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171B1 - 셀 신뢰성 향상을 위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셀 신뢰성 향상을 위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171B1
KR102144171B1 KR1020180109513A KR20180109513A KR102144171B1 KR 102144171 B1 KR102144171 B1 KR 102144171B1 KR 1020180109513 A KR1020180109513 A KR 1020180109513A KR 20180109513 A KR20180109513 A KR 20180109513A KR 102144171 B1 KR102144171 B1 KR 102144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acaroni
flash memory
form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330A (ko
Inventor
최양규
박준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PCT/KR2018/01088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245106A1/ko
Priority to JP2018194851A priority patent/JP6761840B2/ja
Priority to US16/175,480 priority patent/US10636810B2/en
Publication of KR20190143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115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2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1/23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1/27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01L27/11524
    • H01L27/11529
    • H01L27/1157
    • H01L27/11573
    • H01L27/1158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1/35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1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of a memory region comprising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3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3/35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cell select transistors, e.g. NAN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4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Abstract

셀 신뢰성 향상을 위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는 기판 상에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복수의 절연층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일부 영역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측면 상부와 상기 기판 상부에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층 상부에 제1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측면과 하부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 상부에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 신뢰성 향상을 위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Vertically Integrated 3-Dimensional Flash Memory for High Reliable Flash Memor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 열전도율을 지닌 마카로니층을 이용하여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의 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진, 영상, 음성과 같은 디지털 데이터의 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매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플래시메모리는 현재 상용화 및 양산중인 대표적인 비휘발성 메모리로써, 하드디스크를 빠른 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플래시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동작을 위해 게이트 절연층 사이에 부유게이트(floating gate) 또는 ONO(Oxide-Nitride-Oxide) 구조를 이루는 질화물과 같은 전하 저장층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게이트와 소스/드레인에 인가하는 전압에 따라 발생하는 Fowler-Nordheim Tunneling 현상 또는 핫 캐리어 주입(Hot-Carrier Injection) 현상을 통하여 전하 저장층으로 주입되는 전자를 저장하는 원리를 기반으로 비휘발성 메모리 동작을 수행한다.
스마트기기의 보급으로 인하여, 데이터 저장량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동일 면적의 플래시메모리 칩(chip) 내에 저장되는 메모리의 집적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집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칩 내에 최대한 많은 수의 셀(cell)을 집적 하여야 한다. 이 때, 한 개의 셀은 1 비트, 2 비트(MLC), 3비트(TLC)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4 비트(QLC) 기술도 개발 중에 있다.
지금까지는 플래시메모리 셀의 제작을 이차원(2D) 평면에서 미세 공정을 통하여 제작함으로써, 칩의 집적도를 향상시켜 왔으나, 셀의 크기(또는 게이트 길이)가 작아지면서, 셀 소자(cell transistor)의 단 채널 효과(short-channel effect)의 심화, 서로 다른 워드 라인(word line) 간의 전기적 간섭 현상(cell disturbance) 심화, 지나친 최소 선폭 공정으로 인한 제조비용의 증가와 기술적인 한계로 인한 문제들이 발생 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들로 인하여, 플래시메모리의 집적도 향상과 구동 신뢰성의 개선은 한계에 근접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직 집적형 삼차원 구조의 플래시메모리(3D V-NAND) 셀 제조 기술이 새로이 등장하였다.
본 발명은 수직 집적형 삼차원 구조의 플래시메모리에서 플래시메모리 구동 중 발생하는 열을 기판으로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높은 열전도율을 지닌 마카로니층을 이용하여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의 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카로니층 내부에 높은 열전도율의 재료를 삽입하여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의 셀에서 발생하는 발열현상에 대한 방열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의 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복수의 절연층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일부 영역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측면 상부와 상기 기판 상부에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층 상부에 제1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측면과 하부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 상부에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은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을 추가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마카로니층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채널 층을 추가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텅스텐(W),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 알루미늄(Al)과 구리(Cu)를 포함하는 금속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C60,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탄소계열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식각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측면 상부에 희생 절연층, 전하 저장층 및 터널링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터널링 절연층의 측면 상부와 상기 기판 상부에 채널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카로니층은 상기 제2 마카로니층보다 전기적 절연 특성이 높고, 상기 제2 마카로니층보다 열전도율이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은 채널층 상부에 제1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측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고 하부면이 기판과 직접 연결되도록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은 상기 제1 마카로니층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은 상기 기판 상에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복수의 절연층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일부 영역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식각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측면 상부와 상기 기판 상부에 상기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식각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측면 상부에 희생 절연층, 전하 저장층 및 터널링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터널링 절연층의 측면 상부와 상기 기판 상부에 채널층을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은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의 상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을 추가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텅스텐(W),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 알루미늄(Al)과 구리(Cu)를 포함하는 금속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C60,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탄소계열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플래시메모리는 기판 상에 삼차원으로 형성되는 채널층; 상기 채널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마카로니층; 및 측면과 하부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마카로니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은 상기 제1 마카로니층보다 열전도율이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 마카로니층은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채널층은 상기 제1 마카로니층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은 텅스텐(W),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 알루미늄(Al)과 구리(Cu)를 포함하는 금속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C60,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탄소계열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은 채널층 상부에 제1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카로니층 상부에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을 추가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플래시메모리는 기판 상에 삼차원으로 형성되는 채널층; 상기 채널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마카로니층; 및 측면과 상부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고 하부면이 기판과 직접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마카로니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카로니층 내부에 높은 열전도율의 재료를 삽입하여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의 셀에서 발생하는 발열현상에 대한 방열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의 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가 구동 중 발생하는 열이 기판으로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으므로, 셀 데이터의 신뢰성(retention), 셀의 수명 및 내구성(endurance)이 개선될 수 있으며,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심화되는 셀과 셀 간의 문턱 전압의 왜곡현상 및 데이터의 왜곡현상 또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고 집적된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의 구조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기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와 도 1의 구조에 대한 단면도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기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와 도 1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방열 경로에 대한 열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기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와 도 1의 구조에서 추출된 온도 분포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의 구조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기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와 도 6의 구조에 대한 단면도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기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와 도 6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방열 경로에 대한 열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기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와 도 6의 구조에서 추출된 온도 분포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 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 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 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3D V-NAND 플래시메모리 셀이 제조됨에 따라, 셀의 크기는 이차원 평면에서 제조되던 기존의 셀에 비해, 커지게 되었고, 그로 인해 워드 라인 간에 발생하는 전기적 간섭 현상이 감소하였다. 이와 더불어, 이차원 평면에서 제조되던 셀이 planar 구조를 지닌 반면, 3D V-NAND 플래시메모리 셀은 gate-all-around(GAA)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에, 단 채널 효과 또한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수직 집적형 삼차원 구조를 채택함으로 인하여 동일한 칩의 면적 내에 집적되는 메모리의 용량은 대폭 향상될 수 있었다.
