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086A -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086A
KR20130049086A KR1020110114136A KR20110114136A KR20130049086A KR 20130049086 A KR20130049086 A KR 20130049086A KR 1020110114136 A KR1020110114136 A KR 1020110114136A KR 20110114136 A KR20110114136 A KR 20110114136A KR 20130049086 A KR20130049086 A KR 20130049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ert gas
blower
scrubber
exhaust gas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손동수
구광태
최한내
시종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9086A/ko
Publication of KR20130049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8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h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4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for distribution of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07Single phase
    • F17C2223/0123Single phase gaseous, e.g. CNG, GN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활성가스 충전시(I/G Topping Up Mode) 요구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에 따라 블로워 용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일러의 가동 부하를 낮춰 연료 손실을 절감할 수 있는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는 연료를 연소하여 배기가스를 생성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 의해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추출하는 배기가스 추출관과, 상기 배기가스 추출관에 의해 추출된 배기가스를 냉각 및 정제하는 스크러버와, 상기 스크러버로부터 배출되는 불활성가스를 흡입하여 원유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블로워 및 상기 스크러버와 블로워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러버와 블로워 사이의 불활성가스 배관의 압력을 조절하는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에 의해 불활성가스 배관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블로워에 흡입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이 줄어들고, 상기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에 의해 불활성가스 배관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블로워에 흡입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Inert gas supply system for oil tanker}
본 발명은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활성가스 충전시(I/G Topping Up Mode) 요구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에 따라 블로워 용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일러의 가동 부하를 낮춰 연료 손실을 절감할 수 있는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유운반선 내에는 원유를 저장하는 원유 저장탱크가 구비된다. 원유의 충진(I/G Topping Up Mode)시 또는 선박 항해시에 원유 저장탱크 내에 유증기가 발생되며, 유증기로 인한 폭발 가능성이 상존한다.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원유 주입 또는 하역시에 원유 저장탱크 내에 불활성가스가 주입된다.
한편, 원유 저장탱크 내에 충전된 불활성가스는 일정 시간 경과 후 누설되거나 원유 내에 용해되는데, 이에 따라 불활성가스의 충전(I/G Topping Up)이 요구되며, 불활성가스의 충전은 선박 내에 구비된 불활성가스 공급장치에 의해 진행된다.
불활성가스 공급장치는 크게 원유운반선에 적용되는 IGS 방식(Fuel Inert Gas System)과 석유화학제품, LNG/LPG 운반선에 적용되는 IGG 방식(Inert Gas Generator)으로 구분된다. IGS 방식은 선박용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불활성가스로 이용하는 방식이며, IGG 방식은 선박용 디젤유를 직접 연소하여 불활성가스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IGG 방식의 일 예는 한국등록특허 제729665호에 개시되어 있다.
IGS 방식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 스크러버(Scrubber) 및 블로워(Blower)를 구비하며, 보일러에서 생성된 불활성가스는 스크러버를 통해 정제 및 냉각되며 이후 블로워에 의해 원유 저장탱크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IGS 방식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는, 블로워 용량은 고정되어 있고 해당 블로워 용량에 해당되는 배기가스를 생성하기 위해 보일러가 가동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블로워 용량이 100이면 100 이상의 불활성가스가 블로워에 공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보일러는 100 이상(예를 들어, 115)의 배기가스를 생성하도록 가동된다.
한편, 불활성가스 충전시(I/G Topping Up Mode) 원유 저장탱크에서 요구되는 불활성가스는 보일러에서 생성된 배기가스가 산소함유량(4~5%)만 만족하면 되나, 4~5% 미만의 산소함유량을 갖는 배기가스는 그 총량이 일반적으로 블로워 용량보다 작다. 이런 경우에도 블로워 용량에 해당되는 만큼의 배기가스를 생성하도록 가동되며 이에 따라, 보일러 가동을 위한 불필요한 연료 손실이 발생된다.
