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688B1 -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 Google Patents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688B1
KR102372688B1 KR1020200097710A KR20200097710A KR102372688B1 KR 102372688 B1 KR102372688 B1 KR 102372688B1 KR 1020200097710 A KR1020200097710 A KR 1020200097710A KR 20200097710 A KR20200097710 A KR 20200097710A KR 102372688 B1 KR102372688 B1 KR 102372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weight
acrylic
acrylic resi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950A (ko
Inventor
타케시 나가쿠라
마사토 갸쿠노
모에미 히로카미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950A/ko
Priority to KR102022002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6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4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anhydride, COOH or COOM groups, with M being metal or onium-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6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얇은 막두께의 수지 필름을 얻기 위한 용액 캐스트법에 사용할 수 있고, 내절성, 내파단성(인장 파단 강도), 파단 신도, 내용제성(겔분율)이 우수한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중량부 이상과,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와,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20.0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이다.

Description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METH)ACRYLIC-BASED RESIN COMPOSITION AND (METH)ACRYLIC-BASED RESIN FILM}
본 발명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등의 형성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고투명성, 가열 가공성, 내후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점에서, 전자 기기, 가전 제품, 자동차 내외장 부품, 건축 부재 등의 각종 기기 부품의 표면 피복에 사용하는 수지 필름으로서,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고투명성, 내후성 등이 우수한 점에서,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광학용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종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PMMA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생산성이 높은 점에서, PMMA 수지를 용융 압출법에 의해 제막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아크릴 수지 필름과 성형 수지를 일체화하는 부재에 바람직하게 사용 가능한 아크릴 수지 필름으로서, 특히 표면의 보호층 형성에 바람직한 도장 대체 아크릴 수지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아크릴 수지 필름은 아크릴 수지 필름에 첨가하는 자외선 흡수제와 윤활제를 특정 종류로 조합하고, 추가로 이들 성분을 특정 함유량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서는, 표면의 보호층 형성에 사용하는 도장 대체 아크릴 수지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아크릴계 수지의 장점인 독특하게 아름다운 색조, 및 투명성이 저해되는 원인이 되는 고무 함유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함유시키지 않고, 아크릴계 수지의 본질적인 결점인 내충격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법에 의해 필름화할 때 용융 압출 온도를 높게 하면,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열분해함으로써 발생하는 분해 가스, 또는 블리드 아웃물에 의해, 캐스트 롤 등의 냉각 롤이 오염되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86960호 국제공개 제2016/139927호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아크릴 수지 필름은,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혼합물을 탈기식 이축 압출기에서 혼련하여,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은 후, 용융 압출기에서 용융한 수지 조성물을 T 다이에 압출하여 행하는 용융 압출법에 의해, 아크릴 수지 필름을 제막한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실시예 1∼6에서는, 막두께가 50∼125㎛인 아크릴 수지 필름이 얻어지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아크릴 수지 필름은 용융 압출법에 의해 제막한 수지 필름인 점에서, 막두께가 40㎛ 이하인 얇은 수지 필름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3∼4단계의 그래프트 중합 반응을 행하여 서서히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완성시키기 때문에,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얻는 공정에 장시간을 요한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용융 압출법에 의해 아크릴 수지 필름을 제조한 실시예 6∼8에서는, 연신하지 않고 얻어진 아크릴 수지 필름의 막두께가 80㎛이며, 연신하지 않고 막두께가 40㎛ 이하인 얇은 수지 필름이 얻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가운데, 용융 압출법에 비해, 보다 간편한 수지 필름의 제막 방법이며, 박막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용액 캐스트법에 의해 PMMA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용액 캐스트법에 의해 PMMA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을 예의 검토했다. 그 결과, 특정 PMMA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용액 캐스트법에 의해 제막한 경우에도, 용융 압출법에 의해 제막한 것과 동등 이상의 우수한 물성을 갖는 PMMA 수지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킬 수 있었다.
