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289B1 -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289B1
KR101043289B1 KR1020090041776A KR20090041776A KR101043289B1 KR 101043289 B1 KR101043289 B1 KR 101043289B1 KR 1020090041776 A KR1020090041776 A KR 1020090041776A KR 20090041776 A KR20090041776 A KR 20090041776A KR 101043289 B1 KR101043289 B1 KR 101043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case
gas
dual fuel
fuel eng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732A (ko
Inventor
신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1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289B1/ko
Priority to PCT/KR2010/002814 priority patent/WO2010131861A2/ko
Priority to EP10775063.0A priority patent/EP2431582B1/en
Priority to JP2012510740A priority patent/JP5422737B2/ja
Priority to CN201080021443.9A priority patent/CN102421996B/zh
Publication of KR20100122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2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 F01M13/028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of positiv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2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 F01M13/021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of negativ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2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 F01M13/021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of negative pressure
    • F01M2013/026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of negative pressure with pumps sucking air or blow-by gases from the crankc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39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 F02D19/064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at least one fuel being gaseous, the other fuels being gaseous or liquid at standard conditions
    • F02D19/0647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at least one fuel being gaseous, the other fuels being gaseous or liquid at standard conditions the gaseous fuel being liquefied petroleum gas [LPG], liquefied natural gas [LNG], compressed natural gas [CNG] or dimethyl ether [D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6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lubricant vapou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를 정화시키기 위한 퍼지가스를 공급하는 퍼지가스공급부와, 퍼지가스공급부로부터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로 퍼지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공급라인과, 공급라인에 설치되며, 퍼지가스의 공급을 개폐시키는 개폐유닛과, 크랭크 케이스에 배기를 위해 설치되는 배기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내에 존재하는 연료가스를 제거함으로써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유출되는 연료가스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며, 나아가서, 크랭크 케이스 내에 연료가스가 존재하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연료가스의 제거 과정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Figure R1020090041776
이중연료 엔진, 크랭크 케이스, 퍼지가스, 연료가스, 공급라인, 가스센서

Description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APPARATUS FOR PURGING CRANK CASE OF DUAL FUEL ENGINE}
본 발명은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내에 존재하는 연료가스를 제거함으로써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유출되는 연료가스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는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함) 운반선 등은 디젤과 연료가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이중연료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LNG 운반선은 이중연료 엔진을 이용하여 전력 생산이나 선박의 추진력을 얻도록 하는데, LNG 탱크 내의 압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증발가스(boil-off gas, BOG)인 천연가스를 이중연료 엔진의 연료가스로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이중연료 엔진의 도입은 LNG 운반선의 경우 스팀구동에 따른 터빈 엔진보다는 오히려 디젤 엔진을 적용하고 있는 추세와 증발가스의 효율적인 연료화에 따른 것이다. 즉, LNG 운반선의 LNG 탱크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회수하여 LNG로 재액화시킨 다음, 이를 다시 LNG 탱크로 보내는 재액화 시스템은 설비 및 운전에 따른 경비의 지출이 증가하는 불리한 점을 가진다. 따라서, LNG 운반선은 LNG 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 및 천연액화가스를 강제로 증발시킨 증발가스를 디젤과 함께 교대로 연료로서 사용하는 이중연료 엔진이 비용적인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종래의 LNG 운반선 등의 이중연료 엔진은 운전 중에 실린더에서 크랭크가 회전 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크랭크 케이스로 천연가스인 연료가스가 지속적으로 유출되고 있으며, 크랭크 케이스에 유출된 연료가스는 비록 운전의 안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엔진의 수리를 위해 크랭크 케이스를 개방하는 경우 그 내부에 존재하는 연료가스와 오일 미스트(oil mist)가 기관실 내로 유출되어 폭발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내에 존재하는 연료가스를 제거하고, 나아가서, 크랭크 케이스 내에 존재하는 연료가스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연료가스의 제거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노력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는,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를 정화시키는 장치로서,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를 정화시키기 위 한 퍼지가스를 공급하는 퍼지가스공급부와, 퍼지가스공급부로부터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로 퍼지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공급라인과, 공급라인에 설치되며, 퍼지가스의 공급을 개폐시키는 개폐유닛과, 크랭크 케이스에 배기를 위해 설치되는 배기라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내에 존재하는 연료가스를 제거함으로써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유출되는 연료가스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며, 나아가서, 크랭크 케이스 내에 연료가스가 존재하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연료가스의 제거 과정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100)는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10)를 정화시키는 장치로서, 퍼지가스공급부(110)와, 퍼지가스공급부(110)로부터 크랭크 케이스(10)에 연결되는 공급라인(120)과, 공급라인(120)에 설치되는 개폐유닛(130)과, 크랭크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배기라인(140)을 포함할 수 있다.
