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302B1 - 데크 승강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데크 승강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302B1
KR102657302B1 KR1020230070031A KR20230070031A KR102657302B1 KR 102657302 B1 KR102657302 B1 KR 102657302B1 KR 1020230070031 A KR1020230070031 A KR 1020230070031A KR 20230070031 A KR20230070031 A KR 20230070031A KR 102657302 B1 KR102657302 B1 KR 102657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deck
unit
sliding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안진
정승윤
박장익
오종철
Original Assignee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7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18Detachable decks
    • B63B25/20Detachable decks for motor vehi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2003/485Decks movably connected to hull or super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데크 승강시스템이 제공된다. 데크 승강시스템은, 프레임과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데크와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 유닛과 일단부가 이동데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프레임에 설치된 방향전환시브를 경유하여 슬라이딩 유닛에 결합된 복수의 승강와이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데크유닛, 데크유닛마다 각각 설치되며 프레임에 고정된 제1시브, 데크유닛마다 각각 설치되며 슬라이딩 유닛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닛이 이동함에 따라 제1시브와 간격이 조절되는 제2시브, 복수의 데크유닛을 경유하며 각 데크유닛의 제1시브와 제2시브를 동시에 감아 슬라이딩 유닛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와이어, 및 구동와이어를 당겨 슬라이딩 유닛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크 승강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선박{Deck elevation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적재 등에 사용가능한 데크 승강시스템과 그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데크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거나 한번에 구동할 수 있는 데크 승강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선적 또는 하역하기 위해서 전용설비가 사용되기도 한다. 차량을 전문적으로 수송하는 선박 중 로로선박(Roll-on Roll-off vessel)으로 불리는 선박은 일반차량이나, 트럭, 트레일러 등을 수송하는 일종의 화물선에 해당한다. 차량들은 스스로 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로로선박은 별도의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차량들이 움직여 직접 승하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로로선박은 자체이동 능력이 있는 차량들을 직접 또는 트럭이나 트레일러 등의 운반기기에 실어서 경사판(Ramp)을 통해 선박에 싣거나(Roll-on) 내릴(Roll-off)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다만, 선박에 선적되는 차량은 승용차에서부터 중대형 중장비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화물창 내 공간활용을 통해 선적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승용차는 중대형 중장비보다 차량 전고가 낮기 때문에 화물창의 용적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승용차의 선적량 등을 늘리기 위해 화물창 내에 별도의 리프트 장치(Mobile deck lifter or Deck hoisting system)를 설치하고 승용차를 다단으로 적재하는 등의 방식이 사용되었다(예, 대한민국 특허10-2316013등).
그러나, 종래의 리프팅 장치는 대부분 구동계에 하중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고 고정구조가 복잡하여 구동도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그로 인해 장치의 부피가 크고 설치공간이 크기 때문에 선박의 크기에 따라 적용이 곤란한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적절히 해결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였다.
한편, 건물 등의 협소한 주차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주차타워 등을 설치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으나, 주차타워를 설치하기 어려운 공간에서는 하나의 층을 분할하여 여러 층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창고나 화물차량의 적재함 등도 물건의 크기에 따라서 적재공간을 가변하여 사용하여야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316013호, (2021. 10. 22)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율적인 작동구조를 가져 효율적인 방식으로 복수의 데크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거나 한번에 구동할 수 있는 데크 승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아울러 그를 포함하는 선박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데크 승강시스템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데크와, 상기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 유닛과, 일단부가 상기 이동데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방향전환시브를 경유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결합된 복수의 승강와이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데크유닛; 상기 데크유닛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시브; 상기 데크유닛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닛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시브와 간격이 조절되는 제2시브; 복수의 상기 데크유닛을 경유하며 각 데크유닛의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를 동시에 감아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와이어; 및 상기 구동와이어를 당겨 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데크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여 복수의 상기 데크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제2시브의 위치만 선택적으로 가변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유닛과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유닛이 고정위치에 도착하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딩 유닛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구동장치에 의해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닛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유닛으로 삽입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유압, 전기력, 및 자기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어 직선운동하는 랙바와, 상기 랙바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닛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유닛으로 삽입되는 상기 고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는, 각 회전축을 연결한 가상의 선이 상기 구동와이어가 상기 데크유닛을 경유하여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구동와이어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는 직경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시브와 상기 승강와이어는 상기 가상의 선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2시브는 상기 제1시브와 마주보는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와이어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향전환시브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데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와이어는, 상기 구동기 또는 인접한 데크유닛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데크유닛으로 들어오며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 중 어느 하나와 접하는 제1구간과,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 중 나머지 하나와 접하며 인접한 다른 데크유닛으로 연장되는 제2구간과,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와 동시에 접하는 제3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시브 및 상기 제2시브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비틀리게 배치되어,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이 서로 다른 높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시브가 동일 회전축 상에 중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와이어는,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 사이를 복수 회 동시에 감고 인접한 데크유닛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위치가 가변되는 상기 제2시브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상기 데크유닛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이동데크가 승강되거나, 복수의 상기 이동데크가 동시에 승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 승강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은, 선체; 및 상기 선체 내부에 설치되는 데크 승강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등이 탑재되는 데크를 효율적인 방식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데크의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키는 구조로 구동기에 전가되는 하중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데크를 그러한 방식으로 매우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승강데크를 선택하여 복수의 데크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의 데크를 한꺼번에 동작시키는 데도 유리하다. 따라서 차량 선적 등의 공정에서 종래 대비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와이어를 이용한 동력 전달 구조로, 데크유닛의 배치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다양한 형상의 선박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주차장 시스템, 창고, 적재함 등에 쉽게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크 승강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크 승강시스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데크 승강시스템의 구동와이어의 감김구조 및 구동력 전달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데크 승강시스템의 구동와이어의 감김구조 및 작동방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데크 승강시스템의 제1시브와 제2시브의 감김구조를 확대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데크 승강시스템의 슬라이딩유닛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데크 승강시스템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데크유닛을 확대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데크유닛의 작동도이다.
