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887B1 - 디스크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887B1
KR102148887B1 KR1020180137481A KR20180137481A KR102148887B1 KR 102148887 B1 KR102148887 B1 KR 102148887B1 KR 1020180137481 A KR1020180137481 A KR 1020180137481A KR 20180137481 A KR20180137481 A KR 20180137481A KR 102148887 B1 KR102148887 B1 KR 102148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rotation axis
frame
pad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418A (ko
Inventor
도모히로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068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B60T1/065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employing dis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16D55/226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the axial movement being guided by one or more pins engaging bores in the brake support or the brak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16D55/226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the axial movement being guided by one or more pins engaging bores in the brake support or the brake housing
    • F16D55/227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the axial movement being guided by one or more pins engaging bores in the brake support or the brake housing by two or more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8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separate actuating member for each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25Rust- or corrosion-preve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56Brak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04Parts or details of disc brakes
    • F16D2055/0008Brak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04Parts or details of disc brakes
    • F16D2055/0016Brake calipers
    • F16D2055/0025Brake calipers comprising a flat fram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04Parts or details of disc brakes
    • F16D2055/0041Resilient elements interposed directly between the actuating member and the brake support, e.g. anti-rattle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04Parts or details of disc brakes
    • F16D2055/007Pins holding the bra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16D2121/04Fluid pressure acting on a piston-type actuator, e.g. for liq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06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40Screw-and-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2Release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00/00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 F16D2200/0004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metallic
    • F16D2200/0008Ferro
    • F16D2200/0021St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00/00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 F16D2200/0004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metallic
    • F16D2200/0026Non-ferro
    • F16D2200/003Light metals, e.g. alumin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00/00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 F16D2200/0034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non-metallic
    • F16D2200/0052Carb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06Noise or vibration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68Brake cali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2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transmitting brake reaction force, e.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torque support plate and p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7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 F16D65/0978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acting on one p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디스크 브레이크는: 이너 패드(4) 및 아우터 패드(6);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상기 로터에 누르도록 구성된 가압 장치(8) ― 상기 가압 장치가,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한 제 1 가압 부재(24) 및 제 2 가압 부재(26)와,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강체인 프레임(16)으로서,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16)을 포함함 ―; 및, 비회전체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하는 하우징(10) ―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패드 핀(34, 35)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핀이,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보지됨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
본 발명은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실용신안 실개소55-175641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6-102573호, 일본 특허 제6001647호에는, (a)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와, (b) 로터의 양측에 위치하는 이너 패드 및 아우터 패드와, (c) 이너 패드 및 아우터 패드를 로터에 누르는 가압 장치와, (d) 가압 장치를 보지(保持)함과 함께 이너 패드 및 아우터 패드를 보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 실개소55-175641호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는 부동형(浮動型)의 것이고, 가압 장치가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이 하우징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보지된다. 또, 이너 패드 및 아우터 패드가, 하우징에 패드 핀을 개재하여 보지되지만, 패드 핀은 일단(一端)부에 있어서 하우징에 보지되고, 타단(他端)부는 프리 상태에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6-102573호, 일본 특허 제6001647호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는 대향형의 것이고, 가압 장치가 하우징에 마련된다. 또, 하우징의 로터의 양측에는, 각각, 실린더 보어가 형성되고, 이너 피스톤, 아우터 피스톤이 각각 액밀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嵌合)된다. 이너 피스톤에 의해서, 이너 패드가 로터에 눌러지고, 아우터 피스톤에 의해 아우터 패드가 로터에 눌러진다. 또한, 일본 특허 제6001647호에 기재된 하우징은, 적어도 일부가 탄소 섬유 강화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그에 의해, 디스크 브레이크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가압 장치가 프레임을 구비한 부동형의 디스크 브레이크의 개량이다. 예를 들면, 이너 패드 및 아우터 패드를 하우징에 안정적으로 보지 가능하게 하거나, 부동형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양호하게 작용 가능하게 하거나 하는 것 등이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이너 패드 및 아우터 패드;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상기 로터에 누르도록 구성된 가압 장치 ―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상기 로터를 향하여 이동 가능한 제 1 가압 부재 및 상기 로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가압 부재와,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강체(剛體)인 프레임으로서, 상기 아우터 패드에 대향하는 제 1 변부와, 상기 제 1 변부로부터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 이간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와 계합(係合)하는 제 2 변부를 갖고, 또한,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을 포함함 ―; 및, 비회전체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함과 함께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보지하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이,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패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핀이,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의 양단부(兩端部)에 있어서 보지됨 ―을 포함한다.
제 1 태양에 의하면, 이너 패드 및 아우터 패드가 하우징에 안정적으로 보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하는 주 하우징부와, 상기 주 하우징부로부터 상기 로터를 넘어 상기 주 하우징부의 로터를 사이에 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브리지부를 포함해도 되고, 상기 패드 핀의 일단부가 상기 주 하우징부에 보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브리지부에 보지되어도 된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하는 주 하우징부와, 상기 주 하우징부에 마련된 복수의 피계합부를 포함해도 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에 계합 가능한 복수의 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계합부가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에 계합시켜짐으로써, 상기 주 하우징부에 보지되어도 되고, 상기 복수의 계합부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 중 적어도 1개와의 사이에, 각각, 탄성 부재인 제 1 탄성 부재가 마련되어도 된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부식 전위가, 상기 프레임의 부식 전위와 상기 하우징의 부식 전위와의 사이의 높이여도 된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하는 주 하우징부와, 상기 주 하우징부의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부분에, 각각,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마련된 복수 개씩의 피계합부를 포함해도 되고, 상기 프레임이, 서로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마련되고, 각각, 상기 제 1 변부와 상기 제 2 변부를 연결하는 제 3 변부 및 제 4 변부와, 상기 제 3 변부와 상기 제 4 변부의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씩의 상기 피계합부에 계합 가능한 복수 개씩의 계합부를 포함해도 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복수 개씩의 계합부의 각각이 상기 복수 개씩의 피계합부의 각각에 계합시켜짐으로써, 상기 주 하우징부에 보지되어도 되고, 상기 프레임의 무게 중심이, 상기 프레임의 측면시(側面視)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상기 피계합부 중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것의 사이에 위치해도 된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 2 변부의 상기 제 2 가압 부재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가져도 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가,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가져도 되고,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 사이에 탄성 부재인 제 2 탄성 부재가 마련되어도 되고, 상기 제 2 변부가 상기 제 2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가압 부재에 계합시켜져도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로터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곡면으로 규정되는 형상을 이루어도 된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서로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마련되고, 상기 제 1 변부와 상기 제 2 변부를 각각 접속하고, 또한, 상기 이너 패드와 상기 아우터 패드를 넘지 않고, 상기 로터를 넘는 제 3 변부 및 제 4 변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 2 가압 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인 중심선과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직선인 기준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을 중심 기준면이라고 하면, 상기 제 3 변부와 상기 제 4 변부의 각각의,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복수의 단면(斷面)의 각각의 도심(圖心; centroid)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해도 된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 2 가압 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인 중심선과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직선인 기준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을 중심 기준면이라고 하면, 상기 제 1 변부 및 상기 제 2 변부의, 각각의, 복수의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의 단면의 각각의 도심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해도 된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상기 패드 핀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패드 핀의 각각이,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보지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이너 패드 및 아우터 패드;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상기 로터에 누르도록 구성된 가압 장치; 비회전체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함과 함께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보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 장치가,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상기 로터를 향하여 이동 가능한 제 1 가압 부재와,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상기 로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가압 부재와,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강체이며, 상기 아우터 패드에 대향하는 제 1 변부와, 상기 제 1 변부로부터 상기 차륜의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 이간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에 계합하는 제 2 변부와, 서로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거리를 두어, 상기 제 1 변부 및 상기 제 2 변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3 변부 및 제 4 변부를 갖고, 또한,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 2 가압 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인 중심선과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직선인 기준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을 중심 기준면이라고 하면, 상기 제 3 변부 및 상기 제 4 변부의, 각각의, 복수의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의 각각의 도심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한다.
제 2 태양에 의하면, 디스크 브레이크의 작용 상태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프레임의 변형 등에 기인하는 가압력의 저하를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일본 공개실용신안 실개소55-175641호에는, 프레임의 제 3 변부 및 제 4 변부의,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복수의 단면의 각각의 도심이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한다는 취지의 기재는 없다.
