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055B1 -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055B1
KR102132055B1 KR1020160032725A KR20160032725A KR102132055B1 KR 102132055 B1 KR102132055 B1 KR 102132055B1 KR 1020160032725 A KR1020160032725 A KR 1020160032725A KR 20160032725 A KR20160032725 A KR 20160032725A KR 102132055 B1 KR102132055 B1 KR 102132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gas
detection sensor
exhaust
res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8586A (ko
Inventor
손동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055B1/ko
Publication of KR20170108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gaseous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21Fuel storage reservoirs, e.g. cryogenic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 Y02T10/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상단 부위(예컨대,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상단 부위에 배치된 오일 미스트 챔버)에 <잔류가스 배출라인을 흐르는 배출가스를 일부 강제 흡입한 후, 상기 잔류가스 배출라인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출가스의 유속 및 하부 가스의 이젝팅 효과(Ejecting effect)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배출가스 감지센서 측에서, 배출가스의 유속 증가를 기반으로 하여, 불필요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영주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운영주체, 이중연료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오버 센싱(Over sensing) 문제를 회피하면서, 크랭크케이스 내부에 일련의 퍼지 가스를 불필요하게 공급하거나, 가스 운전을 무작정 중단시키는 등의 문제점까지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Device which reduces a sensing error about a venting gas of a dual fuel engine}
본 발명은 이중연료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대한 감지오류를 저감시켜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상단 부위(예컨대,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상단 부위에 배치된 오일 미스트 챔버)에 <잔류가스 배출라인을 흐르는 배출가스를 일부 강제 흡입한 후, 배출라인으로 연결하여, 해당 배출가스의 유속 및 하부 가스의 이젝팅 효과(Ejecting effect)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배출가스 감지센서 측에서, 배출가스의 유속 증가를 기반으로 하여, 불필요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영주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운영주체, 이중연료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오버 센싱(Over sensing) 문제를 회피하면서, 크랭크케이스 내부에 일련의 퍼지 가스를 불필요하게 공급하거나, 가스 운전을 무작정 중단시키는 등의 문제점까지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스처리기술, 엔진관련기술 등이 빠른 발전을 거듭하면서, 액체연료, 가스연료 등을 이중으로 병행 사용하는 이중연료엔진 및 이 이중연료엔진 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시스템 또한 폭 넓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등록특허 제10-726293호(명칭: 개선된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이중 연료 엔진의 연료공급장치)(2007.6.11.자 공고), 국내등록특허 제10-748734호(명칭: 이중 연료 엔진이 장착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2007.8.13.자 공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15-30482호(명칭: 이중연료엔진의 잔류가스 제거 시스템)(2015.3.20.