종래의 용융 압출법에 의해,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막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40㎛ 이하의 두께로 박막화하는 것이 곤란했다. 한편, 용액 캐스트법에 의해,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막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40㎛ 이하의 두께로 박막화하는 것이 가능하나,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물성으로서 내용제성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용액 캐스트법에 있어서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에 함유하는 미가교된 PMMA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100만 이상의 큰 값으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당해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용액이 고점도여서, 제막 공정에서의 작업성이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얇은 막두께의 수지 필름을 얻기 위한 용액 캐스트법에 사용할 수 있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서, 제막한 수지 필름 등의 성형품이 내절성, 내파단성(인장 파단 강도), 파단 신도, 내용제성(겔분율)이 우수한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가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상기 MMA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특정 비율로 공중합시킨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로 함으로써, 이러한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용액 캐스트법에 의해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내절성, 내파단성(인장 파단 강도), 파단 신도, 내용제성(겔분율)이 우수한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킬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은 특정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시킨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얻는 것을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중량부 이상과,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와, 상기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20.0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가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99중량부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1∼20중량부의 합계 100중량부와, 상기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 (B) 수산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및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모노머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모노머의 합계 1.0∼20.0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가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층인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층인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편광자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얇은 막두께의 수지 필름을 얻기 위한 용액 캐스트법에 사용할 수 있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서, 제막한 수지 필름 등의 성형품이 내절성, 내파단성(인장 파단 강도), 파단 신도, 내용제성(겔분율)이 우수한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내용제성 시험 방법으로서,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시험편을 용제의 액 중에 소정 시간에 걸쳐 침지한 후, 상기 용제에 용출하지 않고 불용분(잔사)으로서 남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비율(이른바, 겔분율)을 측정하여, 내용제성을 시험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용융 압출법에 의해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막하는 경우에는, 수지 필름을 제막한 후, 1축 또는 2축 연신 가공을 실시하지 않는 한 막두께를 40㎛ 이하로 할 수 없었다. 한편, 본 발명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용액 캐스트법만을 이용하여, 막두께가 40㎛ 이하인 박막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이 보다 간편해짐과 함께, 제조 장치의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중량부 이상과,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와, 상기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20.0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특히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를 주성분으로 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는 비고리형(직쇄, 분지형), 고리형(단환, 다환) 중 어느 하나여도 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공중합시킨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주성분이란, 1종류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50중량%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는 화합물, 또는 2종류 이상의 합계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50중량%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는 화합물군을 의미한다. 즉,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100중량부 중, 주성분이 50중량부 이상인 비율을 차지하는 경우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모노머에 대해, 단순히 Tg라고 하는 경우에는, 호모폴리머의 Tg를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s-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펜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헥실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적어도 한쪽을 의미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6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s-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 중,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80중량부 이상과,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2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80∼99중량부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2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가 상기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20.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12.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9.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는, (B) 수산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및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모노머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는 수산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만이어도 되고,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만이어도 되며, 수산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및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양쪽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는,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류나, N-히드록시(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아미드류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는,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말레산, 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상기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B) 수산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및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모노머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모노머의 합계 1.0∼20.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 적절히 공지의 중합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초과 95만 이하인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초과 90만 이하인 공중합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하이면,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해도 우수한 물성을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등의 성형품이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보다 크면,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용액이 고점도가 되어, 제막 공정의 작업성이 양호하지 않다.
