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633B1 -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633B1
KR102122633B1 KR1020170037658A KR20170037658A KR102122633B1 KR 102122633 B1 KR102122633 B1 KR 102122633B1 KR 1020170037658 A KR1020170037658 A KR 1020170037658A KR 20170037658 A KR20170037658 A KR 20170037658A KR 102122633 B1 KR102122633 B1 KR 102122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boiler
inert gas
crude oil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202A (ko
Inventor
손동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63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2B1/1807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9/00Steam boilers of fire-tube type, i.e. the flue gas from a combustion chamber outside the boiler body flowing through tubes built-in in the boiler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0Technologies for a more efficient combustion or heat u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은, 연료를 연소하여 배기가스를 생성하는 엔진;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의 폐열 및 연료의 연소열을 통해 스팀을 생성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불활성 가스를 흡입하여 원유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Inert Gas System and Vesse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원유 운반선 내에는 원유를 저장하는 원유 저장탱크가 구비된다. 원유의 충진(I/G Topping Up Mode)시 또는 선박 항해시에 원유 저장탱크 내에 유증기가 발생되며, 유증기로 인한 폭발 가능성이 상존한다.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원유 주입 또는 하역시에 원유 저장탱크 내에 불활성 가스가 주입된다.
한편, 원유 저장탱크 내에 충전된 불활성 가스는, 일정 시간 경과 후 누설되거나 원유 내에 용해되는데, 이에 따라 불활성 가스의 충전(I/G Topping Up Mode)이 요구되며, 불활성 가스의 충전은 선박 내에 구비된 불활성가스 시스템에 의해 진행된다.
불활성가스 시스템은 크게 원유운반선에 적용되는 IGS 방식(Fuel Inert Gas System)과 석유화학제품, LNG/LPG 운반선에 적용되는 IGG 방식(Inert Gas Generator)으로 구분된다. IGS 방식은 선박용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불활성 가스로 이용하는 방식이며, IGG 방식은 선박용 디젤유를 직접 연소하여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IGG 방식의 일 예는 한국등록특허 제729665호에 개시되어 있다.
IGS 방식의 불활성 가스 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 스크러버(Scrubber) 및 블로워(Blower)를 구비하며, 보일러에서 생성된 불활성 가스는 스크러버를 통해 정제 및 냉각되며 이후 블로워에 의해 원유 저장탱크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IGS 방식의 불활성 가스 공급장치는, 블로워 용량은 고정되어 있고 해당 블로워 용량에 해당되는 배기가스를 생성하기 위해 보일러가 가동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블로워 용량이 100이면 100이상의 불활성 가스가 블로워에 공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보일러는 100이상(예를 들어 115)의 배기가스를 생성하도록 가동된다.
한편, 불활성 가스 충전시(I/G Topping Up Mode) 원유 저장탱크에서 요구되는 불활성 가스는 보일러에서 생성된 배기가스가 산소함유량(4~5%)만 만족하면 되나, 4~5% 미만의 산소함유량을 가지는 배기가스는, 그 총량이 일반적으로 블로워 용량보다 작다. 이런 경우에도 블로워 용량에 해당되는 만큼의 배기가스를 생성하도록 가동되며 이에 따라 보일러 가동을 위한 불필요한 연료 손실 및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
즉, 원유 저장탱크에 채워져야 할 불활성 가스의 양이 블로워 용량(예를 들어 100)보다 작은 경우(예를 들어 50)에도 블로워 용량(100) 이상의 배기가스(예를 들어 115)를 생성하도록 보일러를 가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달리 표현하여, 불활성 가스의 요구량에 무관하게 보일러가 블로워 요구 용량에 맞추어 가동됨에 따라, 불필요한 연료 손실 및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현재 당 기술의 업계에서는 수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활성 가스 충전시 연료의 낭비 및 전력의 손실이 없는 효율적인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은, 연료를 연소하여 배기가스를 생성하는 엔진;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의 폐열 및 연료의 연소열을 통해 스팀을 생성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불활성 가스를 흡입하여 원유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일러는,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의 폐열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엔진 파트부; 및 상기 연료의 연소열을 통해 스팀을 생성하는 연소 파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상기 연소 파트부로부터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정제하여 불활성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료의 연소를 통해 배기가스와 스팀을 생성하는 옥스 보일러(Aux Boil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일러는,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의 폐열 및 연료의 연소열을 통해 스팀을 생성하는 콤포지트 보일러(Composite Boiler)이되,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상기 콤포지트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뿐만 아니라, 상기 옥스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불활성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가 상기 옥스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발생되는 