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941B1 -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 - Google Patents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941B1
KR102089941B1 KR1020197014918A KR20197014918A KR102089941B1 KR 102089941 B1 KR102089941 B1 KR 102089941B1 KR 1020197014918 A KR1020197014918 A KR 1020197014918A KR 20197014918 A KR20197014918 A KR 20197014918A KR 102089941 B1 KR102089941 B1 KR 102089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envelope body
sap
envelop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605A (ko
Inventor
쇼타 모치즈키
나오키 모리나카
Original Assignee
에이와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와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와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2Containers with provisions for hanging, e.g. integral adaptations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93Containers with shape retaining means, e.g. to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during emptying or 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03Filling medical containers such as ampoules, vials, syrin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02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of flexible containers having a filling and dispensing spout, e.g. containers of the "bag-in-box"-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6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fluid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01Control or re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9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atheter, sheath or lumens from collapsing due to outer forces, e.g. compressing forces, or caused by twisting or k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3Casing-in, i.e. enclosing an element between two sheets by an outlined s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4Force
    • F04C2270/042Force radial
    • F04C2270/0421Controlled or regu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 진행에 따른 잔액 표시의 시인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에 관한 것이고, 수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지 소재의 연약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한쪽 단부에 저부(20)를 형성한 봉투체(10)와 봉투체(10)의 다른 쪽 단부의 수액 배출구(18)를 구비하고, 봉투체(10)는 저부(20)를 위로 하여 매달리도록 되어 있고, 봉투체(10)의 면위에 잔액 표시 마크가 인쇄되고, 봉투체(10)에는 액면에 의한 잔액양의 시인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공극(109')을 남겨서 수액이 충전됨으로써, 봉투체(10)를 매단 상태에서 저부(20)의 폭은 기립시와 변함없이, 저부(20)는 잔액 0의 상태까지 수액 배출에 의해 찌그러짐이 없이 그 폭을 유지하고, 저부(20)를 포함하는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높이의 봉투체(10)의 부위도 수액 배출에 의해 찌그러짐이 없이 그 형상을 유지한다.

Description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STANDING BAG INFUSION CONTAINER}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소재로 하는 연약 필름제의 평탄 형상 봉투체(bag body)를 구비한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에 관한 것이고, 수액 진행에 따른 잔액 표시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액 용기는 대개 평 파우치인 것이 대부분이나, 혼합 주입 등의 수액의 사전 작업이 불편하기 때문에 스탠딩 백형의 수액 용기가 제안되고 있다. 스탠딩 백형의 수액 용기는 한쪽 단부에 저부가 형성되고, 저부만큼 백의 폭이 넓혀져서 용기를 자립시킬 수 있고, 자립 상태에서 혼합 주입 등의 사전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스탠딩 백형의 수액 용기에 있어서는 수액을 위해 수액 스탠드에 매달기 위한 결합부(개구부)를 저부의 측에 형성하고 있다. 평 파우치와 마찬가지로 스탠딩 백형의 수액 용기에서도 백이 찌그러짐으로써 수액시의 배액(排液)이 진행된다. 그리고, 종래의 스탠딩 백형의 수액 용기에서는 폐기시의 모양을 콤팩트하게 하기 위하여, 저부도 그 이외의 부위와 마찬가지로 찌그러뜨리도록 하고 있다(특허문헌 1 및 2).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실개평5-7641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보 제3554418호
특허문헌 1 및 2의 스탠딩 백형의 수액 용기는 평 파우치에 의한 수액 용기와 마찬가지로 봉투를 전체적으로 찌그러뜨림으로써 배액을 행하는 것이다. 즉, 특허문헌 1 및 2의 스탠딩 백형의 수액 용기는 몸통 부분뿐만 아니라 저부도 포함하여 전체를 찌그러뜨리는 방식인 것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시작시의 시인성은 양호하지만 기재(基材)가 약하기 때문에 잔액 100㎖ 부근에 있어서 몸통 부분에서 대향 필름면이 부착되어 액면(液面) 붕괴가 발생하여 잔액의 시인성이 나쁘고 개선이 요구되었다. 수액 용기는 일반적으로 수액 200㎖ 내지 500㎖ 용기의 것이 많지만, 특히 500㎖의 경우, 환자에게 수액 링겔시, 간호사는 수회 잔량 체크를 위해서 회진을 오지만, 최초의 눈금 위치보다도 종료 시간에 가까운 100㎖~200㎖ 전후의 잔액량에 의해 종료 시간을 추정한다. 이 때문에, 나머지 200㎖ 이하의 시인성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부터 사용되었던 보틀형의 수액 용기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강성이 높기 때문에 잔액 시인성은 시작시는 물론 잔액 200㎖ 이하가 되어도 형상이 유지되어 수면의 경계선이 명확하여 시인성이 좋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스탠딩 백형의 수액 용기를 개량하고, 보틀형의 수액 용기에 준하여 잔액이 적은 상태에서도 시인성을 좋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는 수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지 소재의 연약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한쪽 단부에 저부를 형성한 봉투체와, 저부를 위로 하여 봉투체의 매달기를 행하기 위한 매달기 수단과, 봉투체의 다른 쪽 단부의 수액 배출구와, 봉투체의 면위에 형성된 잔액 표시 마크를 구비하고, 봉투체에는 액면에 의한 잔액양의 시인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공극을 남겨서 수액이 충전되고, 수액을 위해 봉투체를 상기 매달기 수단에 의해 매단 상태에서 저부는 찌그러지는 경우가 없다. 즉, 매단 상태에서 저부의 폭은 스탠딩 상태에서와 동등 또는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저부는 배액에 의해 찌그러짐이 없이 그 폭을 유지 또는 실질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저부를 포함하는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높이의 봉투체의 부위는 배액에 의해 찌그러짐이 없이 그 형상을 유지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형상 유지부를 구성한다.