제 2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부 및 상기 제 2 변부의 각각의,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면의 각각의 도심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고,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가압 장치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성 요소인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성 요소인 다른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성 요소인 또 다른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작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배면도이다(도 15 및 도 19에 있어서의 XVI-XVI 단면을 포함함).
도 17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단면도이다(도 15 및 도 19의 XVII-XVII 단면을 포함함).
도 18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의 배면도(도 21의 XX-XX 단면도를 포함함)이다.
도 21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22a는 도 21의 XXIIA-XXIIA 단면도이다.
도 22b는 도 21의 XXIIB-XXIIB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의 모식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차량의 차륜에 마련된 디스크 브레이크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A. 개요
본 실시예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는, 부동형의 것이며, 액압에 의해 작동시켜지는 액압의 디스크 브레이크이다. 부동형의 액압의 디스크 브레이크(2)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I) 차륜과 함께 회전시켜지는 로터(3)를 사이에 두고, 로터(3)의 양측에 위치하는 이너 패드(4) 및 아우터 패드(6)와, (II) 가압 장치(8)와, (III) 가압 장치(8)를 보지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가압 장치(8)는 휠 실린더(14)와 프레임(16)을 포함한다.
휠 실린더(14)는, 하우징(10)의 주 하우징부(28)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21)에 액밀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된 제 1 가압 부재로서의 제 1 피스톤(24) 및 제 2 가압 부재로서의 제 2 피스톤(26)을 포함하고, 실린더 보어(21)의 제 1 피스톤(24), 제 2 피스톤(26)의 사이가 액압실(30)이 된다. 이와 같이, 휠 실린더(14)는, 주 하우징부(28)의 내부에 마련되지만, 주 하우징부(28)의 실린더 보어(21)가 형성된 부분이 휠 실린더(14)의 본체이며, 휠 실린더(14)가 주 하우징부(28)에 보지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 프레임(16)은,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강체이며, 주 하우징부(28)에, 로터(3)의 회전축선 L과 평행인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보지된다.
또한, 로터(3)의 회전축선 L은, 가압 장치(8)의 축선 M과 평행하기 때문에, 이하에서, 로터(3)의 회전축선 L과 평행인 방향을, 가압 장치(8)의 축선 방향이라고 칭하거나, 간단하게, 축선 방향이라고 칭하거나, 축선 M과 평행인 방향이라고 칭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 도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 M과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 주 하우징부(28)가 위치하는 측이 차량의 내측이며, 아우터 패드(6)가 위치하는 측이 차량의 외측이다.
디스크 브레이크(2)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 실린더(14)의 액압실(30)에 액압이 공급된 경우에 작동시켜진다. 제 1 피스톤(24)이 로터(3)를 향하여 이동시켜지고, 제 2 피스톤(26)이 로터(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축선 M과 평행하게 이동시켜진다. 제 1 피스톤(24)은, 이너 패드(4)를 로터(3)에 누르고, 제 2 피스톤(26)은, 프레임(16)을 화살표 X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프레임(16)의 화살표 X의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아우터 패드(6)가 로터(3)에 눌러진다. 로터(3)는, 이너 패드(4), 아우터 패드(6)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눌러지는 것이며, 디스크 브레이크(2)가 작용 상태가 된다.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B. 이너 패드, 아우터 패드
이너 패드(4), 아우터 패드(6)는, 각각, 백 플레이트(4r, 6r)와 마찰 계합 부재(4f, 6f)를 포함한다.
C. 하우징
하우징(10)은, (a) 전술의 주 하우징부(28), (b) 주 하우징부(28)로부터 로터(3)를 넘어 연장되어 나온 브리지부(32), (c) 로터(3)의 둘레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마련된 한 쌍의 패드 핀(34, 35) 등을 포함한다. 주 하우징부(28)는, 대체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며, 실린더 보어(21)는, 주 하우징부(28)의 내부에 축선 M과 평행인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전술의 제 1 피스톤(24), 제 2 피스톤(26)은, 각각, 중공(中空)의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실린더 보어(21)에, 저부(底部)가 액압실(30)에 대향하는 자세로, 동심 형상으로, 또한, 축선 방향으로 직렬로 실린더 보어(21)에 감합된다.
주 하우징부(28)의 축선 방향의 로터(3)에 가까운 측의 단부(端部)의, 축선 M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에는, 한 쌍의 피장착부(36, 37)가 마련된다. 한 쌍의 피장착부(36, 37)는, 각각, 로터(3)의 반경 방향의 내방(內方)으로 연장되고, 비회전체인 너클 등의 서스펜션 부재(차체측 부재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에 장착된다.
또, 주 하우징부(28)의 축선 방향의 양단부에는, 프레임(16)과 계합 가능한 피계합부가 2쌍 마련된다. 도 3,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대의 피계합부 중 한 쌍의 피계합부인 제 1 계합 오목부(40, 41)는, 주 하우징부(28)의 로터(3)에 가까운 측의 단부의 축선 M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부에 마련되고, 다른 한 쌍의 피계합부인 제 2 계합 오목부(42, 43)는, 로터(3)로부터 멀어진 측의 단부의 축선 M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부에, 각각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계합 오목부(40, 41)는 한 쌍의 피장착부(36, 37)에 마련된다. 이들 제 1 계합 오목부(40, 41), 제 2 계합 오목부(42, 43)의 반경 방향의 중심점은, 각각, 대략 중심 기준면 S 상에 위치한다. 중심 기준면 S란, 로터(3)의 회전축선 L과 제 1 피스톤(24)의 중심과 제 2 피스톤(26)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축선 M과 동일함)에 직교하는 선인 기준선 P에 직교하고, 또한, 축선 M을 포함하는 면이다.
제 1 계합 오목부(40, 41), 제 2 계합 오목부(42, 43)는, 각각,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홈부를 갖는 것이며, 예를 들면, 도 4,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계합 오목부(41)는, 각각, 로터(3)의 반경 방향(이하, 간단히 반경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으로 떨어져 있는 한 쌍의 벽면(41a, 41b)과, 벽면(41a, 41b)의 사이에 위치하는 저면(41c)을 갖는다. 한 쌍의 벽면(41a, 41b)은, 각각, 중심 기준면 S와 평행하게 연장된 면이다. 또한, 제 1 계합 오목부(40), 제 2 계합 오목부(42, 4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 쌍의 벽면과 저면을 갖는다.
브리지부(3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시에 있어서, 대체로 コ자형을 이루고, 일단부가 한 쌍의 피장착부(36, 37)의 일방(一方)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한 쌍의 피장착부(36, 37)의 타방(他方)에 고정된다. 브리지부(32)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로드(50)와, 제 1 로드(50)와 평행하게, 제 1 로드(50)로부터 로터(3)의 둘레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연장된 제 2 로드(52)와, 제 1 로드(50)와 제 2 로드(52)를 로터(3)의 주 하우징부(28)와는 반대측에 있어서 연결하는 연결부(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54)는, 평면시에 있어서, 축선 M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지만, 연결부(54)의 형상은 상관없다. 연결부(54)의 로터(3)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에는, 각각,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 구멍(56, 58)이 형성된다. 또, 주 하우징부(28)의 관통 구멍(56, 58)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각각,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 구멍(60, 62)이 형성된다.
패드 핀(34, 35)은 각각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며, 일단부에 헤드(34h, 35h)가 마련된다. 패드 핀(34, 35)은, 관통 구멍(60, 62), 이너 패드(4), 아우터 패드(6)의 백 플레이트(4r, 6r)에 형성된 관통 구멍, 관통 구멍(56, 58)을, 이 순서대로 관통한다.
패드 핀(34, 35)은, 일단부에 있어서 주 하우징부(28)에 보지되고, 타단부에 있어서 브리지부(32)에 보지되는 것이며, 양단부에 있어서, 하우징(10)에 보지된다. 또, 패드 핀(34, 35)에 있어서, 헤드(34h, 35h)가 주 하우징부(28)의 관통 구멍(60, 62)의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고, 관통 구멍(60, 62)의 반대측(로터측)의 부분에 도시하지 않은 분할 핀이 장착됨으로써, 패드 핀(34, 35)의 빠짐 방지가 도모된다. 또한, 헤드(34h, 35h)가 로터(3)의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패드 핀(34, 35)의 차량의 외측으로의 탈락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패드 핀(34, 35)에 의해 이너 패드(4), 아우터 패드(6)가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지되는 것이지만, 패드 핀(34, 35)이 2개, 둘레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마련되기 때문에, 이너 패드(4), 아우터 패드(6)의 패드 핀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이 억제된다.