하지만, 기존의 이차원 평면에서 제조되던 planar 구조의 플래시메모리 셀과는 달리, 3D V-NAND 플래시메모리 셀의 제조에 있어서는, 수직 구조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하여, 높은 종횡비(aspect ratio) 를 가지는 deep hole 의 식각 공정(etching) 과 채널의 증착 공정(deposition)을 반드시 필요로 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의 이차원 평면에서 제조되던 planar 구조의 플래시메모리 셀의 채널 재료가 단결정 실리콘(single-crystalline silicon)인 것과는 달리, 3D V-NAND 플래시메모리 셀의 채널 재료는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으로 제작된다.
하지만, 기존의 채널로 사용되어 온 단결정 실리콘의 열전도율(thermal conductivity)(130 W/mK)이 발열 현상을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은 것과는 달리, 다결정 실리콘은 낮은 열전도율(31 W/mK)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불어, 이차원 플래시메모리 셀이 지닌 planar 구조에서는 기판이 히트 싱크(heat sink)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므로, 3D V-NAND 플래시메모리 셀의 구조인 GAA에 견주어, 방열 효율이 훨씬 우수하다.
이와 같은 우려는 3D V-NAND 플래시메모리 셀에 적용되는 마카로니(macaroni) 절연층에 의해 더 심화되고 있다. 마카로니층이란, 다결정 실리콘만이 지닌 고유의 그레인(grain)으로 인해 야기되는 문턱전압(VTH)의 산포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로서, 2007년 도시바(Toshiba)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다. 채널의 제작을 비정질(amorphous) 실리콘의 증착 및 어닐링(annealing) 기술을 통해 다결정 실리콘을 형성하는 3D V-NAND 플래시메모리 셀의 제조 기술의 특성상, 어닐링 과정에서 다결정 실리콘의 그레인 크기가 랜덤(random) 산포를 지니고 있음은 불가피하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을 통하여, 문턱전압의 산포가 효과적으로 개선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플래시메모리 제조사에서 이와 같은 기술을 양산에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마카로니층은 열전도율(1 W/mK)이 낮은 대표적인 재료이다. 따라서, 이러한 재료의 사용 증가는 채널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열을 저해하고, 열을 채널에 머물게 함으로써, 메모리의 성능저하를 야기 할 수 있다.
셀의 집적되는 층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는 다결정 실리콘과 마카로니층의 부피의 증가는 열 용량(thermal capacitance)의 증가를 야기한다. 그리고 이는 메모리가 구동 중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을 의미하며, 요구되는 냉각 시간의 증가는 플래시메모리의 program/erase(P/E) 성능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집적된 플래시메모리 셀 중에서 가운데층에 형성된 셀의 방열효율이 가장 나쁠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3D V-NAND 플래시메모리 셀의 채널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열 효율은 기존의 이차원 플래시메모리 셀에 비해 좋지 못하며, 이러한 현상은 캐리어의 이동도(carrier mobility) 감소 및 sensing margin 의 감소, 고온으로 인한 셀 데이터의 신뢰성(예를 들어, retention 특성) 저하, BTI(bias temperature instability)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인한 셀 데이터의 내구성(예를 들어, endurance cycling 특성) 저하, 문턱 전압의 산포 왜곡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는 치명적인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현재 양산중인 3D V-NAND 플래시메모리 셀의 집적 층수가 64 층에 머물러 있지만, 앞으로 적층되는 층수가 증가함에 따라 위와 같은 우려는 더 심화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식각 공정과 정지 마찰(stiction) 현상으로 인하여, 3D V-NAND 플래시메모리 셀의 집적 가능한 층수는 기술적인 한계에 도달하게 될 개연성이 크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3D V-NAND 플래시메모리 셀은 현재 사용 중인, multi-level cells(MLC, 00,01,10,11)과 triple-level cells(TLC, 000, 001, 010, 011, 100,101,110,111)의 문턱 전압의 분포를 넘어서, 단위 셀 당 4 비트 혹은 5 비트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quad-level cells(QLC) 또는 pentad-level cells(PLC)로서 적용될 수 있다. 셀에 저장 가능한 비트수가 QLC와 같이 증가하게 될 경우, 하나의 상태 당 문턱 전압의 분포는 1 V 에서 수백 mV 수준으로 수 배 감소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상태를 구분하는 문턱 전압간의 margin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발열현상에 의한 플래시메모리의 성능과 신뢰성 저하에 대한 우려는 간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직 집적형 삼차원 구조의 플래시메모리에서 플래시메모리 구동 중 발생하는 열을 기판으로 효과적으로 방열함으로써, 플래시메모리의 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 및 이에 대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두 개의 마카로니층을 이용하여 플래시메모리 구동 중 발생하는 열을 기판으로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마카로니층을 다른 마카로니층으로 둘러싸도록 형성함으로써, 플래시메모리 구동 중 발생하는 열을 기판으로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마카로니층은 다공성(porous)의 절연재료로서 액체상태로 도포된 이후, 경화되어 제작된다. 이 때, 마카로니층은 경화되는 온도에 따라 다공성의 비율이 결정되며, 다공성의 비율이 높을수록 낮은 열전도율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마카로니층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PSZ(porous partially stabilized zirconia) 같은 경우, 실리콘 산화막(SiO2)과 유사한 열전도율(1 W/mK)을 지니고 있기에, 플래시메모리의 구동과정 중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마카로니층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마카로니층을 열전도율이 높은 탄소계열 소재와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플래시메모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히트 싱크인 기판으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의 구조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는 기판(100), 복수의 절연층들(101), 전하 저장층(107), 터널링 절연층(106), 채널층(103), 제1 마카로니층(104), 제2 마카로니층(105), 고유전율 절연층(108), 게이트 전극(109), 층간 절연층(110) 및 비트 라인 배선(120)을 포함한다.
