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790B1 -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및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및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790B1
KR102141790B1 KR1020190061608A KR20190061608A KR102141790B1 KR 102141790 B1 KR102141790 B1 KR 102141790B1 KR 1020190061608 A KR1020190061608 A KR 1020190061608A KR 20190061608 A KR20190061608 A KR 20190061608A KR 102141790 B1 KR102141790 B1 KR 102141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wire
flux
less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336A (ko
Inventor
겐타 야마사키
겐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200000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23K35/0266Rods, electrodes, wires flux-co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와이어 제조 시와 용접 시의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을 방지함과 함께, 용접 시에 용락되기 어렵고, 슬래그 발생량과 그의 박리가 적으며, 스패터 발생량이 적은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한 플럭스의 충전율이 14.0질량% 이상, 20.0질량% 이하이고,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 중에 Cr: 19.0질량% 이하, 슬래그 조재제: 0.2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를 함유하며,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의 합계로, Cr, Si, Al, Ti, N, 알칼리 금속의 합계, 불화물(F 환산값), Mo, Nb를 소정량 함유하고, S를 0.040질량% 이하로 규제한다.

Description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및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METAL-BASED FLUX CORED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BASED FLUX CORED WIRE}
본 발명은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및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배기계의 핫 엔드부터 콜드 엔드에 걸친 부품, 이그조스트 매니폴드, 컨버터, 머플러에는, 내식성, 내산화성의 향상과 경량화를 지향하여, JIS 규격에 규정되는 SUS444, 429, 430J1L, 436J1L, SUH409L 등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박강판의 프레스 성형품이나 파이프류가 다용되어 왔다. 이들 프레스 성형품이나 파이프류의 판 두께는 1.5mmt나 1.0mmt 정도이고, 근년에는 0.8mmt, 0.5mmt 등, 박육화되는 경향이 있다.
용접 이음은, 프레스 성형품끼리를 서로 겹치거나, 또는 서로 겹친 프레스 성형품에 파이프를 꽂거나, 또는 파이프에 파이프를 꽂은 겹치기 필릿 용접 이음이 되고, 가공 정밀도의 격차로 인해 판과 판 사이나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에는 대략 0.5mm 정도의 극간이 생길 수 있다. 용접 방법으로서는 가스 실드 아크 용접, 보다 상세하게는 MAG 용접 또는 실드 가스로서 불활성 가스에 수% 이상의 활성 가스를 혼합한 MIG 용접이 이용되고, 용접용 와이어에는, 일반적으로는, 와이어 전체 질량당 10∼19질량% 정도의 Cr을 함유한, 와이어 선경(線徑) 1.2mmφ의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가 이용된다. 이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근년에는, 내식성이나 내산화성의 향상을 목표로 하여 고합금화되는 경향이 있다.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강제(鋼製) 외피 내에 플럭스가 충전된 것이다. 그의 제조 방법은, 우선 강제 외피를 구성하는 강대(鋼帶)를 준비하고, 강대를 긴 방향으로 보내면서 성형 롤로 성형하여 U자 형상의 오픈관으로 한 후, 오픈관의 내부에 소정의 화학 조성이 되도록 각종 원료를 배합한 플럭스를 충전하고, 오픈관의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가공한 뒤에 추가로 복수회의 신선을 거쳐 제품 와이어 지름까지 축경(縮徑)한다. 한편, 와이어의 제조 도중에, 소둔이나 베이킹 등의 열처리를 행하는 경우도 있다.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사용은, 이들 스풀(spool)품이나 팩(pack)품을 용접 로봇이나 자동 용접기, 또는 반자동 용접기 등의 송급 장치에 고정시켜 놓고, 와이어를 인출하여 용접에 이용한다.
여기에서 종래 기술의 과제를 기술한다. 와이어의 제조 시에 와이어에 단선이나 꺾임이 발생하면, 해당 부분을 포함시킨 전후, 수 미터 내지 수십 미터의 와이어는 폐각함과 함께, 다시 와이어를 고쳐 연결하여 제조 설비로의 선통(線通)을 행하는 복귀 작업이 발생한다. 또한, 용접 시에 스풀이나 팩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에 단선이나 꺾임이 발생하면, 용접되어야 할 개소에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필요한 용접 비드 길이가 얻어지지 않는 것과 같은 불량품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의 손질 작업이나, 다시 와이어를 고쳐 송급하여 용접 라인을 재기동하는 복귀 작업이 발생한다. 즉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은 와이어의 제조 시, 용접 시 모두 수율의 저하, 생산성의 저하를 야기하기 때문에, 그의 억제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용접 이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과 판 사이,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에 극간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극간은, 용접 시에 용락(溶落), 구체적으로는 용융 금속이 판을 관통하여 처져 떨어져서 구멍을 내 버리는 원인이 되어, 불량률의 증가, 손질의 발생 등, 공정 전체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박강판 자체가 한층 박육화되어 용락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되고 있는 요즘, 용접용 와이어에는, 용락을 일으키기 어려울 것이 보다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 자동차 배기계는 내부를 배기 가스가 흐르는 구조체이고, 그 때문에 파이프의 내면 용접 등으로 발생한 슬래그가 박리되어 내부에 잔존하면, 배기 가스의 흐름을 저해하여, 소음이나 배기 효율의 저하, 나아가서는 폐색의 원인이 된다. 또한, 머플러 등 비교적 남의 눈에 띄기 쉬운 개소에서는 돋보임도 중요하여, 용접 비드에 드문드문 슬래그가 남아 있거나, 또는 용접물에 다량의 용접 스패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은 최대한 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때문에 용접용 와이어에는, 슬래그 발생량이 적고 그의 박리가 적을 것, 스패터 발생량이 적을 것이 요구된다.
