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024B1 -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024B1
KR102090024B1 KR1020170161184A KR20170161184A KR102090024B1 KR 102090024 B1 KR102090024 B1 KR 102090024B1 KR 1020170161184 A KR1020170161184 A KR 1020170161184A KR 20170161184 A KR20170161184 A KR 20170161184A KR 102090024 B1 KR102090024 B1 KR 102090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le wheel
sheave
wire
palle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711A (ko
Inventor
전경주
Original Assignee
전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경주 filed Critical 전경주
Priority to KR1020170161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0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2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스프로킷(10); 구동스프로킷(10)과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와이어풀리(20); 구동스프로킷(10) 및 와이어풀리(20)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체인와이어(30); 체인와이어(30) 상에 연결 설치되는 시브케이스(40); 시브케이스(40)의 내부에 결합되는 가동시브(50); 가동시브(5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아이들휠(60); 제1 아이들휠(6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아이들휠(70); 제2 아이들휠(70)과 근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시브(80a, 80b);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가동시브(50), 제1 아이들휠(60), 가동시브(50), 제2 아이들휠(70) 및 가이드시브(80)를 순차적으로 거쳐 팰릿(P)에 연결되는 승강와이어(90a, 9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승강횡행식 주차설비 팰릿 승강장치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 {PALLET LIFTING DEVICE OF PUZZLE TYPE PARKING SYSTEM}
본 발명은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팰릿의 승강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는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자동차의 이용률 및 보급률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추세이며, 이에 보조하여 자동차를 안전하게 주차하기 위한 주차설비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주차설비는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고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승강횡행식(퍼즐식) 주차설비는 출입구가 있는 층의 모든 주차구획을 주차장치 출입구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팰릿을 상하 또는 수평으로 이동시켜 자동차를 주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종래의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체인휠(1); 구동체인휠(1)과 대응되도록 이격 배치되는 이송가이드롤러(2); 구동체인휠(1) 및 이송가이드롤러(2)에 연결 설치되는 견인와이어(3); 견인와이어(3) 상에 연결 설치되는 롤러케이스(4); 롤러케이스(4)의 내부에 결합되는 시브롤러(5); 시브롤러(5)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아이들롤러(6); 아이들롤러(6)와 근접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승강가이드롤러(7a, 7b);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시브롤러(5), 아이들롤러(6) 및 승강가이드롤러(7a, 7b)를 순차적으로 거쳐 팰릿에 연결되는 승강와이어(8a, 8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8887호에 개시되어 있는 공지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승강황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는 지지프레임(9)의 내부에 아이들롤러(6)가 하나만 구비됨으로써 팰릿의 승강거리를 연장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이는 결국,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팰릿의 승강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는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는, 구동스프로킷;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와이어풀리; 상기 구동스프로킷 및 상기 와이어풀리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체인와이어; 상기 체인와이어 상에 연결 설치되는 시브케이스; 상기 시브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는 가동시브; 상기 가동시브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아이들휠; 상기 제1 아이들휠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아이들휠; 상기 제2 아이들휠과 근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시브;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시브, 상기 제1 아이들휠, 상기 가동시브, 상기 제2 아이들휠 및 상기 가이드시브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팰릿에 연결되는 승강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는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제1 아이들휠 및 제2 아이들휠이 구비됨으로써 팰릿의 승강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의 가이드부재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의 가이드부재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의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는 지지프레임(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팰릿(P)을 승강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지지프레임(110)은 내부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되며, 이러한 지지프레임(110) 각각에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10)은 연결프레임(12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연결프레임(120) 상에는 모터(130)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는 구동스프로킷(10); 와이어풀리(20); 구동스프로킷(10) 및 와이어풀리(20)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체인와이어(30); 체인와이어(30) 상에 연결 설치되는 시브케이스(40); 시브케이스(40)의 내부에 결합되는 가동시브(50); 가동시브(5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아이들휠(60); 제1 아이들휠(6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아이들휠(70); 제2 아이들휠(70)과 근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시브(80a, 80b);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가동시브(50), 제1 아이들휠(60), 가동시브(50), 제2 아이들휠(70) 및 가이드시브(80)를 순차적으로 거쳐 팰릿(P)에 연결되는 승강와이어(90a, 90b); 시브케이스(40)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110)의 내부면에 밀착 지지되는 가이드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스프로킷(10)은 체인와이어(3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구동스프로킷(10)은 지지프레임(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스프로킷(10)은 모터(130)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회전축(140)에 결합된다.