퍼지가스공급부(110)는 크랭크 케이스(10)의 내부를 정화시키기 위한 퍼지가스를 공급하는데, 퍼지가스로는 일례로 질소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공급라인(120)은 퍼지가스공급부(110)로부터 크랭크 케이스(10)의 내부로 퍼지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개폐유닛(130)에 의해 퍼지가스의 공급을 개폐시키며, 공급되는 퍼지가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압력조절밸브(121)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유닛(130)은 일례로 공급라인(120)을 따라 흐르는 퍼지가스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용 밸브가 사용되거나, 퍼지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후술하게 될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될 수도 있다.
배기라인(140)은 개폐유닛(130)의 개방에 의해 퍼지가스공급부(110)로부터 공급라인(120)을 따라 크랭크 케이스(10)에 퍼지가스가 공급 시 내부의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크랭크 케이스(10)에 배기를 위해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100)는 크랭크 케이스(10)의 내부에 존재하는 연료가스를 검출하는 검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150)는 크랭크 케이스(10)에 연결되는 샘플링튜브(151)와, 샘플링튜브(151)를 통해서 크랭크 케이스(10)로부터 가스를 추출시키는 펌핑유닛과, 샘플링튜브(151)에 설치됨과 아울러 크랭크 케이스(10)로부터 추출되는 가스에 포함되는 연료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샘플링튜브(151)는 크랭크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끝단에 튀거나 낙하하는 윤활유의 부착을 차단하기 위하여 커버(151a)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커버(151a)는 샘플링튜브(151)의 끝단을 통해 가스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샘플링튜브(151)의 끝단을 효과적으로 감싸기 위하여 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샘플링튜브(151)의 끝단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되거나, 크랭크 케이스(1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펌핑유닛은 본 실시예에서 퍼지가스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퍼지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와 외부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크랭크 케이스(10)로부터 가스를 추출시키는 이젝터(ejector; 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152)는 퍼지가스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퍼지가스에 의해 작동하여 샘플링튜브(151)를 통해서 크랭크 케이스(10) 내부의 가스를 추출시키도록 하는데, 이러한 이젝터(152)는 공급라인(120)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라인(122)을 통해서 퍼지가스공급부(110)의 퍼지가스가 제 1 유입구(152a)에 공급됨으로써 배출구(152b)를 통해서 배출라인(152d)으로 배출되고, 퍼지가스의 유입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와 외부간의 압력 차이로 인해 제 2 유입구(152c)에 연결되는 샘플링튜브(151)를 통해서 크랭크 케이스(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가스를 흡입하여 가스센서(153)로 공급되도록 한다.
가스센서(153)는 연료가스, 예를 들면 LNG 운반선의 LNG 탱크로부터 자연적으로 또는 강제적으로 발생되는 증발가스인 천연가스에 함유된 메탄을 감지하거나, 그 밖의 폭발의 위험이 있는 연료가스를 감지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가스센서(153)는 샘플링튜브(151)를 통해서 추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연료가스의 양이나 농도를 외부로 직접 알리거나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검출부(150)는 샘플링튜브(151)에서 가스센서(153)의 전단에 플레임어레스트(flame arrest; 154)와 미스트분리기(155)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설치될 수 있다.
플레임어레스트(154)는 가스센서(153) 등으로부터 샘플링튜브(151)를 통해서 크랭크 케이스(10)로 화염이 전달됨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내측에 메쉬망이나 필터링부재 등의 다양한 구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미스트분리기(155)는 샘플링튜브(151)를 통해서 크랭크 케이스(10)로부터 추출되는 가스에 포함되는 오일 미스트(oil mist)를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내측에 메쉬망이나 필터링부재 등의 다양한 구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는데, 미스트분리기(155)에 의해 분리되는 오일 미스트는 재공급라인(155a)을 통해서 크랭크 케이스(10)로 재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100)는 가스센서(153)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개폐유닛(130)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샘플링튜브(151)를 통해서 가스를 추출 시 이젝터(152)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개폐유닛(130)을 개방시킴으로써 이젝터(152)에 작동 유체로서 퍼지가스가 공급되도록 하고, 가스센서(153)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로부터 샘플링 튜브(151)에 의해 추출되는 가스에 연료가스, 예를 들면 천연가스 등과 같이 폭발 우려가 있는 가스의 양이나 농도를 산출하여 산출된 값이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크랭크 케이스(10)의 정화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개폐유닛(130)을 폐쇄시킨다.
