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086B1 - 성형면 파스너 및 쿠션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성형면 파스너 및 쿠션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9086B1 KR101719086B1 KR1020157021092A KR20157021092A KR101719086B1 KR 101719086 B1 KR101719086 B1 KR 101719086B1 KR 1020157021092 A KR1020157021092 A KR 1020157021092A KR 20157021092 A KR20157021092 A KR 20157021092A KR 101719086 B1 KR101719086 B1 KR 1017190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in material
- surface fastener
- fastener
- members
- cushio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6—Adaptations for being fixed to a moulded article during moulding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49—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obtained by moulding process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61—Male or hook el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1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with distinct structure for sealing securement joint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1, 2, 3, 4, 5)는, 평판 형상의 기재(11, 31, 61)와, 기재(11, 31, 61)에 기립 설치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면 파스너 부재(10, 30, 60)와, 기재(11, 31, 61)의 좌우 측연부(11a, 31a, 61a)에 기재(11, 31, 6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고착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 40, 50, 51, 70)와, 기재(11, 31, 6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된 좌우의 지지 부재(13, 12)를 갖고 있고,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 40, 50, 51, 70)의 상단부가 지지 부재(13, 12)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성형면 파스너(1, 2, 3, 4, 5)가 일체화된 쿠션체(6)는, 성형면 파스너(1, 2, 3, 4, 5)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 내에의 발포체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걸림 결합력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포체의 성형 시에 동일 발포체 표면에 일체화되는 성형면 파스너, 및 그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되는 쿠션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가 면 파스너 부재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 가능한 성형면 파스너, 및 그 성형면 파스너가 성형 일체화되는 쿠션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나 열차의 좌석용 시트, 각종 소파, 사무용 체어 등은, 발포성 수지를 사용해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쿠션체(발포체)의 표면에, 섬유제 포백(布帛)이나 천연 또는 합성 피혁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피재를 피착시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각종 시트 등에 사용되는 쿠션체는, 장시간 착석해도 피로하지 않은 착석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 인간 공학적으로 충족되는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만곡면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쿠션체의 표면에 표피재를 피착시키는 경우, 쿠션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후, 얻어진 쿠션체의 표면에 표피재를 씌워서 고정하는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 경우, 쿠션체의 표면과 표피재의 이면을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성형면 파스너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성형면 파스너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하나의 표면(제1 면)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예를 들어, 웅형(雄型) 걸림 결합 소자)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성형면 파스너를, 쿠션체의 성형 시에 동일 쿠션체 표면에 걸림 결합 소자가 노출되도록 성형 일체화한다. 또한, 이 쿠션체를 피복하는 표피재의 이면에는,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와 걸림 부착 가능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자형(雌型) 걸림 결합 소자)를 설치해 둔다.
그리고,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에 표피재를 씌운 후, 그 표피재의 이면에 배치된 자형 걸림 결합 소자를, 쿠션 체표면에 노출된 성형면 파스너의 웅형 걸림 결합 소자에 가압함으로써, 표피재를 성형면 파스너에 걸림 부착시킨다. 이에 의해, 표피재가, 쿠션체의 표면에 해당 표면의 요철 형상을 따라서 용이하게 고정되고, 표피재가 쿠션체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표피재와 쿠션체의 고정에 사용되는 성형면 파스너에서는, 필요한 고착 강도를 안정되게 확보하기 위해서,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쿠션체의 발포 수지 재료가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걸림 결합 소자 영역)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을 쿠션체의 표면에 노출시키는 것이 필요해진다.
한편,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 64-43705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걸림 결합 소자 영역에 수지 재료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쿠션체에 일체화되는 면 파스너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면 파스너(80)는, 평판 형상의 기재(82)의 표면에 다수의 훅 형상 걸림 결합 소자(83)가 기립 설치된 면 파스너 부재(81)와, 기재(82)의 좌우 측연부에 배치되고, 대략 L자 형상의 횡단면을 구비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수지 침입 방지 부재(84)와, 기재(82)의 이면에 배치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재(85)를 갖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수지 침입 방지 부재(84) 및 고정 부재(85)는, 초음파 용착이나 고주파 용착 등의 용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에 의해 면 파스너 부재(81)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횡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인 수지 침입 방지 부재(84)는, 기재(82)에 기립 설치된 훅 형상 걸림 결합 소자(83)의 위치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면 파스너(80)가 일체화되는 쿠션체를 발포 성형하는 경우에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 파스너(80)를 쿠션체 성형용 금형(86)의 내면(캐비티면)에 적재하고, 발포 수지 재료(87)를 금형(86)의 내부 공간(캐비티)에 주입한다.
이 경우, 금형(86)의 내면에는, 면 파스너(80)의 일부를 삽입해서 면 파스너(80)를 위치 결정하여 보유하기 위한 오목홈부(트렌치부)(8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홈부(88)는, 면 파스너(80)의 형태에 대응한 홈 형상, 홈 치수 및 홈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금형(86)의 오목홈부(88) 내에 다수의 걸림 결합 소자(83)와 대략 L자 형상의 수지 침입 방지 부재(84)의 일 편부가 삽입된다. 또한 이때, 수지 침입 방지 부재(84)의 타 편부가, 면 파스너(80)의 기재(82)와 금형(86)의 내면 사이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금형(86)의 오목홈부(88)에 면 파스너(80)를 세트한 상태에서 발포 수지 재료(87)를 금형(86) 내에 주입해서 발포 성형을 행함으로써,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수지 침입 방지 부재(84)가, 발포 수지 재료(87)를 흡수함과 함께 발포 수지 재료(87)가 오목홈부(88)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면 파스너(80)가 일체화된 쿠션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제조된 면 파스너(80)가 일체화된 쿠션체는, 면 파스너(80)의 걸림 결합 소자(83)가 발포체에 의해 매립되는 것을 방지하여, 면 파스너(80)의 걸림 결합 소자(83)를 쿠션체의 외면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면 파스너(80)가 일체화된 쿠션체에 있어서, 걸림 결합 소자(83)에 의한 걸림 결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국제 공개 제2009/058179호 팸플릿(특허문헌 2)에는, 표면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가 기립 설치된 기재의 이면측에,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앵커층이 고착된 성형면 파스너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는, 앵커층이 되는 부직포가, 성형면 파스너의 기재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직포의 기재에 고착되어 있는 부분의 이면측과, 기재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의 표면측에는, 자기에 의해 흡착 가능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되는 쿠션체를 발포 성형하는 경우에는, 캐비티면에 자석을 배치한 성형용 금형이 사용된다. 이 금형의 자석을 배치한 부분에, 성형면 파스너를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가 캐비티면에 대면하도록 적재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의 부직포에 형성된 코팅층이 자석에 끌어 당겨진다. 그것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가 금형의 캐비티면에 자력에 의해 흡착 고정됨과 함께, 기재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부직포가, 자석에 끌어 당겨져 금형의 캐비티면에 접촉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발포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을 행함으로써, 기재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부직포가 캐비티면에 접촉하여, 부직포의 내부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를 가두고 있기 때문에, 발포 수지 재료가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의 형성 영역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면 파스너(80)를, 발포 성형하는 쿠션체에 일체화되는 경우, 쿠션체의 면 파스너(80)를 설치하는 개소에 대응하여, 금형(86)의 내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홈부(트렌치부)(88)를 미리 설치해 두고, 금형(86)에 대하여 특허문헌 1의 면 파스너(80)를 위치 결정하여 보유할 필요가 있다.
한편, 면 파스너가 일체화되는 쿠션체는, 그 용도 등에 따라 형상 및 사이즈가 변경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쿠션체에 일체화되는 면 파스너의 설치 위치도 변경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쿠션체를 제조하는 제조업자 등에 따라, 쿠션체를 구성하는 발포 수지 재료의 종류도 상이하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1의 면 파스너(80)를 사용하는 경우, 쿠션체의 용도 등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금형(86)의 내면에 오목홈부(88)를 소정의 위치에 미리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86)의 제작이 번잡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쿠션체의 형태가 변경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쿠션체 전체의 형태가 변경되지 않아도, 일체화되는 면 파스너(80)의 부착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새로운 금형(86)을 그때마다 제작해야만 했다. 이로 인해, 금형(86)의 제작에 관한 비용이나 작업 부담의 증대를 초래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면 파스너(80)의 경우, 예를 들어 금형(86)의 내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오목홈부(88)를 형성하지 않고, 그 면 파스너(80)를 금형(86)의 내면 평탄면 부분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83) 및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부재(84)가 상기 평탄면에 대면하도록 설치하여,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렇게 발포 성형을 행함으로써,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부재(84)의 내측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83)가 갇힌 상태로 되기 때문에, 발포 수지 재료(87)가 성형면 파스너(80)의 걸림 결합 소자(83)의 형성 영역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되기도 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면 파스너(80)에서는, 횡단면이 L자 형상의 수지 침입 방지 부재(84)가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부직포의 L자 형상의 일 편부가 단독으로 기재(82)로부터 기립된 상태에서 유지되어 있다. 이렇게 기재(82)로부터 단독으로 기립되어 있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수지 침입 방지 부재(84)만으로는,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벽(장벽)로서의 강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수지 침입 방지 부재(84)의 일 편부가 쓰러지거나, 굴곡되거나 하기 쉬운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수지 침입 방지 부재(84)에서는, 발포 성형 시에 금형(86)의 내부에 주입된 발포 수지 재료(87)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없고, 그 결과, 쓰러지거나 또는 굴곡된 수지 침입 방지 부재(84)로부터,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83)가 기립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의 발포 수지 재료(87)의 침입을 허용해 버려, 성형면 파스너(80)의 걸림 결합력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성형면 파스너를 쿠션체에 성형 일체화하는 경우, 기재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부직포의 코팅층이,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에 끌어 당겨짐으로써, 그 부직포의 연장편이 금형의 캐비티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그 부직포의 연장편의 내부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가 갇힌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발포 수지 재료가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의 형성 영역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에서는, 부직포의 코팅층과 자석 사이의 자력을 이용하고 있지만,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에의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방지하는 부직포의 연장편이 움직이기 쉽다. 이로 인해, 금형의 내부에 사출된 발포 수지 재료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이 커진 경우에, 금형의 캐비티면에 접촉되어 있던 연장편이, 발포 수지 재료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을 받아서 캐비티면으로부터 들뜨는 경우가 있어,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허용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하는 발포 수지 재료의 점도가 낮은 경우에는,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와 같이 기재로부터 연장된 부직포의 연장편이 금형의 캐비티면에 접촉되어 있는 것만으로는,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충분히 방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쿠션체의 발포 성형에 있어서는, 금형에 대하여 분사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이 분사 노즐로부터 발포 수지 재료가 분사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발포 수지 재료가 성형면 파스너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분사되는 경우가 있지만, 금형의 캐비티면에 세트된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발포 수지 재료가 분사된 경우, 기재로부터 연장되어 캐비티면에 접촉되어 있는 부직포의 연장편이 말리기 쉬워, 그 연장편이 말린 부분으로부터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허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쿠션체 성형용 금형의 제작에 관한 비용이나 작업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가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에 침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걸림 결합 소자에 의한 걸림 결합력을 안정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성형면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 및 그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성형면 파스너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평판 형상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제1 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 기립 설치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면 파스너 부재를 갖고,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이 쿠션체에 일체화되는 성형면 파스너이며, 상기 기재의 제1 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좌우 측연부에 고착되고, 상기 기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가요성을 갖춘 시트 형상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와, 상기 기재에 대한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고착부보다도 폭 방향의 내측에, 상기 기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고,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지지하는 좌우의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는, 하나의 상기 면 파스너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상기 기재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연속해서 배치되는 좌우의 제1 프레임부와, 상기 면 파스너 부재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면 파스너 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좌우의 상기 제1 프레임부간을 연결하는 제2 프레임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가 단일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직사각 형상의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좌우의 상기 지지 부재의 외면간의 치수보다 작고, 또한 상기 개구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상기 면 파스너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측연부끼리가 접속된 통 형상의 형태를 갖고, 상기 기재의 상기 좌우 측연부에 고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는, 복수의 상기 면 파스너 부재와, 복수의 상기 면 파스너 부재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는 가요성을 갖춘 접속 부재를 갖고,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복수의 상기 면 파스너 부재에 걸쳐서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좌우의 제1 프레임부와, 인접하는 상기 면 파스너 부재간에 걸쳐서, 상기 면 파스너 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좌우의 상기 제1 프레임부간을 연결하는 제2 프레임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가, 단일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 형상의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정한 폭 치수를 갖고, 복수의 상기 면 파스너 부재간을 상기 면 파스너 부재의 폭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피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하면측에서, 복수의 상기 면 파스너 부재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를 연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상기 기재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우의 상기 지지 부재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에 의해 구성된 걸림 결합 소자 영역을 사이에 두도록 상기 기재에 일체로 성형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기립 설치된 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쿠션체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구성을 갖는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의 파스너 적재면에, 상기 기재의 제1 면측을 대향시키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발포 성형을 행함으로써, 상기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를 제조하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금형의 상기 파스너 적재면이 단일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일면에 상기 성형면 파스너를 밀착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는, 평판 형상의 기재 중앙 영역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가 기립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면 파스너 부재와, 기재의 좌우 측연부에 고착되고, 기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가요성을 갖춘 시트 형상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와, 상기 기재에 대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고착부보다도 폭 방향의 내측에, 기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된 좌우의 지지 부재를 갖고 있다.