상기 가교제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가 갖는 관능기와, 가교 반응할 수 있는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상온(일반적으로는 5∼35℃)에서는 가교 반응이 일어나기 어렵고,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가교 반응이 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가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가교제를 0.01∼1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가교제(에폭시계 가교제)로는, 2관능 이상의 에폭시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폴리올류(디올류, 글리콜류, 비스페놀류를 포함한다)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카르복실산의 디글리시딜에스테르, 디글리시딜 치환 아민류, 테트라글리시딜 치환 디아민류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 중, 폴리올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카르복실산의 디글리시딜에스테르로는 예를 들면, 아디프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글리시딜 치환 아민류로는 예를 들면, N,N-디글리시딜아닐린, N,N-디글리시딜톨루이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테트라글리시딜 치환 디아민류로는,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지리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가교제(아지리딘계 가교제)로는, 2관능 이상의 아지리딘 화합물,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아지리딘계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아지리딘계 관능기로는, 1-아지리디닐기[-N(CH2)2], 2-아지리디닐기, 메틸기 등의 치환기를 갖는 치환 아지리디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아지리딘계 가교제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다음의 (1)∼(2)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아지리딘의 부가 생성물, 다음의 (3)∼(4)와 같은, 폴리올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아지리딘의 부가 생성물, 다음의 (5)∼(7)과 같은. 그 외의 폴리아크리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1) 4,4'-비스[(1-아지리디닐)카르보닐아미노]디페닐메탄
(CH2)2NCONH-C6H4CH2C6H4-NHCON(CH2)2
(2) 1,6-비스[(1-아지리디닐)카르보닐아미노]헥산
(CH2)2NCONH-(CH2)6-NHCON(CH2)2
(3)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2-(1-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CH3CH2C[CH2O-COCH2CH2N(CH2)2]3
(4)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스[2-(1-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HOCH2C[CH2O-COCH2CH2N(CH2)2]3
(5) 트리스(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O=P[N(CH2)2]3
(6) 트리스(1-아지리디닐)포스핀설피드
S=P[N(CH2)2]3
(7) 2,4,6-트리스(1-아지리디닐)-1,3,5-트리아진
(C3N3)[N(CH2)2]3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가교제(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등의 2관능 이소시아네이트(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나, 이들의 뷰렛 변성체,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어덕트체 등의 3관능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여기서, 3관능 이상의 어덕트체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등의 3가 이상의 폴리올의 어덕트체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첨가제에 한정하지 않고, 계면 활성제, 경화 촉진제, 경화 지연제, 가소제, 충전제, 윤활제, 가공 보조제, 노화 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가 적절히 배합되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소정 형상으로 성형 또는 도포한 후,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와 상기 가교제를 반응시킴으로써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필름, 판(시트), 봉(로드), 섬유(파이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의 성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캐스트 성형, 적층 성형, 압출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용액 코팅에 의해 당해 기재 상에 수지막을 형성할 수 있다. 당해 기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수지 필름, 이형 필름, 종이 기재, 금속박,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상기 가교제가 가열에 의해 가교 반응을 개시하는 열 가교제인 경우, 상기 성형품의 성형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가열 용융시켜 유동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용액으로서 유동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용액을 얻기 위한 용제로는,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관능기 및 상기 가교제의 반응성을 저해하지 않고,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용해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제로는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계 용제, 에탄올이나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디에틸에테르나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제, 아세톤이나 메틸에틸케톤(MEK) 등의 케톤계 용제, 초산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용액 중합법에 의해 제조한 경우, 중합에 사용한 용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용제의 적어도 일부가 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예를 들면, 용액 캐스트법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용액을 소정의 기재 상에 도포하여 박막을 형성한 후, 가열 건조시켜 상기 박막으로부터 용제를 휘발시킴과 함께 가교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기재로는, 고정된 평면에 한정하지 않고, 수지 필름의 롤체로부터 되감긴 수지 필름, 가동 벨트, 드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의 표면 성상은 평활면이 바람직하나, 기재에 소정의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표면에 요철을 전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용액 캐스트법에 의해 얻어진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길이 방향, 폭 방향 등의 소정 방향으로 연신해도 되고, 무연신인 상태로 해도 된다. 광학용 필름의 용도에 있어서, 이방성을 저감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무연신 필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조작을 추가하여, 이축 연신 필름으로 가공해도 된다. 