도 9는 제1시브와 제2시브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2의 데크 승강시스템 전체의 작동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크 승강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데크 승강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선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데크 승강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그를 바탕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데크 승강시스템이 포함된 선박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크 승강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크 승강시스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데크 승강시스템(10)은, 이동데크(150)를 포함하는 데크유닛(100)이 복수 개 형성된다. 각각의 데크유닛(10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며 모두 구동와이어(200)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이동데크(150)를 승강시킨다(도 8참조).
구동와이어(200)는 각각의 데크유닛(100)을 경유한다. 구동와이어(200)는 복수의 데크유닛(100)들을 통과하되, 각 데크유닛(100)에 설치된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를 동시에 감고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각 데크유닛(100)의 제1시브(110)는 고정되고, 제2시브(120)는 슬라이딩 유닛(140)에 결합되어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제2시브(120)는 일종의 움직도르래와 같이 작용한다(도 3의 (d)참조). 따라서 구동와이어(200)를 당겨 제2시브(120)를 움직이면 그와 연결된 연결구조(슬라이딩 유닛 및 승강와이어)를 이용하여 이동데크(15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제2시브(120)와 슬라이딩 유닛(140)은 고정유닛(도 6의 142참조)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데크유닛(100) 중 필요한 데크유닛(100)만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 있고, 복수의 데크유닛(100)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데크 승강시스템(1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데크 승강시스템(10)은, 프레임(130)과, 프레임(130)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데크(150)와, 프레임(13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 유닛(140)과, 일단부가 이동데크(15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프레임(130)에 설치된 방향전환시브(131)를 경유하여 슬라이딩 유닛(140)에 결합된 복수의 승강와이어(160)를 포함하는 복수의 데크유닛(100), 데크유닛(100)마다 각각 설치되며, 각 데크유닛(100)의 프레임(130)에 고정된 제1시브(110), 데크유닛(100)마다 각각 설치되며, 각 데크유닛(100)의 슬라이딩 유닛(14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닛(140)이 이동함에 따라 제1시브(110)와 간격이 조절되는 제2시브(120), 복수의 데크유닛(100)을 경유하며 각 데크유닛(100)의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를 동시에 감아 슬라이딩 유닛(14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와이어(200), 및 구동와이어(200)를 당겨 슬라이딩 유닛(14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기(2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크 승강시스템(10)은 데크유닛(100)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유닛(140)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여 복수의 데크유닛(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2시브(120)의 위치만 선택적으로 가변시키는 고정유닛(도 6의 142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유닛(142)은 각 데크유닛(100)의 슬라이딩 유닛(140)과 프레임(13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고, 슬라이딩 유닛(140)이 고정위치에 도착하면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딩 유닛(140)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프레임(130)으로부터 돌출되어 슬라이딩 유닛(14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유닛(142)이 각 슬라이딩 유닛(140)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지만, 고정유닛은 슬라이딩 유닛(140)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므로 프레임 측에 설치되거나 슬라이딩 유닛과 프레임 양 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본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데크유닛(100)은 복수로 형성된다. 데크유닛(10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이 가능하므로 도시된 구조를 필요한만큼 연장하여 다수의 데크유닛(100)이 포함된 데크 승강시스템(1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데크 승강시스템(10)을 상하로 배치하여 다층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배치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데크 승강시스템(10)이 포함된 선박(도 12의 1참조)을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데크유닛(100)은 프레임(130)과, 이동데크(150), 슬라이딩 유닛(140), 및 승강와이어(1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0) 내부에는 적재공간이 형성되며 이동데크(150)는 프레임(130) 내부공간에서 승강되며 높이가 변동된다(도 8참조). 승강와이어(160)는 프레임(130)에 설치된 방향전환시브(131)를 경유하여 슬라이딩 유닛(140)과 이동데크(150)를 연결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유닛(140)이 움직이면 승강와이어(160)가 이동데크(150)를 견인하여 승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데크유닛(100)의 구조는 복수의 데크유닛(100)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부 데크유닛(100)은 다른 데크유닛(100)보다 적재공간이 크게 형성되는 등 부분적인 변형은 가능하나 구동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을 참조하여 하나의 데크유닛(100)에 대한 구조적 측면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은 다른 데크유닛(100)에 대해서도 동등하게 적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데크유닛(100)의 프레임(130)은 내부가 빈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내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프레임(130)이 세부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2의 평면도(도 2 (a))와 정면도(도 2 (b))에는 구조가 그대로 나타나 있다. 