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091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091B1
KR102121091B1 KR1020157035644A KR20157035644A KR102121091B1 KR 102121091 B1 KR102121091 B1 KR 102121091B1 KR 1020157035644 A KR1020157035644 A KR 1020157035644A KR 20157035644 A KR20157035644 A KR 20157035644A KR 102121091 B1 KR102121091 B1 KR 102121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rest
dial
speed
peripheral spee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0461A (ko
Inventor
가쿠 히가시구치
츠토무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66349A external-priority patent/JP61090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66350A external-priority patent/JP6045073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1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 A01B33/024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with disk-like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02Devices for adjusting 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ool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11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regulating working depth of implements
    • A01B63/1115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regulating working depth of implements using a mechanical ground contact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flui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7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electrical control means, e.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05G1/06Details of their grip p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9/04785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the operating part of a switch arrangement
    • G05G9/04788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the operating part of a switch arrangement comprising additional contro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오퍼레이터의 손이 다양한 조작 수단에 간단히 닿도록 한 후에, 암 레스트가 원래 갖는 기능(팔을 얹어 쉬는 기능)도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작업 차량에는 주행기체(2)에 탑재된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을 유압식 무단 변속기(29)로 변속하여 주행부나 작업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오퍼레이터의 팔이나 손을 얹기 위한 암 레스트(259)가 상기 주행기체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8)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암 레스트(259)의 전단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8)측에 주행부에 의한 주행속도를 변속시키는 주변속레버(290)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암 레스트(259)의 조종 좌석(8) 역측이 되는 측면에 작업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다이얼(300)을 배치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농작업용의 트랙터 또는 토목 작업용의 휠 로더 등과 같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작업 차량으로서의 트랙터 중에는 조종 좌석 중 적어도 좌우 어느 일방에 배치된 암 레스트의 상면에, 주행기체나 로터리 경운기의 작업 상태를 설정·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작업계 조작 수단을 합쳐서 배치한 것이다. 상기 구성의 트랙터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트랙터에서는 조종 좌석의 진행 방향 우측에 위치한 암 레스트 상에, 작업계 조작 수단인 작업기 승강 레버(작업부 포지션 레버)가 배치되고, 조종 좌석에 대하여 암 레스트보다 외측에는 주행계 조작 수단인 스로틀 레버(주변속레버)가 배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8-03741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조종 좌석으로부터 주행계 조작 수단이 멀어진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작업 차량의 주행속도를 변경시킬 때마다 스티어링으로부터 손을 크게 이동시킬 필요가 있어 그 조작성이 열악했다. 또한, 암 레스트에 작업계 조작 수단이 배치되지만, 주행계 조작 수단이 암 레스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주행계 조작 수단을 조작할 때에는 적어도 팔꿈치로부터 앞을 움직일 필요가 있어, 그 조작 자세에 따라서는 암 레스트가 방해되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본원발명은 오퍼레이터의 손이 다양한 조작 수단에 간단히 닿도록 한 후에, 암 레스트가 원래 갖는 기능(팔을 얹어 쉬는 기능)도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주행기체에 탑재된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유압식 무단 변속기로 변속하여 주행부나 작업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오퍼레이터의 팔이나 손을 얹기 위한 암 레스트가 상기 주행기체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이고, 상기 암 레스트 전단에 있어서의 상기 조종 좌석측에 상기 주행부에 의한 주행속도를 변속시키는 주변속레버를 배치하는 한편, 상기 암 레스트에 있어서의 상기 조종 좌석 역측이 되는 측면에 상기 작업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다이얼을 배치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암 레스트 전단의 상기 조종 좌석측에 상기 주변속레버가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암 레스트의 전면이 상기 주변속레버의 회전 궤적에 따른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승강 다이얼의 상단이 상기 암 레스트 상면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상기 암 레스트의 측면에 상기 승강 다이얼이 감합되어 배치되고, 상기 암 레스트의 측면에는 상기 승강 다이얼의 설치 영역의 상측에 다이얼 조작용의 측방 노치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 다이얼 상방에 조작용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측방 노치부 전후의 단차 부분을 상기 조작용 돌기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승강 다이얼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로서 구성하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암 레스트의 후방 부분이 상기 조종 좌석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한편, 상기 암 레스트의 전방 부분이 전단을 향하여 상기 조종 좌석으로부터 이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암 레스트의 상면에는 상기 주변속레버의 후방이고 상기 조종 좌석측이 되는 위치에 상기 주행속도의 최고 속도 또는 상기 엔진의 최고 회전수의 값을 설정하는 설정 다이얼과, 상기 설정 다이얼에 의한 설정값이 상기 주행속도의 최고 속도 및 상기 엔진의 최고 회전수 중 어느 쪽인지를 택일적으로 선택시키는 선택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원발명에 의하면, 암 레스트 전단에 있어서의 상기 조종 좌석측에 주행부에 의한 주행속도를 변속시키는 주변속레버를 배치하는 한편, 암 레스트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 역측이 되는 측면에 작업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다이얼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행계 조작 수단 및 작업계 조작 수단의 배치 위치가 오퍼레이터에 가까워 주행계 조작 수단 및 작업계 조작 수단의 조작성이 좋다. 그리고, 주행계 조작 수단의 주변속레버를 레버식의 조작구로 하는 한편, 작업계 조작 수단의 승강 다이얼을 다이얼식의 조작구로 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작업 차량의 조종시에도 주행계 조작 수단 및 작업계 조작 수단의 식별이 용이하여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암 레스트 전단의 상기 조종 좌석측에 주변속레버를 돌출하여 설치시키고, 암 레스트의 전면을 주변속레버의 회전 궤적에 따른 곡면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주변속레버의 상단 부분(파지부)을 파지하는 오퍼레이터의 손이 암 레스트와 접촉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주변속레버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승강 다이얼의 상단이 암 레스트 상면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암 레스트의 측면에 승강 다이얼을 감합하여 배치하고, 암 레스트의 측면에는 승강 다이얼의 설치 영역의 상측에 다이얼 조작용의 측방 노치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승강 다이얼 상방에 조작용 돌기를 설치하여 상기 측방 노치부 전후의 단차 부분을 조작용 돌기에 접촉시킴으로써 승강 다이얼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로서 구성하고 있으므로 주변속레버의 조작시에 있어서 잘못하여 승강 다이얼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 다이얼의 조작시에는 그 회전 영역을 규정폭으로 규제할 수 있어 과잉으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암 레스트의 후방 부분을 조종 좌석과 평행하게 구성하는 한편, 암 레스트의 전방 부분을 전단을 향하여 조종 좌석으로부터 이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행계 조작 수단 및 작업계 조작 수단의 조작성(취급성)이 우수한 것이면서, 오퍼레이터의 팔을 적확하게 지지하거나 무릎에 닿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암 레스트의 상면에는 주변속레버의 후방이고 조종 좌석측이 되는 위치에 주행속도의 최고 속도 또는 엔진의 최고 회전수의 값을 설정하는 설정 다이얼과, 상기 설정 다이얼에 의한 설정값이 주행속도의 최고 속도 및 엔진의 최고 회전수의 어느 쪽인지를 택일적으로 선택시키는 선택 스위치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조종 좌석의 오퍼레이터에 가까운 측에 주행계 조작 수단인 주변속레버, 설정 다이얼, 및 선택 스위치가 합쳐서 배치되는 것이 되기 때문에, 그 조작성(취급성)이 우수하다.
도 1은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동력전달계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컨트롤러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5는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캐빈 내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 레스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 레스트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 레스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다른예가 되는 암 레스트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 레스트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 레스트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 레스트의 우측면도이다.
이하에, 본원발명을 작업 차량으로서의 트랙터에 적용한 실시형태를 도면(도 1∼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트랙터의 좌측면도, 도 2는 트랙터의 평면도, 도 3은 동력전달계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컨트롤러의 기능 블럭도, 도 5는 캐빈의 평면도, 도 6은 캐빈의 좌측면도, 도 7은 암 레스트의 평면도, 도 8은 암 레스트의 좌측면도, 도 9는 암 레스트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편의상 캐빈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우선 처음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트랙터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1)의 주행기체(2)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쌍의 앞바퀴(3)와 같이 좌우 한쌍의 뒷바퀴(4)에 지지되어 있다. 주행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한 동력원으로서 커먼 레일식의 디젤엔진(5)(이하, 간단히 엔진이라고 함)으로 뒷바퀴(4) 및 앞바퀴(3)를 구동함으로써, 트랙터(1)는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5)은 보닛(6)으로 덮어져 있다. 주행기체(2)의 상면에는 캐빈(7)이 설치되고, 상기 캐빈(7)의 내부에는 조종 좌석(8)과 조정함으로써 앞바퀴(3)의 조향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 조종 핸들(원형 핸들)(9)이 배치되어 있다. 캐빈(7)의 저부보다 하측에는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11)가 설치되어 있다.
