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850B1 - 철판 가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판 가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850B1
KR102098850B1 KR1020190169588A KR20190169588A KR102098850B1 KR 102098850 B1 KR102098850 B1 KR 102098850B1 KR 1020190169588 A KR1020190169588 A KR 1020190169588A KR 20190169588 A KR20190169588 A KR 20190169588A KR 102098850 B1 KR102098850 B1 KR 102098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winding
plate
joint
iron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철
Original Assignee
오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철 filed Critical 오병철
Priority to KR1020190169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1Control or correction devices in association with mov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가공 시스템은, 롤 형태로 권취된 철판을 권출하는 권출부; 및 상기 권출부를 통해 공급되는 철판에 미리 정해진 형상의 홀을 형성시켜 홀 성형부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판 가공 시스템 {PRESS APPRATUS}
본 발명은 압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에 압력을 가하여 피가공물을 성형하는 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판재의 성형은 대부분 유압식 혹은 기계식 프레스에 의해 이루어진다.
잘 알려진 것과 같이, 프레스는 동력에 의하여 금형을 사용하여 금속 또는 비금속물질을 압축, 절단 또는 조형하는 기계로, 프레스는 프레임의 형식에 따라 C형 프레임 프레스, H형 프레임 프레스, 4주형 프레임 프레스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C형 프레임 프레스는 프레임의 전면이 C형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슬라이드의 위치가 프레스의 중심보다 앞쪽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H형 프레임 프레스는 프레임의 형상이 상자형이며 슬라이드의 위치가 프레스의 중심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4주형 프레임 프레스는 프레스의 상부구조인 크라운 부위와 하부구조인 베드부위가 4개의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레스는 기본적으로 모재를 압축, 절단 또는 조형하기 위한 금형을 갖는다. 금형은 재료의 소성(Plasticity), 전연성(Malleability, Ductility), 유동성(Fluidity) 등의 성질을 이용하여 재료를 가공 성형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도구로서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형(型)을 말한다.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가공방법으로는 전단 가공, 굽힘 가공, 드로잉 가공, 성형 가공, 압축 가공 등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가공할 때 하나의 모재를 프레스 가공한 후 취출하고 다시 새로운 모재를 끼우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법은 소형의 제품을 제작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으나 폭이 큰 판재에 돌기나 홈 등을 일정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형성해야 할 때에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하 마주보게 설치된 프로세스기의 성형판에 다수의 돌기와 요입홈을 일정 간격으로 대향되게 형성하여 프레스기의 승강작동에 의해 성형판의 폭만큼씩 소폭으로 철판이 엠보싱가공 형성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7251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8385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롤 형태로 권취된 철판을 풀어 철판에 소정 크기의 홀을 형성할 수 있는 철판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위크시그널 도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철판을 원할하게 공급하기 위해 각 구성의 이동을 실시간 제어하는 철판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가공 시스템은, 롤 형태로 권취된 철판을 권출하는 권출부; 및 상기 권출부를 통해 공급되는 철판에 미리 정해진 형상의 홀을 형성시켜 홀 성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권출부는, 롤 형태로 권취된 철판이 체결되는 제1 권출부; 및 상기 제1 권출부와 상기 홀 성형부 사이에서 상기 제1 권출부와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제1 권출부로부터 권출된 철판을 상기 홀 성형부에 공급하는 제2 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권출부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이동 레일이 설치된 제1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이동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롤 형태로 권취된 철판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권출부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이동 레일이 설치된 제2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이동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의 전단측으로부터 후단측까지 형성되어 상기 제1 권출부로부터 권출된 철판을 상기 홀 성형부로 공급하는 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 성형부는, 상기 제2 권출부로부터 공급되는 철판이 안착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철판에 홀을 형성하는 펀칭 유닛; 및 홀 성형을 위한 상기 펀칭 유닛의 상하 이동 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대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측에 이격되어 상기 펀칭 유닛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하측면을 형성하는 제2 플레이트; 다수 개의 관절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대와 이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제1 관절을 형성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프레임과 제2 관절을 형성하는 제3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프레임과 제3 관절을 형성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대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4 프레임; 상기 제1 관절과 상기 제2 관절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관절과 상기 제2 관절 사이를 지지하는 수직 탄성체; 상기 제1 관절과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관절과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는 제1 경사 탄성체; 및 상기 제1 관절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관절과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는 제2 경사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철판 가공 시스템은, 상기 홀 성형부가 철판에 지그재그 형태의 홀을 형성시키도록 상기 제1 권출부 및 상기 제2 권출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권출부와 상기 제2 권출부가 제1방향을 따라 동일한 이동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권출부와 상기 제2 권출부의 이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동일한 이동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홀 성형에 요구되는 홀 직경 및 철판의 너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권출부와 상기 제2 