기판(100)은 실리콘 기판으로, p 타입의 실리콘 기판과 n 타입의 실리콘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 기판(100)은 소자의 특성에 따라 도핑농도를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기판(100)에는 기판이 p 타입일 경우 고농도의 n 타입 도핑인 n+ 또는 기판이 n 타입일 경우 고농도의 p 타입 도핑인 p+으로 도핑된 공통 소스 라인(common source line, CSL) 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공통 소스 라인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복수의 절연층들(101)은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의 셀을 제작하기 위하여, 기판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기판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식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절연층들(101)은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미도시)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을 증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식각 과정을 통해 제2 절연층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복수의 절연층들(101)은 플래시메모리 셀의 집적을 위한 층수와 비례하여 그 증착회수가 결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4 층의 셀이 제작되기 위해서는 제1 절연층(101)과 제2 절연층(미도시)이 각각 최소 64 회 이상 반복적으로 증착될 수 있다.
전하 저장층(107)과 터널링 절연층(106)은 식각된 복수의 절연층들 측면 상부에 순차적으로 증착된다.
여기서, 전하 저장층(107)은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유사계열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부유게이트와 같은 전도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터널링 절연층(106)의 두께는 플래시메모리의 신뢰성(retention)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터널링 절연층(106)은 단일 층이 아닌 oxide-nitride-oxide와 같이 bandgap engineering(BEONO) 기술이 적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단일 층으로 도시한다.
채널층(103)은 터널링 절연층(106) 측면 상부와 노출된 기판 상부에 삼차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채널층(103)은 미리 설정된 채널 영역에 비정질 실리콘이 증착된 이후 어닐링 과정을 통해 형성되거나 다결정 실리콘이 직접적으로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층(103)은 제1 마카로니층(104) 상부 영역에 추가적인 실리콘이 증착됨으로써, 제1 마카로니층(104)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채널층(103)은 제1 마카로니층(104)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카로니층(104)은 제2 마카로니층(105)과 채널층(103) 간의 전기적 접촉(contact) 또는 제2 마카로니층(105)의 채널층(103)으로의 확산(diffusion)을 방지하지 위한 층으로, 제2 마카로니층(105)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그 재료와 두께는 상이할 수 있다. 이런 제1 마카로니층(104)은 채널층(103)의 측면 상부 그리고 상황에 따라 채널층(10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카로니층(104)은 제2 마카로니층(105)의 측면과 하부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마카로니층(105)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마카로니층(104)은 의도치 않은 기생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줄이기 위하여 유전율이 낮은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카로니층은 PSZ와 같은 절연 물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카로니층(104)의 전기적 절연 특성은 제2 마카로니층(105)의 전기적 절연 특성보다 높을 수 있고, 제1 마카로니층(104)의 열전도율은 제2 마카로니층(105)의 열전도율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마카로니층(104)은 전기적 전도성이 지닌 재료가 제2 마카로니층(105)으로 사용되는 경우 플래시메모리의 비트 라인 배선과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마카로니층(105)은 제1 마카로니층(104) 내부에 형성되고,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 또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런 제2 마카로니층(105)은 제1 마카로니층(104)의 측면 상부 그리고 상황에 따라 제1 마카로니층(104)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마카로니층(105)은 전 영역이 제1 마카로니층(104)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제1 마카로니층(104)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마카로니층(105)은 제1 마카로니층(104) 내부에 전압의 인가 없는 플로팅(floating)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마카로니층(105)은 텅스텐(W),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 알루미늄(Al)과 구리(Cu)를 포함하는 금속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C60,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탄소계열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마카로니층(105)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어, 2 W/mK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카로니층(105)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의 유전율 특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마카로니층(105)은 3.9 이하의 유전율 특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마카로니층(105)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의 유전율 특성과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열전도율 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제2 마카로니층(105)은 높은 열전도율(2 W/mK 이상)과 일정 값 이상의 높은 전기적 절연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카로니층(105)은 인장(strained) 기술을 통해 채널 캐리어의 이동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우수한 열 전도율(2 W/mK 이상)을 지닐 수 있는 SixGe1 -x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카로니층(105)은 도핑되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 실리콘, n 타입으로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 p 타입으로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 n 타입으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 p 타입으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마카로니층(105)은 높은 열전도율을 지닐수록 방열 효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술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높은 종횡비의 구조에 증착이 용이하면서 높은 열 전도율을 지니는 절연층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증착 공정이 아닌, 액상 재료의 절연층 도포 및 고온에 의한 경화로 이루어지는 공정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
고유전율 절연층(108)은 게이트 전극(109)이 증착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식각된 복수의 절연층들의 측면과 전하 저장층 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고유전율 절연층(108)은 알루미늄 산화막(Al2O3)이나 하프늄 산화막(HfO2)과 같이 유전율이 일정 값 예를 들어, 3.9 이상이 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09)은 고유전율 절연층(108)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게이트 전극(109)은 게이트 전극의 접착력(adhesion) 개선을 위하여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와 같은 금속층이 증착된 후 그 금속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10)은 플래시메모리 셀의 노드를 분리하기 위한 절연층이다.
