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789B1 -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789B1
KR102438789B1 KR1020180015199A KR20180015199A KR102438789B1 KR 102438789 B1 KR102438789 B1 KR 102438789B1 KR 1020180015199 A KR1020180015199 A KR 1020180015199A KR 20180015199 A KR20180015199 A KR 20180015199A KR 102438789 B1 KR102438789 B1 KR 102438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scrubber
boiler
inert ga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781A (ko
Inventor
이신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5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7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39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 F02D19/0649Liquid fuels having different boiling temperatures, volatilities, densities, viscosities, cetane or octane numbers
    • F02D19/0657Heavy or light fuel oils; Fuels characterised by their impurities such as sulfur content or differences in grade, e.g. for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04Sulfur or sulfur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은, 선박의 추진 엔진 및 보일러의 배기를 처리하는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 상기 선박의 발전 엔진의 배기를 처리하는 제2 황산화물 스크러버; 및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에서 처리된 배기 또는 상기 보일러의 배기를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수요처로 공급하는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 엔진의 작동 시, 상기 보일러는 경유(MGO)로 가동하며, 상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는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배기를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고, 상기 추진 엔진의 작동 정지 시, 상기 보일러는 중유(HFO)로 가동하며, 상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는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에서 처리된 배기를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Exhaust gas treatment system for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유 저장용 저장탱크를 갖는 원유 운반선이나 LNG/LPG 저장용 저장탱크를 갖는 LNG/LPG 운반선 등의 선박에서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원유 등으로부터 증발가스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증발가스는 저장탱크 내의 공기 중에 잔류하게 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폭발성을 가지는 위험한 상태가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유 또는 LNG/LPG 운반선에서는 저장탱크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증발가스로 인한 폭발의 위험을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불활성 가스를 저장탱크 내에 강제 충전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불활성 가스는 산소 농도가 부족하여 가연의 물질이 더 이상 연소할 수 없도록 하는 가스로서, 일반적으로 산소 농도가 5% 이하인 CO2, N2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유나 LNG/LPG 운반선에는 저장탱크에 존재하는 가연성 가스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저장탱크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별도의 불활성 가스 생성장치가 설치된다.
이때, 선박 배출가스 관련 규정(MARPOL ANNEX VI)을 준수하기 위해서 배출가스 통제 지정해역(ECA: Emission Control Area)에서 불활성 가스 생성장치의 운용 시 가격이 저렴한 HFO(Heavy Fuel Oil)를 사용하지 못하고, 고가의 MGO(Marine Gas Oil)/MDO(Marine Diesel Oil)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의해 불활성 가스 생성장치의 작동 시 많은 비용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진 엔진의 작동 정지 시 보일러는 중유를 사용하고, 보일러에서 발생된 배기를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에서 처리함에 의해 불활성 가스에서 요구하는 산소 레벨 및 선박 배출가스 관련 규정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유를 사용한 보일러의 배기를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를 통해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수요처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한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은, 선박의 추진 엔진 및 보일러의 배기를 처리하는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 상기 선박의 발전 엔진의 배기를 처리하는 제2 황산화물 스크러버; 및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에서 처리된 배기 또는 상기 보일러의 배기를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수요처로 공급하는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 엔진의 작동 시, 상기 보일러는 경유(MGO)로 가동하며, 상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는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배기를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고, 상기 추진 엔진의 작동 정지 시, 상기 보일러는 중유(HFO)로 가동하며, 상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는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에서 처리된 배기를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진 엔진의 배기가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로 이동되는 제1 배관; 상기 보일러의 배기가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로 이동되는 제2 배관; 상기 제2 배관의 일 영역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보일러의 배기가 상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로 이동되는 제3 배관; 및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에서 처리된 배기가 상기 제3 배관의 일 