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그 상단부를 지지 부재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의 제1 면이란, 걸림 결합 소자가 기립 설치되는 측의 면을 말하고, 성형면 파스너를 쿠션체에 일체화한 때 외부에 노출되는 측의 면이다. 또한, 기재의 제2 면이란, 걸림 결합 소자가 기립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을 말하고, 성형면 파스너를 쿠션체에 일체화한 때, 쿠션체에 대면하는 측의 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이면, 쿠션체를 성형하는 발포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면의 일부가 되는 파스너 적재면에 세트한 때,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또한 상단부를 지지 부재보다도 돌출시킨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그 캐비티면(파스너 적재면)에 안정되게 밀착시켜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와 금형의 캐비티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시일성을 대폭으로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가 지지 부재로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가 금형의 캐비티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시일성)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금형의 내부에 사출된 발포 수지 재료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이 커지는 경우나, 사용하는 발포 수지 재료의 점도가 낮은 경우 또는 발포 수지 재료가 성형면 파스너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분사되는 경우에도,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가 성형면 파스너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넘어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가 기립 설치된 걸림 결합 소자 영역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쿠션체에 일체화된 성형면 파스너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가 본래 갖는 걸림 결합력(걸림 부착력)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는, 특히 금형의 단일면으로 이루어지는 캐비티면(예를 들어 평탄한 캐비티면)에 세트한 경우, 발포 수지 재료가 걸림 결합 소자 영역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전술한 특허문헌 1과 같이, 금형의 내면에 면 파스너를 위치 결정하여 보유하기 때문에, 전용의 오목홈부(트렌치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쿠션체를 성형하는 금형의 제작에 관한 비용이나 작업 부담을, 특허문헌 1의 경우에 비하여 대폭으로 경감할 수 있고,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를 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는, 하나의 면 파스너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기재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연속해서 배치되는 좌우의 제1 프레임부와, 면 파스너 부재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면 파스너 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좌우의 제1 프레임부간을 연결하는 제2 프레임부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의 단일면으로 이루어지는 캐비티면에 세트해서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할 때, 발포 수지 재료가 성형면 파스너의 폭 방향으로부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넘어서 걸림 결합 소자 영역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성형면 파스너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넘어서 걸림 결합 소자 영역에 침입하는 것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쿠션체에 일체화된 성형면 파스너는, 본래 갖는 걸림 결합력(걸림 부착력)을 보다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함께, 면 파스너 부재에 대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강도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에서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직사각 형상의 개구부를 갖고, 이 개구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좌우의 지지 부재의 외면간의 치수보다 작고, 또한 개구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면 파스너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개구부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에 의해 걸림 결합 소자 영역에의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보다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개구부로부터,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나 지지 부재의 일부가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는(빠져나오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측연부끼리가 접속된 통 형상의 형태를 갖고, 기재의 좌우 측연부에 고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에 의해 걸림 결합 소자 영역에의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는,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와,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는 가요성을 갖춘 접속 부재를 갖고 있는 경우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에 걸쳐서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좌우의 제1 프레임부와, 인접하는 면 파스너 부재간에 걸쳐서, 면 파스너 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좌우의 제1 프레임부간을 연결하는 제2 프레임부를 갖고 있다.
이렇게 가요성을 갖춘 접속 부재에 의해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를 폭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한 경우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가짐으로써, 성형면 파스너의 구부림의 용이함을 확보함과 함께,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가 성형면 파스너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부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넘어서 걸림 결합 소자 영역에 침입하는 것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쿠션체를 발포 성형한 때,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제1 프레임부의 일부와 제2 프레임부의 일부를 쿠션체의 내부에 매설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와 쿠션체와의 접합 강도(고착 강도)가 높여져, 성형면 파스너를 쿠션체에 견고하게 고착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단일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특히, 시트 형상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는,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정한 폭 치수를 갖고,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간을 상기 면 파스너 부재의 폭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피복하고 있다.
이에 의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함께, 면 파스너 부재에 대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강도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에서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체를 발포 성형한 때,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제2 프레임부를 쿠션체 내에 넓은 면적으로 매설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와 쿠션체와의 접합 강도(고착 강도)가 보다 높여진다.
또한, 상기 접속 부재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하면측에서,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간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2 프레임부가 인접하는 면 파스너 부재간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어도, 성형면 파스너를 폭 방향으로 안정되게 만곡 또는 사행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한 때,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제2 프레임부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 부재간에 걸치는 부분과 접속 부재를 쿠션체 내에 매설할 수 있어, 성형면 파스너와 쿠션체와의 접합 강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가, 기재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쿠션체를 발포 성형한 때, 그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연장 부분이, 쿠션체의 내부에 매설된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와 쿠션체와의 접합 강도(고착 강도)가 높여져, 성형면 파스너를 쿠션체에 견고하게 고착 일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가, 유연성을 갖춘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금형의 캐비티면에 대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높은 시일성을 보다 안정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좌우의 상기 지지 부재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에 의해 구성된 걸림 결합 소자 영역을 사이에 두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기립 설치된 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을 받아도,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발포 수지 재료가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넘어서 걸림 결합 소자 영역에 침입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전후 방향에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기립 설치된 벽 부재가, 폭 방향으로 복수 열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의 캐비티면에 세트할 때, 성형면 파스너를 적절한 자세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금형의 캐비티면에 보다 안정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지지 부재와 금형의 캐비티면 사이에 끼우도록 해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캐비티면에 밀착시키는 경우(후술하는 실시예 1을 참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보다 넓은 면적으로 캐비티면에 밀착시킬 수 있어,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의 파스너 적재면에, 상기 기재의 제1 면측을 대향시키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발포 성형을 행함으로써, 상기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쿠션체의 제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 내에 발포 수지가 침입하지 않아, 걸림 결합 소자에 의한 소정의 걸림 부착력이 확보된 성형면 파스너가 부착된 쿠션체를 안정되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쿠션체에 표피재를 씌운 후, 그 표피재의 이면에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자형 걸림 결합 소자)를 쿠션체에 일체로 성형한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웅형 걸림 결합 소자)에 가압함으로써, 표피재를 성형면 파스너에 확실하게 걸림 부착시켜서, 표피재가 쿠션체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금형의 파스너 적재면이 단일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단일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성형면 파스너를 밀착시켜서, 쿠션체의 발포 성형이 행하여진다. 이렇게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의 단일면으로 이루어지는 파스너 적재면에 밀착시켜도,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 내에 발포 수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걸림 부착력을 가지는 성형면 파스너가 부착된 쿠션체를 안정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의 단일면으로 이루어지는 파스너 적재면(특히, 평탄한 파스너 적재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전술한 특허문헌 1과 같이, 금형의 내면에 면 파스너를 위치 결정하여 보유하기 때문에, 전용의 오목홈부(트렌치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예를 들어 쿠션체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전술한 특허문헌 1과 같이, 새로운 금형을 그때마다 제작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쿠션체를 성형하는 금형의 제작에 관한 비용이나 작업 부담을, 특허문헌 1의 경우에 비하여 대폭으로 경감할 수 있고,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를 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면 파스너 부재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고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III-III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IV-IV선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를, 쿠션체를 성형하는 금형의 캐비티면에 밀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상기 성형면 파스너의 면 파스너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IX-IX선의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X-X선의 단면도.
도 11은 상기 성형면 파스너의 저면도.
도 12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를 폭 방향으로 구부렸을 때의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XIV-XIV선의 단면도.
도 15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를, 쿠션체를 성형하는 금형의 캐비티면에 밀착시킨 상태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XVII-XVII선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의 면 파스너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한 XX-XX선의 단면도.
도 21은 도 18에 도시한 XXI-XXI선의 단면도.
도 22는 종래의 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3은 종래의 면 파스너를, 쿠션체를 성형하는 금형의 캐비티면에 세트하여, 상기 금형 내에 발포 수지 재료를 주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면 파스너 부재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고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III-III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IV-IV선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를, 쿠션체를 성형하는 금형의 캐비티면에 밀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상기 성형면 파스너의 면 파스너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IX-IX선의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X-X선의 단면도.
도 11은 상기 성형면 파스너의 저면도.
도 12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를 폭 방향으로 구부렸을 때의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XIV-XIV선의 단면도.
도 15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를, 쿠션체를 성형하는 금형의 캐비티면에 밀착시킨 상태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XVII-XVII선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의 면 파스너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한 XX-XX선의 단면도.
도 21은 도 18에 도시한 XXI-XXI선의 단면도.
도 22는 종래의 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3은 종래의 면 파스너를, 쿠션체를 성형하는 금형의 캐비티면에 세트하여, 상기 금형 내에 발포 수지 재료를 주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또한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기만 하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 1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2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면 파스너 부재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를 고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한 III-III선 및 IV-IV선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성형면 파스너의 기재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규정하고, 기재에 있어서의 폭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규정한다. 또한, 기재에 있어서의 표리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규정하고, 특히, 기재에 대하여 걸림 결합 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측의 방향을 상방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의 방향을 하방이라고 한다.
본 실시예 1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1)는, 기재(11)의 상면(제1 면)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가 기립 설치된 하나의 면 파스너 부재(10)와, 그 면 파스너 부재(10)에 고착되는 프레임 형상의 형태를 구비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갖는다.