자 공개) 등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중연료엔진,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 등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은 초 저온 상태의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에 저장되어 있던 액화천연가스를 강제 기화시키는 강제기화유닛(3), 강제기화유닛(3)으로부터 출력되는 강제기화가스에 포함된 미스트를 분리/제거하는 제 1 미스트 분리유닛(4),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로부터 자연 기화되어 출력되는 자연기화가스(BOG: Boil Off Gas)에 포함된 미스트를 분리/제거하는 제 2 미스트 분리유닛(2), 제 1 미스트 분리유닛(4), 제 2 미스트 분리유닛(2) 등을 거친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을 압축한 후, 압축 완료된 가스를 가스공급라인(14)을 통해, 이중연료엔진(9) 측으로 출력/공급하는 컴프레셔(5), 이중연료엔진(9)의 연료필요량이 자연기화가스의 발생 량보다 적을 경우, 상기 자연기화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연소유닛(6)(GCU: Gas Combustion Unit), 선박용 중유(HFO: Heavy Fuel Oil), 선박용 경유(MGO: Marine Gas Oil) 등과 같은 액체연료를 저장하는 액체연료 저장탱크(11), 가스공급라인(14) 상에 배치되면서, 일련의 열림 동작 또는 닫힘 동작 등을 통해 상기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이 이중연료엔진(9) 측으로 공급되는 흐름을 통제하는 밸브(12), 액체연료 공급라인(15) 상에 배치되면서, 액체연료(예컨대, 선박용 중유, 선박용 경유 등)가 이중연료엔진(9) 측으로 공급되는 흐름을 통제하는 밸브(13), 가스공급라인(14) 상에 배치된 밸브(12)를 수용하는 밸브 룸(7), 밸브 룸(7)에 인접 배치되면서, 이중연료엔진(9)을 수용하는 엔진 룸(8)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환경 하에서, 이중연료엔진(9) 측에서는 가스공급라인(14), 액체연료 공급라인(15) 등을 통해, 가스(예컨대,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 액체연료(예컨대, 선박용 중유, 선박용 경유 등) 등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은 후, 이들을 자신의 연료로 병행 사용하면서, 발전기(10)를 가동시키는 일련의 발전기 가동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필요 처(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등)에 필요한 전력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생산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이중연료엔진(9)인 4행정기관의 특성 상, 크랭크케이스(9a) 내에는 잔류가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주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운영주체, 이중연료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해당 잔류가스를 각 데크 계층(Deck layer)(D1,D2,D3)을 통과하여 상향 형성된 잔류가스 배출라인(41,51,6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잔류가스 배출라인(41) 상에 형성된 세퍼레이터(20)(Separator) 측에서는 배출가스(즉, 배출되는 잔류가스)(이하, 동일)에 포함된 오일을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배출라인(51) 상에 형성된 오일 미스트 챔버(30)(Oil mist chamber) 측에서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를 포집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잔류가스 배출라인(41) 상에 형성된 배출가스 감지센서(70) 측에서는 배출가스의 농도를 감지하고, 해당 배출가스의 농도가 높을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그에 상응하는 일련의 후속처리조치(예컨대, 가스 하이 알람 또는 가스 운전 정지 등의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잔류가스 배출라인(41) 상에 형성된 배출가스 감지센서(70) 측에서는 배출가스의 농도를 감지하고, 해당 배출가스의 농도가 높을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바, 이 경우, 운영주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운영주체, 이중연료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해당 경고신호의 원인이 제거될 때까지(즉, 잔류가스 배출라인(41)을 흐르는 배출가스의 농도가 적정 수준으로 낮아질 때까지) 가스 운전(Gas trial)을 지연시켜야 하는 등의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런데, 상기 배출가스 감지센서(70)를 채용/운영하다 보면, 해당 배출가스 감지센서(70) 측에서는, 실제로는 크랭크케이스(9a) 내부의 잔류가스가 적정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잔류가스가 소량으로 생성되면서 잔류가스 배출라인 상에 천천히 축적됨에 따라, 불필요한 오버 센싱(Over sensing)을 취하여, 크랭크케이스(9a) 내부의 잔류가스가 많다는 취지의 경고신호를 수시로 발생시키게 된다.
