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013B1 -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013B1
KR102316013B1 KR1020210086688A KR20210086688A KR102316013B1 KR 102316013 B1 KR102316013 B1 KR 102316013B1 KR 1020210086688 A KR1020210086688 A KR 1020210086688A KR 20210086688 A KR20210086688 A KR 20210086688A KR 102316013 B1 KR102316013 B1 KR 102316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wire
sliding
deck
wir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윤
오종철
임종우
Original Assignee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6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18Detachable decks
    • B63B25/20Detachable decks for motor vehi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4Fer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2003/485Decks movably connected to hull or super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수송하는 선박 내의 차량이 적재되는 데크를 리프팅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다양한 높이의 차량을 컴팩트하게 적재할 수 있어 적재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리프팅하고자 하는 데크를 즉각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줄이고 정박비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Vehicle Deck Lifting System for Ships}
본 발명은 차량을 수송하는 선박 내의 차량이 적재되는 데크를 리프팅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로로선박(RoRo; Roll On, Roll Off Ship)은 트럭이나 트레일러 또는 일반 차량을 수송하는 화물선으로, 별도의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들이 자가 동력으로 직접 승하선할 수 있은 선박을 의미한다.
이러한 로로선박은 싣고 내리는 시간이 짧으나 차량에 화물을 실어 나르기 때문에 화물창의 용적낭비가 심하고 화물적재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차량의 높이에 맞게 승강 가능한 리프터블 데크(liftable deck)가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데크는 공개특허 제10-2015-0102097호에서 제시하는 리프팅 장치에 의해 승강 가능하다.
그러나 리프팅 장치가 특정 데크를 리프팅하기 위해서는 해당 데크가 위치한 곳으로 매번 이동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이동시간을 포함한 작업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고, 특히 배를 정박한 시간에 따라 정박비 또한 증가하게 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084930호 (2011.11.11.)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다양한 높이의 차량을 컴팩트하게 적재함과 동시에 리프팅하고자 하는 데크를 즉각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박 내 차량이 적재되는 다수의 데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00); 연속된 데크(10)를 잇는 경로의 상부프레임(100)을 따라 배치되는 메인와이어(20)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전달모듈(200); 각 데크(10) 별로 구성되며 구동력전달모듈(200)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데크(10)의 모서리와 연결되는 보조와이어(40,41,42,43)를 이동시켜 데크(1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데크리프팅모듈(300);을 포함하고, 상기 데크리프팅모듈(300)은 하측에 슬라이딩유닛(320)이 거치되는 가이드레일(311)과, 측면에 락킹수단(340)이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락킹부(312)가 형성된 거치프레임(310)과, 상기 거치프레임(310) 내부에 수용되고, 위아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판(321)과 하판(32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321)과 하판(322) 사이의 공간으로 메인와이어(20)와 와이어클램프(360)가 관통하며, 가이드레일(311)을 따라 메인와이어(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일측에 보조와이어(40,41,42,43)가 결합되는 슬라이딩유닛(320)과, 상기 슬라이딩유닛(320)의 내측에 형성되고,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을 포함하는 슬라이딩블록(330)과, 상기 슬라이딩유닛(320)의 일측에 형성되고, 락킹부(312)에 체결되어 슬라이딩유닛(3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락킹부(312)에 체결해제되어 슬라이딩유닛(320)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락킹수단(340)과, 메인와이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메인와이어(20)에 고정결합되고, 메인와이어(20)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블록(330)을 밀어내거나 슬라이딩블록(330)이 밀어내는 힘을 지지하면서 슬라이딩유닛(32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되도록 하는 와이어클램프(3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이딩블록(331)은 제2슬라이딩블록(332)과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고, 그 수직단면이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제1메인와이어관통홀(331')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슬라이딩블록(332)은 제1메인와이어관통홀(331')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1메인와이어관통홀(331')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제2메인와이어관통홀(332')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2메인와이어관통홀(331',332')이 맞닿아 형성되는 원 형태의 수직단면을 가지는 관통홀의 직경(D2)은 메인와이어(20)의 직경(D1)보다 크고 와이어클램프(360)의 직경(D3)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은 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맞닿으면 제1,2메인와이어관통홀(331',332')로 메인와이어(20)는 통과하지만 와이어클램프(360)는 통과하지 못하고, ⅱ)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메인와이어(20)와 와이어클램프(360) 모두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다양한 높이의 차량을 컴팩트하게 적재할 수 있어 적재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리프팅하고자 하는 데크를 즉각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줄이고 정박비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하나의 데크를 리프팅하기 전, 도 2는 하나의 데크를 리프팅한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데크의 리프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데크의 하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데크리프팅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제1,2슬라이딩블록이 맞닿은 모습을 나타낸다.