보닛(6)으로 덮어지는 엔진룸 내에 있어서, 엔진(5)의 배기측이 연속 재생식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50)(디젤 파티큘레이터 필터)와 연결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0)는 이산화질소(NO2)를 생성하는 백금 등의 디젤 산화 촉매와, 포집한 입자상 물질(이하, PM이라고 함)을 비교적 저온에서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하는 허니콤 구조의 매연 필터를 갖는다.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50)는 통상의 정화 케이싱의 내부에 디젤 산화 촉매와 매연 필터를 배기가스의 이동 방향으로 직렬로 배열한 구성을 갖고, 엔진(5)의 배기가스 중의 PM의 제거에 추가하여,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를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기체(2)는 전방 범퍼(12) 및 전방 차축 케이스(13)를 갖는 엔진 프레임(14)과, 엔진 프레임(14)의 후방부에 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좌우의 기체 프레임(16)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6)의 후방부에는 엔진(5)으로부터의 회전 이동력을 적당히 변속하여 전후 사륜(3, 3, 4, 4)에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17)가 탑재되어 있다. 뒷바퀴(4)는 미션 케이스(17)의 외측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되도록 장착된 후방 차축 케이스(18)를 통하여 미션 케이스(17)에 부착되어 있다. 좌우의 뒷바퀴(4)의 상방은 기체 프레임(16)에 고정된 펜더(19)로 덮여져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 상면에는 작업부로서의 로터리 경운기(15)를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식 승강 기구(2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로터리 경운기(15)는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에 한쌍의 좌우 로어 링크(21) 및 톱 링크(22)로 이루어지는 3점 링크 기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후측면에는 로터리 경운기(15)에 PTO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PTO축(23)이 후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5)의 후측면에 후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엔진 출력축(24)에는 플라이 휠(25)이 직결하도록 부착된다. 이 플라이 휠(25)과 메인 클러치(140)를 통하여 연결되어 후향으로 연장되는 주동축(26)이 미션 케이스(17)에 전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주변속 입력축(27)과, 양단에 유니버설 커플링을 구비한 신축식의 동력전달축(28)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 차축 케이스(13)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앞바퀴 전달축(도시되지 않음)과, 미션 케이스(17) 전측면으로부터 전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앞바퀴 출력축(도시되지 않음)과는 앞바퀴 구동축(85)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17) 내에는 유압 무단변속기(29), 전후진 스위칭 기구(30),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31) 및 차동 기어 기구(58)가 배치되어 있다. 엔진(5)의 회전 이동력은 동력전달축(28)을 통하여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7)에 전달되고, 이어서 유압식 무단변속기(29)와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30)에서 적당히 변속된다. 이 변속 동력이 차동 기어 기구(58)를 통하여 좌우의 뒷바퀴(4)에 전달된다. 또한, 상술의 변속 동력은 앞바퀴 구동축(85)을 통하여 전 차축 케이스(13)로 전달됨으로써 좌우 앞바퀴(3)에도 전달된다.
유압식 무단변속기(29)는 주변속 입력축(27)에 주변속 출력축(36)을 동심상으로 배치한 인라인 방식의 것이고, 가변 용량형의 유압 펌프부(150)와, 상기 유압 펌프부(150)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작동유로 작동하는 정용량형의 변속용 유압 모터부(151)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 펌프부(150)에는 주변속 입력축(27)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각을 변경 가능하여 그 작동유 공급량을 조절하는 펌프 경사판(159)이 설치되어 있다. 펌프 경사판(159)에는 주변속 입력축(27)의 축선에 대한 펌프 경사판(159)의 경사각을 변경 조절하는 주변속 유압실린더가 관련되어 있다. 이 주변속 유압실린더(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에서 펌프 경사판(159)의 경사각을 변경함으로써, 유압 펌프부(150)로부터 유압 모터부(151)로 공급되는 작동 유량이 변경 조절되어 유압식 무단변속기(29)의 주변속 동작이 행해진다.
즉, 주변속레버(290)(상세는 후술함)의 조작량에 비례하여 작동하는 비례 제어 밸브(123)(도 4 참조)로부터의 작동유로 스위칭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작동하면, 도시되지 않은 주변속 유압실린더가 구동하고, 이에 따라 주변속 입력축(27)의 축선에 대한 펌프 경사판(159)의 경사각이 변경된다. 실시형태의 펌프 경사판(159)은 경사 대략 제로(제로를 포함하는 그 전후)의 중립 각도를 사이에 두고 일방(정)의 최대 경사각도와 타방(부)의 최대 경사각도 사이의 범위에서 각도 조절 가능하고, 또한 주행기체(2)의 차속이 최저일 때에 어느 일방으로 경사한 각도(이 경우에는 부이고 또한 최대 부근의 경사각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펌프 경사판(159)의 경사각이 대략 제로(중립각도)일 때는 유압 펌프부(150)에서 유압 모터부(151)가 구동되지 않고, 주변속 입력축(27)과 대략 동일 회전속도로 주변속 출력축(237)이 회전한다. 주변속 입력축(27)의 축선에 대하여 펌프 경사판(159)을 일방향(정의 경사각)측으로 경사시켰을 때에는 유압 펌프부(150)가 유압 모터부(151)를 증속 작동시켜 주변속 입력축(27)보다 빠른 회전속도로 주변속 출력축(36)이 회전한다. 그 결과, 주변속 입력축(27)의 회전속도로 유압 모터부(151)의 회전속도가 가산되어 주변속 출력축(36)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주변속 입력축(27)의 회전속도보다 높은 회전속도의 범위에서 펌프 경사판(159)의 경사각(정의 경사각)에 비례하여 주변속 출력축(36)로부터의 변속 동력(차속)이 변경된다. 펌프 경사판(159)이 정이고 또한 최대 부근의 경사각도일 때에, 주행기체(2)는 최고 차속이 된다.
주변속 입력축(27)의 축선에 대하여 펌프 경사판(159)을 타방향(부의 경사각)측으로 경사시켰을 때에는 유압 펌프부(150)가 유압 모터부(151)를 감속(역전) 작동시켜 주변속 입력축(27)보다 낮은 회전속도로 주변속 출력축(36)이 회전한다. 그 결과, 주변속 입력축(27)의 회전속도로부터 유압 모터부(151)의 회전속도가 감산되어 주변속 출력축(36)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주변속 입력축(27)의 회전속도보다 낮은 회전속도의 범위에서 펌프 경사판(159)의 경사각(부의 경사각)에 비례하여 주변속 출력축(36)로부터의 변속 동력이 변경된다. 펌프 경사판(159)이 부이고 또한 최대 부근의 경사각도일 때에, 주행기체(2)는 최저 차속이 된다.
전후진 스위칭 기구(30)는 유압식 무단변속기(29)의 주변속 출력축(36)으로부터 회전 이동력을 받는다. 전후진 스위칭 기구(30)는 주행기체(2) 전후진 스위칭을 위한 전진 기어(도시되지 않음) 및 후진 기어(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전진용 및 후진용 유압 클러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진 기어 및 후진 기어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부변속 기구(31)에 동력 전달시킨다. 이 때,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를 모두 경사 조작하지 않는 중립 상태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전진용 및 후진용 유압 클러치는 모두 동력 차단 상태가 된다. 주변속 출력축(36)으로부터 앞뒷바퀴(3, 4)를 향하는 회전 이동력이 대략 제로(메인 클러치(140) 오프와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도 2 참조)의 전진측 경사 조작에 의해 전진용 클러치 전자 밸브(46)(도 4 참조)가 구동하여 전진용 클러치 실린더(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주변속 출력축(36)에 의한 회전 이동력이 전후진 스위칭 기구(30)에 있어서의 도시되지 않은 전진 기어를 통하여 부변속 기구(31)에 동력 전달된다. 한편,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의 후진측 경사 조작에 의해, 후진용 클러치 전자 밸브(48)(도 4 참조)가 구동하여 후진용 클러치 실린더(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주변속 출력축(36)에 의한 회전 이동력이 전후진 스위칭 기구(30)에 있어서의 도시되지 않은 후진 기어를 통하여 부변속 기구(31)에 동력 전달된다.
부변속 기구(31)는 전후진 스위칭 기구(30)로부터의 회전 이동력을 받음과 아울러, 전후진 스위칭 기구(30)를 경유한 회전 이동력을 변속하여 출력한다. 부변속 기구(31)는 부변속용의 저속 기어(도시되지 않음) 및 고속 기어(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저속 클러치(도시되지 않음) 및 고속 클러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저속 기어 및 고속 기어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전후진 스위칭 기구(30)로부터의 회전 이동력을 변속하여 후단의 각 기구에 동력 전달한다.
