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140B1 - 충전탑용의 충전물 및 해수 탈황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탑용의 충전물 및 해수 탈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140B1
KR102115140B1 KR1020187027340A KR20187027340A KR102115140B1 KR 102115140 B1 KR102115140 B1 KR 102115140B1 KR 1020187027340 A KR1020187027340 A KR 1020187027340A KR 20187027340 A KR20187027340 A KR 20187027340A KR 102115140 B1 KR102115140 B1 KR 10211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plate portion
plate
charging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938A (ko
Inventor
다카시 요시모토
가이리 야마다
고이치로 히라야마
나오유키 가미야마
세이지 가가와
야스히로 다케우치
료조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26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and liquid flow past each other, or in which the fluid is sprayed into the vapour, or in which a two-phase mixture is passed in one direction
    • B01D3/28Fractionating columns with surface contact and vertical guides, e.g. film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32Packing elements in the form of grids or built-up elements for forming a unit or module inside the apparatus for mass or heat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10Oxidants
    • B01D2251/11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60Inorganic bases or salts
    • B01D2251/606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01D2252/103Water
    • B01D2252/1035Sea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83Flu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B01D53/504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기액 접촉 효율의 저감을 억제한다. 충전물 (11B) 은, 충전탑의 내부에 형성되고,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물이 살포되어 내부에 물을 도통하면서 내부에 배기 가스를 도통하고, 배기 가스를 물에 대해 접촉시켜 탈황하는 충전탑용의 충전물이다. 충전물 (11B) 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판부 (62A) 를 갖는 제 1 판 유닛 (64) 과, 제 1 판 유닛 (64) 의 판부 (62) 에 교차하여,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판부 (72) 를 갖고, 제 1 판 유닛 (64) 과 함께 연직 방향을 따른 양단부가 개구되는 격자부 (69) 를 형성하는 제 2 판 유닛을 갖는다. 판부 (62) 는, 연직 방향의 상단면 (66) 으로부터 하단면 (67) 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작아진다.

Description

충전탑용의 충전물 및 해수 탈황 장치
본 발명은 충전탑용의 충전물 및 해수 탈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수 담수화 플랜트를 병설한 화력 발전소가 증가 경향이 있다. 또, 석탄 등의 화석 연료를 연소함으로써 발생하는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되는 황분을 제거하기 위해 탈황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발전소 등에서는 대량의 냉각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바다에 면한 장소에 건설되는 경우가 많은 것, 탈황 처리의 가동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는 것 등의 관점에서, 해수를 흡수액으로서 이용하여 탈황을 실시하는 해수 탈황이 주목받고 있다. 이 흡수액으로서 해수를 사용한 해수 탈황 장치는, 석회-석고법에 비해 저비용이기 때문에, 화력 발전소 등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다.
이 해수 탈황 장치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연 탈황 흡수탑 (충전탑) 이 구비되어 있다. 배연 탈황 흡수탑은, 내부에 다공성의 충전물을 형성한 탑이다. 배연 탈황 흡수탑은, 충전물의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해수를 살포하고, 충전물의 내부에 해수를 도통시킨다. 그리고, 배연 탈황 흡수탑은, 충전물에 배기 가스를 도통시킨다. 이로써, 충전물의 내부에서 해수와 배기 가스가 기액 접촉하여, 배기 가스 중의 황분이 해수에 흡수된다.
일본 특허 제5754877호
이 충전물은, 기액 접촉 효율을 높게 함으로써, 탈황량을 확보하면서, 흡수액 (해수) 의 양을 저감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기액 접촉 효율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충전물의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충전물을 복잡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여, 제조 비용이 높아지거나, 압손 (壓損) 이 높아지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기액 접촉 효율의 저감을 억제하는 충전탑용의 충전물 및 해수 탈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에 관련된 충전탑용의 충전물은, 충전탑의 내부에 형성되고,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물이 살포되어 내부에 상기 물을 도통하면서 내부에 배기 가스를 도통하고, 상기 배기 가스를 상기 물에 대해 접촉시켜 탈황하는 충전탑용의 충전물로서, 상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판부를 갖는 제 1 판 유닛과, 상기 제 1 판 유닛의 판부에 교차하여, 상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판부를 갖고, 상기 제 1 판 유닛과 함께 상기 연직 방향을 따른 양단부가 개구되는 격자부를 형성하는 제 2 판 유닛을 갖고, 상기 판부는, 연직 방향의 상단면으로부터 하단면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작아진다.
이 충전물은, 제 1 판 유닛 및 제 2 판 유닛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가 된다. 또, 이 충전물은, 상단면에 있어서의 두께가 하단면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크다. 따라서, 이 충전물은, 물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충전물에 있어서, 상기 판부는, 연직 방향 상부의 단면이, 상기 연직 방향에 수직인 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충전물은, 연직 방향 상부의 단면이 연직 방향에 수직인 면이기 때문에, 물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보다 적절히 높일 수 있다.
상기 충전물에 있어서, 상기 판부는, 연직 방향 상부의 단면에 홈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충전물은, 연직 방향 상부의 단면에 홈부를 갖기 때문에, 물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보다 적절히 높일 수 있다.
상기 충전물은, 상기 제 1 판 유닛 및 상기 제 2 판 유닛을 갖는 제 1 충전부와, 상기 제 1 판 유닛 및 상기 제 2 판 유닛을 갖는 제 2 충전부가, 상기 연직 방향을 따라 적층되고, 상기 제 2 충전부가 갖는 제 1 판 유닛의 판부는, 상기 연직 방향에 수직인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부가 갖는 제 1 판 유닛의 판부의 위치에 대해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충전물은, 제 1 충전부의 판부를 튀어오른 물이 제 2 충전부의 판부에 닿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물은, 기액 접촉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충전물은, 상기 제 1 충전부와 상기 제 2 충전부를 갖는 충전 유닛이 연직 방향을 따라 복수 적층되고, 상기 연직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충전 유닛은, 상기 제 1 충전부의 제 1 판 유닛이 갖는 판부끼리가,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충전부의 제 1 판 유닛이 갖는 판부끼리가,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충전물은, 판부의 표면을 흐르는 물을, 그 연직 방향 하방의 충전 유닛이 갖는 판부에 적하하는 것을 촉진한다. 따라서, 충전물은, 기액 접촉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충전물에 있어서, 상기 판부는, 상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표면에, 상기 판부의 일방의 측면으로부터 타방의 측면에 걸쳐,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충전물은, 돌기부를 갖기 때문에, 기액 접촉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에 관련된 충전탑용의 충전물은, 충전탑의 내부에 형성되고,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물이 살포되어 내부에 상기 물을 도통하면서 내부에 배기 가스를 도통하고, 상기 배기 가스를 상기 물에 대해 접촉시켜 탈황하는 충전탑용의 충전물로서, 상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판부를 갖는 제 1 판 유닛과, 상기 제 1 판 유닛의 판부에 교차하여, 상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판부를 갖고, 상기 제 1 판 유닛과 함께 상기 연직 방향을 따른 양단부가 개구되는 격자부를 형성하는 제 2 판 유닛을 갖고, 상기 판부는, 상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표면에, 상기 판부의 일방의 측부로부터 타방의 측부에 걸쳐,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를 갖고, 상기 돌기부의 상기 연직 방향 상측의 면과 상기 연직 방향 사이의 각도가 90 도 이상 180 도 미만이다.
이 충전물은, 돌기부에 의해, 물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간단한 구조로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충전물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판부의 연직 방향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충전물은, 물을 돌기부에 의해 많이 닿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보다 적절히 높일 수 있다.
상기 충전물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상기 연직 방향 하측의 면은, 상기 판부에 접속된 말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상기 연직 방향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에 관련된 충전탑용의 충전물은, 충전탑의 내부에 형성되고,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물이 살포되어 내부에 상기 물을 도통하면서 내부에 배기 가스를 도통하고, 상기 배기 가스를 상기 물에 대해 접촉시켜 탈황하는 충전탑용의 충전물로서, 상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판부를 갖는 제 1 판 유닛, 및 상기 제 1 판 유닛의 판부에 교차하여 상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판부를 갖고, 상기 제 1 판 유닛과 함께 상기 연직 방향을 따른 양단부가 개구되는 격자부를 형성하는 제 2 판 유닛을 갖는 제 1 충전부와, 상기 제 1 판 유닛과 상기 제 2 판 유닛을 갖는 제 2 충전부와, 표면이 평면인 판상의 부재로서, 상기 표면에 복수의 개구부가 격자상으로 관통하고 있는 개구판부를 갖고, 상기 제 1 충전부와 상기 제 2 충전부는, 사이에 상기 개구판부를 통하여 상기 연직 방향을 따라 적층되고, 인접하는 상기 개구부의 중심축끼리의 사이의 거리는, 인접하는 상기 격자부의 중심축끼리의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개구부의 측면과 그 개구부에 인접하는 측면 사이의 두께는, 상기 판부의 두께보다 길다.