영역으로 이동되는 제4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일러 및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의 배기가 모두 이동되는 구간의 상기 제3 배관 및 상기 제4 배관의 일 영역은 고내식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배관, 상기 제3 배관 및 상기 제4 배관의 일 영역에는 각각 제1 밸브, 제2 밸브 및 제3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제4 배관이 연결된 전단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진 엔진의 작동 정지 시, 상기 제2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보일러의 배기가 직접적으로 상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진 엔진의 작동 시에는, 상기 제3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에서 재처리된 배기가 상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일러의 일측에는, 상기 보일러 측으로 공기를 가압하는 제1 송풍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진 엔진의 작동 시와 작동 정지 시의 각 운용 모드를 제어하도록 인터락(Interlock)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상기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은, 추진 엔진의 작동 정지 시 보일러는 중유를 사용하고, 보일러에서 발생된 배기를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에서 처리함에 의해 불활성 가스에서 요구하는 산소 레벨 및 선박 배출가스 관련 규정을 모두 만족할 수 있음으로써, 보일러에서 배출된 배기를 이용하여 수요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불활성가스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은, 중유를 사용한 보일러의 배기를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를 통해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수요처에서 사용 가능함으로써, 경유에 비하여 저가인 중유를 사용함에 의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에서 추진 엔진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인 경우에 배기가스가 이동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에서 추진 엔진이 작동하는 경우에 배기가스가 이동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선박은, 화물을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수송하는 상선 외에도 해상의 일정 지점에 부유하여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해양구조물을 포괄하는 개념임을 알려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에서 추진 엔진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인 경우에 배기가스가 이동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에서 추진 엔진이 작동하는 경우에 배기가스가 이동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은, 선박의 추진 엔진(10) 및 보일러(20)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 선박의 발전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제2 황산화물 스크러버(미도시) 및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에 황산화물 스크러버를 설치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하나의 스크러버가 설치되며, 이러한 하나의 스크러버를 이용하여 추진 엔진, 발전 엔진 및 보일러 등에서 발생되는 모든 배기가스를 처리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 경우 불활성가스 용도로 사용되는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구성이 그 기준에 맞추어 생성되더라도 추진 엔진과 발전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인하여 불활성가스에서 요구하는 5% 미만의 산소 레벨을 맞출 수 없기 때문에 불활성가스 용도로 사용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에서는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와 제2 황산화물 스크러버(미도시)로 구성된 2개의 황산화물 스크러버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는 추진 엔진(10)과 보일러(20) 전용으로 사용하고, 제2 황산화물 스크러버는 발전 엔진 및 다른 연소기관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박은 탱커선(Tanker)일 수 있으며, 탱커선은 액체화물을 운반하는 모든 종류의 선박을 총칭하는데, 탱커선에는 고순도의 유지가 요구되거나 부식성이 매우 강한 화학제품을 운송해야 하므로 화물창과 배관계통에 특수도장이나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고 있는 화학제품 운반선(Chemical Tanker), 정유 과정을 거친 석유제품을 운반하는 선박으로서 정유공장 지역에서 전세계의 석유제품 소비지로 운송하는 역할을 하는 정유 운반선(Product Tanker), 원유 운반을 주목적으로 하며 유전지역에서 선적하여 정유공장으로 운송하는 역할을 하는 원유 운반선(Crude Oil Carrier),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또는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를 운반하도록 설계된 가스 운반선(Gas Carrier)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원유운반선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선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유운반선의 경우, 원유의 충진 시 또는 선박의 항해 시에 원유 저장탱크(50) 내에 증발가스가 발생되며, 증발가스로 인한 폭발 가능성이 상존한다. 이와 같이 원유 저장탱크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유의 주입 또는 하역 시에 원유 저장탱크 내에 불활성가스가 주입될 수 있으며, 불활성가스는 화학반응을 하지 않는다. 불활성가스는 전자배치상 최대로 안정하기 때문에 더 이상 다른 물질과 화학적 반응을 할 필요가 없는 가스로, 헬륨, 네온, 아르곤, 크립톤, 제논, 라돈 가스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정박시킨 후 원유를 하역 시에는 추진 엔진(10)의 작동이 정지되고, 보일러(20)만 작동되므로, 추진 엔진(10)과 보일러(20)를 위하여 사용되는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로 보일러(20)의 배기가스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에서 보일러(20)의 배기가스만 처리하기 때문에 불활성가스에서 요구하는 산소 레벨 및 선박 배출가스 관련 규정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의 전단에 연결하여 탈황, 탈진 등의 재처리함으로써, 원유 저장탱크(50)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불활성가스로 만들어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는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에서 처리된 배기 또는 보일러(20)의 배기를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수요처로 공급할 수 있다.