프레임(130)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된 모서리들을 포함하는 골조일 수 있으며 측면 등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프레임(130)의 상부와 하부 등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재들도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데크유닛(100) 설치를 위한 인위적 구조물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선박에 사용할 경우 선체 구조물의 일부가 될 수도 있고, 건물 내부의 주차장 시스템이나 물건 적재시스템으로 사용할 경우, 건물 구조물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즉, 프레임(130)은 데크유닛(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데크 승강시스템(10)이 설치될 수 있는 구조물이라면 형상이나 크기 등에 관계없이 어느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동데크(150)는 프레임(13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데크(150)는 평면구조물일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수직방향으로 평행 이동(승강)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레임(130)의 기둥부분 등에 이동데크(15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도 있고 이동데크(150)의 측면에 필요에 따라 돌출되거나 인입되어 프레임(130)에 고정되는 락킹구조(미도시)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한 구조들은 필요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슬라이딩 유닛(140)은 프레임(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유닛(140)은 예를 들어, 프레임(13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132)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레일(13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유닛(140)은 프레임(130)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딩 유닛(140)은 제2시브(120)와 결합되어, 제2시브(120)를 이동가능한 구조로 형성하는 작용을 한다(즉 제2시브는 슬라이딩 유닛과 결합되어 한몸으로 움직인다). 또한 승강와이어(160)와도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시브(120)가 움직이면 함께 움직이면서 승강와이어(160)를 견인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슬라이딩 유닛(14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슬라이딩 유닛(140)은 편의상 프레임(130)의 상부에 배치된 구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와이어 구동방식의 특성상 슬라이딩 유닛(140)이 반드시 프레임(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즉, 와이어로 동력 전달이 가능한 공간이라면, 프레임(130)의 측부, 하부 또는 데크유닛(100)과 다소 이격된 위치에도 설치가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슬라이딩 유닛(140)은 내부구조를 드러내기 위해 몸체(도 6의 141참조)를 가상선으로 도시하였으므로 유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승강와이어(160)는 일단부가 이동데크(15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프레임(130)에 설치된 방향전환시브(131)를 경유하여 슬라이딩 유닛(140)에 결합된다. 승강와이어(160)는 복수로 형성되며 이동데크(150) 각 모서리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승강와이어(160)는 일단부가 이동데크(15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시브(131)를 경유하여 슬라이딩 유닛(140)의 후방에 연결될 수 있다. 승강와이어(160)는 방향전환시브(131)에 의해 굴절되며 진행방향이 바뀔 수 있다.
방향전환시브(131)는 프레임(13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방향전환시브(131)는 이동데크(150)의 네 모서리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승강와이어(160)를 이동데크(150)의 네 모서리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동데크(150)의 네 모서리와 연결된 각각의 승강와이어(160)는 각각에 접하는 방향전환시브(131)들을 경유하여 슬라이딩 유닛(140)의 후방으로 모이게 되며 그로 인해 복수의 승강와이어(160)는 모두 슬라이딩 유닛(140) 일 측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유닛(140)의 이동에 의해 동시에 당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와이어(160)를 이동데크(150)와 슬라이딩 유닛(140) 사이에 연결하기 위해 방향전환시브(131)는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시브(도 7의 131a참조)를 슬라이딩 유닛(140) 후방에 배치하고 이동데크(150)의 네 모서리 상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시브(도 7의 131b참조) 배치하고 수평시브(131a)로부터 4군데의 수직시브(131b)로 승강와이어(160)를 분배하여 슬라이딩 유닛(140) 후방으로부터 이동데크(150)의 각 모서리로 복수의 승강와이어(160)를 연결할 수 있다.
방향전환시브(131)는 수평시브(131a)와 수직시브(131b)가 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그 밖에도 승강와이어(160)의 진로를 적절히 바꾸어 수직으로 이동하는 이동데크(150)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유닛(140) 사이에 승강와이어(160)를 연결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방향전환시브(1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각 데크유닛(100)마다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하 별도로 설명하지 않더라도 다른 데크유닛(100) 역시 동일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데크유닛(100)들은 프레임(130)을 연결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그와 같이 프레임(130)들이 연결된 경우 각 데크유닛(100)의 프레임(130)들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30)은 설치장소에 배치된 구조물을 그대로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는 이러한 데크유닛(100)마다 각각 설치된다. 도 2에는 서로 다른 4개의 데크유닛(100)이 도시되어 있고, 각 데크유닛(100)마다 배치된 4개의 제1시브(110) 및 제2시브(120)의 쌍이 확인된다. 데크유닛(100)의 숫자가 증가되면 그에 대응하여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의 쌍도 증가된다.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는 각각의 데크유닛(10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제1시브(110)는 데크유닛(100)의 프레임(130)에 고정되며, 제2시브(120)는 데크유닛(100)의 슬라이딩 유닛(140)에 결합된다. 슬라이딩 유닛(140)은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2시브(120)는 슬라이딩 유닛(140)이 이동함에 따라 제1시브(110)와의 간격이 조절된다. 즉 구동와이어(200)는 제2시브(120)에 걸려있지만 제2시브(120)가 슬라이딩 유닛(140)과 결합되므로 구동와이어(200)가 당겨지면 실질적으로 구동력은 제2시브(120)를 통해 슬라이딩 유닛(14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유닛(140)이 이동하면 그에 결합된 승강와이어가 견인된다. 즉 제2시브(120)는 슬라이딩 유닛(140)과 함께 이동하여 제1시브(110)와의 간격이 변동되는 일종의 움직도르래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가 각 데크유닛(100)마다 배치된다.