이 충전물은, 개구판부의 개구부끼리의 사이의 두께가 판부의 두께보다 길다. 또, 이 충전물은, 개구부의 피치 (중심축 사이의 거리) 가 격자부의 피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 충전물은, 물이 개구판부에 닿기 쉬워지기 때문에, 물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간단한 구조로,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충전물에 있어서, 상기 개구판부의 상기 연직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제 1 충전부 및 상기 제 2 충전부의 상기 연직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충전물은, 두께가 얇고, 간단한 구조의 개구판부를 적층하고 있다. 따라서, 이 충전물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조로, 기액 접촉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충전물에 있어서, 상기 개구판부는, 상기 개구부의 중심축이, 연직 방향 하방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충전부 또는 상기 제 2 충전부의 격자부의 중심축에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충전물은, 물이 개구판부에 닿기 쉬워지기 때문에, 물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충전물에 있어서, 상기 개구판부는, 상기 개구부의 중심축이, 연직 방향 하방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충전부 또는 상기 제 2 충전부의 격자부의 중심축에 대해, 위치가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충전물은, 물이 개구판부에 닿기 쉬워지기 때문에, 물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에 관련된 배기 가스의 탈황 장치는, 상기 충전탑용의 충전물을 갖는다. 이 탈황 장치는, 충전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기액 접촉 효율의 저감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해수 탈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방향 S 에서 본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방향 T 에서 본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해수의 튀어오름을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판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판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부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부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돌기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돌기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돌기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판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부의 단면도이다.
도 15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부의 단면도이다.
도 16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부의 상면도이다.
도 17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실시형태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각 실시예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제 1 실시형태)
(해수 탈황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해수 탈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해수 탈황 장치 (10) (탈황 장치) 는, 충전탑 (11) (배연 탈황 흡수탑) 과, 입구측 희석 혼합조 (12) 와, 수질 회복 처리를 실시하는 산화조 (13) 와, 출구측 희석 혼합조 (14) 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탑 (11) 에서 사용하는 해수 (15) 와, 수질 회복 처리를 실시하는 산화조 (13) 에서 수질 개질에 사용하는 해수 (15) 는, 별도로 퍼올려져 보일러 (21) 에서의 복수기 (도시 생략) 에서 냉각에 사용한 후, 바다 (16) 에 방류하기 전의 해수를 사용하고 있다.
또 희석용의 해수 (15) 는, 바다 (16) 로부터 펌프 (P11) 에 의해 해수 공급 라인 (L1) 을 통하여 퍼올려지고, 일부의 해수 (15a) 는 펌프 (P11) 에 의해 해수 공급 라인 (L2) 을 통하여 입구측 희석 혼합조 (12) 에 공급된다. 또, 필요에 따라, 출구측 희석 혼합조 (14) 에 희석용의 해수 (15b) 로서 공급하는 희석 해수 공급 라인 (L3)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기로부터의 냉각 후의 해수를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다 (16) 로부터 펌프 (P11) 에 의해 직접 퍼올린 해수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충전탑 (11) 은, 보일러 (21) 로부터의 배기 가스 (22) 와 해수 (15) 를 기액 접촉하여 배기 가스 (22) 를 정화시키는 탑이다. 충전탑 (11) 은, 내부에 살수 장치 (11A) 와 충전물 (11B) 을 구비한다. 살수 장치 (11A) 는, 충전물 (11B) 의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충전물 (11B) 을 향하여 해수 (15) 를 살포한다. 이 해수 (15) 는, 충전물 (11B) 내를 도통한다. 또, 충전탑 (11) 에는, 보일러 (21) 로부터 배기 가스 (22) 가 공급된다. 이 배기 가스 (22) 는, 충전물 (11B) 의 내부에 도통된다. 배기 가스 (22) 와 해수 (15) 는, 충전물 (11B) 의 내부에서 기액 접촉하여, 배기 가스 (22) 중의 황 성분이 해수 (15) 에 흡수된다. 이로써, 배기 가스 (22) 는 탈황된다. 또한, 살수 장치 (11A) 는, 충전물 (11B) 의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충전물 (11B) 에 대해 해수 (15) 를 공급하는 것이면, 그 구성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살수 장치 (11A) 는, 충전물 (11B) 의 연직 방향 상방에 형성되고, 연직 방향 하방향으로 해수를 살포 (분사) 하고 있지만, 해수를 분사하는 방향은, 연직 방향 하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살수 장치 (11A) 는, 충전물 (11B) 의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충전물 (11B) 에 해수를 분사 (공급) 하는 것이면, 해수를 분사 (공급) 하는 방향, 즉 살수 장치 (11A) 로부터 분사된 해수의 진행 방향은 임의이다.
충전탑 (11) 은, 배기 가스 (22) 와 해수 (15) 를 기액 접촉시켜, 하기 식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응을 일으키게 하여, 배기 가스 (22) 중의 SO2 등의 형태로 함유되어 있는 SOx 등의 황분을 해수 (15) 에 흡수시키고, 배기 가스 (22) 중의 황분을 해수 (15) 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있다.
SO2(G) + H2O → H2SO3(L) → HSO3 - + H+ … (1)
이 해수 탈황에 의해 해수 (15) 와 배기 가스 (22) 의 기액 접촉에 의해 발생한 H2SO3 이 해리되어 수소 이온 (H+) 이 해수 (15) 중에 유리되기 때문에 pH 가 낮아져, 황분 흡수 해수 (23) 에는 다량의 황분이 흡수된다. 이 때문에, 황분 흡수 해수 (23) 는 황분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다.
이 때, 황분 흡수 해수 (23) 의 pH 로는, 예를 들어 3 ∼ 6 정도가 된다. 그리고, 충전탑 (11) 에서 황분을 흡수한 황분 흡수 해수 (23) 는, 충전탑 (11) 의 탑저부에 저류된다. 충전탑 (11) 의 탑저부에 저류된 황분 흡수 해수 (23) 는, 황분 흡수 해수 배출 라인 (L4) 을 통하여 입구측 희석 혼합조 (12) 에 송급된다. 이 입구측 희석 혼합조 (12) 에 공급된 황분 흡수 해수 (23) 는, 입구측 희석 혼합조 (12) 에 공급되는 복수기로부터의 해수 (15) 및 희석용의 해수 (15a) 와 혼합되어 희석되어, 산성 혼합 해수 (24) 가 된다.
또, 충전탑 (11) 에서 탈황된 정화 가스 (25) 는 연돌 (煙突) (26) 로부터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또한, 보일러 (21) 와 충전탑 (11) 사이에는 집진 수단 (27) 이 형성되고, 배기 가스 (22) 중의 매진 등을 제거하고 있다.
또한, 배기 가스 (22) 의 탈황률은, 충전탑 (11) 에 공급되는 배기 가스 (22) 중의 입구 SO2 농도와 출구 SO2 농도의 비 (출구 SO2 농도/입구 SO2 농도) 나, 탈황용의 해수 (15) 및 황분 흡수 해수 (23) 의 해수 성상에 기초하여 별도로 조정된다.
충전탑 (11) 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22) 의 입구 및 출구에는, 배기 가스 (22) 의 입구 SO2 농도 및 출구 SO2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SO2 농도계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황분 흡수 해수 (23) 와 해수 (15) 가 혼합된 산성 혼합 해수 (24) 는, 입구측 희석 혼합조 (12) 의 하류측에 형성되어 있는 산화조 (13) 에 송급된다. 산화조 (13) 에는, 산성 혼합 해수 (24) 의 수질 회복 처리를 실시하는 폭기 (曝氣) 수단인 해수 탈황용 산기 장치 (30) 가 형성되어 있다.
해수 탈황용 산기 장치 (30) 는, 공기 (31) 를 공급하는 공기 도입 수단인 산화용 공기 블로어 (32) 와, 공기 (31) 를 송급하는 공기 공급관 (33) 과, 공기 공급관 (33) 으로부터 분기되는 산기관 (34) 와, 공기 (31) 를 산화조 (13) 내의 산성 혼합 해수 (24) 에 공급하는 분출용의 구멍을 갖는 것이다.
산화용 공기 블로어 (32) 에 의해 외부의 공기 (31) 가 산기관 (34) 을 통하여 구멍으로부터 산화조 (13) 내에 보내져, 하기 식 (2) 와 같은 산소의 용해를 일으킨다. 산화조 (13) 에 있어서 산성 혼합 해수 (24) 중의 황분이 공기 (31) 와 접촉하여 하기 식 (3) ∼ (5) 와 같은 아황산수소 이온 (HSO3 -) 의 산화 반응과, 중탄산 이온 (HCO3 -) 의 탈탄산 반응을 일으켜, 산성 혼합 해수 (24) 는 수질 회복되어 수질 회복 해수 (29) 가 되고, 배출 라인 (L7) 을 통하여 바다 (16) 에 방류된다.
O2(G) → O2(L) … (2)
HSO3 - + 1/2O2 → SO4 2- + H+ … (3)
HCO3 - + H+ → CO2(G) + H2O … (4)
CO3 2- + 2H+ → CO2(G) + H2O … (5)
이로써, 산성 혼합 해수 (24) 의 pH 를 상승시킴과 함께,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을 저감시킬 수 있고, 수질 회복 해수 (29) 의 pH, 용존 산소 (DO) 농도,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을 바다 (16) 에 방류 가능한 레벨로서 방출할 수 있다.
(충전물)
다음으로, 충전탑 (11) 내에 형성되는 충전물 (11B) 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방향 S 에서 본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방향 T 에서 본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의 단면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물 (11B) 은, 충전 유닛 (40A) 과 충전 유닛 (40B) 을 갖는다. 이하, 소정의 방향인 방향 X 에 직교하는 방향을 방향 Y 로 하고, 방향 X 및 방향 Y 에 직교하는 방향을 방향 Z 로 한다. 충전물 (11B) 은, 충전탑 (11) 내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방향 Z 가 연직 방향이 되고, 방향 X 및 방향 Y 가 수평 방향이 된다. 방향 S 는, 방향 Y 에 상당하고, 방향 T 는, 방향 X 에 상당한다.