한편, 구동스프로킷(10)의 구동수단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와이어풀리(20)는 구동스프로킷(10)과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어 체인와이어(30)를 걸어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와이어풀리(20)는 구동스프로킷(10)과 마찬가지로 지지프레임(10)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와이어풀리(20)와 인접하게 보조와이어풀리(20a)가 설치되며, 이러한 보조와이어풀리(20a)는 체인와이어(30)가 일직선상에서 당겨지도록 하여 시브케이스(4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와이어풀리(20)에는 체인와이어(30)가 삽입되는 와이어홈(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체인와이어(30)는 구동스프로킷(10)에 의해 구동되어 정·역회전되며, 이러한 체인와이어(30)에는 구동스프로킷(10)과의 맞물림 결합을 위한 체인이 부분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체인와이어(30)로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시브케이스(40)는 체인와이어(30) 상에 위치하여 가동시브(50)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프레임(1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시브케이스는(40)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함체 형상을 가지며, 그 양측에는 체인와이어(30)와의 연결을 위한 블록 형상의 연결부(4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시브케이스(40)는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조립식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시브(50)는 체인와이어(30)와 연동되는 시브케이스(40)에 축 결합되어 시브케이스(40)의 유동에 의해 전·후진 동작되며, 가동시브(50)에는 승강와이어(90a, 90b)가 삽입되는 와이어홈(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동시브(50)의 위치변화에 따라 승강와이어(90a, 90b)의 연결된 팰릿(P)의 승강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 아이들휠(60)은 지지프레임(11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2 아이들휠(70)은 지지프레임(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제1·2 아이들휠(60, 70)은 기능은 동일하지만 그 크기 및 형상은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2 아이들휠(60, 70)로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가이드시브(80a, 80b)는 한 쌍으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며, 그 개수는 승강와이어(90a, 90b)에 따라 변경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승강와이어(90a, 90b)는 그 단부가 팰릿(P)과 연결되어, 팰릿(P)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이드부재(100)는 체인와이어(30)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지지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동작되는 시브케이스(40)를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00)는 도 3 및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브케이스(40)에 결합되는 제1 지지대(101); 제1 지지대(101)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110)의 상하 내부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1 가이드롤러(102); 시브케이스(40)에 결합되는 제2 지지대(103); 제2 지지대(103)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110)의 좌우 내부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2 가이드롤러(10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100)의 구성적 특징으로 인해, 시브케이스(40)의 전·후진 동작 과정에서 시브케이스(40)가 전후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2 지지대(101, 103)는 시브케이스(42)의 측면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시브케이스(40)의 연결부(42)에 결합되는 등 그 결합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01)는 시브케이스(40)의 일측에만 구비되고, 제2 지지대(103)는 안정적인 가이드 동작을 위하여 시브케이스(4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지지대(101)는 지지프레임(110)의 상부 및 하부영역에 각각 대응되도록 2개가 설치되며, 제2 지지대(103)는 또한 지지프레임(110)의 측부영역에 각각 대응되도록 2개가 설치된다.
한편, 제1·2 지지대(101, 103)에 각각 설치되는 제1·2 가이드롤러(102, 104)의 설치개수 및 배치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또한 지지프레임(110)의 상하좌우 내부면에는 제1·2 가이드롤러(102, 104)가 삽입되는 가이드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브케이스(40)를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위와 같은 구성의 가이드부재(100)가 없을 경우에는 시브케이스(40)의 전·후진 동작 시 유동이 발생되어 가동시브(50)와의 결합상태가 느슨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시브케이스(40)가 기울어지거나 승강와이어(90a, 90b)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a)의 상태에서 구동스프로킷(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지지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와이어체인(30)과 연결되어 있는 시브케이스(40)가 제1 아이들휠(60) 방향으로 이송되고, 이에 따라 승강와이어(90a,90b)가 풀려 내려가면서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시브케이스(40)는 가이드부재(100)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되어 흔들림없이 전·후진 동작된다.
