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361B1 -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361B1
KR101269361B1 KR1020117028698A KR20117028698A KR101269361B1 KR 101269361 B1 KR101269361 B1 KR 101269361B1 KR 1020117028698 A KR1020117028698 A KR 1020117028698A KR 20117028698 A KR20117028698 A KR 20117028698A KR 101269361 B1 KR101269361 B1 KR 101269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gas
engine
line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3730A (ko
Inventor
칸도커 아부 라이한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2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 F01M13/021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of negative pressure
    • F01M13/022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of negative pressure using engine inlet s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2013/0038Layout of crankcase breathing systems
    • F01M2013/005Layout of crankcase breathing systems having one or more deoilers
    • F01M2013/0061Layout of crankcase breathing systems having one or more deoilers having a plurality of deoilers
    • F01M2013/0066Layout of crankcase breathing systems having one or more deoilers having a plurality of deoilers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DME의 증기를 포함하는 블로바이 가스를 공기 흡입구(3)에 흡인하는 블로바이 가스 라인(5)과, 상기 블로바이 가스를 대기 중으로 개방하는 개방라인(6)을 구비하는 엔진(1)에서의,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으로서, 엔진(1)의 기동 전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 라인(5)을 닫히게 함과 더불어 상기 개방라인(6)을 열리게 하는 방출공정(단계 S2 및 S3)과, 상기 엔진(1)의 기동(단계 S4 및 S5) 후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 라인(5)을 열리게 함과 더불어 상기 개방라인(6)을 닫히게 하는 환원공정(단계 S6 및 S7)을 구비하되, 상기 방출공정(단계 S2 및 S3)을 제외하고 상기 엔진(1)의 정지 중에는 상기 블로바이 가스 라인(5) 및 상기 개방라인(6)이 닫혀 있다.

Description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 {CONTROL METHOD FOR BLOW-BY GAS RECOVERY STOPPAGE DURING STARTUP}
DME의 증기를 포함하는 블로바이 가스를 공기 흡입구로 흡인함으로써, 상기 블로바이 가스를 환원할 수 있는 엔진에 관한 것이다.
종래, DME(Dimethylether, 디메틸에테르)를 연료로 하는 엔진에 있어서는, DME의 증기를 포함하는 블로바이 가스(blow-by gas)를 공기 흡입구로 흡인함으로써 블로바이 가스를 환원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엔진에는, 엔진 내에서 발생한 블로바이 가스를 공기 흡입구로 흡인하는 블로바이 가스 라인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블로바이 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의 정지 중에는 블로바이 가스 라인이 닫히게 되어 있다. 엔진의 시동시에는, 블로바이 가스 라인 내에 충만해 있는 블로바이 가스가 기통(氣筒) 내로 흡입된다. 여기서, DME(디메틸에테르)는 세탄가가 높으므로 착화성이 높다. 그 때문에, 기통 내로 흡입된 블로바이 가스가 자기착화(自己着火)됨으로써, 엔진의 시동시에 노킹이 발생하고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 엔진의 시동시에서의 노킹을 회피하기 위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디젤기관에는, 블로바이 가스를 공기 흡입구로 흡인하는 블로바이 가스 라인에, 3방향 전자밸브를 개재시켜 블로바이 가스를 대기 중으로 개방하는 개방라인이 설치되어 있다. 전자밸브의 제어에 따라, 블로바이 가스 라인과 개방라인과의 연통(連通)과, 블로바이 가스 라인과 공기 흡입구와의 연통이 절환된다. 엔진의 운전 중에는 블로바이 가스는 공기 흡입구로 흡인되고, 엔진의 정지 중에는 블로바이 가스는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그 때문에, 엔진의 시동시에, 블로바이 가스 라인에 블로바이 가스가 머무르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그 결과, 시동시에서의 노킹의 발생이 방지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평 10-339126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엔진의 정지 중에는 항상 블로바이 가스 라인과 개방라인이 연통되어 있다. 그 때문에, DME가 기액평형(氣液平衡)에 도달하는 일이 없어, DME가 연료 분사구로부터 차례로 기화하게 된다. 그 결과, 대량의 DME 연료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엔진에서 기동시(起動時)의 노킹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대기 중으로의 DME의 방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DME의 증기(蒸氣)를 포함하는 블로바이 가스를 공기 흡입구로 흡인하는 블로바이 가스 라인과, 상기 블로바이 가스를 대기 중으로 개방하는 개방라인을 구비하고 있는 엔진에서의,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으로서, 엔진의 기동 전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 라인을 닫히게 함과 더불어 상기 개방라인을 열리게 하는 방출공정과, 상기 엔진의 기동 후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 라인을 열리게 함과 더불어 상기 개방라인을 닫히게 하는 환원공정을 구비하되, 상기 방출공정을 제외하고 상기 엔진의 정지 중에는 상기 블로바이 가스 라인 및 상기 개방라인이 닫혀 있는,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따른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구성 (1), (2)를 채용할 수가 있다.
