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996B1 - 파스닝 테이프 - Google Patents

파스닝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996B1
KR102084996B1 KR1020187022475A KR20187022475A KR102084996B1 KR 102084996 B1 KR102084996 B1 KR 102084996B1 KR 1020187022475 A KR1020187022475 A KR 1020187022475A KR 20187022475 A KR20187022475 A KR 20187022475A KR 102084996 B1 KR102084996 B1 KR 102084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tape
wall
cavity
foam member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0402A (ko
Inventor
데이비드 스미스
지유 렌
츠요시 미나토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44B18/0015Male or hoo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49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obtained by moul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6Adaptations for being fixed to a moulded article during mou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F16B2001/0028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1Use of a material of the hooks-and-loop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파스닝 테이프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복수의 부착부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를 기재한다. 또한, 파스닝 테이프는 복수의 부착부 중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내벽, 및 적어도 1개의 내벽으로부터 어긋난 적어도 1개의 외벽을 포함하고, 적어도 1개의 내벽과 적어도 1개의 외벽 사이에 공동이 배치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파스닝 테이프는 공동에 배치된 주입 발포체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스닝 테이프
이 발명은, 밀봉 효과를 높여 제조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1개 이상의 주입 발포체 가스킷을 포함하는 훅 및/또는 루프식 파스닝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훅 및/또는 루프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는 다수의 장치가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및 다른 유사 산업에서는, 파스닝 테이프는 먼저 몰딩 챔버 내의 캐비티 또는 돌출부에 파스너 테이프를 둠으로써 좌석 쿠션 그 밖의 구성 요소에 설치될 수 있다. 파스닝 테이프를 그렇게 배치한 후, (우레탄폼과 같은) 구성 요소 발포체가 몰딩 챔버에 도입되고, 그것은 파스닝 테이프의 주위에 좌석 쿠션 그 밖의 구성 요소를 형성한다. 구성 요소 발포체가 파스닝 테이프의 체결 부분에 침입한 경우, 파스닝 테이프의 훅/루프는 불량이 되는 경향이 있다.
특정 상황에서는, 파스닝 테이프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파스닝 테이프의 체결 부분을 구성 요소 발포체로부터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해도 된다.
이 특허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어 「발명」, 「당해 발명」, 「이 발명」 및 「본 발명」은, 이 특허의 내용 및 이하의 특허 클레임 전부를 폭넓게 가리키도록 의도하고 있다. 이들 용어를 포함하고 있는 논술은, 본서에 기재된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는 이하의 특허 클레임의 의미 또는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해야 한다. 이 특허에 의해 포함되는 본 발명의 이종은, 이 개요가 아닌 이하의 클레임에 의해 규정된다. 이 개요는, 본 발명의 각종 양태의 고수준의 개설이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부에서 다시 설명하는 개념의 일부를 제시한다. 이 개요는, 청구하는 내용의 중요하고 또한 본질적인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하고 있지 않고, 또는 청구하는 내용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분리하여 사용되도록 의도하고 있지도 않다. 내용은, 이 특허의 명세서 전체의 적절한 부분, 일부 또는 전부의 도면 및 각 청구항의 참조에 의해 이해해야 한다.
특정 사례에 의하면, 파스닝 테이프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을 포함하고,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각각은 파스닝 테이프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복수의 부착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사이에는 부착부가 없는 공동이 배치되며, 복수의 부착부 중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여 적어도 1개의 내벽이 배치되며, 공동에는 주입 발포체 부재가 배치된다.
특정 사례에 의하면, 파스닝 테이프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을 포함하고,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각각은 파스닝 테이프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복수의 부착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사이에는 부착부가 없는 공동이 적어도 1개 배치되며, 적어도 1개의 공동에는 주입 발포체 부재가 배치되며,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복수의 부착부는 주입 발포체 부재의 침입을 방지하는 내벽의 작용을 하는 적어도 1열의 부착부를 포함한다.
특정 사례에 의하면, 파스닝 테이프는, 파스닝 테이프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복수의 부착부와, 복수의 부착부 중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내벽과, 적어도 1개의 내벽과 부착부가 없는 공동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1개의 외벽을 포함하며, 공동에는 주입 발포체 부재가 배치되며, 적어도 1개의 내벽 및 적어도 1개의 외벽 중 적어도 한쪽은 공동의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이하의 도면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특정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파스닝 테이프의 단부면도이다.
도 1c는 금형에 인접하여 배치된 도 1a의 파스닝 테이프의 단부면도이다.
도 2a는 특정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파스닝 테이프의 단부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파스닝 테이프의 상세도이다.
도 3a는 특정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파스닝 테이프의 단부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파스닝 테이프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4a는 특정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파스닝 테이프의 단부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파스닝 테이프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5a는 특정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파스닝 테이프의 단부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파스닝 테이프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6a는 특정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파스닝 테이프의 단부면도이다.
도 7a는 특정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파스닝 테이프의 단부면도이다.
도 8a는 특정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파스닝 테이프의 단부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파스닝 테이프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8d는 도 8a의 파스닝 테이프의 훅의 상세도이다.
도 9a는 특정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파스닝 테이프의 단부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의 파스닝 테이프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10a는 특정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파스닝 테이프의 단부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의 파스닝 테이프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11a는 특정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파스닝 테이프의 단부면도이다.