면 파스너 부재(10)는, 평판 형상의 기재(11)와, 기재(11)의 상면(제1 면)에 길이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기립 설치된 좌우의 지지 부재(13)와, 좌우의 지지 부재(13)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훅 형상의 웅형 걸림 결합 소자)(12)와,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2개의 선상 자성체(14)와, 좌우의 지지 부재(13)의 내측에 배치되고, 선상 자성체(14)를 고정하는 고정부(15)와,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횡벽체(16)를 갖고 있다.
이 면 파스너 부재(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이 휠을 사용해서 열가소성 수지 재료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면 파스너 부재(10)의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선상 자성체(14)는, 면 파스너 부재(10)가 성형될 때, 그 면 파스너 부재(10)의 고정부(15)가 형성되는 부분에 선상 자성체(14)를 도입함으로써, 그 고정부(15)에 고정되도록 해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기재(11)는, 상하 방향에서 본 때, 전후 방향(길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는 박판 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하 방향(표리 방향)으로 만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기재(11)는, 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 및 좌우의 지지 부재(13)가 기립 설치되는 중앙 영역부와, 좌우의 지지 부재(13)를 기립 설치하는 위치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 좌우의 측연부(11a)를 갖고 있다. 또한, 기재(11)의 좌우 측연부(11a)의 상면(제1 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재(11)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는, 면 파스너 부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기재(11)의 하면(이면) 측에는, 전후 방향과 평행한 복수의 오목홈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기재(11)가 이러한 복수의 오목홈부(11b)를 가짐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가 후술하는 쿠션체(발포체)(6)의 발포 성형 시에 성형 일체화된 때, 면 파스너 부재(10)의 기재(11)와 쿠션체(6)과의 접합 면적을 크게 하여, 쿠션체(6)에 대한 면 파스너 부재(10)의 고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쿠션체(6)에 대한 면 파스너 부재(10)의 고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오목홈부(11b) 대신에 예를 들어 기재(11)의 하면에, 돌출부 또는 화살촉 형상의 돌기부 등을 설치해도 되고, 또는 부직포를 고착시켜도 된다. 또한, 기재(11)의 하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홈부(11b) 등을 형성하지 않고, 평탄한 면으로 형성해도 된다.
좌우의 지지 부재(13)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에 의해 구성된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을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기재(11)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보다도 폭 방향(좌우 방향)의 내측에 인입한 위치에, 전후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한 벽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이들의 좌우의 지지 부재(13)는, 기재(11)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좌우의 지지 부재(13)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벽 열을 각각 3열씩 갖고 있으며, 각 종벽 열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간헐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종벽체(13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13)에는, 폭 방향에 인접하는 종벽 열의 종벽체(13a)간을 접속하는 종벽 접속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13)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지지할 수 있는 부재라면 무엇이든 좋지만, 적합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벽 부재(종벽 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 부재(13)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기립 설치된 1열 이상의 종벽 부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 배치된 복수매의 종벽체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한 종벽 부재이어도 된다.
여기서, 지지 부재(13)의 가장 걸림 결합 소자(12) 측에 배치된 종벽 열의 종벽체(13a)를 제1 열째의 종벽체(13a)로 하고, 그 제1 열째의 종벽체(13a)의 외측에 배치된 종벽 열의 종벽체(13a)를 제2 열째의 종벽체(13a)로 하고, 가장 외측에 배치된 종벽 열의 종벽체(13a)를 제3 열째의 종벽체(13a)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좌우의 지지 부재(13)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본 실시예 1의 지지 부재(13)를 구성하는 종벽체(13a)의 형태나 배치수(종벽 열의 수)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각 열의 종벽체(13a)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부착 피치를 갖고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열의 종벽체(13a)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열째의 종벽체(13a)는, 제1 열째 및 제3 열째의 종벽체(13a)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위치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1 열째 내지 제3 열째의 종벽체(13a)는, 각 종벽 열 사이에서 서로 다른 위치 관계가 되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13)의 종벽체(13a)의 접속부는, 제1 열째 및 제3 열째의 종벽체(13a)와 제2 열째의 종벽체(13a)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열째 및 제3 열째의 종벽체(13a)의 전단부 및 후단부와, 제2 열째의 종벽체(13a)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 연결부의 높이 치수(상하 방향의 치수)는, 제1 열째 내지 제3 열째의 종벽체(13a)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고, 또한 연결부의 폭 치수(좌우 방향의 치수)는, 제1 열째 및 제3 열째의 종벽체(13a)와 제2 열째의 종벽체(13a) 사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과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13)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각 종벽 열에 있어서 종벽체(13a) 사이에 설치된 간극을 넓히거나, 좁히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면 파스너 부재(10)(성형면 파스너(1))를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지 부재(13)를, 복수의 종벽 열로써 폭 방향으로 넓게 구성함으로써, 수지 침입 방지 부재(20)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13)의 상면측에 씌우도록 해서 면 파스너 부재(10)에 고착한 때, 수지 침입 방지 부재(20)를 지지 부재(13)의 상면측에서 폭 방향으로 넓게 지지하여, 수지 침입 방지 부재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성형면 파스너(1)를 금형(7)의 캐비티면(파스너 적재면)(7a)에 흡착 고정한 때,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지지 부재(13)와 금형(7)의 캐비티면(7a) 사이에 폭 방향으로 넓게 끼워 넣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지지 부재(13)의 상면부와 넓게 안정되게 밀착시킴과 함께,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금형(7)의 캐비티면(7a) 모두 넓게 안정되게 밀착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에 의한 시일성(즉,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사이에 끼운 면 파스너 부재(10)와 캐비티면(7a) 사이의 시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걸림 결합 소자(12)는, 쿠션체(6)에 씌워지는 표피재와의 사이에서 걸림 부착력이 얻어지도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부착 피치로 정렬해서 기재(11)의 상면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의 경우, 좌우의 지지 부재(13)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정렬된 걸림 결합 소자(12)의 종렬이, 폭 방향으로 5열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면 파스너 부재(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은, 좌우의 지지 부재(13)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장 전단부 측에 배치된 횡벽체(16)가 걸림 결합 소자(12)와 함께 구성하는 횡 지지부(16a)와, 가장 후단부 측에 배치된 횡벽체(16)가 걸림 결합 소자(12)와 함께 구성하는 횡 지지부(16a)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걸림 결합 소자(12)는, 기재(1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되는 상승부와, 그 상승부의 상단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분기되어 만곡하는 훅 형상의 걸림 결합 헤드부를 갖고 있다. 또한, 기재(11)의 상면으로부터의 각 걸림 결합 소자(12)의 높이 치수(상하 방향의 치수)는, 지지 부재(13)의 높이 치수(종벽체(13a)의 높이 치수)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 결합 소자(12)의 형상, 치수, 부착 피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횡벽체(16)는, 지지 부재(13)와 걸림 결합 소자(12) 사이에 및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걸림 결합 소자(12) 사이에, 폭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횡벽체(16)는, 인접해서 배치되는 걸림 결합 소자(12)와 하단부(기재(11) 측의 단부)에서 연결되어 있다(도 3 및 도 4를 참조). 이렇게 횡벽체(16) 및 걸림 결합 소자(12)가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횡벽체(16)와 걸림 결합 소자(12)가 서로 보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횡벽체(16)와 걸림 결합 소자(12)란, 서로 이격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면 파스너 부재(10)의 가장 전단부측 및 후단부 측으로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횡벽체(16)는, 이들 횡벽체(16)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12)와,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후술하는 횡 프레임부(제2 프레임부)(22)의 이면측을 폭 방향을 따라서 지지하는 횡 지지부(16a)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각 횡벽체(16)에 있어서의 기재(11)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는, 종벽체(13a) 및 걸림 결합 소자(12)의 높이 치수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 1에서는, 종벽체(13a), 횡벽체(16) 및 걸림 결합 소자(12)의 상단부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종 프레임부(제1 프레임부)(21) 및 횡 프레임부(제2 프레임부)(22)를, 지지 부재(13)의 상단부면 및 횡 지지부(16a)의 상단부면에 적재한 때,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가 적재된 각 부분의 높이 위치를 서로 맞출(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를, 예를 들어 성형용 금형(7)의 평탄한 캐비티면(7a)에, 그 캐비티면(7a)에 걸림 결합 소자(12)가 대향하는 방향에서 적재한 때(도 5를 참조), 상기 캐비티면(7a)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종 프레임부(21) 및 횡 프레임부(22)를 안정되게 밀착시키고,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사이에 끼운 캐비티면(7a)과 면 파스너 부재(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상 자성체(14)는, 면 파스너 부재(10)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 내에 있어서, 좌우의 지지 부재(13)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12)의 열을 따라, 기재(11)의 상면측에 배치된 고정부(15)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선상 자성체(14)는 원형 단면을 갖고 있으며, 자기적으로 흡인되는 재료, 또는 자기적으로 흡인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상 자성체(14)가 성형면 파스너(1)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비티면(7a)에 또는 캐비티면(7a)의 근방 위치에 자석(8)이 배치된 금형(7)을 사용해서 쿠션체(6)를 성형할 때, 금형(7)의 자석(8)과 성형면 파스너(1)의 선상 자성체(14) 사이에 발생하는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성형면 파스너(1)를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안정되게 흡착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자기적으로 끌어 당겨지는 선상 자성체(14)의 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에 철, 코발트, 니켈 등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자성 입자를 혼입한 모노 필라멘트나,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세선을 몇 개 묶어서 꼬인 금속제 연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자기적으로 끌어당기는 선상 자성체(14)의 재료로서는, 자화된 선재, 구체적으로는 금속제의 선상 자석이나 고무에 자성 산화철을 함유시켜서 자기를 띠게 한 선상의 고무 자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선상의 자성체 대신에, 가는 테이프 형상의 자성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선상 자성체(14)를 기재(11)에 고정하는 고정부(15)는, 지지 부재(13)의 내측 근방 위치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기재(11)의 상면으로부터 횡단면이 직사각형이 되는 블록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고 있다. 선상 자성체(14)는, 이러한 고정부(15)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해서 고정부(15) 내에 매설되어 있다. 또한, 각 고정부(15)는, 기재(11)로부터 기립 설치한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체(16)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고정부(15)를 기재(11)의 하면측에 배치하여, 선상 자성체(14)를 기재(11)의 하면측에서 고정해도 된다. 또한, 선상 자성체(14)를 기재(11)에 고정하는 대신, 면 파스너 부재(10)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에 자성 입자를 혼입하는 것 또는 이겨 넣음으로써, 면 파스너 부재(10)에 자성을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면 파스너 부재(10)에 고착되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는, 가요성을 갖춘 박막편(薄肉片) 형상의 시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특히 본 실시예 1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는, 소정의 두께를 구비한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가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에 적당한 가요성, 유연성 및 팽창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은 쿠션체(6)의 발포 성형 공정에 있어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자력을 이용해서 흡착 고정시킨 때, 가요성이나 유연성을 갖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가 적절하게 변형됨으로써,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와 금형(7)의 캐비티면(7a) 사이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재질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직성 또는 편성된 박막 형상의 생지편(生地片) 등으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틀 형상(프레임 형상)의 형태를 가진 단일의 시트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는, 성형면 파스너(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좌우의 종 프레임부(제1 프레임부)(21)와, 면 파스너 부재(10)의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의 위치에 대응해서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좌우의 종 프레임부(21) 사이를 연결하는 횡 프레임부(제2 프레임부)(22)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으며, 또한 이들 좌우 종 프레임부(21) 및 전후 횡 프레임부(22)로 둘러싸이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중앙 부분에는, 직사각형의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 형상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는,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에 있어서의 좌우의 종 프레임부(21) 및 전후의 횡 프레임부(22)의 내주연부(개구부(23)의 주연부)를, 지지 부재(13)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좌우의 종 프레임부(21)의 이면을 면 파스너 부재(10)의 기재(11)의 좌우 측연부(11a)에 접착 또는 용착함으로써, 면 파스너 부재(10)에 고착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에서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는, 좌우의 종 프레임부(21)의 일부를 지지 부재(13)의 상면측에 씌움과 함께, 전후의 횡 프레임부(22)의 일부를, 면 파스너 부재(10)의 가장 전단부측 및 가장 후단부 측에 배치된 횡 지지부(16a)의 상면측에 씌우도록 하여, 면 파스너 부재(10)에 고착되어 있다.