이상의 과제에 대해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시의 단선의 방지를 도모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와이어 소선을 복수의 카세트형 롤러 다이 유닛군으로 연속적으로 신선하고, 각 카세트형 롤러 다이 유닛군의 감면율을 적절히 조정하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강제 외피에 10∼18질량%의 Cr을 포함하는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고, 그 중에 Cr, Mn, Si를 소정량으로 한 플럭스를 소정의 플럭스 충전율로 함유시킴으로써, 와이어 제조 시의 단선의 억제를 도모한 플럭스 심(芯) 용접 와이어라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연강 또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강제 외피로서 이용하고, 소정량의 Si, Cr, Al, Ti, N, F를 함유시킨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강제 외피에 연강 또는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고, 슬래그 조재제(造滓劑), Ti, Si, N, Al, 불화물, 알칼리 금속, S, Nb를 소정량으로 한 플럭스를 소정의 플럭스 충전율로 함유시킨,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11-285892호 공보 일본 특허공표 2014-524841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9-8549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3-24329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박강판의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로서는, 슬래그 발생량과 함께 슬래그의 박리가 많았다. 또한 용착 금속이 오스테나이트상 주체가 되어, 용접 이음으로서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박강판과의 선팽창 계수의 차이에 의한 열 피로가 염려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와이어 중에 불화물이나 알칼리 금속을 일절 함유하고 있지 않아, 아크 안정성이 나쁘고 내용락성이 열화됨과 함께 스패터 발생량이 많았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비드 형상, 아크 안정성이 불충분하고, 내용락성이 열화됨과 함께 스패터 발생량이나 슬래그 발생량과 그의 박리가 많았다. 또,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플럭스 충전율이 높기 때문에, 와이어의 제조 시와 용접 시에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이 발생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와이어 제조 시와 용접 시의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을 방지함과 함께, 용접 시에 용락되기 어렵고, 슬래그 발생량과 그의 박리가 적으며, 스패터 발생량이 적은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및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강제 외피에 플럭스가 충전된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의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로서,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한 플럭스의 충전율이 14.0질량% 이상, 20.0질량% 이하이고,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 중에
Cr: 19.0질량% 이하(0질량% 포함함),
슬래그 조재제: 0.2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를 함유하며,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의 합계로,
Cr: 10.0질량% 이상, 19.0질량% 이하,
Si: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Al: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Ti: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N: 0.002질량% 이상, 0.100질량% 이하,
알칼리 금속의 합계: 0.01질량% 이상, 0.10질량% 이하,
불화물(F 환산값): 0.002질량% 이상, 0.050질량% 이하,
Mo: 0.002질량% 이상, 1.30질량% 이하,
Nb: 0.002질량% 이상, 0.9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S: 0.040질량% 이하(0질량% 포함함)로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의 합계로,
Cu: 0.30질량% 이하(0질량% 포함함),