도 12a는 특정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파스닝 테이프의 단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종의 내용은 법정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본서에서는 특정적으로 설명하지만, 이 설명은 반드시 청구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하고 있지는 않다. 청구하는 내용은, 다른 방식으로 실시해도 되고, 상이한 요소 또는 스텝을 포함해도 되고, 다른 현행 또는 장래의 기술과 연계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 설명은, 개개의 스텝의 순서 또는 요소의 배열이 명시적으로 설명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각종 스텝 또는 요소간의 어떠한 특정 순서 또는 배열도 의미하고 있다고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 1a 내지 도 12b는, 파스닝 테이프의 비한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러 도면에 있어서 상이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있지만, 도면 중 어느 것에 관하여 도시 또는 기재된 특징 모두, 추가의 실시예를 제시하기 위해 포함, 결합, 대체 또는 생략해도 된다.
도 1a 및 도 1b는, 개량한 부착 시스템용 파스닝 테이프(100)의 비한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닝 테이프(100)는 복수의 부착부(120), 외측 탭(110), 1개 이상의 가로로 연장되는 벽(121) 및 1개 이상의 공동(150)을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닝 테이프(100)는 2개의 공동(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동은, 연속되는 내벽(102)으로부터 어긋난 연속되는 외벽(101)을 포함하고, 그 2개의 벽 사이에 공동(150)이 있고, 연속되는 내벽(102)은 복수의 부착부(120)에 인접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공동은 내벽(104)으로부터 어긋난 외벽(103)을 포함하고, 2개의 벽 사이에 공동(150)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가로로 연장되는 벽(121)은 부착부(120)의 열과 정렬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부착부(120)는 훅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루프여도 되고, 훅 및 루프의 조합이어도 된다. 부착부(120)가 훅인 경우, 그것들은 임의의 적격인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닝 테이프(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는, 파스닝 테이프와 금형 표면(3) 사이에 간극(Z)을 수반하여 파스닝 테이프의 상면이 금형(1)의 금형 표면(3)에 인접하도록 금형(1) 내에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석(2)을 금형(1) 내에 배치하고, 파스닝 테이프의 1개 이상의 자기부(130, 230, 330, 430, 730, 830, 1030)를 끌어당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내벽 및/또는 외벽(101 내지 104, 201 내지 204, 301, 303, 330, 401 내지 404, 501 내지 504, 601 내지 604, 701 내지 704, 801 내지 804, 901 내지 904, 1001 내지 1004, 1102a 내지 1102c, 1104a 내지 1104c)은, 파스닝 테이프(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파스닝 테이프를 (벽 표면에 대해 직각 또한 세로 방향에 대해 수직인)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내벽 및/또는 외벽의 각각은, 공동의 측면의 길이 및 높이를 따라 연장되고, 각각의 벽이 공동의 측면의 대부분 또는 약 50% 초과를 폐색하여, 공동 내에 배치된 발포체 부재를 보유 지지하는 것을 돕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벽(복수도)은, 공동의 약 60%, 70%, 80% 또는 90%라는, 또는 임의의 적절한 백분율이라는 공동의 큰 백분율을 따라 연장되고, 따라서 폐색된다. 이에 의해 발포체 부재를 공동 내에 보유 지지하는 것을 돕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a, 도 1b, 도 5a 내지 도 5c,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벽/외벽의 일부 또는 전부는, 파스닝 테이프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체 연속 요소인 것으로 해도 된다. 파스닝 테이프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내벽/외벽을 별개의 부분으로 분단하거나, 또는 내벽/외벽에서의 일련의 절결부를 형성한 연속 벽으로 함으로써(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c, 도 3a, 도 3b, 도 4a, 도 4b, 도 6a, 도 6b, 도 7a, 도 7b, 도 8a 내지 도 8c, 도 9a 내지 도 9c 및 도 10a 내지 도 10c 참조), 내벽/외벽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201)은 절결부(201.2)에 의해 분리된 주부(201.1)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속되는 내벽/외벽이 절결부(201.2)를 포함하므로, 파스닝 테이프는 보다 유연하고, 그러므로 (예를 들어, 금형 표면(3)이 평면이 아닐 때) 파스닝 테이프가 배치되는 곡면에 파스닝 테이프가 양호하게 적합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절결부는 연속되는 외벽의 문맥에서 설명하였지만, 연속되는 내벽도 절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내벽 및/또는 외벽의 절결부는, (파스닝 테이프의 세로 방향으로) 벽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절결부는, 파스닝 테이프를 (벽 표면에 대해 직각 또한 세로 방향에 대해 수직인)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내벽 및/또는 외벽의 각각이 공동의 측면의 길이 및 높이를 따라 연장되고, 각 벽이 공동의 측면의 대부분 또는 약 50% 초과를 폐색하여, 공동 내에 배치된 발포체 부재를 보유 지지하는 것을 돕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벽(복수도)은, 공동의 약 60%, 70%, 80% 또는 90%라는, 또는 임의의 적절한 백분율이라는 공동의 큰 백분율을 따라 연장되고, 따라서 폐색된다. 이에 의해 발포체 부재를 공동 내에 보유 지지하는 것을 돕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절결부에 주입 발포 부재의 일부가 진입함으로써 주입 발포 부재와 파스닝 테이프의 보유 지지력을 높인다. 경우에 따라서는, 절결부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1a, 도 1b, 도 5a 내지 도 5c, 도 11a 및 도 11b 참조), 벽은 공동의 약 100%가 폐색되도록 공동의 거의 전체의 길이 및/또는 높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절결부는 내벽 및/또는 외벽의 국소 부분(복수도)을 구획 형성하여, 벽 높이(도 5c의 X)는 축소되고(즉, 벽 높이 X보다 작음), 그것에 의해 발포체 부재의 비압축 높이(도 5c의 Y)로부터의 오프셋(도 5c의 Δ)은 절결부의 영역에 있어서 증대된다(즉, 오프셋 Δ보다 크다). 그 길이를 따라, 내벽 및/또는 외벽은 그 길이의 대부분 또는 50% 초과에 대해 전체 높이이다(즉, 벽 높이 X와 동일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벽(복수도)은, 예를 들어 약 60%, 70%, 80% 또는 90%, 또는 임의의 적절한 백분율이라는 길이의 큰 백분율에 대해 전체 높이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절결부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1a, 도 1b, 도 5a 내지 도 5c, 도 11a 및 도 11b 참조), 벽은 그것들의 길이의 약 100%에 대해 전체 높이이다.
