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891B1 -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891B1
KR101264891B1 KR1020110143198A KR20110143198A KR101264891B1 KR 101264891 B1 KR101264891 B1 KR 101264891B1 KR 1020110143198 A KR1020110143198 A KR 1020110143198A KR 20110143198 A KR20110143198 A KR 20110143198A KR 101264891 B1 KR101264891 B1 KR 101264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lng
storage tank
bog
fue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3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21Fuel storage reservoirs, e.g. cryogenic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엔진으로서 DFDE 엔진을 사용하는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LNG를 수송하기 위한 화물 저장탱크와는 별도의 연료 저장탱크를 설치하여 연료 저장탱크의 LNG를 연료로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 구조물에 설치된 DFDE 엔진에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으로서, 화물로서의 LNG를 저장하고 있는 화물 저장탱크에서 발생한 증발가스(BOG)를 BOG 압축기에 공급하는 BOG 공급라인과; 압축된 BOG를 상기 DFDE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라인과; 발생된 BOG의 양과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의 양을 비교하여, BOG의 발생량이 많으면 남는 BOG를 저장하고 연료 필요량이 많으면 모자란 연료가스의 양만큼 저장된 LNG를 기화시켜 상기 DFDE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 저장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가스 공급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FUEL GAS}
본 발명은 엔진에 대한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엔진으로서 DFDE 엔진을 사용하는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LNG를 수송하기 위한 화물 저장탱크와는 별도의 연료 저장탱크를 설치하여 연료 저장탱크의 LNG를 연료로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LNG(Liquefied Natural Gas)나 LPG(Liquefied Petroleum Gas) 등의 액화가스의 소비량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액화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상태로 액화가스 운반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LNG나 LPG 등의 액화가스는 천연가스 혹은 석유가스를 극저온(LNG의 경우 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폭적으로 감소되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액화가스 운반선은, 액화가스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이 액화가스를 하역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액화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 함)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극저온 상태의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가 마련된 해상 구조물의 예로서는 액화가스 운반선 이외에도 LNG RV (Regasification Vessel)와 같은 선박이나 LNG FSRU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LNG 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와 같은 구조물 등을 들 수 있다.
LNG RV는 자력 항해 및 부유가 가능한 액화가스 운반선에 LNG 재기화 설비를 설치한 것이고,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액화 천연가스를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액화 천연가스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해상 구조물이다. 그리고, LNG FPSO는 채굴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정제한 후 직접 액화시켜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시 이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싣기 위해 사용되는 해상 구조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해상 구조물이란, 액화가스 운반선, LNG RV 등의 선박을 비롯하여, LNG FPSO, LNG FSRU 등의 구조물까지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천연가스의 액화온도는 상압에서 약 -163℃의 극저온이므로, LNG는 그 온도가 상압에서 -163℃ 보다 약간만 높아도 증발된다. 종래의 LNG 운반선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LNG 운반선의 LNG 저장탱크는 단열처리가 되어 있기는 하지만, 외부의 열이 LNG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므로, LNG 운반선에 의해 LNG를 수송하는 도중에 LNG가 LNG 저장탱크 내에서 지속적으로 기화되어 LNG 저장 탱크 내에 증발가스(BOG; Boil-Off Gas)가 발생한다.