이는 만약, 잔류가스 배출라인(41)을 흐르는 배출가스의 유속이 느리게 될 경우, 배출가스 감지센서(70) 측에서는 크랭크케이스(9a) 내부에 실제 잔류하는 잔류가스의 양과 무관하게, 시간 당 노출되는 배출가스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감지할 수밖에 없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배출가스 감지센서(70)의 감지오류 상황 하에서,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을 경우, 운영주체 측에서는 배출가스 감지센서(70)의 불필요한 오버 센싱(Over sensing)에 맞추어, 크랭크케이스(9a) 내부에 일련의 퍼지 가스를 불필요하게 공급하거나, 가스 운전을 무작정 중단시킬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그에 상응하는 각종 물적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726293호(명칭: 개선된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이중 연료 엔진의 연료공급장치)(2007.6.11.자 공고) 국내등록특허 제10-748734호(명칭: 이중 연료 엔진이 장착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2007.8.13.자 공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15-30482호(명칭: 이중연료엔진의 잔류가스 제거 시스템)(2015.3.20.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상단 부위(예컨대,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상단 부위에 배치된 오일 미스트 챔버)에 <잔류가스 배출라인을 흐르는 배출가스를 일부 강제 흡입한 후, 배출라인으로 연결하여, 해당 배출가스의 유속 및 하부 가스의 이젝팅 효과(Ejecting effect)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배출가스 감지센서 측에서, 배출가스의 유속 증가를 기반으로 하여, 불필요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영주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운영주체, 이중연료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오버 센싱(Over sensing) 문제를 회피하면서, 크랭크케이스 내부에 일련의 퍼지 가스를 불필요하게 공급하거나, 가스 운전을 무작정 중단시키는 등의 문제점까지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중연료엔진의 크랭크케이스에 잔류하는 잔류가스가 잔류가스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잔류가스 배출라인을 흐르는 배출가스의 농도가 배출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국면에서, 상기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잔류가스 배출라인을 흐르는 상기 배출가스를 강제 흡입하여, 상기 배출가스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배출가스 흡입 팬과; 상기 잔류가스 배출라인 및 상기 배출가스 흡입 팬을 연결하면서, 상기 배출가스 흡입 팬에 의해 생성된 흡입기류를 순환시키는 흡입기류 순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출가스 흡입 팬 측에서는 상기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상부에서 강제 흡입기류를 형성시켜, 상기 잔류가스 배출라인을 흐르던 배출가스가 상기 배출가스 감지센서에 이르기 이전에, 해당 배출가스의 유속을 미리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오버 센싱을 차단 또는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출가스 흡입 팬은 상기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상단에 구비된 오일 미스트 챔버에 상기 흡입기류 순환라인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흡입기류 순환라인 측에서는 상기 오일 미스트 챔버 및 배출가스 흡입 팬을 연결하면서, 상기 배출가스 흡입 팬에 의해 생성된 흡입기류를 '오일 미스트 챔버-배출가스 흡입 팬'으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상단 부위(예컨대,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상단 부위에 배치된 오일 미스트 챔버)에 <잔류가스 배출라인을 흐르는 배출가스를 일부 강제 흡입한 후, 배출라인으로 연결하여, 해당 배출가스의 유속 및 하부 가스의 이젝팅 효과(Ejecting effect)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추가 배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배출가스 감지센서 측에서는, 배출가스의 유속 증가를 기반으로 하여, 불필요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되며, 결국, 운영주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운영주체, 이중연료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오버 센싱(Over sensing) 문제를 회피하면서, 크랭크케이스 내부에 일련의 퍼지 가스를 불필요하게 공급하거나, 가스 운전을 무작정 중단시키는 등의 문제점까지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중연료엔진 측 잔류가스의 배출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채용한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채용한 이중연료엔진 측 잔류가스의 배출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은 초 저온 상태의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1),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1)에 저장되어 있던 액화천연가스를 강제 기화시키는 강제기화유닛(103), 강제기화유닛(103)으로부터 출력되는 강제기화가스에 포함된 미스트를 분리/제거하는 제 1 미스트 