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711B1 -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711B1
KR100406711B1 KR10-2001-0049877A KR20010049877A KR100406711B1 KR 100406711 B1 KR100406711 B1 KR 100406711B1 KR 20010049877 A KR20010049877 A KR 20010049877A KR 100406711 B1 KR100406711 B1 KR 100406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grip
boss
leaf spring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992A (ko
Inventor
장삼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71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6Mounting of windows characterised by fixation means such as clips, adhesive, et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2Rectilinearly moving bolt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글래스를 견고히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글래스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됨으로써 안정된 승강동작을 도모할 수 있고, 별도의 볼트와 인서팅 너트등이 불필요하여 부품수 감소에 따른 코스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귤레이터 레일(1)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면에 도어 글래스(20)의 관통구멍(21)에 끼워 삽입되는 보스(110)가 연장 형성된 그립 본체(100)와; 그립 본체(100)의 일측면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는 보스(110)의 상단부에 끼워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210)이 형성되고, 도어 글래스(20)를 가압지지하는 판 스프링(20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DOOR GLASS GRIP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글래스 그립은, 도어 글래스의 하부 양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승강장치인 레귤레이터 레일상에 결합되어 레귤레이터 모터에 의해 레귤레이터 레일 이동될 때 함께 이동되면서 도어 글래스를 승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도어 글래스 그립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면, 도 4에서와 같이,바디(10)의 전면은 레귤레이터 레일(1)과 결합되고, 후면에는 도어 글래스(20)의 관통구멍(21)에 끼워 삽입되는 가압부(11)가 마련됨으로서 일측에서 탭핑 스크류(S)를 체결하면, 가압부(11)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도어 글래스(20)의 관통구멍(21)내측에서 가압지지되어 결과적으로 도어 글래스(20)가 바디(10)상에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는 도어 글래스 그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는 바, 이는, 내면에 삽입홈(31)이 형성된 경질의 바디(30)를 구비한다.
이 바디(30)의 전면에는 좌,우측을 관통하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되며, 일측의 관통구멍(32)상에는 인서트에 의해 너트(N)가 일체로 마련된다.
따라서 바디(30)의 삽입홈(31)으로 도어 글래스(20)를 끼워 삽입하여, 도어 글래스(20)의 관통구멍(21)과 바디(30)의 관통구멍(3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바디(30)의 일측으로 부터 볼트(B)를 너트(N)를 향해 체결하게 되면, 도어 글래스(20)가 바디(30)상에 견고히 장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술한 도어 글래스 그립에 있어서는, 도어 글래스(20)의 승강 불량 등에 의해 탭핑 스크류(S)를 풀고 조이는 과정을 반복함에 의해 체결력이 저하되어 도어 글래스(20)가 유동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한편, 후술한 도 5의 도어 글래스 그립에 있어서는, 볼트(B)와 너트(N)를 체결하여 도어 글래스(20)를 바디(30)에 위치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경질의 바디(30) 표면이 도어 글래스(20)에 밀착됨으로써 도어 글래스(20)의 표면 손상이 야기되는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때 특히 도어 글래스(20)의 표면 손상이 심각하게 야기되는 부분은, 너트(N)가 인서팅된 부분에서 심각하게 발생된다.
이는 너트(N)가 인서팅된 바디(30)의 내측면에 표면이 미세하나마 돌출되는 변형이 야기되기 때문에 강한 힘으로 체결되는 과정에서 돌출된 부분과 도어 글래스(20)의 표면간에 집중적인 힘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 글래스를 견고히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글래스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됨으로써 안정된 승강동작을 도모할 수 있고, 별도의 볼트와 인서팅 너트등이 불필요하여 부품수 감소에 따른 코스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귤레이터 레일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면에 도어 글래스의 관통구멍에 끼워 삽입되는 보스가 연장 형성된 그립 본체와; 상기 그립 본체의 일측면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는 보스의 상단부에 끼워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도어 글래스를 가압지지하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래스 그립의 분리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4 및 도 5는 종래 도어 글래스 그립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 도어 글래스 21 : 관통구멍 100 : 그립 본체
101 : 나사홈 110 : 보스 111 : 제 1 바디
112 : 제 2 바디 113 : 플랜지 200 : 판 스프링
210 : 삽입홈 S : 나사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그립 본체(100)와 판 스프링(200)으로 대별되다.
그립 본체(100)는, 레귤레이터 레일(1)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심면에는 도어 글래스(20)의 관통구멍(21)에 끼워 삽입되는 보스(boss;11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그립 본체(100)는 레귤레이터 레일(1)상에 끼워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로 유동될 우려가 있다.