Ni: 0.30질량% 이하(0질량% 포함함)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강제 외피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은,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으로서, 열처리를 행하지 않고, 롤러 다이에 의해 마무리 신선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 제조 시와 용접 시의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을 방지함과 함께, 용접 시에 용락되기 어렵고, 슬래그 발생량과 그의 박리가 적으며, 스패터 발생량이 적은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및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에 이용되는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 와이어 제조 시와 용접 시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 용접 시의 용락, 슬래그량 및 박리, 스패터 발생량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행했다. 그 결과, 이하의 지견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
본 발명자들은, 와이어 제조 시와 용접 시의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에는,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의 충전율과 플럭스 중의 Cr 함유량이 관여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강제 외피의 강종에 상관없이 플럭스 충전율이 높을수록 제품 와이어 지름이 되었을 때의 강제 외피가 과도하게 박육화되어 단선이나 꺾임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 플럭스 중의 Cr 함유량이 많을수록 강제 외피의 내면 측에 플럭스 중의 Cr에 의한 먹어 들어감이 증가하여 단선이나 꺾임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의 충전율을 소정 범위로 규정하고, 또한 플럭스 중의 Cr 함유량을 소정량 이하로 제한함과 함께 강제 외피와 플럭스를 포함하는 와이어 전체에서 차지하는 Cr 함유량을 소정 범위로 규정하는 것이, 와이어 제조 시와 용접 시의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의 발생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것을 발견했다. 여기에서, 와이어 전체 질량은 강제 외피의 전체 질량+플럭스의 전체 질량을 가리키고, 플럭스의 충전율은 플럭스 전체 질량/와이어 전체 질량×100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와이어의 제조 방법으로서, 베이킹이나 소둔 등의 열처리는 행하지 않고, 와이어 선경의 마무리를 롤러 다이에 의한 압연 마무리(마무리 신선 가공)로 함으로써, 제품 와이어 지름이 되었을 때의 강제 외피의 과도한 박육화가 완화되어, 와이어 제조 시 및 용접 시의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킹이란, 산화 분위기하에서 와이어를 가열하여, 와이어의 윤활제를 분해 연소시켜 제거하거나, 수분을 제거하거나 하는 처리를 의미한다. 또한, 소둔이란, 비산화성 분위기하에서 와이어를 가열하여, 와이어의 가공 경화를 완화하거나, 수분을 제거하거나 하는 처리를 의미한다.
<용락>
본 발명자들은, 용락에는, 용적의 이행성이 관여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용접 시에 와이어 선단에 형성된 용적이 신속하고 또한 균일한 빈도로 모재로 이행하는 경우, 즉 용적의 이행 시간이 짧고 또한 균일한 경우는, 용착 속도가 빨라져 아크가 모재에 직접 닿는 것이 회피되어서 용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용적의 이행 시간을 짧고 또한 균일화시키기 위해 강제 외피, 플럭스 원료를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Si와 N은 용적의 입경을 잘게 하여, Al은 용적의 형성을 촉진하여, 용적의 이행 시간을 짧고 또한 균일하게 하는 것, 한편 Mo는 용착 속도를 감소시켜 용적의 이행 시간을 길고 또한 불균일하게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크의 안정성도 용적의 이행성에 대해서 중요한 인자이고, Ti와 알칼리 금속, F는 아크의 안정성을 높여 용적의 이행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와이어 전체 질량당 소정량의 Si, N, Al, Ti, 알칼리 금속, F를 함유시키고, 추가로 Mo를 제한하는 것이, 용락의 발생을 방지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것을 발견했다.
<슬래그 발생량과 박리>
본 발명자들은, 슬래그 발생량에는, 와이어 중의 슬래그 조재제와 Ti가 관여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슬래그 조재제가 많을수록, Ti가 많을수록 슬래그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i는 용접 중에 산화되어 슬래그가 되고, 이것이 슬래그 발생량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와이어 중의 Nb와 S가 슬래그의 소부(燒付)에 관여하여, 박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Nb는 슬래그를 소부시키고, S는 슬래그를 소부시키기 어렵게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와이어 전체 질량당 슬래그 조재제와 Ti를 소정 범위로 하고, Nb를 소정량 함유시키고, S를 규제하는 것이, 슬래그 발생량을 줄이고, 약간 생긴 슬래그도 소부시켜 박리를 억제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것을 발견했다.