구동와이어(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데크유닛(100)을 경유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동와이어(200)는 각 데크유닛(100)마다 각 데크유닛(100)에 설치된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를 동시에 감고 인접한 다른 데크유닛(100)으로 연장된다. 구동와이어(200)가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 사이에 감겨 있으므로, 구동와이어(200)가 당겨지면 제2시브(120)가 움직도르래로 작용하여 슬라이딩 유닛(140)이 움직일 수 있다. 즉 구동와이어(200)는 각 데크유닛(100)의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를 동시에 감아 슬라이딩 유닛(14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동시에 감는다는 것은, 제1시브(110)를 고정점으로, 제2시브(120)를 그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두 시브를 감는 것으로, 감는 순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면, 제2시브(120)를 먼저 감고 굴절되어 제1시브(110)를 감는 방식으로 양 측 시브를 동시에 감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감김구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도 3참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와이어(200)의 일단부는 데크유닛(100) 외측에 형성된 구동기(2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복수의 데크유닛(100)을 경유한 후 마지막 데크유닛(100)의 고정단(도 2의 220참조)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기(210)는 윈치일 수 있고 고정단은 일종의 앵커일 수 있다. 그러나 그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구동기(210)는 구동와이어(200)를 당길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윈치 외에도 유압식 실린더나 또 다른 견인장치(구동와이어를 당겨 변위를 발생시키거나 그를 통해 장력을 가할 수 있는 구조) 등을 활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구동와이어(200)는 인입도르래(도 1의 133참조)를 거쳐 데크유닛으로 인입되며 각 데크유닛(100)마다 설치된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를 동시에 감고 다른 데크유닛(100)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반복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동와이어(200)의 감김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데크 승강시스템의 구동와이어의 감김구조 및 구동력 전달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2의 데크 승강시스템의 구동와이어의 감김구조 및 작동방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데크 승강시스템의 제1시브와 제2시브의 감김구조를 확대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의 (a), (b), (c)는 구동와이어(200)가 시브에 감기는 방식을 예시한다. 도 3의 (a)~(c)는 구동와이어(200)의 감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감김 순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므로 감김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일한 감김 구조를 도시된 역순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므로 감김 방식은 예시적이며 도면으로 한정될 필요가 없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데크유닛(도 2의 100참조)의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는 슬라이딩 유닛(140)이 슬라이딩 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시브(120)는 슬라이딩 유닛(140)에 결합되어 제1시브(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반면 제1시브(110)는 프레임(도 2의 130참조)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구동와이어(200)는 다음과 같이 각 시브에 감길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와이어(200)는 데크유닛의 일 측으로 진입하여 도 3의 (a)처럼 한번 굴절되어 제2시브(120)에 감긴 후, 도 3의 (b)처럼 제1시브(110)를 따라 재차 굴절되어 제1시브(110)에도 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를 동시에 감은 후, 도 3의 (c)처럼 진입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시브(120)를 지나 다음 데크유닛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와이어(200)가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 양측을 동시에 감고 있으므로(도 3 (c)참조) 구동기(도 1의 210참조)등으로 구동와이어(200)를 당겨 장력을 가하면 도 3의 (d)처럼 제2시브(120)는 고정된 제1시브(11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2시브(120)는 슬라이딩 유닛(140)에 결합되어 구동이 가능하므로 이와 같이 구동와이어(200)를 당기면 위치가 가변되는 움직도르래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 유닛(140)은 도 3의 (d)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유닛(142)이 슬라이딩 유닛(140)의 구속을 해제(예를 들어, 고정블록(142a)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해제할 수 있다)한 상태에서만 움직이므로, 고정유닛(142)으로 복수의 데크유닛 중 특정 데크유닛의 슬라이딩 유닛(140)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원하는 데크유닛의 제2시브(120)만 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구동와이어(200)는 도 3의 (a)~(c)에 예시된 방식으로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를 동시에 감아 제2시브(120)에 결합된 슬라이딩 유닛(14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이며, 데크유닛(100)에 설치되는 고정유닛(142)은 슬라이딩 유닛(140)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여 복수의 데크유닛(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2시브(120)의 위치만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단일 구동와이어(200)를 당겨 복수의 데크유닛 중 필요한 데크유닛만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도 11참조).
고정유닛(142)의 구조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와이어(200)는 이와 같은 감김구조를 서로 다른 복수의 데크유닛(100)에 대해 반복함으로써 단일 구동와이어(200)로 모든 데크유닛(100)의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를 반복하여 감게 된다. 도 4는 구동와이어(200)의 감김구조를 분명히 도시하기 위해 다른 구조(예, 이동데크, 승강와이어 등)는 생략되었으며, 확대도에는 전술한 구동와이어(200)의 감김구조(하단 확대도)와 구동와이어(200)를 당겨 제2시브(120)가 움직이는 동작(상단 확대도)이 사시도로 나타나 있으므로 참고한다.
