포되도록 미세하게 조절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잉크통 바닥에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세그먼트들이 서로 평행하게 블레이드의 면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세그먼트로 분리된 블레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제공되는 장점은 많다. 특히, 세그먼트들의 이동이 선형적이라는 사실에 주목할 수 있다. 이것은, 유럽 특허 출원 EP 0 600 435호에 개시된 블레이드렛의 이동보다 제어 및 측정하기가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세그먼트상의 어느 임의의 지점에서라도 동일한 이동을 나타내는 반면,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블레이드렛의 경우에서는 이동의 정확한 측정이 각 블레이드렛의 실제 에지상에서만 이루어 질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제 2 항 내지 제 7 항은 발명의 잉크통 바닥에 제공되는 블레이드의 실시예를 한정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제 8 항은 본 발명에 따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바닥을 가진 인쇄기의 잉크통을 한정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제 9 항 및 제 10 항은 잉크통의 특정 실시예를 한정한다.
도 1은 2개의 잉크통을 포함하는 잉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잉크통 바닥의 부분 단면을 상세히 본 것이다;
도 3은 잉크통의 일부를 위에서 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잉크통에 장착하기에 적합한 분리벽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요판 인쇄기에 사용되는 형태의, 2개의 중첩된 잉크통을 갖춘 잉크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이동가능한 잉크 캐리지(1)를 포함하고, 이 잉크 캐리지는, 잉크통 롤러(6)와 협동하는 바닥(4)과 2개의 측벽(5)으로 형성된 잉크통(3)이 각각 설치된 2개의 겹쳐 놓인 마운트(mount)(2)를 포함한다. 바닥(4)은 정면 에지(edge)가 잉크통 롤러(6)와 접하는 블레이드로 구성된다. 상기 잉크통(3)의 한가지 응용을 나타내기 위해서, 도 1은, 예를 들어, 플레이트 실린더(8)에 장착된 인쇄판(impression plate)(도시되지 않음)에 잉크를 칠하는 잉크 롤러(7)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잉크통 바닥(4)을 설명한다. 이 바닥(4)은 잉크통 롤러(6)의 축과 평행한 횡방향 스핀들(10)에 장착되고, 잉크통이 작동함에 따라 상기 스핀들(10)을 중심으로 하여 잉크통 롤러(6) 쪽으로 선회한다. 블레이드 세그먼트(11)들이 바닥(4)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세그먼트(11)는 바닥(4)을 지지하는 스핀들(10)과 평행한 횡방향 활주대(slideway)(13, 14)에 의해 바닥(4)에 연결되고, 그 활주대는 나사(15, 16)에 의해 상기 바닥(4)에 고정된다. 이들 활주대(13, 14)는 전체적으로 T자 형상으로, 그의 상부가 세그먼트(11)에서 절삭되어 형성된 대응 슬롯(32, 33)내에 보유된다. 따라서 모든 세그먼트(11)는 그들을 활주대(13, 14)에 옆으로 도입함으로써 잉크통 바닥(4)에 설치될 수 있고, 일단 이들의 위치가 결정되면, 활주대(13, 14)의 T자 형상 상부와 세그먼트의 대응 슬롯(32,33)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clearance)에 의해 그 세그먼트들이 스핀들(10)에 대하여 직각으로 움직일 수 있다.
활주대(13, 14)에 대하여 직각으로, 각 세그먼트(11)는 복귀(return) 스프링(17, 18)이 각각 수용되는 하우징(19, 20)을 가지고 있다. 압축 스프링인 이들 복귀 스프링(17, 18)은 세그먼트(11)의 에지가 잉크통 롤러(6)에 가장 근접하여 있는 위치에 세그먼트(11)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위치가 기준 위치인 것으로 정의되고, 롤러(6)에 도포되는 잉크의 두께를 변화시키기 위한 세그먼트(11)의 이동이 롤러(6)로부터 먼쪽으로 세그먼트(11)를 움직임으로써 행해진다.
세그먼트(11)의 에지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세라믹과 같은 단단한 물질의 웨이퍼(12)에 의해 보강되어 각 세그먼트의 수명을 상당히 연장시키게 된다. 이것은 사용되는 잉크가 블레이드 에지를 마모시키는 마모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롤러(6)에 정확한 두께의 잉크 도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날카로운 에지의 블레이드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된 세그먼트의 사용은 한편으로는, 에지에서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기 마모의 경우 전체 블레이드를 교체하기 보다는 하나의 세그먼트만을 교체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각 세그먼트(11)를 이동시키기 위한 특수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도 2에 모터(21)와 연결되어 도시된 캠(23)을 포함한다. 캠(23)은 세그먼트(11)내의 대응 슬롯(24) 안에 위치되고 모터(21)의 스핀들(22)에 설치된다. 모터(21) 자체는 잉크통(3)의 바닥(4)에 설치되고 나사(25, 26)로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모터의 사용으로 특히 세그먼트(11)의 이동이 원격적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적절한 장치의 사용으로, 각 세그먼트의 위치가 예를 들어, 컴퓨터화된 제어 수단으로 설명된 시스템을 조합함으로써 인쇄질에 적합하도록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다. 물론, 캠(23)의 이동이 자동화될 필요는 없으며 각 캠(23)에 대하여 작용하는 수동 제어기로 모터(21)를 대체시킬 수 있다.