도 2a 내지 도 2c, 도 5a 내지 도 6b 및 도 8a 내지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은 제조 공정 중 1개 이상의 공동 내부에 삽입(주입)된 발포체 부재(251, 551, 651, 851, 951)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 발포체가 몰딩 챔버에 도입되기 전에 파스닝 테이프를 몰딩 챔버의 캐비티 또는 돌출부에 두었을 때, 발포체 부재는 가스킷 또는 밀봉 부재의 작용을 한다. 상세하게는, 파스닝 테이프(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는, 발포체 부재(251, 551, 651, 851, 951)가 금형 표면(3)에 접촉하여 밀봉하도록 반전된다. 발포체 부재는 구성 요소 발포체가 부착부(120, 220, 320, 420, 520, 620, 720, 720, 820, 920, 1020, 1120a 내지 1120c, 1220a 내지 1220c)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발포체는 파스닝 테이프의 세로 방향으로 연속 방식으로 주입된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되는 외벽(501) 및 연속되는 내벽(502)은 파스닝 테이프(500)의 저면으로부터 거리 X(즉, 벽 높이)로 연장 돌출된다. 발포체 부재(551)는 금형 표면(3)에 압박되었을 때 압축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즉,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체 부재(551)는 파스닝 테이프(500)의 저면으로부터 거리 Y(즉, 비압축 높이)로 연장 돌출되고, 여기서 Y>X이다. 외벽(501) 및/또는 내벽(502)의 벽 높이 X와 발포체 부재(551)의 비압축 높이 Y 사이의 차 또는 오프셋은 Δ이다. 일부의 비한정적 실시예에 있어서, 오프셋 Δ는 약 0.5㎜이다. 예를 들어, 벽 높이 X는 약 1.7㎜이고, 비압축 높이 Y는 약 2.2㎜인 것으로 해도 된다. 발포체 부재의 압축에 기초하여, 파스닝 테이프(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와 금형(1) 사이의 최종적인 간극(Z)(도 1c 참조)은 약 0.0 내지 0.2㎜로 될 수 있다. 거리 X, Y 및 Z는 특정 응용에 대해 필요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발포체 부재의 비압축 높이 Y는, 외벽 또는 내벽 측을 향해 작아진다. 즉, 발포체 부재의 금형 표면(3)과의 접촉면을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발포체 부재에 압축력이 가해졌을 때에 변형되기 쉽다. 즉, 금형 표면(3)과 발포체 부재의 밀봉성이 향상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파스닝 테이프의 1개 이상의 공동은, 내벽을 수반하지 않고, 외벽을 수반하지 않고, 또는 내벽 및 외벽의 양쪽을 수반하지 않고 구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1a 및 도 11b는, 외벽을 포함하지 않는 파스닝 테이프(1100)를 도시하고 있다. 파스닝 테이프(1100)는, 다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을 서로 평행하게 압출할 수 있다. 다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은 인접하고 있지만, 서로 이격된다. 즉, 복수의 부착부를 구비하는 각 부착부 영역이 인접하고 있지만, 부착부가 없는 공동(1150.1 내지 1150.4)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또한, 파스닝 테이프 부분은, 서로 분리해도 되고(즉, 파스닝 테이프 부분과 거의 평행한 선을 따라 공동(1150.1 내지 1150.4)으로 절단함), 연결된 상태 그대로여도 된다. 도 11a 내지 도 12b는 3개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을 서로 평행하게 제조한 사례를 도시하지만, 임의의 적격인 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을 평행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1a 및 도 11b의 제1 파스닝 테이프 부분은 제1 내벽(1102a) 및 제2 내벽(1104a)을 포함한다. 제1 공동(1150.1)이 제1 내벽(1102a)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1150.2)이 제1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제2 내벽(1104a)과 제2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제1 내벽(1102b) 사이에 위치한다. 발포체 부재는 공동(1150.1 내지 1150.4)의 1개 이상에 주입될 수 있다. 발포체 부재는 파스닝 테이프 부분이 서로 분리되기 전에 주입되고, 그것에 의해 인접하는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내벽이 발포체 부재를 공동 내에 보유 지지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발포체 부재는 파스닝 테이프 부분이 서로 분리되기 전에 공동(1150.2) 및/또는 공동(1150.3)에 주입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발포체 부재는, 분리 후에 각각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이 발포체 부재를 포함하도록, 거의 그 중심에서 길이를 따라 절단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내벽 또는 외벽을 포함하지 않는 파스닝 테이프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공동(1250.1 내지 1250.4)은, 부착부(1220a 내지 1220c) 및 가로로 연장되는 벽(1221a 내지 1221c)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들의 사례에서는, 부착부 및/또는 가로로 연장되는 벽은 각각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중심부로의 발포체 부재의 침입을 방지하는 벽으로서 기능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 이상의 열의 부착부(1220a 내지 1220c)가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내벽의 작용을 할 수 있다.