비트 라인 배선(120)은 금속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채널층(103) 상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는 제1 마카로니층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제2 마카로니층을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플래시메모리 구동 중에 발생되는 열을 히트 싱크인 기판으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 상에 제1 절연층(101)과 제2 절연층(102)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복수의 절연층들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절연층(101)과 제2 절연층(102)은 플래시메모리 셀의 집적을 위한 층수와 비례하여 그 증착회수가 결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4 층의 셀이 제작되기 위해서는 제1 절연층(101)과 제2 절연층(102)이 각각 최소 64 회 이상 반복적으로 증착되어 복수의 절연층들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게 위하여 도 2a에 있는 각각의 절연층을 도 2b와 같이 최소화하여 도시하였으며, 도 2b 는 도 2a를 X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이후에서는 별도의 추가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X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그 다음,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복수의 절연층들(101, 102)을 식각한다.
여기서, 식각하는 방법은 습식 식각, 건식 식각 등 다양한 식각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포토 레지스트(PR)를 이용한 패터닝을 통한 식각을 통해 기판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복수의 절연층들을 식각할 수 있다. 도 2c에 의해 식각된 형태는 원형일 수도 있고, 다각형 예를 들어, 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팔각형 등의 형태로 식각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된 복수의 절연층들 측면 상부 나아가 실리콘 기판 상부에 희생 절연층(111), 전하 저장층(107), 터널링 절연층(106), 채널층(103), 제1 마카로니층(104) 및 제2 마카로니층(105)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물론, 희생 절연층(111), 전하 저장층(107), 터널링 절연층(106), 채널층(103), 제1 마카로니층(104) 및 제2 마카로니층(105)을 형성하는 과정 또한 증착과 식각의 반복적인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 절연층(111), 전하 저장층(107), 터널링 절연층(106), 채널층(103), 제1 마카로니층(104) 및 제2 마카로니층(105)을 식각한 후(미도시) 제1 마카로니층(104)이 추가적으로 증착되어 제2 마카로니층(105)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하고, 그 상부에 추가적으로 실리콘 등을 증착함으로써, 채널층(103)이 제1 마카로니층(104)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전하 저장층(107)은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유사계열의 재료 또는 부유게이트와 같은 전도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터널링 절연층(106)의 두께는 플래시메모리의 신뢰성(retention)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터널링 절연층은 단일 층이 아닌 oxide-nitride-oxide와 같이 bandgap engineering(BEONO) 기술이 적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채널층(103)은 미리 설정된 채널 영역에 비정질 실리콘이 증착된 이후 어닐링 과정을 통해 형성되거나 다결정 실리콘이 직접적으로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마카로니층(104)은 의도치 않은 기생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줄이기 위하여 유전율이 낮은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마카로니층(104)의 전기적 절연 특성은 제2 마카로니층(105)의 전기적 절연 특성보다 높을 수 있고, 제1 마카로니층(104)의 열전도율은 제2 마카로니층(105)의 열전도율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마카로니층(104)은 전기적 전도성이 지닌 재료가 제2 마카로니층(105)으로 사용되는 경우 플래시메모리의 비트 라인 배선(120)과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마카로니층(105)은 텅스텐(W),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 알루미늄(Al)과 구리(Cu)를 포함하는 금속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C60,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탄소계열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마카로니층(105)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어, 2 W/mK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의 유전율 특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의 유전율 특성과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열전도율 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높은 열전도율(2 W/mK 이상)과 일정 값 이상의 높은 전기적 절연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마카로니층(105)은 인장(strained) 기술을 통해 채널 캐리어의 이동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우수한 열 전도율(2 W/mK 이상)을 지닐 수 있는 SixGe1 -x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핑되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 실리콘, n 타입으로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 p 타입으로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 n 타입으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 p 타입으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109)이 증착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식각과정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선택적(selective) 식각을 통해 제2 절연층(102)을 식각하며 희생 절연층(111)을 제거한다.
그 다음,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된 공간에 고유전율 절연층(108)을 증착하고, 그 상부에 금속 게이트 전극(109)을 증착한다.
여기서, 고유전율 절연층(108)은 알루미늄 산화막(Al2O3)이나 하프늄 산화막(HfO2)과 같이 유전율이 일정 값 예를 들어, 3.9 이상이 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하나의 플래시메모리 셀의 게이트 절연층은 터널링 절연층(106), 전하 저장층(107), 고유전율 절연층(108)과 같은 최소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금속 게이트 전극(109)을 증착하기 전에 게이트 전극의 접착력(adhesion) 개선을 위하여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와 같은 추가적인 금속층이 증착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를 분리시키기 위한 식각공정을 수행하고, 그 다음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절연층(110)을 증착하며, 식각과정 예를 들어, 층간 절연층(110)의 식각 및 추가적인 금속 증착 공정을 통하여 비트 라인 배선(120)을 형성함으로써, 플래시메모리 어레이(130)를 형성한다.