권출부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동작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동작 패턴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권출부 및 상기 제2 권출부로부터 수신되는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패턴 정보를 실시간 수정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수집 대상 데이터 소스 모듈, 수집 대상 키워드 및 수집 대상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집 기준을 설정하는 수집 관리 모듈; 수집 관리 모듈로부터 설정 받은 데이터 수집 기준에 따라 해당 데이터 소스 모듈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형태소 별로 구분하고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형태소 분석 모듈; 및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분산 병렬 처리 기반의 통계분석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통계값을 산출하고 통계값에 따라 위크시그널을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위크시그널 도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1 권출부와 상기 제2 권출부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동작 패턴 정보를 실시간 수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철판에 홀을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시킴으로써 동일 면적에서 생산되는 디스크 형태의 제품의 생산량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위크시그널 도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철판을 원할하게 공급하기 위해 각 구성의 이동을 실시간 제어함으로써 실제 운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작동을 최소화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며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홀 성형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제1 권출부 및 제2 권출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철판을 공급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는 홀 성형 장치에 구비된 탄성 지지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의 실제 구현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판 가공 시스템(1)은 권출부(100) 및 홀 성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출부(100)는 롤 형태로 권취된 철판을 풀어 후술하는 홀 성형부(200)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제1 권출부(110)와 제2 권출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권출부(110)는 롤 형태로 권취된 철판이 체결되는 부재로,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이동 레일(111a, 111b)이 설치된 제1 베이스 프레임(111),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111)에 형성된 이동 레일(111a, 111b)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본체(112) 및 상기 제1 본체(112)의 일측에 구비되어 롤 형태로 권취된 철판을 파지하는 파지부(113)를 포함한다.
즉, 제1 권출부(110)는 파지부(113)에 롤 형태의 철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파지부(113)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권취된 철판을 풀어내어 제2 권출부(120)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권출부(120)는 제1 권출부(110)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제1 권출부(110)와 상기 홀 성형부(200) 사이에서 상기 제1 권출부와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제1 권출부(110)로부터 권출된 철판을 상기 홀 성형부(20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 권출부(120)는, 제1 권출부(110)와 유사하게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이동 레일이 설치된 제2 베이스 프레임(121),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121)에 형성된 이동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본체(122)로 구성되며, 제1 권출부와는 상이하게 상기 제2 본체(122)의 전단측으로부터 후단측까지 형성되어 상기 제1 권출부(110)로부터 권출된 철판을 상기 홀 성형부(200)로 공급하는 투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제2 권출부(120)는 제1 권출부(110)에 의해 권출된 철판을 평면 형태로 펼쳐지게 한 상태로 홀 성형부(200)에 공급하는 부재이다.
홀 성형부(200)는 권출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철판에 미리 정해진 형상의 홀을 형성시켜 홀 성형 과정에서 철판으로부터 탈락하는 디스크 형상의 철판 제품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성형부(200)는 상기 제2 권출부로부터 공급되는 철판이 안착되는 테이블(210), 상기 테이블(210)의 상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테이블(210)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하우징(220) 및 하우징(220)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블(210)의 상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철판에 홀을 형성하는 원기둥 형상의 펀칭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홀 성형부(200)는 펀칭 유닛(230)의 왕복 운동을 통해 공급되는 철판에 펀칭 유닛의 직경에 대응되는 홀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는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디스크 형상의 철제 생산품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철판 가공 시스템(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 성형부(200)가 철판에 지그재그 형태의 홀을 형성시킴으로써 동일 면적으로부터 생산되는 제품의 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홀 성형부(200)는 고정시킨 상태에서 공급되는 철판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펀칭 유닛(230)이 철판에 지그재그 형태로 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판 가공 시스템(1)은 상기 제1 권출부 및 상기 제2 권출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권출부와 상기 제2 권출부가 제1 방향(예컨대 좌측 방향)을 따라 동일한 이동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권출부와 상기 제2 권출부의 이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제2 방향(예컨대 우측 방향)을 따라 동일한 이동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홀 성형부(200)는 펀칭 유닛(230)을 이용한 홀 성형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 성형부(200)는 하우징(220)와 펀칭 유닛(2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펀칭 유닛의 상하 이동 과정에서 펀칭 유닛(23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지지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탄성 지지대의 구체적인 형상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500)는, 제1 플레이트(510), 제2 플레이트(520), 제1 지지대(530) 및 제2 지지대(54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510)는, 하우징(220)의 하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측면을 형성하며, 제1 지지대(530) 및 제2 지지대(540)에 의하여 제2 플레이트(5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지지된다.