<스패터 발생량>
본 발명자들은, 스패터 발생량에는, 용락과 마찬가지로, 용적의 이행성과 아크의 안정성이 관여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용적의 이행 시간이 짧고 또한 균일하며, 아크의 안정성이 높은 경우는, 스패터 발생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강제 외피, 플럭스 원료를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Si와 N은 용적의 입경을 잘게 하여, Al은 용적의 형성을 촉진하여, 용적의 이행성을 안정화시키고, 알칼리 금속과 F는 아크의 안정성을 높여, 스패터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검토 중에 Nb가 스패터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것도 발견했다. Nb에 의한 스패터 저감의 메커니즘은, 용접 시의 와이어 선단에 형성되는 용적과 이행 중의 용적의 가스 방출(탄소나 질소의 해리 가스)에 의한 파열이, Nb에 의해 억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즉 와이어 전체 질량당 소정량의 Si, N, Al, 알칼리 금속, F, 추가로 Nb를 함유시키는 것이, 스패터 발생량을 저감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것을 발견했다. 또한 Cu와 Ni는 아크의 안정성을 손상시키는 경향이 있어, 이것을 제한함으로써 아크의 안정성을 유지하여, 결과로서 스패터 발생량의 감소를 보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지견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강제 외피에 플럭스가 충전된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의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로서,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한 플럭스의 충전율이 14.0질량% 이상, 20.0질량% 이하이고,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 중에 Cr: 19.0질량% 이하, 슬래그 조재제: 0.2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를 함유하며,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의 합계로, Cr: 10.0질량% 이상, 19.0질량% 이하, Si: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Al: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Ti: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N: 0.002질량% 이상, 0.100질량% 이하, 알칼리 금속의 합계: 0.01질량% 이상, 0.10질량% 이하, 불화물(F 환산값): 0.002질량% 이상, 0.050질량% 이하, Mo: 1.30질량% 이하, Nb: 0.002질량% 이상, 0.9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S: 0.040질량% 이하로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나아가 와이어 제조 시 및 용접 시의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을 한층 더 억제하기 위해서, 강제 외피를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와이어의 제조 방법으로서도 베이킹이나 소둔은 행하지 않고, 와이어 선경의 마무리를 롤러 다이에 의한 압연 마무리(마무리 신선 가공)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와이어 선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용락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하는 관점에서, JIS 규격이나 AWS 규격에 규정되어 있는 예를 들면 1.0mmφ, 0.9mmφ 등, 1.2mmφ 이하의 제품 와이어 선경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강제 외피와, 그 외피의 내부(내측)에 충전되는 플럭스로 구성되지만, 강제 외피에는 이음매가 있어도 없어도 어느 형태여도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화학 성분 조성과 제조 방법에 대하여, 그 수치 한정과 채용의 이유를 설명한다.
<플럭스의 충전율: 14.0질량% 이상, 20.0질량%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강제 외피에 플럭스를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여기에서, 플럭스의 충전율이 14.0질량% 미만이면 플럭스 충전의 균일성이 손상되어 와이어 중에서 조밀(粗密)이 생기고, 용접 시에 아크의 안정성이 열화되어 스패터 발생량이 증가한다.
한편, 플럭스 충전율이 20.0질량%를 초과하면 강제 외피가 박육화되어서 연성이 저하되어, 와이어 제조 시와 용접 시에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한 플럭스의 충전율은 20.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9.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질량% 미만으로 한다.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 중의 Cr의 합계: 19.0질량% 이하(0질량% 포함함)>
Cr은 고경도이고 분말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플럭스 중의 Cr이 와이어 제조 공정 중에 강제 외피의 내면에 먹어 들어가기 쉽다. 강제 외피에 이와 같은 먹어 들어감이 생기면, 와이어 제조 시와 용접 시의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 중의 Cr 함유량이 19.0질량% 초과에서는, 강제 외피로의 먹어 들어감이 증가하여 와이어의 제조 시와 용접 시의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 중의 Cr 함유량을 19.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8.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7.4질량% 이하로 한다.
또한, Cr은 용착 금속의 내식성이나 내산화성을 얻기 위해서 필수인 원소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와이어 전체로서 소정량 이상의 Cr을 함유할 필요가 있다. 용접 후에 얻어지는 용착 금속의 성분은, 강제 외피 및 플럭스의 쌍방으로부터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럭스 중의 Cr을 제한해도, 강제 외피 중의 Cr 함유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 전체로서 필요한 Cr 함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의 플럭스 중의 Cr원으로서는, 금속 Cr, Fe-Cr 합금, Fe-Si-Cr 합금 등이 있고, 이들 금속 분말이나 합금 분말 중의 Cr 함유량의 합계를 플럭스 중의 Cr 함유량으로서 규정한다.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 중의 슬래그 조재제의 합계: 0.2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슬래그 조재제는 용접 시에 슬래그가 되어 비드 형상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0.20질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1.00질량%를 초과하면 슬래그 발생량이 과잉이 된다. 따라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 중의 슬래그 조재제의 합계를 0.2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90질량% 이하로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슬래그 조재제는 플럭스 중의 산화물, 탄산염, 불화물을 가리키며, 예를 들면 TiO2, SiO2, Al2O3, ZrO2, MgO, MnO, Na2O, K2O, Li2O, CaO, Li 페라이트 등의 산화물, Li2CO3 등의 탄산염, LiF, NaF, K2SiF6 등의 불화물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산화물, 탄산염, 불화물의 합계를 규정한다.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Cr의 합계: 10.0질량% 이상, 19.0질량%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Cr은 용착 금속의 내식성이나 내산화성을 얻기 위해서 유효한 원소이다.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Cr 함유량의 합계가 10.0질량% 미만에서는, 용착 금속의 내식성·내산화성의 열화가 염려된다.