즉, 원유 저장탱크에 채워져야 할 불활성가스의 양이 블로워 용량(예를 들어, 100)보다 작은 경우(예를 들어, 50)에도 블로워 용량(100) 이상의 배기가스(예를 들어, 115)를 생성하도록 보일러를 가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달리 표현하여, 불활성가스의 요구량에 무관하게 보일러가 블로워 요구 용량에 맞추어 가동됨에 따라, 불필요한 연료 손실이 발생된다.
또한, 보일러의 가동부하를 감소시켜 배기가스의 생성량을 줄이게 되면 블로워는 부족한 가스의 양을 대기 중 공기로 채워 원유 저장탱크로 공급하게 되며, 이 경우 산소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불활성가스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여 원유 저장탱크로 공급함에 부적합하다.
한국등록특허 제7296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불활성가스 충전시(I/G Topping Up Mode) 요구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에 따라 블로워 용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일러의 가동 부하를 낮춰 연료 손실을 절감할 수 있는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는 연료를 연소하여 배기가스를 생성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 의해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추출하는 배기가스 추출관과, 상기 배기가스 추출관에 의해 추출된 배기가스를 냉각 및 정제하는 스크러버와, 상기 스크러버로부터 배출되는 불활성가스를 흡입하여 원유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블로워 및 상기 스크러버와 블로워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러버와 블로워 사이의 불활성가스 배관의 압력을 조절하는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에 의해 불활성가스 배관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블로워에 흡입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이 줄어들고, 상기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에 의해 불활성가스 배관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블로워에 흡입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불활성가스 배관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형태로 작동된다. 또한, 상기 스크러버 내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노즐 및 배기가스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블로워에 흡입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보일러에 의해 생성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일러 가동부화를 최적화하여 연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은 불활성가스 충전시(I/G Topping Up Mode) 원유 저장탱크에 요구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이 블로워의 정상 용량 대비 낮은 경우, 블로워에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을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낮춰 블로워의 입구 압력(P)을 높이고 블로워의 용량(V)을 줄임으로써 블로워에 의해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을 감소시키며, 궁극적으로 요구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에 상응하도록 보일러를 가동하여 보일러 가동부하를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보일러 가동으로 인한 연료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는 보일러(110), 배기가스 추출관(120), 스크러버(130)(scrubber),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140) 및 블로워(150)(blow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일러(110)는 연료의 연소를 통해 배기가스 즉, 불활성가스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배기가스 추출관(120)은 상기 보일러(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일러(110)에 의해 생성된 배기가스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스크러버(130)는 배기가스를 냉각, 정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크러버(130) 내에는 냉각수 예를 들어, 해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노즐(131)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러버(130)에 의해 냉각, 정제된 불활성가스는 상기 블로워(150)를 거쳐 최종적으로 원유 저장탱크(160)에 공급된다. 상기 블로워(150)는 상기 스크러버(130)에서 배출되는 불활성가스를 흡입하여 원유 저장탱크(160)에 공급하는데, 통상 블로워(150)는 일정 용량을 갖추고 해당 용량만큼 가스를 흡입하는 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로워(150)에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블로워(150) 용량을 채우기 위해 대기를 흡입하여 산소 농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블로워(150) 전단의 불활성가스가 공급되는 배관의 유량조절밸브를 이용하여 블로워 입구측 배관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블로워(150)에 의해 흡입되는 가스의 양을 감소시키는 원리를 적용한다. 즉, 일정 용량의 블로워(150)가 일정 압력 상태에서 일정한 힘으로 가스를 흡입하는 것으로 정의한다면, 블로워(150) 전단의 가스 유입배관의 압력을 높이게 되면 블로워(150)에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달리 표현하여, 가스 유입배관의 압력 증가에 의해 블로워(150)의 흡입 능력이 저하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140)가 상기 스크러버(130)와 블로워(150) 사이 즉, 블로워 입구측 불활성가스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블로워(150)에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의 압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140)는 배기가스 배관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형태로 작동되어 배기가스 배관의 압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110 : 보일러 120 : 배기가스 추출관
130 : 스크러버 131 : 냉각수 노즐
140 :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 150 : 블로워
160 : 원유 저장탱크

Claims (3)

  1. 연료를 연소하여 배기가스를 생성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에 의해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추출하는 배기가스 추출관;
    상기 배기가스 추출관에 의해 추출된 배기가스를 냉각 및 정제하는 스크러버;