또한, 패드 핀(34, 35)의 중간부의, 마찰 계합 부재(4f, 6f)의 반경 방향의 외방(外方)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판 스프링인 패드 스프링(70)이 장착된다. 패드 스프링(70)은, 이너 패드(4), 아우터 패드(6)에, 각각,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함과 함께, 패드 핀(34, 35)에,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패드 스프링(70)에 의해, 이너 패드(4), 아우터 패드(6)의 덜거덕거림을 억제하고, 진동이나 이음(異音)의 발생이 억제된다.
D. 프레임
프레임(16)은, 도 3, 4,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체로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강체이며, (i) 축선 M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축선 방향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마련된 제 1 변부(74) 및 제 2 변부(75)와, (ii) 제 1 변부(74) 및 제 2 변부(75)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축선 M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마련된 제 3 변부(77) 및 제 4 변부(78)를 포함한다. 제 3 변부(77) 및 제 4 변부(78)는 각각 제 1 변부(74)와 제 2 변부(75)를 연결한다.
제 1 변부(74)와 제 2 변부(75)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로터(3)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 제 1 변부(74)는, 로터(3)보다 차량의 외측에 위치하고, 아우터 패드(6)에 대향한다. 제 2 변부(75)는, 로터(3)보다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 2 피스톤(26)에 계합시켜진다.
제 3 변부(77), 제 4 변부(78)는, 각각, 로터(3)의 차량의 내측과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지만, 도 5,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너 패드(4), 아우터 패드(6)의 반경 방향 외방을 넘지 않고, 로터(3)를 넘어 마련된다. 환언하면, 제 3 변부(77), 제 4 변부(78)는, 도 3, 4,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시켜지고, 로터(3)의 반경 방향 외방에 위치하는 부분(77a, 78a)의 간격이, 로터(3)보다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하, 내측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77b, 78b)의 간격보다 넓게 된다. 그리고, 간격이 넓게 된 부분(77a, 78a)의 사이에, 이너 패드(4), 아우터 패드(6)가 위치하는 것이다.
또, 제 3 변부(77), 제 4 변부(78)의 내측부(77b, 78b)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는, 각각, 축선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2쌍의 계합부가 마련된다. 2쌍의 계합부 중 한 쌍의 계합부인 제 1 계합 볼록부(80, 82)가 내측부(77b, 78b)의 로터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다른 한 쌍의 계합부인 제 2 계합 볼록부(81, 83)는, 로터(3)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의 단부에 위치한다. 이들 제 1 계합 볼록부(80, 82) 및 제 2 계합 볼록부(81, 83)는, 각각, 제 1 계합 오목부(40, 41) 및 제 2 계합 오목부(42, 43)에, 계합 가능한 형상을 이룬다. 또, 이들 제 1 계합 볼록부(80, 82), 제 2 계합 볼록부(81, 83)의 반경 방향의 중심점은 대략 중심 기준면 S 상에 위치한다.
제 1 계합 볼록부(80, 82)는, 각각, 서로 축선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마련된 2개씩의 볼록부를 포함한다. 즉, 제 1 계합 볼록부(80)는, 2개의 볼록부(80a, 80b)를 포함하고, 제 1 계합 볼록부(82)는 2개의 볼록부(82a, 82b)를 포함한다. 이들 제 1 계합 볼록부(80(80a,80b), 82(82a,82b)) 및 제 2 계합 볼록부(81, 83)는 각각, 축선 M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서로 반경 방향으로 사이를 두거나, 또한, 중심 기준면 S와 평행인 한 쌍의 측면, 한 쌍의 측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정점면 등을 갖는다. 예를 들면, 도 3, 6,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계합 볼록부(80)의 볼록부(80a)는, 측면(80ap, 80aq), 정점면(80at)을 갖는다. 제 1 계합 볼록부(82), 제 2 계합 볼록부(81, 8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한 쌍의 중심 기준면 S와 평행인 한 쌍의 측면, 정점면을 갖는다.
그리고, 프레임(16)의 제 1 계합 볼록부(80, 82)가 주 하우징부(28)의 제 1 계합 오목부(40, 41)에 계합시켜지고, 제 2 계합 볼록부(81, 83)가 제 2 계합 오목부(42, 43)에 계합시켜짐으로써, 프레임(16)이 주 하우징부(28)에 보지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들 제 1 계합 볼록부(80, 82) 및 제 2 계합 볼록부(81, 83)의 반경 방향의 중심점과, 제 1 계합 오목부(40, 41) 및 제 2 계합 오목부(42, 43)의 반경 방향의 중심점이 각각 중심 기준면 S 상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프레임(16)은, 주 하우징부(28)에, 중심 기준면 S와 동일한 면에 있어서 보지되게 된다. 환언하면, 주 하우징부(28)의 프레임(16)의 보지부의 반경 방향의 중심점(이하, 보지 점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중심 기준면 S 상에 위치하게 된다. 보지부란, 계합 볼록부와 계합 오목부가 계합시켜진 부분을 말한다.
또, 제 1 계합 볼록부(80, 82), 제 2 계합 볼록부(81, 83)는, 중심 기준면 S와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씩의 측면을 갖고, 제 1 계합 오목부(40, 41), 제 2 계합 오목부(42, 43)는, 중심 기준면 S와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씩의 벽면을 갖고, 이들 측면과 벽면이, 즉, 면끼리가 계합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프레임(16)은 주 하우징부(28)에, 축선 M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지된다. 또, 프레임(16)의 주 하우징부(28)에 대한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계합 볼록부(80, 82) 및 제 2 계합 볼록부(81, 83)와, 제 1 계합 오목부(40, 41) 및 제 2 계합 오목부(42, 43)와의 사이에, 각각 탄성 부재로서의 판 스프링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계합 볼록부(80)의 볼록부(80a), 제 1 계합 볼록부(82)의 볼록부(82a)에는, 각각, 반경 방향 스프링(86)이 장착되고, 볼록부(80b), 볼록부(82b)에는, 각각, 둘레 방향 스프링(88)이 장착되며, 제 2 계합 볼록부(81, 83)에는, 반경 방향 스프링(94)이 장착된다.
반경 방향 스프링(86)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판 부재(90)가 만곡시켜져 형성된 것이며, 대체로 コ자형으로 구부려진 감합부(86a)와, 감합부(86a)의 측면과 간극을 사이에 두고 겹쳐져 형성된 스프링부(86b)를 포함한다. 또, 스프링부(86b)의 단부의 일부가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구부려지고, 경사부(86c)가 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부(86a)에 볼록부(80a)가 반경 방향에 있어서 감합되고, 스프링부(86b)가, 볼록부(80a)의 측면(80aq)의 반경 방향 내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반경 방향 스프링(86)이 볼록부(80a)에 장착된다. 반경 방향 스프링(94)은, 반경 방향 스프링(86)과 마찬가지의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둘레 방향 스프링(88)도, 마찬가지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판 부재(92)가 만곡시켜져 형성된 것이지만, 감합부(88a)와, 감합부(88a)의 저면과 간극을 거리를 두고 겹쳐져 형성된 스프링부(88b)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부(88a)에 볼록부(80b)가 축선 방향에 있어서 감합되고, 스프링부(88b)가, 정점면(80bt)의 둘레 방향 내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둘레 방향 스프링(88)이 볼록부(80b)에 장착된다.
