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879B1 -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879B1
KR102452879B1 KR1020210011886A KR20210011886A KR102452879B1 KR 102452879 B1 KR102452879 B1 KR 102452879B1 KR 1020210011886 A KR1020210011886 A KR 1020210011886A KR 20210011886 A KR20210011886 A KR 20210011886A KR 102452879 B1 KR102452879 B1 KR 102452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limiting
movement
installation bracke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652A (ko
Inventor
서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01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87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블록본체와, 블록본체의 일측을 차체에 슬라이드 조립하여 블록본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슬라이드조립부와, 블록본체의 타측을 차체에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JUNCTION BLOCK GUID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졍션블록을 차체에 설치하는 데 있어, 블록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슬라이드조립부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조립으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고, 블록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된 하나의 체결부재를 이용히여 차체에 결합함으로써, 다수개의 체결부재 중 대부분의 체결부재를 삭제하여 부품수와 작업공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신경계통에 비유할 수 있으며, 전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야만 비로소 자동차는 그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전기장치들은 모두 와이어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서 전자제어장치용 컴퓨터(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이들 와이어와 ECU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로써 정션블럭(Junction Block), 정션박스라고도 함)이 사용된다.
이와같이, 정션블럭은 기본 골격을 형성하고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블록본체와, 블록본체의 상부에서 설치되는 상부커버와, 블록본체와 상부커버를 상호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기존의 졍션블록은 다수개 즉 적어도 4개 이상의 볼트 및 너트의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 등에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공수가 증가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전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0053호(2007.03.20,발명의 명칭: 차량용 모듈형 정션박스의 구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졍션블록을 차체에 설치하는 데 있어, 블록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슬라이드조립부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조립으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고, 블록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된 하나의 체결부재를 이용히여 차체에 결합함으로써, 다수개의 체결부재 중 대부분의 체결부재를 삭제하여 부품수와 작업공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을 차체에 슬라이드 조립하여 상기 블록본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슬라이드조립부; 및 상기 블록본체의 타측을 차체에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조립부는,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설치브라켓; 및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설치브라켓에 구비되고, 상기 블록본체를 상기 설치브라켓에 슬라이드 결합하여 수평 및 수직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제한부는,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설치브라켓에 구비되고, 상기 설치브라켓에 대한 상기 블록본체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수평이동제한부; 및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설치브라켓에 구비되고, 상기 설치브라켓에 대한 상기 블록본체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수직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이동제한부는, 상기 설치브라켓에 관통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진입홀; 상기 제1진입홀의 단부측에서 ㄱ자 형상으로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제한홀; 상기 블록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진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하측 슬라이드 이동으로 상기 수평제한홀에 진입되어 걸려져서 상기 블록본체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수평제한돌기; 및 상기 수평제한돌기에서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상기 제1진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하측 슬라이드 이동으로 상기 설치브라켓에 걸려져서 상기 블록본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이동제한부는, 상기 설치브라켓의 전후측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진입홀; 상기 제2진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하측 이동으로 상기 블록본체의 수직 이동을 제한하는 수직제한돌기; 및 상기 수직제한돌기에서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상기 제2진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하측 슬라이드 이동으로 상기 설치브라켓에 걸려져서 이탈을 방지하는 제2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는, 졍션블록을 차체에 설치하는 데 있어, 블록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슬라이드조립부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조립으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고, 블록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된 하나의 체결부재를 이용히여 차체에 결합함으로써, 다수개의 체결부재 중 대부분의 체결부재를 삭제하여 부품수와 작업공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더ㅗ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에서, 수평이동제한부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에서, 수직이동제한부의 확재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의 요부 저면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에서, 수평이동제한부의 조립 과정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에서, 수직이동제한부의 조립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더ㅗ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에서, 수평이동제한부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에서, 수직이동제한부의 확재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의 요부 저면 조립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에서, 수평이동제한부의 조립 과정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에서, 수직이동제한부의 조립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는, 블록본체(100), 슬라이드조립부(200) 및 체결부(500)를 포함한다.