제2 플레이트(520)는, 제1 지지대(530) 및 제2 지지대(540)에 의하여 제1 플레이트(510)의 하측에 이격되어 테이블(2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탄성 지지대(500)의 하측면을 형성한다.
제1 지지대(530)는, 다수 개의 관절을 형성하며, 제1 플레이트(510)와 제2 플레이트(52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플레이트(510)와 제2 플레이트(520) 사이를 지지한다.
제2 지지대(540)는, 제1 지지대(530)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후술하는 제1 수평 탄성체(550) 및 제2 수평 탄성체(560)에 의하여 제1 지지대(530)와 이격되어 제1 플레이트(510)와 제2 플레이트(52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플레이트(510)와 제2 플레이트(520)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500)는, 제1 수평 탄성체(550) 및 제2 수평 탄성체(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 탄성체(550)는, 제1 지지대(530)의 제1 관절(T1)과 제2 지지대(540)의 제1 관절(T1)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지지대(530)의 제1 관절(T1)과 제2 지지대(540)의 제1 관절(T1) 사이를 지지한다(도 10 참조).
제2 수평 탄성체(560)는, 제1 지지대(530)의 제3 관절(T3)과 제2 지지대(540)의 제3 관절(T3)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지지대(530)의 제3 관절(T3)과 제2 지지대(540)의 제3 관절(T3) 사이를 지지한다(도 10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500)는, 도 9 화살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수직 또는 경사 어느 바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펀칭 유닛(230)이 운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제1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지지대(530)는, 제1 프레임(531), 제2 프레임(532), 제3 프레임(533), 제4 프레임(534), 수직 탄성체(535), 제1 경사 탄성체(536) 및 제2 경사 탄성체(53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지지대(540)는, 제1 지지대(530)와 대칭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제1 지지대(530)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인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프레임(531)은, 제1 플레이트(5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32)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관절(T1)을 형성한다.
제2 프레임(532)은, 제1 프레임(53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프레임(531)과 제1 관절(T1)을 형성하고, 제3 프레임(533)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2 관절(T2)을 형성하며, 제1 플레이트(510)의 하측면과의 사이에 제1 경사 탄성체(536)가 경사지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3 프레임(533)은, 제2 프레임(532)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2 프레임(532)과 제2 관절(T2)을 형성하고, 제4 프레임(534)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3 관절(T3)을 형성하며, 제2 플레이트(520)의 상측면과의 사이에 제2 경사 탄성체(537)가 경사지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4 프레임(534)은, 제3 프레임(533)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3 프레임(533)과 제3 관절(T3)을 형성하고, 하부가 제2 지지대(54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수직 탄성체(535)는, 제1 관절(T1)과 제2 관절(T2)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관절(T1)과 제2 관절(T2) 사이를 지지한다.
제1 경사 탄성체(536)는, 제1 관절(T1)과 제1 플레이트(510)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관절(T1)과 제1 플레이트(510) 사이를 지지한다.
제2 경사 탄성체(537)는, 제1 관절(T1)과 제2 플레이트(520)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관절(T1)과 제2 플레이트(520) 사이를 지지한다.