수액 용기를 수액대에 현장(懸裝:걸다)하기 위한 매달기 수단은 봉투체의 일면 상부 가장자리에 천공된 개구부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잔액 표시 마크는 봉투체의 반대측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봉투체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으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특히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고(폴리프로필렌 수지 등도 배제하지 않는다),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은 그 원반(原反:original fabric)의 두께가 180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320㎛이고, 봉투체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의 1% 인장 탄성률이 150 내지 320㎫,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80㎫이다.
액면의 시인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봉투체 내의 공기용의 공극부가 남게 되지만, 산소에 대해 불안정한 제제의 경우에는 공기 중에 불활성 가스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재를 폴리에틸렌으로 한 경우에 거싯(gusset) 형상부를 구비한 폴리에틸렌 원반 시트로부터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의 제조를 행하는 경우에, 2중 접이식 폴리에틸렌 원반 시트의 폐쇄 측부측을 내측에 형상으로 접어넣음으로써 거싯 형상부를 형성하고, 시트의 대향면을 봉투체의 윤곽을 따라서 박리 불가능하게 용착하고, 이 용착시 거싯 형상으로 접어넣은 측에 봉투체의 저부를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로, 2중 접이식 시트의 개구측은 대향면을 일부 미용착의 개구부를 남기고, 시트로부터의 각각의 봉투체를 절제하고, 절제된 봉투체에 배출구를 장착하는 동시에 소정 크기의 공극부를 남기면서 수액을 도입하여 밀봉함으로써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에 구성하고, 그 후 습열하에서 멸균 처리하고, 멸균 처리 후의 봉투체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1% 인장 탄성률을 150 내지 320㎫,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80㎫로 한다.
본 발명의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는 저부를 위로 하여 수액대 등에 현가하여 수액을 행하지만, 저부는 찌그러지지 않고 배액하여도 그 폭을 유지하고, 또한, 저부를 포함하는 봉투체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높이의 부위는 배액에 의해 찌그러짐이 없이 그 형상을 유지한다. 즉, 본 발명의 수액 용기에서의 봉투체는 종래의 연질 보틀형 수액 용기 모양의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동일 부위에 계속되는 봉투체의 몸통 부분도 수액의 실질적인 종단 과정에 이르기까지 대향면이 분리 유지되어 잔액이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배액 진행 과정에서의 봉투체의 이와 같은 변형(찌르러짐) 특성은 봉투체를 구성하는 수지 원반 필름의 강성의 적절한 관리가 중요하지만,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의 경우, 그 원반의 두께가 180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320㎛이고, 또한 멸균 후에서의 1% 인장 탄성률을 150 내지 320㎫,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80㎫로 함으로써 얻어진다. 즉, 멸균 공정은 수액을 밀봉 충전한 상태로 가열하에서 행해진다. 멸균은 그 효율화를 위하여 수증기에 의한 습열하에서 행하기 때문에, 100℃를 어느 정도 초과한 온도에서 가열이 행해진다. 그리고, 가열 증기의 압력하에서 봉투체는 공극이 큰 것도 있어 강하게 부풀어 봉투체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은 긴장을 받는다. 멸균 처리 완료 후의 봉투체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 수지 필름이 긴장하에 있기 때문에 수지의 결정화를 진행시키고, 고분자쇄는 강하게 배향되어 필름의 강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서의 봉투체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고강성은 수액의 과정에서 저부의 찌그러짐을 저지하고, 그 때문에 거기에 연속해 있는 몸통 부분의 찌그러짐은 수액의 실질적인 종료시까지, 대향면의 밀착까지는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수액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도 액면의 소기의 표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액 용기를 구성하는 봉투체를 스탠딩 백으로 하고 있고, 저부를 위로 하여 수액대에 현장(懸裝)하지만, 수액대로의 현장부(懸裝部)를 한쪽으로 하고(스커트로부터의 연장부), 그 대향측에 있어서 봉투체 면위에 잔액 표시 마크를 인쇄하고 있기 때문에 양호한 잔량의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거싯 시트로부터의 수액 용기의 봉투체의 성형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후속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용착 전의 거싯 시트의 모식적 단면도(필름 두께가 과장됨)이고, 도 1의 III-III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c는 용착 후의 거싯 시트의 모식적 단면도(필름 두께가 과장되어 도시됨)이고, 도 4(a)는 도 1의 IVA-IVA선, 도 4(b)는 도 1의 IVB-IVB선, 도 4(c)는 도 1의 IVC-IV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액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봉투체를 구성하는 필름의 두께가 과장됨)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봉투체를 구성하는 필름의 두께가 과장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액 용기의 저면도(봉투체를 구성하는 필름의 두께가 과장됨)로 도 6의 VIII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저부 부착 수액 용기를 저부를 위가 되도록 반전 위치시킨 경우의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서의 저부 부착 수액 용기를 저부를 위가 되도록 반전 위치시킨 경우의 저부의 찌그러짐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완전 충전(500㎖)에서의 배액 중의 본 발명의 수액 용기를 도시하고, 도 11(a)는 평면도, 도 11(b)는 측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과 같지만 잔액 400㎖을 도시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1과 같지만 잔액 200㎖을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잔액 0㎖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을 거싯 형상의 접어넣음부를 갖는 블로우 성형 필름 등의 연약 필름 원반으로부터 저부 부착의 봉투체에 형성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와 같은 원반을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평 원반으로부터 저부가 되는 필름을 절제하고 그 첩부(貼付)를 행함으로써 스탠딩 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에서 배제할 의도는 없다. 또한, 블로우 성형 필름 원반으로부터의 봉투체의 형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2-92529호 등을 참조.