부변속레버(258)(도 2 참조)의 저속측 경사 조작에 의해 고속 클러치 전자 밸브(136)(도 4 참조)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부변속 유압실린더(도시되지 않음)의 피스톤 로드의 위치를 저속측에서 변위시킨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부변속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선단과 연결되어 있는 부변속 시프터(도시되지 않음)가 도시되지 않은 저속 클러치를 동력 접속 상태로 하게 되고, 전후진 스위칭 기구(30)로부터의 회전 이동력을 저속으로 변속하여 차동 기어 기구(58)로 전달한다.
한편, 부변속레버(258)의 고속측 경사 조작에 의해 고속 클러치 전자 밸브(136)(도 4 참조)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부변속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위치를 고속측에서 변위시킨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부변속 시프터(도시되지 않음)가 도시되지 않은 고속 클러치를 동력 접속 상태로 하게 되고, 전후진 스위칭 기구(30)로부터의 회전 이동력을 고속에 변속하여 차동 기어 기구(58)로 전달한다.
차동 기어 기구(58)는 부변속 기구(31)로부터의 회전 이동력을 받음과 아울러, 부변속 기구(31)로 변속된 변속 동력을 좌우의 뒷바퀴(4)로 전달한다. 이 때, 차동 기어 기구(58)는 차동 기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부변속 기구(31)로 변속된 변속 동력을 좌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동 출력축(62) 각각에 나누어 전달시킨다(차동 동작). 그리고, 차동 출력축(62)은 파이널 기어(63) 등을 통하여 후 차축(64)에 연결되어 있고, 후 차축(64)의 선단부에 뒷바퀴(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차동 출력축(62)에는 브레이크 작동 기구(65a, 65b)가 관련되어 설치되어 있고, 스티어링 칼럼(245)의 우측에 있는 브레이크 페달(251)(도 2 참조)을 밟는 조작으로 브레이크 작동 기구(65a, 65b)가 제동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종 핸들(9)(도 1 및 도 2 참조)의 조타각이 소정 각도 이상이 되면, 선회 내측의 뒷바퀴(4)에 대응한 오토 브레이크 전자 밸브(67a)(67b)의 구동으로 브레이크 실린더(도시되지 않음)가 작동하고, 선회 내측의 뒷바퀴(4)에 대한 브레이크 작동 기구(65a)(65b)가 자동적으로 제동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턴 등의 작은 회전 선회 주행이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차동 기어 기구(58)는 상기 차동 동작을 정지(좌우의 차동 출력축(62)을 항상 등속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디퍼런셜 룩 기구(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록 핀을 디퍼런셜 룩 페달(257)(도 2 참조)을 밟는 조작으로 차동 기어에 결합시킴으로써, 차동 기어가 고정되어 차동 기능이 정지하여 좌우의 차동 출력축(62)이 등속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미션 케이스(17)는 그 내부에 PTO축(23)의 구동 속도를 스위칭하는 PTO 변속 기어 기구(도시되지 않음)와, 주변속 입력축(27) 및 PTO 변속 기어 기구 사이의 동력 전달을 계단(繼斷) 가능하게 하는 PTO 클러치(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 PTO 변속 기어 기구 및 PTO 클러치의 동작에 의해 엔진(5)로부터의 동력이 PTO축(23)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PTO 클러치 스위치(225)를 온 조작하면, PTO 클러치 유압 전자 밸브(104)(도 4 참조)의 구동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PTO 클러치를 동력 접속 상태로 한다. 그 결과, 주변속 입력축(27)을 통하여 전달되는 엔진(5)으로부터의 회전 이동력이 도시되지 않은 PTO 기어 기구로부터 PTO축(23)을 향하여 출력된다. 이 때, PTO 변속레버(256)를 변속 조작하면, 도시되지 않은 PTO 변속 기어 기구 내의 복수의 기어를 택일적으로 회전 동작함으로써 1속∼4속 및 역전의 각 PTO 변속 출력이 PTO축(23)으로 전달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트랙터(1)의 각종 제어(변속 제어, 자동 수평 제어, 및 경전 깊이 자동 제어 등)를 실행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1)는 엔진(5)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311)와, 스티어링 칼럼(조종 칼럼)(245) 탑재의 미터 패널(246)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미터 컨트롤러(312)와, 주행기체(2)의 속도 제어 등을 행하는 본기 컨트롤러(313)와, 로터리 경운기(15)의 상태 제어 등을 행하는 작업기 컨트롤러(3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컨트롤러(311∼314)는 각각 각종 연산 처리나 제어를 실행하는 CPU 이외에, 제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위한 ROM, 제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시키기 위한 RAM, 시간계측용의 타이머,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고 있고, CAN 통신 버스(315)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엔진 컨트롤러(311) 및 미터 컨트롤러(312)는 전원인가용 키 스위치(201)를 통하여 배터리(202)에 접속되어 있다. 키 스위치(201)는 열쇠 구멍에 꽂은 소정의 열쇠로 회전 조작 가능한 로터리식 스위치이고,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위치하는 스티어링 칼럼(245)에 부착되어 있다.
엔진 컨트롤러(311)의 입력측에는 엔진(5)의 커먼 레일 내의 연료 압력을 검출하는 레일압 센서(321), 엔진(5)의 회전속도(크랭크축의 캠 샤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 센서(322), 엔진(5)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 수온 센서(323), 엔진(5)의 커먼 레일 내의 연료 온도를 검출하는 연료 온도 센서(324), 배기가스 정화 장치(50) 내에 있어서의 매연 필터 전후(상하류)의 배기가스의 차압을 검출하는 차압 센서(325),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50) 내의 배기가스 온도를 검출하는 DPF 온도 센서(326)를 접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엔진 컨트롤러(311)가 엔진(5)의 연료 펌프(327) 및 연료 분사 밸브(328)를 제어한다. 즉, 연료 탱크(도시되지 않음)의 연료는 연료 펌프(327)에 의해 커먼 레일(도시되지 않음)로 압송되고, 고압의 연료로서 커먼 레일에 축적된다. 그리고, 각 연료 분사 밸브(328)를 각각 개폐 제어(전자 제어)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커먼 레일 내의 고압의 연료가 분사 압력, 분사 시기, 분사 기간(분사량)을 고정밀도로 컨트롤된 후에, 각 인젝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엔진(5)의 각 기통으로 분사된다. 이 때문에, 엔진(5)으로부터 배출되는 질소 산화물(NOx)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엔진(5)의 소음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미터 컨트롤러(312)의 입력측에는 조종 핸들(9)의 회동량(조타 각도)을 검출하는 조타 포텐시오(210), 액정 패널(330)의 표시를 바꾸는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50) 재생동작을 허가하는 입력 부재로서의 재생 스위치(32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미터 컨트롤러(312)의 출력측에는 미터 패널(246)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330), 배기가스 정화 장치(50) 재생 동작 등에 관련되어 명동하는 경보 버저(331),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50) 재생 동작에 관련되어 명멸하는 경보 램프로서의 재생 램프(332)가 접속되어 있다.
본기 컨트롤러(313)의 입력측에는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전후진 포텐시오(211), 주변속 출력축(36)의 출력 회전수를 검출하는 주변속 출력축 회전 센서(212), 앞뒷바퀴(3, 4)의 회전속도(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213), 브레이크 페달(251)을 밟는 것의 유무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220), 오토 브레이크 전자 밸브(67a, 67b)를 스위칭 조작하는 오토 브레이크 스위치(221), 주변속레버(29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주변속 포텐시오(222),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227), 및 모드 스위칭 스위치(232)가 접속되어 있다.
본기 컨트롤러(313)의 출력측에는 전진용 클러치 실린더(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키는 전진용 클러치 전자 밸브(46), 후진용 클러치 실린더(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키는 후진용 클러치 전자 밸브(48), 부변속 유압실린더(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키는 고속 클러치 전자 밸브(136), 주변속레버(290)의 경동 조작량에 비례하여 주변속 유압실린더(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키는 비례 제어 밸브(123), 및 좌우의 브레이크 작동 기구(65a, 65b) 각각을 작동시키는 오토 브레이크 전자 밸브(67a, 67b)가 접속되어 있다.
