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899B1 - 양면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양면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899B1
KR102162899B1 KR1020187020302A KR20187020302A KR102162899B1 KR 102162899 B1 KR102162899 B1 KR 102162899B1 KR 1020187020302 A KR1020187020302 A KR 1020187020302A KR 20187020302 A KR20187020302 A KR 20187020302A KR 102162899 B1 KR102162899 B1 KR 102162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ouble
adhesive tape
sided adhesive
laminate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014A (ko
Inventor
타케오 코이누마
사치오 나카니시
타카시 후세
다이치 쿠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데라오카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데라오카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데라오카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80095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수지 필름(1)과 흑색 인쇄층(3) 사이에 적어도 1층의 명색 인쇄층(2)을 가지는 적층 기재와, 그 적층 기재의 양면에 설치된 점착제층(4)을 가지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흑색 인쇄층(3)이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에 기인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적층 기재의 블로킹이나 주름이 발생되기 어렵고, 광반사층 측의 점착제층(4)이 황변되기 어렵고, 또한 광반사층의 명도(반사율)의 조정이 용이하고, 액정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과의 고정에 유용한 점착 테이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양면 점착 테이프{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나 터치 패널 등에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용의 백라이트면의 휘도 향상 및 광누락에 의한 시인성(視認性) 저하의 방지에 유용한, 광반사성 및 차광성 양쪽의 기능을 가지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나 터치 패널 등에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액정표시부와 백라이트부 사이에 양면 점착 테이프가 설치되고, 이에 의해 양 부재(部材)가 고정되어 있다. 이 양면 점착 테이프는, 예를 들면 백색의 광반사층과 흑색의 차광층을 가지고, 백라이트면의 휘도 향상과 백라이트로부터의 광누락에 의한 시인성 저하의 방지에 기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휘도 향상과 차광성의 양쪽에 기여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4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광반사층은, 백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2축 연신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은 생산성이 뒤떨어지며, 게다가 명도(반사율)의 조정이 비교적 곤란하다.
특허문헌 2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광반사층은 백색 인쇄층이며, 차광층은 흑색 인쇄층이다. 인쇄층은,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지 필름과 비교해서 생산성이 뛰어나고, 명도(반사율)의 조정도 용이하다. 그러나, 이 양면 점착 테이프에 사용되는 적층 기재(基材)는, 흑색 인쇄층/수지 필름/백색 인쇄층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 적층 기재를 롤상(狀)으로 권취하면, 인쇄층 끼리가 접촉되어 블로킹이 발생되어 버린다. 따라서, 한쪽의 인쇄층의 외측에 블로킹 방지막(박형(薄型) 코트층)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지견(知見)에 의하면, 이와 같은 적층 기재를 사용한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백색 인쇄층 측(광반사층 측)의 점착제층의 황변(黃變)이 문제가 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백색 인쇄층과 점착제층이 직접 접촉되어 있으므로 점착제층에 백색 인쇄층 안의 잉크 성분이 이행(移行)되어 점착제층이 변색되는 것에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광반사층 측의 점착제층의 황변은, 백라이트면의 휘도를 저하시켜, 시인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적층 기재는 양면에 인쇄층을 가지므로, 점착제의 도공 공정에서 적층 기재를 인출할 때에 인쇄층이 가이드 롤에 접촉되어 결손되기 쉽다. 또한, 좁은 액자 형상 등의 미세한 타발가공을 실시할 때는, 인쇄층이 벗겨질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3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편측(片側)에 백색 인쇄층과 흑색 인쇄층의 양쪽을 설치한 적층 기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이 적층 기재를 제조 직후에 롤상으로 권취하면, 인쇄층의 표면이 달라붙어 블로킹이 발생되거나, 권취 시에 마찰력에 의한 주름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이들 현상은, 적층 기재 제조 시의 흑색 인쇄층의 경화 속도가 불충분한 것에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특허문헌 4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수지 필름의 편측에 차광층(흑색 인쇄층)을 설치한 적층 기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차광층(흑색 인쇄층)의 바인더 수지로서 Tg(tanδ의 피크 온도)가 -30℃∼30℃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고, 경화제로서 지방족 또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이와 같은 바인더 수지 및 경화제를 사용하면 인쇄층의 경화 속도가 불충분하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로킹이나 주름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특개2004-15601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특개2011-95764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특개2009-197124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공개 특개2010-53240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광반사성 및 차광성 양쪽의 기능을 가지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적층 기재의 블로킹이나 주름이 발생되기 어렵고, 광반사층 측의 점착제층이 황변되기 어렵고, 또한 광반사층의 명도(반사율)의 조정이 용이한 양면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양면 점착 테이프의 간이(簡易)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銳意) 검토한 결과, 특정의 층 구조를 가지는 적층 기재를 사용하고, 또한 흑색 인쇄층을 특정의 성분으로 구성하는 것이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제1의 본 발명은, 수지 필름과 흑색 인쇄층 사이에 적어도 1층의 명색(明色) 인쇄층을 가지는 적층 기재와, 그 적층 기재의 양면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가지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흑색 인쇄층이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에 기인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이다.