블록본체(100)는 졍션블록의 외형을 형성하고,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구성이다.
블록본체(100)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미도시된 와이어링이 하측으로 인출되어 다른 전장부품으로 연결된다.
슬라이드조립부(200)는 블록본체(100)의 일측을 차체(10)에 슬라이드 조립하여 블록본체(100)의 이동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슬라이드조립부(200)는, 차체(10)에 설치되고, 블록본체(10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설치브라켓(300)과, 블록본체(100)의 일측면과 설치브라켓(300)에 구비되고, 블록본체(100)를 설치브라켓(300)에 슬라이드 결합하여 수평 및 수직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제한부(400)를 포함한다.
블록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설치브라켓(300)과 설정간격 이격되는 상태로 접촉되게 하는 간격유지돌부(1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간격유지돌부(110)는 블록본체(100)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설정간격 돌출되고, 상하 길이방향으로 한 쌍씩 2개 형성된다. 물론, 간격유지돌부(110)의 형성되는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설치브라켓(300)에는 차체(10)에 결합되도록 일측면에서 벤딩되어지는 벤딩장착부(310)가 형성된다.
벤딩장착부(310)와 설치브라켓(300)의 연결부위에는 리브형상의 강도보강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320)는 설치브라켓(300)과 벤딩장착부(310)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형성하면서 함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도보강부(320)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측면에는 프레스로 눌러준 함몰홈이 형성된다.
가이드제한부(400)는, 블록본체(100)의 일측면과 설치브라켓(300)에 구비되고, 설치브라켓(300)에 대한 블록본체(100)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수평이동제한부(410)와, 블록본체(100)의 일측면과 설치브라켓(300)에 구비되고, 설치브라켓(300)에 대한 블록본체(1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수직이동제한부(42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평이동제한부(410)는, 설치브라켓(300)에 관통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진입홀(412)과, 제1진입홀(412)의 단부측에서 ㄱ자 형상으로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제한홀(414)과, 블록본체(100)에 구비되어 제1진입홀(412)에 삽입되고, 블록본체(100)의 하측 슬라이드 이동으로 수평제한홀(414)에 진입되어 걸려져서 블록본체(100)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수평제한돌기(416)와, 수평제한돌기(416)에서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제1진입홀(412)에 삽입되고, 블록본체(100)의 하측 슬라이드 이동으로 설치브라켓(300)에 걸려져서 블록본체(100)의 전측 이탈을 방지하는 제1걸림돌기(418)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제한부(410)를 이용하여 설치브라켓(300)에서 블록본체(100)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살펴 보면, 블록본체(100)에 구비된 수평제한돌기(416)와 제1걸림돌기(418)을 설치브라켓(300)에 구비된 제1진입홀(412)에 삽입한다.
연이어, 블록본체(100)를 하측으로 이동하면, 설치브라켓(300)의 수평제한홀(414)에 블록본체(100)의 수평제한돌기(416)가 삽입되어 좌우측으로 걸리지므로 블록본체(100)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본체(100)의 제1걸림돌기(418)는 설치브라켓(300)의 전측에 걸려지므로 블록본체(100)는 설치브라켓(300)에서 전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직이동제한부(420)는, 설치브라켓(300)의 전후측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진입홀(422)과, 제2진입홀(422)에 삽입되고, 블록본체(100)의 하측 이동으로 블록본체(100)의 수직 이동을 제한하는 수직제한돌기(424)와, 수직제한돌기(424)에서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제2진입홀(422)에 삽입되고, 블록본체(100)의 하측 슬라이드 이동으로 설치브라켓(300)에 걸려져서 전측 이탈을 방지하는 제2걸림돌기(426)를 포함한다.
제2걸림돌기(426)는 슬라이드구속부(430)에 의해 설치블록(100)에서 슬라이드 이탈이 방지된다.
슬라이드구속부(430)는, 제2걸림돌기(426)의 저면에 걸림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부(432)와, 이탈방지돌부(432)에 걸리도록 설치브라켓(300)에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턱부(434)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돌부(432)는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탈방지턱부(434)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압하면서 삼각형상의 돌기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제한부(410)와 슬라이드구속부(430)를 이용하여 설치브라켓(300)에서 블록본체(1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살펴 보면, 불록본체(100)의 수직제한돌기(424)와 제2걸림돌기(426)를 설치브라켓(300)의 제2진입홀(422)에 삽입한다.
연이여, 블록본체(100)를 설치브라켓(300)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면, 수직제한돌기(424)가 제2진입홀(422)의 하측 가장자리에 걸리면서 하측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블록본체(100)의 재2걸림돌기(426)가 설치브라켓(300)에 걸리므로 블록본체(100)가 설치브라켓(300)의 전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걸림돌기(426)의 저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돌부(432)는 설치브라켓(300)의 이탈방지턱부(434)에서 이동하면서 탄성적으로 젖혀 졌다가 진입이 완료되는 순간 탄성 복원되면서 이탈방지턱부(434)에 걸려져 블록본채(10O)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500)는 블록본체(100)의 타측을 차체(10)에 체결하는 구성이다.
체결부(500)는, 블록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장착플랜지(510)와, 장착플랜지(510)의 끼움홀(512)에 삽입되어 차체(1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52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는 볼트 또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결부(500)는 1개소 구비된다. 이로써, 종래와 달리 체결부재(500)의 장착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는, 졍션블록을 차체에 설치하는 데 있어, 블록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슬라이드조립부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조립으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고, 블록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된 하나의 체결부재를 이용히여 차체에 결합함으로써, 다수개의 체결부재 중 대부분의 체결부재를 삭제하여 부품수와 작업공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차체 100: 블록본체
210: 간격유지돌부 200: 슬라이드결합부
300: 설치브라켓 310: 벤딩장착부
320: 강도보강부 400: 가이드제한부
410: 수평이동제한부 412: 제1진입홀
414: 수평제한홀 416: 수평제한돌기
418: 제1걸림돌기 420: 수직이동제한부
422: 제2진입홀 424: 수직제한돌기
426: 제2걸림돌기 430: 슬라이드구속부
432: 이탈방지돌부 434: 이탈방지턱부
500: 체결부 510: 장착플랜지
512: 끼움홀 520: 체결부재