(1) 상기 환원공정이, 상기 엔진의 기동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더 경과한 후에 개시된다.
(2) 상기 방출공정에 있어서, 상기 개방라인이 열린 후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 라인이 닫히고, 상기 환원공정에 있어서, 상기 블로바이 가스 라인이 열린 후에 상기 개방라인이 닫힌다.
본 발명은, 엔진에 있어서, 기동시에서의 노킹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대기 중으로의 DME의 방출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블로바이 가스 라인을 포함하는 엔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은, 블로바이 가스 라인(5)을 포함하는 엔진(1)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엔진(1)은, DME를 연료로 하는 디젤기관이다.
도 1에 있어서, 엔진(1)은, 엔진 본체(2)와, 공기 흡입구(3)와, 공기 배출구(4)와, 블로바이 가스 라인(5)과, 개방라인(6)과, 스타터(7)와, 제어장치(10)와, 제1전자밸브(BV-1)와, 제2전자밸브(BV-2)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 본체(2)는, 피스톤, 실린더, 크랭크 케이스와 같은 엔진의 주요부를 포함하고 있다. 엔진 본체(2) 내에는, 크랭크 축(21), 크랭크 각(角) 센서(22), 스타터(스타터 모터; 7)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 본체(2)는, 공기 흡입구(3), 공기 배출구(4) 및 블로바이 가스 라인(5)을 제외하고, 밀폐구조이다.
블로바이 가스 라인(5)은, 엔진 본체(2)와 공기 흡입구(3)를 연통하도록 접속하는 관로(管路)이다. 개방라인(6)은, 블로바이 가스 라인(5)과 대기(大氣) 중을 연통하도록 접속하는 관로이다. 제1전자밸브(BV-1)는, 블로바이 가스 라인(5) 상에서, 블로바이 가스 라인(5)과 개방라인(6)과의 접속부와, 공기 흡입구(3)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2전자밸브(BV-2)는, 개방라인(6)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10)는, 스타터(7), 제1제어밸브(BV-1) 및 제2제어밸브(BV-2) 뿐만 아니라 엔진(1)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도 2는,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의 플로우차트이다. 제어장치(10)는,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를 엔진(1)에 대해 실행할 수 있다.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는 시퀀스 제어이다.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에 있어서, 뒤에 설명되는 단계 S1∼S8까지의 처리가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엔진(1)의 정지 중에는, 블로바이 가스 라인(5) 및 개방라인(6)이 닫혀 있다. 그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 라인(5) 내에는, 엔진 본체(2) 내에서 발생한 블로바이 가스가 충만해 있다. 이때, 블로바이 가스 라인(5)은 밀폐되어 있다. 그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 라인(5) 내에 충만해 있는 블로바이 가스가 기액평형상태에 도달하면, 블로바이 가스의 발생이 정지된다.
엔진(1)에는, 엔진(1)을 기동하기 위한 기동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단계 S1에서, 제어장치(10)는, 기동 스위치가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를 개시한다.