반대로, (b)의 상태에서 구동스프로킷(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지지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와이어체인(30)과 연결되어 있는 시브케이스(40)가 구동스프로킷(10) 방향으로 이송되고, 이에 따라 승강와이어(90a, 90b)가 당겨 올라가면서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10 : 구동스프로킷 20 : 와이어풀리
30 : 체인와이어 40 : 시브케이스
42 : 연결부 50 : 가동시브
60 : 제1 아이들휠 70 : 제2 아이들휠
80a, 80b : 가이드시브 90a, 90b : 승강와이어
100 : 가이드부재 101 : 제1 지지대
102 : 제1 가이드롤러 103 : 제2 지지대
104 : 제2 가이드롤러 110 : 지지프레임
P : 팰릿

Claims (4)

  1. 지지프레임(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팰릿(P)을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에 있어서,
    구동스프로킷(10); 상기 구동스프로킷(10)과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와이어풀리(20); 상기 구동스프로킷(10) 및 상기 와이어풀리(20)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체인와이어(30); 상기 체인와이어(30) 상에 연결 설치되는 시브케이스(40); 상기 시브케이스(40)의 내부에 결합되는 가동시브(50); 상기 가동시브(5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아이들휠(60); 상기 제1 아이들휠(6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아이들휠(70); 상기 제2 아이들휠(70)과 근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시브(80a, 80b);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시브(50), 상기 제1 아이들휠(60), 상기 가동시브(50), 상기 제2 아이들휠(70) 및 상기 가이드시브(80a, 80b)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팰릿(P)에 연결되는 승강와이어(90a, 90b)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와이어(30)가 일직선상으로 당겨지도록 상기 와이어풀리(2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브케이스(40)의 유동을 방지하는 보조와이어풀리(20a)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브케이스(40)에 결합되는 제1 지지대(101); 상기 제1 지지대(101)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하 내부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1 가이드롤러(102); 상기 시브케이스(40)에 결합되는 제2 지지대(103); 상기 제2 지지대(103)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좌우 내부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2 가이드롤러(104)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대(101)는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 및 하부영역에 대응되도록 2개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대(103)는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측부영역에 각각 대응되도록 2개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하좌우 내부면에는 상기 제1·2 가이드롤러(102, 104)가 삽입되는 가이드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61184A 2017-11-29 2017-11-29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 KR102090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184A KR102090024B1 (ko) 2017-11-29 2017-11-29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184A KR102090024B1 (ko) 2017-11-29 2017-11-29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711A KR20190062711A (ko) 2019-06-07
KR102090024B1 true KR102090024B1 (ko) 2020-03-17

Family

ID=6684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184A KR102090024B1 (ko) 2017-11-29 2017-11-29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302B1 (ko) * 2023-05-31 2024-04-16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데크 승강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선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887Y1 (ko) * 1995-09-29 1999-06-15 이상업 퍼즐식 주차장치의 파레트 승강구동장치
JP2004183211A (ja) * 2002-11-29 2004-07-02 Fuji Hensokuki Co Ltd 駐車場における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887Y1 (ko) * 1995-09-29 1999-06-15 이상업 퍼즐식 주차장치의 파레트 승강구동장치
JP2004183211A (ja) * 2002-11-29 2004-07-02 Fuji Hensokuki Co Ltd 駐車場における昇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302B1 (ko) * 2023-05-31 2024-04-16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데크 승강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711A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024B1 (ko)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
KR20070063651A (ko) 리프트 장치를 갖춘 주차 타워
KR20160003956U (ko) 차량 이동장치가 구비된 타워형 주차장치
KR100297824B1 (ko) 무팔레트식주차장치용슬라이더장치및차륜승강장치
ITMI20060911A1 (it) Dispositivo per la movimentazione di autovetture in autosili con sistema di sollevamento perfezionato
JP3062055B2 (ja) エレベータ方式立体駐車装置の昇降装置
JP3018371U (ja) 駐車装置のパレット移載機構
JP4885588B2 (ja) トレー横行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機械式駐車設備
KR100372175B1 (ko) 유압구동식 주차설비
JP3996021B2 (ja) 水平循環式駐車装置
JP5787229B2 (ja) 棚式駐輪設備
KR101095514B1 (ko) 포크타입 주차설비
JP2802735B2 (ja) エレベータ方式立体駐車装置の横行装置
JP3996023B2 (ja) 水平循環式駐車装置
JP2006214196A (ja) 立体駐車装置
JP2001065185A (ja) 機械式駐車装置
KR100632390B1 (ko) 이동형 주차장치
JP2551340Y2 (ja) 機械式駐車設備
JPH0341567Y2 (ko)
JP3004392U (ja) 多層循環方式駐車場
JPS6328283Y2 (ko)
KR100455406B1 (ko) 차량주차설비의팰릿구조
JPH0978876A (ja) 駐車設備のパレット横送り装置
JP2972483B2 (ja) 立体駐車装置
JP2006169748A (ja) 循環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