파스닝 테이프(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는 또한, 자기 재료로 구성된 1개 이상의 자기부(130, 230, 330, 430, 730, 830, 1030, 1130, 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부는, 예를 들어 철, 페라이트, 코발트, 니켈, 철 알루미늄 합금, 철 코발트 합금, 철 코발트 크롬 합금, 철 니켈 합금, 철 니켈 크롬 합금, 코발트 니켈 합금, 코발트 니켈 망간 합금, 니켈 망간 합금 등의 자성체(자기 재료)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부(130, 230, 1130, 1230)는, 거의 원통형인 자성체를 포함하는 모노 필라멘트인 것으로 해도 되고, 1개 이상의 공동(150, 250, 1150.1 내지 1150.4, 1250.1 내지 1250.4)과 대략 평행하게 파스닝 테이프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자기부는 자성분(철분)을 함유하는 나일론 수지로 만들어도 되고, 그에 의해 나일론은 압출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연화될 수 있다. 특정의 경우, 자기부는, 수지가 가열에 의해 연화되어 있는 동안에 자기부를 수지에 압입함으로써 (화학적으로가 아닌) 물리적으로 파스닝 테이프에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자기부(330, 430, 730)는 플라스틱 수지와 철분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의 경우, 자기부는 압출할 수 있다. 또한, 파스닝 테이프 자체를 자기 재료(예를 들어, 철분)와 혼합하고 나서 파스닝 테이프를 압출하여, 파스닝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가 자성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파스닝 테이프 전체가 자성이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파스닝 테이프(100, 200, 300, 400, 600, 700, 800, 1000, 1100, 1200)는 자기부 외에도 파스닝 테이프의 재료에 혼합한 자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자기 재료는 자기부 대신에 파스닝 테이프의 재료와 혼합된다(예를 들어, 파스닝 테이프(500, 900)).
자기부(130, 230, 330, 430, 730, 830, 1030, 1130, 1230)는, 파스닝 테이프의 저면으로부터 어긋나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닝 테이프(700)의 상면까지, 또는 그 부근으로 연장 돌출되어도 되고, 그들 도면은 단일의 (예를 들어, 가로 방향으로) 중앙에 배치된 자기부(730)를 도시하고 있다. 파스닝 테이프를 반전시켜 금형의 자석에 직접 두어도 되므로, 자기부를 파스닝 테이프의 상면 부근에 배치하여 파스닝 테이프의 자기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유리한 경우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기부는 부착부와 거의 동일한 높이이도록 배치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조 효율을 높이거나, 중량 배분을 최적화하기 위해) 자기부를 파스닝 테이프의 저면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자기부는, 자기부를 별개의 부분으로 절단하거나, 또는 자기부에 일련의 절결부를 만드는 것 중 어느 것에 의해(예를 들어, 도 3c 및 도 4c 참조), 보다 유연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부(430)는 연속되어 있어도 되고, 절결부(430.2)에 의해 분리된 주부(430.1)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부가 절결부(430.2)를 포함하므로, 파스닝 테이프는 보다 유연하고, 그러므로 파스닝 테이프는 파스닝 테이프가 배치되는 곡면에 양호하게 적합할 수 있고, 그것은 바뀌어 구성 요소 발포체가 부착부(120, 220, 320, 420, 520, 620, 720, 820, 920, 1020, 1120a 내지 1120c, 1220a 내지 1220c)에 침입할 가능성을 저감시킨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자기부(430)는 1개 이상의 공동(450)에 배치할 수 있다. 자기부(430)를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각 공동(450)의 용적을 축소하고, 그러므로 1개 이상의 공동(450)에 발포체를 주입할 때에 필요한 재료의 양을 저감시킨다. 도 4a 및 도 4b는 발포체 부재를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발포체 부재는 자기부(430) 상의 공동(450)에 배치될 수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공동(150, 350, 750, 1050, 1150.1 내지 1150.4 및 1250.1 내지 1250.4)도 또한 발포체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포체 부재는 이들 공동의 1개 이상에 주입할 수 있다.