한편,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의 Cr 함유량의 합계가 19.0질량% 초과에서는, 용착 금속의 연성 저하가 염려됨과 함께, 재료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플럭스 중의 Cr 함유량을 19.0질량% 이하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강제 외피 및 플럭스 전체의 Cr 함유량이 19.0질량% 초과로 하는 경우에는, 강제 외피의 Cr 함유량의 비율을 높게 하지 않을 수 없다. 그 결과, 강제 외피가 고강도가 되어 와이어의 제조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의 Cr 함유량의 합계를 10.0질량% 이상, 19.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8.0질량% 이하로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의 Cr원은, 강제 외피의 합금 성분이나, 플럭스에 포함될 수 있는 금속 Cr, Fe-Cr 합금, Fe-Si-Cr 합금 등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의 Cr 함유량의 합계를 규정한다.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Si의 합계: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Si는 용적의 입경을 잘게 하여 용적의 이행 시간을 짧게 하고, 용착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내용락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0.1질량% 미만에서는 이 효과는 얻어지지 않고, 1.0질량%를 초과하면 스패터 발생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Si 함유량의 합계를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8질량% 이하로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의 Si원은, 강제 외피 중의 합금 성분이나, 플럭스에 포함될 수 있는 Fe-Si, Fe-Si-Zr 등의 Si 합금 등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의 Si 함유량의 합계를 규정한다.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Al의 합계: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Al은 용적의 형성을 촉진해서 용착 속도를 빠르게 하여, 용락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0.1질량% 미만에서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1.0질량%를 초과하면 스패터 발생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Al 함유량의 합계를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8질량% 이하로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의 Al원은, 강제 외피의 합금 성분이나, 플럭스에 포함될 수 있는 금속 Al, Fe-Al 합금 등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의 Al 함유량의 합계를 규정한다.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Ti의 합계: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Ti는 아크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용락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0.1질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는 얻어지지 않고, 1.0질량%를 초과하면 슬래그의 발생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Ti 함유량의 합계를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8질량% 이하로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의 Ti원은, 강제 외피의 합금 성분이나, 플럭스에 포함될 수 있는 Fe-Ti 합금 등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의 Ti 함유량의 합계를 규정한다.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N의 합계: 0.002질량% 이상, 0.100질량% 이하>
N은 용적의 입경을 잘게 하여 용적의 이행 시간을 짧게 하고, 용착 속도를 높임으로써 내용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0.002질량% 미만에서는 이 효과는 얻어지지 않고, 0.100질량%를 초과하면 스패터의 발생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N 함유량의 합계를 0.002질량% 이상, 0.10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80질량% 이하로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의 N원은, 강제 외피 중의 합금 성분이나, 플럭스에 포함될 수 있는 질화 Cr, 질화 Mn 등의 금속 질화물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의 함유량의 합계를 규정한다.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 중의 알칼리 금속의 합계: 0.01질량% 이상, 0.10질량% 이하>
알칼리 금속은 이온화되기 쉽고, 특히, 저전류역에서의 아크의 집중성을 높여서 용적 이행을 안정화시켜 내용락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0.01질량% 미만에서는 이 효과는 얻어지지 않고, 0.10질량%를 초과하면 아크 안정성이 불안정해져 스패터 발생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 중의 알칼리 금속의 합계를 0.01질량% 이상, 0.10질량% 이하로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의 알칼리 금속원은, 플럭스에 포함될 수 있는 Li2O, Na2O, K2O, Li 페라이트 등의 산화물, Li2CO3 등의 탄산염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알칼리 금속의 합계를 규정한다.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 중의 불화물(F 환산값)의 합계: 0.002질량% 이상, 0.050질량% 이하>
F는 아크의 집중성을 높여, 용적 이행을 안정화시켜 내용락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0.002질량% 미만에서는 이 효과는 얻어지지 않고, 0.050질량%를 초과하면, 오히려 아크의 안정성이 열화되어 스패터가 증가한다. 따라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 중의 불화물 함유량(F 환산값)의 합계를 0.002질량% 이상, 0.050질량% 이하로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의 F원은, 플럭스로부터 함유할 수 있는 각종 불화물, 예를 들면 LiF, NaF, K2SiF6, CeF3 등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불화물의 F 환산값의 합계를 규정한다.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Mo의 합계: 0.002질량% 이상, 1.30질량% 이하>
Mo는 용착 금속의 내식성 향상에 유효하다. 그러나, Mo가 1.30질량%를 초과하면, 용적의 이행 시간을 길게 하고 용착 속도를 저하시켜 용락을 야기한다. 또한, 용착 금속의 연성 저하가 염려되고, 재료 비용도 상승한다. 따라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Mo 함유량의 합계를 0.002질량% 이상, 1.30질량% 이하로 한다. Mo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9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질량% 이하로 한다. Mo 함유량의 하한은 0.0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의 Mo원은, 강제 외피의 합금 성분이나, 플럭스에 포함될 수 있는 Fe-Mo 합금 등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의 Mo 함유량의 합계를 규정한다.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Nb의 합계: 0.002질량% 이상, 0.90질량% 이하>