제어부(160)는 샘플링튜브(151)에 설치되어 크랭크 케이스(10)로부터 추출되는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센서(161)와 가스센서(153)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크랭크 케이스(10)로부터 추출되는 가스에 포함되는 연료가스의 양이나 농도를 디스플레이부(162)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유량센서(161)를 통해서 크랭크 케이스(10)로부터 추출되는 가스의 양을 산출하게 되고, 가스센서(153)를 통해서 샘플링튜브(151)를 통과하는 연료가스의 양을 산출하게 됨으로써 크랭크 케이스(10)로부터 추출되는 가스에 함유된 연료가스의 양이나 농도를 디스플레이부(162)를 통해서 외부로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유량센서(161)는 마이크로 필터가 내장됨으로써 샘플링튜브(151)를 통해서 추출되는 가스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퍼지가스공급부(110)로부터 퍼지가스가 개폐유닛(130)의 개방에 의해 공급라인(120)을 따라 압력조절밸브(121)에 의해 조절된 압력으로 크랭크 케이스(10)로 공급되며, 이로 인해 크랭크 케이스(10) 내부에 존재하는 가스가 배기라인(14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크랭크 케이스(10) 내부의 정화를 실시하게 된다.
이 때, 이젝터(152)는 퍼지가스공급부(110)로부터 분기라인(122)을 통해서 공급되는 퍼지가스를 작동유체로 하여 크랭크 케이스(10) 내부에 존재하는 가스를 샘플링튜브(151)를 통해서 추출하여 가스센서(153)로 공급하도록 하고, 가스센서(153)가 샘플링튜브(151)를 통해서 추출된 가스에 존재하는 연료가스의 양이나 농도를 감지하여 이를 감지신호로 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며, 제어부(160)는 가스센서(153)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로부터 감지된 연료가스의 양이나 농도가 설정된 값 미만이면 크랭크 케이스(10)의 개방 시 폭발 위험이 없을 정도로 정화가 되었다고 판단하여 개폐유닛(130)을 폐쇄시킴으로써 퍼지가스공급부(110)로부터 퍼지가스의 공급을 중단시킨다.
제어부(160)는 유량센서(161) 및 가스센서(153)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샘플링튜브(151)를 통해서 추출되는 가스에 존재하는 연료가스의 양이나 농도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162)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가스센서(153)가 감지되는 연료가스의 양이나 농도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경우 이러한 가스센서(153)의 표시부를 통해서 또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162)를 통해서 작업자가 직접 확인하여 크랭크 케이스(10)에 대한 정화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수동으로 개폐유닛(130)을 폐쇄시킬 수도 있다.
또한, 크랭크 케이스(10) 내에서 액상의 윤활유가 커버(151a)에 의해 샘플링튜브(151)로 유입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플레임어레스트(154)에 의해 가스센서(153)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염이 샘플링튜브(151)를 통해서 크랭크 케이스(10)로 역류되지 못하도록 하고, 미스트분리기(155)에 의해 샘플링튜브(151)를 통해서 추출된 가스에 존재하는 오일 미스트를 분리하여 재공급라인(155a)을 통해서 크랭크 케이스(10)로 재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2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10)를 정화시키는 장치로서, 크랭크 케이스(10)의 내부를 정화시키기 위한 퍼지가스를 공급하는 퍼지가스공급부(210)와, 퍼지가스공급부(210)로부터 크랭크 케이스(10)의 내부로 퍼지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공급라인(220)과, 공급라인(220)에 설치됨과 아울러 퍼지가스의 공급을 개폐시키는 개폐유닛(230)과, 크랭크 케이스(10)에 배기를 위해 설치되는 배기라인(240)을 포함할 수 있고, 크랭크 케이스(10)의 내부에 존재하는 연료가스를 검출하는 검출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검출부(250)에 포함되는 가스센서(253)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개폐유닛(230)을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200)의 퍼지가스공급부(210), 공급라인(220), 개폐유닛(230), 배기라인(240), 검출부(250) 및 제어부(26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100)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겠다.