그리고, 도 3,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계합 볼록부(80)가 제 1 계합 오목부(40)에 계합시켜지지만, 반경 방향 스프링(86)의 스프링부(86b)가 볼록부(80a)의 측면(80aq)과 제 1 계합 오목부(40)의 벽면(40b)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둘레 방향 스프링(88)의 스프링부(88b)가 볼록부(80b)의 정점면(80bt)과 제 1 계합 오목부(40)의 저면(40c)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주 하우징부(28)와 프레임(16) 사이에 반경 방향 스프링(86, 94)과 둘레 방향 스프링(88)을 마련한 것에 의해, 프레임(16)의 주 하우징부(28)에 대한 반경 방향 및 둘레 방향의 상대 위치의 어긋남이 흡수된다. 그 결과, 프레임(16)의 위치 결정을 도모할 수 있고, 프레임(16)을 양호하게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반경 방향 스프링(86, 94), 둘레 방향 스프링(88)에 의해, 프레임(16)과 주 하우징부(28) 사이에 작용하는 반경 방향, 둘레 방향의 외력이 흡수되기 때문에, 프레임(16)의 진동이나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6)의 주 하우징부(28)에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경사부(86c)에 의해, 볼록부(80a)의 제 1 계합 오목부(40)에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6)이, 무게 중심 G가, 측면시에 있어서, 주 하우징부(28)의 프레임(16)의 보지부의 사이(범위 K), 환언하면, 제 1 계합 볼록부(80, 82)의 차량의 외측의 단면과 제 2 계합 볼록부(81, 83)의 차량의 내측의 단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 무게 중심 G는, 프레임(16)이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켜지더라도, 범위 K로부터 벗어나는 일은 없다. 또한, 이너 패드(4), 아우터 패드(6)가 마모된 경우에는, 디스크 브레이크(2)의 비작용 상태에 있어서의 프레임(16)의 주 하우징부(28)에 대한 상대위치는, 차량의 내방으로 이동시켜진다. 그 때문에, 이너 패드(4), 아우터 패드(6)가 마모되더라도, 프레임(16)의 무게 중심 G는, 범위 K 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제 2 변부(75)의, 제 2 피스톤(26)과 대향하는 면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100)가 마련된다. 볼록부(100)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곡면으로 규정된 형상, 즉, R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탄성 부재로서의 연결용 스프링(102)이 장착된다. 연결용 스프링(102)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스프링이며, 판 부재(104)가 구부려져 형성된다. 연결용 스프링(102)은, 대체로 コ자형으로 구부려진 감합부(102a)와, 감합부(102a)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 겹쳐져 형성된 스프링부(102b)를 갖는다. 스프링부(102b)에 있어서의 판 부재(104)의 간격은 크기 때문에, 연결용 스프링(102)의 스프링력은 작다.
연결용 스프링(102)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부(102a)에 볼록부(100)가 반경 방향에 있어서 감합되고, 스프링부(102b)가 볼록부(100)의 반경 방향 외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볼록부(100)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피스톤(26)의 중공 통부(106)에 볼록부(100)가 계합시켜지는 것이지만, 연결용 스프링(102)의 스프링부(102b)가, 볼록부(100)와 제 2 피스톤(26)의 중공 통부(106)의 내주면(106f)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16)과 제 2 피스톤(26)과의 연결용 스프링(102)을 개재한 계합에 의해, 프레임(16)의 제 2 피스톤(26)에 대한 반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도모하면서, 프레임(16)과 제 2 피스톤(26)을 축선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디스크 브레이크(2)의 해제시에, 제 2 피스톤(26)이 원래 위치(디스크 브레이크(2)가 비작용 상태인 경우의 위치)로 되돌려지는 것에 동반하여 프레임(16)을 도 11의 화살표 Y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아우터 패드(6)를 로터(3)로부터 양호하게 떼어낼 수 있고, 드래깅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볼록부(100)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R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연결용 스프링(102)을 개재하는 제 2 피스톤(26)과의 계합에 기인하여, 디스크 브레이크(2)의 작동시에 프레임(16)이 회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연결용 스프링(102)의 스프링력은 작기 때문에, 제 2 피스톤(26)의 비틀림 등이 양호하게 회피된다. 또한, 연결용 스프링(102) 대신에 탄성 부재로서 고무 등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련된 프레임(16)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6)의 제 1 변부(74), 제 2 변부(75)의 두께(반경 방향의 길이) H의 주 하우징부(28)의 실린더 보어(21)의 직경 D에 대한 비율 (H/D)가 대략 0.33이 되어 있다. 제 1 변부(74), 제 2 변부(75)의 두께의 실린더 보어(21)의 직경에 대한 비율이 비교적 큰 값이 되는 것이며, 그에 의해, 디스크 브레이크(2)를 양호하게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율 (H/D)는, 0.17 이상이면 되고, 0.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 디스크 브레이크의 작동, 작용 상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스크 브레이크(2)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액압 공급 장치로부터 액압실(30)에 액압이 공급된 경우에는 디스크 브레이크(2)가 작동시켜진다. 또, 디스크 브레이크(2)의 작용 상태에 있어서, 프레임(16)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 M과 평행하게 힘 F와 힘 R(힘 F의 반력)이 작용한다.
한편,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 이너 패드 및 아우터 패드를 걸치는 형상을 이룬 캘리퍼(140)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는, 피스톤과 이너 패드와의 접촉부의 도심보다 캘리퍼의 클로부(140s)와 아우터 패드와의 접촉부의 도심이 내주측에 위치하는 것에 기인하여, 디스크 브레이크의 작동시에, 캘리퍼(140)에는 화살표 Z 방향으로 모멘트가 생기고, 아우터 패드가 반경 방향 내방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또, 캘리퍼(140)가 마운팅 브래킷에 보지되는 부분(도 13의 점 PG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슬라이드 핀의 중심으로 할 수 있음)과, 캘리퍼(140)에 작용하는 가압력의 반력(F´, R´)의 작용점이 떨어져 있는 것에 기인하여, 디스크 브레이크의 작용 상태에 있어서, 클로부(140s)와 실린더 보지부(140h)가 개방되도록 변형시켜지고, 그에 의해, 가압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에 비하여, 본 디스크 브레이크(2)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힘 F, R의 작용선이, 동일 평면 내(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심 기준면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디스크 브레이크(2)의 작동시에 있어서의, 프레임(16)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힘 F, R의 작용선과 주 하우징부(28)의 프레임(16)의 보지부의 중심점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디스크 브레이크(2)의 작용 상태에 있어서, 프레임(16)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프레임(16)의 변형에 기인하는 가압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16)의 변형에 기인하는 가압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프레임(16)의 경량화,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패드 핀(34, 35)이, 양단부에 있어서 하우징(10)에 보지된다. 그 때문에, 이너 패드(4), 아우터 패드(6)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보지할 수 있고, 아우터 패드(6)의 반경 방향 내방으로의 슬립 다운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패드 핀(34, 35)이, 나사 체결을 이용하지 않고, 하우징(10)에 장착된다. 그 결과, 가공 비용을 저감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나사 체결이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패드 핀(34, 35)의 떼어냄이 용이하게 되고, 이너 패드(4), 아우터 패드(6)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휠 실린더(14)가 주 하우징부(28)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프레임(16)에 대해서는, 높은 가공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프레임(16)을 제조하는 경우에, 절삭, 연마 등의 가공의 필요성이 낮아져, 프레임(16)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6)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디스크 브레이크 전체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에 있어서, 반경 방향 스프링(86, 94)이 제 1 탄성 부재의 일례인, 연결용 스프링(102)이 제 2 탄성 부재의 일례이다. 또, 주 하우징부(28)의 제 1 계합 오목부(40, 41), 제 2 계합 오목부(42, 43)의 벽면(40b, 41b, 42b, 43b) 및 프레임(16)의 제 1 계합 볼록부(80, 82), 제 2 계합 볼록부(81, 83)의 측면(80aq, 82aq, 81q, 83q) 등이 계합면의 일례이다. 또한, 제 2 피스톤(26)의 중공 통부(106)가 오목부의 일례이다.