이로 인해 구동와이어(200)는 예를 들어, 구동기(210) 또는 인접한 데크유닛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데크유닛으로 들어오며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 중 어느 하나와 접하는 제1구간(201)과,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 중 나머지 하나와 접하며 인접한 다른 데크유닛으로 연장되는 제2구간(202)과,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와 동시에 접하는 제3구간(2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간(201)과 제2구간(202)과 제3구간(203)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시브의 배치구조와 시브의 크기 등에 따라서 반드시 그렇지는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시브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제1구간(201)과 제2구간(202)과 제3구간(203)을 가능한 평행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시브(110)는 구동와이어(200)의 감김구조를 위해 약간 경사지게(회전축이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경사상태로 고정이 가능하도록 제1시브(110)는 회전축이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시브하우징(도 5의 111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데크유닛이나 구동기(210)로부터 들어와 제2시브(120)와 접하는 제1구간(201)을 피해서 제1시브(110)를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1시브(110)의 일 지점을 제2시브(120)와 수평위치에 놓고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제1시브(110)의 타 지점으로부터 구동와이어(200)를 연장하여 제2시브(120)와의 간섭도 제거할 수 있다. 즉 도시된 것처럼 제1시브(110)와 접하며 인접한 다른 데크유닛으로 연장되는 제2구간(202)을 제1시브(110)의 경사를 이용하여 제2시브(120) 상방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경사의 적절한 조절을 통해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와 동시에 접하는 제3구간(203)은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시브(110) 및 제2시브(12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비틀리게 배치되어, 제1구간(201)과 제2구간(202)이 서로 다른 높이에 있을 수 있다. 이때 비틀리게 배치된다는 것은 각 시브의 회전축이 평행하게 정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상태는 도 4의 확대도에도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위치가 가변되는 제2시브(12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하고 고정상태인 제1시브(110)를 약간 비틀린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즉 구동와이어(200)는 인접한 데크유닛이나 구동기(210)로부터 인입되어 제2시브(120)와 접하는 제1구간(201)과, 제1시브(110)와 접하며 인접한 다른 데크유닛으로 연장되는 제2구간(202)을 제1시브(110)의 경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와이어간 또는 구조물과 와이어 사이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구동와이어(200)로 복수의 시브를 감더라도 와이어 간 교차나 다른 구조물과의 교차 등이 제거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슬라이딩 유닛과 고정유닛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데크 승강시스템의 슬라이딩 유닛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슬라이딩 유닛(140)은 내부구조를 드러내기 위해 몸체(도 3의 141참조)를 가상선으로 도시하였으므로 유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유닛(140)은 이동가능한 몸체(141)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유닛(140)의 몸체(141)는 전술한 프레임(도 1 및 도 2의 130참조)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도 3의 132참조)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레일(13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유닛(140)의 몸체(141)는 예를 들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판체가 결합된 구조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5참조). 몸체(14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다른 구조물을 포함하고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유닛(140)에는 제2시브(120)가 결합되며 제2시브(120) 반대편에는 전술한 승강와이어(160)도 결합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유닛(140)은 제2시브(120)와 승강와이어(16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조의 역할도 겸비한다. 따라서 구동와이어(200)가 제2시브(120)를 통해 슬라이딩 유닛(140)에 구동력을 전달하면 슬라이딩 유닛(140)이 이동하면서 승강와이어(160)를 견인한다.
제2시브(120)와 승강와이어(160)는 슬라이딩 유닛(140)의 양단부(즉, 몸체(141)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제2시브(120)는 전술한 제1시브(도 3 내지 도 5의 110참조)와 마주보는 내측에 배치되며 승강와이어(160)는 그 반대편인 외측으로 연장되어 전술한 방향전환시브(도 1의 131참조)를 경유하여 이동데크(도 1의 150참조)에 연결된다. 제2시브(120)가 제1시브(110)와 마주보고 있고, 승강와이어(160)는 그 반대편에 위치하므로 구동와이어(200)에 의해 제2시브(120)가 제1시브(110) 측으로 당겨지면 승강와이어(160)가 동일방향으로 당겨지며 승강와이어(160)에 연결된 이동데크(15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와이어(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로 형성되어 이동데크(150)의 네 모서리와 연결되고 각각의 승강와이어(160)는 각각에 접하는 방향전환시브(131)들을 경유하여 슬라이딩 유닛(140)의 후방(도면의 우측이며 제2시브의 반대편을 의미한다)으로 모이게 된다. 그로 인해 복수의 승강와이어(160)는 모두 슬라이딩 유닛(140) 일 측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유닛(140)이 이동하면 동시에 당겨질 수 있다. 승강와이어(160)는 슬라이딩 유닛(140)의 몸체(141)에 앵커(143)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유닛(140)에는 고정유닛(142)도 배치될 수 있다. 고정유닛(142)은 슬라이딩 유닛(140)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구조로서 그러한 작용을 통해 특정 데크유닛의 제2시브(120)만 선택적으로 가변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고정유닛(142)은 슬라이딩 유닛(140)과 데크유닛의 프레임(도 2의 130참조)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고, 슬라이딩 유닛(140)이 고정위치(슬라이딩 레일 상의 특정 위치일 수 있다. 고정위치는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는 것이므로 어느 고정된 위치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에 도착하면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딩 유닛(140)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프레임(130)으로부터 돌출되어 슬라이딩 유닛(14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유닛(142)은 구동장치에 의해 돌출되어 슬라이딩 유닛(140)으로부터 프레임(130)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유닛으로 삽입되는 고정블록(142a)을 포함하고, 구동장치는 유압, 전기력, 및 자기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고정유닛(142)의 돌출부는 유압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므로 그러한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고정유닛(142)은 유압실린더로 고정블록(142a)을 구동할 수도 있고, 모터 등 전력으로 작동하는 구동장치로 고정블록(142a)를 구동할 수 있고, 그 외 다른 구조(예를 들어, 전자석 등을 이용한 자기력을 이용한 반발력으로 돌출되는 구동장치 등)로 고정블록(142a)을 구동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장치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블록의 조작이 가능한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고정블록을 작동시킬 수 있다. 