도 14는 도 13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데크리프팅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제1,2슬라이딩블록이 멀어진 모습을 나타낸다.
도 16은 도 15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7은 제1,2슬라이딩블록의 이동에 따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a)는 제1,2슬라이딩블록이 가까워져서 맞닿은 모습을 나타내고, 도 17(b)는 제1,2슬라이딩블록이 멀리 떨어진 모습을 나타낸다.
도 18은 제1,2슬라이딩블록의 이동에 따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a)는 제1,2슬라이딩블록이 가까워져서 맞닿은 모습을 나타내고, 도 18(b)는 제1,2슬라이딩블록이 멀리 떨어진 모습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슬라이딩유닛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락킹수단이 저점데크락킹부에 락킹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락킹수단이 고점데크락킹부에 락킹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데크의 리프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데크의 하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데크리프팅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제1,2슬라이딩블록이 맞닿은 모습을 나타내고, 도 14는 도 13의 A부 확대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데크리프팅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제1,2슬라이딩블록이 멀어진 모습을 나타내고, 도 16은 도 15의 A부 확대도이고, 도 17은 제1,2슬라이딩블록의 이동에 따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a)는 제1,2슬라이딩블록이 가까워져서 맞닿은 모습을 나타내고, 도 17(b)는 제1,2슬라이딩블록이 멀리 떨어진 모습을 나타내고, 도 18은 제1,2슬라이딩블록의 이동에 따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a)는 제1,2슬라이딩블록이 가까워져서 맞닿은 모습을 나타내고, 도 18(b)는 제1,2슬라이딩블록이 멀리 떨어진 모습을 나타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슬라이딩유닛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락킹수단이 저점데크락킹부에 락킹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락킹수단이 고점데크락킹부에 락킹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상부프레임(100), 구동력전달모듈(200) 및 다수의 데크리프팅모듈(300a,300b,...)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각 데크(10a,10b,...) 별로 구성되는 데크리프팅모듈의 구성요소에 대한 식별부호는 데크의 식별부호와 대응되도록 알파벳 'a', 'b', ... 를 덧붙여 표기하였으나 각 구성은 동일한 것으로서 알파벳 표기 없이 데크리프팅모듈(300), 거치프레임(310), 슬라이딩유닛(320) 등과 같이 기재할 때는 이를 통칭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부프레임(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부프레임(100)은 선박 내 차량이 적재되는 다수의 데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차량을 수송하는 로로선박(RoRo; Roll On, Roll Off Ship)의 차량 적재 공간의 상부에 마련된 프레임을 이용하거나 다단의 데크(10) 중 리프팅하고자 하는 데크(10)의 상층 데크 바로 아래 상부프레임(100)을 부설하여 이용할 수 있다.