절결부를 형성한 자기부의 다른 선택지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1개 이상의 공동(350)은 자기 재료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3a 내지 도 3c는, 각 공동(350)의 내벽(330)이 자기 재료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외벽(301, 303) 또는 내벽 및 외벽이 자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내벽(330)은 외층(330.1), 중심층(330.2) 및 내층(330.3)을 포함하는 3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층 및 외층(330.3, 330.1)은 유사해도 되지만, 1층의 당해 절결부가 다른 층의 주부와 정렬되도록 서로 어긋날 수 있다. 중심층(330.2)은, 내층 및 외층(330.3, 330.1) 중 한쪽 또는 양쪽의 절결부와 정렬되는 절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파스닝 테이프는 어느 자기부도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파스닝 테이프(500 및 900)는, 어느 자기부도 포함하지 않고(도 5a 내지 도 5c및 도 9a 내지 도 9c 참조), 대응하는 금형도 또한 어느 자석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경우에 따라서는, 파스닝 테이프(500)는, 발포체 부재(551)와 금형 표면 사이의 접합 또는 부착을 촉진하는 접착 또는 점착 기능을 갖는 발포체 부재(55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기능은 발포체 부재(551)를 공동(550) 내에 부착시키는 것도 돕는다. 마찬가지로, 파스닝 테이프(900)는 발포체 부재(951)와 금형 표면 사이, 또한 발포체 부재(951)와 공동(950) 사이의 접합 또는 부착을 촉진하는 접착 또는 점착 기능을 갖는 발포체 부재(951)를 포함할 수 있다. 발포체 부재(551, 951)는 감압 접착성 수지 및/또는 점착 부여 수지인 것으로 해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는 이하, 테르펜, 합성 테르펜, 변성 테르펜, 테르펜페놀 수지 및 그것들의 유도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점착 부여제도 존재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이하, 우드 로진, 톨유 및 검 로진, 로진 에스테르, 지방족, 방향족 및 지방족-방향족 석유계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발포체 부재(551, 951)는, 가스킷 재료를 사용하기 쉽게 하는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소제는, 탄화수소유, 폴리부틸렌, 액상 점착 부여 수지 및 엘라스토머와 같은 액체 또는 고체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체 가소제는 약 50℃를 상회하는 연화점을 가져야 한다. 자기 기능 대신에 접착 기능을 갖는 발포체 부재(551, 951)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는, 제조 공정을 단순하게 함과 함께, 자기 재료를 제조 공정으로부터 삭제함으로써 비용을 저감한다. 덧붙여, 이것들의 접착 또는 점착 기능은, 파스닝 테이프와 대응하는 금형 표면의 부착을 최적화하기 위해 본서에 설명한 자기 그 밖의 기능과 조합해도 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발포체 부재(651)는, 1개 이상의 공동(650)에 주입되는 재료에 혼합된 자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1개 이상의 발포체 부재(651)를 형성하기 위해 주입되는 재료와 철분이 혼합된다. 덧붙여, 발포체 부재 중에 자기 재료를 포함하는 이 특징은, 상술한 접착 또는 점착 기능과, 또한/또는 파스닝 테이프와 대응하는 금형 표면의 부착을 최적화하기 위해 본서에 설명한 자기 그 밖의 기능과 조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발포체 부재는, 감압성 접착제 및 그것에 혼합된 자기 재료의 양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발포체 부재(접착제 및 일체의 자기 재료 중 한쪽 또는 양쪽을 구비함)는, 1개 이상의 자기부(130, 230, 330, 430, 730, 830, 1030, 1130, 1230)와 조합해도 된다.
자기부(330, 430, 730)는 플라스틱 수지와 철분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자기부는 압출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발포체 부재(651)에 자기 재료가 혼합되는 대신에, 파스닝 테이프(600)를 압출하기 전에 파스닝 테이프(600) 자체에 자기 재료(예를 들어, 철분)를 혼합하여, 그에 의해 파스닝 테이프(600) 전체가 자성이도록 해도 된다.
도 1a 내지 도 3c는 공동에 인접하여 각각 배치된 복수의 자기부를 도시하고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파스닝 테이프는, 도 7a, 도 7b,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예를 들어, 파스닝 테이프의 가로 방향으로) 중앙에 배치된 단일의 자기부(730, 10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도 7b,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자기부(730, 1030)는, 부착부(720, 1020) 및 가로로 연장되는 벽(721, 1021)과 동일한 높이까지 파스닝 테이프(700, 1000)의 정상부를 향해 연장 돌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자기부(730, 1030)의 상면은 부착부(720, 1020) 및 가로로 연장되는 벽(721, 1021)의 상면과 거의 동일 평면이다.
자기부가 1개 이상의 공동 내에 배치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예를 들어, 상술한 자기부(430)), 자기부는 파스닝 테이프의 상면에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1개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한 파스닝 테이프(800)는, 복수의 돌출부를 갖는 자기부(830)를 포함한다. 도 8a는 발포체 부재(851)가 있는 각 공동(850)을 나타내고 있고, 도 8b는 한쪽의 발포체 부재(851)를 제거하고 공동(850)의 한쪽에 1개의 발포체 부재가 있는 단부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8c는 발포체 부재(851)가 없는 1개의 공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돌출부는, 자기부(830)의 기부 표면(830.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부분(830.2) 및 1개 이상의 훅부(830.3)를 포함한다. 돌출부는, 앵커 효과를 구비하는 형상이면 그 형상에 제한은 없고, 임의의 필요한 구성(예를 들어, J자형 그 외)을 갖고,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포체 부재가 1개 이상의 공동에 주입될 때, 훅부(830.3)는 발포체 부재가 공동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항을 부여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부분(830.2)으로부터 파스닝 테이프의 세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훅부(830.3)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훅부(830.3)는, 파스닝 테이프의 가로 방향을 포함하는 다른 방향으로,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부분(830.2)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도 된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d는, 파스닝 테이프(80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1열의 돌출부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동(850)은 임의의 수의 열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의 실시예는 자기부(830)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돌출부를 도시하고 있지만(자기부(830)는 적어도 1개의 공동에 배치됨),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는 자기부로부터가 아닌 1개 이상의 공동(850)로부터 직접 연장 돌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닝 테이프(1000)는 공동(1050) 내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1052)를 포함한다. 돌출부(1052)는 공동(1050)의 기부 표면(1052.1)으로부터 연장 돌출된다. 각 돌출부(1052)는, 공동(1050)의 기부 표면(1052.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부분(1052.2) 및 1개 이상의 훅부(1052.3)를 포함한다. 임의의 수의 돌출부를 사용할 수 있고, 그것들은 임의의 필요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1052)는 (파스닝 테이프(1000)의 세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2열로 배치되고, 제1열은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부분(1052.2)으로부터 파스닝 테이프(1000)의 세로 방향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훅부(1052.3)를 포함한다.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열은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부분(1052.2)으로부터 파스닝 테이프(1000)의 세로 방향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훅부(1052.3)를 포함하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반대이다. 그러나 돌출부는 임의의 적격인 구성으로 배열할 수 있다.