제2의 본 발명은, 수지 필름과 흑색 인쇄층 사이에 적어도 1층의 명색 인쇄층을 가지는 적층 기재와, 그 적층 기재의 양면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가지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적층 기재의 수지 필름에 대한 흑색 인쇄층의 JIS K 7125에 준한 정마찰력(靜摩擦力)이 2.0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의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흑색 인쇄층을 1 공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 기재의 블로킹이나 주름이 발생되기 어렵고, 광반사층 측의 점착제층이 황변되기 어렵고, 또한 광반사층의 명도(반사율)의 조정이 용이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와 같은 양면 점착 테이프를 간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층 기재는 수지 필름(1)과 차광층으로서의 흑색 인쇄층(3) 사이에, 광반사층으로서의 명색 인쇄층(2)을 가진다. 그리고, 적층 기재의 양면에는 점착제층(4)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적층 구조에서는, 명색 인쇄층(2)(광반사층)과 점착제층(4)이 직접 접촉되어 있지 않으므로, 명색 인쇄층(2)(광반사층) 측의 점착제층(4)에 인쇄층의 잉크 성분이 이행되지 않아, 황변이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광반사측의 투과율이 저하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백라이트면의 휘도나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흑색 인쇄층(3)(차광층)과 점착제층(4)은 직접 접촉되어 있지만, 차광층 측의 점착제층(4)의 투과율의 저하는 그 구조상 광반사성의 기능을 전혀 저해하지 않기 때문에, 이 점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기재가 상술한 특정의 층 구조를 가지므로, 적층 기재의 제조 직후(점착제층(4)의 형성 전)에 적층 기재를 롤상으로 권취하는 경우는, 수지 필름(1)과 흑색 인쇄층(3)이 접촉되며,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명색 인쇄층과 흑색 인쇄층이 접촉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블로킹이나 주름이 발생되기 어렵다. 게다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의 본 발명에 있어서는 흑색 인쇄층의 경화 속도가 빠르고, 제2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마찰력이 낮으므로, 이들이 적층 기재의 특정의 층 구조와 상승 작용을 발현하여, 블로킹이나 주름의 발생 방지의 효과가 현저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양면 점착 테이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1층의 명색 인쇄층(2)이 광반사층을 구성하지만, 소망에 따라 2층 이상의 명색 인쇄층(2)의 적층체가 광반사층을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1층의 흑색 인쇄층(3)이 차광층을 구성하지만, 소망에 따라 2층 이상의 흑색 인쇄층(3)이 차광층을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수지 필름(1) 위에 명색 인쇄층(2), 흑색 인쇄층(3)이 직접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지만, 수지 필름(1)과 명색 인쇄층(2) 사이 혹은 명색 인쇄층(2)과 흑색 인쇄층(3) 사이에 다른 임의의 층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수지 필름(1)의 외측면 및 흑색 인쇄층(3)의 외측면에 각각 점착제층(4)이 직접 적층되어 있지만, 각 외측면과 점착제층(4) 사이에 다른 임의의 층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 필름(1)]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1)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종류의 점착 테이프에 사용 가능한 것이 알려져 있는 여러 가지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스티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고, 입수의 용이성, 강도의 안정성 등의 점에서, 특히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1)의 두께는, 요구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특히 리워크성 등의 점에서,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6∼38㎛이다.