단계 S2에서, 제어장치(10)는 제2전자밸브(BV-2)를 열리게 한다. 단계 S3에서는, 제어장치(10)는 제1전자밸브(BV-1)를 닫히게 한다.
단계 S2 및 S3는, 블로바이 가스 라인(5)을 닫히게 함과 더불어 개방라인(6)을 열리게 하는 방출공정(放出工程)이다. 방출공정에 있어서, 블로바이 가스 라인(5) 내의 블로바이 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단계 S4에서, 제어장치(10)는 스타터(7)를 기동시킨다. 스타터(7)의 기동에 의해, 엔진 본체(2) 내의 크랭크 축의 회전이 개시된다. 그 결과, 엔진(1)이 기동(起動)된다. 스타터(7)의 기동시점과 엔진(1)의 기동시점과의 차이는, 예컨대 1초 미만의 시간이다.
단계 S5에서, 제어장치(10)는, 엔진(1)의 기동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 동안, 뒤에 설명되는 환원공정(단계 S6, S7)의 실행을 대기(待機)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 시간은 15초이다. 즉, 제어장치(10)는, 크랭크 축의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기까지 환원공정의 실행을 기다리게 된다.
단계 S6에서, 제1전자밸브(BV-1)를 열리게 한다. 단계 S3에서, 제어장치(10)는 제2전자밸브(BV-2)를 닫히게 한다.
단계 S6 및 S7은, 블로바이 가스 라인(5)을 열리게 함과 더불어 개방라인(6)을 닫히게 하는, 환원공정(還元工程)이다. 환원공정에 있어서, 블로바이 가스 라인(5) 내의 블로바이 가스가 공기 흡입구(3)로 흡입된다. 흡입된 블로바이 가스는, 엔진 본체(2) 내의 실린더에서, 엔진(1)의 운전 중에 공급되는 DME 연료와 함께 연소된다. 즉, 환원공정에 있어서, 블로바이 가스가 연료로 환원된다.
단계 S8에서, 제어장치(10)는,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를 종료시킨다.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방출공정에 있어서, 블로바이 가스 라인(5) 내의 블로바이 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이어서, 엔진(1)의 기동 후까지 환원공정의 실행을 대기하기 때문에, 엔진(1)의 기동 중에 블로바이 가스가 연료로 환원되지 않게 된다. 즉, 엔진이 운전 중이더라도 기동시에 있어서는, 블로바이 가스의 환원이 정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동시에서의 노킹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어서, 엔진(1)의 기동 후에 환원공정이 실행된다. 그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의 대기 중으로의 방출이 정지된다. 또, 엔진의 정지 중에는, 블로바이 가스 라인(5)이 닫혀 있기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의 대기 중으로의 방출이 정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엔진(1)의 정지 중에 항상 블로바이 가스 라인(5)이 열려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대기 중으로의 DME의 방출량이 저감되고 있다.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는, 엔진(1)의 기동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환원공정의 실행을 대기하고 있다. 즉, 엔진(1)의 회전이 안정될 때까지 블로바이 가스의 공기 흡입구로의 흡입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동시에서의 노킹의 발생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한편, 환원공정의 실행을 대기하는 시간은, 기동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대기 시간 대신, 엔진(1)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에 도달하기까지로 해도 좋다. 제어장치(10)는, 크랭크 각 센서(22)의 검출값에 기초해서 크랭크 축의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할 수가 있다.
특히, 방출공정에 있어서, 개방라인(6)이 열린 후에, 블로바이 가스 라인(5)이 닫히게 된다. 그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가 공기 흡입구(3)로 누설되지 않고 확실하게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또, 환원공정에 있어서, 블로바이 가스 라인(5)이 열린 후에 개방라인(6)이 닫히게 된다. 그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가 대기 중으로 누설되지 않고 확실하게 공기 흡입구(3)로 흡입된다.