작업기 컨트롤러(314)의 입력측에는 주행기체(2)의 좌우 경사 각도를 검출하는 진자식의 롤링 센서(214), 주행기체(2)에 대한 로터리 경운기(15)의 상대적인 좌우 경사 각도를 검출하는 포텐시오형의 작업부 포지션 센서(215), 유압식 승강 기구(20)과 좌우 로어 링크(21)를 연결시키는 리프트 암(도시되지 않음)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는 포텐시오형의 리프트 각 센서(216), 로터리 경운기(15)의 경전 깊이 변동에 따라 상하 회전하는 경전 리어 커버(195)(도 1 및 도 2 참조)의 상하 회동 각도를 검출하는 포텐시오형의 리어커버 센서(217), 로터리 경운기(15)의 높이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 조절하는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포지션 다이얼 센서(223), 경심 설정 다이얼(224), PTO 클러치 스위치(225), 경사 수동 스위치(228), 자동 승강 스위치(229),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230), 경사 설정 다이얼(233), 최상승 위치 설정 다이얼(234), 및 하강 속도 설정 다이얼(235)가 접속되어 있다.
작업기 컨트롤러(314)의 출력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PTO 클러치(100)를 작동하는 PTO 클러치 유압 전자 밸브(104), 및 유압식 승강 기구(20)의 단동식 유압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전자 밸브(121)가 접속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조종 좌석(8)과 그 주변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캐빈(7) 내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8)의 전방에는 엔진(5)의 후방부측을 둘러싸는 스티어링 칼럼(245)이 배치되어 있다. 평면시 대략 원형의 조종 핸들(9)이 스티어링 칼럼(24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시킨 핸들축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조종 핸들(9)에 있어서의 대략 환상의 스티어링 휠(247)은 수평에 대하여 후방 비스듬히 하향으로 경사한 자세로 되어 있다.
스티어링 칼럼(245)의 우측에는 엔진(5)의 출력 회전수를 설정 유지하는 스로틀 레버(250)와, 주행기체(2)를 제동 조작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브레이크 페달(251)이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칼럼(245)의 좌측에는 주행기체(2)의 진행 방향을 전진과 후진으로 스위칭하여 조작하기 위한 전후진 스위칭 레버(252)와, 동력 계단용의 메인 클러치(140)를 오프 작동시키기 위한 클러치 페달(253)이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칼럼(245)의 배면측에는 좌우 브레이크 페달(251)을 밟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 레버(254)가 배치되어 있다.
캐빈(7) 내의 마루판(248) 중 스티어링 칼럼(245)의 우측에는 스로틀 레버(250)로 설정된 엔진 회전수를 최저 회전수로서 그 이상의 범위에서 엔진 회전수를 가감속시키기 위한 엑셀 페달(255)이 배치되어 있다. 조종 좌석(8)의 하방에는 후술하는 PTO축(23)의 구동 속도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PTO 변속 레버(256)와, 좌우의 뒷바퀴(4)를 등속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디퍼런셜 룩 페달(257)이 배치되어 있다. 조종 좌석(8)의 좌측에는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30)(도 3 참조)의 출력 범위를 저속과 고속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부변속 레버(258)가 배치된다.
조종 좌석(8)의 우측에는 조종 좌석(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팔이나 팔꿈치를 얹기 위한 암 레스트(259)가 설치되어 있다. 암 레스트(259)는 조종 좌석(8)과는 별개로 구성됨과 아울러, 주행계 조작 수단인 주변속레버(290)와, 작업계 조작 수단인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승강 다이얼)(300)을 구비한다. 주변속레버(290)는 주변속 조작체로서의 전후 경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변속레버(290)를 전경 조작했을 때 주행기체(2)의 차속이 증가하는 한편, 주변속레버(290)를 후경 조작했을 때 주행기체(2)의 차속이 저하한다.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은 로터리 경운기(15)의 높이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식이다.
암 레스트(259)의 하단 후방부는, 예를 들면 조종 좌석(8)이 적재되는 시트 프레임(도시되지 않음) 등에 세워서 설치된 브래킷(도시되지 않음)에 대하여 기복(상하) 회동 가능하게 피보팅되어 뛰어올라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암 레스트(259)는 기복 회동에 의한 회동 자세를 복수 단계(실시형태에서는 4단계)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암 레스트(259)는 조종 좌석(8)의 전후 슬라이드와는 별개 독립하여, 주행기체(2)의 진행 방향(전후 방향)에 따라 위치조절 가능(전후 슬라이드 가능)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기복 회전 가능한 구성을 채용하면, 조종 좌석(8)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의 체격이나 작업 자세에 따라 암 레스트(259)의 회동 자세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오퍼레이터의 팔을 적확하게 지지하거나 무릎에 닿지 않도록 설정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암 레스트(259)를 전후 슬라이드 위치조절 가능한 구성으로 했을 경우, 조종 좌석(8)의 전후 슬라이드 위치조절 기능이나 암 레스트(259)의 기복 회전 가능한 구성과 함께, 장시간 작업에 의한 오퍼레이터의 피로 저감에 효과적이다.
또한, 암 레스트(259)의 우측에는 각종 조작 수단이 설치되는 조작대(260)가 펜더(19) 상방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대(260)의 상면에는 경심 설정 다이얼(224), PTO 클러치 스위치(225) 및 경사 수동 스위치(228)가 배치되어 있다. 경심 설정 다이얼(224)은 로터리 경운기(15)의 목표 경전 깊이를 미리 설정하기 위한 다이얼식이다. PTO 클러치 스위치(225)는 PTO 클러치(100)를 온 조작하여 PTO축(23)으로부터 로터리 경운기(15)로의 동력 전달을 계단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경사 수동 스위치(228)는 로터리 경운기(15)의 좌우 경사 각도를 수동으로 변경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PTO 클러치 스위치(225)는 스위치를 한번 압하하면서 평면시로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압하된 위치에서 록하여 PTO축(23)으로부터 로터리 경운기(15)로의 동력 전달을 접속 상태로 하고, 다시 한번 압하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PTO축(23)으로부터 로터리 경운기(15)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 상태로 하는 것도 푸쉬 스위치이다. 경사 수동 스위치(228)는 좌우 방향으로 경동시키는 자기 복귀형(모멘터리형)의 레버 스위치로서 경사 수동 스위치(228)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로터리 경운기(15)의 좌우 경사 각도가 변경한다.
도 7∼도 9를 참조하면서, 제 1 실시형태가 되는 암 레스트(259)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암 레스트(259)는 전후에 긴 기부(암 레스트 후방 부분)(281)와, 기부(281)로부터 전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암 레스트 전방 부분)(282)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부(282)는 조종 좌석(8)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설치된 기부(281)에 대하여 조종 좌석(8)과 멀어진 방향(실시형태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굴곡시켜 배치되고, 암 레스트(259) 전체로서는 평면시 대략 く자상의 형태가 되어 있다.
암 레스트(259)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부(282) 전단의 조종 좌석(8)측에 상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오목한 전방 노치부(283)를 갖고, 해당 전방 노치부(283)에 있어서의 상면보다 주변속레버(290)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연장부(282)는 전방 노치부(283)의 후방(기부(281)와의 접속측)의 조종 좌석(8)측에 상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오목한 단차부(284)를 갖고, 해당 단차부(284)에 있어서의 상면에 후술하는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설정 다이얼)(226)과, 후술하는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선택 스위치)(227)가 배치된다.
또한, 단차부(284)의 상면의 높이 위치는 전방 노치부(283)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이고, 또한 기부(281)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가 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가 그 팔이나 팔꿈치를 암 레스트(259)의 기부(281)에 얹어 연장부(282) 전방의 주변속레버(290)를 조작했다고 해도, 단차부(284)의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에 대하여 부주의하게 접촉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의 오조작을 각별히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은 엔진(5)의 최고 회전속도 또는 주행기체(2)의 최고 주행속도를 미리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227)는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로 설정하는 값을 엔진(5)의 최고 회전속도 또는 주행기체(2)의 최고 주행속도 중 어느 쪽인지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고, 위치 유지형(대체형) 스위치(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위치 유지형의 로커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227)에 의해 회전속도가 지정되면,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에 의해 엔진(5)의 최고 회전속도가 설정되는 것이다. 한편,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227)에 의해 주행속도가 지정되면,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에 의해 주행기체(2)의 최고 주행속도가 설정되는 것이다.
암 레스트(259)의 기부(281)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의 조종 좌석(8)측에 스위치 박스(286)가 매입되어 있다. 스위치 박스(286)의 상면은 조종 좌석(8) 역측을 향하여 여는 상면 덮개(287)를 구비한다. 즉, 상면 덮개(287)는 그 회전축의 축방향이 기부(281)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이 되도록 조종 좌석(8)의 역측이 되는 근처 가장자리에 축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면 덮개(287)를 열었을 때 스위치 박스(286)의 내측이 조종 좌석(8)측으로부터 개방되기 때문에, 조종 좌석(8)에 착석하고 있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통상은 상면 덮개(287)를 닫은 상태로서 상면 덮개(287)의 상면이 암 레스트(259)의 기부(281) 높이로 하여 오퍼레이터가 그 팔이나 팔꿈치를 상면 덮개(287) 상에 얹게 된다.