도 3은 기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와 도 1의 구조에 대한 단면도와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기존의 제조공정을 통해 제작된 플래시메모리 어레이 이며, 도 3b는 도 2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래시메모리 어레이(130)를 나타낸 것이고, 도 3c와 도 3d는 도 3a와 도 3b의 상단부에서 바라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플래시메모리 어레이(130)는 제1 마카로니층(104)과 제2 마카로니층(105)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제2 마카로니층(105)은 채널층(103)과 전기적으로 개방(open)된 상태가 되며, 따라서 금속과 같은 높은 열 전도율을 지닌 동시에 높은 전기적 전도성이 존재하는 재료를 제2 마카로니층(105)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기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와 도 1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방열 경로에 대한 열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b는 도 3에서의 제2 마카로니층(105)이 제1 마카로니층(104)에 의해 전 영역이 감싸여진 구조가 적용된 상태에서 수행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제2 마카로니층은 텅스텐 금속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a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기존의 마카로니층의 사용으로 제작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셀의 경우 구동 중 발생하는 온도가 대략 35도 근처임을 알 수 있고, 플래시메모리 어레이(130) 가운데층에 위치한 셀에 열이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4b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셀에서는 그 온도가 도 4b에 비해 낮아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2 마카로니층으로 삽입된 텅스텐 층이 효과적으로 열을 기판으로 방출시키는 가교(bridge)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도 4c와 도 4d의 평면도를 통해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기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와 도 1의 구조에서 추출된 온도 분포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플래시메모리 셀은 플래시메모리 어레이(130)의 원활한 방열 효율을 지니고 있으므로, 기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와는 달리 열이 가운데 층에 위치한 플래시메모리 셀에 집중되는 것이 아닌 아래 층에 위치할수록 온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의 구조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제2 마카로니층(605)이 기판(600)에 직접 연결되는 구조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는 기판(600), 복수의 절연층들(601), 전하 저장층(607), 터널링 절연층(606), 채널층(603), 제1 마카로니층(604), 제2 마카로니층(605), 고유전율 절연층(608), 게이트 전극(609), 층간 절연층(610) 및 비트 라인 배선(620)을 포함한다.
기판(600)은 실리콘 기판으로, p 타입의 실리콘 기판과 n 타입의 실리콘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 기판(600)은 소자의 특성에 따라 도핑농도를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기판(600)에는 기판이 p 타입일 경우 고농도의 n 타입 도핑인 n+ 또는 기판이 n 타입일 경우 고농도의 p 타입 도핑인 p+으로 도핑된 공통 소스 라인(common source line, CSL) 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공통 소스 라인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복수의 절연층들(601)은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의 셀을 제작하기 위하여, 기판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기판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식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복수의 절연층들(601)은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미도시)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을 증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식각 과정을 통해 제2 절연층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복수의 절연층들(601)은 플래시메모리 셀의 집적을 위한 층수와 비례하여 그 증착회수가 결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4 층의 셀이 제작되기 위해서는 제1 절연층(601)과 제2 절연층(미도시)이 각각 최소 64 회 이상 반복적으로 증착될 수 있다.
전하 저장층(607)과 터널링 절연층(606)은 식각된 복수의 절연층들 측면 상부에 순차적으로 증착된다.
여기서, 전하 저장층(607)은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유사계열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부유게이트와 같은 전도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터널링 절연층(606)의 두께는 플래시메모리의 신뢰성(retention)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터널링 절연층(106)은 단일 층이 아닌 oxide-nitride-oxide와 같이 bandgap engineering(BEONO) 기술이 적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단일 층으로 도시한다.
채널층(603)은 터널링 절연층(606) 측면 상부와 노출된 기판 상부 일부에 삼차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채널층(603)은 미리 설정된 채널 영역에 비정질 실리콘이 증착된 이후 어닐링 과정을 통해 형성되거나 다결정 실리콘이 직접적으로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층(603)은 제1 마카로니층(604) 상부 영역에 추가적인 실리콘이 증착됨으로써, 제1 마카로니층(604)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채널층(603)은 제1 마카로니층(604)의 측면 영역과 상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카로니층(604)은 제2 마카로니층(605)과 채널층(603) 간의 전기적 접촉(contact) 또는 제2 마카로니층(605)의 채널층(603)으로의 확산(diffusion)을 방지하지 위한 층으로, 제2 마카로니층(605)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그 재료와 두께는 상이할 수 있다. 이런 제1 마카로니층(604)은 채널층(603)의 측면 상부 그리고 노출된 기판(600) 상부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카로니층(604)은 제2 마카로니층(605)의 측면과 상부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마카로니층(604)은 의도치 않은 기생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줄이기 위하여 유전율이 낮은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카로니층(604)은 PSZ와 같은 절연 물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카로니층(604)의 전기적 절연 특성은 제2 마카로니층(605)의 전기적 절연 특성보다 높을 수 있고, 제1 마카로니층(604)의 열전도율은 제2 마카로니층(605)의 열전도율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마카로니층(604)은 전기적 전도성이 지닌 재료가 제2 마카로니층(605)으로 사용되는 경우 플래시메모리의 비트 라인 배선과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마카로니층(605)은 제1 마카로니층(604) 내부에 형성되고, 노출된 기판(600) 상부에 형성되는데,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 또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마카로니층(605)은 측면 영역과 상부 영역이 제1 마카로니층(604)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제1 마카로니층(604)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영역은 기판(60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마카로니층(605)은 제1 마카로니층(604)과 기판(600)에 의해 전 영역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는 구조로, 제2 마카로니층(605)이 기판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제2 마카로니층(605)은 접지되거나 0V의 전압이 인가될 수도 있다.