구동력전달모듈(200)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력전달모듈(200)은 연속된 데크(10)를 잇는 경로의 상부프레임(100)을 따라 배치되는 메인와이어(20)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력전달모듈(200)은 메인와이어(2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구동력전달모듈(210)과, 메인와이어(2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구동력전달모듈(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와이어(20)는 다수의 메인와이어시브(3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제1,2구동력전달모듈(210,220) 사이에서 폐경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2구동력전달모듈(210,220) 중 어느 하나의 구동으로 인해 메인와이어(20)에 가해지는 텐션이 기설정된 소정의 텐션 값 이상으로 상승하게 될 때 메인와이어(20)의 텐션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다른 하나가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에 따른 효과로서 메인와이어(20)의 텐션이 느슨해지지 않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데크리프팅모듈(300)에 대해 설명한다. 데크리프팅모듈(300)은 각 데크(10) 별로 구성되며 구동력전달모듈(200)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데크(10)의 모서리와 연결되는 보조와이어(40,41,42,43)를 이동시켜 데크(1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하며, 거치프레임(310)과, 슬라이딩유닛(320)과, 슬라이딩블록(330)과, 락킹수단(340)과, 턴버클(350)과, 와이어클램프(360)와, 클램프가이드(370)와, 로드블록(3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거치프레임(310)에 대해 설명한다. 거치프레임(310)은 슬라이딩유닛(320)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하측에 슬라이딩유닛(320)이 거치되는 가이드레일(311)과, 측면에 락킹수단(340)이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락킹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312)는 데크(10)가 상승하여 고점에 있을 때 락킹수단(34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점데크락킹부(312')와, 데크(10)가 하강하여 저점에 있을 때 락킹수단(34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저점데크락킹부(312")로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유닛(320)에 대해 설명한다. 슬라이딩유닛(320)은 상기 거치프레임(310) 내부에 수용되고, 위아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판(321)과 하판(32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321)과 하판(322) 사이의 공간으로 메인와이어(20)와 와이어클램프(360)가 관통하며, 가이드레일(311)을 따라 메인와이어(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일측에 보조와이어(40,41,42,43)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슬라이딩유닛(320) 일측에 연결된 보조와이어(40,41,42,4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보조와이어시브(5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데크(10)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기 때문에, 슬라이딩유닛(320)의 이동에 따라 데크(10)도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유닛(320) 일측과 보조와이어(40,41,42,43) 사이에는 턴버클(350)이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블록(330)에 대해 설명한다. 슬라이딩블록(330)은 상기 슬라이딩유닛(320)의 내측에 형성되고,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을 포함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은 도 11 내지 도 14와 같이 랙-피니언 방식으로 구동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슬라이딩블록(331)은 제2슬라이딩블록(332)과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고, 그 수직단면이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제1메인와이어관통홀(3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라이딩블록(332)은 제1메인와이어관통홀(331')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1메이와이어관통홀(331')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제2메인와이어관통관통홀(3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2메인와이어관통홀(331',332')이 맞닿아 형성되는 원 형태의 수직단면을 가지는 메인와이어관통홀의 직경(D2)은 메인와이어(20)의 직경(D1)보다 크고 와이어클램프(360)의 직경(D3)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은 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맞닿으면 제1,2메인와이어관통홀(331',332')로 메인와이어(20)는 통과하지만 와이어클램프(360)는 통과하지 못하고, ⅱ)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메인와이어(20)와 와이어클램프(360) 모두 통과할 수 있다.
락킹수단(340)에 대해 설명한다. 락킹수단(340)은 상기 슬라이딩유닛(320)의 일측에 형성되고, 락킹부(312)에 체결되어 슬라이딩유닛(3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락킹부(312)에 체결해제되어 슬라이딩유닛(320)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와이어클램프(360)에 대해 설명한다. 와이어클램프(360)는 메인와이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메인와이어(20)에 고정결합되고, 메인와이어(20)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블록(330)을 밀어내거나 슬라이딩블록(330)이 밀어내는 힘을 지지하면서 슬라이딩유닛(32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클램프가이드(370)에 대해 설명한다. 클램프가이드(370)는 슬라이딩유닛(320)의 하판(322)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슬라이딩유닛(320)의 상판(321)과 하판(322) 사이의 공간으로 와이어클램프(360)의 인입을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상기 클램프가이드(370)는 슬라이딩유닛(320)의 하판(322)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클램프가이드(371)와, 슬라이딩유닛(320)의 하판(322)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클램프가이드(3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로드블록(380)에 대해 설명한다. 로드블록(380)은 슬라이딩유닛(320)의 상판(321) 및 하판(322) 사이에 결합되고, 슬라이딩블록(33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와이어클램프(360)에 의해 슬라이딩블록(3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로드블록(380)은 메인와이어(20)를 사이에 두고 소정간격 이격배치되는 제1,2로드블록(381,382)과, 제1슬라이딩블록(331)을 사이에 두고 제1로드블록(381)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로드블록(383)과, 제2슬라이딩블록(332)을 사이에 두고 제2로드블록(382)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4로드블록(38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데크(10)의 리프팅 과정을 설명하고,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데크(10)의 하강 과정을 설명한다.