구동장치는 그러한 가능한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유닛(142)이 슬라이딩 유닛(140)에 설치된 예를 설명한다. 고정유닛(142)의 구조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고정유닛(142)은 피니언 기어(142d)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42c)와, 피니언 기어(142d)에 치합되어 직선운동하는 랙바(142b)와, 랙바(142b)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유닛(140)으로부터 프레임(130)으로 삽입되는 고정블록(142a)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고정유닛(142)에는 고정블록(142a)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142e)들도 배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142c)는 중앙의 피니언 기어(142d)에 연결되어 피니언 기어(142d)를 구동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42d)가 회전하면 랙바(142b)와 랙바(142b)에 연결된 고정블록(142a)이 직선 운동하여(화살표 참조) 슬라이딩 유닛(140)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슬라이딩 유닛(140) 안쪽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유닛으로부터 돌출되어 프레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가동식 돌출구조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유닛(140)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3의 (a)~(c)에서 슬라이딩 유닛(140)은 구속된 상태일 수 있고, 도 3의 (d)에서 슬라이딩 유닛(140)은 구속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도 3의 132참조)에는 이러한 고정블록(142a)이 관통 고정되는 홈(미도시) 등이 적절한 위치에 (복수로)형성될 수 있다. 홈은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블록(142a)이 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닛이)고정되는 고정위치도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유닛(140)의 고정위치에 따라 이동데크의 높이가 바뀌므로 그와 같이 슬라이딩 유닛(140)의 고정위치를 다수로 형성하여 이동데크의 높이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유닛(142)은 고정블록(142a)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는 복수의 데크유닛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유닛(142)들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복수의 데크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크유닛(100)에 설치된 고정유닛(142)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그를 통해 해당 데크유닛의 슬라이딩 유닛(140)을 선택적으로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데크유닛에 설치된 제1시브와 제2시브의 상호배치 및 구동와이어에 의한 이동데크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도 9를 참조하여 제1시브와 제2시브의 변형례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도 7은 도 2의 데크 승강시스템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데크유닛을 확대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데크유닛의 작동도이며, 도 9는 제1시브와 제2시브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역시 도면에서 슬라이딩 유닛(140)은 내부구조를 드러내기 위해 몸체(도 3의 141참조)를 가상선으로 도시하였으므로 유의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데크유닛(100)에 설치된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의 배치가 확인된다. 제2시브(120)는 전술한 슬라이딩 유닛(140)에 결합되고 제1시브(110)는 프레임(130) 상부구조물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구동와이어(200)는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를 동시에 감고 인접한 다른 데크유닛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는 각 회전축을 연결한 가상의 선이 구동와이어(200)가 데크유닛(100)을 경유하여 연장된 방향과 동일 방향이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슬라이딩 유닛(140)의 슬라이딩 방향 역시 그와 동일할 수 있다. 즉 구동와이어(200)는 슬라이딩 유닛(140)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는 직경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구동와이어(200) 전체의 연장방향과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 사이에 감긴 구동와이어(200)의 감김부위(예를 들어 전술한 제1구간, 제2구간, 및 제3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의 연장방향을 일치시켜 양자를 평행하게 유지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확대도를 참조하면, 제2시브(120)와 승강와이어(160)는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의 각 회전축을 연결한 가상의 선을 따라 슬라이딩 유닛(14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2시브(120)는 제1시브(110)와 마주보는 내측에 배치되고 승강와이어(160)는 그 반대편인 외측으로 연장되어 전술한 방향전환시브(131)를 경유하여 이동데크(150)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와 승강와이어(160)의 말단부가 실질적인 일직선상에 놓여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의 간격 조정에 의한 변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승강와이어(160)는 제2시브(120)의 반대편에 모여있어 구동력이 제공되면 동시에 당겨지며 각 승강와이어는 방향전환시브(131)를 경유하여 이동데크(150)의 모서리들을 동시에 승강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시브(131a)를 슬라이딩 유닛(140) 후방에 배치하고 이동데크(150)의 네 모서리 상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시브(131) 배치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유닛(140) 후방으로부터 이동데크(150)의 각 모서리로 복수의 승강와이어(160)를 분배하여 연결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러한 구조에 의해 구동와이어(200)가 당겨지면 이동데크(150)는 상승하게 된다. 구동와이어(200)가 제2시브(120)를 제1시브(110) 측으로 당겨 제2시브(120)에 연결된 슬라이딩 유닛(140)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슬라이딩 유닛(140)에 연결된 승강와이어(160)가 이동데크(150)를 상방으로 견인하게 된다. 이때 고정유닛(142)은, 고정블록(142a)이 인입되어 슬라이딩 유닛(140)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이다. 