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033B1 - 정션블록 - Google Patents

정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033B1
KR102144033B1 KR1020200031029A KR20200031029A KR102144033B1 KR 102144033 B1 KR102144033 B1 KR 102144033B1 KR 1020200031029 A KR1020200031029 A KR 1020200031029A KR 20200031029 A KR20200031029 A KR 20200031029A KR 102144033 B1 KR102144033 B1 KR 102144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substrate
lower case
fitting
junction block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701A (ko
Inventor
박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03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0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정션블록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정션블록은: 상부케이스로 커버하는 하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상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피씨비기판과, 피씨비기판과 하부케이스에 구비되고, 피씨비기판을 안착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결속 고정하는 결속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션블록{JUNCTION BLOCK}
본 발명은 정션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결속고정부를 이용하여 피씨비기판을 하부케이스에 탄성걸림력으로 탈부착함으로써, 볼트의 체결로 인해 발생하는 피씨비기판 손상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사이클 타임을 감소시키며, 조립작업의 단순화로 제조원가절감과 함께 전자제어 시스템의 작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정션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신경계통에 비유할 수 있으며, 전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야만 비로소 자동차는 그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전기장치들은 모두 와이어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서 전자제어장치용 컴퓨터(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이들 와이어와 ECU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로써 정션블록(Junction block, 정션박스라고도 함)이 사용된다.
정션블록은 피씨비기판을 하부케이스 상에 안착한 후 볼트를 이용하여 하부케이스 상에 체결하여 고정하고,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에 결합하므로 조립이 완료된다.
그런데, 기존의 정션블록은 하부케이스 상에 피씨비기판을 안착하여 볼트를 체결함에 있어,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를 체결시 과도한 토크로 인해 피씨비기판이 휘거나 파손되는 경우 정션블록의 작동불량이 발생되므로 A/S비용이 증가하고, 작업공수가 많이 들며, 사이클 타임이 증가에 인한 생산성 저하로 제품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0053호(2007.03.20,발명의 명칭: 차량용 모듈형 정션박스의 구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결속고정부를 이용하여 피씨비기판을 하부케이스에 탄성걸림력으로 탈부착함으로써, 볼트의 체결로 인해 발생하는 피씨비기판 손상을 방지하고, 불 필요한 사이클 타임을 감소시키며, 조립작업의 단순화로 제조원가절감과 함께 전자제어 시스템의 작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정션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션블록은, 상부케이스로 커버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 상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피씨비기판; 및 상기 피씨비기판과 상기 하부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피씨비기판을 안착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결속 고정하는 결속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고정부는, 상기 피씨비기판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홀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씨비기판을 지지하면서 걸어주어 피씨비기판을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하는 걸림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장착부는. 상기 하부케이스 상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의 상면 어느 일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부가 삽입되는 제1끼움부재; 상기 기둥부재의 상면 다른 일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부가 삽입되는 제2끼움부재; 및 상기 제1,제2끼움부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제2끼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므려져 상기 피씨비기판을 상기 하부케이스에 안착하는 안착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끼움부재와 상기 제2끼움부재는 이격부에 의해 설정간격 벌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격부는 상기 기둥부재에서 상기 제1,제2끼움부재의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벌려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격부의 하측부위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후크부는, 상기 제1끼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피씨비기판의 저면을 안착지지하도록 안착면을 갖는 안착부재; 및 상기 제2끼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피씨비기판의 상면을 걸어주는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끼움부재에는 상기 기둥부재를 거쳐 상기 하부케이스 상면에 연결 설치되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은 상기 안착부재의 상면보다 더 낮게 형성되므로 상기 피씨비기판의 저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션블록은, 결속고정부를 이용하여 피씨비기판을 하부케이스에 탄성걸림력으로 탈부착함으로써, 볼트의 체결로 인해 발생하는 피씨비기판 손상을 방지하고, 불 필요한 사이클 타임을 감소시키며, 조립작업의 단순화로 제조원가절감과 함께 전자제어 시스템의 작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에서, 하부케이스와 피씨비기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에서, 하부케이스와 피씨비기판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의 결속고정부에서, 걸림장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에서, 하부케이스와 피씨비기판의 부분 확대 조립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에서, 하부케이스와 피씨비기판의 조립단면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에서, 결속고정부의 조립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에서, 하부케이스와 피씨비기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에서, 하부케이스와 피씨비기판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의 결속고정부에서, 걸림장착부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에서, 하부케이스와 피씨비기판의 부분 확대 조립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에서, 하부케이스와 피씨비기판의 조립단면 확대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에서, 결속고정부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은, 하부케이스(100), 피씨비기판(200) 및 결속고정부(300)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100)는 상부케이스(10)로 커버하는 구성으로서, 피씨비기판(200)을 안착 지지하고 보호한다.