이때,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좌우 종 프레임부(21)는, 좌우의 지지 부재(13)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종 프레임부(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쿠션체(6)를 발포 성형할 때 발포 수지 재료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을 받아도, 쓰러지거나, 굴곡되거나 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종 프레임부(21)의 내주연부가 지지 부재(13)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돌출시킨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길이 치수(즉, 종 프레임부(21)의 전후 방향 치수)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가 면 파스너 부재(10)에 부착되기 전의 평평한 상태일 때, 면 파스너 부재(10)의 기재(11)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의 경우에서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가 면 파스너 부재(10)에 고착되어 부분적으로 구부러진 후의 상태일 때에도, 면 파스너 부재(10)의 기재(11)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폭 치수(좌우의 종 프레임부(21)의 외측연부 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가 면 파스너 부재(10)에 설치되기 전의 평평한 상태일 때, 면 파스너 부재(10)의 기재(11)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의 경우에서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가 면 파스너 부재(10)에 고착되어 부분적으로 구부러진 후의 상태일 때에도, 면 파스너 부재(10)의 기재(11)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 1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는, 면 파스너 부재(10)에 고착되어 있을 때, 면 파스너 부재(10)의 기재(11)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제1 연장부(24)와, 면 파스너 부재(10)의 기재(11)의 전후단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후의 제2 연장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개구부(23)는, 면 파스너 부재(10)에 있어서의 기재(11)의 길이 치수보다 작은 길이 치수를 구비함과 함께, 좌우의 지지 부재(13)의 외벽면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즉, 좌측의 지지 부재(13)에 있어서의 좌측 외벽면과, 우측의 지지 부재(13)에 있어서의 우측 외벽면 사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보다 작은 폭 치수를 구비하고 있다.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개구부(23)가 이러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면 파스너 부재(10)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에 대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에 있어서의 개구부(23)의 상대적인 위치를 어긋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23)의 위치가 어긋나기 어려워짐으로써, 예를 들어 걸림 결합 소자(12)나 지지 부재(13)의 일부가 개구부(23)로부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는(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쿠션체(6)의 발포 성형 시에,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대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 부재(10)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제조 장치를 사용해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면 파스너 부재(10)의 제조 장치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1 방향으로 구동 회전하는 다이 휠과, 다이 휠의 주위면에 대향해서 배치된 용융 수지의 연속 압출 노즐과, 연속 압출 노즐보다도 다이 휠의 회전 방향 하류 측에 다이 휠의 주위면에 대향해서 배치된 픽업 롤과, 연속 압출 노즐보다도 다이 휠의 회전 방향 상류 측에 배치되고, 다이 휠과 연속 압출 노즐과의 대향면간에 선상 자성체(14)를 도입하는 선상 자성체 공급부와, 다이 휠의 주위면으로부터 떼어낸 긴 면 파스너 부재(10)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제조 장치가 갖는 다이 휠의 주위면에는, 면 파스너 부재(10)의 상술한 걸림 결합 소자(12), 좌우의 지지 부재(13) 및 횡벽체(16) 등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용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이 휠은, 냉각제를 다이 휠의 내부에 유통시키고 있고, 다이 휠의 하부에는, 상기 다이 휠의 하반부를 침지시키도록 냉각액조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 1의 면 파스너 부재(10)를 제조하는 경우, 우선, 용융한 수지 재료를 연속 압출 노즐로부터 다이 휠의 주위면을 향해서 연속해서 압출한다. 이때, 다이 휠은 1 방향으로 구동 회전하고 있고, 그 주위면으로 압출된 용융 수지는 연속 압출 노즐과 다이 휠 사이에서 면 파스너 부재(10)의 기재(11) 등을 성형하고, 그것과 동시에, 상술한 성형용 캐비티로, 걸림 결합 소자(12), 좌우의 지지 부재(13) 및 횡벽체(16) 등을 순차 성형한다.
또한, 용융한 수지 재료가 연속 압출 노즐로부터 압출됨과 동시에, 선상 자성체(14)가 그 공급부로부터 용융 수지의 압출 위치에 공급되어, 긴 면 파스너 부재(10)에 일체로 성형된다.
다이 휠의 주위면 상에서 성형되는 긴 면 파스너 부재(10)는, 다이 휠의 주위면에 담지되어 냉각되면서 반회전함으로써 고화되고, 그 후, 픽업 롤에 의해 다이 휠의 주위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떼내어진다.
이어서, 다이 휠로부터 떼내어진 긴 면 파스너 부재(10)(바꾸어 말하면, 면 파스너 부재(10)의 긴 몸체)를, 절단부를 향해서 반송하고, 이 절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소정의 길이의 면 파스너 부재(10)가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면 파스너 부재(10)의 제조 장치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그 후,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제조된 본 실시예 1의 면 파스너 부재(10)에 대하여 프레임 형상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상면측으로부터 씌워서, 면 파스너 부재(10)에 있어서의 기재(11)의 좌우 측연부(11a)에 고착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가 제조된다.
이때,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개구부(23)의 위치를 면 파스너 부재(10)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의 위치에 맞추도록 하여,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면 파스너 부재(10)의 상면측에 씌우고,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좌우 종 프레임부(21)의 하면(이면)을 기재(11)의 좌우 측연부(11a)의 상면에 고착함으로써, 면 파스너 부재(10)에 부착된다. 이 경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종 프레임부(21)를 기재(11)의 좌우 측연부(11a)에 고착하는 수단으로서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나, 고주파 용착이나 열 용착 등에 의한 용착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해서 제조된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좌석용 시트 등의 쿠션체(발포체)(6)가 발포 성형됨과 동시에, 그 쿠션체(6)에 성형(2색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제조된 성형면 파스너(1)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체 성형용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파스너 적재면에 적재한다.
이때, 금형(7)의 캐비티면(7a) 중, 성형면 파스너(1)가 적재되는(세트되는) 파스너 적재면은, 단일면이 되는 평탄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스너 적재면은, 볼록면 형상 또는 오목면 형상의 단일면이 되는 만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금형(7)의 내부에는, 성형면 파스너(1)를 적재하는 파스너 적재면의 위치에 대응하여, 네오디뮴 자석 등의 자석(8)이 매설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성형면 파스너(1)를, 기재(11)의 걸림 결합 소자(12)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상면)이 금형(7)의 파스너 적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적재함으로써, 자석(8)의 흡인력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에 배치된 선상 자성체(14)가 끌어 당겨지고, 성형면 파스너(1)가 금형(7)의 평탄한 캐비티면(파스너 적재면)(7a)에 흡착해서 고정된다.
특히, 이 경우, 자석(8)과 성형면 파스너(1)의 선상 자성체(14) 사이에 발생하는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를 소정의 위치에 자동으로 적확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한 셀프 얼라인먼트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일부를, 특히,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 부재(10)의 좌우 지지 부재(13)의 상면과 횡벽체(16) 및 걸림 결합 소자(12)로 구성되는 횡 지지부(16a)의 상면에 적재된 부분을, 금형(7)의 평탄한 캐비티면(파스너 적재면)(7a)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유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금형(7)의 파스너 적재면을 오목 홈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오목 홈 내에 성형면 파스너(1)의 걸림 결합 소자(12)나 지지 부재를 삽입하도록 해서 상기 파스너 적재면에 성형면 파스너(1)를 흡착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에 있어서의 기재(11)의 좌우 측연부에 고착된 부분을 금형(7)의 캐비티면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를 금형(7)의 캐비티면(7a)의 소정 위치(파스너 적재면)에 흡착 고정한 후, 도시하지 않은 분사 노즐로부터 금형(7) 내에 발포성 수지 재료를 분사해서 주입한다. 이때, 예를 들어 분사 노즐을 금형(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발포 수지 재료를 분사함으로써, 금형(7)의 캐비티 공간의 구석구석까지 발포 수지 재료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소정량의 발포 수지 재료를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한 후에 금형(7)을 몰드 클램핑한다. 이에 의해, 발포 수지 재료가 발포되면서 금형(7)의 캐비티 공간 전체에 널리 퍼져, 쿠션체(6)가 성형된다.