도 1 및 도 2(d)는 본 발명의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의 제조 단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블로우 성형된 폴리에틸렌 등의 연약 수지 필름 시트(원반) S는 편평하게 되어 시트 형상으로 공급된다(도 1a). 도 3은 롤러로부터 인출된 시트의 길이 방향 중심선(I)으로부터 한쪽 절반을 도시하고, 시트(S)의 상하 폴리에틸렌 필름을 S1, S2로 나타낸다. 시트는 시트 이송 방향을 따라서 중심선(I)에서 2개로 절단되고, 절단부가 개구부(O)가 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심선(I)에서의 2분할은 통상 봉투체의 윤곽을 따라서 용착 후에 행하지만(봉투체가 중심선(I)을 사이에 두고 한 쌍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중심선(I)에서의 2분할을 먼저 행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필름인 경우의 두께는 180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320㎛이지만, 도 1 내지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수액 용기의 구성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두께는 상당히 과장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중 접이식 시트(S)의 폐쇄 단부측은 미리 내측에 접어넣음되어 있고, 거싯부(G)(Gusset)를 구성하고 있으며, 거싯부(G)에 의해 스탠딩 백형의 수액 용기에 성형하였을 때의 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의 단계 도 1(b)에서는 2중 접이식 시트(S)의 개구(O)(도 3 참조)가 되는 측(도 1의 상측) 및 거싯부(G)의 측(도 1의 하측)의 용착 공정을 도시한다. 즉, 2중 접이식 시트(S)의 상측(개구(O)측)에서는 시트 길이 방향을 따라서 대향 필름층이 용착된다. 용착 부분은 도면부호 100으로 나타낸다. 이 용착 온도는 폴리에틸렌의 경우 130℃ 정도이고, 대향층은 박리 불가능하게 용착된다.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도면부호 102 부분은 용착되지 않은 채로 되어 있고, 이 부분(10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액 용기에서의 배출구(spout)의 설치 부위가 된다. 다른 한편으로, 2중 접이식 시트(S)의 하측(거싯부(G)측)에서는 양 외측의 대향 필름층이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의 접어넣은 부위를 남겨서 동일 온도 조건에서 박리 불가능하게 용착된다. 도 1(b)의 라인(104')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용착 높이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고, 수액 용기의 중앙부가 되는 부위에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낮고(용착 높이 hA), 양측으로 갈수록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아지고(용착 높이 hB), 이에 의해 중앙부에서 낮고 양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수액 용기의 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의 단계를 도 1(c)에 도시하고,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시트(S)의 상하 방향 전체 폭의 부위(106)에서 용착되고, 봉투체의 측부가 되는 부위가 형성된다. 이러한 용착 상태를 도 4(c)에서 도시하고, 거싯부(G)(도 4(c)의 하측)에서는 상하 4개의 층이 일체화되고, 도 4(c)에서 거싯부(G)의 상측에는 상하 2개의 층이 일체화된다. 봉투체의 저부의 높이가 되는 라인(104')은 봉투체의 측부가 되는 부위에서는 거싯부(G)의 접어넣은 높이(hG)를 초과하고, 봉투체로 하였을 때의 저부의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용착부(106)에서의 박리 불가능한 용착은 횡 폭(w)으로 행해진다. 부위 106에서의 용착 온도 조건은 부위 100, 104와 동등하다. 그 후에 시트(S)로부터의 절제(트리밍)에 의해 봉투체가 얻어진다. 즉, 도 1(c)의 2점 쇄선(m)은 봉투체의 윤곽선이고, 이 윤곽선(m)을 따른 절단에 의해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투체(10)를 얻을 수 있다. 봉투체(10)는 거싯부(G)의 측에서의 한쪽의 용착부에 혀 형상부(12)를 남기도록 트리밍되고, 혀 형상부(12)에 매달기용 개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시트 하측에서의 용착부(100)는 도면부호 102의 부분이 끊어져 있지만, 이것이 수액 용기에서의 배출구 장착용 개구가 된다.