검출부(250)는 크랭크 케이스(10)에 연결되는 샘플링튜브(251)를 통해서 크 랭크 케이스(10)로부터 가스를 추출시키는 펌핑유닛이 이전의 실시예와 달리, 샘플링튜브(251)에 설치되어 크랭크 케이스(10)로부터 가스를 추출시키는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는 추출펌프(2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출펌프(252)는 제어부(260)의 제어신호 또는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하여 샘플링튜브(251)로 펌핑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랭크 케이스(10)의 내부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개폐유닛(230)의 개방에 의해 퍼지가스공급부(210)로부터 퍼지가스가 압력조절밸브(221)에 의해 조절된 압력으로 공급라인(220)을 통해서 크랭크 케이스(10)로 공급되고, 이로 인해 크랭크 케이스(10) 내부에 존재하는 가스가 퍼지가스와 함께 배기라인(24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크랭크 케이스(10) 내부의 정화를 실시하게 된다.
이 때, 추출펌프(252)의 구동에 의해 크랭크 케이스(10) 내부에 존재하는 가스를 샘플링튜브(251)를 통해서 추출하여 화염의 역류를 방지하는 플레임어레스트(254)와 오일 미스트를 분리하는 미스트분리기(255)를 거쳐서 가스센서(253)로 공급되도록 하고, 가스센서(253)가 샘플링튜브(251)를 통해서 추출된 가스에 존재하는 연료가스를 감지하여 이를 감지신호로 하여 제어부(260)로 출력하며, 제어부(260)는 가스센서(253)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로부터 연료가스의 양이나 농도가 설정된 양 미만이면 크랭크 케이스(10)의 개방 시 폭발 위험이 없을 정도로 정화가 되었다고 판단하여 개폐유닛(230)을 폐쇄시킨다.
또한, 이전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100)에서와 마찬가지로, 제어부(260)는 유량센서(261) 및 가스센서(253)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샘플링튜브(251)를 통해서 추출되는 가스에 존재하는 연료가스의 양이나 농도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262)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으며, 가스센서(253)가 감지된 연료가스의 양이나 농도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경우 이러한 가스센서(253)의 표시부를 통해서 또는 디스플레이부(262)를 통해서 작업자가 직접 확인하여 크랭크 케이스(10)에 대한 정화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수동으로 개폐유닛(230)을 폐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례로 LNG 운반선 등에서 디젤과 연료가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이중연료 엔진을 이용하여 전력 생산이나 선박의 추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중연료 엔진의 운전 중 실린더에서 천연가스와 같은 연료가스가 크랭크 케이스로 유출됨으로써 엔진의 수리를 위해 크랭크 케이스를 개방하는 경우 크랭크 케이스 내에 존재하는 연료가스와 오밀 미스트가 기관실 내로 유출되어 폭발을 일으킬 염려를 사전에 차단하며, 나아가서, 크랭크 케이스 내에 연료가스가 존재하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크랭크 케이스에 필요한 만큼만 퍼지가스가 공급되도록 하여 연료가스의 제거 과정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을 최소화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 함된다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크랭크 케이스 110,210 : 퍼지가스공급부
120,220 : 공급라인 121,221 : 압력조절밸브
122 : 분기라인 130,230 : 개폐유닛
140,240 : 배기라인 150,250 : 검출부
151,251 : 샘플링튜브 151a : 커버
152 : 이젝터 152a : 제 1 유입구
152b : 배출구 152c : 제 2 유입구
152d : 배출라인 153,253 : 가스센서
154,254 : 플레임어레스트 155,255 : 미스트분리기
155a : 재공급라인 160,260 : 제어부
161,261 : 유량센서 162,262 : 디스플레이부
252 : 추출펌프

Claims (11)

  1.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를 정화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를 정화시키기 위한 퍼지가스를 공급하는 퍼지가스공급부와,
    상기 퍼지가스공급부로부터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로 퍼지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공급라인과,
    상기 공급라인에 설치되며, 퍼지가스의 공급을 개폐시키는 개폐유닛과,
    상기 크랭크 케이스에 배기를 위해 설치되는 배기라인
    을 포함하는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에 존재하는 연료가스를 검출하는 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크랭크 케이스에 연결되는 샘플링튜브와,
    상기 샘플링튜브를 통해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가스를 추출시키는 펌핑유닛과,
    상기 샘플링튜브에 설치되며, 상기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추출되는 가스에 포함되는 연료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를 포함하는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튜브는,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끝단에 윤활유의 부착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가 설치되는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유닛은,
    상기 퍼지가스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퍼지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와 외부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가스를 추출시키는 이젝터
    를 포함하는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유닛은,
    상기 샘플링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가스를 추출시키기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는 추출펌프
    를 포함하는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샘플링튜브에서 상기 가스센서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크랭크 케이스로 화염이 전달됨을 차단하는 플레임어레스트