제2 마카로니층(605)은 텅스텐(W),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 알루미늄(Al)과 구리(Cu)를 포함하는 금속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C60,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탄소계열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마카로니층(605)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어, 2 W/mK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카로니층(605)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의 유전율 특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마카로니층(605)은 3.9 이하의 유전율 특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마카로니층(605)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의 유전율 특성과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열전도율 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제2 마카로니층(605)은 높은 열전도율(2 W/mK 이상)과 일정 값 이상의 높은 전기적 절연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카로니층(605)은 인장(strained) 기술을 통해 채널 캐리어의 이동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우수한 열 전도율(2 W/mK 이상)을 지닐 수 있는 SixGe1 -x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카로니층(605)은 도핑되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 실리콘, n 타입으로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 p 타입으로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 n 타입으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 p 타입으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마카로니층(605)은 높은 열전도율을 지닐수록 방열 효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술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높은 종횡비의 구조에 증착이 용이하면서 높은 열 전도율을 지니는 절연층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증착 공정이 아닌, 액상 재료의 절연층 도포 및 고온에 의한 경화로 이루어지는 공정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
고유전율 절연층(608)은 게이트 전극(109)이 증착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식각된 복수의 절연층들의 측면과 전하 저장층 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고유전율 절연층(108)은 알루미늄 산화막(Al2O3)이나 하프늄 산화막(HfO2)과 같이 유전율이 일정 값 예를 들어, 3.9 이상이 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609)은 고유전율 절연층(108)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게이트 전극(609)은 게이트 전극의 접착력(adhesion) 개선을 위하여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와 같은 금속층이 증착된 후 그 금속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610)은 플래시메모리 셀의 노드를 분리하기 위한 절연층이다.
비트 라인 배선(620)은 금속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채널층(603) 상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는 제1 마카로니층과 기판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제2 마카로니층을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플래시메모리 구동 중에 발생되는 열을 히트 싱크인 기판으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600) 상에 제1 절연층(601)과 제2 절연층(602)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복수의 절연층들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절연층(601)과 제2 절연층(602)은 플래시메모리 셀의 집적을 위한 층수와 비례하여 그 증착회수가 결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4 층의 셀이 제작되기 위해서는 제1 절연층(601)과 제2 절연층(602)이 각각 최소 64 회 이상 반복적으로 증착되어 복수의 절연층들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게 위하여 도 7a에 있는 각각의 절연층을 도 7b와 같이 최소화하여 도시하였으며, 도 7b 는 도 7a를 X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이후에서는 별도의 추가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X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그 다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600)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복수의 절연층들(601, 602)을 식각한다.
여기서, 식각하는 방법은 습식 식각, 건식 식각 등 다양한 식각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포토 레지스트(PR)를 이용한 패터닝을 통한 식각을 통해 기판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복수의 절연층들을 식각할 수 있다. 도 2c에 의해 식각된 형태는 원형일 수도 있고, 다각형 예를 들어, 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팔각형 등의 형태로 식각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된 복수의 절연층들 측면 상부 나아가 실리콘 기판 상부에 희생 절연층(611), 전하 저장층(607), 터널링 절연층(606), 채널층(603), 제1 마카로니층(604) 및 제2 마카로니층(605)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물론, 희생 절연층(611), 전하 저장층(607), 터널링 절연층(606), 채널층(603), 제1 마카로니층(604) 및 제2 마카로니층(605)을 형성하는 과정 또한 증착과 식각의 반복적인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 절연층(611), 전하 저장층(607), 터널링 절연층(606), 채널층(603), 제1 마카로니층(604) 및 제2 마카로니층(605)을 식각한 후(미도시) 제1 마카로니층(604)이 추가적으로 증착되어 기판(600)과 함께 제2 마카로니층(605)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하고, 그 상부에 추가적으로 실리콘 등을 증착함으로써, 채널층(603)이 기판(600)과 함께 제1 마카로니층(604)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전하 저장층(607)은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유사계열의 재료 또는 부유게이트와 같은 전도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터널링 절연층(606)의 두께는 플래시메모리의 신뢰성(retention)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터널링 절연층은 단일 층이 아닌 oxide-nitride-oxide와 같이 bandgap engineering(BEONO) 기술이 적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채널층(603)은 미리 설정된 채널 영역에 비정질 실리콘이 증착된 이후 어닐링 과정을 통해 형성되거나 다결정 실리콘이 직접적으로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마카로니층(604)은 의도치 않은 기생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줄이기 위하여 유전율이 낮은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마카로니층(604)의 전기적 절연 특성은 제2 마카로니층(605)의 전기적 절연 특성보다 높을 수 있고, 제1 마카로니층(604)의 열전도율은 제2 마카로니층(605)의 열전도율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마카로니층(604)은 전기적 전도성이 지닌 재료가 제2 마카로니층(605)으로 사용되는 경우 플래시메모리의 비트 라인 배선(620)과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마카로니층(605)은 텅스텐(W),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 알루미늄(Al)과 구리(Cu)를 포함하는 금속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C60,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탄소계열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마카로니층(605)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어, 2 W/mK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의 유전율 특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의 유전율 특성과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열전도율 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높은 열전도율(2 W/mK 이상)과 일정 값 이상의 높은 전기적 절연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마카로니층(605)은 인장(strained) 기술을 통해 채널 캐리어의 이동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우수한 열 전도율(2 W/mK 이상)을 지닐 수 있는 SixGe1 -x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핑되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 실리콘, n 타입으로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 p 타입으로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 n 타입으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 p 타입으로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609)이 증착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식각과정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선택적(selective) 식각을 통해 제2 절연층(602)을 식각하며 희생 절연층(611)을 제거한다.
그 다음,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된 공간에 고유전율 절연층(608)을 증착하고, 그 상부에 금속 게이트 전극(609)을 증착한다.