1. 데크의 리프팅 과정
우선 도 3의 데크(10a)를 먼저 리프팅시키기 위하여, ⅰ) 슬라이딩블록(330a)의 제1,2슬라이딩블록(331a,332a)은 맞닿도록 하고, ⅱ) 슬라이딩블록(330b)의 제1,2슬라이딩블록(331b,332b)은 멀어지도록 한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11에서 슬라이딩블록(330)이 도시되어 있으면,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은 맞닿은 것으로 보고, 슬라이딩블록(330)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면,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은 멀어진 것으로 본다. 그리고, 제1구동력전달모듈(210)으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도 4와 같이 메인와이어(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ⅰ) 와이어클램프(360a)는 슬라이딩블록(330a)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유닛(320a)도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데크(10a)가 리프팅하게 되지만, ⅱ) 와이어클램프(360b)는 슬라이딩블록(330b)의 제1,2슬라이딩블록(331b,332b)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슬라이딩블록(330b)을 밀어내지 못하여 데크(10b)가 리프팅하지 못한다.
다음으로, 데크(10b)를 리프팅시키기 위하여, 먼저 도 21과 같이 락킹수단(340a)을 거치프레임(310a)의 고점데크락킹부(312a')에 락킹시킨 후에 도 5와 같이 메인와이어(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ⅰ) 슬라이딩유닛(320a)은 락킹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클램프(360a)가 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데크(10a)가 리프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ⅱ) 와이어클램프(360b)는 슬라이딩블록(330b)의 제1,2슬라이딩블록(331b,332b)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다시 통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슬라이딩블록(330b)의 제1,2슬라이딩블록(331b,332b)이 맞닿도록 한 후에, 도 7과 같이 메인와이어(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와이어클램프(360b)는 슬라이딩블록(330b)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유닛(320b)도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데크(10b)가 리프팅하게 된다. 그리고, 데크(10b)의 리프팅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도 21과 같이 락킹수단(340b)을 거치프레임(310b)의 고점데크락킹부(312b')에 락킹시킬 수 있다.
2. 데크의 하강 과정
우선 도 7의 데크(10a)를 먼저 하강시키기 위하여, 거치프레임(310a)의 고점데크락킹부(312a')에 락킹된 락킹수단(340a)을 락킹해제한다. 그 다음에 도 8과 같이 메인와이어(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ⅰ) 와이어클램프(360a)는 슬라이딩블록(330a)이 데크(10a)의 하중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지지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유닛(320a)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데크(10a)가 하강하게 되지만, ⅱ) 슬라이딩유닛(320b)은 락킹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클램프(360b)가 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데크(10b)가 리프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슬라이딩블록(330a)의 제1,2슬라이딩블록(331a,332a)이 멀어지도록 한 후에, 도 10과 같이 메인와이어(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와이어클램프(360a)는 슬라이딩블록(330a)의 제1,2슬라이딩블록(331a,332a)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통과하게 된다.
다음으로, 데크(10b)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거치프레임(310b)의 고점데크락킹부(312b')에 락킹된 락킹수단(340b)을 락킹해제한다. 그 다음에 도 11과 같이 메인와이어(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ⅰ) 와이어클램프(360a)는 슬라이딩블록(330a)의 제1,2슬라이딩블록(331a,332a)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다시 통과하게 되고, ⅱ) 와이어클램프(360b)는 슬라이딩블록(330b)이 데크(10b)의 하중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지지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유닛(320b)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데크(10b)가 하강하게 된다.