한편, 필름의 이방성으로는, 「파단 신도」 등의 기계적 특성의 이방성에 한정하지 않고, 「복굴절률」 등의 광학 이방성도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기계적 특성은 용도에도 의존하나, 점착 시트, 광학용 필름, 표면 보호 필름, 공정 필름 등에 사용하는 경우나, 길이 방향의 반송, 롤로부터 풀어내기, 롤에 권취하기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내절성 및 내파단성(인장 파단 강도)이 높은 것에 추가로, 피착체 등에 대한 추종성이 얻어지도록, 적절한 파단 신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층의 겔분율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3∼1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지층의 겔분율이 높음으로써,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필요한 물성인 내용제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광학용 필름의 경우에는 10∼200㎛ 정도의 두께가 바람직하고, 두께가 10∼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두께가 10∼4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두께를 40㎛ 이하의 박막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다른 재료를 적층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코로나 방전에 의한 표면 개질, 앵커 코트제 도포 등의 이(易)접착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광학용 필름의 기재에 사용해도 된다. 광학용 필름으로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방현(안티 글레어) 필름, 자외선 흡수 필름, 적외선 흡수 필름,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광학용 부재가 적용되는 기기로는, 액정 패널, 유기 EL 패널,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광학용 필름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색 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는, 하드 코트층, 대전 방지층, 반사 방지층, 방오층, 방현층, 저굴절률층, 점착층, 이형층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층해도 된다. 저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불소 화합물로는, 불소화 올레핀류, 불소화 비닐에테르류, 불소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중합물인 함불소 공중합체, 불소화 알킬기 함유 실란 화합물 등의 축합물을 들 수 있다. 함불소 공중합체는 불소화된 모노머에 추가로,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불소화되어 있지 않은 모노머가 공중합되어도 된다. 저굴절률층은 고굴절률층 등과 조합하여 반사 방지층을 구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 시트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해서 이루어지는 수지층인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층으로는, (메타)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으로 행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리버스 코팅, 콤마 코팅, 그라비아 코팅, 슬롯 다이 코팅, 메이어 바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등의 공지의 도공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시트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기재로 하여 이루어지는 광학용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점착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 형성 광학용 필름으로 해도 된다. 점착층 형성 광학용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터치 패널, 전자 종이, 유기 EL 등의 각종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광학용 필름의 첩합에 사용할 수 있다. 광학용 필름의 첩합에 사용되는 점착층의 점착면은 이형 필름을 사용하여 보호해도 된다. 이형 필름에는, 점착층의 점착면과 합쳐지는 측의 면에 실리콘계, 불소계 이형제 등에 의해 이형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상기 점착 시트는 유리, 광학용 필름, 광학용 부재 등의 피착체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점착층을 개재하여 첩합되는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해도 된다.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에 첩합한 상태에서 피착체의 광학 특성, 이물질의 유무 등을 광학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또한, 피착체를 제품에 탑재하는 단계에서는,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로부터 박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편광 필름은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층인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편광자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광자의 보호층의 표면에 실시되어 있는 표면 처리가, 미처리, AG 처리, LR 처리, AR 처리, AG-LR 처리, AG-AR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서, AG는 안티 글레어(Anti Glare), LR은 로우 리플렉션(Low Reflection), AR은 안티 리플렉션(Anti Reflection)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장치에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반응 장치 내의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했다. 그 후, 반응 장치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95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5중량부, 8-히드록시옥틸아크릴레이트 3.0중량부와 함께 용제(초산에틸)를 첨가했다. 그 후,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중량부를 적하시키고, 65℃로 가열하여 소정 시간 반응시켜, 실시예 1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이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측정한 결과, 20만이었다. 실시예 1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에 대해, 코로네이트 HX(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3.0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1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5 및 비교예 1∼2]
실시예 1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각각, 표 1의 기재와 같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5 및 비교예 1∼2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5 및 비교예 1∼2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비교예 3]
용융 압출법에 의해 제조된 시판의 PMMA 필름(두께: 80㎛)을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MEK)에 용해하고, PMMA 필름에 포함되는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측정한 결과, 30만이었다.
Figure 112020082041292-pat00001
또한, 표 1에 사용한 (A)∼(C)의 각 성분의 약기호 화합물명을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C)군의 가교제에 있어서, 코로네이트(등록상표) HX 및 동 HL은 토소 주식회사의 상품명이고, 타케네이트(등록상표) D-140N은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의 상품명이며, TETRAD(등록상표)-X는 미츠비시 가스 화학 주식회사의 상품명이다.
Figure 112020082041292-pat0000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제작>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용액 캐스트법에 따라 수지 필름상으로 제막하고, 용제의 건조 및 가교제의 경화에 적합한 온도 조건으로 하여 가열 건조 및 가교시켜,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각 필름의 두께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3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으로는, 상기와 같이, 용융 압출법에 의해 제조된 시판의 PMMA 필름(두께: 80㎛)을 사용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시험 방법 및 평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이하의 시험 방법에 따라 평가했다.