여기서, 고유전율 절연층(608)은 알루미늄 산화막(Al2O3)이나 하프늄 산화막(HfO2)과 같이 유전율이 일정 값 예를 들어, 3.9 이상이 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하나의 플래시메모리 셀의 게이트 절연층은 터널링 절연층(606), 전하 저장층(607), 고유전율 절연층(608)과 같은 최소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금속 게이트 전극(609)을 증착하기 전에 게이트 전극의 접착력(adhesion) 개선을 위하여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와 같은 추가적인 금속층이 증착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를 분리시키기 위한 식각공정을 수행하고, 그 다음 도 7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절연층(610)을 증착하며, 식각과정 예를 들어, 층간 절연층(610)의 식각 및 추가적인 금속 증착 공정을 통하여 비트 라인 배선(620)을 형성함으로써, 플래시메모리 어레이(630)를 형성한다.
도 8은 기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와 도 6의 구조에 대한 단면도와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기존의 제조공정을 통해 제작된 플래시메모리 어레이 이며, 도 8b는 도 7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래시메모리 어레이(630)를 나타낸 것이고, 도 8c와 도 8d는 도 8a와 도 8b의 상단부에서 바라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플래시메모리 어레이(630)는 제1 마카로니층(604)과 제2 마카로니층(605)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제2 마카로니층(605)은 채널층(603)과 전기적으로 개방(open)된 상태가 되며, 따라서 금속과 같은 높은 열 전도율을 지닌 동시에 높은 전기적 전도성이 존재하는 재료를 제2 마카로니층(605)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기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와 도 6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방열 경로에 대한 열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9b는 도 8에서의 제2 마카로니층(605)이 제1 마카로니층(604)과 기판(600)에 의해 전 영역이 감싸여진 구조가 적용된 상태에서 수행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제2 마카로니층은 텅스텐 금속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9a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기존의 마카로니층의 사용으로 제작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셀의 경우 구동 중 발생하는 온도가 대략 35도 근처임을 알 수 있고, 플래시메모리 어레이(630) 가운데층에 위치한 셀에 열이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9b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셀에서는 그 온도가 도 9a에 비해 낮아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2 마카로니층으로 삽입된 텅스텐 층이 효과적으로 열을 기판으로 방출시키는 가교(bridge)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도 9c와 도 9d의 평면도를 통해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기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와 도 6의 구조에서 추출된 온도 분포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9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플래시메모리 셀(with plugged metal)은 플래시메모리 어레이(630)의 원활한 방열 효율을 지니고 있으므로, 기존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w/o plugged metal)와는 달리 열이 가운데 층에 위치한 플래시메모리 셀에 집중되는 것이 아닌 아래 층에 위치할수록 온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도 2d와 도 7d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기판으로부터 별도의 분리시키는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2 마카로니층이 기판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 중 발생하는 열을 더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플로팅 바디 효과 (floating body effect)라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셀의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마카로니층은 접지되거나 0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질 수 잇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제 2 마카로니층이 실리콘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반도체 소자에서 백 바이어싱(back biasing)을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래시메모리의 기술적 한계로 작용하고 있는 셀 erase 속도를 대폭 개선할 수 있다. 즉 제 2 마카로니층에 (+)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셀에 저장된 전자를 채널로 다시 꺼내,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현재, 플래시메모리 셀의 erase 동작을 위한 속도는 수십 ms 수준이며, 셀의 프로그램 동작을 위한 속도는 수십 us 속도 수준으로 현재 최소 100배 이상 속도 차이가 나고 있으며, 이러한 속도 차이로 인해 사실상 플래시메모리의 속도는 erase 속도에 의해 결정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erase 속도를 개선한다면, 플래시메모리의 전체 속도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해 erase 속도가 빨라지면, 상대적으로 프로그램을 위한 속도에 여유가 생겨, 더 긴 시간 동안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방식은 셀의 문턱 전압 분포를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차세대 고집적 플래시메모리(TLC, QLC) 등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현재에는 erase 속도가 지나치게 길어, 플래시메모리에 셀이 erase 과정에서 전기적인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으며, 이러한 긴 시간의 스트레스는 플래시메모리의 내구성(endurance)을 저하시킬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erase 속도를 줄일 수 있으므로, 플래시메모리의 내구성도 개선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셀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낮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도 10b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셀 간의 온도차이가 전반적으로 줄어들게 되며, 이 또한 플래시메모리 셀의 문턱 전압 분포를 줄이게 되므로, 결국 신뢰성 개선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실리콘 기판
101: 제1 절연층
102: 제2 절연층
103: 채널층
104: 제1 마카로니층
105: 제2 마카로니층
106: 터널링 절연층
107: 전하 저장층
108: 고유전율 절연층
109: 게이트 전극(word line)
110: 층간 절연층(inter layer dielectric)
111: 희생 절연층(sacrificial layer)
120: 비트 라인(bit line) 배선
130: 플래시메모리 어레이(array)

Claims (19)

  1. 기판 상에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복수의 절연층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일부 영역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측면 상부와 상기 기판 상부에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층 상부에 제1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측면과 하부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 상부에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을 추가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카로니층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채널 층을 추가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
  4. 기판 상에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복수의 절연층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일부 영역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측면 상부와 상기 기판 상부에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층 상부에 제1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측면과 하부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 상부에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텅스텐(W),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 알루미늄(Al)과 구리(Cu)를 포함하는 금속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C60,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탄소계열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
  5. 기판 상에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복수의 절연층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일부 영역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측면 상부와 상기 기판 상부에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층 상부에 제1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측면과 하부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 상부에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식각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측면 상부에 희생 절연층, 전하 저장층 및 터널링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터널링 절연층의 측면 상부와 상기 기판 상부에 채널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
  7. 기판 상에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복수의 절연층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일부 영역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측면 상부와 상기 기판 상부에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층 상부에 제1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측면과 하부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 상부에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카로니층은
    상기 제2 마카로니층보다 전기적 절연 특성이 높고, 상기 제2 마카로니층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
  8. 채널층 상부에 제1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측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고 하부면이 기판과 직접 연결되도록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은
    상기 제1 마카로니층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복수의 절연층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일부 영역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식각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측면 상부와 상기 기판 상부에 상기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식각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측면 상부에 희생 절연층, 전하 저장층 및 터널링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터널링 절연층의 측면 상부와 상기 기판 상부에 채널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의 상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을 추가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텅스텐(W),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 알루미늄(Al)과 구리(Cu)를 포함하는 금속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C60,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탄소계열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
  13. 기판 상에 삼차원으로 형성되는 채널층;
    상기 채널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마카로니층; 및
    측면과 하부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마카로니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은
    상기 제1 마카로니층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14. 삭제
  15. 기판 상에 삼차원으로 형성되는 채널층;
    상기 채널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마카로니층; 및
    측면과 하부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마카로니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카로니층은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16. 기판 상에 삼차원으로 형성되는 채널층;
    상기 채널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마카로니층; 및
    측면과 하부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마카로니층
    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층은
    상기 제1 마카로니층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17. 기판 상에 삼차원으로 형성되는 채널층;
    상기 채널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마카로니층; 및
    측면과 하부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마카로니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은
    텅스텐(W),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 알루미늄(Al)과 구리(Cu)를 포함하는 금속과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C60,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탄소계열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18. 채널층 상부에 제1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카로니층 상부에 제2 마카로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의 전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을 추가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제조 방법.