수액 충전은 통상과 같이 행해지고, 봉투체(10)는 개구부(102)를 위로 하여 유지되고(도 2(d)), 배출구(spout)(18)가 캡부(18-1)(도 2(e))를 미장착 상태에서 개구부(102)에 도입되고, 개구부(102)를 형성하는 상하 필름이 배출구(spout)(18)에 박리 불가능하게 용착(용착부를 도 2(e)의 도면부호 108로 나타낸다)함으로써 배출구가 봉투체(10)에 장착되고, 소정량의 수액이 도입되고, 100cc 정도 크기의 공극부를 내부에 잔류시킨 상태로 배출구(18)가 밀봉(캡부(18-1)의 장착 및 도 6의 고무 마개(22)에 의한 밀봉)되어 수액 용기로서 완성된다(도 4(e)). 수액 충전 밀봉 후의 봉투체(10)는 습열하에서 멸균 공정을 한다. 가열하에서의 멸균은 멸균 후의 냉각이 봉투체(10)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 중의 고분자의 결정화를 촉진하여, 그 봉투체(10)의 강성을 높이고, 배액시의 봉투체(10)의 소기의 찌그러짐 거동을 얻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즉, 멸균 공정은 봉투체에 소정량의 수액을 밀봉 수용한 수액 용기를 가열로에 수용하여 행한다. 습열하에서의 멸균은 수증기를 얻기 위하여 100℃를 어느 정도 초과하는 온도에서 행해지고, 수증기는 봉투체(10) 중의 압력을 높이고, 공기량이 100cc 정도로 크게 되어 있는 것과 더불어, 봉투체(10)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을 팽팽하게 부풀게한다(봉투체(10)가 파열하지 않도록 가열로에서의 봉투체(10)의 외부 압력은 제어한 필요가 있다). 봉투체(10)의 부풀어 오름에 의해 봉투체(10)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은 긴장을 받는다. 그리고, 멸균 공정 완료 후의 냉각 과정의 진행은 긴장하의 수지 필름의 결정화를 촉진한다. 그 때문에, 수지 필름은 그 강성을 높이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은 수액을 충전하고 또한 멸균 후의 완성된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를 기립 상태로 하여 상세하게 도시한다. 단, 필름의 두께는 본 발명에서는 최대한 350㎛이지만, 구조 명확화를 위하여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실제보다 두께를 상당히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다. 충전된 수액의 액면을 도 6의 라인(L)으로 나타낸다. 액면(L)의 상방의 공극은 도면부호 109(100cc 정도의 크기)로 나타낸다. 수액 용기는 봉투체(10)와 배출구(18)로 이루어진다. 봉투체(10)는 대향 필름면(10-1, 10-2)(도 2의 시트의 면(S1, S2)에 각각 상당)을 외주부를 전체 둘레(100A, 104A, 106A)(도 1의 용착부(100, 104, 106)에 상당) 및 (108)(도 4(b))에서 박리 불가능하게 용착하여 구성된다. 원반 필름(S)의 거싯부(G)를 용착(도 3)하고, 트리밍(도 1(c))함으로써 얻어진 저부(20)(봉투체(10)를 그 한쪽 단부에서 확장하여 유지한 띠 형상 또는 판 형상으로 펼친 필름 부분)를 구비하고, 수액 용기를 저부(20)에 의해 기립 설치할 수 있다. 용착부(104A)가 기립 배치시켰을 때의 스커트부로 된다. 원반 필름(S)의 거싯부(G)에서 용착 높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서 낮고, 양측 정도로 높으므로, 스탠딩 상태에서 저부(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면 중간부가 가장 낮고 양측에서 높아진 만곡 형상을 이루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 보면 중앙부에서 폭 넓고 양측으로 갈수록 좁아진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저부(20)에는 수액의 무게가 이를 아래로(밖으로) 만곡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저부(20)는 수액의 무게가 없어도 만곡 상태(신장(伸展) 상태)를 유지한다. 즉, 도 9는 수액 용기를 상하 반전시키고, 저부(20)를 위로 한 상태(수액 스탠드에 의한 매달기 상태)를 도 6과 마찬가지로 필름의 두께를 과장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수액 용기의 상하 반전에 의해 저부(20)에는 수액(액면 레벨은 L)의 무게가 가해지지 않고, 저부(20)는 자유롭게 되지만(저부(20)의 하측의 공극은 109'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봉투체(10)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의 고강성화에 의해 저부(20)는 형상 고정되고(원반 거싯 필름에서의 접어넣은부의 흔적은 약간 남지만), 그 폭(W1)(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최대 폭부의 폭)을 스탠딩 상태와 변함없이 또는 실질적으로 변함없이 유지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액의 진행에 의해서도 저부(20)가 찌그러짐이 없이, 또한 저부(20) 및 저부(20)를 포함한 봉투체 부위의 찌그러짐은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도 10은 특허문헌 1 및 2 등의 종래의 수액 용기를 스탠딩 상태에서 반전하여 봉투체(210)의 저부(220)를 위에 위치시킨 경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종래에는 배액에 의해 봉투체를 찌그러뜨리도록 하고 있다. 즉, 스탠딩 상태에서 저부는 수액의 무게가 가해지는 본 발명의 도 6과 마찬가지로 신장(하향 만곡)된 형상을 이루지만, 수지 필름의 강성이 낮기 때문에 스탠딩 상태에서 반전시킴으로써 저부(220)에 수액의 무게가 가해지지 않고 자유롭게 되면, 저부(220)는 봉투 제작시에서의 접어넣은 형상으로 즉시 복귀하고(저부(220)는 찌그러짐), 봉투체(220)의 전체가 평탄화되도록 찌그러짐으로써 배액이 진행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 배치하였을 때의 수액 용기의 상단에 위치하는 배출구(18)는 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두께)의 폴리에틸렌 소재의 통 형상 성형품이고, 상단부가 고무 마개(22)에 의해 폐색되어 고무 마개(2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액시에 수액 세트에 의해 천자(穿刺)되도록 되어 있다. 배출구(18)는 용착부(108)에 의해 봉투체(10)에 밀봉되어 있다.