충전 유닛 (40A) 은, 제 1 충전부 (50) 와 제 2 충전부 (52) 를 갖는다. 제 1 충전부 (50) 는, 외프레임부 (60) 와, 제 1 판 유닛 (64) 과, 제 2 판 유닛 (74) 을 갖는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프레임부 (60) 는, 제 1 외프레임부 (60A) 와, 제 2 외프레임부 (60B) 를 갖는다. 제 1 외프레임부 (60A) 는, 방향 Y 를 따라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제 1 외프레임부 (60A) 는, 2 개가 방향 X 에 있어서 서로 대향한다. 제 2 외프레임부 (60B) 는, 방향 X 를 따라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제 2 외프레임부 (60B) 는, 2 개가 방향 Y 를 따라 서로 대향한다. 외프레임부 (60) 는, 이 2 개의 제 1 외프레임부 (60A) 와, 2 개의 제 2 외프레임부 (60B)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사각형상이 된다. 또한, 제 1 외프레임부 (60A) 와 제 2 외프레임부 (60B) 는, 길이가 동일해도 되고, 어느 일방이 길어도 된다.
제 1 판 유닛 (64) 은,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부 (62A) 를 갖는다. 판부 (62A) 는, 방향 Z 를 따른 하방 (방향 Z 와 반대측) 의 단면인 하단면 (67) 으로부터, 방향 Z 를 따른 상측 (방향 Z 측) 의 단면인 상단면 (66) 까지, 방향 Z 로 연장되는 판상 부재이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부 (62A) 는, 방향 Y 를 따른 일방의 측면인 측면 (62S) 으로부터, 타방의 측면 (62T) 까지, 방향 Y 를 향하여 연장된다. 판부 (62A) 는, 측면 (62S) 이 일방의 제 2 외프레임부 (60B) 에 고정되고, 측면 (62T) 이 타방의 제 2 외프레임부 (60B) 에 고정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면 (66) 은, 방향 Z 에 수직인 면, 즉 방향 X 및 방향 Y 에 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다. 또, 판부 (62A) 는, 상단면 (66) 으로부터 하단면 (67) 을 향함에 따라, 두께, 즉 방향 X 를 따른 길이가 작아져 있다. 여기서, 판부 (62A) 의 상단면 (66) 에 있어서의 두께, 즉 상단면 (66) 에 있어서의 방향 X 를 따른 길이를 길이 L1 로 한다. 또, 판부 (62A) 의 하단면 (67) 에 있어서의 두께, 즉 하단면 (67) 에 있어서의 방향 X 를 따른 길이를 L2 로 한다. 판부 (62A) 는, 길이 L1 이 길이 L2 보다 길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 L1 은 길이 L2 의 1.5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판 유닛 (64) 은, 이상 설명한 판부 (62A) 가, 방향 X 를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제 1 판 유닛 (64) 은, 판부 (62A) 를 4 개 갖지만, 판부 (62A) 의 수는 임의이다.
제 2 판 유닛 (74) 은,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부 (72A) 를 갖는다. 판부 (72A) 는, 방향 Z 를 따른 하측 (방향 Z 와 반대측) 의 단면인 하단면 (77) 으로부터, 방향 Z 를 따른 상측 (방향 Z 측) 의 단면인 상단면 (76) 까지, 방향 Z 를 향하여 연장되는 판상 부재이다. 또, 판부 (72A) 는, 판부 (62A) 에 교차 (여기서는 직교) 하여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부 (72A) 는, 방향 X 를 따른 일방의 측면인 측면 (72S) 으로부터, 타방의 측면 (72T) 까지 방향 X 로 연장된다. 판부 (72A) 는, 측면 (72S) 이 일방의 제 1 외프레임부 (60A) 에 고정되고, 측면 (72T) 이 타방의 제 1 외프레임부 (60A) 에 고정되어 있다.
상단면 (76) 은, 방향 Z 에 수직인 면, 즉 방향 X 및 방향 Y 에 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부 (72A) 는, 상단면 (76) 으로부터 하단면 (77) 을 향함에 따라, 두께, 즉 방향 Y 를 따른 길이가 작아져 있다. 여기서, 판부 (72A) 의 상단면 (76) 에 있어서의 두께, 즉 상단면 (76) 에 있어서의 방향 Y 를 따른 길이를 길이 L3 으로 한다. 또, 판부 (72A) 의 하단면 (77) 에 있어서의 두께, 즉 하단면 (77) 에 있어서의 방향 Y 를 따른 길이를 길이 L4 로 한다. 판부 (72A) 는, 길이 L3 이 길이 L4 보다 길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 L3 은, 길이 L4 의 1.5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판 유닛 (74) 은, 이상 설명한 판부 (72A) 가, 방향 Y 를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제 2 판 유닛 (74) 은, 판부 (72A) 를 2 개 갖지만, 판부 (72A) 의 수는 임의이다.
제 1 판 유닛 (64) 과 제 2 판 유닛 (74) 은, 2 개의 판부 (62A) 와 2 개의 판부 (72A) 에 둘러싸인 공간인 격자부 (69) 를 형성한다. 격자부 (69) 는, 방향 X, Y 를 따른 측면이 판부 (62A, 72A) 에 둘러싸이고, 방향 Z 를 따른 양단부가 개구된다.
제 2 충전부 (52) 는, 제 1 충전부 (50) 와 동일하게, 외프레임부 (60) 와, 제 1 판 유닛 (64) 과, 제 2 판 유닛 (74) 을 갖는다. 단,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충전부 (52) 가 갖는 제 1 판 유닛 (64) 은 판부 (62B) 를 갖는다. 판부 (62B) 는, 외프레임부 (60) (제 1 외프레임부 (60A)) 까지의 방향 X 를 따른 거리가, 제 1 충전부 (50) 가 갖는 판부 (62A) 로부터 외프레임부 (60) (제 1 외프레임부 (60A)) 까지의 방향 X 를 따른 거리와 상이하다. 판부 (62B) 는, 그 이외의 점은 판부 (62A) 와 동일하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충전부 (52) 가 갖는 제 2 판 유닛 (74) 은 판부 (72B) 를 갖는다. 판부 (72B) 는, 외프레임부 (60) (제 2 외프레임부 (60B)) 까지의 방향 Y 를 따른 거리가, 제 1 충전부 (50) 가 갖는 판부 (72) 로부터 외프레임부 (60) (제 2 외프레임부 (60B)) 까지의 방향 Y 를 따른 거리와 상이하다. 판부 (72B) 는, 그 이외의 점은, 판부 (72A) 와 동일하다. 즉, 제 2 충전부 (52) 는, 판부 (62B) 로부터 외프레임부 (60) 까지의 방향 X 를 따른 거리와, 판부 (72B) 로부터 외프레임부 (60) 까지의 방향 Y 를 따른 거리가, 제 1 충전부 (50) 와 상이하다. 제 2 충전부 (52) 는,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제 1 충전부 (50) 와 동일한 구조이다. 이하, 판부 (62A) 와 판부 (62B) 를 서로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판부 (62) 로 기재한다. 또, 판부 (72A) 와 판부 (72B) 를 서로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판부 (72) 로 기재한다.
충전 유닛 (40A) 은, 제 1 충전부 (50) 와 제 2 충전부 (52) 가, 방향 Z 를 따라 적층되어 있다. 충전 유닛 (40A) 은, 제 1 충전부 (50) 의 외프레임부 (60) 의 방향 Z 와 반대측의 저면이, 제 2 충전부 (52) 의 외프레임부 (60) 의 방향 Z 측의 상면과 겹치도록 올려져 있다. 충전 유닛 (40A) 은, 제 1 충전부 (50) 에 있어서의 격자부 (69) 와, 제 2 충전부 (52) 에 있어서의 격자부 (69) 가 연통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유닛 (40A) 은, 제 2 충전부 (52) 가 갖는 판부 (62B) 가, 방향 X 에 있어서, 제 1 충전부 (50) 가 갖는 판부 (62A) 에 대해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충전 유닛 (40A) 은, 판부 (62B) 의 방향 Z 를 따른 연장선 상에는, 판부 (62A) 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충전 유닛 (40A) 은, 판부 (62A) 의 방향 Z 를 따른 연장선 상의 영역에 대해 방향 X 를 따라 인접하는 영역에 판부 (62B) 가 배치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유닛 (40A) 은, 제 2 충전부 (52) 가 갖는 판부 (72B) 가, 방향 Y 에 있어서, 제 1 충전부 (50) 가 갖는 판부 (72A) 에 대해,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충전 유닛 (40A) 은, 판부 (72A) 의 방향 Z 를 따른 연장선 상에는, 판부 (72B) 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충전 유닛 (40A) 은, 판부 (72A) 의 방향 Z 를 따른 연장선 상의 영역에 대해 방향 Y 를 따라 인접하는 영역에 판부 (72B) 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충전 유닛 (40A) 은, 제 1 충전부 (50) 와 제 2 충전부 (52) 가 갖는 판부 (62) 끼리가, 방향 X 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제 1 충전부 (50) 와 제 2 충전부 (52) 가 갖는 판부 (72) 끼리가, 방향 Y 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 충전 유닛 (40A) 은, 판부 (62) 또는 판부 (72) 중 어느 것만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충전 유닛 (40B) 은, 충전 유닛 (40A) 과 동일하게, 제 1 충전부 (50) 와 제 2 충전부 (52) 를 갖는다. 충전 유닛 (40B) 은, 제 1 충전부 (50) 와 제 2 충전부 (52) 의 적층 방법도 충전 유닛 (40A) 과 동일하다. 즉, 충전 유닛 (40B) 은, 충전 유닛 (40A) 과 동 구조로 되어 있다.