[명색 인쇄층(2)]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명색 인쇄층(2)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종류의 점착 테이프에 필요한 광반사 기능을 부여 가능한 것이 알려져 있는 여러 가지의 명색 인쇄층을 사용할 수 있다. 명색 인쇄층(2)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과 비교하여 광반사층의 명도(반사율)의 조정이 용이하다. 여기서 「명색」이란, 광반사 기능을 부여 가능한 백색이나 담색(淡色) 등의 색을 의미한다. 특히 백색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명색 인쇄층(2)의 L*a*b* 표색계로 규정되는 L*(명도)는, 바람직하게는 6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다. 명색 인쇄층(2)의 파장 550nm에 대한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이다. 또한, 파장 380∼780nm에 대한 평균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명색 인쇄층(2)은, 통상, 잉크 조성물을 사용한 공지의 인쇄법에 의해 형성된다. 잉크 조성물은, 예를 들면 착색 성분(잉크 성분), 바인더 수지, 경화제를 포함한다. 바인더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페놀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경화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바람직하다. 각 성분의 조성비로서는 공지의 조성비를 채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명색 인쇄층(2)에 사용되는 잉크 조성물은, 예를 들면, 착색 성분(잉크 성분)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시판되는 인쇄 잉크에 경화제를 배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명색 인쇄층(2)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의 두께는, 요구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나 광반사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광반사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3∼12㎛이다. 명색 인쇄층(2)은 단층으로 광반사층을 구성해도 되지만, 충분한 광반사성을 부여하는 점에서, 2∼6층의 명색 인쇄층(2)을 적층 성형하여 광반사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흑색 인쇄층(3)]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흑색 인쇄층(3)은, 통상, 잉크 조성물을 사용한 공지의 인쇄법에 의해 형성된다. 잉크 조성물은, 예를 들면 착색 성분(잉크 성분), 바인더 수지, 경화제를 포함한다.
흑색 인쇄층(3)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페놀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란, 분자쇄 중에 에스테르 결합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이다. 지방족계 및 방향족계 중 어느 쪽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바인더 수지의 Tg(유리전이온도)는 비교적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바인더 수지의 Tg는,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다. 이에 의해 흑색 인쇄층(3)의 경화 초기의 단계에서도 택(tack)이 낮아져, 적층 기재의 블로킹이나 주름이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흑색 인쇄층(3)에 사용되는 경화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들 수 있다. 다만 제1의 본 발명에서는, 흑색 인쇄층(3)에 사용되는 경화제로서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한다. 이에 의해 흑색 인쇄층(3)의 경화 속도가 빨라져, 적층 기재의 블로킹이나 주름이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란, 적어도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경화제이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란, 벤젠환 등의 방향족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며, 통상은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진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벤젠환과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일반적으로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의 어덕트체(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티롤프로판과의 부가체)나 이소시아눌레이트체(디이소시아네이트의 3량체)를 포함한다.
경화제의 배합량은, 인쇄 잉크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16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6∼12질량부이다.
흑색 인쇄층(3)에 사용되는 잉크 조성물은, 예를 들면, 착색 성분(잉크 성분)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시판되는 인쇄 잉크에 경화제를 배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흑색 인쇄층(3)으로 이루어지는 차광층의 두께는, 요구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나 차광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차광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8㎛, 보다 바람직하게는 3∼6㎛, 특히 바람직하게는 4∼6㎛이다. 흑색 인쇄층(3)은 단층으로 차광층을 구성해도 되고, 복수의 흑색 인쇄층(3)을 적층 형성하여 광반사층을 구성해도 된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흑색 인쇄층(3)은 경화 속도가 비교적 빠르기 때문에, 1층의 흑색 인쇄층(3)으로 차광층을 양호하게 구성할 수 있어, 그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점착제층(4)]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층(4)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종류의 점착 테이프에 사용 가능한 것이 알려져 있는 여러 가지의 점착제층을 사용할 수 있다.점착제층(4)에 사용되는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의 투명한 접착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4)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 수지나 가교제를 첨가해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로진계, 폴리테르펜계, 석유계, 테르펜페놀계, 폴리스티렌계의 수지를 들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점착제층(4)의 두께는, 요구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통상,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이다.