분리유닛(104),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1)로부터 자연 기화되어 출력되는 자연기화가스(BOG: Boil Off Gas)에 포함된 미스트를 분리/제거하는 제 2 미스트 분리유닛(102), 제 1 미스트 분리유닛(104), 제 2 미스트 분리유닛(102) 등을 거친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을 압축한 후, 압축 완료된 가스를 가스공급라인(114)을 통해, 이중연료엔진(109) 측으로 출력/공급하는 컴프레셔(105), 이중연료엔진(109)의 연료필요량이 자연기화가스의 발생 량보다 적을 경우, 상기 자연기화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연소유닛(106)(GCU: Gas Combustion Unit), 선박용 중유(HFO: Heavy Fuel Oil), 선박용 경유(MGO: Marine Gas Oil) 등과 같은 액체연료를 저장하는 액체연료 저장탱크(111), 가스공급라인(114) 상에 배치되면서, 일련의 열림 동작 또는 닫힘 동작 등을 통해 상기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이 이중연료엔진(109) 측으로 공급되는 흐름을 통제하는 밸브(112), 액체연료 공급라인(115) 상에 배치되면서, 액체연료(예컨대, 선박용 중유, 선박용 경유 등)가 이중연료엔진(109) 측으로 공급되는 흐름을 통제하는 밸브(113), 가스공급라인(114) 상에 배치된 밸브(112)를 수용하는 밸브 룸(107), 밸브 룸(107)에 인접 배치되면서, 이중연료엔진(109)을 수용하는 엔진 룸(108)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환경 하에서, 이중연료엔진(109) 측에서는 가스공급라인(114), 액체연료 공급라인(115) 등을 통해, 가스(예컨대,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 액체연료(예컨대, 선박용 중유(HFO: Heavy Fuel Oil), 선박용 경유(MGO: Marine Gas Oil)) 등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은 후, 이들을 자신의 연료로 병행 사용하면서, 발전기(110)를 가동시키는 일련의 발전기 가동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필요 처(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등)에 필요한 전력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생산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도, 이중연료엔진(109)의 특성 상, 크랭크케이스(109a) 내에는 잔류가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주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운영주체, 이중연료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해당 잔류가스를 각 데크 계층(Deck layer)(D1,D2,D3)을 통과하여 상향 형성된 잔류가스 배출라인(141,151,16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에도, 잔류가스 배출라인(141) 상에 형성된 세퍼레이터(120)(Separator) 측에서는 배출가스(즉, 배출되는 잔류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잔류가스 배출라인(151) 상에 형성된 오일 미스트 챔버(130)(Oil mist chamber) 측에서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를 포집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도, 잔류가스 배출라인(141) 상에 형성된 배출가스 감지센서(170) 측에서는 배출가스의 농도를 감지하고, 해당 배출가스의 농도가 높을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그에 상응하는 일련의 후속처리조치(예컨대, 가스 하이 알람 또는 가스 운전 정지 등의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배출가스 감지센서(170) 측에서는, 실제로는 크랭크케이스(109a) 내부의 잔류가스가 적정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오버 센싱(Over sensing)을 취하여, 크랭크케이스(109a) 내부의 잔류가스가 많다는 취지의 경고신호를 수시로 발생시키게 된다.
이는 만약, 잔류가스 배출라인(141)을 흐르는 배출가스의 유속이 느리게 될 경우, 배출가스 감지센서(70) 측에서는 크랭크케이스(109a) 내부에 실제 잔류하는 잔류가스의 양과 무관하게, 시간 당 노출되는 배출가스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감지할 수밖에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는 잔류가스 배출라인(151) 상, 바람직하게, 잔류가스 배출라인(151) 상에 형성된 오일 미스트 챔버(130)의 일부에 배출가스 흡입 팬(200), 흡입기류 순환라인(201,202) 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고유의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를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때, 배출가스 흡입 팬(200) 측에서는 이중연료엔진(190)의 크랭크케이스(190a)에 잔류하는 잔류가스가 잔류가스 배출라인(141,151)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잔류가스 배출라인(141,151)을 흐르는 배출가스의 농도가 배출가스 감지센서(170)에 의해 감지되는 국면에서, 상기 배출가스 감지센서(170)의 상단 부위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잔류가스 배출라인(141,151)을 흐르는 배출가스를 일부 강제 흡입한 후, 상기 잔류가스 배출라인(161)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출가스의 유속 및 하부 가스의 이젝팅 효과(Ejecting effect)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흡입기류 순환라인(201,202) 측에서는 잔류가스 배출라인(161) 및 배출가스 흡입 팬(200)을 연결하면서, 배출가스 흡입 팬(200)에 의해 생성된 흡입기류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배출가스 