이때, 성형면 파스너(1)는 금형(7) 내에 매설한 자석(8)의 흡인 작용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 수지 재료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 등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의 위치가 움직이게 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는, 지지 부재(13)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측으로 돌출시킨 상단부를, 지지 부재(13)와 금형(7)의 캐비티면(7a) 사이에 끼워 넣게 해서,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대하여, 면 파스너 부재(10)에 형성된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보다도 전후 및 좌우 방향측에서 밀착시키고 있고,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개재한 면 파스너 부재(10)와 캐비티면(7a) 사이에는, 발포 수지 재료를 통과시키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특히 본 실시예 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3열의 종벽 열에 의해 폭 방향으로 넓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지지 부재(13)와 금형(7)의 캐비티면(7a) 사이에 넓은 폭으로 끼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사이에 끼워서 면 파스너 부재(10)와 캐비티면(7a) 사이에 높은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는, 좌우의 종 프레임부(21)이 좌우의 지지 부재(1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면 파스너 부재(10)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 수지 재료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을 받아도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밀착시킨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흡착 고정된 성형면 파스너(1)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을,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의 외부 영역(즉, 캐비티 공간)으로부터 안정되게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에서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가, 유연하고 적당한 팽창감을 가진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1)가 자석(8)에 의해 흡착 고정됨으로써,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미소한 요철이 있었다고 해도,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확실히 밀착시켜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와 캐비티면(7a)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분사 노즐로부터 발포 수지 재료를 분사한 때, 발포 수지 재료가 성형면 파스너(1)에 세게 충돌한 경우나, 발포 수지 재료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이 큰 경우, 또한 발포 수지 재료가 낮은 점도를 갖고 있는 경우에도, 발포 수지 재료가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와 금형(7)의 캐비티면(7a) 사이를 통과하여, 성형면 파스너(1)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 내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면 파스너(1)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 내에서는, 걸림 결합 소자(12)가 발포체에 의해 매립되는 일은 없고, 걸림 결합 소자(12)를 기재(11)의 상면 측에 안정되게 표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쿠션체(6)의 발포 성형 후에도, 성형면 파스너(1) 자체가 갖고 있던 소정의 걸림 결합력(걸림 부착력)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는, 지지 부재(13)의 좌우 외측에 기재(11)의 좌우 측연부(11a)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가 기재(11)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제1 연장부(24)와, 기재(11)의 전후단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후의 제2 연장부(25)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발포 수지 재료를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재(11)의 좌우 측연부(11a)와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제1 및 제2 연장부(24, 25)가 차양과 같이 작용하기 때문에, 분사된 발포 수지 재료가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와 캐비티면(7a) 사이에 바로 세게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발포 수지 재료가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에 침입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발포 수지 재료가 금형(7)의 캐비티 공간 내에서 발포 고화되서 성형이 종료됨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가 일체화된 쿠션체(6)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성형면 파스너(1)가 부착된 쿠션체(6)는, 성형면 파스너(1)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 내에 발포체가 침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상면 측으로 노출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에 의해 원하는 걸림 부착력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얻어진 쿠션체(6)의 표면에, 도시하지 않은 표피재를 씌워서, 그 표피재를 쿠션체(6)에 있어서의 성형면 파스너(1)의 설치 위치를 향해서 가압함으로써, 표피재의 이면에 배치된 자형 걸림 결합 소자(12)를, 성형면 파스너(1)의 걸림 결합 소자(12)(웅형 걸림 결합 소자)에 확실하게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표피재를 쿠션체(6)로부터 부상시키지 않고, 쿠션체(6)의 표면을 따라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금형(7)의 평탄한 캐비티면(7a)에 흡착 고정해서 쿠션체(6)를 발포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전술한 특허문헌 1과 같이, 금형의 내면에 면 파스너를 위치 결정하여 보유하기 위한 전용 오목홈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쿠션체(6)를 성형하는 금형(7)의 제작에 관한 비용이나 작업 부담을, 특허문헌 1의 경우에 비하여 대폭으로 경감할 수 있고, 성형면 파스너(1)가 부착된 쿠션체(6)를 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가 일체화된 쿠션체(6)에서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일부에 발포 수지가 스며들어 있다. 또한, 성형면 파스너(1)에 있어서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의 기재(11)로부터 전후 좌우로 연장된 제1 및 제2 연장부(24, 25)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체(6)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와 쿠션체(6)의 접합 강도(고착 강도)가 효과적으로 높여져, 성형면 파스너(1)를 보다 견고하게 쿠션체(6)에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발포 수지가 스며든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는 반강성을 갖추고 있고, 쿠션체(6)와 함께 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은 횡 지지부(16a)뿐만 아니라, 성형면 파스너(1)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소자(12)끼리의 사이에도 횡벽체(16)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 휠을 사용해서 성형된 면 파스너 부재(10)의 긴 몸체를 임의의 위치에서 절단하여, 임의의 길이를 갖는 면 파스너 부재(10)를 제작한 경우에도, 그 면 파스너 부재(10)의 길이에 맞춘 개구부(23)를 갖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를 준비해서 상기 면 파스너 부재(10)에 고착함으로써, 임의의 길이를 갖는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를 간단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7은, 본 실시예 2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8은, 상기 성형면 파스너의 면 파스너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IX-IX선 및 X-X선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본 실시예 2 및 후술하는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2 내지 5)에서는, 전술한 실시예 1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1)와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전술한 실시예 1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부품 및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해서 나타냄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 2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2)는, 평판 형상의 기재(31)의 상면(제1 면)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가 기립 설치된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30)와, 인접하는 면 파스너 부재(30)를 전후 방향에 접속하는 접속 부재가 되는 모노 필라멘트(45)와,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30)에 걸쳐서 고착되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를 갖는다.
또한, 각 면 파스너 부재(30)는, 정면에서 본 때 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팔각형의 형태를 구비한 기재(31)와, 기재(31)의 상면(제1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된 좌우의 지지 부재(13)와, 좌우의 지지 부재(13)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와,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2개의 선상 자성체(14)와, 좌우의 지지 부재(13)의 내측에 배치되고, 선상 자성체(14)를 고정하는 고정부(제1 고정부)(15)와, 접속 부재인 모노 필라멘트(45)를 고정하는 고정부(제2 고정부)(35)와,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횡벽체(16)를 각각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에 있어서, 각 걸림 결합 소자(12), 좌우의 지지 부재(13), 선상 자성체(14), 선상 자성체(14)를 고정하는 고정부(제1 고정부)(15) 및 횡벽체(16) 각각은,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면 파스너 부재(20)의 가장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의 위치에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와 복수의 횡벽체(16)에 의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의 후술하는 횡 프레임부(제2 프레임부)(42)의 이면측을 폭 방향을 따라서 지지하기 위한 횡 지지부(16a)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기재(31)는, 상하 방향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면 파스너 부재(30)의 기재(31)는, 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 및 좌우의 지지 부재(13)가 기립 설치되는 중앙 영역부와, 좌우의 지지 부재(13)를 기립 설치하는 위치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 좌우의 측연부(31a)를 갖고 있다.
이 기재(31)의 좌우 측연부(31a)의 상면(제1 면)은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고, 기재(31)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는, 면 파스너 부재(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재(31)의 하면(이면) 측에는, 전후 방향과 평행한 복수의 오목홈부(3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재(31)는, 면 파스너 부재(30)의 전후단 가장자리부에 배치되고, 걸림 결합 소자(12)가 배제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31c)를 갖고 있고, 이들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31c)는, 좌우의 지지 부재(13) 사이에 걸쳐서,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체(16)의 배치 위치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해서 형성되어 있다.
각 면 파스너 부재(30)의 기재(31)에,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측연부(31a) 및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31c)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이 좌우 측연부(31a) 및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31c)가,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발포 수지 재료에 대하여 차양의 역할을 하고, 분사된 발포 수지 재료가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와 캐비티면(7a) 사이에 바로 세게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면 파스너 부재(30)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38)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부착 피치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가 정렬해서 기립 설치된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지지 부재(13)는, 이 걸림 결합 소자 영역(38)을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기재(31)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보다도 폭 방향(좌우 방향)의 내측에 인입한 위치에 전후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좌우의 지지 부재(13)는,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각 3열의 종벽 열을 갖고 있으며, 각 종벽 열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종벽체(13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13)에는, 폭 방향에 인접하는 종벽 열의 종벽체(13a) 사이를 접속하는 종벽 접속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각 면 파스너 부재(30)는, 모노 필라멘트(45)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35)가, 기재(31)의 상면으로부터 횡단면이 직사각형이 되는 블록 형상으로 돌출해서 형태를 갖고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고정부(35)는, 기재(31)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고정부(35)는, 기재(31)로부터 기립 설치한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체(16)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걸림 결합 소자(12)와 횡벽체(16)를 보강하고 있다. 모노 필라멘트(45)는, 이러한 제2 고정부(35)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해서 제2 고정부(35) 내에 매설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 모노 필라멘트(45)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35)는, 횡벽체(16)와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고정부(35)를 기재(31)부의 하면측에 배치하고, 모노 필라멘트(45)를 기재(31)의 하면측에서 고정해도 된다.
본 실시예 2의 성형면 파스너(2)에서는, 각 면 파스너 부재(30)에 배치된 블록 형상의 제2 고정부(35)에 의해 모노 필라멘트(45)가 고정되어 있고, 각 면 파스너 부재(30)의 가장 전방에 배치된 제2 고정부(35)와, 그 전방측에 인접하는 면 파스너 부재(30)의 가장 후방에 배치된 제2 고정부(35) 사이에 끼워진 모노 필라멘트(45)의 부위에 의해, 인접하는 면 파스너 부재(30)끼리를 접속하는 접속부가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 모노 필라멘트(45)를 포함하는 접속부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의 하면(이면) 측에서,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된 제2 고정부(35)에 고정되어서, 인접하는 면 파스너 부재(30)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모노 필라멘트(45)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모노 필라멘트(45)는, 좌우 방향으로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어 구성되어 있고, 특히, 접속부를 구성하는 제2 고정부(35) 사이에 있어서, 절곡 방향의 상이한 적어도 2개의 절곡부가 배치되도록 하여, 절곡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모노 필라멘트(45)의 횡단면은, 장축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기재(31)부의 표리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타원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 2의 접속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30)를 갖는 성형면 파스너(2)를, 상기 접속부에서 폭 방향으로 구부리기 쉽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표리 방향으로 구부리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도 12를 참조).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모노 필라멘트(45)의 굵기나 횡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성형면 파스너(2)를 접속부에서 적어도 폭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설계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접속 부재는, 본 실시예 2와 같이 모노 필라멘트(45)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기재(31)와 동일 소재(동일한 합성 수지)에 의해 면 파스너 부재(30)와 일체로 성형된 접속 부재에 의해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30)가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 2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는, 가요성을 갖춘 박막편 형상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시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는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30)에 걸쳐서 연속해서 배치되는 좌우의 종 프레임부(제1 프레임부)(41)와, 인접하는 면 파스너 부재(30) 사이에 걸치도록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좌우의 종 프레임부(41) 사이를 연결하는 횡 프레임부(제2 프레임부)(42)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으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 자체의 폭 치수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일정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에는, 종 프레임부(41)와 횡 프레임부(42)로 둘러싸인 직사각형의 개구부(43)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 2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는, 좌우의 종 프레임부(41)의 일부를 지지 부재(13)의 상면측에 씌움과 함께, 횡 프레임부(42)의 일부를, 각 면 파스너 부재(10)의 가장 전단부측 및 가장 후단부 측에 배치된 횡 지지부(16a)의 상면측에 씌우도록 하여, 좌우의 종 프레임부(41)가 각 면 파스너 부재(30)에 있어서의 기재(31)의 좌우 측연부(31a)에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 경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의 폭 치수(좌우의 종 프레임부(41)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치수)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가 면 파스너 부재(30)에 고착되어 부분적으로 구부러진 후의 상태일 때, 각 면 파스너 부재(30)에 있어서의 기재(31)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로부터 삐져나오지 않을(연장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 2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는, 면 파스너 부재(30)에 고착된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30) 사이에 있어서, 면 파스너 부재(30) 상에 있어서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의 폭 치수와 동일 치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도 11을 참조), 각 면 파스너 부재(30) 사이에서 면 파스너 부재(30)의 폭 방향의 전체를 완전히 덮고 있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성형면 파스너(2)와 쿠션체와의 접합 강도(고착 강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각 개구부(43)는, 각 면 파스너 부재(30)에 있어서의 기재(31)의 길이 치수보다 작은 길이 치수를 구비함과 함께, 각 면 파스너 부재(30)의 좌우 지지 부재(13)의 외면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보다 작은 폭 치수를 구비하고 있다.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의 개구부(43)가 이러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개구부(43)의 위치가 각 면 파스너 부재(30)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38)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나기 어려워지고, 또한 걸림 결합 소자(12)나 지지 부재(13)의 일부가 개구부(43)로부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 2의 성형면 파스너(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 및 표리 방향으로 만곡 또는 사행되게 용이하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도 12를 참조). 이렇게 성형면 파스너(2)가 좌우 방향으로 구부러졌을 경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는, 유연성을 갖춘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의 각 면 파스너 부재(30) 사이에 걸치는 부분 중, 외주측에 배치되는 부분은, 전후의 면 파스너 부재(30)에 의해 인장되어 연장됨(당겨짐)과 동시에, 내주측에 배치되는 부분은, 물결치듯 휘어서 여유가 생긴 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성형면 파스너(2)는,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좌석용 시트 등의 쿠션체(발포체)(6)가 발포 성형됨과 동시에, 그 쿠션체에 일체화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2)가 부착된 쿠션체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 2의 성형면 파스너(2)가 일체화된 쿠션체는,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형면 파스너(2)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38) 내에 발포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재(11)의 상면측에 노출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에 의해 원하는 걸림 부착력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쿠션체를 성형하는 금형(7)의 제작에 관한 비용이나 작업 부담을 종래에 비하여 경감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성형면 파스너(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2)를 만곡 또는 사행시킨 상태에서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 2의 성형면 파스너(2)는, 여러 가지 쿠션체의 형태에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성형면 파스너(2)를 만곡 또는 사행시킨 상태에서 쿠션체에 일체화시키는 경우, 발포 성형 시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장되어 연장됨(당겨짐)과 함께, 내주측에 배치되는 부분이 휘어서 여유가 생긴 상태에서 상기 성형면 파스너(2)가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밀착된다. 이 경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의 내주측에 배치되는 휜 부분과 금형(7)의 캐비티면(7a)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기 쉽고, 그 간극으로부터 발포성 수지 재료가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와 캐비티면(7a) 사이로 파고들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금형(7) 내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주입됨으로써, 인접하는 면 파스너 부재(30) 사이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의 이면측에도 발포성 수지 재료를 들어가게 해서 발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형상을 갖는 쿠션체를 안정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모노 필라멘트(45)로 이루어지는 접속부뿐만 아니라,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의 면 파스너 부재(30) 사이에 배치되는 외주측이 당겨진 부분과 내주측이 휜 부분을, 성형된 쿠션체의 내부에 매설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2)와 쿠션체와의 접합 강도(고착 강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특히, 시트 형상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면 파스너 부재(30) 사이를 폭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덮고 있다. 이에 의해, 각 면 파스너 부재(30) 사이에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가 넓은 면적으로 쿠션체의 내부에 매설되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2)와 쿠션체와의 접합 강도(고착 강도)가 한층 더 높여진다.