발생된 증발가스는 저장탱크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며 선박의 요동에 따라 액화가스의 유동을 가속시켜 구조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증발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종래, 액화가스 운반선의 저장탱크 내에서의 증발가스를 억제하기 위해, 증발가스를 저장탱크의 외부로 배출시켜 소각해 버리는 방법, 증발가스를 저장탱크의 외부로 배출시켜 재액화 장치를 통해 재액화시킨 후 다시 저장탱크로 복귀시키는 방법, 선박의 추진기관에서 사용되는 연료로서 증발가스를 사용하는 방법, 저장탱크의 내부압력을 높게 유지함으로써 증발가스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등이 단독으로 혹은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배출되는 폐기가스 중 국제 해사 기구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의 규제를 받고 있는 것은 질소산화물(NOx)과 황산화물(SOx)이며, 이산화탄소(CO2)의 배출도 규제하려 하고 있다. 특히, 질소산화물(NOx)과 황산화물(SOx)의 경우, 1997년 해상오염 방지협약(MARPOL;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from Ships) 의정서를 통하여 제기되고, 8년이라는 긴 시간이 소요된 후 2005년 5월에 발효요건을 만족하여 현재 강제규정으로 이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 중 하나로서 연소시 오염물질이 다량 발생하는 HFO 등의 연료유를 연료로서 사용하지 않거나 소량만 사용하고 청정연료인 LNG를 연료로서 사용하는 이중연료 전기추진방식의 엔진 (DFDE; Dual Fuel Diesel Electric) 엔진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은, 화물로서의 LNG를 저장하고 있는 화물 저장탱크(10)로부터 LNG를 뽑아내어 LNG 기화기(13)에서 기화시킨 후 압축기(15)에 공급하는 LNG 공급라인(L1)과, 화물 저장탱크(10)에서 발생한 증발가스(BOG)를 BOG 압축기(15)에 공급하는 BOG 공급라인(L2)과, 압축된 연료가스(즉, BOG 및 기화된 LNG)를 LNG를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엔진인 DFDE 엔진(20)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라인(L3)을 포함한다.
화물 저장탱크(10)의 내부에는 LNG 배출용 펌프(1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은, DFDE 엔진(20)에서 연료로서 소모하는 연료가스의 양보다 많은 양의 연료가스가 DFDE 엔진(20)에 공급될 경우 남는 연료가스를 가스연소유닛(GCU)(3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연료가스 공급라인(L3)으로부터 분기하는 연소라인(L4)을 포함한다.
한편, DFDE 엔진(20)에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는 연료유 공급라인(L5)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DFDE 엔진(20)은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연료가스 공급라인(L3)과 연료유 공급라인(L5)은 복수의 DFDE 엔진(20) 모두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이 LNG 운반선에 채택되어 활용될 경우, 화물로서 운송해야 하는 LNG를 저장하고 있는 화물 저장탱크로부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BOG만을 연료로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BOG의 발생량이 엔진에서의 연료 요구량보다 작은 Ballast 항해시와 같은 경우에는 화물로서의 LNG를 LNG 기화기(13)에서 강제기화시켜 연료로서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강제기화된 FBOG의 양만큼 화물의 양이 감소되어, 화주와 선주 사이에서의 연료가스 정산방법에 논쟁의 소지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정연료인 LNG를 저렴한 가격에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화물로서 운반하는 LNG를 연료로서 사용하지 않아 화주와 선주 사이의 논쟁을 회피할 수 있도록, 메인 엔진으로서 DFDE 엔진을 사용하는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LNG를 수송하기 위한 화물 저장탱크와는 별도의 연료 저장탱크를 설치하여 연료 저장탱크의 LNG를 연료로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상 구조물에 설치된 DFDE 엔진에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으로서, 화물로서의 LNG를 저장하고 있는 화물 저장탱크에서 발생한 증발가스(BOG)를 BOG 압축기에 공급하는 BOG 공급라인과; 압축된 BOG를 상기 DFDE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라인과; 발생된 BOG의 양과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의 양을 비교하여, BOG의 발생량이 많으면 남는 BOG를 저장하고 연료 필요량이 많으면 모자란 연료가스의 양만큼 저장된 LNG를 기화시켜 상기 DFDE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 저장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연료 저장유닛은, 연료로서 사용할 LNG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연료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료 저장유닛은,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연료 저장탱크까지 연장되는 잉여 BOG 저장라인과, 상기 연료 저장탱크에서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까지 연장하는 연료 추가라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료 저장유닛은, 상기 연료 저장탱크에 저장된 연료로서의 LNG를 강제로 기화시키기 위한 연료 