하부케이스(100)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차체에 안착되고, 볼트를 이용하여 차체에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10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피씨비기판(200)은 하부케이스(100) 상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구성이다. 피씨비기판(200)은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등 각종 회로가 내장되는 구성이다.
피씨비기판(200)은 하부케이스(100) 상에 안착되어 종래에는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었으나, 작업공구로 체결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휘어짐과 파손이 발생되어 정션박스의 작동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경우에는 볼트를 이용하여 피씨비기판(200)을 하부케이스(100) 상에 체결하는 대신 걸림방식의 결속고정구조를 이용하여 피씨비기판(200)을 하부케이스(100) 상에 체결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필요성이 있다.
결속고정부(300)는 피씨비기판(200)과 하부케이스(100)에 구비되고, 피씨비기판(200)을 안착하면서 분리가능하게 결속 고정하는 구성이다.
결속고정부(300)는 피씨비기판(200)을 하부케이스(1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우기만 하면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피씨비기판(200)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결속고정부(300)는, 피씨비기판(200)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홀부(310)와, 하부케이스(100)에 구비되고, 삽입홀부(310)에 삽입되어 피씨비기판(200)을 지지하면서 걸어주어 피씨비기판(200)을 하부케이스(100)에 결합하는 걸림장착부(320)를 포함한다.
걸림장착부(320)는. 하부케이스(100) 상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기둥부재(330)와, 기둥부재(330)의 상면 어느 일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삽입홀부(310)가 삽입되는 제1끼움부재(340)와, 기둥부재(330)의 상면 다른 일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삽입홀부(310)가 삽입되는 제2끼움부재(350)와, 제1,제2끼움부재(340)(350)에 각각 형성되고, 제1,제2끼움부재(340)(3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므려져 피씨비기판(200)을 하부케이스(100)에 안착하는 안착후크부(360)를 포함한다.
제1끼움부재(3340)와 제2끼움부재(350)는 이격부(370)에 의해 설정간격 벌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끼움부재(340)와 제2끼움부재(350)는 각각 내부가 비어 있는 반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재(330)는 하측으로 갈수록 확장되게 형성된다. 이로써, 기둥부재(330)는 하부케이스(100) 상에 접촉면적이 넓어지는 상태로 고정되므로 견고한 지지력을 갖는다.
이격부(370)는 기둥부재(330)에서 제1,제2끼움부재(340)(350)의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벌려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격부(370)의 상측 간격은 피씨비기판(200)의 삽입홀부(310)를 안착후크부(360)에서 후크부재(364)의 경사면으로 진입시킬 때, 제2끼움부재(350)가 제1끼움부재(340)에 닿지 않을 정도의 간격 또는 그 이상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부(370)의 하측부위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1,제2끼움부재(340)(350)는 평단면으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하도록 형성된다.
안착후크부(360)는, 제1끼움부재(330)에 구비되어 피씨비기판(200)의 저면을 안착지지하도록 안착면(363)을 갖는 안착부재(362)와, 제2끼움부재(350)에 구비되어 피씨비기판(200)의 상면을 걸어주는 후크부재(364)를 포함한다.
안착부재(362)는 제1끼움부재(340)의 일부와 기둥부재(330)를 거쳐 하부케이스(100)의 상면까지 연결 설치된다. 이로써, 안착부재(362)는 제1끼움부재(340)의 측면, 기둥부재(330)의 측면, 하부케이스(100)의 상면을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제1끼움부재(340), 기둥부재(330), 하부케이스(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제2끼움부재(350)에는 기둥부재(330)를 거쳐 하부케이스(100) 상면에 연결 설치되는 보강부재(3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재(380)의 상면은 안착부재(362)의 상면보다 더 낮게 형성되므로 피씨비기판(200)의 저면에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부재(380)는 이격부(370)의 하측부위보다 약간 더 높게 형성됨으로써, 피씨비기판(200)의 삽입홀부(310)가 후크부재(364)의 경사면을 따라 진입함에 따라 제2끼움부재(350)가 제1끼움부재(340) 측으로 점차적으로 오므려지더라도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피씨비기판(200)을 결속고정부(300)를 이용하여 하부케이스(100)에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작업자가 피씨비기판(200)을 들고서 하부케이스(100) 상에 돌출 형성된 걸림장착부(320)로 진입시킨다.
연이어, 제2끼움부재(350)의 상측에 형성된 후크부재(364)의 경사면을 따라 삽입홀부(310)가 진입함에 따라, 제2끼움부재(350)가 제1끼움부재(340) 측으로 오므려지게 된다.
그 다음, 삽입홀부(310)가 후크부재(364)의 진입 완료되는 순간 오므려져 있던 제2끼움부재(350)가 원상복귀하여 피씨비기판(200)의 상면을 걸어줌과 동시에 피씨비기판(200)의 저면은 안착부재(362)의 안착면(363) 상에 안착 지지된다.
이로써, 피씨비기판(200)은 하부케이스(100) 상에 안정적으로 조립시킬 수 있다. 반대로, 피씨비기판(200)을 하부케이스(100) 상에서 분리하고자 한다면, 제2끼움부재(350)를 강제로 오므려 줌으로써, 후크부재(364)의 걸림을 해제하여 피씨비기판(200)을 하부케이스(100) 상에서 분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은, 결속고정부를 이용하여 피씨비기판을 하부케이스에 탄성걸림력으로 탈부착함으로써, 볼트의 체결로 인해 발생하는 피씨비기판 손상을 방지하고, 불 필요한 사이클 타임을 감소시키며, 조립작업의 단순화로 제조원가절감과 함께 전자제어 시스템의 작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상부케이스 100 : 하부케이스
200 : 피씨비기판 300 : 결속고정부
310 : 삽입홀부 320 : 걸림장착부
330 : 기둥부재 340 : 제1끼움부재
350 : 제2끼움부재 360 : 안착후크부
362 : 안착부재 364 : 후크부재
370 : 이격부 380 : 보강부재