봉투체(10)의 한쪽 필름면(10-2)은 원반 필름(S)의 거싯부(G)의 한쪽의 용착부의 트리밍(도 1(c)에 의해 얻어진 혀 형상부(12)(도 5)를 구비하고, 혀 형상부(12)에 형성된 개구부(14)가 수액 스탠드에 매달릴 때의 결합부(결합 수단)로 된다. 도 6에서 혀 형상부(12)는 두께가 과장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필름 두께가 최대로 두꺼워도 350㎛이고, 연약하기 때문에 수액 용기를 저부(20)에서 기립 설치할 때에 혀 형상부(12)는 추종하여 용이하게 절곡되기 때문에 기립시키는데 장애가 되는 경우는 전혀 없다. 개구부(14)를 형성하는 필름면(10-2)과 반대측의 필름면(10-1)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잔액 표시 마크(400㎖, 300㎖, 200㎖, 100㎖)가 인쇄되지만, 본 발명에서 수액은 저부(20)를 위로 하여 실시되므로 저부(20)를 아래로 한 기립 상태(도 5)에서 잔액 표시 마크는 상하 반대로 보인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수액 용기(용량: 500㎖)에 의한 배액 시험에서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잔액(500㎖, 400㎖, 200㎖, 0㎖) 중의 각각에 대하여 도시한다. 수액 용기 내부의 공극은 도면부호 10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20)측에 위치한다. 또한, 수액이 산소에 대하여 불안정한 제제인 경우에는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가 적정량 혼합된다. 또한, 도 11(b) 내지 도 14(b)에서는 도 5 내지 도 8과는 다르게 봉투체를 형성하는 폴리에틸렌 필름은 현실에 가까운 두께(이 실시형태에서는 250㎛)로 표시되어 있고, 작도(作圖)상 폴리에틸렌 필름의 두께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배액 시험을 위하여, 봉투체(10)를 상단 혀 형상부(12)에서의 개구부(14)에서 L형 결합구(24)에 걸므로써 수액 용기는 배출구(18)를 아래로 하여 매달린다. 매단 상태로 함으로써 저부(20)는 자유롭게 되어 수액의 무게가 가해지지 않게 되지만, 도 9의 모식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저부(20)는 그 폭(W1)이 스탠딩 상태와 변함없이, 도 11(b)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상향의 볼록 형상을 유지한다. 매달려진 봉투체(10)는 봉투체(10)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저부(20)를 포함한 소정 높이(H)의 부위(10A)(이하 형상 유지부)가 횡단면에서 가장 두껍고, 형상 유지부(10A)로부터 몸통 부분(10B)을 거쳐서 헤드부(10C)에 도달할 때까지 서서히 횡단면의 두께를 감소시켜 배출구(18)에 접속된다. 배출구(18)의 고무 마개(22)(도 6)에 수액 세트(30)의 천자침(穿刺針)(30A)이 천자되고, 배액이 준비된다. 완전 충전에서의 수액의 액면을 L500으로 나타낸다. 액면(L500)의 상방의 공간부(26)(용적 100cc)가 남겨진다.