[적층 기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기재는, 이상 설명한 수지 필름(1), 명색 인쇄층(2) 및 흑색 인쇄층(3)을 적어도 가지는 기재이다. 적층 기재의 두께는, 요구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통상,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이다.
제2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층 기재의 수지 필름에 대한 흑색 인쇄층의 JIS K 7125에 준한 정마찰력이 2.0N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4∼1.8N이다. 적층 기재가 이와 같은 낮은 정마찰력을 가짐으로써, 적층 기재를 제조 직후에 롤상으로 권취하였을 때의 블로킹이 발생되기 어려워지고, 또한 권취 시의 마찰력에 의한 주름도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정마찰력의 측정 방법은 JIS K 7125에 준하고, 적층 기재의 수지 필름(1) 위에 무게 200g의 미끄럼편에 고정한 다른 하나의 적층 기재를 흑색 인쇄층(3)이 접하도록 두고, 속도 300mm/분으로 미끄럼편을 평행하게 움직여, 최초로 얻어지는 최대 응력(정마찰력)을 측정한다. 그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란에 기재한다.
제2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낮은 정마찰력을 가지는 적층 기재는, 예를 들면, 흑색 인쇄층의 경화제의 종류나 바인더 수지의 종류 등의 조건을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경화제로서는, 앞서 설명한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제1의 본 발명)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만, 제2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이어도, 예를 들면 Tg가 비교적 높은 바인더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낮은 정마찰력을 가지는 적층 기재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양면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이상 설명한 적층 기재와, 이 적층 기재의 양면에 설치된 점착제층(4)을 가지는 점착 테이프이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인쇄층의 블로킹이나 점착제층의 황변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 터치 패널 등에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과의 고정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기재는, 예를 들면, 수지 필름(1) 위에 명색 인쇄층(2)을 형성하고, 그 위에 흑색 인쇄층(3)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제1의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예를 들면, 착색 성분(잉크 성분), 바인더 수지 및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흑색 인쇄층(3)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수지 필름(1) 상에 명색 인쇄층(2)을 형성하는 공정, 이 명색 인쇄층(2) 상에 상기 잉크 조성물을 사용해서 흑색 인쇄층(3)을 형성하여 적층 기재를 얻는 공정, 및 이 적층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4)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진다.
제2의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예를 들면, 수지 필름(1)에 대한 흑색 인쇄층(3)의 JIS K 7125에 준한 정마찰력이 2.0N 이하인 적층 기재를 제작하는 공정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수지 필름(1) 상에 명색 인쇄층(2)을 형성하는 공정, 이 명색 인쇄층(2) 상에 흑색 인쇄층(3)을 형성하여 수지 필름(1)에 대한 흑색 인쇄층(3)의 JIS K 7125에 준한 정마찰력이 2.0N 이하인 적층 기재를 얻는 공정, 및 이 적층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4)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진다.
이상의 각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적층 기재를 제조 직후에 롤상으로 권취하였을 때의 블로킹이 발생되기 어려워지고, 또한 권취 시의 마찰력에 의한 주름도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흑색 인쇄층(3)을 1 공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지 필름 상에 명색 인쇄층을 형성하는 공정, 이 명색 인쇄층 상에 흑색 인쇄층을 1 공정으로 형성하여 적층 기재를 얻는 공정, 및 이 적층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진다.
차광 용도의 종래의 흑색 인쇄층은, 충분한 차광성을 얻기 위해서 2∼3층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흑색 인쇄층(3)은, 1 공정에서 충분한 차광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고, 도장 표면의 요철의 고저(高低) 차가 커져서 블로킹이 발생되기 쉬워진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게다가 적층 기재의 제조 공정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명색 인쇄층(2)과 흑색 인쇄층(3)을 인쇄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인쇄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인쇄법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철판(凸版)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그라비아 인쇄법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기재에 대하여 「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바인더 수지 조성물 1∼3 및 비교 바인더 수지 조성물 C1∼C7>
표 1 및 2에 나타내는 바인더 수지 100부에 대하여 경화제 13.0부를 배합하고, 바인더 수지 조성물 1∼3 및 비교 바인더 수지 조성물 C1∼C7를 얻었다. 표 안에 기재된 유리전이온도(Tg) 중, 바인더 수지(b1)의 Tg는 DSC 측정값이며, 바인더 수지(b2∼b5)의 유리전이온도(Tg)는 메이커 정보에 의한 값이다.