기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에는, 상기 DFDE 엔진에 공급되는 압축된 BOG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료 저장유닛은, 상기 연료 저장탱크의 내부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LNG를 강제 기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료 저장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에는, 상기 DFDE 엔진에서 요구하는 온도를 맞출 수 있도록 상기 DFDE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스를 가열 혹은 냉각할 수 있는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상 구조물에 설치된 DFDE 엔진에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연료가스 공급 방법으로서, 화물로서의 LNG를 저장하고 있는 화물 저장탱크에서 발생한 증발가스(BOG)의 양과 상기 DFDE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의 양을 비교하여, BOG의 발생량이 많으면 남는 BOG를 연료 저장유닛에 저장하고 연료 필요량이 많으면 모자란 연료가스의 양만큼 상기 연료 저장유닛에 저장된 LNG를 기화시켜 상기 DFDE 엔진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연료 저장유닛은 연료로서의 LNG를 저장할 수 있는 연료 저장탱크와, 상기 연료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를 기화시킬 수 있는 연료 기화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저장유닛에 저장된 LNG를 기화시켜 상기 DFDE 엔진에 공급할 때에는, 상기 연료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를 배출시켜 상기 연료 기화기에서 기화시키고, 기화된 증발가스를 상기 연료 저장탱크에 복귀시키고, 복귀된 증발가스를 상기 연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시켜 상기 DFDE 엔진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엔진으로서 DFDE 엔진을 사용하는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LNG를 수송하기 위한 화물 저장탱크와는 별도의 연료 저장탱크를 설치하여 연료 저장탱크의 LNG를 연료로서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청정연료인 LNG를 저렴한 가격에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화물로서 운반하는 LNG를 연료로서 사용하지 않아 화주와 선주 사이의 논쟁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의 개념도,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은, 화물로서의 LNG를 저장하고 있는 화물 저장탱크(10)로부터 LNG를 뽑아내어 기화시킨 후 압축기(15)에 공급하는 LNG 공급라인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과, 화물 저장탱크(10)와는 별도로 연료로서 사용할 LNG를 저장하고 있는 연료 저장탱크(41)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과는 차이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은, 화물로서의 LNG를 저장하고 있는 화물 저장탱크(10)에서 발생한 증발가스(BOG)를 BOG 압축기(15)에 공급하는 BOG 공급라인(L2)과, 압축된 연료가스(즉, BOG)를 LNG를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엔진인 DFDE 엔진(20)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라인(L3)과, 발생된 BOG의 양과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의 양을 비교하여, BOG의 발생량이 많으면 남는 BOG를 저장하고 연료 필요량이 많으면 모자라는 연료가스의 양만큼 저장된 LNG를 기화시켜 DFDE 엔진(20)에 공급하는 연료 저장유닛(40)을 포함한다.
한편, DFDE 엔진(20)에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는 연료유 공급라인(L5)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DFDE 엔진(20)은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연료가스 공급라인(L3)과 연료유 공급라인(L5)은 복수의 DFDE 엔진(20) 모두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료가스 공급라인(L3)에는, DFDE 엔진(20)에서 요구하는 온도를 맞출 수 있도록 DFDE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스를 가열 혹은 냉각할 수 있는 열교환기(17)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열교환기(17)는 청수(Fresh Water)와 연료가스를 열교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청수 이외의 열교환 매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열교환기(17)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등을 위하여 연료가스 공급라인에는 열교환기를 우회할 수 있는 우회라인이 설치될 수 있다.
연료 저장유닛(40)은, 연료로서 사용할 LNG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연료 저장탱크(41)와, DFDE 엔진(20)에 공급하고 남는 BOG를 연료 저장탱크(41)에 저장할 수 있도록 연료가스 공급라인(L3)으로부터 분기하여 연료 저장탱크(41)까지 연장되는 잉여 BOG 저장라인(L10)과, DFDE 엔진(20)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 필요량이 BOG 발생량보다 적어 연료가스가 부족할 경우 연료 저장탱크(41)에서 발생한 BOG를 연료로서 DFDE 엔진(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연료 저장탱크(41)에서 연료가스 공급라인(L3)까지 연장하는 연료 추가라인(L13)을 포함한다.