파스닝 테이프는, 발포체 부재가 공동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 내지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901, 903, 1001, 1003) 및/또는 내벽(902, 904, 1002, 1004)은, 발포체 부재를 포착하거나, 또는 1개 이상의 공동으로부터의 발포체 부재의 제거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벽의 상단부에 배치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스닝 테이프(900)의 경우, 제1 외벽(901)은 내향 돌출부(901.1)(즉, 공동(950)으로 돌출됨)를 포함하고, 제2 외벽(903)은 내향 돌출부(903.1)(즉, 공동(950)으로 돌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 또는 대체적으로서, 제1 내벽(902)은 내향 돌출부(902.1)(즉, 공동으로 돌출됨)를 포함하고, 제2 내벽(904)은 내향 돌출부(904.1)(즉, 공동으로 돌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파스닝 테이프(1000)의 경우, 제1 외벽(1001)은 내향 돌출부(1001.1)(즉, 공동으로 돌출됨)를 포함하고, 제2 외벽(1003)은 내향 돌출부(1003.1)(즉, 공동으로 돌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 또는 대체적으로서, 제1 내벽(1002)은 내향 돌출부(1002.1)(즉, 공동으로 돌출됨)를 포함하고, 제2 내벽(1004)은 내향 돌출부(1004.1)(즉, 공동으로 돌출됨)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내향 돌출부는 각각의 벽의 정상부를 하방으로 압박함으로써 형성된다.
발포체 부재를 적어도 1개의 공동에 배치한(예를 들어, 주입한) 후, 내향 돌출부는 공동의 정상부의 개구의 크기를 제한하여 발포체 부재에 결합하여 발포체 부재가 공동으로부터 빠지는 데 요하는 힘을 증대시키고, 그것에 의해 공동으로부터의 발포체 부재의 이탈 가능성을 저감한다. 덧붙여, 내향 돌출부의 특징은, 접착 기능(도 5a 내지 도 5c 및 도 9a 내지 도 9c 참조) 또는 돌출부 기능(도 8a 내지 도 8d 및 도 10a 내지 도 10c 참조)과 같은 발포체 부재를 공동 내에 확보하기 위해 구성된 다른 특징과 조합할 수 있다.
파스닝 테이프의 구성 요소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부직 폴리프로필렌, 다른 플라스틱 재료, 열가소성 물질, 금속 재료, 다른 복합 재료, 면, 양모, 합성 직물 그 밖의 유사 재료를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파스닝 테이프의 구성 요소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아교제 또는 임의의 적격인 접착제, 훅·루프식 파스닝 테이프, 초음파 용접, 다른 기계적 또는 화학적 체결 장치를 포함하는 적격인 체결 장치에 의해 서로 부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 또는 상술한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도시 또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구성 요소 및 스텝의 상이한 배열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일부의 특징 및 부분 조합이 유용하고, 다른 특징 및 부분 조합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례는 제한적 목적이 아닌 예시적 목적으로 기재하고 있고, 대체적인 사례는 이 특허의 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 또는 도면에 도시한 사례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으면 다양한 사례 및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6년 2월 8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15/018,359)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 파스닝 테이프
101, 103, 201, 203, 301, 303, 401, 403, 501, 503, 601, 603, 701, 703, 801, 803, 901, 903, 1001, 1003 : 외벽
102, 104, 202, 204, 330, 402, 404, 502, 504, 602, 604, 702, 704, 802, 804, 902, 904, 1002, 1004 : 내벽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 910, 1010 : 외측 탭
120, 220, 320, 420, 520, 620, 720, 820, 920, 1020, 1120a 내지 1120c, 1220a 내지 1220c : 부착부
121, 221, 321, 421, 521, 621, 721, 821, 921, 1021, 1121a 내지 1121c, 1221a 내지 1221c : 가로로 연장되는 벽
130, 230, 330, 430, 730, 830, 1030, 1130, 1230 : 자기부
150, 250, 350, 450, 550, 650, 750, 850, 950, 1050, 1150.1 내지 1150.4, 1250.1 내지 1250.4 : 공동
251, 551, 651, 851, 951 : 발포체 부재
330.1 : 외층
330.2 : 중심층
330.3 : 내층
201.1, 430.1 : 주부
201.2, 430.2 : 절결부
1052 : 돌출부
830.1, 1052.1 : 기부 표면
830.2, 1052.2 :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부분
830.3, 1052.3 : 훅부
901.1, 902.1, 903.1, 904.1, 1001.1, 1002.1, 1003.1, 1004.1 : 내향 돌출부

Claims (27)

  1.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을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이며,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각각은 파스닝 테이프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복수의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사이에는 부착부가 없는 공동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부착부 중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여 적어도 1개의 내벽이 배치되며,
    상기 공동에는 주입 발포체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주입 발포체 부재는, 상기 파스닝 테이프가 금형의 형실 내에 배치된 때, 상기 형실에 도입되는 구성 요소 발포체가 상기 부착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일하는, 파스닝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자기부를 더 구비하는, 파스닝 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자기부는, 파스닝 테이프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성체가 포함된 모노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주입 발포체 부재는 그것에 혼합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주입 발포체 부재는 감압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내벽은 주입 발포체 부재를 공동 내의 적소에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 내향 돌출부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7. 제1항에 있어서,
    공동의 기부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주입 발포체 부재는 복수의 돌출부를 둘러싸는, 파스닝 테이프.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내벽은 복수의 절결부를 구비하는, 파스닝 테이프.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내벽은 연속되어 있는, 파스닝 테이프.