데크(10)의 하강 후에는 도 20과 같이 락킹수단(340)을 거치프레임(310)의 저점데크락킹부(312")에 락킹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상부프레임
200 : 구동력전달모듈
210 : 제1구동력전달모듈
220 : 제2구동력전달모듈
300 : 데크리프팅모듈
310 : 거치프레임
311 : 가이드레일
312 : 락킹부
312' : 고점데크락킹부
312" : 저점데크락킹부
320 : 슬라이딩유닛
321 : 상판
322 : 하판
330 : 슬라이딩블록
331 : 제1슬라이딩블록
331' : 제1메인와이어관통홀
332 : 제2슬라이딩블록
332' : 제2메인와이어관통홀
340 : 락킹수단
350 : 턴버클
360 : 와이어클램프
370 : 클램프가이드
371 : 제1클램프가이드
372 : 제2클램프가이드
380 : 로드블록
381 : 제1로드블록
382 : 제2로드블록
383 : 제3로드블록
384 : 제4로드블록
10 : 데크
20 : 메인와이어
30 : 메인와이어시브
40,41,42,43 : 보조와이어
50 : 보조와이어시브
D1 : 메인와이어의 직경
D2 : 메인와이어관통홀의 직경
D3 : 와이어클램프의 직경
D4 : 제1,2슬라이딩블록 사이에 이격된 거리

Claims (4)

  1. 선박 내 차량이 적재되는 다수의 데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00);
    연속된 데크(10)를 잇는 경로의 상부프레임(100)을 따라 배치되는 메인와이어(20)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전달모듈(200);
    각 데크(10) 별로 구성되며 구동력전달모듈(200)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데크(10)의 모서리와 연결되는 보조와이어(40,41,42,43)를 이동시켜 데크(1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데크리프팅모듈(300);을 포함하고,

    상기 데크리프팅모듈(300)은
    하측에 슬라이딩유닛(320)이 거치되는 가이드레일(311)과, 측면에 락킹수단(340)이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락킹부(312)가 형성된 거치프레임(310)과,
    상기 거치프레임(310) 내부에 수용되고, 위아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판(321)과 하판(32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321)과 하판(322) 사이의 공간으로 메인와이어(20)와 와이어클램프(360)가 관통하며, 가이드레일(311)을 따라 메인와이어(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일측에 보조와이어(40,41,42,43)가 결합되는 슬라이딩유닛(320)과,
    상기 슬라이딩유닛(320)의 내측에 형성되고,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을 포함하는 슬라이딩블록(330)과,
    상기 슬라이딩유닛(320)의 일측에 형성되고, 락킹부(312)에 체결되어 슬라이딩유닛(3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락킹부(312)에 체결해제되어 슬라이딩유닛(320)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락킹수단(340)과,
    메인와이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메인와이어(20)에 고정결합되고, 메인와이어(20)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블록(330)을 밀어내거나 슬라이딩블록(330)이 밀어내는 힘을 지지하면서 슬라이딩유닛(32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되도록 하는 와이어클램프(3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이딩블록(331)은
    제2슬라이딩블록(332)과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고, 그 수직단면이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제1메인와이어관통홀(331')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슬라이딩블록(332)은
    제1메인와이어관통홀(331')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1메인와이어관통홀(331')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제2메인와이어관통홀(332')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2메인와이어관통홀(331',332')이 맞닿아 형성되는 원 형태의 수직단면을 가지는 메인와이어관통홀의 직경(D2)은 메인와이어(20)의 직경(D1)보다 크고 와이어클램프(360)의 직경(D3)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은
    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맞닿으면 제1,2메인와이어관통홀(331',332')로 메인와이어(20)는 통과하지만 와이어클램프(360)는 통과하지 못하고, ⅱ)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2슬라이딩블록(331,332)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메인와이어(20)와 와이어클램프(360) 모두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전달모듈(200)은
    메인와이어(2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구동력전달모듈(210)과,
    메인와이어(2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구동력전달모듈(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구동력전달모듈(210,220) 중 어느 하나의 구동으로 인해 메인와이어(20)에 가해지는 텐션이 기설정된 소정의 텐션 값 이상으로 상승하게 될 때 메인와이어(20)의 텐션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다른 하나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리프팅모듈(300)은
    슬라이딩유닛(320)의 하판(322)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슬라이딩유닛(320)의 상판(321)과 하판(322) 사이의 공간으로 와이어클램프(360)의 인입을 가이드하는 클램프가이드(3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리프팅모듈(300)은
    슬라이딩유닛(320)의 상판(321) 및 하판(322) 사이에 결합되고, 슬라이딩블록(33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와이어클램프(360)에 의해 슬라이딩블록(3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로드블록(3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가이드(370)는
    슬라이딩유닛(320)의 하판(322)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클램프가이드(371)와,
    슬라이딩유닛(320)의 하판(322)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클램프가이드(372)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블록(380)은