필요시, 연료 저장탱크(41)에 저장된 연료로서의 LNG를, 연료 배출라인(L11)을 통해 연료 기화기(43)에 공급하여 기화시킨 후, 연료 복귀라인(L12)을 통해 다시 연료 저장탱크(41)로 복귀시키고, 계속해서 연료 추가라인(L13) 및 연료가스 공급라인(L3)을 통하여 DFDE 엔진(2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료 저장탱크(41)의 내부에는 연료 배출용 펌프(42)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5)에서 압축된 BOG가 DFDE 엔진(20)에 공급되는 양은 밸브를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연료 저장유닛(40)은, 상기 연료 기화기(43)를 거치지 않고, 연료 저장탱크(41)의 내부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LNG를 강제 기화시킬 수 있는 수단, 예컨대 노즐(45)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45)은 연료 저장탱크(41)의 상단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연료 저장탱크(41) 내에 저장된 연료로서의 LNG는 연료 배출용 펌프(42)에 의해 노즐(45)로 공급된 후 분사됨으로써 강제 기화될 수 있다.
연료 저장탱크(41) 내부의 온도분포는 상부의 온도가 하부의 온도보다 높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즐(45)을 이용하여 LNG를 연료 저장탱크(41)의 상부에 분무할 경우, LNG가 강제로 기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연료 기화기(43)로 보내지는 LNG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없앨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2에서는 연료 배출용 펌프(42)에 의해 노즐(45)에 공급되는 LNG가 연료 저장탱크(42)의 외부로 연장되는 노즐 공급라인(L14)을 통과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노즐 공급라인(L14)이 연료 저장탱크(42)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노즐(45)의 개수는 하나 혹은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DFDE 엔진(20)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 필요량보다 많은 양의 증발가스가 발생하더라도, 남는 BOG를 연료 저장탱크(41)에 저장시켜 둘 수 있으므로, NBOG의 처리능력이 향상되는 등 운전 효율성이 증대되고, 종래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에서 사용하던 가스연소유닛을 생략할 수 있다. 다만, 비상시 연료가스를 가스연소유닛(GCU)(30)에 공급하여 연소시켜 버릴 수 있도록 연료가스 공급라인(L3)으로부터 분기하는 연소라인(L4)과 가스연소유닛(30)을 설치할 수는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 저장탱크(10)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반드시 처리해야 하는 BOG만을 연료로서 활용하고, BOG의 발생량이 연료 필요량보다 적어 연료가스의 양이 부족하더라도 연료로서 사용할 LNG를 화물 저장탱크(10)가 아닌 연료 저장탱크(41)로부터 공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연료가스 정산시 선주와 화주 사이의 논쟁을 회피할 수 있고, LNG loading port에서 LNG를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연료 저장탱크(41)에 저장할 수 있다. 즉, 화물 저장탱크(10)에서 LNG를 뽑아낼 경우에는 LNG loading port에서의 구입비용보다 더 많은 비용을 화주에게 지불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 저장탱크가 아닌 연료 저장탱크에서 LNG를 뽑아내어 사용하기 때문에 그만큼 비용이 절감될 수 있어, 연료값이 대폭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방법이 LNG 운반선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본 발명의 연료 공급 시스템은 LNG 운반선 이외의 해상 구조물에서의 DFDE 엔진에 대한 연료 공급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 화물 저장탱크 15 : BOG 압축기
17 : 열교환기 20 : DFDE 엔진
30 : 가스연소유닛 40 : 연료 저장유닛
41 : 연료 저장탱크 42 : 연료 배출용 펌프
43 : 연료 기화기 45 : 노즐
L3 : 연료가스 공급라인 L10 : 잉여 BOG 저장라인
L11 : 연료 배출라인 L12 : 연료 복귀라인
L13 : 연료 추가라인 L14 : 노즐 공급라인

Claims (9)

  1. 해상 구조물에 설치된 DFDE 엔진에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으로서,
    화물로서의 LNG를 저장하고 있는 화물 저장탱크에서 발생한 증발가스(BOG)를 BOG 압축기에 공급하는 BOG 공급라인과;
    압축된 BOG를 상기 DFDE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라인과;
    발생된 BOG의 양과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의 양을 비교하여, BOG의 발생량이 많으면 남는 BOG를 저장하고 연료 필요량이 많으면 모자란 연료가스의 양만큼 저장된 LNG를 기화시켜 상기 DFDE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 저장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저장유닛은, 연료로서 사용할 LNG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연료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저장유닛은,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연료 저장탱크까지 연장되는 잉여 BOG 저장라인과, 상기 연료 저장탱크에서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까지 연장하는 연료 추가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저장유닛은, 상기 연료 저장탱크에 저장된 연료로서의 LNG를 강제로 기화시키기 위한 연료 기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에는, 상기 DFDE 엔진에 공급되는 압축된 BOG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저장유닛은, 상기 연료 저장탱크의 내부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LNG를 강제 기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료 저장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에는, 상기 DFDE 엔진에서 요구하는 온도를 맞출 수 있도록 상기 DFDE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스를 가열 혹은 냉각할 수 있는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8. 해상 구조물에 설치된 DFDE 엔진에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연료가스 공급 방법으로서,