충전물 (11B) 은, 충전 유닛 (40A) 과 충전 유닛 (40B) 이, 방향 Z 를 따라 복수 적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충전물 (11B) 은,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제 2 충전부 (52) 의 외프레임부 (60) 의 방향 Z 와 반대측의 저면이,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제 1 충전부 (50) 의 외프레임부 (60) 의 방향 Z 측의 상면과 겹치도록 올려져 있다.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격자부 (69) 는,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격자부 (69) 와 연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충전물 (11B) 은, 충전 유닛 (40A, 40B) 의 2 개의 충전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충전 유닛의 수는, 임의이어도 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물 (11B) 은, 충전 유닛 (40A) 이 판부 (62A) 와,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62B) 가, 방향 X 에 있어서 서로 겹친 위치에 있다. 바꿔 말하면, 충전물 (11B) 은,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62A) 는,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62A) 의 방향 Z 를 따른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더 말하면,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62A) 의 방향 Z 를 따른 중심축 (A1) 은,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62A) 의 방향 Z 를 따른 중심축 (A2) 과 일치하는 위치에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물 (11B) 은,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62B) 와,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62B) 가, 방향 X 에 있어서 서로 겹친 위치에 있다. 바꿔 말하면, 충전물 (11B) 은,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62B) 의 방향 Z 를 따른 연장선 상에,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62B) 가 배치되어 있다. 더 말하면,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62B) 의 방향 Z 를 따른 중심축 (A3) 은,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62B) 의 방향 Z 를 따른 중심축 (A4) 과 일치하는 위치에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물 (11B) 은,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72A) 와,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72A) 가, 방향 Y 를 따라 서로 겹친 위치에 있다. 바꿔 말하면, 충전물 (11B) 은,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72A) 의 방향 Z 를 따른 연장선 상에,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72A) 가 배치되어 있다. 더 말하면,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72A) 의 방향 Z 를 따른 중심축 (B1) 은,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72A) 의 방향 Z 를 따른 중심축 (B2) 과 일치하는 위치에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물 (11B) 은,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72B) 와,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72B) 가, 방향 Y 를 따라 서로 겹친 위치에 있다. 바꿔 말하면, 충전물 (11B) 은,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72B) 의 방향 Z 를 따른 연장선 상에,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72B) 가 배치되어 있다. 더 말하면,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72B) 의 방향 Z 를 따른 중심축 (B3) 은,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72B) 의 방향 Z 를 따른 중심축 (B4) 과 일치하는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충전물 (11B) 은, 충전탑 (11) 의 내부에 수납된다. 충전물 (11B) 은, 방향 Z 가 연직 방향의 상방을 따른 방향이 되도록, 충전탑 (11) 의 내부에 충전된다. 이 경우, 방향 X, Y 는, 연직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이 된다. 판부 (62) 는, 상단면 (66) 이 연직 방향 상측의 단면이 되고, 판부 (72) 는, 상단면 (76) 이 연직 방향 상측의 단면이 된다.
여기서, 충전탑 (11) 내부에 장착되는 충전물은, 기액 접촉 효율을 높게 할 것이 요구된다.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 (11B) 은, 판부 (62, 72) 가, 방향 Z (연직 방향) 의 하방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작아진다. 그 때문에, 충전물 (11B) 은, 판부 (62, 72) 에 의해,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살포되는 해수 (15) 를 튀어오르는 양이 많아진다. 해수 (15) 는, 튀어오르게 됨으로써, 물방울이 미세하게 분산된다. 이로써, 해수 (15) 의 표면적이 증대되고, 또, 튀어오름으로써, 해수 (15) 가 충전물 (11B) 내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튀어오르게 되는 해수 (15) 의 양이 증가하면,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충전물 (11B) 은, 서로 교차하는 판부 (62, 72) 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구조가 심플해진다. 이하, 판부 (62, 72) 에 의한 해수 (15) 의 튀어오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는, 해수의 튀어오름을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5 는, 도 3 과 동일하게, 도 2 의 방향 S 에서 본 충전물 (11B) 의 단면도이다. 도 5 의 예에서는, 판부 (62) 에 의한 해수 (W) 의 튀어오름을 설명하지만, 판부 (72) 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물 (11B) 에는, 방향 Z (연직 방향) 의 상방으로부터 해수 (15) 가 공급된다. 판부 (62) 는, 연직 방향 상측의 상단면 (66) 이 하단면 (67) 보다 두께가 크다. 따라서, 해수 (15) 는, 판부 (62) 의 표면 (68) 이 아니라 상단면 (66) 에 닿기 쉬워진다. 해수 (15) 는,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표면 (68) 에 닿으면, 표면 (68) 을 따라 연직 방향 하방으로 흐르기 쉬워진다. 한편, 상단면 (66) 은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수 (15) 는 상단면 (66) 에 닿으면, 튀어오르기 쉬워진다. 따라서, 충전물 (11B) 은, 상단면 (66) 의 두께가 큼으로써, 해수 (15) 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튀어오른 해수 (15) 는, 옆의 판부 (62) 에 닿거나 하방의 판부 (62) 에 닿거나 하여, 더욱 튀어오르는 경우도 있어, 보다 기액 접촉 효율이 높아진다.
또, 제 1 충전부 (50) 의 판부 (62A) 의 연직 방향 하방에는, 제 2 충전부 (52) 의 판부 (62B)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충전부 (52) 의 판부 (62B) 는, 제 1 충전부 (50) 의 판부 (62A) 에 대해, 방향 X, 즉 수평 방향을 따라 어긋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제 1 충전부 (50) 의 판부 (62A) 를 튀어오른 해수 (15A) 는, 제 2 충전부 (52) 의 판부 (62B) 의 상단면 (66) 에 닿기 쉬워진다. 따라서, 해수 (15) 는, 더욱 튀어오르기 쉬워져, 기액 접촉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62A) 의 연직 방향 하방에는,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62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62A) 는,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62A) 에 대해 방향 X 를 따라 겹치는 위치에 있다. 즉,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62A) 의 연직 방향 하방의 연장선 상에는,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62A)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충전 유닛 (40A) 이 갖는 판부 (62A) 의 표면 (68) 을 흐르는 해수 (15B) 는, 연직 방향의 하방으로 흐름에 따라, 표면 (68) 을 따라 판부 (62A) 의 중심 방향에 모이고,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62A) 를 향하여 적하된다. 해수 (15B) 는,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62A) 의 상단면 (66) 에 닿는다. 따라서, 해수 (15) 는, 더욱 튀어오르기 쉬워져, 기액 접촉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기 가스 (22) 와 기액 접촉을 실시하는 것은 해수 (15) 였지만, 해수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물이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 (11B) 은, 충전탑 (11) 의 내부에 형성되고,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물이 살포되어 내부에 물을 도통하면서, 내부에 배기 가스 (22) 를 도통하고, 배기 가스 (22) 를 물에 대해 접촉시켜 탈황하는 충전탑 (11) 용의 충전물이다. 충전물 (11B) 은, 제 1 판 유닛 (64) 과 제 2 판 유닛 (74) 을 갖는다. 제 1 판 유닛 (64) 은, 방향 Z (연직 방향) 로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판부 (62) 를 갖는다. 제 2 판 유닛 (74) 은, 제 1 판 유닛 (64) 의 판부 (62) 에 교차하여 방향 Z (연직 방향) 로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판부 (72) 를 갖는다. 제 2 판 유닛 (74) 은, 제 1 판 유닛 (64) 과 함께, 방향 Z (연직 방향) 를 따른 양단면이 개구되는 격자부 (69) 를 형성한다. 판부 (62) 는, 방향 Z (연직 방향) 의 상단면 (66) 으로부터 방향 Z (연직 방향) 의 하단면 (67) 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작아진다.
이 충전물 (11B) 은 판부 (62, 72) 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충전물 (11B) 은,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충전물 (11B) 은, 연직 방향 상측의 상단면 (66) 이 하단면 (67) 보다 두께가 크다. 따라서, 이 충전물 (11B) 는, 해수 (15) 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판부 (62) 는, 방향 Z (연직 방향) 의 상부의 단면인 상단면 (66) 이, 방향 Z (연직 방향) 에 대해 수직인 면으로 되어 있다.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공급되는 해수 (15) 는, 닿는 면이 연직 방향을 따르고 있는 경우, 그 면을 따라 흐르기 쉬워진다. 한편,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공급되는 해수 (15) 는, 닿는 면이 연직 방향에 대해 수직에 가까워짐에 따라, 보다 튀어오르기 쉬워진다. 이 충전물 (11B) 은, 상단면 (66) 이 연직 방향에 수직인 면이기 때문에, 해수 (15) 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보다 적절히 높일 수 있다.