  19. 기판 상에 삼차원으로 형성되는 채널층;
    상기 채널층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마카로니층; 및
    측면과 상부면이 상기 제1 마카로니층에 둘러싸이고 하부면이 기판과 직접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마카로니층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마카로니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카로니층은
    상기 제1 마카로니층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KR1020180109513A 2018-06-20 2018-09-13 셀 신뢰성 향상을 위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44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0880 WO2019245106A1 (ko) 2018-06-20 2018-09-17 셀 신뢰성 향상을 위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JP2018194851A JP6761840B2 (ja) 2018-06-20 2018-10-16 セルの信頼性を向上させるための垂直集積型3次元フラッシュメモリ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6/175,480 US10636810B2 (en) 2018-06-20 2018-10-30 Vertically-integrated 3-dimensional flash memory for high reliable flash memor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93 2018-06-20
KR20180070793 2018-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330A KR20190143330A (ko) 2019-12-30
KR102144171B1 true KR102144171B1 (ko) 2020-08-12

Family

ID=6910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513A KR102144171B1 (ko) 2018-06-20 2018-09-13 셀 신뢰성 향상을 위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1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734A (ko) 2021-09-08 2023-03-1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래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의 이레이즈 구동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30051970A (ko) 2021-10-12 2023-04-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플래시 메모리 구동 방법
KR20230135290A (ko) 2022-03-16 2023-09-2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플래시 메모리 및 그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573B1 (ko) * 2020-01-17 2021-11-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C-free 할로겐 기반의 가스를 이용한 실리콘 산화막 대비 높은 식각 선택비를 갖는 실리콘 질화막 건식 식각 방법
KR20210097557A (ko) * 2020-01-30 2021-08-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93067B1 (ko) * 2021-02-17 2023-01-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그램 동작 시 메모리 셀들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3차원 플래시 메모리 및 그 동작 방법
KR102624193B1 (ko) * 2021-05-14 2024-0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플래시 메모리의 개선된 프로그램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3336A (ja) 2013-09-05 2015-03-1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60020393A1 (en) 2012-06-01 2016-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ase change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70365613A1 (en) 2016-06-20 2017-12-21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having epitaxial germanium-containing vertical channel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685B1 (ko) * 2010-04-02 2016-1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20130116607A (ko) * 2012-04-16 2013-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0350B1 (ko) * 2014-05-02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0393A1 (en) 2012-06-01 2016-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ase change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053336A (ja) 2013-09-05 2015-03-1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70365613A1 (en) 2016-06-20 2017-12-21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having epitaxial germanium-containing vertical channel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734A (ko) 2021-09-08 2023-03-1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래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의 이레이즈 구동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30051970A (ko) 2021-10-12 2023-04-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플래시 메모리 구동 방법
KR20230135290A (ko) 2022-03-16 2023-09-2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플래시 메모리 및 그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330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171B1 (ko) 셀 신뢰성 향상을 위한 수직 집적형 삼차원 플래시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US7629640B2 (en) Two bit/four bit SONOS flash memory cell
JP5294590B2 (ja) トンネル障壁の上に電界分布層を有する電荷捕獲装置
US9536894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US8564046B2 (en) Vertical semiconductor devices
EP1480275A2 (en) SONOS memory device having nanocrystal layer
JP2010225946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47936A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06313911A (ja) マルチビット及びマルチレベル不揮発性メモリ素子、その動作方法及び製造方法
TWI754389B (zh) 記憶體陣列及使用於形成包含記憶體胞元之串之記憶體陣列之方法
US20160233221A1 (en) Flash memory semiconductor device
US20220085040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KR101073640B1 (ko) 고집적 수직형 반도체 메모리 셀 스트링, 셀 스트링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JP2007517386A (ja) ブリッジ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メモリセル、上記セルを備えるデバイス、および、ブリッジ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メモリセルの製造方法
JP2004342889A (ja) 半導体記憶装置、半導体装置、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携帯電子機器
US10636810B2 (en) Vertically-integrated 3-dimensional flash memory for high reliable flash memor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080048313A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355236B2 (en) Non-volatile floating gate memory cells with polysilicon storage dots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JP2009152556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20328525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JP5319092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20344370A1 (en)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JP2004241503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082656A (ja) 半導体装置
JP6282291B2 (ja) トレンチ内に電荷トラップ層を有する不揮発性メモリセル、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