<내절성>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으로부터 시험편을 제작한 후, JIS P8115(종이 및 판지-내절 강도 시험 방법-MIT 시험기법)에 준거하고, 내절도 시험 장치(제조사: 테스터 산업 주식회사, 형식: MIT 내절도 시험 장치 BE-201)를 이용하여 내절성 시험을 행하고, 시험편이 파단될 때까지의 왕복 절곡 횟수(내절 횟수)를 측정했다.
<내용제성(겔분율)>
내용제성 시험 방법으로서, 하기와 같이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시험편을 용제의 액 중에 소정 시간에 걸쳐 침지한 후, 상기 용제에 용출하지 않고 불용분(잔사)으로서 남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비율(이른바, 겔분율)을 측정하여, 내용제성을 시험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으로부터 시험편을 제작하고, 시험편의 질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메틸에틸케톤(MEK) 중에 24hr 침지한 후, 200메시의 철망으로 여과했다. 그 후, 여과물을 온도 100℃에서 1hr 건조하여 얻어지는 잔사의 질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하의 식으로부터 내용제성 시험 방법으로서, 용제에 대한 침지에 의한 겔분율(%)을 측정했다.
겔분율(%)=불용분(잔사)질량(g)/필름(시험편)질량(g)×100
<내파단성(인장 파단 강도), 파단 신장률>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으로부터 시험편을 제작하고, 인장 시험 장치(제조사: 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형식: AGS-X)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시험편이 파단될 때까지의 내파단성(인장 파단 강도(MPa)) 및 파단 신장률(%)의 값을 구했다.
<위상차>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면내 위상차(Re) 값(㎚)을, 위상차 측정 장치(제조사: 오지 계측 기기 주식회사, 형식: KOBRA-HBPR/SPC)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위상차의 측정 파장은 예를 들면, 450∼550㎚ 등의 가시 영역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Re값은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x축(지상축), 이와 직교하는 방향을 y축(진상축)으로 할 때, x축 방향의 굴절률 nx와, y축 방향의 굴절률 ny와, 필름의 막두께 d로부터, 다음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면내 위상차 Re=(nx-ny)×d
여기서, 필름의 막두께 d는 면내 위상차 Re와 동일하게 ㎚ 단위인 점에서, 필름 두께(㎛)의 1000배이다.
표 3에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82041292-pat00003
실시예 1∼5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두께가 40㎛ 이하인 박막으로 제막된 것이며, 내절성이 50회 이상, 내파단성(인장 파단 강도)이 50MPa 이상, 파단 신장률이 9∼12%, 내용제성(겔분율)이 93% 이상이며, 어느 특성도 우수한 것이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5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서는,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이 실증되었다.
비교예 1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메타)아크릴계 폴리머가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 MMA만을 공중합한 것이며, MMA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하지 않기 때문인지, 내절성이 매우 낮고, 파단 신장률이 낮았다.
비교예 2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이 가교제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인지, 내절성 및 내용제성(겔분율)이 매우 낮았다.
비교예 3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용융 압출법에 의해 제조된 수지 필름이나, 내절성 및 내용제성(겔분율)이 실시예 1∼5에 의한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 비교예 3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두께가 20㎛라고 가정하면, Re의 값은 두께의 비율(20/80)에 따라, 1/4의 값이 되나, 그럼에도 Re값이 큰 점에서, 복굴절률(nx-ny)의 값 자체가 큰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비교예 1∼3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서는, 본 발명의 과제인 내절성, 내파단성(인장 파단 강도), 파단 신장률, 내용제성(겔분율)이 우수한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종래의 용융 압출법에 의해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비교하면, 특히, 박막화, 내절성, 내용제성(겔분율)의 점에 있어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 점에서, 디스플레이 등 각종 광학 기기의 박형화 및 내구성 향상에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의 이용 가치가 크다.