Nb는 슬래그를 소부시켜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와 스패터 발생량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Nb에 의한 스패터 저감의 메커니즘은, 용접 시의 와이어 선단에 형성되는 용적과 이행 중의 용적의 가스 방출(탄소나 질소의 해리 가스)에 의한 파열이, Nb에 의해 억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0.002질량% 미만에서는 이들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0.90질량%를 초과하면 아크가 불안정해져 오히려 스패터 발생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Nb의 합계를 0.002질량% 이상, 0.90질량% 이하로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의 Nb원은, 강제 외피의 합금 성분이나, 플럭스에 포함될 수 있는 Fe-Nb 합금 등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의 Nb 함유량의 합계를 규정한다.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S의 합계: 0.040질량% 이하(0질량% 포함함)>
S는 슬래그를 소부시키기 어렵게 하여 슬래그의 박리를 야기한다. S는 강제 외피나 플럭스 원료의 불가피 불순물로서, 또는 용적의 소립화에 의한 스패터 발생량의 저감 등을 기도해서 함유했다고 해도 소정량 이하로 억제해야 한다. 따라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의 S 함유량의 합계를 0.040질량% 이하(0질량% 포함함)로 규제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의 S 함유량은, 강제 외피의 합금 성분이나, 플럭스에 포함될 수 있는 전술한 금속 분말, 합금 분말, 산화물, 탄산염, 불화물 등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의 S 함유량의 합계를 규정한다.
<그 밖의 성분>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그 밖의 성분으로서 C, Mn, P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C: 0.10질량% 이하, Mn: 1.00질량% 이하, P: 0.04질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C: 0.05질량% 이하, Mn: 0.50질량%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상기에서 규정한 각 화학 성분과 Fe의 합계량은, 예를 들면 95% 이상,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e 함유량은, 예를 들면, 80∼90질량%의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필요에 따라서, Cu, Ni를 포함해도 된다.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Cu의 합계: 0.30질량% 이하(0질량% 포함함),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Ni의 합계: 0.30질량% 이하(0질량% 포함함)>
Cu와 Ni는, 이들을 제한함으로써 아크의 안정성을 유지하여, 결과로서 스패터 발생량의 감소를 보완한다. 0.30질량% 이하에서는 스패터 발생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의 Cu 함유량의 합계를 0.30질량% 이하, Ni 함유량의 합계를 0.30질량% 이하로 규제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의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의 Cu 함유량, Ni 함유량은, 강제 외피의 합금 성분이나, 플럭스에 포함될 수 있는 전술한 금속 분말, 합금 분말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의 Cu 함유량의 합계, Ni 함유량의 합계를 각각 규정한다.
<강제 외피: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강제 외피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 강제 외피로서, 예를 들면 JIS 규격이나 ASTM 규격, AISI 규격 등에 규정되는 409, 430, 436 등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면 된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한층 더, 와이어 제조 시와 용접 시의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을 억제할 수 있다.
<와이어의 제조 방법>
이하에, 본 실시형태의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우선 강제 외피를 구성하는 강대를 준비하고, 강대를 긴 방향으로 보내면서 성형 롤로 성형하여 U자 형상의 오픈관으로 한 후, 소정의 화학 조성이 되도록 각종 원료를 배합한 플럭스를 U자 형상의 오픈관에 충전한다. 그 후,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가공한 뒤에 추가로 복수회의 신선을 실시해서 축경하여, 예를 들면 와이어 선경이 1.2mmφ, 1.0mmφ, 0.9mmφ 등, JIS 규격이나 AWS 규격 등에 규정되어 있는 소정의 제품 와이어 선경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둔이나 베이킹 등의 열처리는 행하지 않는다. 와이어 선경의 마무리는 롤러 다이에 의한 압연 마무리(마무리 신선 가공)로 함으로써, 제품 와이어 지름이 되었을 때의 강제 외피의 과도한 박육화가 완화되어, 한층 더, 와이어 제조 시 및 용접 시의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롤러 다이로서는, 예를 들면 카세트형의 홈 부착 롤러 다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무리 신선 가공이란, 신선 가공 시의 최종 패스를 의미하고 있고, 예를 들면, 마무리 신선 가공의 감면율은 2∼10%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는, U자 형상 오픈관의 강제 외피의 이은 자리를 맞대어 용접한 이음매 없는 와이어, 또는 강제 외피의 이은 자리를 랩시켜 용접하지 않고서 이음매 있는 그대로 남기는 와이어, 어느 구조도 채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와이어 제조 시와 용접 시의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을 방지함과 함께, 용접 시에 용락되기 어렵고, 슬래그 발생량과 그의 박리가 적으며, 스패터 발생량이 적다고 하는, 현저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된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롤러 다이에 의해 마무리 신선 가공을 하여 제조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는, 열처리 없이도 단선되는 것을 억제하여 와이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발명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1에 나타내는 화학 성분 조성(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갖는 강제 외피를 이용하여, 표 2에 나타내는 플럭스 충전율, 마무리 신선 가공, 성분 조성으로 소정 와이어 선경의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제조하고, 스풀에 바꿔 감은 후, 시험에 제공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어 선경의 마무리 신선 가공 방법은 구멍 다이에 의한 신선 마무리와 롤러 다이에 의한 압연 마무리의 2종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한편, 와이어는 전부, 강제 외피의 이은 자리를 랩시켜 용접하지 않고서 이음매 있는 그대로 남기는 와이어(이른바 와이어 단면 형상이 랩이라고 불리는 것)로 했다. 또한, 마무리 신선 가공의 감면율은 약 5%로 했다. 한편, 플럭스 중에 Cr을 19.0질량% 초과 함유하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도 제조했지만, 단선이 다발했기 때문에, 제조를 중지했다.