불활성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원유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제1 블로워; 및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가 상기 콤포지트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발생되는 불활성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원유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제2 블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블로워는, 공급가능한 용량이 상기 제1 블로워의 공급가능한 용량보다 더 적으며, 상기 콤포지트 보일러는, 배기가스 발생 능력이 옥스 보일러의 배기가스 발생능력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블로워는, 상기 원유 저장탱크 내의 원유를 언로딩(Unloading)시에만 가동되며, 상기 제2 블로워는, 상기 원유 저장탱크 내에 불활성 가스를 충진시(I/G Topping Up Mode)에만 가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콤포지트 보일러는, 상기 원유 저장탱크 내에 불활성 가스를 충진시(I/G Topping Up Mode)에만 가동하며, 상기 옥스 보일러는, 상기 원유 저장탱크 내의 원유를 언로딩(Unloading)시에만 가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진은, 선박에 추진동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엔진(Main Engine)이며,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스크러버(Scrubber)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활성 가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I/G Topping Up Mode시에 공급할 불활성 가스를 기존 보일러가 아닌 엔진에 장착되는 콤포지트 보일러로부터 생성할 수 있어, 구동 전력 및 연료의 낭비를 방지하고 과도한 스팀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개념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에서의 배기가스 배출 개념도이다.
도 2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에서의 배기가스 배출 개념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액화가스는 LNG 또는 LPG, 에틸렌,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열이나 가압에 의해 액체 상태가 아닌 경우 등도 편의상 액화가스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증발가스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LNG는 편의상 액체 상태인 NG(Natural Gas) 뿐만 아니라 초임계 상태 등인 NG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증발가스는 기체 상태의 증발가스뿐만 아니라 액화된 증발가스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개념도이고, 도 2a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에서의 배기가스 배출 개념도이며, 도 2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1)은, 선박(1), 메인엔진(10), 발전엔진(20), 옥스 보일러(30), 이코노마이저(40), 종래의 불활성 가스 시스템(50)을 포함한다.
종래의 불활성 가스 시스템(50)을 포함하는 선박(1)은, 선체(100)의 상갑판(110) 상에 적어도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원유 저장탱크(200)와 메인엔진(10), 발전엔진(20), 옥스 보일러(30)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굴뚝(300) 및 상기 배기가스를 불활성 가스로 정제하는 불활성 가스 시스템(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유 저장탱크(200)는, 마개(210)를 통해 원유(201)가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에 원유(201)와 유증기(220)가 저장된다.
굴뚝(300)은, 메인엔진(10), 발전엔진(20), 옥스 보일러(30)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구체적으로, 메인엔진(10)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제1 라인(L1)을 통해 제1 및 제2 터보차저(11a,11b)를 거쳐 이코노마이저(40)를 통과하여 굴뚝(30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고, 발전엔진(20)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제2 라인(L2)을 통해 굴뚝(30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며, 옥스 보일러(30)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제3 라인(L3)을 통해 굴뚝(30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종래의 불활성 가스 시스템(50)은, 옥스 보일러(30)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불활성 가스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불활성 가스 시스템(50)은, 제3 라인(L3)의 임의의 지점(X1,X2)에서 배기가스를 제4 라인(L4)을 통해 스크러버(51)로 공급하고, 스크러버(51)에서 배기가스는 불활성 가스로 정제되며, 불활성 가스는 스크러버(51)에서 제5 라인(L5)을 통해 제1 블로워(52a,52b)를 통해 원유 저장탱크(200)로 공급된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옥스 보일러(30)는 30 내지 50톤/h의 용량으로 2개 구성되며, 스크러버(51)는 해수 습식 방식으로 1개 구성되고, 제1 블로워(52a,52b)는 원유 저장탱크(200)의 내부 원유를 모두 언로딩할 시의 공간(이하 내부 공간)을 100% 채울 수 있도록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용량을 가지는 블로워 2개(52a,52b) 형성되거나 내부 공간을 100% 채울 수 있도록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용량을 가지는 블로워 1개(52a)와 내부 공간을 50% 채울 수 있도록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용량을 가지는 블로워 1개(52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불활성 가스 시스템(50)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원유 저장탱크(200)의 내부 원유를 언로딩 할 시 블로워(52a,52b)를 통해 불활성 가스를 원유 저장탱크(200)로 공급하거나, 선박(1)의 운항 중에 원유 저장탱크(200) 내에 불활성 가스의 미세한 누설이 발생할 경우 원유 저장탱크(200)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I/G Topping Up Mode)할 수 있다.