Claims (6)

  1.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층인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중량부 이상과,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와, 상기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20.0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가,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99중량부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1∼20중량부의 합계 100중량부와, 상기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 (B) 수산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및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모노머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모노머의 합계 1.0∼20.0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4.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층인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편광자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으로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중량부 이상과,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와, 상기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20.0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가,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99중량부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이고,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1∼20중량부의 합계 100중량부와, 상기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 (B) 수산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및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모노머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모노머의 합계 1.0∼20.0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KR1020200097710A 2019-08-13 2020-08-05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KR102372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963A KR102460090B1 (ko) 2019-08-13 2022-03-04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48412 2019-08-13
JP2019148412A JP7360842B2 (ja) 2019-08-13 2019-08-13 偏光フィル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963A Division KR102460090B1 (ko) 2019-08-13 2022-03-04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950A KR20210019950A (ko) 2021-02-23
KR102372688B1 true KR102372688B1 (ko) 2022-03-08

Family

ID=7460302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710A KR102372688B1 (ko) 2019-08-13 2020-08-05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KR1020220027963A KR102460090B1 (ko) 2019-08-13 2022-03-04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KR1020220137867A KR102594262B1 (ko) 2019-08-13 2022-10-25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KR1020230141660A KR20230149802A (ko) 2019-08-13 2023-10-23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963A KR102460090B1 (ko) 2019-08-13 2022-03-04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KR1020220137867A KR102594262B1 (ko) 2019-08-13 2022-10-25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KR1020230141660A KR20230149802A (ko) 2019-08-13 2023-10-23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360842B2 (ko)
KR (4) KR102372688B1 (ko)
CN (1) CN112391022B (ko)
TW (1) TW2021129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44454A (ja) 2022-09-21 2024-04-02 藤森工業株式会社 光学用両面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4055B2 (ja) * 2005-04-14 2011-08-3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転写シート、これを用いた光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光情報記録媒体
JP2009034846A (ja) 2007-07-31 2009-02-19 Chisso Corp 転写フィルム
JP2009286960A (ja) 2008-05-30 2009-12-10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の組成物なら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JP5233614B2 (ja) * 2008-11-27 2013-07-10 日立化成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転写フィルム
JP2011255534A (ja) * 2010-06-07 2011-12-22 Dic Corp 転写シート
JP6104588B2 (ja) 2012-12-11 2017-03-29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立体加飾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342791B2 (ja) 2013-12-27 2018-06-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CN107250259B (zh) 2015-03-02 2019-07-12 株式会社钟化 丙烯酸系树脂组合物、其成型体和膜
JP6580540B2 (ja) * 2016-09-28 2019-09-25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78316A (ja) 2023-12-14
JP2021031497A (ja) 2021-03-01
CN112391022B (zh) 2023-09-26
KR20230149802A (ko) 2023-10-27
JP7360842B2 (ja) 2023-10-13
KR102460090B1 (ko) 2022-10-27
KR102594262B1 (ko) 2023-10-25
KR20210019950A (ko) 2021-02-23
CN112391022A (zh) 2021-02-23
TW202112951A (zh) 2021-04-01
KR20220147059A (ko) 2022-11-02
KR20220034089A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70527A1 (ja) フレキシブル偏光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0009027A (ja) 粘着型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WO2017170522A1 (ja) フレキシブル偏光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0160462A (ja) フレキシブル偏光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0160460A (ja) フレキシブル偏光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30149802A (ko)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JP7178776B2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1186946A1 (ja) 位相差層および粘着剤層付偏光板、ならびに、該位相差層および粘着剤層付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N116457207A (zh) 粘合剂组合物、粘合片、光学层叠体、图像显示装置及粘合片的制造方法
KR102645990B1 (ko)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KR20220147506A (ko)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JP2019053210A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7355582A (zh) 粘合片、光学层叠体、图像显示装置及粘合片的制造方法
TW202309230A (zh) 光學黏著劑層
KR20150115431A (ko) 이온성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KR20230031220A (ko) 위상차층 및 점착제층 구비 편광판, 그리고 해당 위상차층 및 점착제층 구비 편광판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CN114341682A (zh) 带粘合剂层的偏振膜层叠体、及使用该带粘合剂层的偏振膜层叠体的光学显示面板
KR20180001209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083213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50116712A (ko) 이온성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