Claims (4)

  1. 상부케이스로 커버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 상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피씨비기판; 및 상기 피씨비기판과 상기 하부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피씨비기판을 안착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결속 고정하는 결속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고정부는, 상기 피씨비기판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홀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씨비기판을 지지하면서 걸어주어 피씨비기판을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하는 걸림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장착부는. 상기 하부케이스 상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의 상면 어느 일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부가 삽입되는 제1끼움부재; 상기 기둥부재의 상면 다른 일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부가 삽입되는 제2끼움부재; 및 상기 제1,제2끼움부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제2끼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므려져 상기 피씨비기판을 상기 하부케이스에 안착하는 안착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후크부는,
    상기 제1끼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피씨비기판의 저면을 안착지지하도록 안착면을 갖는 안착부재; 및
    상기 제2끼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피씨비기판의 상면을 걸어주는 후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제1끼움부재의 측면일부와 상기 기둥부재의 측면을 거쳐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면까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부재와 상기 제2끼움부재는 이격부에 의해 설정간격 벌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기둥부재에서 상기 제1,제2끼움부재의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벌려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격부의 하측부위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끼움부재에는 상기 기둥부재를 거쳐 상기 하부케이스 상면에 연결 설치되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은 상기 안착부재의 상면보다 더 낮게 형성되므로 상기 피씨비기판의 저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KR1020200031029A 2020-03-12 2020-03-12 정션블록 KR102144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029A KR102144033B1 (ko) 2020-03-12 2020-03-12 정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029A KR102144033B1 (ko) 2020-03-12 2020-03-12 정션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518A Division KR102101453B1 (ko) 2018-12-11 2018-12-11 정션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701A KR20200071701A (ko) 2020-06-19
KR102144033B1 true KR102144033B1 (ko) 2020-08-12

Family

ID=7113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029A KR102144033B1 (ko) 2020-03-12 2020-03-12 정션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879B1 (ko) * 2021-01-27 2022-10-11 주식회사 경신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39Y1 (ko) * 2008-11-27 2010-12-0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피씨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701A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031B1 (ko) 정션블록
US6772982B2 (en) Mounting structure
KR102144033B1 (ko) 정션블록
KR102144034B1 (ko) 정션블록
KR102144032B1 (ko) 정션블록
US7628446B2 (en) Vehicular rear cargo module
KR102101453B1 (ko) 정션블록
JP5464731B2 (ja)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および電気接続箱
US5753859A (en) Fitting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ion box
KR100203160B1 (ko) 자동차 축전지의 취부구조
KR102452879B1 (ko)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
KR100588307B1 (ko) 차량용 트림 고정 파스너
JP2006160086A (ja) 車両用熱交換器の取付構造
US20090058129A1 (en) Integrated Switch Mount and Harness Hook
KR101273903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CN112555063B (zh) 一种碳罐系统安装结构
KR20080040529A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CN210047403U (zh) 车门和车辆
JP2007056908A (ja) 取付ブラケット
KR0117338Y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쿠션 설치구조
KR0140221Y1 (ko) 차량용 파워 트레인 탑재용 브라켓 구조
KR100369000B1 (ko) 자동차의 매트 장착구조
KR100406711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KR100817216B1 (ko) 자동차용 냉각기의 설치구조
CN115596764A (zh) 紧固连接件及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