흡입 팬(200)이 배출가스 감지센서(170)의 상단 부위에 배치되는 것은 본 발명 고유의 이점을 향유함에 있어서, 매우 중용한 펙터로 작용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잔류가스 배출라인(141)을 흐르던 배출가스가 배출가스 감지센서(170)에 이르기 이전에 배출가스 흡입 팬(200)의 강제 흡입기류에 의해 그 유속을 미리 증가 받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배출가스 감지센서(170)의 오버 센싱을 차단/저감시키는데 그 기술적 컨셉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출가스 흡입 팬(200)은 바람직하게, 배출가스 감지센서(170)의 상단 부위에 구비된 오일 미스트 챔버(130)에 흡입기류 순환라인(201,202)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기류 순환라인(201,202) 측에서는 오일 미스트 챔버(130) 및 배출가스 흡입 팬(200)을 연결하면서, 배출가스 흡입 팬(200)에 의해 생성된 흡입기류를 <오일 미스트 챔버(130)-배출가스 흡입 팬(200)>으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배출가스 감지센서(170)의 상단 부위에 배출가스 흡입 팬(200), 흡입기류 순환라인(201,202) 등이 배치된 상황 하에서, 배출가스 흡입 팬(200)의 강제 흡입 동작에 의해, 잔류가스 배출라인(141)으로 흡입기류가 미치게 되면, 잔류가스 배출라인(141)을 흐르던 배출가스는 그 영향으로 인해, <잔류가스 배출라인(151)을 향해 신속히 빨려 들어가는 과정>을 겪게 되며, 결국, 그 유속이 현저히 빨라지게 된다.
물론, 상술한 배출가스 흡입 팬(200)의 강제 흡입 동작을 통해, 잔류가스 배출라인(141)을 흐르던 배출가스의 유속이 현저히 빨라진 상황 하에서, 배출가스 감지센서(170) 측에서는 배출가스의 농도를 오버 센싱 하지 않게 되며, 결국, 불필요한 경고신호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배출가스 감지센서(170)의 상단 부위(예컨대, 배출가스 감지센서(170)의 상단 부위에 배치된 오일 미스트 챔버(130))에 <잔류가스 배출라인(141,151)을 흐르는 배출가스를 일부 강제 흡입한 후, 잔류가스 배출라인(151)으로 연결하여, 해당 배출가스의 유속 및 하부 가스의 이젝팅 효과(Ejecting effect)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추가 배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배출가스 감지센서(170) 측에서는, 배출가스의 유속 증가를 기반으로 하여, 불필요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되며, 결국, 운영주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운영주체, 이중연료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오버 센싱(Over sensing) 문제를 회피하면서, 크랭크케이스 내부에 일련의 퍼지 가스를 불필요하게 공급하거나, 가스 운전을 무작정 중단시키는 등의 문제점까지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출가스의 감지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101: 액체천연가스 저장탱크
2,102: 제 2 미스트 분리유닛
3,103: 강제기화유닛
4,104: 제 1 미스트 분리유닛
5,105: 컴프레셔
6,106: 가스연소유닛
7,107: 밸브 룸
8,108: 엔진 룸
9,109: 이중연료엔진
10,110: 발전기
11,111: 액체연료 저장탱크
12,13,112,113: 밸브
14,114: 가스공급라인
15,115: 액체연료 공급라인
41,51,61,141,151,161: 잔류가스 배출라인
70,170: 배출가스 감지센서
20,120: 세퍼레이터
70,170: 오일 미스트 챔버
200: 배출가스 흡입 팬
201,202: 흡입기류 순환라인

Claims (2)

  1. 이중연료엔진의 크랭크케이스에 잔류하는 잔류가스가 잔류가스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잔류가스 배출라인을 흐르는 배출가스의 농도가 배출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국면에서, 상기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잔류가스 배출라인을 흐르는 상기 배출가스를 일부 강제 흡입한 후, 상기 잔류가스 배출라인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출가스의 유속 및 하부 가스의 이젝팅 효과(Ejecting effect)를 증가시키는 배출가스 흡입 팬과;
    상기 잔류가스 배출라인 및 상기 배출가스 흡입 팬을 연결하면서, 상기 배출가스 흡입 팬에 의해 생성된 흡입기류를 순환시키는 흡입기류 순환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가스 흡입 팬 측에서는 상기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상부에서 강제 흡입기류를 형성시켜, 상기 잔류가스 배출라인을 흐르던 배출가스가 상기 배출가스 감지센서에 이르기 이전에, 해당 배출가스의 유속을 미리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오버 센싱을 차단 또는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출가스 흡입 팬은 상기 배출가스 감지센서의 상단에 구비된 오일 미스트 챔버에 상기 흡입기류 순환라인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흡입기류 순환라인 측에서는 상기 오일 미스트 챔버 및 배출가스 흡입 팬을 연결하면서, 상기 배출가스 흡입 팬에 의해 생성된 흡입기류를 '오일 미스트 챔버-배출가스 흡입 팬'으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
  2. 삭제
KR1020160032725A 2016-03-18 2016-03-18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 KR102132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725A KR102132055B1 (ko) 2016-03-18 2016-03-18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725A KR102132055B1 (ko) 2016-03-18 2016-03-18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586A KR20170108586A (ko) 2017-09-27