<실시예 3>
도 13은, 본 실시예 3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XIV-XIV선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3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3)는, 기재(11)의 상면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가 기립 설치된 하나의 면 파스너 부재(10)와, 그 면 파스너 부재(10)에 고착된 좌우의 독립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를 갖는다. 본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 부재(10)는,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 부재(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는, 면 파스너 부재(10)에 있어서의 기재(11)의 좌우 측연부(11a)에, 각각 독립해서 고착되어 있다. 이들 좌우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는, 가요성을 갖춘 박막편 형상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시트 부재의 측연부 부분끼리가 서로 접합되어 박막편 형상의 시트 부재를 통 형상으로 둥글게 한 형태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적당한 가요성, 유연성 및 팽창감을 갖추고 있다. 또한, 통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는, 면 파스너 부재(10)의 기재(11)의 길이 치수와 동일한 크기의 길이 치수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통 형상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단부를 지지 부재(13)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돌출시킴과 함께, 좌우의 지지 부재(1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측연부 부분끼리가 접합된 접합 부분을, 기재(11)의 좌우 측연부(11a)에 접착 또는 용착함으로써, 면 파스너 부재(10)에 고착되어 있다. 이 경우, 통 형상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는, 지지 부재(13)의 외측면에도 고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좌우의 통 형상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를 갖는 본 실시예 3의 성형면 파스너(3)는, 쿠션체 성형용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자석(8)의 자력을 이용해서 흡착 고정된 상태에서 쿠션체의 발포 성형이 행해짐으로써, 쿠션체에 일체화되어, 성형면 파스너(3)가 구비된 쿠션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 3의 성형면 파스너(3)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의 상단부를 지지 부재(13)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측으로 돌출시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성형면 파스너(3)가 금형(7)의 평탄한 캐비티면(7a)에 흡착 고정된 때,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통 형상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가 압궤된 상태에서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를 사이에 끼운 면 파스너 부재(10)와 캐비티면(7a) 사이에, 발포 수지 재료를 통과시키는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는, 좌우의 지지 부재(13)에 지지된 상태에서 기재(11)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 수지 재료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을 받아도,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와 캐비티면(7a)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3에서는, 발포성 수지 재료가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를 넘어서 좌우 방향으로부터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에 침입하는 것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3의 성형면 파스너(3)에서는, 면 파스너 부재(10)의 전후단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가 배치되어 있지 않지만, 면 파스너 부재(10)의 가장 전방의 위치에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체(16)와, 가장 후방의 위치에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체(16)가, 발포성 수지 재료가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횡 방벽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발포성 수지 재료의 전후 방향으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 3의 성형면 파스너(3)를 금형(7)의 평탄한 캐비티면(7a)에 흡착 고정시킨 경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 파스너 부재(10)의 걸림 결합 소자(12)의 상단부면과 횡벽체(16)의 상단부면을,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렇게 면 파스너 부재(10)의 걸림 결합 소자(12)와 횡벽체(16)를 밀착시킴으로써, 폭 방향으로 정렬되는 걸림 결합 소자(12)와 횡벽체(16)에 의해 횡 방벽부가 구성되어, 상기 횡 방벽부에 의해 발포성 수지 재료가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 내에 침입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걸림 결합 소자(12)와 횡벽체(16)에 의해 구성되는 횡 방벽부에서는, 걸림 결합 소자(12)와 횡벽체(16) 사이에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간극은 모두 매우 작기 때문에, 발포 성형 시에 상기 간극을 개재해서 발포성 수지 재료가 유입되었다고 해도,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 내에 침입하기 전에, 또는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 내에 침입한 직후에 냉각해서 고화되기 때문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횡 방벽부(14)의 간극을 통해서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 내에 깊게 도달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 3의 성형면 파스너(3)가 일체화된 쿠션체에서는, 성형면 파스너(3)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 내에 발포체가 침입하지 않아,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를 기재(11)의 상면측에 안정되게 표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3)가 갖는 소정의 걸림 결합력(걸림 부착력)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쿠션체를 성형하는 금형(7)의 제작에 관한 비용이나 작업 부담을 종래에 비하여 경감할 수도 있다.
<실시예 4>
도 16은, 본 실시예 4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XVII-XVII선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4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4)는, 기재(11)의 상면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가 기립 설치된 하나의 면 파스너 부재(10)와, 그 면 파스너 부재(10)에 고착된 좌우의 독립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를 갖는다. 본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 부재(10)는,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 부재(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는, 면 파스너 부재(10)에 있어서의 기재(11)의 좌우 측연부(11a)에, 각각 독립해서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이들 좌우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는, 가요성을 갖춘 박막편 형상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적당한 가요성, 유연성 및 팽창감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좌우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는, 면 파스너 부재(10)의 기재(11)의 길이 치수와 동일한 크기의 길이 치수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단부를 지지 부재(13)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돌출시킴과 함께, 좌우의 지지 부재(1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기재(11)의 좌우 측연부(11a)와 지지 부재(13)의 외측면에 접착 또는 용착함으로써, 대략 L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면 파스너 부재(10)에 고착되어 있다.
이러한 좌우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를 갖는 본 실시예 4의 성형면 파스너(4)는, 쿠션체 성형용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자석(8)의 자력을 이용해서 흡착 고정된 상태에서 쿠션체의 발포 성형이 행해짐으로써, 쿠션체에 일체화되어, 성형면 파스너(4)가 구비된 쿠션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 4의 성형면 파스너(4)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의 상단부를 지지 부재(13)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측으로 돌출시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성형면 파스너(4)가 금형(7)의 평탄한 캐비티면(7a)에 흡착 고정된 때,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의 상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를 사이에 끼운 면 파스너 부재(10)와 캐비티면(7a) 사이에, 발포 수지 재료를 통과시키는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는, 지지 부재(13)에 지지된 상태에서 기재(11)와 지지 부재(13)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 수지 재료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을 받아도,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와 캐비티면(7a)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4에서는, 발포성 수지 재료가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를 넘어서 좌우 방향으로부터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에 침입하는 것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4의 성형면 파스너(4)에서는, 면 파스너 부재(10)의 전후단에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1)가 배치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한 실시예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면 파스너 부재(10)의 가장 전방의 위치에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체(16)와, 가장 후방의 위치에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체(16)가, 발포성 수지 재료가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횡 방벽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발포성 수지 재료의 전후 방향으로부터의 침입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4의 성형면 파스너(4)가 일체화된 쿠션체에서는, 성형면 파스너(4)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 내에 발포체가 침입하지 않아,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를 기재(11)의 상면측에 안정되게 표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4)가 갖는 소정의 걸림 결합력(걸림 부착력)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쿠션체를 성형하는 금형(7)의 제작에 관한 비용이나 작업 부담을 종래에 비하여 경감할 수도 있다.
<실시예 5>
도 18은, 본 실시예 5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9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의 면 파스너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20 및 도 21은, 도 18에 도시한 XX-XX선 및 XXI-XXI선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5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5)는, 기재(61)의 상면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가 기립 설치된 하나의 면 파스너 부재(60)와, 그 면 파스너 부재(60)에 고착되는 프레임 형상의 형태를 구비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를 갖는다.
본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 부재(60)는, 평판 형상의 기재(61)와, 기재(61)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웅형 걸림 결합 소자)를 갖고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 1의 면 파스너 부재(10)에 배치되어 있는 좌우의 지지 부재(13), 횡벽체(16), 선상 자성체(14) 및 고정부(15)는, 본 실시예 5의 면 파스너 부재(60)로부터 배제되어 있다. 또한, 이 본 실시예 5에서는, 면 파스너 부재(60)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에 자성 입자를 혼입하는 것 또는 이겨 넣음으로써, 면 파스너 부재(60)에 자성을 구비시키고 있다.
이 면 파스너 부재(60)에 있어서의 기재(61)는, 상하 방향에서 본 때, 전후 방향(길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는 평판 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 5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소자(12)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부착 피치로 정렬해서 기재(61)의 상면에 기립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 부재(60)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68)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예 5의 경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정렬한 걸림 결합 소자(12)의 종렬이, 폭 방향으로 7열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5의 각 걸림 결합 소자(12)는, 기재(6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되는 상승부와, 그 상승부의 상단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분기해서 만곡되는 훅 형상의 걸림 결합 헤드부를 갖고 있으며, 걸림 결합 소자(12)의 형태 자체는,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소자(12)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 부재(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 1의 면 파스너 부재(60)에 배치되어 있는 좌우의 지지 부재(13)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폭 방향의 가장 외측의 종렬에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12)(즉, 가장 좌측의 종렬에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12) 및 가장 우측의 종렬에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12))가 걸림 결합 소자 영역(68)을 형성하는 걸림 결합 소자(12)로서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의 후술하는 종 프레임부(71)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길이 방향의 가장 전단부측의 횡렬에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12)와, 가장 후단부측의 횡렬에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12)가, 걸림 결합 소자 영역(68)을 형성하는 걸림 결합 소자(12)로서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의 후술하는 횡 프레임부(72)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3)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는, 가요성을 갖춘 박막편 형상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는, 틀 형상(프레임 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다. 즉,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는, 성형면 파스너(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좌우의 종 프레임부(제1 프레임부)(71)와, 면 파스너 부재(60)의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의 위치에 대응해서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좌우의 종 프레임부(71) 사이를 연결하는 횡 프레임부(제2 프레임부)(72)를 갖는다. 또한, 이들 좌우 종 프레임부(71) 및 전후 횡 프레임부(72)로 둘러싸이도록,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의 중앙 부분에는 직사각형의 개구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에 있어서의 좌우의 종 프레임부(71)는, 상기 종 프레임부(71)의 내주연부(개구부(73)측의 내주연부)를, 걸림 결합 소자(12)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면 파스너 부재(60)의 기재(61)의 좌우 측연부(61a)에 접착 또는 용착되어 있다. 또한, 전후의 횡 프레임부(72)는, 상기 횡 프레임부(72)의 내주연부(개구부(73) 측의 측연부(61a))를, 걸림 결합 소자(12)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면 파스너 부재(60)의 기재(61)의 전후단 가장자리부(61c)에 접착 또는 용착되어 있다.