이때, 제1 플레이트(510)의 하측면에는 제1 경사 탄성체(536)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경사 탄성체(536)와 대향하는 면을 형성하는 상부 안착대(538)가 설치되고, 제2 플레이트(520)의 상측면에는 제2 경사 탄성체(537)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경사 탄성체(537)와 대향하는 면을 형성하는 하부 안착대(539)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관절(T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관절(T3)과 같은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관절(T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절(T1)과 제3 관절(T3)을 잇는 축으로부터 제2 지지대(5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철판 가공 시스템(1)은 제1 권출기(110)와 제2 권출기(120)의 실시간 동작을 제어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홀 성형에 요구되는 홀 직경 및 철판의 너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권출부와 상기 제2 권출부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동작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동작 패턴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권출부 및 상기 제2 권출부로부터 수신되는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패턴 정보를 실시간 수정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작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동작 패턴대로 제1 권출부와 제2 권출부를 동시에 이동시켜 홀 성형부(200)로 공급되는 철판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운용 과정에서 제1 권출부 및 제2 권출부에 부착된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권출부와 제2 권출부가 동일 위치상에서 마주보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동작 제어부는, 수집 대상 데이터 소스 모듈, 수집 대상 키워드 및 수집 대상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집 기준을 설정하는 수집 관리 모듈; 수집 관리 모듈로부터 설정 받은 데이터 수집 기준에 따라 해당 데이터 소스 모듈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형태소 별로 구분하고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형태소 분석 모듈; 및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분산 병렬 처리 기반의 통계분석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통계값을 산출하고 통계값에 따라 위크시그널을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위크시그널 도출 시스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현재 제1 권출부(110)와 제2 권출부(120)가 동일 위치에서 마주보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그렇지 않은 경우 어느 하나의 권출부의 동작은 정지시킨 상태에서 다른 권출부만 이동시켜 동일 위치에서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은, 제1 권출부(110) 및 제2 권출부(120) 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센싱 데이터(온도, 위치 등)를 의미를 갖는 형태소별로 구분한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상기 분산 파일 시스템에 존재하는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기반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가상화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제공하는 가상화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계분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상기 형태소 분석 데이터로부터 연도별 출현빈도수(instance frequencies), 연도별 단어-단어 간 동시 출연 건수, 연도별 출현빈도수 및 연도별 단어-단어 간 동시 출현 건수로부터 가공된 값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통계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연도별 출현건수(instance frequencies) 및 단어-단어간 동시 발생건수에 기초하여 단어 별 발생건수 증가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연도별 출현건수(instance frequencies)를 연도별 문서수로 나누어 문서당 상기 단어들의 연도별 출현 빈도수를 표준화하여 상기 단어들에 대한 표준화된 단어 별 출현 빈도수 증가율을 산 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단어-단어간 동시발생건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단어 별 연결 정도 중심성 증가율을 산출하고, 상기 표준화된 단어 별 출현 빈도수 증가율 및 상기 연결 정도 중심성 증가율이 상위 일정 부분 이상인 단어 또는 하위 일정 부분 이하인 단어를 위크시그널로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은, 이미지, 동영상, 음성, 센서, GPS, GIS, M2M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착 공정 관리부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위크시그널 도출 시스템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철판 가공 공정에서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움직이는 제1 권출부 및 제2 권출부의 이동을 실시간 제어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철판 가공 시스템
100: 권출부
110: 제1 권출부
120: 제2 권출부
200: 홀 성형부

Claims (2)

  1. 철판 가공 시스템에 있어서,
    롤 형태로 권취된 철판을 권출하는 권출부; 및
    상기 권출부를 통해 공급되는 철판에 미리 정해진 형상의 홀을 형성시켜 홀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출부는, 롤 형태로 권취된 철판이 체결되는 제1 권출부; 및 상기 제1 권출부와 상기 홀 성형부 사이에서 상기 제1 권출부와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제1 권출부로부터 권출된 철판을 상기 홀 성형부에 공급하는 제2 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권출부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이동 레일이 설치된 제1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이동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롤 형태로 권취된 철판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권출부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이동 레일이 설치된 제2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이동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의 전단측으로부터 후단측까지 형성되어 상기 제1 권출부로부터 권출된 철판을 상기 홀 성형부로 공급하는 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 성형부는, 상기 제2 권출부로부터 공급되는 철판이 안착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철판에 홀을 형성하는 펀칭 유닛; 및 홀 성형을 위한 상기 펀칭 유닛의 상하 이동 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대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측에 이격되어 상기 펀칭 유닛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하측면을 형성하는 제2 플레이트; 다수 개의 관절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대와 이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제1 관절을 형성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프레임과 제2 관절을 형성하는 제3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프레임과 제3 관절을 형성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대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4 프레임; 상기 제1 관절과 상기 제2 관절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관절과 상기 제2 관절 사이를 지지하는 수직 탄성체; 상기 제1 관절과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관절과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는 제1 경사 탄성체; 및 상기 제1 관절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관절과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는 제2 경사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철판 가공 시스템은, 상기 홀 성형부가 철판에 지그재그 형태의 홀을 형성시키도록 상기 제1 권출부 및 상기 제2 권출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권출부와 상기 제2 권출부가 제1방향을 따라 동일한 이동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권출부와 상기 제2 권출부의 이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동일한 이동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홀 성형에 요구되는 홀 직경 및 철판의 너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권출부와 상기 제2 권출부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동작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동작 패턴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권출부 및 상기 제2 권출부로부터 수신되는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패턴 정보를 실시간 수정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수집 대상 데이터 소스 모듈, 수집 대상 키워드 및 수집 대상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집 기준을 설정하는 수집 관리 모듈; 수집 관리 모듈로부터 설정 받은 데이터 수집 기준에 따라 해당 데이터 소스 모듈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형태소 별로 구분하고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형태소 분석 모듈; 및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분산 병렬 처리 기반의 통계분석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통계값을 산출하고 통계값에 따라 위크시그널을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위크시그널 도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1 권출부와 상기 제2 권출부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동작 패턴 정보를 실시간 수정하는, 철판 가공 시스템.