(블로킹 시험)
두께 12㎛의 투명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측의 면에,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두께 5㎛가 되도록 적층하여, 총 두께 17㎛의 바인더 코트 필름을 얻었다. 이 바인더 코트 필름을 30mm×40mm의 사이즈로 잘라내서, 시험편을 얻었다. 시험편을 5매 겹쳐, 두께 1.5mm의 유리판으로 끼우고, 2kg의 추를 달아 40℃에서 2일간 정치(靜置)했다. 그 후, 각 시험편을 벗겨, 육안으로 이하의 기준에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 및 2에 나타낸다.
「○」:블로킹이 발생되었다.
「×」: 블로킹이 발생되지 않았다.
(프로브 택(probe tack))
JIS Z 0237에 준한 시험법에 의해 프로브 택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블로킹 시험과 동일한 바인더 코트 필름의 바인더 수지 조성물층 측을, 직경 3mm의 SUS제 원주(圓柱)에 하중 20g로 1.0초 압압(押壓)하고, 이어서 속도 1.0cm/초로 벗겼을 때의 접착력을 측정하고, 5회의 시험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프로브 택(N)으로 했다. 결과를 표 1 및 2에 나타낸다.
(정마찰력)
IS K 7125에 준한 시험법에 의해 정마찰력(블로킹 시험과 동일한 바인더 코트 필름의 투명 PET 필름 대 바인더 코트 필름의 바인더 수지 조성물층)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PET 필름측이 위가 되도록 하여 바인더 코트 필름을 시험 테이블에 고정했다. 한편, 다른 하나의 바인더 코트 필름(사이즈:25mm×25mm)을 무게 200g의 미끄럼편에 고정했다. 그리고, 시험 테이블에 고정한 바인더 코트 필름의 투명 PET 필름면과 미끄럼편에 고정한 바인더 코트 필름의 바인더 수지 조성물층면이 접하도록, 시험 테이블 상에 미끄럼편을 살며시 두었다. 속도 300mm/분으로 미끄럼편을 평행하게 움직여, 최초로 얻어지는 최대 응력(정마찰력)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 및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69592925-pct00001
Figure 112018069592925-pct00002
표 1 및 2에 있어서, 각 약호(略號)는 이하의 제품을 나타낸다.
「b1」: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토요잉크 주식회사제, 상품명 E039 메지움 Z)
「b2」: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토요보우 주식회사제, 상품명 UR1400)
「b3」: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닛뽄폴리우레탄고교 주식회사제, 상품명 닙포란 2304)
「b4」: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닛뽄폴리우레탄고교 주식회사제, 상품명 닙포란 3124)
「b5」: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산요가세이고교 주식회사제, 상품명 산프렌 IB-129)
「ar-i」: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토요잉크 주식회사제, 상품명 TK하드너)
「al-i」: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토요잉크 주식회사제, 상품명 LP하드너)
<평가>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ar-i)를 사용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 1 및 2는, 모든 특성이 우수했다. 한편,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al-i)를 사용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 C1∼C4는, 블로킹 시험에서는 블로킹이 발생되고, 프로브 택도 높았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ar-i)는 사용하지 않지만 그 대신에 정마찰력이 높은 바인더 수지 조성물 3은, 모든 특성이 우수했다. 한편, 정마찰력이 낮은 바인더 수지 조성물(C5∼C7)은, 블로킹 시험에서는 블로킹이 발생되고, 프로브 택도 높았다.
<실시예 1>
(흑잉크 조성물 1의 조제)
흑색 잉크(토요잉크 주식회사제, 상품명 E039PETAK묵(墨))를 준비했다. 이 흑색 잉크는, 앞서 설명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 1에 있어서의 바인더 수지(b1)와 동일한 수지가 흑색에 착색된 제품이다. 이 흑색 잉크 100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 1에 있어서의 경화제(ar-i)와 동일한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상품명 TK하드너, 토요잉크 주식회사제) 8.0질량부를 배합하여, 흑잉크 조성물 1을 얻었다.