이때,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에 있어서의 좌우의 종 프레임부(71)와 전후의 횡 프레임부(72)는, 각각, 면 파스너 부재(60)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가장 좌측 및 우측의 종렬에 배치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지지 부재)와, 길이 방향의 가장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의 횡렬에 배치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의 종 프레임부(71) 및 횡 프레임부(72)는, 쿠션체를 발포 성형할 때 발포 수지 재료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을 받아도, 쓰러지거나, 굴곡되거나 하기 어려워지고, 또한 종 프레임부(71) 및 횡 프레임부(72)의 내주연부가 지지 부재(13)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돌출시킨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 5에 있어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의 길이 치수(즉, 종 프레임부(71)의 길이 치수)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가 면 파스너 부재(60)에 부착되기 전의 평평한 상태일 때, 면 파스너 부재(60)의 기재(61)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고,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가 면 파스너 부재(60)에 고착되어 부분적으로 구부러진 후의 상태일 때에도, 면 파스너 부재(60)의 기재(61)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의 폭 치수(즉, 좌우의 종 프레임부(71)의 외 측연부간의 치수)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가 면 파스너 부재(60)에 부착되기 전의 평평한 상태일 때, 면 파스너 부재(60)의 기재(61)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고,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가 면 파스너 부재(60)에 고착되어 부분적으로 구부러진 후의 상태일 때에도, 면 파스너 부재(60)의 기재(61)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 5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는, 면 파스너 부재(60)에 고착되어 있을 때, 면 파스너 부재(60)의 기재(61)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제1 연장부(74)와, 면 파스너 부재(60)의 기재(61)의 전후단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후의 제2 연장부(7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개구부(73)는, 면 파스너 부재(60)에 있어서의 기재(61)의 길이 치수 및 폭 치수보다 작은 길이 치수 및 폭 치수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면 파스너 부재(60)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68)에 대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에 있어서의 개구부(73)가 상대적인 위치를 어긋나게 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 5의 성형면 파스너(5)는, 쿠션체 성형용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자석(8)의 자력을 이용해서 흡착 고정된 상태에서 쿠션체의 발포 성형이 행해짐으로써, 쿠션체에 일체화되어, 성형면 파스너(5)가 부착된 쿠션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 5의 성형면 파스너(5)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에 있어서의 좌우의 종 프레임부(71) 및 전후의 횡 프레임부(72)의 내주연부를, 걸림 결합 소자(12)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측으로 돌출시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성형면 파스너(5)가 금형(7)의 평탄한 캐비티면(7a)에 흡착 고정된 때,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의 상기 내주연부를 금형(7)의 캐비티면(7a)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를 사이에 끼운 면 파스너 부재(60)와 캐비티면(7a) 사이에, 발포 수지 재료를 통과시키는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소자(12)에 지지된 상태에서, 기재(61)의 좌우 측연부(61a)와 전후단 가장자리부(61c)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 수지 재료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을 받아도,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와 캐비티면(7a)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4에서는, 발포성 수지 재료가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를 넘어서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부터 걸림 결합 소자 영역(68)에 침입하는 것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5의 성형면 파스너(5)가 일체화된 쿠션체에서는, 성형면 파스너(5)의 걸림 결합 소자 영역(68) 내에 발포체가 침입하지 않아,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를 기재(61)의 상면측에 안정되게 표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5)가 갖는 소정의 걸림 결합력(걸림 부착력)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쿠션체를 성형하는 금형(7)의 제작에 관한 비용이나 작업 부담을 종래에 비하여 경감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 5의 성형면 파스너(5)가 일체화된 쿠션체에서는,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70)의 기재(61)로부터 전후 좌우로 연장된 제1 및 제2 연장부(74, 75)가 쿠션체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성형면 파스너(5)와 쿠션체의 접합 강도(고착 강도)가 효과적으로 높여져, 성형면 파스너(5)를 보다 견고하게 쿠션체에 일체화시킬 수 있다.
1, 2, 3 성형면 파스너
4, 5 성형면 파스너
6 쿠션체(발포체)
7 금형
7a 캐비티면
8 자석
10 면 파스너 부재
11 기재
11a 측연부
11b 오목홈부
12 걸림 결합 소자(웅형 걸림 결합 소자)
13 지지 부재
13a 종벽체
14 선상 자성체
15 고정부(제1 고정부)
16 횡벽체
16a 횡 지지부
18 걸림 결합 소자 영역
20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
21 종 프레임부(제1 프레임부)
22 횡 프레임부(제2 프레임부)
23 개구부
24 제1 연장부
25 제2 연장부
30 면 파스너 부재
31 기재
31a 측연부
31b 오목홈부
31c 연장 설치부
35 고정부(제2 고정부)
38 걸림 결합 소자 영역
40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
41 종 프레임부(제1 프레임부)
42 횡 프레임부(제2 프레임부)
43 개구부
45 모노 필라멘트
50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
51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
60 면 파스너 부재
61 기재
61a 측연부
61c 단부 가장자리부
68 걸림 결합 소자 영역
70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
71 종 프레임부(제1 프레임부)
72 횡 프레임부(제2 프레임부)
73 개구부
74 제1 연장부
75 제2 연장부
4, 5 성형면 파스너
6 쿠션체(발포체)
7 금형
7a 캐비티면
8 자석
10 면 파스너 부재
11 기재
11a 측연부
11b 오목홈부
12 걸림 결합 소자(웅형 걸림 결합 소자)
13 지지 부재
13a 종벽체
14 선상 자성체
15 고정부(제1 고정부)
16 횡벽체
16a 횡 지지부
18 걸림 결합 소자 영역
20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
21 종 프레임부(제1 프레임부)
22 횡 프레임부(제2 프레임부)
23 개구부
24 제1 연장부
25 제2 연장부
30 면 파스너 부재
31 기재
31a 측연부
31b 오목홈부
31c 연장 설치부
35 고정부(제2 고정부)
38 걸림 결합 소자 영역
40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
41 종 프레임부(제1 프레임부)
42 횡 프레임부(제2 프레임부)
43 개구부
45 모노 필라멘트
50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
51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
60 면 파스너 부재
61 기재
61a 측연부
61c 단부 가장자리부
68 걸림 결합 소자 영역
70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
71 종 프레임부(제1 프레임부)
72 횡 프레임부(제2 프레임부)
73 개구부
74 제1 연장부
75 제2 연장부
Claims (14)
- 평판 형상의 기재(11, 31, 61)와, 상기 기재(11, 31, 61)의 제1 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 기립 설치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면 파스너 부재(10, 30, 60)를 갖고, 쿠션체(6)의 발포 성형 시에 이 쿠션체(6)에 일체화되는 성형면 파스너(1, 2, 3, 4, 5)이며,
상기 기재(11, 31, 61)의 제1 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좌우 측연부(11a, 31a, 61a)에 고착되고, 상기 기재(11, 31, 6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가요성을 갖춘 시트 형상의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 40, 50, 51, 70)와, 상기 기재(11, 31, 61)에 대한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 40, 50, 51, 70)의 고착부보다도 폭 방향의 내측에, 상기 기재(11, 31, 6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고,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 40, 50, 51, 70)를 지지하는 좌우의 지지 부재(13)를 갖고,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 40, 50, 51, 70)의 상단부는, 상기 지지 부재(13)의 상단부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면 파스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면 파스너(1, 5)는 하나의 상기 면 파스너 부재(10, 6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 70)는 상기 기재(11, 61)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연속해서 배치되는 좌우의 제1 프레임부(21, 71)와, 상기 면 파스너 부재(10, 6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면 파스너 부재(10, 60)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좌우의 상기 제1 프레임부(21, 71)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프레임부(22, 72)를 갖고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21, 71) 및 상기 제2 프레임부(22, 7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 70)가 단일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 70)는 상기 제1 프레임부(21, 71) 및 상기 제2 프레임부(22, 72)에 의해 둘러싸이는 직사각 형상의 개구부(23, 73)를 갖고,
상기 개구부(23, 73)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좌우의 상기 지지 부재(13)의 외면간의 치수보다 작고, 또한 상기 개구부(23, 7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상기 면 파스너 부재(10, 6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1항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는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50)의 측연부끼리가 접속된 통 형상의 형태를 갖고, 상기 기재(11)의 상기 좌우 측연부(11a)에 고착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면 파스너(2)는 복수의 상기 면 파스너 부재(30)와, 복수의 상기 면 파스너 부재(30)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는 가요성을 갖춘 접속 부재(45)를 갖고,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는, 복수의 상기 면 파스너 부재(30)에 걸쳐서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좌우의 제1 프레임부(41)와, 인접하는 상기 면 파스너 부재(30) 사이에 걸쳐서, 상기 면 파스너 부재(30)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좌우의 상기 제1 프레임부(41)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프레임부(42)를 갖고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41) 및 상기 제2 프레임부(4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가, 단일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6항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는,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정한 폭 치수를 갖고, 복수의 상기 면 파스너 부재(30) 사이를 상기 면 파스너 부재(30)의 폭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45)는,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40)의 하면측에서, 복수의 상기 면 파스너 부재(30)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를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 70)는, 상기 기재(11, 61)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해서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재료 침입 저지 부재(20, 40, 50, 51, 70)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1항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지지 부재(13)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에 의해 구성된 걸림 결합 소자 영역(18)을 사이에 두도록 상기 기재(11, 31, 61)에 일체로 성형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기립 설치된 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성형면 파스너(1, 2, 3, 4, 5)를 금형(7)의 파스너 적재면(7a)에, 상기 기재(11, 31, 61)의 제1 면측을 대향시키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발포 성형을 행함으로써, 상기 성형면 파스너(1, 2, 3, 4, 5)가 일체화된 쿠션체(6)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7)의 상기 파스너 적재면(7a)이 단일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일면에 상기 성형면 파스너(1, 2, 3, 4, 5)를 밀착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쿠션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3/050024 WO2014106896A1 (ja) | 2013-01-07 | 2013-01-07 |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4596A KR20150104596A (ko) | 2015-09-15 |
KR101719086B1 true KR101719086B1 (ko) | 2017-03-22 |
Family
ID=5106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21092A KR101719086B1 (ko) | 2013-01-07 | 2013-01-07 | 성형면 파스너 및 쿠션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936773B2 (ko) |
EP (1) | EP2941978B1 (ko) |
KR (1) | KR101719086B1 (ko) |
CN (1) | CN104902777B (ko) |