Figure 112019053720180-pat00001
Figure 112019053720180-pat00002
평가로서, 와이어의 감아 꺾임 시험, 내용락성 시험을 행했다.
와이어의 감아 꺾임 시험은, 직경 8mmφ의 파이프 외면에, 50m 길이의 와이어를 스파이럴 형상으로 죄어 병렬로 1층 휘감아 가,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을 발생시키는 시험이다. 스풀로부터 와이어를 인출하면서 감아 꺾임 시험을 행하여,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의 발생 개수를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와이어의 감아 꺾임 시험은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이 50개 이상을 ×(불량), 1개 이상, 50개 미만을 ○(양호), 0개를 ◎(우량)로 했다.
내용락성 시험은, 1.5mmt×50w×300L의 SUH409L 박강판 2매 사이에 0.5mmt의 극간을 마련한 겹치기 필릿 용접 이음을 용접하여 용락의 유무를 평가하는 것이고, 이번은 용락의 유무와 함께 슬래그 발생량과 그의 박리량, 스패터 발생량도 관능 평가했다.
내용락성 시험의 용접 조건은, 용접 자세는 하향, 실드 가스 조성(유량)은 98% Ar+2% O2(15L/min.), 용접 전원은 시판되는 펄스 전원, 팁/모재간 거리는 12mm, 토치 각도는 전진각/후퇴각을 부여하지 않고, 용접 전류-전압-속도는 제품 와이어 지름 1.2mmφ일 때 140A(펄스 유)-20V-60cm/min., 제품 와이어 지름 1.0mmφ일 때 70A(펄스 유)-18V-60cm/min.으로 했다.
내용락 시험은, 「용락 있음」을 ×(불량), 「용락 없음」을 ○(양호)로 했다. 슬래그 발생량과 그의 박리는, 「많음」을 ×(불량), 「적음」을 ○(양호), 스패터 발생량은, 「많음」을 ×(불량), 「적음」을 ○(양호)로 했다.
표 2에 각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예 1과 본 발명예 2는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한 플럭스의 충전율과,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 중의 Cr,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Cr, Si, Al, Ti, N, 알칼리 금속, 불화물(F 환산값), Mo, 슬래그 조재제, Nb, S의 각 함유량이 소정 범위를 만족했기 때문에, 감아 꺾임성은 양호 또는 우량, 내용락성은 양호, 슬래그 발생량과 그의 박리도 적은 것이며(양호), 스패터 발생량도 적었다(양호).
본 발명예 2는 강제 외피에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고, 소둔이나 베이킹 등의 열처리는 행하지 않고, 와이어의 마무리 신선 가공을 롤러 다이에 의한 신선 가공으로 했기 때문에, 감아 꺾임 시험에서 와이어의 단선이나 꺾임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1은 감아 꺾임성, 내용락성, 스패터 발생량은 양호했지만,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Ti와 Nb의 각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로부터 벗어났었기 때문에 슬래그 발생량과 그의 박리가 불량이 되었다.
비교예 2는 감아 꺾임성은 양호했지만,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Al, Ti, 알칼리 금속의 각 함유량과 슬래그 조재제의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었기 때문에, 내용락성, 슬래그 발생량과 그의 박리, 스패터 발생량이 불량이 되었다.
비교예 3은 감아 꺾임성, 내용락성, 슬래그 발생량과 슬래그의 박리는 양호했지만,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Si의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었기 때문에 스패터 발생량이 불량이 되었다.