도 3은 잉크통의 6개 인접한 세그먼트(11, 1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더 양호한 이해를 위해서, 참조 부호 11'로 표시된 중간 세그먼트를 과장되게 한쪽으로 치우쳐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치우침에 의해, 인접 세그먼트(11)에 의해 도포된 잉크의 두께와 상이한 일정한 두께로 소정의 폭에 걸쳐 잉크를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소정의 잉크량을 요하는 도안의 크기에 따라, 도안의 폭이 1개의 세그먼트(11)의 폭을 초과하는 경우, 한꺼번에 한 개 이상의 세그먼트(11)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그먼트(11)를 갖춘 블레이드는 잉크 분배기를 포함하는 잉크통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는 잉크통이 다색 인쇄에 사용되는 경우 색상을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유럽 특허 0 374 092호는 2개 이상의 상이한 색상을 갖는 1개 이상의 상기 분배기를 포함하는 잉크통을 기술하고 있다.
세그먼트(11)에 직접 분배기를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설명된 것처럼 어느 임의의 세그먼트에 분배기를 고정할 수 있는 모듈식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조합의 조립체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그먼트(11)에 분배기(27)가 직접 장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4에 공통되는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냈다. 예를 들어, 유럽 특허 0 374 092호에 공지된 분배기(27)는 예를 들어 nylatron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중간 플레이트(28)를 포함하며, 그 중간 플레이트는 누설이 방지되도록 스프링과 같은 압박(press)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잉크통 롤러(6)의 원주면과 접촉하여 유지된다.
분배기(27)가 장착되는 세그먼트(11) 만큼 그 분배기가 넓지 않다면, 잉크통 롤러(6)와 같은 쪽에 있는 세그먼트(11)의 에지는,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웨이퍼(12)와 유사한 단단한 물질의 웨이퍼(31)를 사용하여 보강되어야 한다. 이러한 종류의 웨이퍼(31)는 중간 플레이트(28)의 각 측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압박 수단에 의해, 잉크통 롤러(6)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28)의 밀폐된 접촉을 유지함과 동시에 중간 플레이트(28)의 부근에서 도포되는 잉크 두께를 정확히 조절하도록 세그먼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세그먼트(11)의 시스템은 잉크통 측벽(5)을 설치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이들 측벽은 잉크통 바닥(4)에서 블레이드의 2개의 단부 세그먼트 상에 배치된다. 그러한 측벽이 상기 언급된 유럽 특허 0 374 092호, 및 현재까지 공개되지 않은 1999년 1월 20일 출원된 스위스 특허 출원 No. 105/99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례로 설명된 것으로 청구항의 범주내에서 변형이가능하다. 예를 들어서, 활주대(13,14)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프링(17, 18) 외의 다른 복귀 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세그먼트(11)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캠의 시스템과 등가의 다른 시스템을 사용해도 된다.

Claims (10)

  1. 에지(edge)에서 잉크통 롤러(6)상에 정해진 잉크 두께를 유지하도록 된 인쇄기용 잉크통의 바닥에 있는 블레이드로서, 상기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에지와 잉크통 롤러(6)의 원주면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도록 움직일 수 있는 여러 개의 인접한 세그먼트(11)로 분리되어 있고, 그 세그먼트(11)들이 서로 평행하게 블레이드의 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11)의 에지가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이 단단한 물질로 만들어진 부품(12)을 부착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이 잉크통 롤러(6)의 원주면으로부터 먼쪽으로 세그먼트(11)의 에지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11)가 캠(23)을 사용하여 움직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캠(23)의 이동이 수동식으로 또는 모터(21)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복귀 스프링(17, 18)이 각 세그먼트(11)를 잉크통 롤러(6) 쪽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8. 잉크통 롤러(6), 에지가 잉크통 롤러(6)에 근접하여 있는 블레이드 형태의 바닥(4), 및 잉크통 바닥(4)과 접한 2개의 측벽(5)을 갖춘 인쇄기용 잉크통으로서, 상기 블레이드가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블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잉크통.