이때 선박(1)의 운항 중에 원유 저장탱크(200) 내에 불활성 가스의 미세한 누설이 발생할 시 원유 저장탱크(200)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I/G Topping Up Mode)에는,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배기가스만의 공급조건으로 옥스 보일러(30)의 로드가 5%이면 충분하나, 산소의 구성비 조건으로 산소 농도가 5% 미만의 배기 가스를 얻기 위해서 옥스 보일러(30)의 로드를 50 내지 80%로 강제 구동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연료 손실 및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불활성 가스 충전시(I/G Topping Up Mode) 원유 저장탱크(200)에서 요구되는 불활성 가스는 옥스 보일러(30)에서 생성된 배기가스가 산소함유량(4~5%)만 만족하면 되나, 4~5% 미만의 산소함유량을 가지는 배기가스는, 그 총량이 일반적으로 제1 블로워(52a,52b) 용량보다 작다.
이런 경우에도 제1 블로워(52a,52b) 용량에 해당되는 만큼의 배기가스를 생성하도록 가동되어야 하며(그렇지 않을 경우 제1 블로워(52a,52b)에 유입되는 산소의 양에 문제가 생겨, 원유 저장탱크(200)로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에 과도한 산소가 유입될 문제가 존재함) 이에 따라 옥스 보일러(30) 가동을 위한 불필요한 연료 손실 및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불활성 가스 시스템(70)를 개발하였으며, 도 3a 및 도 3b를 참고로 하여 하기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에서의 배기가스 배출 개념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불활성 가스 시스템(70)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1)은, 선박(1), 메인엔진(10), 발전엔진(20), 옥스 보일러(30), 콤포지트 보일러(60), 본 발명의 불활성 가스 시스템(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종래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2b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콤포지트 보일러(60) 및 본 발명의 불활성 가스 시스템(70)의 구성이 상이하므로 이에 대해서만 하기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70)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1)을 설명하도록 한다.
콤포지트 보일러(60)는, 연료를 연소하여 배기가스를 생성하는 메인 엔진(10)으로부터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배기가스의 폐열 및 연료의 연소열을 통해 스팀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콤포지트 보일러(60)는, 제1 라인(L1) 상에 배치되며, 메인 엔진(10)의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배기가스의 폐열로 스팀을 생성하는 엔진 파트부(도시하지 않음)와 별도로 공급되는 연료인 오일(Oil)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열을 통해 스팀을 생성하는 연소 파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콤포지트 보일러(60)는 연료인 오일(Oil)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열만을 통해 스팀을 생성하는 옥스 보일러(30)와 달리, 연소열을 통한 스팀의 생성뿐만 아니라 메인 엔진(10)의 배기가스도 공급받아 배기가스의 폐열로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콤포지트 보일러(60)는 연소 파트부로부터 생성되는 배기가스만을 스크러버(71)로 공급할 수 있으며, 원유 저장탱크(200) 내의 불활성 가스를 충진시(I/G Topping Up Mode)에만 가동될 수 있다. 이때, 옥스 보일러(30)는 원유 저장탱크(200) 내의 원유를 언로딩 시에만 가동될 수 있다.
불활성 가스 시스템(70)은, 스크러버(71) 및 제1 및 제2 블로워(72a~72c)를 포함하며, 콤포지트 보일러(60) 또는 옥스 보일러(30)로부터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불활성 가스를 생성한다.
스크러버(71)는, 콤포지트 보일러(60)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불활성 가스를 생성한다.