비교예 4는 내용락성, 슬래그 발생량과 그의 박리, 스패터 발생량은 양호했지만, 플럭스의 충전율이 본 발명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었기 때문에 감아 꺾임 시험이 불량이 되었다.
비교예 5는 내용락성, 스패터 발생량은 양호했지만, 플럭스의 충전율이 본 발명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었기 때문에 감아 꺾임 시험이 불량,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 중의 Ti의 각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로부터 벗어났었기 때문에 슬래그 발생량과 그의 박리가 불량이 되었다.

Claims (5)

  1. 강제(鋼製) 외피에 플럭스가 충전된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의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로서,
    와이어 전체 질량에 대한 플럭스의 충전율이 14.0질량% 이상, 20.0질량% 이하이고,
    와이어 전체 질량당, 플럭스 중에
    Cr: 19.0질량% 이하(0질량% 포함함),
    슬래그 조재제(造滓劑): 0.2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를 함유하며,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의 합계로,
    Cr: 10.0질량% 이상, 19.0질량% 이하,
    Si: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Al: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Ti: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N: 0.002질량% 이상, 0.100질량% 이하,
    알칼리 금속의 합계: 0.01질량% 이상, 0.10질량% 이하,
    불화물(F 환산값): 0.002질량% 이상, 0.050질량% 이하,
    Mo: 0.002질량% 이상, 1.30질량% 이하,
    Nb: 0.002질량% 이상, 0.9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S: 0.040질량% 이하(0질량% 포함함)로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와이어 전체 질량당, 강제 외피와 플럭스의 합계로,
    Cu: 0.30질량% 이하(0질량% 포함함),
    Ni: 0.30질량% 이하(0질량% 포함함)로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외피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외피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으로서, 열처리를 행하지 않고, 롤러 다이에 의해 마무리 신선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
KR1020190061608A 2018-06-22 2019-05-27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및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 KR102141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18958A JP7092571B2 (ja) 2018-06-22 2018-06-22 メタル系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およびメタル系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の製造方法
JPJP-P-2018-118958 2018-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36A KR20200000336A (ko) 2020-01-02
KR102141790B1 true KR102141790B1 (ko) 2020-08-06

Family

ID=6909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608A KR102141790B1 (ko) 2018-06-22 2019-05-27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및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092571B2 (ko)
KR (1) KR102141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1652B1 (ja) 2022-09-09 2023-01-24 四国溶材株式会社 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3296A (ja) 1990-02-22 1991-10-30 Kobe Steel Ltd ステンレス鋼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H07124785A (ja) * 1993-11-01 1995-05-16 Nippon Steel Corp 耐熱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用シームレス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3481368B2 (ja) 1995-09-20 2003-12-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H11285892A (ja) 1998-04-01 1999-10-19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ステンレス鋼溶接用細径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の製造方法
JP3959380B2 (ja) 2003-08-28 2007-08-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シーム有りフラックス入り溶接用ワイヤの製造方法
JP4584002B2 (ja) 2005-04-07 2010-11-17 日鐵住金溶接工業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4806299B2 (ja) 2006-06-02 2011-11-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TWI604912B (zh) 2011-07-13 2017-11-11 Illinois Tool Works 藥芯焊絲、其生產方法及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92571B2 (ja) 2022-06-28
KR20200000336A (ko) 2020-01-02
JP2019217547A (ja)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8855B2 (ja)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5136466B2 (ja) 高強度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539715A1 (en) Flux-cored wire, method of manufacturing welded joint, and welded joint
CN106392369B (zh) Ni基合金药芯焊丝
EP320683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lding mill scaled workpieces
MXPA01004916A (es) Alambre de soldadura con remocion de escoria mejorada.
JPWO2017154122A1 (ja) 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溶接継手の製造方法、及び溶接継手
CN110753597A (zh) 电弧焊方法及实芯焊丝
KR20060051243A (ko) 가스 금속 아크 용접용 용접 와이어 전극
KR102141790B1 (ko)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및 메탈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
JP3765771B2 (ja) ステンレス鋼アーク溶接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6969705B1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鋼ワイヤ、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方法、および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継手の製造方法
JP7160734B2 (ja) 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WO2020217963A1 (ja)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2002011575A (ja) 鋼管の溶接方法
JP2007319910A (ja) 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3880826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2022135634A (ja) 片面溶接の溶接方法及びフラックスコアードワイヤ
JP2022157587A (ja) 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及び溶接継手の製造方法
JP3861979B2 (ja)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鋼ワイヤ
JP6939574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及び溶接継手の製造方法
JP6988324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及び溶接継手の製造方法
JP2021049583A5 (ko)
CN114667201A (zh) 药芯焊丝以及焊接接头的制造方法
JP6747629B1 (ja) 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及び溶接継手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