  2. 삭제
KR1020190169588A 2019-12-18 2019-12-18 철판 가공 시스템 KR10209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588A KR102098850B1 (ko) 2019-12-18 2019-12-18 철판 가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588A KR102098850B1 (ko) 2019-12-18 2019-12-18 철판 가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850B1 true KR102098850B1 (ko) 2020-04-08

Family

ID=7027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588A KR102098850B1 (ko) 2019-12-18 2019-12-18 철판 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8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741A (ja) * 1996-03-22 1997-09-30 Asahi Seiki Kogyo Kk 連接コイル材の加工管理装置
KR200155131Y1 (ko) * 1997-02-03 1999-08-16 고생곤 지그재그방식의 판상재 자동이송장치
JP2002292428A (ja) * 2001-03-30 2002-10-08 Press Kogyo Co Ltd プレス型の増圧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金型構造
KR101483856B1 (ko) 2013-05-10 2015-01-19 (주)엔아이스틸 하이브리드 포밍 펀칭 전용기
KR101554683B1 (ko) * 2013-12-02 2015-09-21 (주)승보스틸 프레스 공정을 위한 코일 연속 공급 시스템
KR101772519B1 (ko) 2016-04-29 2017-08-29 김장희 광폭 판재용 펀칭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741A (ja) * 1996-03-22 1997-09-30 Asahi Seiki Kogyo Kk 連接コイル材の加工管理装置
KR200155131Y1 (ko) * 1997-02-03 1999-08-16 고생곤 지그재그방식의 판상재 자동이송장치
JP2002292428A (ja) * 2001-03-30 2002-10-08 Press Kogyo Co Ltd プレス型の増圧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金型構造
KR101483856B1 (ko) 2013-05-10 2015-01-19 (주)엔아이스틸 하이브리드 포밍 펀칭 전용기
KR101554683B1 (ko) * 2013-12-02 2015-09-21 (주)승보스틸 프레스 공정을 위한 코일 연속 공급 시스템
KR101772519B1 (ko) 2016-04-29 2017-08-29 김장희 광폭 판재용 펀칭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632197U (zh) 可同步进行冲孔和落料的冲压模具
CN205253863U (zh) 一种斜锲块双作用冲压模具
JP2001047147A (ja) 金型装置
CN106825220B (zh) 核发电装置中格架条带成型系统及其成型工艺
KR102098850B1 (ko) 철판 가공 시스템
CN210648211U (zh) 一种用于高速冲压模具的弹料装置
CN111069389A (zh) 一种折弯侧壁墩厚方法
CN207899955U (zh) 角钢冲压机
CN108817179B (zh) 一种板材弯折装置
CN205236818U (zh) 一种模具的滑移机构
JP2007021947A (ja) 成形装置
CN202155399U (zh) 一种铝字凸形弧面加工装置
CN207535289U (zh) 装载机后门板成型模具
CN104525707A (zh) 厚板小孔冲孔模
CN205289507U (zh) 一种钢板压轴成型装置
CN207806365U (zh) 一种垃圾箱冲压模具组件
CN207982054U (zh) 一种板材冲压模具
CN206882493U (zh) 一种多工件往复冲压成型设备
CN208628254U (zh) 一种一体式冲孔设备
JP2003211231A (ja) プレス金型のシワ押え圧力調整機構
CN207026296U (zh) 全方位冲压模具
CN202498147U (zh) 一种折边模具减磨装置
CN104308016A (zh) 冲压模具板料定位装置
CN205519188U (zh) 一种自动送料模具
CN204524029U (zh) 一种冲压拉延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