배출이 잔액 400㎖, 200㎖와 같이 진행되어도 봉투체를 구성하는 필름의 고강성에 의해 저부(20)는 그 폭을 유지하고, 봉투체 단부 가장자리로부터의 높이(H)의 형상 유지부(10A)는 찌그러지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찌그러지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 형상 유지부(10A)에 연속하는 몸통 부분(10B)에 대해서도 봉투체를 구성하는 필름의 고강성에 의해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찌그러짐의 진행은 적정하게 제어되고, 대향 필름면의 공극은 남아 있고, 대향 필름면은 부착하지 않으므로 액면은 L400, L200과 같이 액면을 적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잔액양 0㎖의 상태를 도시하고, 액면(L0)이 배출구(18)의 개구단과 동일면이 되므로 더 이상의 배액은 생기지 않지만, 이 부분의 액면(L0) 상태에서도 형상 유지부(10A)는 찌그러지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찌그러지지 않고, 다른 한편, 형상 유지부(10A)에 연속하는 몸통 부분(10B) 및 헤드부(10C)도 찌그러지지만 대향면의 공극은 유지되고, 대향 필름면의 밀착이 없으므로 잔액 0㎖에 도달할 때까지의 정확한 액면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액의 진행에 따른 봉투체(10)의 몸통 부분(10B) 및 헤드부(10C)의 단면 형상의 변화(도 11(b) 내지 도 14(b))에 따라 봉투체(10)의 정면 형상(도 11(a) 내지 도 14(a))도 이 영향으로 조금씩 변화되지만 그다지 큰 변화는 아니고 정면 형상의 상세 여하는 발명의 본 취지와는 관계되지 않으므로, 도 11(a) 내지 도 14(a)에서는 액면 이외에는 변하지 않도록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 수액시에서의 형상 유지부(10A)의 형상 유지 기능을 위한 봉투체(10)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강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수액 용기는 수액을 소정량 충전한 상태에서 습열하에서 멸균 처리한다. 멸균시의 고온에서의 냉각 과정에서 폴리에틸렌 고분자의 결정화를 촉진하여, 폴리에틸렌 필름의 강성을 소재 그 이상으로 높인다. 그리고, 멸균 후의 폴리에틸렌 필름의 강성으로서는 1% 인장 탄성률 표시로 150 내지 320㎫,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80㎫이다. 폴리에틸렌 필름의 두께와 강성이 더불어 수액을 격납한 상태에서의 폴리에틸렌 필름의 강성은 높다. 그리고, 형상 유지부(10A)에 있어서는 저부(20)가 그 폭을 유지하고, 받침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형상 유지부(10A)의 형상 유지성이 한층 높아지고, 배출의 진행에 상관없이 형상을 유지하고(찌그러지 않고), 이에 연속하는 몸통 부분(10B) 및 헤드부(10C)의 찌그러짐도 억제되어, 잔액 0에 도달할 때까지 필름 대향면의 부착이 일어나지 않고, 올바른 액면 표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거싯 필름(도 2)에서의 봉투체의 성형인 경우, 저부(20)는 수액의 수용 상태에서도 어느 정도 중절(중앙이 우묵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멸균시 고열에서의 냉각은 폴리에틸렌 고분자의 결정화를 촉진하여, 중절 상태(도 11 내지 도 14 참조)는 상실 또는 실질적으로 상실되고, 또한 고강성에 의해 형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저부(20)의 받침대 기능은 확보되고, 배액의 진행에 상관 없이 형상 유지부(10A)는 실질적으로 찌그러짐이 없고, 본 발명의 수액 용기에서의 액면 표시 기능이 손상되지 않는다.
원반 상태(봉투체 성형 및 멸균 처리 전)에서의 폴리에틸렌 필름의 구체적인 두께의 값이지만, 두께가 큰 측은 찌그러짐 기능의 관점에서는 제한이 없고, 다른 한편으로 소재 소비 비용(소재량의 삭감)에서 350㎛ 정도가 상한이다. 하한으로서는 이것도 찌그러짐 기능상 제약은 없지만, 너무 얇으면 기립성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180㎛이 하한이고, 220㎛보다 두꺼운 것이 스탠딩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저부의 폭(도 8에 있어서 W1)으로서는 20 내지 45mm, 바람직하게는 25mm 내지 35mm이고, 내용량이 150㎖ 내지 7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500㎖에서 10°이상의 자립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1
표층(20㎛), 중간층(210㎛) 및 내층(20㎛)의 3층 구조의 두께 250㎛ 폴리에틸렌 필름을 거싯 접고, 봉투체 윤곽선을 따라서 130℃로 용착함으로써 용착부를 형성하고, 절제함으로써 높이 200mm, 횡 폭 140mm, 저부 폭 40mm(도 8의 W1)의 봉투체로 하고, 500㎖의 수액을 주입하여 액면 상방에 100cc의 공기층을 남기면서, 배출구(18)를 장착하고 또한 용착함으로써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수액 용기에 구성하고, 가열로에 의해 습열 멸균(온도: 111℃, 가열 시간 20분)을 행하였다. 수액 용기의 봉투체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각 층은 소재 메이커로부터 제공되는 비중으로 0.898 내지 0.945 범위의 다종의 폴리에틸렌 소재로부터 적당한 비중값의 기본적으로는 동일 메이커의 2 내지 5종류를 선택하여 각각 적당한 혼합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표 1의 No.1에서 No.15인 15종류의 봉투체에 구성하고 있다. No.1에서 No.15의 봉투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3층 폴리에틸렌 필름의 멸균 처리 후의 1% 인장 탄성률을 계측하고, 또한 각 봉투체로 구성된 수액 용기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상부(12)의 개구(24)에서 L형 결합구(24)에 의해 매달고, 배출 시험에 제공하였을 때의 배액성 및 저부(형상 유지부(10A))의 형상을 평가하였다.