또, 판부 (62, 72) 는,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면 (66, 76) 에 홈부 (66A, 76A)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 6 및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판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홈부 (66A (76A))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평면이 각도 θ1 을 가지고 교차하고 있는, V 자측이어도 되고,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판부 (62) 는, 홈부 (66A) 에 의해, 해수 (15) 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보다 적절히 높일 수 있다. 또한, 각도 θ1 은, 90 도 이상 180 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충전물 (11B) 은, 제 1 충전부 (50) 와 제 2 충전부 (52) 가 방향 Z (연직 방향) 를 따라 적층되어 있다. 제 2 충전부 (52) 가 갖는 제 1 판 유닛 (64) 의 판부 (62B) 는, 연직 방향에 수직인 수평 방향 (방향 X) 에 있어서, 제 1 충전부 (50) 가 갖는 제 1 판 유닛 (64) 의 판부 (62A) 의 위치에 대해,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충전물 (11B) 은, 제 1 충전부 (50) 의 판부 (62A) 를 튀어오른 해수 (15A) 가, 제 2 충전부 (52) 의 판부 (62B) 에 닿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물 (11B) 은, 기액 접촉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충전물 (11B) 은, 제 1 충전부 (50) 와 제 2 충전부 (52) 를 갖는 충전 유닛이 연직 방향 (방향 Z) 을 따라 복수 적층된다. 연직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충전 유닛은, 제 1 충전부 (50) 의 제 1 판 유닛 (64) 이 갖는 판부 (62A) 끼리가, 수평 방향 (방향 X) 에 있어서 서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 연직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충전 유닛은, 제 2 충전부 (52) 의 제 1 판 유닛 (64) 이 갖는 판부 (62B) 끼리가, 수평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충전물 (11B) 은, 판부 (62) 의 표면 (68) 을 흐르는 해수 (15B) 를, 충전 유닛 (40B) 이 갖는 판부 (62) 에 적하하는 것을 촉진한다. 따라서, 충전물 (11B) 은, 기액 접촉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 (11Ba) 은, 판부가 돌기부를 가지고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구성이 공통되는 지점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부의 단면도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충전부 (50) 의 제 1 판 유닛 (64a) 은, 판부 (62Aa) 를 갖는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2 충전부 (52) 의 제 1 판 유닛 (64a) 은, 판부 (62Ba) 를 갖는다. 판부 (62Aa) 및 판부 (62Ba), 즉 판부 (62a) 는, 상단면 (66a) 으로부터 하단면 (67a) 을 향하여, 두께가 일정한 판으로 되어 있다. 즉, 판부 (62a) 의 방향 X 를 따른 양측의 표면 (68a) 은, 방향 Z (연직 방향) 를 따르고 있다. 또, 판부 (62a) 는, 양측의 표면 (68a) 에 돌기부 (80A) 를 가지고 있다. 돌기부 (80A) 는, 판부 (62a) 의 일방의 측면 (62S) 으로부터 타방의 측면 (62T) (도 2 참조) 에 걸쳐, 표면 (68a)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 X 측의 표면 (68a) 의 돌기부 (80A) 는, 방향 X 를 향하여 연장되고, 방향 X 와 반대측의 표면 (68a) 의 돌기부 (80A) 는, 방향 X 와 반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돌기부 (80A) 는, 방향 Z 측의 면 (연직 방향 상측의 면) 인 상면 (82A) 과, 방향 Z 와 반대측의 면 (연직 방향 하측의 면) 인 하면 (84A) 을 갖는다. 상면 (82A) 은, 방향 Z (연직 방향) 에 수직인 면으로 되어 있다. 즉, 상면 (82A) 과 방향 Z (연직 방향) 사이의 각도 θ2 는 90 도이다. 단, 각도 θ2 는, 90 도 이상 180 도 미만이면 되고, 90 도 이상 120 도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돌기부 (80A) 의 방향 Z 와 반대측의 면 (연직 방향 하측의 면) 인 하면 (84A) 도, 방향 Z (연직 방향) 에 수직인 면으로 되어 있다. 또, 돌기부 (80A) 는, 판부 (62a) 의 상단면 (66a), 즉 판부 (62a) 의 방향 Z 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판부 (62a) 의 두께, 즉 방향 X 를 따른 길이를 길이 L5 로 한다. 또, 판부 (62a) 의 높이, 즉 방향 Z 를 따른 길이를 길이 L6 으로 한다. 또, 돌기부 (80A) 의 폭, 즉 방향 X 를 따른 길이를 길이 L7 로 한다. 또, 돌기부 (80A) 의 높이, 즉 방향 Z 를 따른 길이를 길이 L8 로 한다. 길이 L5 는, 1 ㎜ 이상 5 ㎜ 이하이다. 길이 L6 은, 5 ㎝ 이상 30 ㎝ 이하이다. 또, 길이 L7 은, 1.5 ㎜ 이상 50 ㎜ 이하이고, 길이 L5 의 1.5 배 이상 10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길이 L8 은, 1 ㎜ 이상 5 ㎝ 이하이다. 단, 길이 L5, L6, L7, L8 은, 이 수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충전부 (50) 의 제 2 판 유닛 (74a) 은, 판부 (72Aa) 를 갖는다.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2 충전부 (52) 의 제 2 판 유닛 (74a) 은, 판부 (72Ba) 를 갖는다. 판부 (72Aa) 및 판부 (72Ba), 즉 판부 (72a) 는, 상단면 (76a) 으로부터 하단면 (77a) 을 향하여, 두께가 일정한 판으로 되어 있다. 즉, 판부 (72a) 의 방향 Y 를 따른 양측의 표면 (78a) 은, 방향 Z (연직 방향) 를 따르고 있다. 또, 판부 (72a) 는, 양측의 표면 (78a) 에 돌기부 (80B) 를 가지고 있다. 돌기부 (80B) 는, 판부 (72a) 의 일방의 측면 (72S) 으로부터 타방의 측면 (72T) (도 2 참조) 에 걸쳐, 표면 (78a)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 Y 측의 표면 (78a) 의 돌기부 (80B) 는, 방향 Y 를 향하여 연장되고, 방향 Y 와 반대측의 표면 (78a) 의 돌기부 (80B) 는, 방향 Y 와 반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또, 돌기부 (80B) 는, 방향 Z 측의 면 (연직 방향 상측의 면) 인 상면 (82B) 과, 방향 Z 와 반대측의 면 (연직 방향 하측의 면) 인 하면 (84B) 을 갖는다. 상면 (82B) 은, 방향 Z (연직 방향) 에 수직인 면으로 되어 있다. 즉, 상면 (82B) 과 방향 Z (연직 방향) 사이의 각도 θ3 은 90 도이다. 단, 각도 θ3 은, 90 도 이상 180 도 미만이면 된다. 하면 (84B) 도, 방향 Z (연직 방향) 에 수직인 면으로 되어 있다. 또, 돌기부 (80B) 는, 판부 (72a) 의 상단면 (76a), 즉 판부 (72a) 의 방향 Z 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판부 (72a) 의 두께, 즉 방향 Y 를 따른 길이를 길이 L9 로 한다. 또, 판부 (72a) 의 높이, 즉 방향 Z 를 따른 길이를 길이 L10 으로 한다. 또, 돌기부 (80B) 의 폭, 즉 방향 Y 를 따른 길이를 길이 L11 로 한다. 또, 돌기부 (80B) 의 높이, 즉 방향 Z 를 따른 길이를 길이 L12 로 한다. 길이 L9 는, 1 ㎜ 이상 5 ㎜ 이하이다. 길이 L10 은, 5 ㎝ 이상 30 ㎝ 이하이다. 또, 길이 L11 은, 1.5 ㎜ 이상 50 ㎜ 이하이고, 길이 L5 의 1.5 배 이상 10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길이 L12 는, 1 ㎜ 이상 5 ㎝ 이하이다. 단, 길이 L9, L10, L11, L12 는, 이 수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 (11Ba) 은, 돌기부 (80A, 80B) 를 갖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 (11B) 과 동일하게, 간단한 구조로, 기액 접촉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부 (62a) 는, 돌기부 (80A) 가, 판부 (62a) 의 표면 (68a) 으로부터 방향 X 를 따라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 (80A) 는, 상면 (82A) 과 방향 Z (연직 방향) 사이의 각도가 90 도 이상 180 도 미만이다. 이와 같이, 판부 (62a) 는, 돌기부 (80A) 가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해수 (15) 는, 판부 (62a) 의 표면 (68a) 이 아니라 돌기부 (80A) 의 상면 (82A) 에 닿기 쉬워진다. 또, 돌기부 (80A) 는, 상면 (82A) 이, 연직 방향에 대해 90 도 이상 180 도 미만이다. 그 때문에, 해수 (15) 는, 상면 (82A) 에 닿으면 튀어오르기 쉬워진다. 그리고, 튀어오른 해수 (15) 는, 방향 Y 를 따라 어긋난 위치에 있는 제 2 충전부 (52) 의 판부 (62Ba) 에 닿기 쉬워진다. 따라서, 충전물 (11Ba) 은, 돌기부 (80A) 를 가짐으로써, 해수 (15) 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돌기부 (80B) 도, 돌기부 (80A) 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단, 충전물 (11Ba) 은, 돌기부 (80A, 80B)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 (11Ba) 은, 충전탑 (11) 의 내부에 형성되고,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물이 살포되어 내부에 물을 도통하면서, 내부에 배기 가스 (22) 를 도통하고, 배기 가스 (22) 를 물에 대해 접촉시켜 탈황하는 충전탑 (11) 용의 충전물이다. 충전물 (11B) 은, 제 1 판 유닛 (64) 과 제 2 판 유닛 (74) 을 갖는다. 제 1 판 유닛 (64) 은, 방향 Z (연직 방향) 로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판부 (62a) 를 갖는다. 제 2 판 유닛 (74) 은, 제 1 판 유닛 (64) 의 판부 (62) 에 교차하여 방향 Z (연직 방향) 로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판부 (72a) 를 갖는다. 제 2 판 유닛 (74) 은, 제 1 판 유닛 (64) 과 함께, 방향 Z (연직 방향) 을 따른 양단면이 개구되는 격자부 (69) 를 형성한다. 판부 (62a) 는, 돌기부 (80A) 를 갖는다. 돌기부 (80A) 는, 방향 Z (연직 방향) 로 연장되는 양 표면 (68a) 에, 판부 (62a) 의 일방의 측부 (측면 (62S)) 로부터 타방의 측부 (측면 (62T)) 에 걸쳐, 표면 (68a)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돌기부 (80A) 는, 연직 방향 상측의 면 (상면 (82A)) 과 연직 방향 (방향 Z) 사이의 각도가 90 도 이상 180 도 미만이다.