추진 엔진(10)이 작동되는 경우, 보일러(20)는 경유(MGO/MDO)로 가동하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는 보일러(20)에서 배출된 배기를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수요처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추진 엔진(10)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 보일러(20)는 중유(HFO)로 가동하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는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에서 처리된 배기를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수요처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진 엔진(10) 및 보일러(2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로부터 생성되는 불활성가스 등은 다수의 배관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은, 추진 엔진(10)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가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로 이동되는 제1 배관(61)과, 보일러(20)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가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로 이동되는 제2 배관(62)과, 제2 배관(62)의 일 영역으로부터 분지되어 보일러(20)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가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로 이동되는 제3 배관(63) 및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에서 처리된 배기가스가 제3 배관(63)의 일 영역으로 이동되는 제4 배관(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일러(2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약 400도의 고온이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저온의 산성이므로, 이러한 두 가지의 배기가스가 모두 이동되는 구간은 이들을 모두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고온의 배기가스와 저온의 산성 가스가 모두 흐르는 제3 배관(63) 및 제4 배관(64)의 일 영역은 고내식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내식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고온의 배기가스 및 저온의 산성 가스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배관(62), 제3 배관(63) 및 제4 배관(64)의 일 영역에는 각각 제1 밸브(22), 제2 밸브(23) 및 제3 밸브(24)가 구비되어, 추진 엔진(10)의 작동 여부에 따라 각 밸브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제3 배관(63)에 구비된 제2 밸브(23)는 제4 배관(64)이 연결된 영역의 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추진 엔진(10)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 제2 밸브(23)를 폐쇄하여 보일러(2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직접적으로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추진 엔진(10)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제3 밸브(24)를 폐쇄하여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에서 재처리된 배기가스가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항해 시에는 추진 엔진(10)이 운용되므로 산소 레벨을 맞출 수 없기 때문에 보일러(20)의 연료로 경유가 사용될 수밖에 없다.
보일러(20)의 일측에는 보일러(20)를 향하여 공기를 가압하는 제1 송풍기(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송풍기(21)는 보일러(20)가 원활하게 가동될 수 있도록 보일러(20)를 향하여 공기를 불어넣어주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보일러(20)에서 고온의 배기가스가 누설되면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에 연결된 저온의 가스가 이동되는 제4 배관(64) 등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제1 밸브(22), 제2 밸브(23) 및 제3 밸브(24)는 씰 에어(Seal air)를 주입 가능한 밸브일 수 있다. 제1 밸브(22), 제2 밸브(23) 및 제3 밸브(24)로 이동되는 씰 에어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1 보조밸브(22a), 제2 보조밸브(23a) 및 제3 보조밸브(24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단관을 삽입하고 양 밸브 사이에 씰 에어를 주입하여 격리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의 후단에는 제2 송풍기(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송풍기(41)를 이용하여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에서 생성된 불활성가스를 수요처로 충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요처는 원유 저장탱크(5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추진 엔진(10)의 작동 시와 작동 정지 시의 각 운용 모드는 연료가 각각 경유 및 중유로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운용 모드를 제어하도록 인터락(Interlock)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진 엔진(10)의 작동 시에 제3 밸브(24)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추진 엔진(10)의 작동 정지 시에 제2 밸브(23)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온의 배기가스 또는 저온의 산성 가스가 상호 배관 및 장비에 손상을 가져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42는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로부터 생성된 불활성가스를 원유 저장탱크(50)로 주입 시 산소 농도를 확인하여 산소 농도가 높은 경우 대기 중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산소측정기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선박의 항해 시에는 추진 엔진(10) 및 보일러(20)가 함께 작동되며, 이들의 배기가스가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를 통하여 처리되어 대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보일러(20)는 경유(MGO/MDO)를 이용하여 가동될 수 있으며, 보일러(2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로 이동되는 제2 배관(62)의 제1 밸브(22)가 개방되어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에서 처리되어 대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보일러(2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로 이동되도록 제3 배관(63)의 제2 밸브(23)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가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4 배관(64)의 제3 밸브(24)는 폐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진 엔진(10)의 작동 시, 보일러(20)는 경유(MGO/MDO)를 이용하여 가동되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는 보일러(2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원유 저장탱크(50)로 공급할 수 있다.