F. 기타
예를 들면, 용량이 큰 축전 장치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 등에 있어서는, 큰 회생 제동력이 출력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마찰 브레이크에 의해 큰 제동력을 출력할 필요성이 낮아진다. 그 때문에, 마찰 브레이크를 제조하는 재료의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져, 예를 들면, 하우징(10)을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하고, 프레임(16)을 탄소 섬유 강화 수지(CFRP)로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크 브레이크(2)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동력에 대한 주행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또, 프레임(16)의 아우터 패드(6)의 둘레 방향에 근접하는 부분이 토오크 받이부(T)가 되지만, 수지는 높은 감쇠 특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디스크 브레이크(2)의 작용 상태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하고, 브레이크음에 의한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만일, 하우징(10)과 프레임(16)이 철로 제조된 경우에는, 디스크 브레이크(2)의 작동시에 철끼리가 슬라이딩 접촉시켜짐으로써, 녹이 고착되어 상대 이동하기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에 비하여, 하우징(10)이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고, 프레임(16)이 탄소 섬유 강화 수지로 제조되도록 한 경우에는, 녹의 고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3 변부(77), 제 4 변부(78)에 대해서는, 탄소 섬유의 방향과 축선 방향이 일치하도록, 환언하면, 탄소 섬유의 배향성이 축선 방향에 있어서 높아지는 상태에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 프레임(16)의 축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강도를 크게 할 수 있어, 힘 F, R에 기인하는 변형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반경 방향 스프링(86, 94), 둘레 방향 스프링(88)을, 스테인리스 재료로 제조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 재료는, 부식 전위가, 알루미늄 합금과, 탄소 섬유 강화 수지(탄소)와의 사이의 높이를 갖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계합 오목부(40, 41), 제 2 계합 오목부(42, 43)와, 제 1 계합 볼록부(80, 82), 제 2 계합 볼록부(81, 83)에 있어서는, 면끼리가 계합시켜진다. 그 때문에, 만일, 반경 방향 스프링(86, 94), 둘레 방향 스프링(88)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크 브레이크(2)의 작동시에 있어서의 면끼리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하우징(10)이 부식될 우려가 있다. 그에 비하여, 하우징(10)과 프레임(16) 사이에, 부식 전위가, 이들 하우징(10)과 프레임(16) 사이에 있는 재료로 제조된 스프링(86, 94, 88)을 개재시킴으로써, 부식 전위의 높이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하우징(10)과 프레임(16)이 직접 슬라이딩 접촉시켜지는 경우에 비교하여, 하우징(10)이 부식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주 하우징부(28)의 프레임(16)의 보지부의 중심점이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은 불가결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보지부의 중심점, 즉, 제 1 계합 오목부(40, 41) 및 제 2 계합 오목부(42, 43)의 반경 방향의 중심점과 제 1 계합 볼록부(80, 82) 및 제 2 계합 볼록부(81, 83)의 반경 방향의 중심점이, 중심 기준면 S와 평행인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제 1 계합 오목부(40, 41) 및 제 2 계합 오목부(42, 43)의 계합면(측면)과 제 1 계합 볼록부(80, 82) 및 제 2 계합 볼록부(81, 83)의 계합면(벽면)이, 각각, 중심 기준면 S와 평행인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또한, 주 하우징부(28)에 마련된 제 1 계합 오목부(40, 41), 제 2 계합 오목부(42, 43)와 프레임(16)에 마련된 제 1 계합 볼록부(80, 82), 제 2 계합 볼록부(81, 83)와의 사이에 스프링(86, 88, 94)을 개재시키는 것은 불가결은 아니다. 또, 계합 오목부, 계합 볼록부는 각각 3쌍 이상 마련하거나, 한 쌍만으로 하거나 하는 것 등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계합 오목부를 프레임(16)에 마련하고, 계합 볼록부를 주 하우징부(28)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 반경 방향 스프링(86)을 볼록부(80a)에, 스프링부(86b)가 볼록부(80a)의 반경 방향 외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브리지부(32)의 형상은 상관없다. 예를 들면, 로드부(50, 52)는 축선 M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해도 된다.
< 실시예 2 >
본 실시예에 관련된 부동식의 액압의 디스크 브레이크(146)는, 도 14,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로터(148)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위치하는 이너 패드(150) 및 아우터 패드(151), (b) 휠 실린더(154)와 프레임(156)을 구비한 가압 장치(158), (c) 비회전체에 장착되고, 가압 장치(158)를 보지하는 하우징(160) 등을 포함한다. 하우징(160)은,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주 하우징부(162)와, 로터(148)를 넘어 연장되어 나온 브리지부(164)를 포함한다. 주 하우징부(162)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에는, 제 1 피스톤(170), 제 2 피스톤(172)이 액밀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되고, 이들 제 1 피스톤(170), 제 2 피스톤(172)의 사이가 액압실이 된다. 이너 패드(150)와 아우터 패드(151)는, 로터(148)의 둘레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마련된 한 쌍의 패드 핀(176, 178)에 보지된다. 패드 핀(176, 178)은, 로터(148)의 회전축선 L과 평행인 방향(로터(148)의 회전축선 L과 가압 장치(158)의 축선 M은 평행하기 때문에, 이하, 축선 M과 평행인 방향, 축선 방향 등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으로 연장된 것이며, 일단부에 있어서, 주 하우징부(162)의 관통 구멍(162a, 162b)에 보지되고, 타단부에 있어서, 브리지부(164)의 관통 구멍(164a, 164b)에 보지된다. 주 하우징부(162)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부분, 제 1 피스톤(170), 제 2 피스톤(172) 등에 의해 휠 실린더(154)가 구성된다.
주 하우징부(162)는, 한 쌍의 피장착부(180(도 16 참조), 182)에 있어서, 비회전체로서의 너클 등의 차체측 부재에 장착된다. 주 하우징부(162)의 축선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의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제 1 계합 오목부(184(도 14 참조), 185)와, 한 쌍의 제 2 계합 오목부(187, 188)가 마련된다.
프레임(156)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체로 축선 M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축선 방향으로 거리를 둔 제 1 변부(190), 제 2 변부(192)와, 축선 M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제 1 변부(190)와 제 2 변부(192)를 접속하여 마련된 제 3 변부(194), 제 4 변부(196)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 3 변부(194)와 제 4 변부(196)는, 만곡한 형상을 이루지만, 로터(148)보다 차량의 내측의 부분(이하, 내측부라고 칭함)(194a, 196a)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면이 축선 M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 로터(148)를 넘는 부분(내측부(194a, 196a)보다 차량의 외방의 부분이며, 이하, 외측부라고 칭함)(194b, 196b)에 있어서는, 내측부(194a, 196a)에 있어서보다, 서로 간격이 넓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내측부(194a, 196a)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각각, 제 1 계합 볼록부(200) 및 제 2 계합 볼록부(203), 제 1 계합 볼록부(201) 및 제 2 계합 볼록부(204)가 마련된다. 제 1 계합 볼록부(200, 201)가 제 1 계합 오목부(184, 185)에 계합시켜지고, 제 2 계합 볼록부(203, 204)가 제 2 계합 오목부(187, 188)에 계합시켜짐으로써, 프레임(156)이 주 하우징부(162)에 축선 M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지된다. 또한, 이들 제 1 계합 볼록부(200, 201), 제 2 계합 볼록부(203, 204)와 제 1 계합 오목부(184, 185), 제 2 계합 오목부(187, 188)와의 사이에는, 스프링(206, 208, 210)을 마련할 수도 있다. 스프링(206, 208, 210)은, 각각, 실시예 1의 스프링(86, 88, 94)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변부(192)에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볼록부(212)가 마련되고, 도시하지 않은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제 2 피스톤(172)이 계합시켜진다.
프레임(156)의 제 3 변부(194)와 제 4 변부(196)에 있어서, 축선 M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의 각각에 있어서의 도심이, 대략 중심 기준면 S 상에 위치한다. 엄밀하게는, 도심이 중심 기준면 S로부터 벗어나는 경우도 있지만, 실질적으로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XVII-XVII 단면도, 환언하면, 도 19의 내측부(194a, 196a)의 XVII-XVII 단면을 포함하는 도면을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로부터, 내측부(194a, 196a)의 단면 Q1에 있어서의 도심 G1은, 중심 기준면 S 상에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15의 XVI-XVI의 일부 단면도, 환언하면, 도 19의 외측부(194b, 196b)의 XVI-XVI 단면을 포함하는 도면을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으로부터, 외측부(194b, 196b)의 단면 Q2에 있어서의 도심 G2는, 중심 기준면 S 상에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레임(156)의 단면이란, 제 1 계합 볼록부(200, 201), 제 2 계합 볼록부(203, 204)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의 단면을 말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변부(194), 제 4 변부(196)에 있어서는, 반경 방향의 두께가 축선 방향에 있어서 동일하게 되어 있다. 한편, 단면의 형상은, 내측부(194a, 196a)와 외측부(194b, 196b)에서 다르지만, 각각의 도심이, 반경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156)의 제 3 변부(194), 제 4 변부(196)의 각각의 축선 M과 직교하는 단면의 각각의 도심이, 중심 기준면 S로부터 설정값 이상 멀어지지 않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56)을 설계할 수도 있다. 설정값은 예를 들면, 1∼2 ㎜ 정도 또는 프레임(156)의 두께의 1∼5%의 길이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크 브레이크(146)의 작용 상태에 있어서, 제 2 피스톤(172)이 프레임(156)에 가하는 힘 F, 아우터 패드(151)가 프레임(156)에 작용하는 반력 R이, 제 3 변부(194), 제 4 변부(196)에 있어서는, 도심에 작용한다. 그 때문에, 제 3 변부(194), 제 4 변부(196)의 벤딩을 억제할 수 있어, 프레임(156)의 변형에 기인하는 가압력의 저하를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계합 볼록부(200, 201), 제 2 계합 볼록부(203, 204)는, 반경 방향의 중심점이 중심 기준면 S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도 되고, 중심 기준면 S로부터 벗어나서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환언하면, 제 1 계합 볼록부(200, 201), 제 2 계합 볼록부(203, 204)의 반경 방향의 중심점과 도심은, 반경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있어도 되고, 멀어져 있어도 되는 것이다.