[표 1]
샘플 번호 인장 탄성률(㎫) 배액성 및 저부 형상
  1       173       ○
  2       140       △
  3       213       ○
  4       193       ○
  5       184       ○
  6       280       ○
  7       242       ○
  8       240       ○
  9       207       ○
  10       205       ○
  11       225       ○
  12       170       ○
  13       115       ×
  14       117       ×
15       164      △∼○
표에서, 평가 결과에서의 ○의 평가는 잔액 0㎖에 도달할 때까지 형상 유지부(10A)가 찌그러지지 않고 유지되고, 양호한 액면 시인성이 유지되는 것을 기재하고, △는 배액의 최후의 국면(잔류량 100㎖ 미만)에서는 필름면의 달라붙기에 의해 액면 시인성은 상실되었지만 최후까지 형상 유지부(10A)가 찌그러지지 않기 때문에 대략 양호한 액면 시인성이 얻어진 것을 기재하고, ×의 평가 결과는 형상 유지부(10A)의 찌그러짐이 잔액양의 많고 빠른 단계로 일어나서 액면 시인성이 불충분한 것을 기재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틸렌 필름 높이 140mm, 저부 폭 40mm, 액 충전량 200㎖의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를 제조하였다. 봉투 제작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고, 잔류 공기량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100cc이었다. 배출 시험에 제공하였을 때의 배액성 및 형상 유지부의 형상 평가는 실시예 1의 표 1과 동등하였다.
실시예 3
또한, 높이 150mm에서 동일 폭, 액 충전량 250㎖, 잔류 공기량 150cc의 수액 용기에 대해서도 같은 배액성 및 형상 유지부의 형상에 관한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
이상으로부터, 200㎖ 내지 500㎖의 액 충전량에 있어서 100cc 내지 150cc의 공극을 형성하고, 습열 멸균 처리함으로써 봉투체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고강성화가 얻어지고, 1% 인장 탄성률은 150 내지 270㎫,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40 ㎫가 된다. 즉, 배액에 의해 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형상 유지부(10A)가 찌그러지지 않기 때문에 수액의 최초부터 최후까지 잔액이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10…봉투체
10-1, 10-2…봉투체의 대향 필름면
10A…봉투체의 형상 유지부
10B…봉투체의 몸통 부분
10C…봉투체의 헤드부
14…개구부
18…배출구
20…저부
22…고무 마개
26…공간부
30…수액 세트
100, 104, 104A, 106, 108…용착부
109, 109'…공극
G…거싯부
S…원반 필름
S1, S2…폴리에틸렌 필름

Claims (6)

  1.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극부를 갖는 봉투체를 구비한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봉투체를 1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습열하에서 멸균 처리를 행하면서, 상기 봉투체가 파열하지 않도록 상기 봉투체의 외부의 압력을 제어하면서 수증기에 의해 상기 봉투체 내의 압력을 높임으로써 상기 필름에 긴장을 주는 멸균 공정과,
    상기 봉투체를 냉각하고, 상기 긴장을 받은 상기 필름의 결정화를 촉진하여 상기 봉투체를 고강성화하여 배액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냉각 공정을 포함하는, 스탠딩형 수액 용기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공정은 상기 공극부의 크기를 100cc 이상으로 하여 행하는, 스탠딩형 수액 용기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에틸렌 수지로서, 상기 필름의 두께가 180 내지 350μm인, 스탠딩형 수액 용기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공정 후의 상기 필름의 1% 인장 탄성률이 150 내지 320Mpa가 되도록 상기 멸균 공정 및 상기 냉각 공정을 행하는, 스탠딩형 수액 용기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원반 시트로부터 저부 부착의 봉투체를 형성하고, 저부 반대측의 봉투체의 개구부에 배출구를 장착하는 동시에 공극부를 남기면서 수액을 도입 밀봉함으로써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로 구성하고, 그 후 상기 멸균 공정 및 냉각 공정을 행하여 상기 봉투체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1% 인장 탄성률을 150 내지 320Mpa로 하는,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2중 접이식의 폴리에틸렌 원반 시트의 폐쇄측 부분을 거싯형상으로 삽입하고, 상기 시트의 대향면을 봉투체의 윤곽을 따라서 박리 불가능하게 용착하고, 이 용착시에 시트에서의 상기 거싯 형상에 삽입된 측에 거싯 봉투체의 저부가 되는 부위를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로, 2중 접이식 시트의 개구측은 대향면을 일부 미용착의 개구부를 남기고, 시트로부터의 각각의 봉투체를 절제하고, 절제된 봉투체의 개구부에 배출구를 장착하는 동시에 소정 크기의 공극부를 남기면서 수액을 도입 밀봉함으로써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로 구성하고, 그 후 상기 멸균 공정 및 냉각 공정을 행하여 상기 봉투체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1% 인장 탄성률을 150 내지 320Mpa로 하는,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197014918A 2011-10-11 2012-10-11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 KR102089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3843 2011-10-11
JPJP-P-2011-223843 2011-10-11
PCT/JP2012/076268 WO2013054824A1 (ja) 2011-10-11 2012-10-11 スタンディングバッグ型輸液容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406A Division KR101988871B1 (ko) 2011-10-11 2012-10-11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605A KR20190062605A (ko) 2019-06-05
KR102089941B1 true KR102089941B1 (ko) 2020-03-17

Family

ID=480818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406A KR101988871B1 (ko) 2011-10-11 2012-10-11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
KR1020197014918A KR102089941B1 (ko) 2011-10-11 2012-10-11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406A KR101988871B1 (ko) 2011-10-11 2012-10-11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83986B2 (ko)
EP (1) EP2767270B1 (ko)
JP (1) JP6100695B6 (ko)
KR (2) KR101988871B1 (ko)
CN (1) CN103874477B (ko)
WO (1) WO2013054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06489A1 (de) * 2015-05-22 2016-11-24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Kunststoff-Behältererzeugnis
SE540697C2 (en) * 2017-02-27 2018-10-16 Triomed Ab APPARATUS FOR PERITONEAL ULTRAFILTRATION