이동데크(150)가 상승하여 목적한 위치에 도달하면 고정블록(142a)을 다시 돌출시켜 슬라이딩 유닛(140)이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2시브(120)가 움직도르래로 작용하여 힘의 이득을 발생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구동와이어(200)를 당기는 구동기(도 1 및 도 2의 210참조)에 하중이 적게 가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일 구동와이어(200)로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를 감는 구조이기 때문에 구조적으로도 간결하다. 또한 고정유닛(142)의 동작만으로 제2시브(120)를 움직이거나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를 통한 이동데크(150)의 조작도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동작을 역으로 진행하면 (즉 고정유닛(142)의 구속을 해제하고, 구동와이어를 천천히 풀어 장력을 해소하고 슬라이딩 유닛을 역으로 이동시키면)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의 간격을 원래대로 증가시키면서 이동데크(150)를 원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는 도 9에 예시된 형태 등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는 단일 시브를 기준으로 설명되지만, 필요에 따라 각 시브를 중첩하여 복수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처럼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시브가 동일 회전축 상에 중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와이어(200)는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 사이를 복수 회 동시에 감고 인접한 데크유닛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도 3의 감김구조를 복수의 시브가 중첩된 형태의 제1시브(110) 및 제2시브(120)에 반복 적용하여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 사이에 구동와이어(200)가 수회 감기는 방식으로 움직도르래에 의한 효과(힘의 이득)를 증폭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9의 변형례에서, 구동와이어(200)는 각각 3개의 중첩된 제1시브(110)와 3개의 중첩된 제2시브(120)사이를 복수 회 동시에 감고 인접한 데크유닛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와이어(200)는 제1구간(201)이 최하단의 제2시브(120)에 감긴 후 재차 굴절되어 최하단의 제1시브(110)에도 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최하단의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를 동시에 감은 후, 다시 그 위의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에도 이를 반복할 수 있으며 다시 최상단의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에도 이를 반복한 후 최상단의 제2시브(120)를 지나 다음 데크유닛으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구간(202)은 최상단의 제1시브(110)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시브(110) 및 제2시브(120)와 동시에 접하는 제3구간(203)은 각 시브의 중첩된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중첩된 시브들을 연결하기 위해 높이가 다른 시브 사이를 연결하는 전이구간(204)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단일 구동와이어(200)가 지그재그 형태로 복수의 제1시브(110)와 복수의 제2시브(120)를 수차례 감고 빠져나가는 구조이므로 움직도르래(즉 제2시브)의 개수를 늘려 힘의 이득을 증폭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계에 무리를 주지 않고 더욱 효과적으로 이동데크를 가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와이어(200)를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에 감고 제2시브(120)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이동데크(15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2의 데크 승강시스템 전체의 작동도이다.
이러한 데크유닛(100)의 가동은 도 10에 도시된 데크 승강시스템(10) 전체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고정유닛(142)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조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0의 확대도처럼, 복수의 데크유닛(100)에 설치된 고정유닛(142)이 모두 돌출상태(고정블록(142a)이 돌출됨)로 슬라이딩 유닛(140)을 구속하면 모든 데크유닛(100)의 제2시브(120)가 움직이지 못하므로 모든 데크유닛(100)의 가동이 중지된다.
그러나 도 11의 확대도처럼, 어느 하나의 데크유닛(100')에 설치된 고정유닛(142)만 선택하여 슬라이딩 유닛(140)의 구속을 해제하면(해당 데크유닛의 고정블록(142a)만 삽입) 해당 데크유닛(100')의 제2시브(120)만 움직이므로 특정 데크유닛(100')의 이동데크(150)만 상승시킬 수 있다. 즉 구동와이어(200) 전체가 당겨지더라도 제2시브(120)가 구속된 다른 데크유닛(100)들은 제1시브(110)와 제2시브(120) 모두 고정도르래의 역할만 하기 때문에 구속이 해제된 데크유닛(100')의 제2시브(120)로 장력을 전달하는 역할만 하게 된다. 따라서 구속이 해제된 특정 데크유닛(100')의 제2시브(120)만 선택적으로 위치가 가변된다.
이러한 구조는 전술한 제어부(미도시) 등의 제어에 의해 하나 또는 복수의 데크유닛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단일 구동와이어(200)로 복수의 데크유닛(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가동할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데크 승강시스템(10) 전체의 데크유닛(100)들을 동시에 가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각 데크유닛(100)의 제2시브(1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또는 전체의 위치를 얼마든지 선택하여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위치가 가변되는 제2시브(120)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데크유닛(100) 중 어느 하나의 이동데크(150)가 승강되거나, 복수의 이동데크(150)가 동시에 승강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데크유닛(100)의 이동데크(150) 위치를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고, 모든 데크유닛(100)의 이동데크(150)를 동시에 조절하여 높이를 한꺼번에 바꿀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적절하게 이동데크(150)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크 승강시스템(10)을 매우 효율적인 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크 승강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데크 승강시스템은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크 승강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의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박(1)은 선체(11)와, 선체(11) 내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데크 승강시스템(10)을 포함한다. 선체(11)는 차량을 선적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차량운반선 등의 선체(11)일 수 있다. 그러한 선체(11)의 내부 적재공간에 본 발명의 데크 승강시스템(1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데크 승강시스템(10)을 구성하는 데크유닛(100)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필요한 만큼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선체(11)길이와 적재공간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데크유닛(100)의 숫자를 늘릴 수 있다. 도면은 그 일부만을 도시한 것이다.