이 충전물 (11Ba) 은, 돌기부 (80A) 에 의해, 해수 (15) 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돌기부 (80A) 는, 판부 (62a) 의 연직 방향의 상단면 (66a) 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충전물 (11Ba) 은, 해수 (15) 를 돌기부 (80A) 에 의해 많이 닿게 것이 가능해져,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보다 적절히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돌기부 (80A) 는, 판부 (62a) 의 상단면 (66a) 측에 형성되고, 상면 (82A) 및 하면 (84A) 이, 방향 Z 에 수직인 면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 내지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돌기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돌기부 (80A) 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돌기부 (80B) 도, 돌기부 (80A) 와 동일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돌기부 (80A)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부 (62a) 의 표면 (68a) 에 형성되어 있으면, 방향 Z 에 있어서의 위치는 임의이다. 예를 들어, 도 1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 (80A) 는, 상단면 (66a) 과 하단면 (67a)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1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 (80A) 는, 하단면 (67a)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돌기부 (80A)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 (84A) 이, 판부 (62a) 에 접속된 말단부 (84S) 로부터, 선단부 (84T) 를 향함에 따라, 방향 Z (연직 방향 상방) 를 향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로써, 돌기부 (80A) 를 따라 흐르는 해수 (15) 를, 중심을 향하여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연직 방향 바로 아래의 판부 (62a) 에 적절히 닿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 (84A) 은, 방향 Z 를 향하여 경사지는 평면이어도 된다. 또,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 (84A) 은, 방향 Z 와 반대 방향측에 볼록한 곡면이어도 된다.
또, 돌기부 (80A) 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82A) 이, 판부 (62a) 에 접속된 말단부 (82S) 로부터, 선단부 (82T) 를 향함에 따라, 방향 Z (연직 방향 상방) 를 향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돌기부 (80A) 는, 상면 (82A) 이 방향 Z 를 향하여 경사짐으로써, 해수 (15) 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보다 적절히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면 (82A) 과 판부 (62a) 의 표면 (68a) 사이의 각도 θ4 는, 60 도 이상 90 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 (84A) 은, 방향 Z 를 향하여 경사지는 평면이어도 되고, 방향 Z 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이어도 된다. 또, 도 12(B) 및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82A) 에 더하여, 하면 (84A) 도 방향 Z 에 경사져 있어도 된다.
또, 판부 (62a) 는, 상단면 (66a) 으로부터 하단면 (67a) 을 향하여, 두께, 즉 방향 X 를 따른 길이가 일정하다. 단, 판부 (62a) 는, 상단면 (66a) 으로부터 하단면 (67a) 을 향하여 두께가 변화해도 된다.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판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부 (62a) 는, 방향 Z (연직 방향) 의 상부 (상단면 (66a)) 로부터 방향 Z (연직 방향) 의 하부 (하단면 (67a)) 를 향함에 따라, 두께가 작아져도 된다. 즉, 도 13(A) 의 판부 (62a) 는, 제 1 실시형태의 판부 (62a) 이다. 바꿔 말하면, 제 1 실시형태의 판부 (62 (72)) 는, 제 2 실시형태의 돌기부 (80A (80B))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도 1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부 (62a) 는, 상단면 (66a) 으로부터 중간부 (66a1) 를 향함에 따라 두께가 커지고, 중간부 (66a1) 로부터 하단면 (67a) 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작아져도 된다. 중간부 (66a1) 는, 판부 (62a) 의 상단면 (66a) 과 하단면 (67a) 사이의 임의의 위치이다. 또, 도 1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부 (62a) 는, 상단면 (66a) 으로부터 하단면 (67a) 을 향하여 두께가 커져도 된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 (11Bb) 은, 개구판부 (90) 를 가지고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구성이 공통되는 지점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및 도 15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부의 단면도이다. 도 16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부의 상면도이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충전부 (50) 의 제 1 판 유닛 (64b) 은, 판부 (62Ab) 를 갖는다. 또,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2 충전부 (52) 의 제 1 판 유닛 (64b) 은, 판부 (62Bb) 를 갖는다. 판부 (62Ab) 및 판부 (62Bb), 즉 판부 (62b) 는, 상단면 (66b) 으로부터 하단면 (67b) 을 향하여, 두께가 일정한 판으로 되어 있다. 즉, 판부 (62b) 의 방향 X 를 따른 양측의 표면 (68b) 은, 방향 Z (연직 방향) 를 따르고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충전부 (50) 의 제 2 판 유닛 (74b) 은, 판부 (72Ab) 를 갖는다.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2 충전부 (52) 의 제 2 판 유닛 (74b) 은 판부 (72Bb) 를 갖는다. 판부 (72Ab) 및 판부 (72Bb), 즉 판부 (72b) 는, 상단면 (76b) 으로부터 하단면 (77b) 을 향하여, 두께가 일정한 판으로 되어 있다. 즉, 판부 (72b) 의 방향 Y 를 따른 양측의 표면 (78b) 은, 방향 Z (연직 방향) 를 따르고 있다.
또, 충전물 (11Bb) 은, 개구판부 (90) 를 가지고 있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판부 (90) 는, 외프레임부 (92) 와, 제 1 세판 (細板) 유닛 (95) 과, 제 2 세판 유닛 (97) 을 갖는다. 외프레임부 (92) 는, 제 1 외프레임부 (92A) 와, 제 2 외프레임부 (92B) 를 갖는다. 제 1 외프레임부 (92A) 는, 방향 Y 를 따라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제 1 외프레임부 (92A) 는, 2 개가 방향 X 에 있어서 서로 대향한다. 제 2 외프레임부 (92B) 는, 방향 X 를 따라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제 2 외프레임부 (92B) 는, 2 개가 방향 Y 를 따라 서로 대향한다. 외프레임부 (92) 는, 이 2 개의 제 1 외프레임부 (92A) 와, 2 개의 제 2 외프레임부 (92B)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사각형상이 된다. 제 1 외프레임부 (92A) 의 방향 Y 를 따른 길이는, 제 1 충전부 (50) 의 제 1 외프레임부 (60A) (도 2 참조) 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 2 외프레임부 (92B) 의 방향 X 를 따른 길이는, 제 1 충전부 (50) 의 제 2 외프레임부 (60B) (도 2 참조) 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 1 세판 유닛 (95) 은 세판부 (94) 를 갖는다. 세판부 (94) 는, 일방의 제 2 외프레임부 (92B) 로부터 타방의 제 2 외프레임부 (92B) 까지, 방향 Y 를 따라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세판부 (94) 는, 방향 Z 측에 따른 양측의 면이 평면이고, 방향 Z 에 수직인 평면이다. 세판부 (94) 는, 방향 X 에 따른 길이 L13 이, 판부 (62b) 의 방향 X 에 따른 두께 (길이) 보다 길어져 있다. 길이 L13 은 1.5 ㎜ 이상 50 ㎜ 이하이고, 길이 L14 는 1.5 ㎜ 이상 50 ㎜ 이하이다.
제 1 세판 유닛 (95) 은, 세판부 (94) 가, 방향 X 를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 형성되어 있다. 세판부 (94) 의 수는 판부 (62b) 의 수와 동일하다.
제 2 세판 유닛 (97) 은 세판부 (96) 를 갖는다. 세판부 (96) 는, 일방의 제 1 외프레임부 (92A) 로부터 타방의 제 1 외프레임부 (92A) 까지, 방향 X 를 따라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세판부 (96) 는, 방향 Z 측에 따른 양측의 면이 평면이고, 방향 Z 에 수직인 평면이다. 세판부 (96) 는, 방향 Y 에 따른 길이 L15 가, 판부 (72b) 의 방향 Y 에 따른 두께 (길이) 보다 길어져 있다. 길이 L15 는 1.5 ㎜ 이상 50 ㎜ 이하이고, 길이 L16 은 1.5 ㎜ 이상 50 ㎜ 이하이다.