이때 물론 전체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는 도어 글래스(20)의 좌,우측이 글래스 런(미도시) 등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유동되지 않지만, 조립 라인에서 좌,우로 유동되어 작업성을 저해할 우려가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립 본체(100)의 후면에 소정깊이로 나사홈(101)을 형성하고, 대응되는 레귤레이터 레일(1)에 관통구멍(1a)을 형성한 뒤 나사(S)를 체결함으로써 상호간에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한 판 스프링(200)은, 그립 본체(100)의 일측면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어 글래스(20)의 관통구멍(21)이 보스(110)에 끼워 삽입된 상태에서 보스(110)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도어 글래스(20)를 가압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판 스프링(200)의 단부에는 보스(110)에 끼워 삽입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210)이 형성된다.
또한 판 스프링(200)의 하면에는 즉, 삽입홈(210)의 주변부에는 도어 글래스(20)의 표면을 균일하게 가압 지지할 수 있도록 절곡된 도어 글래스(20)를 향해 절곡된 가압면(220)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보스(110)의 상세한 형태를 보면, 하단부로 부터 도어 글래스(20)의 관통구멍(21)이 끼워 삽입되는 제 1 바디(111)와, 판 스프링(200)의 삽입홈(210)이 끼워 삽입되며, 제 1 바디(111)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갖는 제 2 바디(112) 그리고 판 스프링(200)의 삽입홈(210)이 끼워 삽입된 상태에서 판 스프링(200)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플랜지(flange;113)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그립 본체(100)를 레귤레이터 레일(1)에 끼워 삽입하고, 상호간을 나사(S)체결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위치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 글래스(20)의 관통구멍(21)을 그립 본체(100)의 중심면에 돌출 형성된 보스(110)에 더 상세히는 보스(110)의 제 1 바디(111)상에 끼워 삽입한다.
이때 판 스프링(200)은 일측으로 젖혀 도어 글래스(20)가 결합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이 도어 글래스(20)를 그립 본체(100)의 보스(110)에 끼워 삽입한 상태에서 판 스프링(200)을 보스(110)의 제 2 바디(112)에 끼워 삽입한다.
이때 판 스프링(200)의 단부에는 일측이 개구된 삽입홈(21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며, 동시에 플랜지(113)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판 스프링(20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삽입홈(210)의 주변부에 절곡 형성된 가압면(22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글래스(20)는 균일하게 가압되어유동되지 않도록 장착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 작업 없이 그립 본체에 일체로 마련된 판 스프링을 통해 도어 글래스를 유동없이 장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품수 감소에 따른 코스트 절감과 작업성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으며, 특히 종래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도어 글래스의 표면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레귤레이터 레일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면에 도어 글래스의 관통구멍에 끼워 삽입되는 보스가 연장 형성된 그립 본체와;
    상기 그립 본체의 일측면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는 보스의 상단부에 끼워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도어 글래스를 가압지지하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하단부로 부터 도어 글래스의 관통구멍이 끼워 삽입되는 제 1 바디와, 판 스프링의 삽입홈이 끼워 삽입되는 제 2 바디 그리고 판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일측면에는 도어 글래스의 표면을 향해 절곡된 가압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KR10-2001-0049877A 2001-08-20 2001-08-20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KR100406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877A KR100406711B1 (ko) 2001-08-20 2001-08-20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877A KR100406711B1 (ko) 2001-08-20 2001-08-20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992A KR20030015992A (ko) 2003-02-26
KR100406711B1 true KR100406711B1 (ko) 2003-11-21

Family

ID=2771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877A KR100406711B1 (ko) 2001-08-20 2001-08-20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7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992A (ko)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359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JP2001155826A (ja) パネルへのコネクタ取付構造
JP2005263146A (ja)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取付構造
KR100406711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KR100402864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KR100423827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KR100397120B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KR100588307B1 (ko) 차량용 트림 고정 파스너
KR20040005803A (ko) 자동차의 리어 셀프트림
JP2564406Y2 (ja) 車載用スピーカの取付構造
KR100527745B1 (ko) 차량의 도어 힌지 결합구조
KR100309347B1 (ko) 자동차의 번호판등 장착구조
JP2001108017A (ja) 自動車部品の免振搭載構造
KR970006254Y1 (ko) 카스테레오의 고정구조
KR100403416B1 (ko) 자동차용 일체형 도어 모듈의 위치 설정 핀 구조
KR100427817B1 (ko) 자동차용 후드레버
KR100410755B1 (ko) 프론트사이드멤버와 서브프레임 사이의 체결용 너트구조
KR100465205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구조
KR970000413Y1 (ko) 자동차의 크러시 패드 고정구조
KR100380170B1 (ko) 자동차 트렁크의 릴리즈 커버 취부구조
KR100201238B1 (ko) 엔진 마운틴 브라켓트
KR100394732B1 (ko) 고정브라켓이 구비된 크래쉬 패드
JP3812448B2 (ja) スピーカボックス
KR200219632Y1 (ko) 자동차 범퍼의 램프 취부 구조
JP2000032627A (ja) 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