KR102618377B1 (ko) * 2017-12-07 2023-12-27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포트가 부착된 백 및 캡이 부착된 백
FI128233B (en) 2018-02-22 2020-01-15 Serres Oy collection bag
JP7378762B2 (ja) * 2019-04-09 2023-11-14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自立性容器および自立性容器の製造方法
JPWO2022264722A1 (ko) * 2021-06-15 2022-12-22
WO2023286880A2 (ja) * 2022-11-07 2023-01-19 株式会社無有 口腔ケア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369A (ja) * 1999-01-26 2000-08-02 Terumo Corp 投与用薬液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1310A (en) * 1960-10-14 1964-12-15 Baxter Don Inc Parenteral solution container
US3215299A (en) * 1961-09-11 1965-11-02 Baxter Don Inc Parenteral solution container
US4088166A (en) * 1974-11-21 1978-05-09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Molded collapsible solution container having gusset portions
JPS5816433B2 (ja) 1978-06-22 1983-03-31 三協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断熱構造材の製作方法
AU606685B2 (en) * 1987-05-18 1991-02-14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Self-supportable parenteral bottle of synthetic resin
JP2711689B2 (ja) * 1988-09-29 1998-02-10 株式会社プラコー ガゼット成形装置
EP0377121A3 (en) * 1988-12-03 1992-03-25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Medical bag
JP2526748Y2 (ja) * 1990-10-17 1997-02-19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バー付輸液容器
JPH057641U (ja) * 1991-07-12 1993-02-02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輸液バツグ
US5395365A (en) * 1993-03-22 1995-03-07 Automatic Liquid Packaging, Inc. Container with pierceable and/or collapsible features
JP3554418B2 (ja) * 1995-07-26 2004-08-18 内外化成株式会社 自立可能な輸液用バッグ
US7354426B2 (en) * 2003-09-12 2008-04-08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container with a flexible por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2662916Y (zh) * 2003-11-18 2004-12-15 东莞佳鸿机械制造有限公司 塑料输液软袋
JP2005271974A (ja) * 2004-03-25 2005-10-06 Mochida Pharmaceut Co Ltd スティック型包装体
WO2010039051A2 (en) * 2008-10-03 2010-04-08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A water bag for providing a supply of fluid for treating a patient
CN101416922B (zh) * 2008-11-25 2012-06-27 四川科伦药业股份有限公司 输液时不产生负压的自收缩输液瓶袋
JP5661331B2 (ja) * 2009-05-18 2015-01-28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JP5449864B2 (ja) * 2009-05-29 2014-03-19 株式会社細川洋行 医療用容器、医療用容器の製造方法、及び輸液入り医療用容器の製造方法
CN201692320U (zh) * 2010-04-30 2011-01-05 纽迪希亚制药(无锡)有限公司 一种带刻度的医用输液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369A (ja) * 1999-01-26 2000-08-02 Terumo Corp 投与用薬液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26843A1 (en) 2014-05-08
CN103874477B (zh) 2016-12-07
JP6100695B6 (ja) 2018-06-27
US9883986B2 (en) 2018-02-06
CN103874477A (zh) 2014-06-18
EP2767270A4 (en) 2015-06-24
JPWO2013054824A1 (ja) 2015-03-30
WO2013054824A1 (ja) 2013-04-18
KR20190062605A (ko) 2019-06-05
EP2767270A1 (en) 2014-08-20
EP2767270B1 (en) 2017-04-12
KR20140073481A (ko) 2014-06-16
JP6100695B2 (ja) 2017-03-22
KR101988871B1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941B1 (ko)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
JPWO2013054824A6 (ja) スタンディングバッグ型輸液容器
US5023119A (en) Medical solution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633731B2 (ja) 熱成形及びヒートシール可能材料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4326574A (en) Flexible container with valve
US4747703A (en) Bag made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and possessing a stiffening and stabilizing means
JP5785091B2 (ja) 多層フィルムを含む使い捨てバッグ
KR20180118150A (ko)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및 이러한 유형의 컨테이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2000513683A (ja) 圧力補正孔付き容器
US4467003A (en) Valves for sterilizable flat flexible containers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PT996578E (pt) Saquete flexivel fechado
WO2010137338A1 (ja) 医療用容器、医療用容器の製造方法、及び輸液入り医療用容器の製造方法
CN105125402B (zh) 一种直立袋输液双层无菌包装系统及其制备方法
JP2004208883A (ja) 医療用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医療用容器
US10806669B2 (en) Medical bag
JPH0130192Y2 (ko)
JP4421046B2 (ja) 医療用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医療用容器
JPH0431295B2 (ko)
JP6685644B2 (ja) 輸液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209522024U (zh) 一种自动在线虚线生产的鲜花包装袋
US20050049627A1 (en) Device for controlling bleeding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device
JP2808129B2 (ja) 医療用液体容器の製造方法
JP2020058886A (ja) 輸液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58955A (ja) 輸液用プラスチック容器
GB1559736A (en) Drainage ba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