제 2 세판 유닛 (97) 은, 세판부 (96) 가 방향 Y 를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 형성되어 있다. 세판부 (96) 의 수는, 판부 (72b) 의 수와 동일하다. 제 1 세판 유닛 (95) 과 제 2 세판 유닛 (97) 은, 2 개의 세판부 (94) 와 2 개의 세판부 (96) 로 둘러싸인 공간인 개구부 (99) 를 형성한다. 개구부 (99) 는, 방향 X, Y 에 따른 측면이 세판부 (94, 96) 에 둘러싸이고, 방향 Z 에 따른 양단부가 개구된다.
개구판부 (90) 는, 방향 Z 에 수직인 표면이 평면인 판상의 부재이고, 표면에 복수의 개구부 (99) 가 격자상 (이차원 매트릭스상) 으로 관통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개구판부 (90) 는, 도 14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향 Z 에 따른 길이가, 판부 (62, 72) 의 방향 Z 에 따른 길이보다 짧다. 바꿔 말하면, 개구판부 (90) 는, 방향 Z 에 따른 길이가, 제 1 충전부 (50) 의 방향 Z 에 따른 길이보다 짧고, 제 2 충전부 (52) 의 방향 Z 에 따른 길이보다 짧다.
개구부 (99) 의 수는, 제 1 충전부 (50) 가 갖는 격자부 (69), 및 제 2 충전부 (52) 가 갖는 격자부 (69) 와 동일하다. 또, 개구부 (99) 의 피치는, 격자부 (69) 의 피치와 동일한 길이이다. 즉, 인접하는 개구부 (99) 의 방향 Z 에 따른 중심축끼리의 사이의 거리는, 인접하는 격자부 (69) 의 방향 Z 에 따른 중심축끼리의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단, 개구부 (99) 는, 방향 X 및 방향 Y 에 따른 길이가, 격자부 (69) 의 방향 X 및 방향 Y 에 따른 길이보다 짧다.
이상 설명한 개구판부 (90) 는, 도 14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충전부 (50) 및 제 2 충전부 (52) 와 함께, 방향 Z 를 따라 복수가 적층되어 있다. 개구판부 (90) 는, 제 1 충전부 (50) 의 방향 Z 측 (연직 방향의 상측) 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충전부 (50) 와 제 2 충전부 사이에도 개구판부 (90) 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충전부 (50) 와 제 2 충전부 (52) 는, 사이에 개구판부 (90) 를 통하여 연직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있다. 또, 충전 유닛 (40A) 과 충전 유닛 (40B) 은, 사이에 개구판부 (90) 를 통하여 연직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있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판부 (90) 는, 세판부 (94) 가, 방향 Z 와 반대측에 인접하는 판부 (62b) 의 상단면 (66b) 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개구판부 (90) 에, 방향 Z 와 반대측 (연직 방향 하방) 에 인접하는 제 1 충전부 (50) 또는 제 2 충전부 (52) 가 갖는 판부 (62b) 를 제 1 인접판부로 기재한다. 충전물 (11Bb) 은, 개구판부 (90) 가 갖는 세판부 (94) 와, 제 1 인접판부가, 방향 X 를 따라 겹친 위치에 있다. 바꿔 말하면, 충전물 (11Bb) 은, 세판부 (94) 의 방향 Z 에 따른 연장선 상에, 제 1 인접판부가 배치되어 있다. 더 말하면, 세판부 (94) 의 방향 Z 에 따른 중심축 (C1) 은, 제 1 인접판부의 중심축 (C2) 과 일치하는 위치에 있다. 여기서, 개구판부 (90) 의 개구부 (99) 의 중심축을, 중심축 (C3) 으로 하고, 그 개구판부 (90) 의 방향 Z 와 반대측 (연직 방향 하방) 에 인접하는 제 1 충전부 (50) 또는 제 2 충전부 (52) 가 형성하는 격자부 (69) 의 중심축을, 중심축 (C4) 으로 한다. 이 경우, 중심축 (C3) 은, 중심축 (C4) 에 대해 일치하는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개구부 (99) 는, 격자부 (69) 에 연통한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판부 (90) 는, 세판부 (96) 가, 방향 Z 와 반대측에 인접하는 판부 (72b) 의 상단면 (76b) 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개구판부 (90) 에, 방향 Z 와 반대측 (연직 방향 하방) 에 인접하는 제 1 충전부 (50) 또는 제 2 충전부 (52) 가 갖는 판부 (72b) 를 제 2 인접판부로 기재한다. 충전물 (11Bb) 은, 개구판부 (90) 가 갖는 세판부 (96) 와, 제 2 인접판부가, 방향 Y 를 따라 겹친 위치에 있다. 바꿔 말하면, 충전물 (11Bb) 은, 세판부 (96) 의 방향 Z 에 따른 연장선 상에, 제 2 인접판부가 배치되어 있다. 더 말하면, 세판부 (96) 의 방향 Z 에 따른 중심축 (D1) 은, 제 2 인접판부의 중심축 (D2) 과 일치하는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 (11Bb) 은, 충전탑 (11) 의 내부에 형성되고,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물이 살포되어 내부에 물을 도통하면서, 내부에 배기 가스 (22) 를 도통하고, 배기 가스 (22) 를 물에 대해 접촉시켜 탈황하는 충전탑 (11) 용의 충전물이다. 충전물 (11Bb) 은, 제 1 충전부 (50) 와 제 2 충전부 (52) 와 개구판부 (90) 를 갖는다. 개구판부 (90) 는, 표면이 평면인 판상의 부재로서, 표면에 복수의 개구부 (99) 가 격자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제 1 충전부 (50) 와 제 2 충전부 (52) 는, 사이에 개구판부 (90) 를 통하여 방향 Z (연직 방향) 를 따라 적층된다. 인접하는 개구부 (99) 의 중심축끼리의 사이의 거리는, 인접하는 격자부 (69) 의 중심축끼리의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개구부 (99) 의 측면과 인접하는 개구부 (99) 의 측면 사이의 두께, 즉 세판부 (94) 의 길이 L13 은, 판부 (62b) 의 두께, 즉 길이 L14 보다 길다.
이 충전물 (11Bb) 은, 세판부 (94) 의 길이 L13 이, 판부 (62b) 의 길이 L14 보다 길다. 또, 충전물 (11Bb) 은, 개구부 (99) 의 피치 (중심축간의 거리) 가 격자부 (69) 의 피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충전물 (11Bb) 은, 해수 (15) 가 개구판부 (90) 에 닿기 쉬워지기 때문에, 해수 (15) 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 충전물 (11Bb) 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기액 접촉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 개구판부 (90) 의 방향 Z (연직 방향) 에 따른 길이는, 제 1 충전부 (50) 와 제 2 충전부 (52) 의 연직 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짧다. 즉, 충전물 (11Bb) 은, 두께가 얇고, 간단한 구조의 개구판부 (90) 를 적층하고 있다. 따라서, 이 충전물 (11Bb) 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조로, 기액 접촉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 충전물 (11Bb) 은, 개구부 (99) 의 중심축 (C3) 이, 방향 Z 의 반대측 (연직 방향 하방) 에 인접하는 제 1 충전부 (50) 또는 제 2 충전부 (52) 의 격자부 (69) 의 중심축 (C4) 에 일치한다. 이 경우, 충전물 (11Bb) 은, 판부 (62b) 의 연직 방향 상방을 덮도록 세판부 (94) 가 배치된다. 따라서, 이 충전물 (11Bb) 은, 해수 (15) 가 개구판부 (90) 에 닿기 쉬워지기 때문에, 해수 (15) 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7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물 (11Bb) 은, 개구부 (99) 의 중심축 (C3) 이, 방향 Z 의 반대측 (연직 방향 하방) 에 인접하는 제 1 충전부 (50) 또는 제 2 충전부 (52) 의 격자부 (69) 의 중심축 (C4) 에 대해 위치가 어긋나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방향 X 에 있어서, 세판부 (94) 가, 판부 (62b) 에 대해 어긋난 위치가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판부 (94) 에 닿은 해수 (15A) 는, 판부 (62b) 의 상단면 (66b) 에 닿기 쉬워진다. 따라서, 이와 같이 중심축 (C3, C4) 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어도, 충전물 (11Bb) 은, 해수 (15) 의 튀어오름량을 많게 하여, 기액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구판부 (90) 는, 제 1 실시형태의 충전물 (11B), 및 제 2 실시형태의 충전물 (11Ba) 에, 동일한 방법으로 장착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 실시형태의 내용에 의해 실시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전술한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이른바 균등한 범위의 것이 포함된다. 또한 전술한 구성 요소는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의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또는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 (11B) (제 1 충전부 (50) 및 제 2 충전부 (52)) 은, 외프레임부 (60) (제 1 외프레임부 (60A) 및 제 2 외프레임부 (60B)) 를 가지고 있지만, 외프레임부 (60) 를 갖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충전물 (11B) 은, 제 1 판 유닛 (64) 과 제 2 판 유닛 (74) 이 교차한 부재 (제 1 충전부 (50) 및 제 2 충전부 (52)) 가 적층되어 있는 것이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 (11Ba), 및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물 (11Bb) 도, 동일하게, 외프레임부 (60) 를 갖지 않아도 된다. 또,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구판부 (90) 도, 외프레임부 (92) (제 1 외프레임부 (92A) 및 제 2 외프레임부 (92B)) 를 갖지 않아도 된다.