  10.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을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이며,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각각은 파스닝 테이프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복수의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사이에는 부착부가 없는 공동이 적어도 1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1개의 공동에는 주입 발포체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주입 발포체 부재는, 상기 파스닝 테이프가 금형의 형실 내에 배치된 때, 상기 형실에 도입되는 구성 요소 발포체가 상기 부착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일하고,
    상기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부분의 상기 복수의 부착부는, 상기 주입 발포체 부재의 침입을 방지하는 내벽의 작용을 하는 적어도 1열의 부착부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자기부를 더 구비하는, 파스닝 테이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자기부는, 파스닝 테이프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성체가 포함된 모노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13. 제10항에 있어서,
    주입 발포체 부재는 그것에 혼합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14. 제10항에 있어서,
    주입 발포체 부재는 감압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15.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공동의 기부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주입 발포체 부재는 복수의 돌출부를 둘러싸는, 파스닝 테이프.
  16. 파스닝 테이프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복수의 부착부와,
    상기 복수의 부착부 중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내벽과,
    상기 적어도 1개의 내벽과 부착부가 없는 공동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1개의 외벽을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이며,
    상기 공동에는 주입 발포체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주입 발포체 부재는, 상기 파스닝 테이프가 금형의 형실 내에 배치된 때, 상기 형실에 도입되는 구성 요소 발포체가 상기 부착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일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내벽 및 적어도 1개의 외벽 중 적어도 한쪽은 공동의 측면의 50% 초과를 폐색하도록 공동의 길이 및 높이를 따라 연장되는, 파스닝 테이프.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자기부를 더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18.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자기부는, 파스닝 테이프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성체가 포함된 모노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19.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자기부는 복수의 주부 및 복수의 절결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1개의 자기부는 공동 내에 배치되는, 파스닝 테이프.
  20.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자기부는 복수의 훅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1개의 자기부는 주입 발포체 부재가 복수의 훅부를 둘러싸도록 공동 내에 배치되는, 파스닝 테이프.
  21. 제16항에 있어서,
    주입 발포체 부재는 그것에 혼합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22. 제16항에 있어서,
    주입 발포체 부재는 감압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23.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내벽 및 적어도 1개의 외벽 중 적어도 한쪽은, 주입 발포체 부재를 공동 내의 적소에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 내향 돌출부를 각각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24. 제16항에 있어서,
    공동의 기부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주입 발포체 부재는 복수의 돌출부를 둘러싸는, 파스닝 테이프.
  25.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내벽 및 적어도 1개의 외벽 중 적어도 한쪽은 연속되어 있는, 파스닝 테이프.
  26.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내벽 및 적어도 1개의 외벽 중 적어도 한쪽은 복수의 절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결부 내에 주입 발포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진입되어 있는, 파스닝 테이프.
  27. 제16항에 있어서,
    파스닝 테이프는 파스닝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가 자성이도록 플라스틱 수지와 자성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KR1020187022475A 2016-02-08 2017-02-07 파스닝 테이프 KR102084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18,359 2016-02-08
US15/018,359 US10051926B2 (en) 2016-02-08 2016-02-08 Fastening tape with injected foam gasket
PCT/JP2017/004433 WO2017138535A1 (ja) 2016-02-08 2017-02-07 ファスニングテー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402A KR20180100402A (ko) 2018-09-10
KR102084996B1 true KR102084996B1 (ko) 2020-03-05

Family

ID=5949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475A KR102084996B1 (ko) 2016-02-08 2017-02-07 파스닝 테이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051926B2 (ko)
JP (1) JP6556877B2 (ko)
KR (1) KR102084996B1 (ko)
CN (1) CN108601428B (ko)
DE (1) DE112017000701T5 (ko)
WO (1) WO2017138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2777B (zh) * 2013-01-07 2018-03-30 Ykk株式会社 成形搭扣带及缓冲体的制造方法
US10051926B2 (en) 2016-02-08 2018-08-21 Ykk Corporation Fastening tape with injected foam gasket
JP6732374B2 (ja) * 2016-04-13 2020-07-29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KR102411335B1 (ko) * 2018-02-13 2022-06-22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성형면 패스너 및 성형면 패스너의 제조 방법
TWI655123B (zh) * 2018-08-10 2019-04-01 台灣百和工業股份有限公司 用於座椅發泡體之射出鉤式椅套固定條結構
US20220386746A1 (en) * 2021-06-04 2022-12-08 Yi-Wen Tang Fastening stra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4449A1 (en) * 2001-05-04 2002-11-07 Nobuo Fujisawa Fastener strip with discrete magnetically attractable area, and method and apparatus of making same