KR102132055B1 true KR102132055B1 (ko) 2020-07-08

Family

ID=6003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725A KR102132055B1 (ko) 2016-03-18 2016-03-18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0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4918A (ja) * 1999-12-06 2001-06-19 Nissan Motor Co Ltd ガソリン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JP2008208818A (ja) 2007-02-28 2008-09-11 Toyota Motor Corp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及びその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に使用されるシリンダヘッド並びにその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を備えた内燃機関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4849A (ja) * 1986-12-17 1988-06-2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機関用爆発防止装置
JP3361182B2 (ja) * 1994-04-11 2003-01-07 大阪瓦斯株式会社 ガスエンジン
KR100726293B1 (ko) 2005-10-18 2007-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개선된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이중 연료 엔진의연료공급장치
KR100748734B1 (ko) 2006-08-10 2007-08-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중 연료 사용 엔진이 장착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KR101043289B1 (ko) * 2009-05-13 2011-06-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KR101246900B1 (ko) * 2010-12-09 2013-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브라운 가스 공급 시스템
KR101938015B1 (ko) * 2013-05-23 2019-01-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블록 내 가스 배출시스템
KR20150030482A (ko) 2013-09-12 2015-03-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중연료엔진의 잔류가스 제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4918A (ja) * 1999-12-06 2001-06-19 Nissan Motor Co Ltd ガソリン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JP2008208818A (ja) 2007-02-28 2008-09-11 Toyota Motor Corp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及びその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に使用されるシリンダヘッド並びにその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を備えた内燃機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586A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1300B2 (en) Vehicle-mounted fuel separation system
US20110265464A1 (en) Ammonia burn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825281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5754437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6274961A (ja) 排気再循環装置
JP2005120913A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リーク診断装置
KR20130049086A (ko)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JP2009270562A (ja) 燃料蒸気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2132055B1 (ko)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
JP5141835B1 (ja) 作動ガス循環型ガスエンジンの気密異常検出方法及び同方法を使用する作動ガス循環型ガスエンジン
JP2005061305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方法および蒸発燃料処理装置とその故障診断装置
KR102112898B1 (ko)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
JP5560140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KR101269361B1 (ko)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
JP2007327411A (ja) 内燃機関の燃焼制御装置
KR20170057714A (ko) 선박
JP4194429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20170057016A (ko) 선박
JP2008274777A (ja) 発電装置におけるキャニスタ配設構造
KR101360030B1 (ko) Lng 차량의 연료장치
KR102628858B1 (ko) 선박
JP5962410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2596244B2 (ja) 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方法
KR20120051461A (ko) 액화천연가스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JP200916793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