  9. 제 8 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분리벽이 상기 세그먼트(11)들중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잉크통.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5)이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 세그먼트(11)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잉크통.
KR1020000008102A 1999-02-23 2000-02-21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KR100668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3899 1999-02-23
CH338/99 1999-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115A true KR20000058115A (ko) 2000-09-25
KR100668031B1 KR100668031B1 (ko) 2007-01-15

Family

ID=418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102A KR100668031B1 (ko) 1999-02-23 2000-02-21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031419B1 (ko)
JP (1) JP2000246875A (ko)
KR (1) KR100668031B1 (ko)
CN (1) CN1222410C (ko)
AT (1) ATE302117T1 (ko)
AU (1) AU769060B2 (ko)
CA (1) CA2298376C (ko)
DE (1) DE60021932T2 (ko)
RU (1) RU2226153C2 (ko)
UA (1) UA6938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88854A1 (fr) 2004-04-22 2005-10-26 Kba-Giori S.A. Encrier pour machine d'impression
JP4892728B2 (ja) * 2006-11-20 2012-03-07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インキ供給装置
CN104943356B (zh) * 2014-03-28 2018-03-20 南京造币有限公司 雕刻凹印输墨装置
MX2020007616A (es) * 2018-01-18 2020-09-14 I Mer Co Ltd Maquina impresora y dispositivo de fuente de tinta de la misma y metodo para limpiar la periferia de la fuente de tinta.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19472A (fr) * 1909-08-20 1911-01-07 John Arthur Jefferson Hayes Perfectionnements au réglage du débit de la couleur, de l'encre ou autre, dans les machines à imprimer
FR419272A (fr) * 1910-07-29 1910-12-30 Henry Moore Becker Cercueil
DE2951653C2 (de) * 1979-12-21 1983-04-14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6050 Offenbach Vorrichtung zum Dosieren von Farbe auf der Farbkastenwalze eines Farbwerks für Druckmaschinen
DE3030774C2 (de) * 1980-08-14 1982-11-18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6050 Offenbach Vorrichtung zum Dosieren der Farbmenge in Farbkästen von Druckmaschinen
DE8208651U1 (de) * 1982-03-26 1986-08-21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6050 Offenbach Farbdosiereinrichtung
DE3503736C1 (de) * 1985-02-04 1985-12-05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6050 Offenbach Farbdosiereinrichtung an Druck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2410C (zh) 2005-10-12
RU2226153C2 (ru) 2004-03-27
AU1752400A (en) 2000-08-24
KR100668031B1 (ko) 2007-01-15
CA2298376C (en) 2008-06-03
DE60021932D1 (de) 2005-09-22
JP2000246875A (ja) 2000-09-12
CA2298376A1 (en) 2000-08-23
DE60021932T2 (de) 2006-04-20
EP1031419A1 (fr) 2000-08-30
CN1264645A (zh) 2000-08-30
ATE302117T1 (de) 2005-09-15
EP1031419B1 (fr) 2005-08-17
AU769060B2 (en) 2004-01-15
UA69388C2 (uk) 200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81023A1 (en) Ink fountain for a printing machine
US4878427A (en) Printing station with toolless changeable plate cylinder
JPH0131475Y2 (ko)
US11400700B2 (en) Device for printing on hollow bodies
US53885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ement of a doctor blade against an ink-dispensing roller
US9643399B2 (en) Ink feed device comprising an ink blade
US5020432A (en) Device for metering ink in offset printing presses
US6792855B2 (en) Flexographic machine
KR20000058115A (ko)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US796322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printing unit having at least one press unit, and a press uni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110709248B (zh) 具有可互换印刷套筒的印刷单元
EP1648704B1 (en) Inking and doctor unit for a rotogravure print and spread assembly
US5694850A (en) Composite ink fountain blade
EP0085439A1 (en) Overvarnish apparatus for decorator machine
US5341741A (en) Doctor blade bar for a short inking system
US20200376828A1 (en) Processing machine having a unit with a reservoir, and method for operating a reservoir
US7234396B2 (en) Ink applicator having movable bar and blade for opening and closing ink gap
US6405649B1 (en) Ink fountain blade for a printing machine
EP2657020B1 (en) Articulated doctor blade assembly for printing groups
US5408929A (en) Ink duct for offset or letterpress printing machines
GB2102733A (en) Printing presses
US7032511B2 (en) Fountain ink feed system
JP2011522718A (ja) 接着剤塗布を含むコールドフィルムユニットの運転
US3550529A (en) Ink roll mounting mechanism for printer-slotters
US10786984B2 (en) Segment wheel for a device for printing on hollow bo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