1 --- 엔진
2 --- 엔진 본체
5 --- 블로바이 가스 라인
6 --- 개방라인
7 --- 스타터
21 --- 크랭크 축
BV-1 --- 제1전자밸브
BV-2 --- 제2전자밸브

Claims (3)

  1. DME의 증기를 포함하는 블로바이 가스를 공기 흡입구로 흡인하는 블로바이 가스 라인과, 상기 블로바이 가스를 대기 중으로 개방하는 개방라인을 구비하고 있는 엔진에서의,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으로서,
    엔진의 기동 전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 라인을 닫히게 함과 더불어 상기 개방라인을 열리게 하는 방출공정과,
    상기 엔진의 기동 후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 라인을 열리게 함과 더불어 상기 개방라인을 닫히게 하는 환원공정을 구비하되,
    상기 방출공정을 제외하고 상기 엔진의 정지 중에는 상기 블로바이 가스 라인 및 상기 개방라인이 닫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공정이 상기 엔진의 기동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더 경과한 후에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공정에 있어서, 상기 개방라인이 열린 후에 상기 블로바이 가스 라인이 닫히고, 상기 환원공정에 있어서, 상기 블로바이 가스 라인이 열린 후에 상기 개방라인이 닫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
KR1020117028698A 2009-06-19 2010-06-16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 KR101269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6621 2009-06-19
JP2009146621A JP5259504B2 (ja) 2009-06-19 2009-06-19 起動時ブローバイガス還元停止制御方法
PCT/JP2010/060169 WO2010147132A1 (ja) 2009-06-19 2010-06-16 起動時ブローバイガス還元停止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730A KR20120023730A (ko) 2012-03-13
KR101269361B1 true KR101269361B1 (ko) 2013-05-29

Family

ID=4335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698A KR101269361B1 (ko) 2009-06-19 2010-06-16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59504B2 (ko)
KR (1) KR101269361B1 (ko)
CN (1) CN102482962B (ko)
WO (1) WO2010147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0301B2 (ja) * 2012-01-20 2016-10-19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クローズドブリーザシステム
CN110462189B (zh) 2017-05-16 2023-02-24 沃尔沃卡车集团 用于曲轴箱的通风的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8784A (ja) 2002-08-09 2004-03-04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2009085131A (ja) 2007-10-01 2009-04-23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9126A (ja) * 1997-06-05 1998-12-22 Nkk Corp ジメチルエーテル用ディーゼル機関
CN101109343A (zh) * 2006-07-20 2008-01-23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 Dme发动机的燃料供应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8784A (ja) 2002-08-09 2004-03-04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2009085131A (ja) 2007-10-01 2009-04-23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82962A (zh) 2012-05-30
CN102482962B (zh) 2014-01-29
JP5259504B2 (ja) 2013-08-07
JP2011001909A (ja) 2011-01-06
KR20120023730A (ko) 2012-03-13
WO2010147132A1 (ja)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6980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MX2015000671A (es) Metodo para mejorar la purga mediante un tubo de escape dividido.
KR20060076692A (ko) 내연 기관 및 그 제어 방법
JP2006207575A (ja) 内燃機関及びその制御方法
JP4194435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1269361B1 (ko) 기동시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정지 제어방법
JP2013194691A (ja) 内燃機関の筒内水分検出装置、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282544B2 (ja) 蒸発燃料供給装置
JP2017002827A (ja) エンジンの清浄装置
JP4434240B2 (ja)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JP2008240717A (ja) 内燃機関の始動装置
JP5739228B2 (ja) 燃料供給装置
CN106014749B (zh) 用于辅助发动机的冷启动的装置和方法
US9611796B2 (en) Control apparatus for direct injection engine
JP2005016382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13253509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8159313A (ja)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JP2010159690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9103085A (ja) 2サイク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23161700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3056421A (ja) ウォータハンマを防止する機構を備えた内燃機関
JP2006105043A (ja) ガソリン/アルコール混合燃料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16118177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6174869B2 (ja) エンジンの掃気装置
JP2013164041A (ja) 蒸発燃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