스위치 박스(286)는 그 길이 방향이 기부(281)의 길이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 박스(286)는 상면 덮개(287) 하면과 대항하는 내측 상면에 경사 설정 다이얼(233), 최상승 위치 설정 다이얼(234), 하강 속도 설정 다이얼(235)을 갖는다. 즉, 상면 덮개(287)를 열었을 때, 스위치 박스(286)의 내측 상면에 있어서 각 설정 다이얼(233∼235) 각각이 일렬로 배열된다. 경사 설정 다이얼(233)은 주행기체(2)에 대한 로터리 경운기(15)의 상대적인 목표 좌우 경사각도를 미리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최상승 위치 설정 다이얼(234)은 로터리 경운기(15)의 최상승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하강 속도 설정 다이얼(235)은, 로터리 경운기(15)는 로터리 경운기(15)의 하강시에 있어서의 충격 저감을 위해서 로터리 경운기(15)의 하강시의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속레버(290)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파지부)(292)이 상단측에 부착된 레버축(291)을 갖는다. 이 레버축(291)의 하단측이 전방 노치부(283) 하측이 되는 연장부(282) 내부로 피보팅됨으로써 주변속레버(290)는 전후 경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주변속레버(290)는 실질상 연직된 자세로부터 적극 자세까지의 사이에서 전후 경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노치부(283)를 제외한 연장부(282) 전단면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속레버(290)의 회전 궤적에 따르도록 대략 1/4 원형의 곡면이 되는 전방 만곡면(28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주변속레버(290)의 경사 자세에 관계없이, 그립(292)이 연장부(282)의 전방 만곡면(285)으로부터 돌출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그립(292)을 파지하는 오퍼레이터의 손이 암 레스트(259)의 연장부(282)와 접촉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주변속레버(290)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주변속레버(290)를 전측(조종 핸들(9)측)으로 경동시켰을 때, 주변속 포텐시오(222)가 주변속레버(290) 검출하는 주변속레버(290)의 조작 위치에 맞추어 펌프 경사판(159)(도 3 참조)을 정의 경사각측으로 경사시켜 주행기체(2)의 주행속도를 가속시킨다. 한편, 주변속레버(290)를 후측(조종 좌석(8)측)으로 경동시켰을 때, 주변속 포텐시오(222)가 주변속레버(290)를 검출하는 주변속레버(290)의 조작 위치에 맞추어 펌프 경사판(159)(도 3 참조)을 부의 경사각측으로 경사시켜 주행기체(2)의 주행속도를 감속시킨다.
오퍼레이터는 상면 덮개(287) 상(암 레스트(259) 상)에 팔을 얹은 상태에서 주변속레버(290)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속레버(290)가 매우 조작하기 쉬워 트랙터(1)에 있어서의 주행 조작성의 향상에 높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단차부(284)의 위치는 상면 덮개(287) 상(암 레스트(259) 상)에 팔을 얹은 상태에서 손목부근 등이 평면시로 거의 겹치지 않는 위치이다. 따라서, 암 레스트(259) 상의 팔 등이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에 부주의하게 접촉하는 경우가 없고(방해되지 않고),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의 오조작을 적게 할 수 있다.
주변속레버(290)의 그립(292)은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면이 완만한 상향 볼록 만곡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파지부(293)를 갖고 있다. 그립(292)의 파지부(293)는 그 상면의 조종 좌석(8)측을 최상단으로 하도록 경사시켜 오퍼레이터가 오른손으로 잡기 쉬운 구조로 하고 있다. 이 파지부(293)는 레버축(291)과의 접속 부분을 향하여(하측을 향하여) 정면시로 좌우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파지부(293)는 그 하측에 잘록한 부분을 갖고 있다. 또한, 그립(292)은 파지부(293)의 하측에 레버축(291)과 접속하는 레버 접속부(294)를 구비한다. 레버 접속부(294)의 좌우 폭은 파지부(293) 하측의 좌우 폭과 동등하게 한다.
그립(292)은 레버 접속부(294)의 전면에 자동 승강 스위치(229)를 배치하고, 레버 접속부(294)의 조종 좌석(8)측의 측면(좌측면)에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230)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그립(292)은 파지부(293)에 있어서 조종 좌석(8)측(좌측)의 잘록한 면에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를 배치하고, 조종 좌석(8)의 역측(우측)의 잘록한 면에 모드 스위칭 스위치(232)를 배치하고 있다. 자동 승강 스위치(229)는 로터리 경운기(15)를 소정 높이까지 강제적으로 승강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230)는 로터리 경운기(15)의 높이 위치를 미세 조절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는 액정 패널(330)의 표시 내용을 스위칭하기 위한 것이다. 모드 스위칭 스위치(232)는 선회시 및 후진시의 주행속도를 변경·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 승강 스위치(229)는 상하 방향으로 경동시키는 자기복귀형(모멘터리형)의 레버 스위치이다. 자동 승강 스위치(229)를 상측으로 경동시켰을 때에 로터리 경운기(15)가 최상승 위치 설정 다이얼(234)로 설정된 최상승 위치까지 상승하는 한편, 자동 승강 스위치(229)를 하측으로 경동시켰을 때에 로터리 경운기(15)가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에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한다.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230)는 자기복귀형(모멘터리형)의 로커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고,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230)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로터리 경운기(15)가 승강한다.
이와 같이, 주변속레버(290)가 자동 승강 스위치(229), 승강 미세 조정 스위치(230),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 및 모드 스위칭 스위치(232)를 구비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주변속레버(290)에 대한 오른손 조작만으로 주행상황에 맞춘 제어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주변속레버(290)의 경동 조작을 하면서 자동 승강 스위치(229) 및 승강 미세 조정 스위치(230)를 조작함으로써, 로터리 경운기(15)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액정 패널(330)의 표시 내용을 스위칭하는 경우에도, 주변속레버(290)로부터 손이 멀어지지 않고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의 조작을 하면 좋다. 또한, 주변속레버(290)의 모드 스위칭 스위치(232)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트랙터(1)를 선회 또는 후진시키는 경우에 미리 최적으로 설정한 주행속도로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레스트(259)의 연장부(282)에 있어서의 우측면(펜더(19)측의 측면)에는 대략 원상의 함몰부(측면 노치부)(288)에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승강 다이얼)(300)이 감삽되어 있다. 이 함몰부(288)는 연장부(282) 우측면을 함몰시킨 원상 오목부(288a)를 갖고,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은 이 원상 오목부(288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감삽된다. 또한, 함몰부(288)는 원상 오목부(288a)의 상측 일부를 연장부(282) 상면까지 함몰시킨 오목부(288b)를 갖고, 이 오목부(288b) 전후의 단차 부분이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289a, 289b)가 된다.
한편,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은 함몰부(288)의 원상 오목부(288a)의 중심으로 축지되도록 감삽되어 있고, 그 외주면(301) 중 연장부(282) 상면측에 외측(상측)으로 돌기시킨 손잡이부(조작용 돌기)(302)를 구비한다. 즉, 손잡이부(302)가 함몰부(288) 상측의 오목부(288b)에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고, 오퍼레이터는 암 레스트(259)의 상측으로부터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손잡이부(302)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302)는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최상위 위치에서도, 손잡이부(302) 상단이 연장부(282) 상면보다 낮은 위치가 된다. 손잡이부(302)가 회전 규제부(289a)와 접촉함으로써 전방(도 9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으로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회전이 규제되는 한편, 손잡이부(302)가 회전 규제부(289b)와 접촉함으로써 후방(도 9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으로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주변속레버(290)의 조작시에 있어서 잘못하여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조작시에는 회전 영역을 소정 폭으로 규제할 수 있다.