    를 더 포함하는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8. 제 3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샘플링튜브에서 상기 가스센서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추출되는 가스에 포함되는 오일 미스트를 분리시키는 미스트분리기
    를 더 포함하는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미스트분리기에 의해 분리되는 오일 미스트를 상기 크랭크 케이스로 재공급되도록 하는 재공급라인
    을 더 포함하는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개폐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샘플링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추출되는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센서와 상기 가스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각각 수신받아 상기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추출되는 가스에 포함되는 연료가스의 양이나 농도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표시하는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KR1020090041776A 2009-05-13 2009-05-13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KR101043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776A KR101043289B1 (ko) 2009-05-13 2009-05-13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PCT/KR2010/002814 WO2010131861A2 (ko) 2009-05-13 2010-05-03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EP10775063.0A EP2431582B1 (en) 2009-05-13 2010-05-03 Apparatus for cleaning the crankcase of a dual-fuel engine
JP2012510740A JP5422737B2 (ja) 2009-05-13 2010-05-03 二重燃料エンジンのクランクケース浄化装置
CN201080021443.9A CN102421996B (zh) 2009-05-13 2010-05-03 用于清洁双燃料发动机的曲轴箱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776A KR101043289B1 (ko) 2009-05-13 2009-05-13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732A KR20100122732A (ko) 2010-11-23
KR101043289B1 true KR101043289B1 (ko) 2011-06-22

Family

ID=4308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776A KR101043289B1 (ko) 2009-05-13 2009-05-13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31582B1 (ko)
JP (1) JP5422737B2 (ko)
KR (1) KR101043289B1 (ko)
CN (1) CN102421996B (ko)
WO (1) WO2010131861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146B1 (ko) * 2012-08-01 2013-11-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Df 엔진의 가스 라인 퍼징 시스템
KR101938015B1 (ko) * 2013-05-23 2019-01-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블록 내 가스 배출시스템
KR20210115798A (ko) 2020-03-16 2021-09-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7172A1 (de) * 2011-04-12 2012-10-18 Man Diesel & Turbo Se Brennkraftmaschine
TWI405899B (zh) * 2011-05-23 2013-08-21 Sanyang Industry Co Ltd Cleaning device for stepless speed change system
EP2963269B1 (en) * 2014-07-01 2017-02-01 Caterpillar Motoren GmbH & Co. KG Method of supplying fuel to engine
KR101764013B1 (ko) * 2015-04-07 2017-08-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2112898B1 (ko) * 2016-02-29 2020-05-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
KR102132055B1 (ko) * 2016-03-18 2020-07-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중연료엔진 배출가스 감지오류 저감장치
JP2018084205A (ja) * 2016-11-24 2018-05-31 愛三工業株式会社 ポンプモジュール及び蒸発燃料処理装置
CN110461706B (zh) * 2017-03-24 2022-11-22 大宇造船海洋株式会社 船舶用气体排出系统、气体排出方法及排出气体回收方法
WO2018210409A1 (en) 2017-05-16 2018-11-22 Volvo Truck Corporation A system for ventilation of a crankcase
JP2021127704A (ja) * 2020-02-12 2021-09-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4ストロークエンジン及びクランクケースの内部における着火防止方法
CN113356963A (zh) * 2021-06-30 2021-09-07 河南柴油机重工有限责任公司 气体燃料内燃发动机曲轴箱防爆方法和装置
JP2023124990A (ja) * 2022-02-28 2023-09-07 三菱重工エンジン&ターボチャージャ株式会社 内燃機関
DE102022121952A1 (de) 2022-08-31 2024-02-29 Hengst Se Entlüftungssystem für ein Kurbelgehäu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946A (ko) 2001-12-20 2003-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장치 및 방법
JP2004251228A (ja) * 2003-02-21 2004-09-09 Toyota Motor Corp 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7198358A (ja) * 2006-01-30 2007-08-09 Nippon Soken Inc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8144625A (ja) * 2006-12-07 2008-06-26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213Y2 (ja) * 1981-03-16 1985-08-07 株式会社クボタ 二元燃料エンジンの安全装置
CH664798A5 (de) * 1983-11-14 1988-03-31 Bbc Brown Boveri & Cie Vorrichtung zur rueckfuehrung der abblasemenge aus dem kurbelgehaeuse.