Claims (5)

  1. 외형을 형성하고,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을 차체에 슬라이드 조립하여 상기 블록본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슬라이드조립부; 및 상기 블록본체의 타측을 차체에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조립부는,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설치브라켓; 및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설치브라켓에 구비되고, 상기 블록본체를 상기 설치브라켓에 슬라이드 결합하여 수평 및 수직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제한부는,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설치브라켓에 구비되고, 상기 설치브라켓에 대한 상기 블록본체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수평이동제한부; 및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설치브라켓에 구비되고, 상기 설치브라켓에 대한 상기 블록본체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수직이동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이동제한부는, 상기 설치브라켓의 전후측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진입홀; 상기 제2진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하측 이동으로 상기 블록본체의 수직 이동을 제한하는 수직제한돌기; 및 상기 수직제한돌기에서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상기 제2진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하측 슬라이드 이동으로 상기 설치브라켓에 걸려져서 이탈을 방지하는 제2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제한부는,
    상기 설치브라켓에 관통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진입홀;
    상기 제1진입홀의 단부측에서 ㄱ자 형상으로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제한홀;
    상기 블록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진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하측 슬라이드 이동으로 상기 수평제한홀에 진입되어 걸려져서 상기 블록본체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수평제한돌기; 및
    상기 수평제한돌기에서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상기 제1진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하측 슬라이드 이동으로 상기 설치브라켓에 걸려져서 상기 블록본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

  5. 삭제
KR1020210011886A 2021-01-27 2021-01-27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 KR102452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86A KR102452879B1 (ko) 2021-01-27 2021-01-27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86A KR102452879B1 (ko) 2021-01-27 2021-01-27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652A KR20220108652A (ko) 2022-08-03
KR102452879B1 true KR102452879B1 (ko) 2022-10-11

Family

ID=8284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886A KR102452879B1 (ko) 2021-01-27 2021-01-27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8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143B1 (ko) * 2016-10-19 2018-01-19 주식회사 경신 배선장치
KR102112158B1 (ko) 2019-02-12 2020-05-18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소음저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430B1 (ko) *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102144031B1 (ko) * 2020-03-12 2020-08-12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
KR102144033B1 (ko) * 2020-03-12 2020-08-12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143B1 (ko) * 2016-10-19 2018-01-19 주식회사 경신 배선장치
KR102112158B1 (ko) 2019-02-12 2020-05-18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소음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652A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3137B2 (ja) 電気接続箱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H1120573A (ja) ワイヤハーネスの取付け構造
JPH065322U (ja) ワイヤハーネス用成形プロテクタのアース端取着部
US6644987B2 (en) Surface mounted receptacle assembly
KR102452879B1 (ko) 졍션블록용 가이드 고정장치
CN1471199A (zh) 连接器的连接结构
JP3638070B2 (ja) J/bのコネクタ接続構造
US5405035A (en) Junction box case locking structure
KR102144031B1 (ko) 정션블록
JP5299699B2 (ja) 電気接続箱
US10399517B2 (en) Vehicle-mounted component
KR102144034B1 (ko) 정션블록
JPH09283208A (ja) コネクタの取付構造
KR101830403B1 (ko)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2144033B1 (ko) 정션블록
JP2598413Y2 (ja) ケース部材における取付構造
JP3929687B2 (ja)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CN1239842A (zh) 电接线盒的安装结构
KR102144032B1 (ko) 정션블록
KR102463366B1 (ko) 노이즈필터 일체형 커넥터
US20230352254A1 (en) Switch unit
KR100461057B1 (ko) 자동차용 펜더패널과 범퍼커버의 결합구조
JP7444082B2 (ja) 電気接続箱
JP3923269B2 (ja) 電気接続箱の結合構造
KR102101453B1 (ko) 정션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