이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은 함몰부(288)에 감삽되었을 때, 연장부(282) 우측면에서도 외측(펜더(19)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암 레스트(259)의 상측으로부터 손잡이부(302)를 손가락 등으로 전후시켜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회전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 레스트(259)의 우측(펜더(19)측)으로부터 외주면을 파지해도,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상면 덮개(287) 상(암 레스트(259) 상)에 팔을 얹은 상태에서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전방(도 9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으로 회전 조작하면, 제어 전자 밸브(121)가 스위칭 작동하여 도시되지 않은 단동식 유압실린더를 단축 구동시키고 리프트 암(193)(도 1 참조)을 하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로어 링크(21)를 통하여 로터리 경운기(15)가 하강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후방(도 9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으로 경동 조작하면, 제어 전자 밸브(121)가 스위칭 작동하여 도시되지 않은 단동식 유압실린더를 신장 구동시키고 리프트 암(193)을 상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로어 링크(21)을 통하여 로터리 경운기(15)가 상승 이동하게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암 레스트(259)의 전방 부분인 연장부(282)의 상면에 주변속레버(290),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를 배치하고, 연장부(282)의 측면에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연장부(282)의 좌측(운전 좌석(8)측)에 주변속레버(290),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를 배치하고, 연장부(282)의 우측(펜더(19)측)에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트랙터(1)의 운전중이어도, 주행계 조작 수단 및 작업계 조작 수단의 식별이 용이하여 오조작 방지에 효과가 있다. 또한. 주행계 조작 수단인 주변속레버(290),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가 합쳐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조작성(취급성)이 우수하다.
또한, 암 레스트(259) 상에 있는 손을 팔꿈치를 지점으로 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주변속레버(290)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에 간단히 손이 닿는다. 따라서, 암 레스트(259) 상에 있는 손만으로 주변속레버(290)를 조작하거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조작하거나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암 레스트(259)에 팔을 얹었을 때에, 손목을 하향으로 구부리지 않는 자연스러운 손의 자세로 연장부(282) 상의 주변속레버(290)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변속레버(290)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조작성이 각별히 향상됨과 아울러, 손의 안정 지지에도 기여한다.
도 11∼도 13을 참조하면서, 제 2 실시형태가 되는 암 레스트(259)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암 레스트(259)는 전후로 긴 기부(암 레스트 후방 부분)(281)와, 기부(281)로부터 전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암 레스트 전방 부분)(282)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부(282)는 조종 좌석(8)과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연장하여 설치된 기부(281)에 대하여 조종 좌석(8)과 멀어진 방향(실시형태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굴곡시켜 배치되고, 암 레스트(259) 전체로서는 평면시 대략 く자상의 형태가 되어 있다.
암 레스트(259)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부(282) 전단의 조종 좌석(8)측에 상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오목한 전방 노치부(283)를 갖고, 해당 전방 노치부(283)에 있어서의 상면보다 주변속레버(290)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부(282)의 우측면(펜더(19)측의 측면)에는 그 전측(조종 핸들(9)측)에 후술하는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설정 다이얼)(226)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부(282)의 상면에는 주변속레버(290)와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 사이가 되는 위치(전방 노치부(283)의 우측 위치)에 후술하는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선택 스위치)(227)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가 그 팔이나 팔꿈치를 암 레스트(259)의 기부(281)에 얹어 연장부(282) 전방의 주변속레버(290) 또는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조작했다고 해도, 주변속레버(290)보다 펜더(19)측에 배치된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에 대하여 부주의하게 접촉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의 오조작을 각별히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은 엔진(5)의 최고 회전속도 또는 주행기체(2)의 최고 주행속도를 미리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227)는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로 설정하는 값을 엔진(5)의 최고 회전속도 또는 주행기체(2)의 최고 주행속도 중 어느 쪽인지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고, 위치 유지형(대체형) 스위치(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위치 유지형의 로커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수/스위치(227)에 의해 회전속도가 지정되면,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에 의해 엔진(5)의 최고 회전속도가 설정된다. 한편,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227)에 의해 주행속도가 지정되면,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에 의해 주행기체(2)의 최고 주행속도가 설정된다.
암 레스트(259)의 기부(281)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의 조종 좌석(8)측에 스위치 박스(286)가 매입되어 있다. 스위치 박스(286)의 상면은 조종 좌석(8) 역측을 향하여 여는 상면 덮개(287)를 구비한다. 즉, 상면 덮개(287)는 그 회전축의 축 방향이 기부(281)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이 되도록 조종 좌석(8)의 역측이 되는 근처 가장자리에 축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면 덮개(287)를 열었을 때 스위치 박스(286)의 내측이 조종 좌석(8)측으로부터 개방되기 때문에, 조종 좌석(8)에 착석하고 있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통상은 상면 덮개(287)를 닫은 상태로서 상면 덮개(287)의 상면이 암 레스트(259)의 기부(281) 상면 높이로 하여 오퍼레이터가 그 팔이나 팔꿈치를 상면 덮개(287) 상에 얻게 된다.
스위치 박스(286)는 그 길이 방향이 기부(281)의 길이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 박스(286)는 상면 덮개(287) 하면과 대항하는 내측 상면에 경사 설정 다이얼(233), 최상승 위치 설정 다이얼(234), 하강 속도 설정 다이얼(235)을 갖는다. 즉, 상면 덮개(287)를 열었을 때, 스위치 박스(286)의 내측 상면에 있어서 각 설정 다이얼(233∼235) 각각이 일렬로 배열된다. 경사 설정 다이얼(233)은 주행기체(2)에 대한 로터리 경운기(15)의 상대적인 목표 좌우 경사각도를 미리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최상승 위치 설정 다이얼(234)은 로터리 경운기(15)의 최상승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하강 속도 설정 다이얼(235)은, 로터리 경운기(15)는 로터리 경운기(15)의 하강시에 있어서의 충격 저감을 위해서 로터리 경운기(15)의 하강시의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속레버(290)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파지부)(292)이 상단측에 부착된 레버축(291)을 갖는다. 이 레버축(291)의 하단측이 전방 노치부(283) 하측이 되는 연장부(282) 내부로 피보팅함으로써 주변속레버(290)는 전후 경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주변속레버(290)는 실질상 연직된 자세로부터 적극 자세까지의 사이에서 전후 경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노치부(283)를 제외한 연장부(282) 전단면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속레버(290)의 회전 궤적에 따르도록 대략 1/4 원형의 곡면이 되는 전방 만곡면(28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주변속레버(290)의 경사 자세에 관계없이, 그립(292)이 연장부(282)의 전방 만곡면(285)으로부터 돌출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그립(292)을 파지하는 오퍼레이터의 손이 암 레스트(259)의 연장부(282)와 접촉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주변속레버(290)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주변속레버(290)를 전측(조종 핸들(9)측)으로 경동시켰을 때, 주변속 포텐시오(222)가 주변속레버(290) 검출하는 주변속레버(290)의 조작 위치에 맞추어 펌프 경사판(159)(도 5 참조)을 정의 경사각측으로 경사시켜 주행기체(2)의 주행속도를 가속시킨다. 한편, 주변속레버(290)를 후측(조종 좌석(8)측)으로 경동시켰을 때, 주변속 포텐시오(222)가 주변속레버(290)를 검출하는 주변속레버(290)의 조작 위치에 맞추어 펌프 경사판(159)(도 5 참조)을 부의 경사각측으로 경사시켜 주행기체(2)의 주행속도를 감속시킨다.
오퍼레이터는 상면 덮개(287) 상(암 레스트(259) 상)에 팔을 얹은 상태에서 주변속레버(290)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속레버(290)가 매우 조작하기 쉬워 트랙터(1)에 있어서의 주행 조작성의 향상에 높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단차부(284)의 위치는 상면 덮개(287) 상(암 레스트(259) 상)에 팔을 얹은 상태에서 손목 부근 등이 평면시로 거의 겹치지 않는 위치이다. 따라서, 암 레스트(259) 상의 팔 등이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에 부주의하게 접촉하는 경우가 없고(방해되지 않고),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의 오조작을 적게 할 수 있다.
주변속레버(290)의 그립(292)은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면이 완만한 상향 볼록 만곡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파지부(293)를 갖고 있다. 그립(292)의 파지부(293)는 그 상면의 조종 좌석(8)측을 최상단으로 하도록 경사시켜 오퍼레이터가 오른손으로 잡기 쉬운 구조로 하고 있다. 이 파지부(293)는 레버축(291)과의 접속 부분을 향하여(하측을 향하여) 정면시로 좌우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파지부(293)는 그 하측에 잘록한 부분을 갖고 있다. 또한, 그립(292)은 파지부(293)의 하측에 레버축(291)과 접속하는 레버 접속부(294)를 구비한다. 레버 접속부(294)의 좌우 폭은 파지부(293) 하측의 좌우 폭과 동등하게 한다.