(백잉크 조성물의 조제)
백색 잉크(토요잉크 주식회사제, 상품명 E039PET63백(白))를 준비했다. 이 백색 잉크는, 앞서 설명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 1에 있어서의 바인더 수지(b1)와 동일한 수지가 백색으로 착색된 제품이다. 이 백색 잉크 100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 1에 있어서의 경화제(ar-i)와 동일한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토요잉크 주식회사제, 상품명 TK하드너) 6.0질량부를 배합하여, 백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적층 기재 A의 제작)
두께 12㎛의 투명 PET 필름의 편측의 면에, 백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를 2회 실시하고, 두께 6㎛의 백색 인쇄층(L*(명도)=83.47, 파장 550nm에 대한 반사율 74.4%, 파장 380∼780nm에 대한 평균 반사율=69.5%)을 형성했다. 또한 이 백색 인쇄층의 면에, 흑잉크 조성물 1을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를 1회 실시하고, 두께 5㎛의 흑색 인쇄층을 형성하여, 총 두께 23㎛의 적층 기재 A를 얻었다.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장치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0부, n-부틸아크릴레이트 29.9부,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0.1부, 연쇄 이동제 0.1부 및 과산화물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 0.1부를 장입했다. 반응 장치 내에 질소 가스를 봉입하고,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 기류 하에서 68℃, 3시간, 그 후 78℃, 3시간에 중합 반응시켰다. 이어서 실온까지 냉각하고, 아세트산에틸을 추가했다. 이에 의해, 고형분 농도 30%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경화제(닛뽄폴리우레탄고교사제, 상품명 콜로네이트 L-45E) 0.3부를 배합하여, 투명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작)
적층 기재 A의 양면에, 투명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두께 18㎛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도 1 기재의 점착제층(4)/흑색 인쇄층(3)/백색 인쇄층(2회의 인쇄에 의해 형성한 명색 인쇄층(2))/수지 필름(1)/점착제층(4)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총 두께 약 6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2>
(적층 기재 B의 제작)
두께 6㎛의 투명 PET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의 적층 기재 A와 동일하게 하여 총 두께 17㎛의 적층 기재 B를 제작했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작)
적층 기재 B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의 두께를 21㎛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총 두께 약 6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했다.
<비교예 1>
(흑잉크 조성물 2의 조제)
비교 바인더 수지 조성물 C1에 있어서의 경화제(al-i)와 동일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토요잉크 주식회사제, 상품명 LP하드너)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의 흑잉크 조성물 1과 동일하게 하여 흑잉크 조성물 2를 조제했다.
(적층 기재 C의 제작)
흑잉크 조성물 2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의 적층 기재 A와 동일하게 하여 총 두께 23㎛의 적층 기재 C를 얻었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작)
적층 기재 C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약 6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했다.
<비교예 2>
(적층 기재 D의 제작)
두께 12㎛의 투명 PET 필름의 편측의 면에, 백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를 2회 실시하고, 두께 6㎛의 백색 인쇄층을 형성했다. 그리고, 투명 PET 필름의 다른 편측의 면에, 흑잉크 조성물 1을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를 1회 실시하고, 두께 5㎛의 흑색 인쇄층을 형성하고, 총 두께 23㎛의 적층 기재 D를 얻었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작)
적층 기재 D의 양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두께 18㎛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점착제층(4)/흑색 인쇄층(3)/수지 필름(1)/백색 인쇄층(2회의 인쇄에 의해 형성한 명색 인쇄층(2))/점착제층(4)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총 두께 약 6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적층 기재 A∼D를, 이하의 방법에 따라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블로킹 시험)
적층 기재 A∼D를 30mm×40mm의 사이즈로 잘라내서, 시험편을 얻었다. 이 각 시험편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의 블로킹 시험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여 평가했다.