< 실시예 3 >
본 실시예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와 실시예 2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146)에서는, 프레임이 다르지만, 기타 부분은 동일하다. 도 20,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50)은, 제 1 변부(252), 제 2 변부(254), 제 3 변부(256), 제 4 변부(258)를 포함한다. 제 3 변부(256), 제 4 변부(258)의 축선 M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의 형상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 도 22a,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변부(252), 제 2 변부(254)의 축선 M과 평행인 방향의 단면의 형상도,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변부(252), 제 2 변부(254), 제 3 변부(256), 제 4 변부(258)의 각각의 두께(반경 방향의 길이)는 동일하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제 3 변부(256), 제 4 변부(258)의 각각의 축선 M과 직교하는 단면 Q1, Q2의 도심 G1, G2와, 제 1 변부(252), 제 2 변부(254)의 각각의 축선 M과 평행인 방향의 단면 Q3, Q4의 도심 G3, G4는, 모두, 대략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한다. 그 결과, 디스크 브레이크의 작용 상태에 있어서의 프레임(250)의 변형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2 변부(254)의 축선 M과 평행인 방향의 단면에는 볼록부(260)는 포함하지 않는다.
< 실시예 4 >
본 실시예에 관련된 디스크 브레이크는, 부동형의 전동의 디스크 브레이크이며, 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디스크 브레이크가 작동시켜진다. 부동형의 전동의 디스크 브레이크와 상술의 실시예 1 내지 3 중 어느 디스크 브레이크에서는, 도 23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장치가 다르지만, 기타 부분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가압 장치(300)는, 전동 모터(302)와, 제 1 가압 부재(304), 제 2 가압 부재(306)와, 전동 모터(302)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제 1 가압 부재(304), 제 2 가압 부재(306)에 전달하는 운동 변환 기구를 구비한 운동 전달 기구(310) 등을 포함한다. 운동 전달 기구(310)는, 전동 모터(302)의 회전축의 회전에 동반하여 회전시켜지는 나사 부재(312)를 포함하고, 제 1 가압 부재(304), 제 2 가압 부재(306)가 나사 부재(312)에 나사 결합시켜진다. 나사 부재(312)는, 우나사부(320)와 좌나사부(322)를 포함하고, 우나사부(320)가 제 1 가압 부재(304)에 나사 결합시켜지고, 좌나사부(322)가 제 2 가압 부재(306)에 나사 결합시켜진다. 또, 제 1 가압 부재(304), 제 2 가압 부재(306)는, 주 하우징부(324)에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보지된다.
전동 모터(302)의 구동에 의해 전동의 디스크 브레이크가 작동시켜진다. 제 1 가압 부재(304)가 로터(330)를 향하여 이동시켜지고, 이너 패드(332)를 로터(330)를 향하여 누른다. 한편, 제 2 가압 부재(306)는, 로터(3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고, 프레임(336)을 화살표 X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에 의해, 프레임(336)이 아우터 패드(334)를 로터(330)에 누른다.
기타,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외에,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경, 개량을 실시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 정리 >
상기 실시예 1∼4에 기재된 구성의 특징을 이하에 열거한다.
(1)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이너 패드 및 아우터 패드와,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상기 로터에 누르는 가압 장치와, 비회전체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함과 함께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보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부동식의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상기 가압 장치가, 당해 디스크 브레이크의 작동시에, 상기 로터를 향하여 이동 가능한 제 1 가압 부재 및 상기 로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가압 부재와,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강체이며, 상기 아우터 패드에 대향하는 제 1 변부와, 그 제 1 변부로부터 상기 차륜의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 이간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와 계합하는 제 2 변부를 갖고, 또한,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적어도 1개의 패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패드 핀이,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각각 보지된 디스크 브레이크.
(2)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하는 주 하우징부와, 그 주 하우징부로부터 상기 로터를 넘어 연장되어 나온 브리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패드 핀의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주 하우징부에 보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브리지부에 보지된 (1)항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3) 상기 브리지부가, 상기 로터를 넘는 상태에서 연장되고, 서로 상기 로터의 둘레 방향으로 사이를 둔 한 쌍의 로드부와, 그들 한 쌍의 로드부를, 상기 로터의 반대측에 있어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로드부는,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된 것이어도 되고, 회전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어도 된다.
(4) 상기 적어도 1개의 패드 핀으로서의 2개의 패드 핀이, 각각,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된 것이며, 서로, 상기 로터의 둘레 방향으로 사이를 두고, 각각, 상기 주 하우징부와 상기 연결부에 보지된 (3)항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핀은, 이너 패드의 백 플레이트와 아우터 패드의 백 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일단부가 주 하우징부에 보지되고, 타단부가 연결부에 보지된다. 그에 의해, 이너 패드, 아우터 패드는, 각각,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지된다.
(5)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하는 주 하우징부와, 그 주 하우징부에 마련된 복수의 피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에 계합 가능한 복수의 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계합부가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에 계합시켜짐으로써, 상기 주 하우징부에 보지되고, 상기 복수의 계합부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 중 적어도 1개와의 사이에, 각각, 탄성 부재인 제 1 탄성 부재가 마련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본 항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모든 피계합부와 모든 계합부와의 사이에 제 1 탄성 부재가 반드시 마련되어 있을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또, 적어도 1개의 제 1 탄성 부재의 각각은, 로터의 반경 방향과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탄성력을 발생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1개의 제 1 탄성 부재는, 서로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다른 것이어도 된다.
(6)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부식 전위가, 상기 프레임의 부식 전위와 상기 하우징의 부식 전위와의 사이의 높이인 (5)항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예를 들면, 하우징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되고, 프레임이 수지로 제조된 것인 경우에 있어서, 제 1 탄성 부재를 니켈을 포함하는 재료나 스테인리스 재료로 제조할 수 있다.
(7)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하는 주 하우징부와, 상기 주 하우징부의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부분에, 각각,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마련된 복수 개씩의 피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이, 서로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마련되고, 각각, 상기 제 1 변부와 상기 제 2 변부를 연결하는 제 3 변부 및 제 4 변부와, 상기 제 3 변부와 상기 제 4 변부의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씩의 상기 피계합부에 계합 가능한 복수 개씩의 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씩의 계합부가, 상기 복수 개씩의 피계합부에 계합시켜짐으로써, 상기 주 하우징부에 보지되는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계합부, 피계합부는 2개씩 마련해도 되고, 3개 이상씩 마련해도 된다.
(8) 상기 복수의 계합부의 각각의 반경 방향의 중심점과,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의 각각의 반경 방향의 중심점이, 각각, 대략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계합부의 각각과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의 각각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과 평행이고, 서로 계합하는 계합면을 포함하는 (7)항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중심 기준면이란, 제 1 가압 부재의 중심과 제 2 가압 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인 중심선과, 로터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직선인 기준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을 말한다. 계합부의 반경 방향의 중심점과 피계합부의 반경 방향의 중심점이 대략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주 하우징부의 프레임을 보지하는 보지부의 중심점과, 프레임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점과 대략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9) 상기 복수의 계합부의 각각의 반경 방향의 중심점과,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의 각각의 반경 방향의 중심점이, 각각, 중심 기준면과 평행인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계합부의 각각과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의 각각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과 평행이고, 서로 계합하는 계합면을 포함하는 (7)항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10) 상기 프레임의 무게 중심이, 측면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상기 계합부 중 양단에 위치하는 것의 사이에 위치하는 (7)항 내지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복수 개의 계합부 중 양단에 위치하는 것을 제 1 계합부, 제 2 계합부라고 칭한 경우에, 프레임의 무게 중심은, 제 1 계합부의 차량의 내측과 외측 중 제 2 계합부와는 반대측의 단면과, 제 2 계합부의 차량의 내측과 외측 중 제 1 계합부와는 반대측의 단면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제 1 계합부가 제 1 계합 볼록부(80, 82), 제 2 계합부가 제 2 계합 볼록부(81, 83)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제 1 계합 볼록부(80, 82)의 차량의 외측의 단면과, 상기 제 2 계합 볼록부(81, 83)의 차량의 내측의 단면과의 사이에, 무게 중심이 위치하게 된다.