TW (1) | TWI538633B (ko) |
WO (1) | WO201410689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53376B (zh) * | 2011-10-26 | 2016-06-15 | Ykk株式会社 | 成形表面搭扣 |
CN104902777B (zh) * | 2013-01-07 | 2018-03-30 | Ykk株式会社 | 成形搭扣带及缓冲体的制造方法 |
US9504296B2 (en) * | 2013-12-18 | 2016-11-29 | Velcro BVBA |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
DE112014006462B4 (de) * | 2014-03-13 | 2023-03-16 | Ykk Corporation | Gegossener Flächenhaftverschluss, Polsterkörp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sterkörpers und Gießform |
US10189387B2 (en) * | 2015-07-17 | 2019-01-29 | Ykk Corporation | Fastening tape with flexibility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
US10548374B2 (en) | 2015-07-17 | 2020-02-04 | Ykk Corporation | Fastening tape with flexibi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
US10694821B2 (en) * | 2016-12-21 | 2020-06-30 | Ykk Corporation | Fastening tape |
CN111655065B (zh) * | 2018-02-13 | 2023-02-21 | Ykk株式会社 | 成形面连接件和成形面连接件的制造方法 |
DE102018002180A1 (de) * | 2018-03-17 | 2019-09-19 | Gottlieb Binder Gmbh & Co. Kg | Haftverschlussteil |
EP3925479B1 (en) * | 2019-02-15 | 2024-01-10 | YKK Corporation | Molded hook-and-loop faste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hook-and-loop fastener |
JP6647604B1 (ja) * | 2019-02-25 | 2020-02-14 | ニッタモールド株式会社 | ロックファスナ具 |
KR102632738B1 (ko) * | 2019-08-30 | 2024-02-05 |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 면 패스너 및 면 패스너의 제조 방법 |
CN112936707B (zh) * | 2021-03-05 | 2023-06-23 | 延锋国际座椅系统有限公司 | 一种发泡通风结构及其成型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60534A1 (en) | 2004-01-28 | 2005-07-28 | Mitsuru Akeno | Molded surface fastener and cushion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lded surface fastener |
JP2011143231A (ja) * | 2010-01-12 | 2011-07-28 | Taiwan Paiho Ltd | 発泡物品に用いられる面ファスナユニットとそれを含む発泡物品 |
Family Cites Families (5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43705U (ko) | 1973-08-17 | 1975-05-02 | ||
US4802939A (en) * | 1983-12-13 | 1989-02-07 | Aplix, S.A. | Method for attaching a fastening tape to a molded article |
US4710414A (en) * | 1984-07-10 | 1987-12-01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Fastener assembly with heat shrinkable film cover |
US4563380A (en) * | 1984-07-10 | 1986-01-07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Fastener assembly with improved temporary attachment layer |
US4784890A (en) * | 1986-06-20 | 1988-11-15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Fastener assembly with peripheral temporary attachment layer |
US4842916A (en) * | 1987-01-19 | 1989-06-27 | Kuraray Company Ltd. | Separable fastener component & moldings attached with such fastener component |
JPS6443705A (en) | 1987-08-10 | 1989-02-16 | Mitsuhashi Seisakusho Kk | Edge detecting device for sheet |
KR940006314B1 (ko) * | 1987-12-15 | 1994-07-16 | 가부시끼가이샤 구라레 | 죔쇠 부재 |
JP2691458B2 (ja) * | 1989-10-31 | 1997-12-17 | 難波プレス工業株式会社 | シートのクッション材用ファスナアセンブリ |
US5058245A (en) * | 1989-10-31 | 1991-10-22 | Kuraray Co., Ltd. | Fastening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adherend by using the same |
JPH04109904A (ja) * | 1990-08-31 | 1992-04-10 | Kuraray Co Ltd | モールド成形用面ファスナー部材 |
US5786061A (en) * | 1991-05-03 | 1998-07-28 | Velcro Industries B.V. | Separable fastener having a perimeter cover gasket |
US5766723A (en) * | 1996-11-12 | 1998-06-16 | Woodbridge Foam Corporation | Fastener assembly with peripheral seal |
US5900303A (en) * | 1997-09-30 | 1999-05-04 | Aplix, Inc. | Fastener assembly with mechanical end seals |
FR2786070B1 (fr) * | 1998-11-19 | 2000-12-22 | Aplix Sa | Bande stratifiee auto-agrippante |
US6656563B1 (en) * | 2000-05-23 | 2003-12-02 | Velcro Industries B.V. | Segmented separable fastener |
JP3699896B2 (ja) * | 2000-06-30 | 2005-09-28 | Ykk株式会社 | シート用面ファスナー |
US7022394B2 (en) * | 2001-05-04 | 2006-04-04 | Ykk Corporation | Fastener strip with discrete magnetically attractable area, and method and apparatus of making same |
US6720059B2 (en) * | 2001-05-04 | 2004-04-13 | Ykk Corporation | Fastener strip having vertical sealing members l |
US20030221298A1 (en) * | 2002-05-31 | 2003-12-04 | Teiichi Murayama | Noiseless surface fastener member, noiseless surface fastener combined with the noiseless surface fastener member and product attached with the same noiseless surface fastener member or the same noiseless surface fastener |
US7032278B2 (en) * | 2003-03-03 | 2006-04-25 | Velcro Industries B.V. | Hook fastener engaging zones |
CA2555671A1 (en) * | 2004-02-10 | 2005-08-25 | Avery Dennison Corporation | Fastening member for a molded article |
US7425360B2 (en) * | 2004-03-02 | 2008-09-16 | Velcro Industries B.V. | Touch fastener products |
US7608070B2 (en) * | 2004-09-30 | 2009-10-2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oam-based fasteners |
EP2073659B1 (en) * | 2006-10-17 | 2013-06-19 | Velcro Industries B.V. | Fastener systems for seat cushions |
WO2008102211A2 (en) * | 2006-10-17 | 2008-08-28 | Velcro Industries B.V. | Touch fastener products |
US7954208B2 (en) | 2007-10-31 | 2011-06-07 | Avery Dennison Corporation | Fastening member for a molded article |
DE102008031841A1 (de) * | 2008-07-05 | 2010-01-07 | Recticel Automobilsysteme Gmbh |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Formhaut sowie Formhaut |
CN102202539B (zh) * | 2008-11-06 | 2014-07-16 | Ykk株式会社 | 成形阳搭扣 |
TW201023783A (en) | 2008-12-26 | 2010-07-01 | Taiwan Paiho Ltd | Fastening assembly and cushion having fastening assembly |
US8043541B2 (en) * | 2009-01-14 | 2011-10-25 | Ykk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of installing hook fastener elements in a mold assembly |
US7998548B2 (en) * | 2009-01-19 | 2011-08-16 | Ykk Corporation | Male surface fastener member for use in a cushion body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9271546B2 (en) * | 2010-08-23 | 2016-03-01 | Ykk Corporation | Molding hook and loop fastener |
ES2674573T3 (es) * | 2010-11-17 | 2018-07-02 | Velcro BVBA | Configuración de las caras de los productos de fijación por contacto |
WO2012120618A1 (ja) * | 2011-03-07 | 2012-09-13 | Ykk株式会社 | 成形面ファスナー |
CN103648318B (zh) * | 2011-07-05 | 2016-02-03 | Ykk株式会社 | 成形粘扣带以及成形粘扣带的制造方法及缓冲体的制造方法 |
CN104053376B (zh) * | 2011-10-26 | 2016-06-15 | Ykk株式会社 | 成形表面搭扣 |
CN104114410B (zh) * | 2011-12-13 | 2016-12-21 | 维尔克有限公司 | 模内成型的接触紧固产品 |
US9399333B2 (en) * | 2012-04-18 | 2016-07-26 | Velcro BVBA | Forming laminated touch fasteners |
US20130318752A1 (en) * | 2012-05-31 | 2013-12-05 | Velcro Industries B.V. | Releasable fastenings with barriers |
TW201420034A (zh) * | 2012-11-19 | 2014-06-01 | Taiwan Paiho Ltd | 可彎折式黏扣組件及具有可彎折式黏扣組件之座墊 |
CN104902777B (zh) * | 2013-01-07 | 2018-03-30 | Ykk株式会社 | 成形搭扣带及缓冲体的制造方法 |
US9504296B2 (en) * | 2013-12-18 | 2016-11-29 | Velcro BVBA |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
KR101889641B1 (ko) * | 2014-07-03 | 2018-08-17 |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 성형면 파스너 및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
WO2016002049A1 (ja) * | 2014-07-03 | 2016-01-07 | Ykk株式会社 |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クッション体 |
KR101467294B1 (ko) * | 2014-08-04 | 2014-12-01 | (주)일광인더스트리 | 시트 패드용 패스너 테이프 |
US9138032B1 (en) * | 2015-04-28 | 2015-09-22 | Velcro Industries B.V. | Mold-in touch fastener systems with wave-shaped wall |
US9635910B2 (en) * | 2015-04-28 | 2017-05-02 | Velcro BVBA | Mold-in touch fastener systems with wave-shaped wall |
JP6438347B2 (ja) * | 2015-05-12 | 2018-12-12 | Ykk株式会社 | 成形面ファスナー |
US9826801B2 (en) * | 2015-06-17 | 2017-11-28 | Velcro BVBA |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
US10548374B2 (en) * | 2015-07-17 | 2020-02-04 | Ykk Corporation | Fastening tape with flexibi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
US10051926B2 (en) * | 2016-02-08 | 2018-08-21 | Ykk Corporation | Fastening tape with injected foam gasket |
TWM526513U (zh) * | 2016-02-23 | 2016-08-01 | Taiwan Paiho Ltd | 用於車輛座椅發泡本體之椅套固定結構 |
JP6732374B2 (ja) * | 2016-04-13 | 2020-07-29 | Ykk株式会社 | 成形面ファスナー |
-
2013
- 2013-01-07 CN CN201380069762.0A patent/CN104902777B/zh active Active
- 2013-01-07 EP EP13869898.0A patent/EP2941978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3-01-07 KR KR1020157021092A patent/KR10171908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1-07 WO PCT/JP2013/050024 patent/WO201410689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1-07 US US14/759,460 patent/US9936773B2/en active Active
- 2013-12-25 TW TW102148193A patent/TWI53863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60534A1 (en) | 2004-01-28 | 2005-07-28 | Mitsuru Akeno | Molded surface fastener and cushion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lded surface fastener |
JP2011143231A (ja) * | 2010-01-12 | 2011-07-28 | Taiwan Paiho Ltd | 発泡物品に用いられる面ファスナユニットとそれを含む発泡物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936773B2 (en) | 2018-04-10 |
EP2941978A4 (en) | 2016-08-24 |
WO2014106896A1 (ja) | 2014-07-10 |
CN104902777B (zh) | 2018-03-30 |
CN104902777A (zh) | 2015-09-09 |
TW201446174A (zh) | 2014-12-16 |
KR20150104596A (ko) | 2015-09-15 |
EP2941978A1 (en) | 2015-11-11 |
EP2941978B1 (en) | 2017-11-15 |
TWI538633B (zh) | 2016-06-21 |
US20150335106A1 (en) | 2015-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9086B1 (ko) | 성형면 파스너 및 쿠션체의 제조 방법 | |
KR101440739B1 (ko) | 성형면 파스너 | |
KR101559688B1 (ko) | 성형면 파스너 | |
KR101509375B1 (ko) | 성형면 파스너 | |
JP5632526B2 (ja) | クッション体金型に使用するための雄形面ファスナー部材とその製造方法 | |
US9433262B2 (en) | Molding hook and loop fastener | |
JP5414689B2 (ja) | 成形雄面ファスナー | |
JP4769245B2 (ja) | 面ファスナ部品 | |
JP6266777B2 (ja) |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 |
KR20160096151A (ko) | 성형면 파스너 | |
GB2468869A (en) | Fastener strip for use with cushion body | |
WO2010016122A1 (ja) | 成形雄面ファスナー | |
US20160052433A1 (en) | Sheet having tilted stems on both surfaces thereof and seat using same | |
US11898595B2 (en) | Surface fastener | |
JP5709953B2 (ja) | 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 |
JPH08140713A (ja) | モールドイン成形用係止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