(정마찰력)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에 관해서는, JIS K 7125에 준한 시험법에 의해 정마찰력(적층 기재의 투명 PET 필름 대 적층 기재의 흑색 인쇄층)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PET 필름 측이 위가 되도록 하여 적층 기재를 시험 테이블에 고정했다. 한편, 다른 하나의 적층 기재(사이즈:25mm×25mm)를 무게 200g의 미끄럼편에 고정했다. 그리고, 시험 테이블에 고정한 적층 기재의 투명 PET 필름면과 미끄럼편에 고정한 적층 기재의 흑색 인쇄층면이 접하도록, 시험 테이블 상에 미끄럼편을 조용하게 두어, 속도 300mm/분으로 미끄럼편을 평행하게 움직여, 최초로 얻어지는 최대 응력(정마찰력)을 측정했다. 또한 비교예 2에 관해서는, 적층 기재의 백색 인쇄층 대 적층 기재의 흑색 인쇄층의 정마찰력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투과율)
자외 가시 적외 분광 광도계(니혼분코 주식회사제, 상품명 V-670)를 사용하고, 양면 점착 테이프의 파장 380∼780nm의 평균의 투과율을 측정했다.
(투과 농도)
포터블 흑백 투과 농도계(이하라덴시고교 주식회사제, 상품명 TM-5)를 사용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의 투과 농도를 측정했다. 장치의 측정 범위가 0.0∼6.0이므로, 그 범위를 초과하는 투과 농도는 「6.0 이상」이라고 표기한다.
(황변 시험)
양면 점착 테이프를 85℃에서 240시간 가열하고, 가열 후의 황색도를 분광색차계(니폰덴쇼쿠고교 주식회사제, 상품명 SE6000)로 측정했다. 색상의 평가로는 JIS Z 8729에 규정되는 L*a*b*표 색계의 b*(횡 방향)를 선정했다. 이 가열 전후의 b*의 차 △b*=(85℃의 값)-(초기의 값)가 클수록, 황변의 정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8069592925-pct00003
Figure 112018069592925-pct00004
표 3 및 4에 있어서, 각 약호는 이하의 제품을 나타낸다.
「b1」: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토요잉크 주식회사제, 상품명 E039 메지움 Z)
「ar-i」: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토요잉크 주식회사제, 상품명 TK하드너)
「al-i」: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토요잉크 주식회사제, 상품명 LP하드너)
<평가>
표 3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모든 특성이 우수했다. 한편,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al-i)를 사용하고 또한 정마찰력이 비교적 높은 비교예 1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블로킹 시험에서는 블로킹이 발생되었다.
또한 표 4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4)/흑색 인쇄층(3)/수지 필름(1)/백색 인쇄층(2회의 인쇄에 의해 형성한 명색 인쇄층(2))/점착제층(4)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비교예 2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황변의 정도(△b*)가 컸다. 이는 백색 인쇄층과 점착제층이 직접 접촉되어 있으므로 점착제층으로 백색 인쇄층 안의 잉크 성분이 이행되어 점착제층이 변색되는 것에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비교예 2에서는, 적층 기재의 블로킹 시험에서 블로킹이 발생되었다. 이는 직접 접촉하는 백색 인쇄층과 흑색 인쇄층의 친화성이 높은 것에 기인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황변이 적다는 점에서, 장기간 안정되게 차광성과 광반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의 잉크가 신속하게 경화되기 때문에, 롤상으로 권취할 때에 블로킹 방지막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적은 공정으로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어, 기재의 제조 공정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휴대 전화, 터치 패널 등에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과의 고정에 사용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매우 유용하다.