    화물로서의 LNG를 저장하고 있는 화물 저장탱크에서 발생한 증발가스(BOG)의 양과 상기 DFDE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의 양을 비교하여, BOG의 발생량이 많으면 남는 BOG를 연료 저장유닛에 저장하고 연료 필요량이 많으면 모자란 연료가스의 양만큼 상기 연료 저장유닛에 저장된 LNG를 기화시켜 상기 DFDE 엔진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저장유닛은 연료로서의 LNG를 저장할 수 있는 연료 저장탱크와, 상기 연료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를 기화시킬 수 있는 연료 기화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저장유닛에 저장된 LNG를 기화시켜 상기 DFDE 엔진에 공급할 때에는, 상기 연료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를 배출시켜 상기 연료 기화기에서 기화시키고, 기화된 증발가스를 상기 연료 저장탱크에 복귀시키고, 복귀된 증발가스를 상기 연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시켜 상기 DFDE 엔진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공급 방법.
KR1020110143198A 2011-12-27 2011-12-27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264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198A KR101264891B1 (ko) 2011-12-27 2011-12-27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198A KR101264891B1 (ko) 2011-12-27 2011-12-27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891B1 true KR101264891B1 (ko) 2013-05-15

Family

ID=4866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198A KR101264891B1 (ko) 2011-12-27 2011-12-27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522A (ko) * 2013-08-14 2015-02-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Df 엔진의 연료가스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049A (ja) 2002-07-23 2004-02-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液化ガス運搬船のbog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394721Y1 (ko) 2005-06-16 2005-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보그 활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049A (ja) 2002-07-23 2004-02-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液化ガス運搬船のbog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394721Y1 (ko) 2005-06-16 2005-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보그 활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522A (ko) * 2013-08-14 2015-02-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Df 엔진의 연료가스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33534B1 (ko) 2013-08-14 2019-10-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Df 엔진의 연료가스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7930C1 (ru)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для судна
RU2628556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бработки испаряющегося газа на судне
KR20140075574A (ko) 선박의 증발가스 부분재액화 시스템
US20130233392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lng fuel for ships
KR20130139150A (ko) 해상 구조물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788751B1 (ko) 선체 내에 엔진을 탑재한 선박
KR101707509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75021A (ko) 폐열 재활용을 위한 열교환기를 갖는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4575A (ko) 재액화 장치 및 고압 천연가스 분사 엔진을 탑재한 해상 구조물의 연료 공급 시스템
KR102232229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시스템 및 선박
KR102219135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시스템 및 선박
KR101264891B1 (ko)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011860B1 (ko) 선박용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157962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시스템 및 선박
KR101654203B1 (ko) 선박의 연료 가스 공급 장치
KR20180086566A (ko) 선박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 장치
KR102184961B1 (ko) Bog 핸들링시스템
KR102632394B1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KR102542459B1 (ko) 선박의 연소용 공기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5570A (ko) 해상 구조물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20150081911A (ko) 선박의 연료 가스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50081912A (ko) 선박의 연료 가스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2011861B1 (ko) 선박용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3474A (ko) 터보차저를 이용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220160150A (ko) 액화 가스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