JP2007167678A (ja) * 1996-02-28 2007-07-05 3M Co 難燃性ファスナ
WO2010146667A1 (ja) * 2009-06-17 2010-12-23 Ykk株式会社 成形雄面ファスナー
JP5635179B2 (ja) 2011-03-07 2014-12-03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WO2016002049A1 (ja) * 2014-07-03 2016-01-07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クッション体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689B1 (ko) 1971-07-31 1979-06-08
US5786061A (en) 1991-05-03 1998-07-28 Velcro Industries B.V. Separable fastener having a perimeter cover gasket
US5540970A (en) 1991-05-03 1996-07-30 Velcro Industries B.V. Die cut mold-in
CA2086326C (en) 1991-05-03 2001-12-25 Donald L. Banfield Insert mold-in
US5725928A (en) * 1995-02-17 1998-03-10 Velcro Industries B.V. Touch fastener with magnetic attractant
US5766723A (en) 1996-11-12 1998-06-16 Woodbridge Foam Corporation Fastener assembly with peripheral seal
JPH11268047A (ja) * 1998-03-23 1999-10-05 Morito Co Ltd 雄面ファスナー成形用金型
JP2002519474A (ja) 1998-06-30 2002-07-02 エイチ・ビー・フラー・ライセンシング・アンド・フアイナンシング・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均一エチレンインターポリマーとブロックコポリマーを含んで成る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JP3699896B2 (ja) * 2000-06-30 2005-09-28 Ykk株式会社 シート用面ファスナー
US6720059B2 (en) * 2001-05-04 2004-04-13 Ykk Corporation Fastener strip having vertical sealing members l
CN1250128C (zh) * 2001-10-05 2006-04-12 Ykk株式会社 带磁体的拉链带以及制造该拉链带的方法和装置
JP2004000321A (ja) * 2002-03-26 2004-01-08 Kuraray Co Ltd モールドイン成型用係止部材および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AU2005212356B2 (en) 2004-02-10 2010-04-15 Avery Dennison Corporation Fastening member for a molded article
DE102004015321A1 (de) * 2004-03-30 2005-10-20 Binder Gottlieb Gmbh & Co Kg Haftverschlußteil
FR2886109B1 (fr) 2005-05-27 2009-02-27 Aplix Sa Surmoule a nervures anti intrusion
ES2610303T3 (es) 2008-11-06 2017-04-26 Ykk Corporation Dispositivo de fijación superficial macho moldeado
TW201023783A (en) * 2008-12-26 2010-07-01 Taiwan Paiho Ltd Fastening assembly and cushion having fastening assembly
CN102125340B (zh) * 2010-01-14 2013-09-04 台湾百和工业股份有限公司 用于发泡物的粘扣带组件及包含此粘扣带组件的发泡物
WO2013005297A1 (ja) * 2011-07-05 2013-01-10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並びに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
KR101559688B1 (ko) * 2011-10-26 2015-10-13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성형면 파스너
WO2013088247A2 (en) * 2011-12-13 2013-06-20 Velcro Industries B.V.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US9399333B2 (en) 2012-04-18 2016-07-26 Velcro BVBA Forming laminated touch fasteners
US10051926B2 (en) 2016-02-08 2018-08-21 Ykk Corporation Fastening tape with injected foam gask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7678A (ja) * 1996-02-28 2007-07-05 3M Co 難燃性ファスナ
US20020164449A1 (en) * 2001-05-04 2002-11-07 Nobuo Fujisawa Fastener strip with discrete magnetically attractable area, and method and apparatus of making same
WO2010146667A1 (ja) * 2009-06-17 2010-12-23 Ykk株式会社 成形雄面ファスナー
JP5635179B2 (ja) 2011-03-07 2014-12-03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WO2016002049A1 (ja) * 2014-07-03 2016-01-07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クッション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138535A1 (ja) 2018-11-08
CN108601428B (zh) 2020-12-22
US10051926B2 (en) 2018-08-21
US20170224060A1 (en) 2017-08-10
US10709210B2 (en) 2020-07-14
US20180325222A1 (en) 2018-11-15
DE112017000701T5 (de) 2018-10-18
KR20180100402A (ko) 2018-09-10
JP6556877B2 (ja) 2019-08-07
CN108601428A (zh) 2018-09-28
WO2017138535A1 (ja)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996B1 (ko) 파스닝 테이프
US6720059B2 (en) Fastener strip having vertical sealing members l
TWI468121B (zh) Forming Velcro
JP4769245B2 (ja) 面ファスナ部品
KR101719086B1 (ko) 성형면 파스너 및 쿠션체의 제조 방법
US20150296910A1 (en) Magnetic closure system
RU2684123C2 (ru) Способ сборк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ух элементов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б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01906541B1 (ko) 표면 결합 패스너
CN105228931A (zh) 杯垫分离型吸附杯
KR102059984B1 (ko) 체결 테이프
CN105658106A (zh) 紧固件
CN107259721B (zh) 可隐藏的拉链
CN1195432C (zh) 拉链带的底端止动件固定部分
JP2013208137A (ja) 両面ファスナーおよび同ファスナーを用いた結束用ベルト
AU2013200927B2 (en) Adhesive Fastener for Foam Molding and Cushion Thereof
US9688007B2 (en) Foam molding and foam cushion molding method
KR101934488B1 (ko) 곡선형 파스너 테이프
CN106714945A (zh) 过滤模块和生产过滤模块的方法
TWI471250B (zh) A surface bonding fastener and a resealable container comprising the surface adhesive fastener
KR200473286Y1 (ko) 파스너 어셈블리 및 파스너 어셈블리가 구비된 쿠션
KR102221441B1 (ko) 무봉제 벨트가 구비된 방수가방
CN103863673A (zh) 表面黏合扣具及包含此表面黏合扣具的可重复密封的容器
KR101436581B1 (ko) 파스너
JP6285710B2 (ja) フィルム固定型キャリア
KR20170053967A (ko) 자동차용 시트 커버 고정와이어 체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