그립(292)은 레버 접속부(294)의 전면에 자동 승강 스위치(229)를 배치하고, 레버 접속부(294)의 조종 좌석(8)측의 측면(좌측면)에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230)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그립(292)은 파지부(293)에 있어서 조종 좌석(8)측(좌측)의 잘록한 면에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를 배치하고, 조종 좌석(8)의 역측(우측)의 잘록한 면에 모드 스위칭 스위치(232)를 배치하고 있다. 자동 승강 스위치(229)는 로터리 경운기(15)를 소정 높이까지 강제적으로 승강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230)는 로터리 경운기(15)의 높이 위치를 미세 조절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는 액정 패널(330)의 표시 내용을 스위칭하기 위한 것이다. 모드 스위칭 스위치(232)는 선회시 및 후진시의 주행속도를 변경·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 승강 스위치(229)는 상하 방향으로 경동시키는 자기복귀형(모멘터리형)의 레버 스위치이다. 자동 승강 스위치(229)를 상측으로 경동시켰을 때에 로터리 경운기(15)가 최상승 위치 설정 다이얼(234)로 설정된 최상승 위치까지 상승하는 한편, 자동 승강 스위치(229)를 하측으로 경동시켰을 때에 로터리 경운기(15)가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에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한다.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230)는 자기복귀형(모멘터리형)의 로커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고,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230)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로터리 경운기(15)가 승강한다.
이와 같이, 주변속레버(290)가 자동 승강 스위치(229), 승강 미세 조정 스위치(230),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 및 모드 스위칭 스위치(232)를 구비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주변속레버(290)에 대한 오른손 조작만으로 주행상황에 맞춘 제어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주변속레버(290)의 경동 조작을 하면서 자동 승강 스위치(229) 및 승강 미세 조정 스위치(230)를 조작함으로써, 로터리 경운기(15)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액정 패널(330)의 표시 내용을 스위칭하는 경우에도, 주변속레버(290)로부터 손이 멀어지지 않고 표시 스위칭 스위치(231)의 조작을 하면 좋다. 또한, 주변속레버(290)의 모드 스위칭 스위치(232)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트랙터(1)를 선회 또는 후진시키는 경우에 미리 최적으로 설정한 주행속도로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레스트(259)의 연장부(282)에 있어서의 우측면(펜더(19)측의 측면)에는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설정 다이얼)(226)의 후방에, 대략 원상의 함몰부(측면 노치부)(288)에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승강 다이얼)(300)이 감삽되어 있다. 즉, 암 레스트(259)의 우측면에 있어서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을 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전방에 배치한다. 그리고, 암 레스트(259)의 상면에는 주변속레버(290)와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226) 사이가 되는 위치에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227)를 배치한다.
함몰부(288)는 연장부(282) 우측면을 함몰시킨 원상 오목부(288a)를 갖고,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은 이 원상 오목부(288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함몰부(288)는 원상 오목부(288a)의 상측 일부를 연장부(282) 상면까지 함몰시킨 오목부(288b)를 갖고, 이 오목부(288b) 전후의 단차 부분이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289a, 289b)가 된다.
한편,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은 함몰부(288)의 원상 오목부(288a)의 중심으로 축지되도록 감삽되어 있고, 그 외주면(301) 중 연장부(282) 상면측에 외측(상측)으로 돌기시킨 손잡이부(조작용 돌기)(302)를 구비한다. 즉, 손잡이부(302)가 함몰부(288) 상측의 오목부(288b)에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고, 오퍼레이터는 암 레스트(259)의 상측으로부터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손잡이부(302)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302)는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최상위 위치에서도, 손잡이부(302) 상단이 연장부(282) 상면보다 낮은 위치가 된다. 손잡이부(302)가 회전 규제부(289a)와 접촉함으로써 전방(도 13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으로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회전이 규제되는 한편, 손잡이부(302)가 회전 규제부(289b)와 접촉함으로써 후방(도 13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으로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주변속레버(290)의 조작시에 있어서 잘못하여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조작시에는 회전 영역을 소정 폭으로 규제할 수 있다.
이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은 함몰부(288)에 감삽되었을 때, 연장부(282) 우측면에서도 외측(펜더(19)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암 레스트(259)의 상측으로부터 손잡이부(302)를 손가락 등으로 전후시켜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회전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 레스트(259)의 우측(펜더(19)측)으로부터 외주면을 파지해도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상면 덮개(287) 상(암 레스트(259) 상)에 팔을 얹은 상태에서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전방(도 13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으로 회전 조작하면, 제어 전자 밸브(121)가 스위칭 작동하여 도시되지 않은 단동식 유압실린더를 단축 구동시키고 리프트 암(193)(도 1 참조)을 하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로어 링크(21)를 통하여 로터리 경운기(15)가 하강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후방(도 13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으로 경동 조작하면, 제어 전자 밸브(121)가 스위칭 작동하여 도시되지 않은 단동식 유압실린더를 신장 구동시키고 리프트 암(193)을 상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로어 링크(21)을 통하여 로터리 경운기(15)가 상승 이동하게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암 레스트(259)의 전방 부분인 연장부(282)의 전단의 상면으로부터 측면에 걸쳐서 주변속레버(290),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를 배치하고, 연장부(282)의 측면 후방에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트랙터(1)의 운전중이어도, 주행계 조작 수단 및 작업계 조작 수단의 식별이 용이하여 오조작 방지에 효과가 있다. 또한. 주행계 조작 수단인 주변속레버(290), 설정 다이얼(226) 및 선택 스위치(227)가 합쳐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조작성(취급성)이 우수하다.
또한, 암 레스트(259) 상에 있는 손을 팔꿈치를 지점으로 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주변속레버(290)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에 간단히 손이 닿는다. 따라서, 암 레스트(259) 상에 있는 손만으로 주변속레버(290)를 조작하거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조작하거나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암 레스트(259)에 팔을 얹었을 때에, 손목을 하향으로 구부리지 않는 자연스러운 손의 자세로 연장부(282) 상의 주변속레버(290)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을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변속레버(290)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300)의 조작성이 각별히 향상됨과 아울러, 손의 안정 지지에도 기여한다.
본원발명은 상술의 제 1∼제 3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발명은 트랙터로 제한되지 않고, 이양기나 콤바인 등의 농작업기나, 휠 로더 등의 특수 작업용 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다. 주행기체(2)에 탑재되는 엔진(5)은 디젤식 엔진으로 제한되지 않고, 가솔린식 엔진이어도 좋다.
또한, 암 레스트(259)는 조종 좌석(8)의 우측에 관계없이, 조종 좌석(8)의 좌측에 설치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조작 수단이 설치된 암 레스트(259)가 조종 좌석(8)의 좌우 일측방에 설치된 경우, 조종 좌석(8)의 타측방에 조작 수단이 없는 암 레스트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레스트(259)의 연장부(282)의 전단면에 대해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노치부(283)를 형성하지 않고, 그 전체를 대략 1/4 원형상의 곡면이 되는 전방 만곡면(285)으로 구성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기타, 각 부의 구성은 도시의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트랙터 2: 주행기체
5: 엔진 6: 보닛
7: 캐빈 8: 조종 좌석
9: 조종 핸들 224: 경심 설정 다이얼
225: PTO 클러치 스위치 226: 회전수/차속 설정 다이얼
227: 회전수/차속 선택 스위치 228: 경사 수동 스위치
229: 자동 승강 스위치 230: 승강 미세 조절 스위치
231: 표시 스위칭 스위치 232: 모드 스위칭 스위치
233: 경사 설정 다이얼 234: 최상승 위치 설정 다이얼
235: 하강 속도 설정 다이얼 245: 스티어링 칼럼
246: 미터 패널 259: 암 레스트
260: 조작대 281: 기부
282: 연장부 283: 전방 노치부
284: 단차부 285: 전방 만곡면
286: 스위치 박스 287: 상면 덮개
288: 함몰부 288a: 원상 오목부
288b: 오목부 289a: 회전 규제부
289b: 회전 규제부 290: 주변속레버
300: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 301: 외주면
302: 손잡이부

Claims (5)

  1. 주행기체에 탑재된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유압식 무단 변속기로 변속하여 주행부나 작업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오퍼레이터의 팔이나 손을 얹기 위한 암 레스트가 상기 주행기체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이고,
    상기 암 레스트에 있어서의 상기 조종 좌석측에 상기 주행부에 의한 주행속도를 변속시키는 주변속레버를 배치하는 한편, 상기 암 레스트에 있어서의 상기 조종 좌석 역측이 되는 측면에 상기 작업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다이얼을 배치하고,