(11)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 2 변부의 상기 제 2 가압 부재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가,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갖고,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 사이에 탄성 부재인 제 2 탄성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변부가 제 2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가압 부재에 계합시켜진 (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제 2 탄성 부재는 고무여도 되고 스프링이어도 된다.
(12) 상기 볼록부가, 상기 로터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곡면으로 규정되는 형상을 이루는 (11)항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볼록부는 대체로 R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그 때문에, 드래깅에 기인하여 프레임이 회동시켜지더라도, 제 2 가압 부재에 대한 상대 위치의 어긋남이 허용된다.
(13) 상기 프레임이, 서로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마련되고, 상기 제 1 변부와 상기 제 2 변부를 각각 접속하고, 또한, 상기 이너 패드와 상기 아우터 패드를 넘지 않고, 상기 로터를 넘는 제 3 변부 및 제 4 변부를 포함하는 (1)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제 3 변부, 제 4 변부는, 이너 패드, 아우터 패드의 반경 방향의 외방을 지나지 않고, 로터를 넘어, 환언하면, 이너 패드, 아우터 패드에 걸치지 않고, 로터에 걸쳐, 로터의 반대측에 도달한다.
(14)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 2 가압 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인 중심선과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직선인 기준선을 상정하고, 그 기준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인 중심 기준면을 상정하고, 상기 제 3 변부와 상기 제 4 변부의 각각의,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복수의 단면의 각각의 도심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하는 (13)항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도심이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한다는 것은, 도심이 중심 기준면 상에 대략 위치한다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16)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15)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 2 가압 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인 중심선과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직선인 기준선을 상정하고, 그 기준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인 중심 기준면을 상정하고, 상기 제 3 변부와 상기 제 4 변부의 각각의,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복수의 단면의 각각 도심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설정값 이하의 범위에 위치하는 (13)항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설정값은 예를 들면, 1∼3 ㎜ 정도, 또는, 프레임의 두께의 1∼5% 정도의 값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 (17)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16)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 2 가압 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인 중심선과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직선인 기준선을 상정하고, 그 기준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인 중심 기준면을 상정하고, 상기 제 1 변부 및 상기 제 2 변부의, 각각의, 복수의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의 단면의 각각의 도심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하는 (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17)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 2 가압 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인 중심선과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직선인 기준선을 상정하고, 그 기준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인 중심 기준면을 상정하고, 상기 제 1 변부 및 상기 제 2 변부의, 각각의, 복수의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의 단면의 각각의 도심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설정값 이하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18)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하는 주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가압 부재가, 상기 주 하우징부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에, 액밀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된 제 1 피스톤 및 제 2 피스톤이며, 상기 제 1 피스톤과 상기 제 2 피스톤이, 각각, 액압에 의해 이동시켜지는 것이고, 상기 가압 장치가, 상기 주 하우징부의 상기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부분과, 상기 제 1 피스톤 및 상기 제 2 피스톤을 구비한 휠 실린더를 포함하는 (1) 내지 (17)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본 항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는 부동형의 액압의 디스크 브레이크이다.
(19) 상기 가압 장치가 전동 모터와, 그 전동 모터의 회전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가압 부재에 전달하는 운동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1)항 내지 (17)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운동 전달 기구는, 전동 모터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또한, 제 1 가압 부재와 제 2 가압 부재를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항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는, 부동형의 전동 디스크 브레이크이다.
(20) 상기 프레임이, 탄소 섬유 강화 수지로 제조된 것인 (1)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21) 상기 프레임이, 당해 디스크 브레이크의 작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패드에 작용하는 둘레 방향의 힘을 받는 토오크 받이부를 갖는 (1)항 내지 (2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22)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이너 패드 및 아우터 패드와,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상기 로터에 누르는 가압 장치와, 비회전체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함과 함께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보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부동식의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상기 가압 장치가,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상기 로터를 향하여 이동 가능한 제 1 가압 부재 및 상기 로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가압 부재와,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강체이며, 상기 아우터 패드에 계합 가능한 제 1 변부와, 그 제 1 변부로부터 상기 차륜의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 이간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에 계합하는 제 2 변부와, 서로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사이를 두고, 상기 제 1 변부 및 상기 제 2 변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3 변부 및 제 4 변부를 갖고, 또한,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 2 가압 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인 중심선과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직선인 기준선을 상정하고, 그 기준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인 중심 기준면을 상정하고, 상기 제 3 변부 및 상기 제 4 변부의, 각각의, 복수의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의 각각의 도심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본 항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에는, (1)항 내지 (21)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다.
(23) 상기 제 1 변부 및 상기 제 2 변부의 각각의,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면의 각각의 도심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하는 (22)항에 기재된 디스크 브레이크.

Claims (13)

  1.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3)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이너 패드(4) 및 아우터 패드(6);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상기 로터에 누르도록 구성된 가압 장치(8) ― 상기 가압 장치가,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상기 로터를 향하여 이동 가능한 제 1 가압 부재(24) 및 상기 로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가압 부재(26)와,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강체인 프레임(16)으로서, 상기 아우터 패드에 대향하는 제 1 변부(74)와, 상기 제 1 변부로부터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 이간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와 계합하는 제 2 변부(75)를 갖고, 또한,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16)을 포함함 ―; 및,
    비회전체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함과 함께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보지하는 하우징(10) ―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패드 핀(34, 35)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핀이,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보지됨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하는 주 하우징부(28)와, 상기 주 하우징부에 마련된 복수의 피계합부(40, 41, 42, 43)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에 계합 가능한 복수의 계합부(80, 81, 82, 83)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계합부가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에 계합시켜짐으로써, 상기 주 하우징부에 보지되고,
    상기 복수의 계합부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 중 적어도 1개와의 사이에, 각각, 탄성 부재인 제 1 탄성 부재(86, 94)가 마련된 디스크 브레이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주 하우징부로부터 상기 로터를 넘어 상기 주 하우징부의 로터를 사이에 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브리지부(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 핀의 일단부가 상기 주 하우징부에 보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브리지부에 보지된 디스크 브레이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부식 전위가, 상기 프레임의 부식 전위와 상기 하우징의 부식 전위와의 사이의 높이인 디스크 브레이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40, 41, 42, 43)는 상기 주 하우징부의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부분에, 각각,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이, 서로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마련되고, 각각, 상기 제 1 변부와 상기 제 2 변부를 연결하는 제 3 변부 및 제 4 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계합부(80, 81, 82, 83)는 상기 제 3 변부(77)와 상기 제 4 변부(78)의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의 무게 중심이, 상기 프레임의 측면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상기 피계합부 중 양단에 위치하는 것의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6.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 2 변부의 상기 제 2 가압 부재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100)를 갖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가,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106)를 갖고,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 사이에 탄성 부재인 제 2 탄성 부재(102)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변부가 상기 제 2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가압 부재에 계합시켜지는 디스크 브레이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로터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곡면으로 규정되는 형상을 이루는 디스크 브레이크.
  8.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서로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마련되고, 상기 제 1 변부와 상기 제 2 변부를 각각 접속하고, 또한, 상기 이너 패드와 상기 아우터 패드를 넘지 않고, 상기 로터를 넘는 제 3 변부(77) 및 제 4 변부(78)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 2 가압 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인 중심선과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직선인 기준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을 중심 기준면이라고 하면, 상기 제 3 변부와 상기 제 4 변부의 각각의,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복수의 단면의 각각의 도심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10.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 2 가압 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인 중심선과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직선인 기준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을 중심 기준면이라고 하면, 상기 제 1 변부 및 상기 제 2 변부의, 각각의, 복수의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의 단면의 각각의 도심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상기 패드 핀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패드 핀의 각각이,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보지되는 디스크 브레이크.