JPS63154849A (ja) * 1986-12-17 1988-06-2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機関用爆発防止装置
US7281532B2 (en) * 2005-03-01 2007-10-16 Honda Motor Co., Ltd. Blow-by gas and purge gas treating device in intake valve lift variable engine
CN2823564Y (zh) * 2005-08-09 2006-10-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汽车发动机曲轴箱强制通风装置
US7434571B2 (en) * 2005-10-31 2008-10-14 Caterpillar Inc. Closed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CN2874032Y (zh) * 2005-12-29 2007-02-2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内燃机曲轴箱通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946A (ko) 2001-12-20 2003-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배출 억제장치 및 방법
JP2004251228A (ja) * 2003-02-21 2004-09-09 Toyota Motor Corp 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7198358A (ja) * 2006-01-30 2007-08-09 Nippon Soken Inc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8144625A (ja) * 2006-12-07 2008-06-26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146B1 (ko) * 2012-08-01 2013-11-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Df 엔진의 가스 라인 퍼징 시스템
KR101938015B1 (ko) * 2013-05-23 2019-01-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블록 내 가스 배출시스템
KR20210115798A (ko) 2020-03-16 2021-09-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26945A (ja) 2012-11-01
KR20100122732A (ko) 2010-11-23
EP2431582A4 (en) 2017-04-19
EP2431582B1 (en) 2019-05-01
CN102421996A (zh) 2012-04-18
WO2010131861A3 (ko) 2011-03-03
WO2010131861A2 (ko) 2010-11-18
CN102421996B (zh) 2014-05-07
JP5422737B2 (ja) 2014-02-19
EP2431582A2 (en)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289B1 (ko) 이중연료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정화 장치
US11913380B2 (en) Gas source system for supplying combustion gas to a turbine engine by fracturing manifold equipment
US4066386A (en) Priming systems for pumps
EP2930098B1 (en) Air lubrication device and ship
RU2011109459A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деления и собира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унесенной в газе из резервуара
WO2001090540A3 (en) Safety shut-off valve for crankcase emission control system
CN107829848A (zh) 蒸发燃料处理设备
RU2009107108A (ru) Маслоотделитель для работающих на газовом топливе двигателей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CN101331528A (zh) 气体冷却器用气体泄漏检测系统
CN103925129B (zh) 燃料供应设备
JP2012136987A (ja) 潤滑油の劣化検知装置及び方法、潤滑油の劣化検知装置を備えたエンジンシステム
US9776155B1 (en) Hydrocarbon vapor recovery system with oxygen reduction
CN109752028A (zh) 汽油车油箱盖开启正压检测方法
KR101055833B1 (ko) 압축천연가스 엔진의 연료 공급 제어장치
KR101829503B1 (ko) 이중 연료 엔진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NO335664B1 (no) Fremgangsmåte og system for oppsamling og evakuering av dreneringsvæske i et undersjøisk kompresjonssystem
CN110462189B (zh) 用于曲轴箱的通风的系统
JP2004308595A (ja) 蒸発燃料処理装置及びその装置の診断装置
CN113700578A (zh) 蒸发燃料处理装置的泄漏孔判定装置
KR20220117163A (ko) 수중에 위치된 프로펠러 샤프트를 밀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17156A (ko) Me-gi 엔진 가스누출감지 배관 에어공급용 밸브유니트
KR101938015B1 (ko) 엔진블록 내 가스 배출시스템
CN109552660A (zh) 一种重力加注式集成加油设施
CN217784859U (zh) 一种可阻止串压的自取压装置
US8287628B2 (en) Fluid reservoir having a gas sensor and a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