데크 승강시스템(10)이 선박 등에 적용되는 경우 프레임(130)은 전술한 것처럼 선체(11)를 직접 활용할 수 있다. 즉 프레임(130)은 선체(11)에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등 선체구조물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선체(11)에 형성된 구조물을 프레임(130)으로 사용하여 본 발명의 데크 승강시스템(10)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
데크 승강시스템(10)은 선체(11)가 다층의 적재갑판을 구비하는 경우 상하로 적층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은 역시 그 일부를 도시한 것이며 적층되는 데크 승강시스템(10)의 수는 필요한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체(11) 내부에 전술한 데크 승강시스템(10)을 적용하여 이동데크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고 다양한 크기의 차량을 선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데크 승강시스템(10)이 구비된 선박(1)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선박 11: 선체
10: 데크 승강시스템 100, 100': 데크유닛
110: 제1시브 111: 고정시브하우징
120: 제2시브 130: 프레임
131: 방향전환시브 131a: 수평시브
131b: 수직시브 132: 슬라이딩 레일
133: 인입도르래 140: 슬라이딩 유닛
141: 몸체 142: 고정유닛
142a: 고정블록 142b: 랙바
142c: 구동모터 142d: 피니언 기어
142e: 센서 143: 앵커
150: 이동데크 160: 승강와이어
200: 구동와이어 201: 제1구간
202: 제2구간 203: 제3구간
204: 전이구간 210: 구동기
220: 고정단

Claims (1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데크와,
    상기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 유닛과,
    일단부가 상기 이동데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방향전환시브를 경유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결합된 복수의 승강와이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데크유닛;
    상기 데크유닛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시브;
    상기 데크유닛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닛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시브와 간격이 조절되는 제2시브;
    복수의 상기 데크유닛을 경유하며 각 데크유닛의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를 동시에 감는 감김구조를 복수의 데크유닛에 대해 반복함으로써, 모든 데크유닛의 제1시브와 제2시브를 반복하여 감아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단일 구동와이어; 및
    상기 구동와이어를 당겨 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데크 승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여 복수의 상기 데크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제2시브의 위치만 선택적으로 가변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데크 승강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유닛과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유닛이 고정위치에 도착하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딩 유닛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는 데크 승강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구동장치에 의해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닛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유닛으로 삽입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유압, 전기력, 및 자기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작동하는 데크 승강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어 직선운동하는 랙바와, 상기 랙바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닛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유닛으로 삽입되는 상기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데크 승강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는,
    각 회전축을 연결한 가상의 선이 상기 구동와이어가 상기 데크유닛을 경유하여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데크 승강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와이어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데크 승강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는 직경이 서로 동일한 데크 승강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브와 상기 승강와이어는 상기 가상의 선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2시브는 상기 제1시브와 마주보는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와이어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향전환시브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데크에 연결되는 데크 승강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와이어는,
    상기 구동기 또는 인접한 데크유닛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데크유닛으로 들어오며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 중 어느 하나와 접하는 제1구간과,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 중 나머지 하나와 접하며 인접한 다른 데크유닛으로 연장되는 제2구간과,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와 동시에 접하는 제3구간을 포함하는 데크 승강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브 및 상기 제2시브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비틀리게 배치되어,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이 서로 다른 높이에 있는 데크 승강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시브가 동일 회전축 상에 중첩되어 구성되는 데크 승강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와이어는,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 사이를 복수 회 동시에 감고 인접한 데크유닛으로 연장되는 데크 승강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위치가 가변되는 상기 제2시브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상기 데크유닛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이동데크가 승강되거나, 복수의 상기 이동데크가 동시에 승강되는 데크 승강시스템.
  15. 선체; 및
    상기 선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데크 승강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1020230070031A 2023-05-31 2023-05-31 데크 승강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선박 KR102657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0031A KR102657302B1 (ko) 2023-05-31 2023-05-31 데크 승강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0031A KR102657302B1 (ko) 2023-05-31 2023-05-31 데크 승강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302B1 true KR102657302B1 (ko) 2024-04-16

Family

ID=8715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0031A KR102657302B1 (ko) 2023-05-31 2023-05-31 데크 승강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3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024B1 (ko) * 2017-11-29 2020-03-17 전경주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
KR102316013B1 (ko) 2021-07-01 2021-10-22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024B1 (ko) * 2017-11-29 2020-03-17 전경주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팰릿 승강장치
KR102316013B1 (ko) 2021-07-01 2021-10-22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7891B2 (en) Removable frame systems for vehicle shipping
EP0650420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goods storage
EP2855201B1 (en) A platform system for a cargo compartment of a truck, lorry or trailer
CN107531175B (zh) 车辆拖车系统
US5755549A (en) Self loading and unloading cargo deck for pick up trucks
KR102657302B1 (ko) 데크 승강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선박
KR102494569B1 (ko)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US20060125258A1 (en) Lifting device for containers
JP2006265930A (ja) 駐車装置と昇降装置
KR100750268B1 (ko) 윙 바디 트레일러의 이중 가변식 적재함
US3452892A (en) Straddle carrier
GB2298842A (en) Motor vehicle transportation
JP2009166792A (ja) 昇降台駆動装置
JP2597305B2 (ja) 立体格納庫およびその立体格納庫における昇降装置
JP7383310B2 (ja) 荷物積卸システム
JP3085807B2 (ja) 自動車運搬船用リフタブルデッキ装置
KR102361388B1 (ko) 선박용 차량 데크 일괄 리프팅 시스템
RU20276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эростатно-канатной трелевки деревьев
CN114538328A (zh) 堆垛机及立体仓库
JP4029101B2 (ja) 立体駐車装置
KR20240059093A (ko) 크레인의 안티스웨이 시스템
JPS5841233B2 (ja) 船舶又は倉庫における台車の移動方法および装置
JP4585332B2 (ja) クレーン装置
SU944962A1 (ru) Кузов-фургон дл перевозки пакетированных грузов
SU1414682A1 (ru) Грузо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