    메인와이어(20)를 사이에 두고 소정간격 이격배치되는 제1,2로드블록(381,382)과,
    제1슬라이딩블록(331)을 사이에 두고 제1로드블록(381)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로드블록(383)과,
    제2슬라이딩블록(332)을 사이에 두고 제2로드블록(382)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4로드블록(3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KR1020210086688A 2021-07-01 2021-07-01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KR102316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688A KR102316013B1 (ko) 2021-07-01 2021-07-01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688A KR102316013B1 (ko) 2021-07-01 2021-07-01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013B1 true KR102316013B1 (ko) 2021-10-22

Family

ID=7827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688A KR102316013B1 (ko) 2021-07-01 2021-07-01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0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969B1 (ko) 2022-05-10 2023-01-26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동식 데크 리프팅 장치
KR20230075799A (ko) * 2021-11-23 2023-05-31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자재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재 인양 방법
KR102657302B1 (ko) * 2023-05-31 2024-04-16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데크 승강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선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8185A1 (en) * 1991-07-22 1993-02-24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Car storage apparatus for car carrier
KR101084930B1 (ko) 2003-05-16 2011-11-17 티티에스 마린 악티에볼라게트 차량 선적용 갑판 장치
KR101996903B1 (ko) * 2012-12-27 2019-07-05 티티에스 마린 악티에볼라게트 멀티 데크 자동차/트럭 캐리어(pctc)에 탑재된 차량/트럭 운반 데크 패널을 리프팅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8185A1 (en) * 1991-07-22 1993-02-24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Car storage apparatus for car carrier
KR101084930B1 (ko) 2003-05-16 2011-11-17 티티에스 마린 악티에볼라게트 차량 선적용 갑판 장치
KR101996903B1 (ko) * 2012-12-27 2019-07-05 티티에스 마린 악티에볼라게트 멀티 데크 자동차/트럭 캐리어(pctc)에 탑재된 차량/트럭 운반 데크 패널을 리프팅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799A (ko) * 2021-11-23 2023-05-31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자재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재 인양 방법
KR102611486B1 (ko) * 2021-11-23 2023-12-07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자재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재 인양 방법
KR102490969B1 (ko) 2022-05-10 2023-01-26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동식 데크 리프팅 장치
WO2023219201A1 (en) * 2022-05-10 2023-11-16 Daelyun Engineering Co.,Ltd. Movable deck lifting apparatus
KR102657302B1 (ko) * 2023-05-31 2024-04-16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데크 승강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013B1 (ko)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US3146903A (en) Straddle truck with a guided lifting frame for handling containers
US4747745A (en) Selective beam gantry crane
US4932830A (en) Motor vehicle and boat trailer
KR20050110694A (ko) 수송차량에 대한 보관용 컨테이너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및 그와 연관된 시스템 및 방법
US3462028A (en) Apparatus for reeving conduits in extendible uprights
CN101665094A (zh) 车厢活动底板升降机构
US4352625A (en) Container handling apparatus
DE3860198D1 (de) Seilbahn mit zwei trag- und zugseilen sowie zwei vertikal versetzten umlaufraedern.
US11091081B1 (en) Crane mat lift
KR20210048864A (ko)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US3026970A (en) Elevating ramp structure for vehicles
KR960041594A (ko) 물품격납설비
KR101977611B1 (ko) 선박용 차량 데크 리프팅 시스템
JP2009166987A (ja) 自動倉庫用スタッカークレーンにおける姿勢制御装置
JP3085807B2 (ja) 自動車運搬船用リフタブルデッキ装置
CA1291071C (en) Mechanism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onto and off a road vehicle
CN217947573U (zh) 一种叉车门架及其叉车
US11591114B2 (en) Aircraft loader
KR0118781Y1 (ko) 화물 상, 하차 장치를 갖는 자동차의 적재함 후미 지지장치
CN214138861U (zh) 一种海上滑移系统的控制车
CN112357822B (zh) 一种海上滑移装置的工作方法
CN112238924A (zh) 一种海上滑移系统的控制车
JPH03194013A (ja) ダム等における係船設備及び係船方法
KR20150050129A (ko)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