스크러버(71)는 콤포지트 보일러(60)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뿐만 아니라 옥스 보일러(30)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불활성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블로워(72a~72c)는 스크러버(71)로부터 배출되는 불활성 가스를 흡입하여 원유 저장탱크(200)에 공급한다. 이때 제1 블로워는 도면부호 72a, 72b 이며 제2 블로워는 도면부호 72c이다.
제1 블로워(72a,72b)는, 스크러버(71)가 옥스 보일러(30)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발생되는 불활성 가스를 흡입하여 원유저장탱크(2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 블로워(72a,72b)는, 원유 저장탱크(200) 내의 원유를 언로딩(Unloading)시에만 가동될 수 있다.
제2 블로워(72c)는, 스크러버(71)가 콤포지트 보일러(60)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발생되는 불활성 가스를 흡입하여 원유 저장탱크(2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 블로워(72c)는, 원유 저장탱크(200) 내의 불활성 가스를 충진시(I/G Topping Up Mode)에만 가동될 수 있으며, 공급가능한 용량이 제1 블로워(72a,72b)의 공급가능한 용량보다 더 적을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한 본 발명의 불활성 가스 시스템(70)의 구동을 하기 기술해보도록 한다.
불활성 가스 시스템(70)은 원유 저장탱크(200) 내의 원유를 언로딩(Unloading)시(이하 제1 모드)에 옥스 보일러(30)를 가동하여 배기가스를 다량 생산하고, 생산된 배기가스를 제3 라인(L3) 상의 임의의 지점(X1,X2)에서 분기되는 제4 라인(L4)을 통해 스크러버(71)로 공급하고, 스크러버(71)가 정제하여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며, 생성된 불활성 가스는 제1 블로워(72a,72b)를 통해서 원유 저장탱크(200)로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불활성 가스 시스템(70)은 원유 저장탱크(200) 내의 불활성 가스를 충진시(I/G Topping Up Mode; 이하 제2 모드)에 콤포지트 보일러(60)에서 연소 파트부를 가동하여 배기가스를 소량 생산하고, 생산된 배기가스를 제1 라인(L1) 상의 임의의 지점(X3)에서 분기되는 제4 라인(L4)을 통해 스크러버(71)로 공급하고, 스크러버(71)가 정제하여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며, 생성된 불활성 가스는 제2 블로워(72c)를 통해서 원유 저장탱크(200)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70)은, 제2 모드에서는 옥스 보일러(30)에 비해 배기가스 생산 능력이 작은 콤포지트 보일러(60)를 구동하여 전력의 과대소모 및 스팀의 과량생산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제2 모드에서 제2 블로워(72c)를 사용함으로써 소량생산된 배기가스의 산소농도를 효과적으로 맞출 수 있어 고품질의 불활성 가스를 원유 저장탱크(200)로 공급할 수 있고 나아가 원유 저장탱크(200)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70)은, 제2 모드시에도 제1 모드시와 같이 제1 블로워(72a,72b) 용량에 해당되는 만큼의 배기가스를 생성하도록 가동되지 않을 수 있어, 옥스 보일러(30) 가동을 위한 불필요한 연료 손실 및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활성 가스 시스템(70)은, 제1 모드와 제2 모드시에 구동되는 보일러 및 블로워를 취사선택할 수 있어 불활성 가스 시스템(70)의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선박 100: 선체
110: 상갑판 200: 원유 저장탱크
201: 원유 210: 마개
220: 유증 300: 굴뚝(Funnel)
10: 메인 엔진 11: 터보차저
11a: 제1 터보차저 11b: 제2 터보차저
20: 발전 엔진 30: 옥스 보일러(Aux Boiler)
40: 이코노마이저 50: 종래의 불활성 가스 시스템
51: 스크러버 52a: 제1 블로워
52b: 제1 블로워 60: 콤포지트 보일러
70: 본 발명의 불활성 가스 시스템 71: 스크러버
72a, 72b: 제1 블로워 72c: 제2 블로워
X1, X2: 제3 라인의 임의의 지점 X3: 제4 라인의 임의의 지점
L1~L4: 배기가스 배관
L5: 불활성가스 배관

Claims (9)

  1. 연료를 연소하여 배기가스를 생성하는 엔진;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의 폐열 및 연료의 연소열을 통해 스팀을 생성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불활성 가스를 흡입하여 원유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보일러 또는 별도의 보일러로부터 불활성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원유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제1, 2 블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로워는, 상기 원유 저장탱크 내의 원유를 언로딩(Unloading)시에만 가동되며,
    상기 제2 블로워는, 상기 원유 저장탱크 내에 불활성 가스를 충진시(I/G Topping Up Mode)에만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가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는,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의 폐열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엔진 파트부; 및
    상기 연료의 연소열을 통해 스팀을 생성하는 연소 파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상기 연소 파트부로부터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정제하여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가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보일러는, 연료의 연소를 통해 배기가스와 스팀을 생성하는 옥스 보일러(Aux Boiler)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러는,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의 폐열 및 연료의 연소열을 통해 스팀을 생성하는 콤포지트 보일러(Composite Boiler)이되,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상기 콤포지트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뿐만 아니라, 상기 옥스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가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가 상기 옥스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발생되는 불활성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원유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상기 제1 블로워; 및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가 상기 콤포지트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발생되는 불활성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원유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상기 제2 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가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로워는, 공급가능한 용량이 상기 제1 블로워의 공급가능한 용량보다 더 적으며,
    상기 콤포지트 보일러는, 배기가스 발생 능력이 옥스 보일러의 배기가스 발생능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가스 시스템.