    상기 암 레스트의 측면에는 상기 승강 다이얼의 설치 영역의 상측에 다이얼 조작용의 측방 노치부를 형성과 아울러, 상기 승강 다이얼 상부에 조작용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측방 노치부 전후의 단차 부분을 상기 조작용 돌기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승강 다이얼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 레스트 전단의 상기 조종 좌석측에 상기 주변속레버가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암 레스트의 전면은 상기 주변속레버의 회전 궤적에 따른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다이얼의 상단이 상기 암 레스트 상면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상기 암 레스트의 측면에 상기 승강 다이얼이 감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 레스트의 후방 부분은 상기 조종 좌석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한편, 상기 암 레스트의 전방 부분은 전단을 향하여 상기 조종 좌석으로부터 이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주행기체에 탑재된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유압식 무단 변속기로 변속하여 주행부나 작업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오퍼레이터의 팔이나 손을 얹기 위한 암 레스트가 상기 주행기체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이고,
    상기 암 레스트에 있어서의 상기 조종 좌석측에 상기 주행부에 의한 주행속도를 변속시키는 주변속레버를 배치하는 한편, 상기 암 레스트에 있어서의 상기 조종 좌석 역측이 되는 측면에 상기 작업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다이얼을 배치하고,
    상기 암 레스트의 상면에는 상기 주변속레버의 후방이고 상기 조종 좌석측이 되는 위치에 상기 주행속도의 최고 속도 또는 상기 엔진의 최고 회전수의 값을 설정하는 설정 다이얼과, 상기 설정 다이얼에 의한 설정값이 상기 주행속도의 최고 속도 및 상기 엔진의 최고 회전수 중 어느 쪽인지를 택일적으로 선택시키는 선택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157035644A 2013-08-09 2014-07-31 작업 차량 KR102121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6349A JP6109008B2 (ja) 2013-08-09 2013-08-09 作業車両
JPJP-P-2013-166349 2013-08-09
JPJP-P-2013-166350 2013-08-09
JP2013166350A JP6045073B2 (ja) 2013-08-09 2013-08-09 作業車両
PCT/JP2014/070244 WO2015019943A1 (ja) 2013-08-09 2014-07-31 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461A KR20160040461A (ko) 2016-04-14
KR102121091B1 true KR102121091B1 (ko) 2020-06-09

Family

ID=5246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644A KR102121091B1 (ko) 2013-08-09 2014-07-31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51572B2 (ko)
EP (1) EP3032371B1 (ko)
KR (1) KR102121091B1 (ko)
CN (1) CN105452976B (ko)
WO (1) WO20150199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3346B2 (en) 2015-01-29 2018-08-2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Control module and palm rest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JP6293289B2 (ja) * 2015-07-07 2018-03-14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
DE102015010026B4 (de) * 2015-08-06 2017-04-27 Audi Ag Handauflagevorrichtung mit Schaltelement zum Bedienen einer Shift-by-Wire Gangwahlsteuerung und Kraftfahrzeug mit der Handauflagevorrichtung
JP6483010B2 (ja) * 2015-11-30 2019-03-13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ITUB20159734A1 (it) * 2015-12-22 2017-06-22 Pierangelo Vercellino Veicolo con rimorchio, collegato operativamente a esso mediante un cardano
JP6827364B2 (ja) * 2017-05-01 2021-02-10 株式会社クボタ 多目的車両
US10393261B2 (en) 2017-12-06 2019-08-27 Cnh Industrial America Llc High ambient temperature propulsion speed control of a self-propelled agricultural product applicator
EP3656932A4 (en) * 2017-12-27 2021-05-12 Kubota Corporation WORK EQUIPMENT AND ITS PRODUCTION PROCESS
US20200048865A1 (en) * 2018-08-10 2020-02-13 Cnh Industrial America Llc Modular operator interface system for a work vehicle
JP7244252B2 (ja) 2018-10-26 2023-03-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GB2579075B (en) * 2018-11-19 2021-06-16 Caterpillar Inc Work machine with sensor enabled user control
KR20200119439A (ko) 2019-04-09 2020-10-2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속도 제어장치 및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속도 제어방법
US11541951B2 (en) 2019-11-08 2023-01-03 Kubota Corporation Working vehicle
JP7282664B2 (ja) 2019-12-19 2023-05-2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EP4159930A4 (en) * 2020-05-25 2023-12-06 Sumitom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EXCAVATOR AND EXCAVATOR OPERATING DEVICE
DE102020117691A1 (de) * 2020-07-06 2022-01-13 Grammer Aktiengesellschaft Lenkvorrichtung für Fahrzeuge
JP2023005733A (ja) * 2021-06-29 2023-01-1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771A (ja) * 2000-10-19 2002-04-2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走行車輌
JP2008254536A (ja) * 2007-04-03 2008-10-23 Yanmar Co Ltd 作業車両
JP2010274869A (ja) * 2009-06-01 2010-12-09 Yanmar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12087747A (ja) 2010-10-22 2012-05-10 Yanmar Co Ltd 走行作業機における運転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18579C3 (de) 1977-04-26 1981-04-02 Steinbock Gmbh, 8052 Moosburg Armlehne für Fahrersitze, insbesondere von Arbeitsmaschinen, beispielsweise Gabelstaplern
JPS5769022U (ko) * 1980-10-13 1982-04-26
JPS5769022A (en) 1980-10-15 1982-04-27 Sekisui Jushi Co Ltd Manufacture of cable cover
DE19624463A1 (de) * 1996-06-19 1998-01-02 Fendt Xaver Gmbh & Co Steuereinrichtung für Nutzfahrzeuge, insbesondere für landwirtschaftliche nutzbare Schlepper
US6164285A (en) * 1998-03-16 2000-12-26 Case Corporation Position-adjustable control console
US7032703B2 (en) * 2002-06-17 2006-04-25 Caterpillar Inc. Operator control station for controlling different work machines
US7520567B2 (en) * 2004-09-23 2009-04-2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at repositioning
US7757806B2 (en) * 2005-12-22 2010-07-20 Caterpillar Sarl Adjustable operator interface
JP2008037411A (ja) 2006-07-12 2008-02-21 Iseki & Co Ltd トラクターの操作装置
JP4934401B2 (ja) * 2006-10-25 2012-05-16 ヤンマー株式会社 キャビン付作業車両
JP2008257402A (ja) * 2007-04-03 2008-10-23 Yanmar Co Ltd 作業車両
US8483914B2 (en) * 2008-09-03 2013-07-09 Caterpillar Inc. Electrically adjustable control interface
CN103465783B (zh) * 2008-12-02 2016-04-20 洋马株式会社 作业车辆的操作部构造
JP5286341B2 (ja) * 2010-09-29 2013-09-1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US9213333B2 (en) * 2013-06-06 2015-12-15 Caterpillar Inc. Remote operator station
JP6317202B2 (ja) * 2014-07-08 2018-04-25 株式会社クボタ 多機能操作具及びアームレスト操作装置
JP6373114B2 (ja) * 2014-08-01 2018-08-15 株式会社クボタ 走行作業車のための変速表示制御装置
JP6305265B2 (ja) * 2014-08-01 2018-04-04 株式会社クボタ 走行作業車
JP6234342B2 (ja) * 2014-08-19 2017-11-22 株式会社クボタ 操作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771A (ja) * 2000-10-19 2002-04-2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走行車輌
JP2008254536A (ja) * 2007-04-03 2008-10-23 Yanmar Co Ltd 作業車両
JP2010274869A (ja) * 2009-06-01 2010-12-09 Yanmar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12087747A (ja) 2010-10-22 2012-05-10 Yanmar Co Ltd 走行作業機における運転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2371A4 (en) 2017-05-31
EP3032371A1 (en) 2016-06-15
US9751572B2 (en) 2017-09-05
CN105452976A (zh) 2016-03-30
US20160167719A1 (en) 2016-06-16
EP3032371B1 (en) 2024-09-11
CN105452976B (zh) 2017-09-01
WO2015019943A1 (ja) 2015-02-12
KR20160040461A (ko)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091B1 (ko) 작업 차량
JP6109008B2 (ja) 作業車両
JP4950737B2 (ja) 農作業用トラクタ
KR102050679B1 (ko) 작업 차량
JP6487827B2 (ja) 作業車両
KR101957073B1 (ko) 작업 차량
JP2008254534A (ja) 作業車両
JP6487822B2 (ja) トラクタ
KR20180044894A (ko) 작업차량
JP2008017803A5 (ko)
JP2008017803A (ja) 作業機昇降操作装置
JP6045073B2 (ja) 作業車両
KR20160046799A (ko) 작업 차량
WO2017082118A1 (ja) 作業車両
JP2009261285A (ja) 乗用型作業機
JP2008257402A (ja) 作業車両
KR101998497B1 (ko) 작업 차량
JP5958363B2 (ja) 走行車両
KR101995149B1 (ko) 작업 차량
JP2002331956A (ja) 作業車両の自動変速機構
JP6470158B2 (ja) 作業車両
JP2008254535A (ja) 作業車両
JP2021079848A (ja) 作業車両
JP2006194313A (ja) 作業車両の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