10 해수 탈황 장치 (탈황 장치)
11 충전탑
11A 살수 장치
11B 충전물
15 해수 (물)
40A, 40B 충전 유닛
50 제 1 충전부
52 제 2 충전부
62, 62A, 62B, 72, 72A, 72B 판부
64 제 1 판 유닛
66, 76 상단면
67, 77 하단면
74 제 2 판 유닛

Claims (12)

  1. 충전탑의 내부에 형성되는 충전탑용의 충전물로서,
    격자부를 형성하는 판부를 갖는 제 1 충전부와, 격자부를 형성하는 판부를 갖는 제 2 충전부가, 상기 충전탑 내부의 연직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충전 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충전 유닛이 상기 연직 방향을 따라 복수 적층되고,
    상기 제 1 충전부 및 상기 제 2 충전부는, 상기 판부로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판부와, 상기 제 1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의 상기 제 1 판부는, 다른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의 상기 제 1 판부에 대해, 상기 연직 방향에서 보았을 때 겹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의 상기 제 2 판부는, 다른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의 상기 제 2 판부에 대해, 상기 연직 방향에서 보았을 때 겹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의 상기 제 1 판부는,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2 충전부의 상기 제 1 판부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어긋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의 상기 제 2 판부는,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2 충전부의 상기 제 2 판부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 및 상기 제 2 충전부가 갖는 상기 제 1 판부 및 상기 제 2 판부는, 상기 연직 방향의 상단면에 있어서의 두께가, 상기 연직 방향의 하단면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상단면으로부터 상기 하단면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작아지는, 충전탑용의 충전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는, 상기 상단면이, 상기 연직 방향에 수직인 면으로 되어 있는, 충전탑용의 충전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는, 상기 상단면에 홈부를 갖는, 충전탑용의 충전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는, 상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표면에, 상기 판부의 일방의 측면으로부터 타방의 측면에 걸쳐,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를 갖는, 충전탑용의 충전물.
  5. 충전탑의 내부에 형성되는 충전탑용의 충전물로서,
    격자부를 형성하는 판부를 갖는 제 1 충전부와, 격자부를 형성하는 판부를 갖는 제 2 충전부가, 상기 충전탑 내부의 연직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충전 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충전 유닛이, 상기 연직 방향을 따라 복수 적층되고,
    상기 제 1 충전부 및 상기 제 2 충전부는, 상기 판부로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판부와, 상기 제 1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의 상기 제 1 판부는, 다른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의 상기 제 1 판부에 대해, 상기 연직 방향에서 보았을 때 겹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의 상기 제 2 판부는, 다른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의 상기 제 2 판부에 대해, 상기 연직 방향에서 보았을 때 겹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의 상기 제 1 판부는,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2 충전부의 상기 제 1 판부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의 상기 제 2 판부는,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2 충전부의 상기 제 2 판부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 및 상기 제 2 충전부가 갖는 상기 판부는, 상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표면에, 상기 판부의 일방의 측부로부터 타방의 측부에 걸쳐,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를 갖고,
    상기 돌기부의 상기 연직 방향 상측의 면과 상기 연직 방향 사이의 각도가 90 도 이상 180 도 미만이고,
    상기 충전 유닛의 상기 제 1 충전부 및 상기 제 2 충전부가 갖는 상기 제 1 판부 및 상기 제 2 판부는, 상기 연직 방향의 상단면으로부터 상기 연직 방향의 하단면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작아지는, 충전탑용의 충전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판부의 연직 방향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충전탑용의 충전물.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상기 연직 방향 하측의 면은, 상기 판부에 접속된 말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상기 연직 방향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충전탑용의 충전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기재된 충전탑용의 충전물을 갖는, 배기 가스의 해수 탈황 장치.
KR1020187027340A 2016-03-31 2017-01-26 충전탑용의 충전물 및 해수 탈황 장치 KR102115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2651A JP6632452B2 (ja) 2016-03-31 2016-03-31 充填塔用の充填物及び海水脱硫装置
JPJP-P-2016-072651 2016-03-31
PCT/JP2017/002695 WO2017169045A1 (ja) 2016-03-31 2017-01-26 充填塔用の充填物及び海水脱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938A KR20180114938A (ko) 2018-10-19
KR102115140B1 true KR102115140B1 (ko) 2020-05-26

Family

ID=5996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340A KR102115140B1 (ko) 2016-03-31 2017-01-26 충전탑용의 충전물 및 해수 탈황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421125A4 (ko)
JP (1) JP6632452B2 (ko)
KR (1) KR102115140B1 (ko)
CN (1) CN108883391B (ko)
MY (1) MY193882A (ko)
PH (1) PH12018501947A1 (ko)
SG (1) SG11201807902WA (ko)
WO (1) WO2017169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9589A1 (en) * 2017-06-16 2018-12-20 Chevron U.S.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flue gas on a ship or offshore floating vessel using a rotating packed bed device
CN110302641A (zh) * 2019-04-25 2019-10-08 太仓北新建材有限公司 一种烟气的脱硫装置及脱硫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5692Y2 (ja) * 1992-04-28 2000-07-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充填塔用格子充填物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9749A (en) * 1957-11-13 1962-06-19 Fluor Corp Packing for gas-liquid contacting equipment
US3112261A (en) * 1961-04-13 1963-11-26 Fluor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moting biological oxidation of organic material
DE1401642A1 (de) * 1962-05-16 1968-10-10 Maschb Ag Balcke Gitterartige Kuehlereinbauten
US3189335A (en) * 1962-05-28 1965-06-15 Fluor Corp Arched packing for cooling towers
US3969447A (en) * 1973-10-18 1976-07-13 Fritz W. Glitsch & Sons, Inc. Grids for fluid contact apparatus
JPS595339B2 (ja) * 1975-09-26 1984-02-03 三菱樹脂株式会社 キエキセツシヨクヨウジユウテンブツ
US4146802A (en) 1977-09-19 1979-03-27 Motorola, Inc. Self latching buffer
JPS59145034A (ja) * 1983-02-09 1984-08-20 Mitsubishi Heavy Ind Ltd 気液接触装置用充填物
JPS59175896U (ja) * 1983-05-10 1984-11-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冷却塔の充填体構造
JPS60186025A (ja) * 1984-03-06 1985-09-21 Toshiba Corp 瞬間アニ−ル装置
JPS60186025U (ja) * 1984-05-18 1985-12-10 三菱化成ポリテック株式会社 気液接触用充填板
US4996008A (en) * 1990-01-22 1991-02-26 Peterson Charles A Cooling tower liquid contact plate support system
JP2511557Y2 (ja) * 1992-07-30 1996-09-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気液接触装置用の格子状充填体
JPH078706A (ja) * 1993-06-28 1995-01-13 Miyauchi Tsuneko 気液接触用充填物
JP4057345B2 (ja) * 2002-06-04 2008-03-05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内燃機関の蒸発燃料捕集装置
JP5166791B2 (ja) * 2007-07-24 2013-03-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煙脱硫装置
JP5773687B2 (ja) * 2011-02-28 2015-09-0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海水排煙脱硫システムおよび発電システム
JP2014011443A (ja) * 2012-07-03 2014-01-20 Ps4 Luxco S A R L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4607137B (zh) * 2013-11-05 2016-08-1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水滴形格栅式规整填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5692Y2 (ja) * 1992-04-28 2000-07-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充填塔用格子充填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1125A4 (en) 2019-10-23
KR20180114938A (ko) 2018-10-19
CN108883391A (zh) 2018-11-23
EP3421125A1 (en) 2019-01-02
SG11201807902WA (en) 2018-10-30
JP2017177081A (ja) 2017-10-05
MY193882A (en) 2022-10-30
WO2017169045A1 (ja) 2017-10-05
CN108883391B (zh) 2020-12-25
JP6632452B2 (ja) 2020-01-22
PH12018501947A1 (en)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60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gaseous pollutants from a gas stream
US6893484B2 (en) Low operating pressure gas scrubber
CN104548876B (zh) 用于改善气体/流体接触的方法和装置
PL190283B1 (pl) Kontaktor gazu i cieczy
JP5648576B2 (ja) 三方向スプレーノズルを用いた湿式排煙脱硫装置
KR102115140B1 (ko) 충전탑용의 충전물 및 해수 탈황 장치
US8172931B2 (en) Wet-type exhaust desulfurizing apparatus
JP2015174025A (ja) 海水排煙脱硫装置とその運用方法
CN106794419A (zh) 排气处理装置
JP6313945B2 (ja) 海水脱硫用散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海水脱硫装置、並びに水質改善方法
KR20110020194A (ko) 연도 가스 세정용 시스템 및 방법
CN1496753A (zh) 具有阶梯托盘的烟道气脱硫系统
EP2716345A3 (en)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JP2007296447A (ja) 二室型湿式排煙脱硫装置
JP2014233702A (ja) 海水脱硫装置及び海水脱硫システム
US20130298762A1 (en) Oxidation conrol for improved flue gas desulfurization performance
CN201848206U (zh) 烟气脱硫双相整流器及烟气脱硫系统
JP2011031209A (ja) 湿式排煙脱硫装置
WO2019163950A1 (ja) 水処理槽及び脱硫装置
KR101175372B1 (ko) 분할된 세정액 집수통을 구비한 연도 가스 정화 장치
WO2019163418A1 (ja) 水処理槽及び脱硫装置
JP3805783B2 (ja) 二室型湿式排煙脱硫装置及び方法
KR100375605B1 (ko) 배연탈황장치의 습식흡수탑용 와류형 체판
JP5974741B2 (ja) 排煙脱硫装置
CN211025809U (zh) 一种硫磺尾气净化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