  6. 연료를 연소하여 배기가스를 생성하는 엔진;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의 폐열 및 연료의 연소열을 통해 스팀을 생성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불활성 가스를 흡입하여 원유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연료의 연소를 통해 배기가스와 스팀을 생성하는 옥스 보일러(Aux Boil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일러는,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의 폐열 및 연료의 연소열을 통해 스팀을 생성하는 콤포지트 보일러(Composite Boiler)이되,
    상기 콤포지트 보일러는, 상기 원유 저장탱크 내에 불활성 가스를 충진시(I/G Topping Up Mode)에만 가동하며,
    상기 옥스 보일러는, 상기 원유 저장탱크 내의 원유를 언로딩(Unloading)시에만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가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상기 콤포지트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뿐만 아니라, 상기 옥스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여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가스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선박에 추진동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엔진(Main Engine)이며,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스크러버(Scrub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가스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불활성 가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70037658A 2017-03-24 2017-03-24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122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658A KR102122633B1 (ko) 2017-03-24 2017-03-24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658A KR102122633B1 (ko) 2017-03-24 2017-03-24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202A KR20180108202A (ko) 2018-10-04
KR102122633B1 true KR102122633B1 (ko) 2020-06-12

Family

ID=6386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658A KR102122633B1 (ko) 2017-03-24 2017-03-24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63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434B1 (ko) * 2011-11-03 2017-08-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KR20130112473A (ko) * 2012-04-04 2013-10-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폐열 회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202A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7661B2 (en) Ship capable of running selectively with liquefied fuel gas main drive engine and liquefied fuel gas generator engine
KR101411184B1 (ko) 가스구동선박용 연료시스템
WO2021008619A1 (zh) 双燃料油船供气系统及油船
KR100832603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EP3919363A1 (en) A container ship using fuel gas as propulsion fuel
KR20220013510A (ko) 선박용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동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20190008791A (ko)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016508916A (ja) 船舶の燃料ガス供給装置及び船舶の燃料ガス供給方法
KR101334146B1 (ko) Df 엔진의 가스 라인 퍼징 시스템
KR100995803B1 (ko) Lng 운반선의 추진 연료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50102238A (ko) 선박 및 선박의 배치 구조
KR102122633B1 (ko) 불활성 가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763708B1 (ko) 액화가스 저장 선박
KR101584568B1 (ko) 부유식 lng 생산설비 및 이를 이용한 lng 로딩 방법
KR101654243B1 (ko) 전기 가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6566A (ko) 선박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 장치
KR101654203B1 (ko) 선박의 연료 가스 공급 장치
Cwilewicz et al. Prognosis of marine propulsion plants development in view of new requirements concerning marine fuels
KR102261776B1 (ko) 원유 운반선
KR102553556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264891B1 (ko)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RU2787609C1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газа нефтеналивного танкер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вух видов топлива и нефтеналивной танкер
KR102438789B1 (ko)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538603B1 (ko)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와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영 방법
KR20190143681A (ko)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