    상기 스크러버로부터 배출되는 불활성가스를 흡입하여 원유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블로워; 및
    상기 스크러버와 블로워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러버와 블로워 사이의 불활성가스 배관의 압력을 조절하는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에 의해 불활성가스 배관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블로워에 흡입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이 줄어들고, 상기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에 의해 불활성가스 배관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블로워에 흡입되는 불활성가스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가스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불활성가스 배관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형태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러버 내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노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KR1020110114136A 2011-11-03 2011-11-03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KR20130049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136A KR20130049086A (ko) 2011-11-03 2011-11-03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136A KR20130049086A (ko) 2011-11-03 2011-11-03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086A true KR20130049086A (ko) 2013-05-13

Family

ID=48659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136A KR20130049086A (ko) 2011-11-03 2011-11-03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908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1457A (zh) * 2013-11-06 2014-02-19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用于浮式储油卸油装置的惰气系统
KR101480435B1 (ko) * 2013-09-03 2015-01-09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복합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1590551B1 (ko) * 2014-11-04 2016-02-18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KR20190000279A (ko) * 2017-06-22 2019-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KR20190010042A (ko) 2017-07-20 2019-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KR20190090873A (ko) * 2017-02-27 2019-08-02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선박
KR20200068927A (ko) * 2018-12-06 2020-06-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원유 하역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435B1 (ko) * 2013-09-03 2015-01-09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복합 배기가스 처리장치
CN103591457A (zh) * 2013-11-06 2014-02-19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用于浮式储油卸油装置的惰气系统
CN103591457B (zh) * 2013-11-06 2016-01-13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用于浮式储油卸油装置的惰气系统
KR101590551B1 (ko) * 2014-11-04 2016-02-18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KR20190090873A (ko) * 2017-02-27 2019-08-02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선박
CN110267872A (zh) * 2017-02-27 2019-09-20 三菱重工业株式会社 船舶
KR20190000279A (ko) * 2017-06-22 2019-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KR20190010042A (ko) 2017-07-20 2019-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KR20200068927A (ko) * 2018-12-06 2020-06-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원유 하역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9086A (ko)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KR101989214B1 (ko) 액화 가스 연료 시스템으로부터 가스 작동식 엔진으로의 가스 이송을 개시하는 방법 및 가스 작동식 엔진용 액화 가스 연료 시스템
KR101411184B1 (ko) 가스구동선박용 연료시스템
KR101521065B1 (ko) 선박, 연료공급장치, 추진용 주기(主機)로의 액화연료가스의 공급방법
KR101732293B1 (ko) 액화 가스로 연료 탱크를 충전하는 방법 및 액화 가스 연료 시스템
JP4055737B2 (ja) 水素生成機能を有する内燃機関システム
KR20130049085A (ko)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CN105683039A (zh) 液化气运输船用燃料气体供给系统
KR101876977B1 (ko) 선박용 가스 배출 시스템 및 가스 배출 방법
CN104736432A (zh) 气体去除设备、气体去除船、及从储气罐中去除气体的气体去除方法
CN104791142A (zh) 一种船用发动机燃料供给系统及方法
KR20210145035A (ko) 선박용 연료 공급 시스템
CN103935497B (zh) 移动加气船
RO125594A2 (ro) Dispozitiv de alimentare cu combustibil a unei instalaţii de producere a energiei unei nave
CN111891327A (zh) 一种原油货舱透气系统及包含其的海上浮式生产储油船
KR20160086438A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CN107208559A (zh) 用于控制轮船发动机的燃料供应的系统和方法
KR101973039B1 (ko) 선박용 액체 화물창의 불활성 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WO2008142826A1 (ja) 舶用内燃機関の燃料供給方法及び装置
KR20100047387A (ko) 증발가스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KR102553556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122633B1 (ko)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628858B1 (ko) 선박
KR20240018883A (ko) 암모니아 연료 선박
KR101818028B1 (ko) 탱커선의 불활성 가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