1 수지 필름
2 명색 인쇄층
3 흑색 인쇄층
4 점착제층

Claims (8)

  1. 수지 필름과 흑색 인쇄층 사이에 적어도 1층의 명색(明色) 인쇄층을 가지는 적층 기재와, 그 적층 기재의 양면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가지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흑색 인쇄층이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에 기인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층 기재의 두께가 12㎛∼50㎛인 양면 점착 테이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액정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과의 고정에 사용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지 필름과 흑색 인쇄층 사이에 적어도 1층의 명색 인쇄층을 가지는 적층 기재와, 그 적층 기재의 양면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가지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적층 기재의 수지 필름에 대한 흑색 인쇄층의 JIS K 7125에 준한 정마찰력이 2.0N 이하인 양면 점착 테이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적층 기재의 두께가 12㎛∼50㎛인 양면 점착 테이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액정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과의 고정에 사용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흑색 인쇄층을 1회의 인쇄공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수지 필름 상에 명색 인쇄층을 형성하는 공정,
    그 명색 인쇄층 상에 흑색 인쇄층을 1회의 인쇄공정으로 형성하여 적층 기재를 얻는 공정, 및
    그 적층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20187020302A 2015-12-24 2015-12-24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162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5972 WO2017109883A1 (ja) 2015-12-24 2015-12-24 両面粘着テー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014A KR20180095014A (ko) 2018-08-24
KR102162899B1 true KR102162899B1 (ko) 2020-10-07

Family

ID=5908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302A KR102162899B1 (ko) 2015-12-24 2015-12-24 양면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26240B2 (ko)
KR (1) KR102162899B1 (ko)
CN (1) CN108368389B (ko)
TW (1) TWI738698B (ko)
WO (1) WO201710988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0042B2 (ja) * 2007-02-28 2014-06-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679B1 (ko) * 2002-08-12 2010-10-1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광반사성과 차광성을 겸비한 lcd 모듈용 점착 테이프
JP3902162B2 (ja) 2002-08-12 2007-04-04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光反射性と遮光性を併有するlcdモジュール用粘着テープ
JP2006089537A (ja) * 2004-09-21 2006-04-06 Sekisui Chem Co Ltd 液晶パネル固定用粘着テープ
DE102004058282A1 (de) * 2004-12-02 2006-06-08 Tesa Ag Doppelseitige Haftklebebänder zur Herstellung von LC-Displays mit lichtreflektierenden und absorbierenden Eigenschaften
JP2007153954A (ja) * 2005-12-01 2007-06-21 Sekisui Chem Co Ltd 遮光用粘着テープ
JP5219359B2 (ja) * 2006-02-21 2013-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反射性及び/又は遮光性を有する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1037574A (zh) * 2006-03-15 2007-09-19 日东电工株式会社 双面压敏粘着带或片和液晶显示器
JP2008247960A (ja) * 2007-03-29 2008-10-16 Dic Corp 遮光性粘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lcdモジュール
JP5373296B2 (ja) 2008-02-21 2013-12-18 日東電工株式会社 反射及び遮光機能を有する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00053240A (ko) 2008-11-12 2010-05-20 김성준 폴리우레탄 스틸 스터드
JP5097262B2 (ja) 2010-12-15 2012-12-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パネル固定用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WO2012121292A1 (ja) * 2011-03-09 2012-09-13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回路接続用テープ、接着剤リール、積層テープの回路接続材料としての使用、積層テープの回路接続材料の製造のための使用及び回路接続体の製造方法
JP2015212317A (ja) * 2014-05-01 2015-11-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CN103980829A (zh) * 2014-05-05 2014-08-13 新纶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遮光反射用双面胶带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0042B2 (ja) * 2007-02-28 2014-06-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109883A1 (ja) 2018-10-04
WO2017109883A1 (ja) 2017-06-29
TW201730305A (zh) 2017-09-01
TWI738698B (zh) 2021-09-11
KR20180095014A (ko) 2018-08-24
CN108368389B (zh) 2021-12-28
CN108368389A (zh) 2018-08-03
JP6526240B2 (ja)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0333B2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21193719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WO2021193724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102498689B1 (ko) 점착 시트, 표시 장치 및 적층체
KR20200115066A (ko) 착색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20220153086A (ko) 점착제 및 그 이용
KR20160093552A (ko)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KR20220153084A (ko) 점착 시트 및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점착 시트
KR20220153646A (ko) 발광 장치
JP2022008015A (ja) 発光装置
WO2021193720A1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
WO2021193723A1 (ja) 層間シート、剥離ライナー付き層間シートおよび光学積層体
JP6483284B2 (ja) 粘着テープ
KR102162899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KR20200067250A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KR101707581B1 (ko) 무 기재 흑색 양면 차광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2688B1 (ko)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JP7336348B2 (ja) 表示体および粘着シート
KR20230151986A (ko)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102547339B1 (ko) 비산방지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및 전자장치
JP7256856B2 (ja) 着色粘着シート
US20240158675A1 (en)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ucture
WO2020184155A1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KR20210034482A (ko) 착색 점착 시트, 및 표시체
TW202409232A (zh) 黏著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