선박의 정박 시에는 추진 엔진(10)의 작동이 정지되고, 보일러(20)는 작동될 수 있다. 이때, 보일러(20)는 중유(HFO)를 이용하여 가동될 수 있으며, 보일러(2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배관(62)의 제1 밸브(22)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에서 처리된 배기가스가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4 배관(64)의 제3 밸브(24)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보일러(20)가 중유(HFO)를 이용하므로, 이러한 보일러(2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로 직접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3 배관(63)의 제2 밸브(23)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진 엔진(10)의 작동 정지 시, 보일러(20)는 중유(HFO)를 이용하여 가동되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40)는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30)에서 처리된 배기가스를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원유 저장탱크(5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추진 엔진(10)의 작동 시와, 작동 정지 시의 각 운용 모드를 제어하도록 인터락부가 구비됨에 따라, 제1 밸브(22), 제2 밸브(23) 및 제3 밸브(24)의 개폐가 제어되어 고온의 배기가스 또는 저온의 산성 가스가 각 배관 및 장비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진 엔진(10)의 작동 정지 시에 보일러(20)의 연료로 중유(HFO)를 이용할 수 있음으로써,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추진 엔진 20 : 보일러
21 : 제1 송풍기 22 : 제1 밸브
23 : 제2 밸브 24 : 제3 밸브
30 :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 40 : 불활성가스 스크러버
41 : 제2 송풍기 42 : 산소측정기
50 : 원유 저장탱크 61 : 제1 배관
62 : 제2 배관 63 : 제3 배관
64 : 제4 배관

Claims (9)

  1. 선박의 추진 엔진 및 보일러의 배기를 처리하는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
    상기 선박의 발전 엔진의 배기를 처리하는 제2 황산화물 스크러버; 및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에서 처리된 배기 또는 상기 보일러의 배기를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수요처로 공급하는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 엔진의 작동 시, 상기 보일러는 경유(MGO)로 가동하며, 상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는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배기를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고,
    상기 추진 엔진의 작동 정지 시, 상기 보일러는 중유(HFO)로 가동하며, 상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는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에서 처리된 배기를 불활성가스로 변환하여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엔진의 배기가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로 이동되는 제1 배관;
    상기 보일러의 배기가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로 이동되는 제2 배관;
    상기 제2 배관의 일 영역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보일러의 배기가 상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로 이동되는 제3 배관; 및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에서 처리된 배기가 상기 제3 배관의 일 영역으로 이동되는 제4 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및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의 배기가 모두 이동되는 구간의 상기 제3 배관 및 상기 제4 배관의 일 영역은 고내식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관, 상기 제3 배관 및 상기 제4 배관의 일 영역에는 각각 제1 밸브, 제2 밸브 및 제3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제4 배관이 연결된 전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엔진의 작동 정지 시, 상기 제2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보일러의 배기가 직접적으로 상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엔진의 작동 시에는, 상기 제3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제1 황산화물 스크러버에서 재처리된 배기가 상기 불활성가스 스크러버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의 일측에는, 상기 보일러 측으로 공기를 가압하는 제1 송풍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엔진의 작동 시와 작동 정지 시의 각 운용 모드를 제어하도록 인터락(Interlock)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80015199A 2018-02-07 2018-02-07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438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199A KR102438789B1 (ko) 2018-02-07 2018-02-07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199A KR102438789B1 (ko) 2018-02-07 2018-02-07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781A KR20190095781A (ko) 2019-08-16
KR102438789B1 true KR102438789B1 (ko) 2022-09-01

Family

ID=6780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199A KR102438789B1 (ko) 2018-02-07 2018-02-07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7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435B1 (ko) 2013-09-03 2015-01-09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복합 배기가스 처리장치
JP2015158334A (ja) 2014-02-25 2015-09-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ガス再循環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船用ボイラ、並びに排ガス再循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434B1 (ko) * 2011-11-03 2017-08-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435B1 (ko) 2013-09-03 2015-01-09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복합 배기가스 처리장치
JP2015158334A (ja) 2014-02-25 2015-09-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ガス再循環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船用ボイラ、並びに排ガス再循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781A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176B1 (ko) 듀얼 연료시스템이 마련된 액화석유가스 운반선
KR102312060B1 (ko) 선박용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235804B1 (ko) 연료 탱크의 이너팅 방법 및 부체
KR101876977B1 (ko) 선박용 가스 배출 시스템 및 가스 배출 방법
KR101643086B1 (ko) 듀얼 연료시스템이 마련된 액화석유가스 운반선
KR101686505B1 (ko) 선박의 엔진 냉각수의 폐열을 이용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2929A (ko) Lng 연료탱크가 구비된 벌크선
KR101788751B1 (ko) 선체 내에 엔진을 탑재한 선박
KR101334146B1 (ko) Df 엔진의 가스 라인 퍼징 시스템
Herdzik Methane slip during cargo operations on LNG carriers and LNG-fueled vessels
KR20210145035A (ko) 선박용 연료 공급 시스템
KR200476889Y1 (ko) 카고 탱크의 가스 배출 장치
KR102438789B1 (ko)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20210133724A (ko) 가스 퍼징시스템의 역류방지 밸브셋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KR102538596B1 (ko) 선박의 가스 벤팅 및 퍼징 시스템
Takaoka et al. Suiso Frontier, the First LH2 Carrier—Demonstration of Technologies and Operational Phase
KR101707511B1 (ko) 선박의 연료 가스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32445A (ko) 해양구조물의 연료가스 이송장치
KR101654203B1 (ko) 선박의 연료 가스 공급 장치
KR20210050035A (ko) 선박 저장탱크의 쿨링시스템
KR20220000431A (ko) 하이브리드 화물창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20210038775A (ko) 선박의 액화가스 하역 시스템
KR102483420B1 (ko) 선박용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동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CN112204370B (zh) Lng加气器材试验评估设备
KR102581643B1 (ko) 액화가스 연료 선박의 배치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