  12.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3)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이너 패드(4) 및 아우터 패드(6)와,;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상기 로터에 누르도록 구성된 가압 장치(8)와,;
    비회전체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함과 함께 상기 이너 패드 및 상기 아우터 패드를 보지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 장치가,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상기 로터를 향하여 이동 가능한 제 1 가압 부재(24)와,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상기 로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가압 부재(26)와,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강체이며, 상기 아우터 패드에 대향하는 제 1 변부(74)와, 상기 제 1 변부로부터 상기 차륜의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 이간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에 계합하는 제 2 변부(75)와, 서로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사이를 두고, 상기 제 1 변부 및 상기 제 2 변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3 변부(77) 및 제 4 변부(78)를 갖고, 또한,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16)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 2 가압 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인 중심선과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직선인 기준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을 중심 기준면이라고 하면, 상기 제 3 변부 및 상기 제 4 변부의, 각각의, 복수의 상기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의 각각의 도심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압 장치를 보지하는 주 하우징부(28)와, 상기 주 하우징부에 마련된 복수의 피계합부(40, 41, 42, 43)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에 계합 가능한 복수의 계합부(80, 81, 82, 83)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계합부가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에 계합시켜짐으로써, 상기 주 하우징부에 보지되고,
    상기 복수의 계합부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복수의 피계합부 중 적어도 1개와의 사이에, 각각, 탄성 부재인 제 1 탄성 부재(86, 94)가 마련된 디스크 브레이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부 및 상기 제 2 변부의 각각의,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인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면의 각각의 도심이, 각각, 상기 중심 기준면 상에 위치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180137481A 2017-12-08 2018-11-09 디스크 브레이크 KR102148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35824 2017-12-08
JP2017235824A JP6919541B2 (ja) 2017-12-08 2017-12-08 ディスクブレー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418A KR20190068418A (ko) 2019-06-18
KR102148887B1 true KR102148887B1 (ko) 2020-08-27

Family

ID=6396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481A KR102148887B1 (ko) 2017-12-08 2018-11-09 디스크 브레이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13433B2 (ko)
EP (1) EP3495682B1 (ko)
JP (1) JP6919541B2 (ko)
KR (1) KR102148887B1 (ko)
CN (1) CN109899416B (ko)
BR (1) BR102018075188A2 (ko)
RU (1) RU2713663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0168B2 (ja) * 2018-07-06 2022-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7124686B2 (ja) 2018-12-17 2022-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7192572B2 (ja) 2019-02-28 2022-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7120133B2 (ja) 2019-04-10 2022-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210087837A (ko) * 2020-01-03 2021-07-13 주식회사 만도 캘리퍼 브레이크
CN112727951B (zh) * 2021-01-29 2022-03-08 山东交通学院 一种带有辅助制动功能的制动器
JP7444095B2 (ja) * 2021-02-09 2024-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4606A (en) 1970-03-30 1973-04-03 Aisin Seiki Disk brake assembly
JP2013204742A (ja) * 2012-03-29 2013-10-07 Honda Motor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7268A (en) * 1962-09-10 1965-09-21 Bendix Corp Spot type disk brake
US3245500A (en) * 1963-02-12 1966-04-12 Girling Ltd Spot type disc brakes
GB1075371A (en) * 1965-11-15 1967-07-12 Girling Ltd Improvements in disc brakes
GB1159101A (en) * 1965-07-10 1969-07-23 Girling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isc Brakes
GB1147639A (en) * 1965-11-15 1969-04-02 Girling Ltd Improvements in spot type disc brakes
GB1169367A (en) * 1966-04-01 1969-11-05 Girling Ltd Improvements in disc brakes.
FR1534085A (fr) * 1967-06-16 1968-07-26 Ferodo Sa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freins à disque
DE1803203A1 (de) * 1967-10-16 1969-08-21 Aisin Seiki Scheibenbremse
JPS504823B1 (ko) * 1967-10-16 1975-02-24
GB1208299A (en) * 1967-12-01 1970-10-14 Automotive Prod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isc brakes
US3625316A (en) 1969-02-21 1971-12-07 Aisin Seiki Antirattling device of disc brake
US3656589A (en) * 1969-05-10 1972-04-18 Aisin Seiki Spot type disc brakes
US3719257A (en) * 1969-05-14 1973-03-06 Ferodo Sa Disc-brake and support structure
US3625314A (en) * 1969-06-26 1971-12-07 Kelsey Hayes Co Sliding caliper-type disk brake
SE376283B (ko) * 1969-07-11 1975-05-12 Ferodo Sa
US3912051A (en) * 1969-10-08 1975-10-14 Aisin Seiki Spot type disc brake
JPS5022226Y1 (ko) * 1972-08-10 1975-07-04
GB1559775A (en) * 1975-07-31 1980-01-23 Girling Ltd Disc brake for vehicles
JPS5274776A (en) * 1975-12-19 1977-06-23 Nissan Motor Co Ltd Disc brake
JPS5290778A (en) * 1976-01-27 1977-07-30 Toyota Motor Corp Disc brake for vehicle
JPS55175641U (ko) 1979-06-06 1980-12-16
JPS601647B2 (ja) 1981-07-30 1985-01-16 株式会社東芝 情報入力装置
JPH0312975Y2 (ko) 1985-12-17 1991-03-26
DE19642384C2 (de) * 1996-10-14 2002-02-21 Knorr Bremse Systeme Druckluftbetätigte Nutzfahrzeugscheibenbremse
US6695099B1 (en) * 2003-01-15 2004-02-24 Delphi Technologies, Inc. Twin piston single bore brake caliper apparatus
JP2004301157A (ja) * 2003-03-28 2004-10-28 Nichias Corp 鳴き防止シム構造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7177946A (ja) * 2005-12-28 2007-07-12 Hitachi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FR2966541B1 (fr) * 2010-10-22 2012-11-30 Bosch Gmbh Robert Frein a disque muni d'une cartouche de conversion de mouvement
EP2707620B1 (en) * 2011-05-09 2017-03-08 Petroceramics S.p.A. Caliper body made from thermoplastic material
JP2013194890A (ja) 2012-03-22 2013-09-30 Akebono Brake Ind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CN203374706U (zh) * 2013-07-15 2014-01-01 泛博制动部件(苏州)有限公司 用于夹持摩擦片的支架
JP2016102512A (ja) 2014-11-27 2016-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JP6367099B2 (ja) * 2014-11-28 2018-08-01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部品
WO2017059336A1 (en) 2015-10-01 2017-04-06 Peformance Friction Corporation Brake pad with spring clip for noise and vibration abat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4606A (en) 1970-03-30 1973-04-03 Aisin Seiki Disk brake assembly
JP2013204742A (ja) * 2012-03-29 2013-10-07 Honda Motor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418A (ko) 2019-06-18
RU2713663C1 (ru) 2020-02-06
JP2019100530A (ja) 2019-06-24
CN109899416B (zh) 2020-10-13
EP3495682B1 (en) 2021-09-15
CN109899416A (zh) 2019-06-18
BR102018075188A2 (pt) 2019-07-30
US10913433B2 (en) 2021-02-09
EP3495682A1 (en) 2019-06-12
US20190176781A1 (en) 2019-06-13
JP6919541B2 (ja)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887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480301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6950503B2 (ja) 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AU2005300664A1 (en) Lining support plate a disc brakes
EP1303708A1 (en) A caliper body for a fixed caliper disc brake
US7793765B2 (en) Multi-disc brake with reinforcing rib
JP5756896B2 (ja) 運転室懸架ユニットおよび少なくとも2つのその種の運転室懸架ユニットを包含する乗り物
JP702463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2017297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CN111005954A (zh) 盘式制动器
CN108045177A (zh) 一种中心桥包及驱动桥
JP7444095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20080156595A1 (en) Disc brake apparatus of opposed-piston type
CN110686029B (zh) 盘式制动器
KR20210087837A (ko) 캘리퍼 브레이크
WO2024071318A1 (ja) 電動制動装置
CN213870842U (zh) 钳体总成、气压盘式制动器、车桥及商用车
JPH021545Y2 (ko)
CN215257531U (zh) 一种制动装置的执行机构、制动装置及客车
US20200158196A1 (en) Brake assembly
CN108026990B (zh) 制动蹄元件和用于生产制动蹄的方法
JPH07747Y2 (ja) 反力式ディスクブレーキ
JPWO2020213202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および積層シム
JP200520141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303655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