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375B1 - 성형면 파스너 - Google Patents

성형면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375B1
KR101509375B1 KR1020137023680A KR20137023680A KR101509375B1 KR 101509375 B1 KR101509375 B1 KR 101509375B1 KR 1020137023680 A KR1020137023680 A KR 1020137023680A KR 20137023680 A KR20137023680 A KR 20137023680A KR 101509375 B1 KR101509375 B1 KR 101509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fastener
portions
fastener
wall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679A (ko
Inventor
미네토 데라다
신이치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49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obtained by moul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6Adaptations for being fixed to a moulded article during mou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25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with feature facilitating, enhancing, or causing attachment of filament mounting surface to support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92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mounting surface and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mmon piece of material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1)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6)가 배치된 복수의 면 파스너부(10)와, 면 파스너부(10)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30)를 갖고, 면 파스너부(10)는 기재부(11)에 접속 부재(30)를 고정하는 고정부(21)를 갖는다. 상기 기재부(11)는 고정부(21)의 배치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를 갖고, 접속 부재(30)의 접속부(3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치수(L1)는 인접하는 상기 면 파스너부(10) 사이의 최소 간격(L2)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를 폭 방향으로 구부리기 쉽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에 의해 발포 수지 재료가 횡벽체(15)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성형면 파스너{MOLDED HOOK AND LOOP FASTENER}
본 발명은 발포체의 성형 시에 상기 발포체 표면에 일체화되는 성형면 파스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포 성형 시에 성형 수지 재료가 기판부의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성형면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나 열차의 좌석용 시트, 각종 소파, 사무용 의자 등은, 표피재의 내부에 쿠션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쿠션체로서는, 야자나 마 또는 굵은 합성 섬유 등의 강직 섬유를 교락시켜, 고무 등에 의해 굳힌 로크 울이라 불리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나, 각종 발포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발포체)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쿠션체는, 장시간 착석해도 피로를 느끼지 않는 착석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 인체공학적으로 만족하는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만곡면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복잡한 표면 형상을 갖는 쿠션체를 그 쿠션성도 고려해서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하려고 하면, 제조 공정이 많은 상기 로크 울로 대응하는 것은 어렵다.
이에 반하여, 발포성 수지제의 쿠션체는 단일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형상을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즉, 발포성 수지제의 쿠션체는, 예를 들어 발포 우레탄 수지와 같은 발포성 수지 재료를 금형의 내부로 흘려 넣음으로써, 발포와 동시에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성형된 쿠션체의 표면에는, 일반적으로, 각종 섬유제 패브릭이나 천연 또는 합성 피혁 등의 표피재가 피착되어 있다. 이 표피재를 쿠션체 표면에 피착시키기 위해서, 표피재를 금형의 캐비티면을 따르게 해서 흡착시켜 두고, 상기 금형 내에 발포성 수지 재료를 흘려 넣음으로써, 쿠션체를 성형함과 동시에 표피재의 이면에 일체화시키는 수단, 또는, 쿠션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얻어진 쿠션체의 표면에 표피재를 씌워서 고정하는 수단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되어 있다.
전술한 성형 시에 일체화시키는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금형의 내면을 따르게 해서 표피재를 세트할 때, 흡인 수단을 이용하여 금형 내면을 따르게 해서 흡착시키지만, 표피재를 전술한 바와 같이 복잡한 표면 형태를 갖는 쿠션체 표면에 맞추어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표피재 자체가 신축성이 뛰어난 소재일 필요가 있다. 그런데, 소재에 따라서는 신축성에도 한도가 있기 때문에, 쿠션체의 표면 형태가 복잡해지면, 특히 시트면과 주위 측면 사이에 엄청난 수의 주름이 발생하기 쉬어, 이것을 교정하기 위해 막대한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또한, 이 수단에 의하면 쿠션체와 표피재가 전체면에서 일체화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사용 시에 표피재가 쿠션체의 표면에서 어긋나는 방향으로 강한 힘이 가해진 경우, 표피재와 쿠션체의 사이에 전단력이 작용하여, 쿠션체의 일부를 열단시켜 표피재가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주름의 발생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자연히 표피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이 한정되고, 또한 표피재와 쿠션체 사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양쪽 사이에 약간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쿠션체의 성형과 동시에 표피재를 일체화시키는 수단을 이용하는 것보다도, 쿠션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에, 얻어진 쿠션체에 표피재를 씌우는 수단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발포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쿠션체에 표피재를 씌우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를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우선,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수형 걸림 결합 소자)를 갖는 성형면 파스너를, 쿠션체의 성형을 행하는 금형의 캐비티면에 세트한다. 이때,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 형성면을 쿠션체의 오목면에 대응하는 금형 저면의 돌면부(突面部)를 향해, 상기 돌면부에 성형면 파스너를 적재 고정한다.
다음에, 성형면 파스너를 세트한 금형 내에 발포성 수지 재료를 흘려 넣고, 쿠션체를 발포 성형함으로써, 쿠션체의 성형과 동시에, 상기 쿠션체의 오목면에 성형면 파스너가 상기 걸림 결합 소자를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일체화된다. 또한, 이 발포 성형 시에, 쿠션체의 발포성 수지 재료가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까지 흘려 넣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발포 성형에 의해 얻어진 쿠션체의 표면에, 미리 쿠션체의 외형에 맞추어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 파일 직편물이나 천연 피혁, 강성 피혁 등의 각종 재질로 이루어지는 표피재가 씌워진다. 이때, 표피재의 이면에 배치된 암형 걸림 결합 소자를 쿠션체에 일체화된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에 밀어붙여, 표피재를 쿠션체의 오목면을 따르게 해서 성형면 파스너에 걸림 부착시킴으로써, 표피재가 쿠션체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성형면 파스너를 쿠션체에 일체화하도록 발포 성형을 행할 때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성형면 파스너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62339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성형면 파스너(70)는 세로 방지 벽부(73) 및 전후 단부 모서리측의 가로 방지 벽부(74)에 둘러싸인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75)을 갖는 복수의 면 파스너부(71)와,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71)의 길이 방향의 단부 모서리 사이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접속하는 접속부(72)를 갖고 있다.
각 면 파스너부(71)는 평판 형상의 기재부(76)와, 기재부(76)의 한 면에 세워 설치된 복수의 훅 형상의 걸림 결합 소자(수형 걸림 결합 소자)(77)와, 걸림 결합 소자(77)를 사이에 끼우고 기재부(76)의 좌우 모서리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세워 설치된 좌우 세로 방지 벽부(73)와, 좌우 세로 방지 벽부(73) 사이에 폭 방향을 따라서 세워 설치된 가로 방지 벽부(74)와, 접속부(72)를 구성하는 모노 필라멘트를 고정하는 돌출부(78)와,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선 형상 자성체(79)를 갖고 있다.
또한, 각 면 파스너부(71)의 전후 단부 모서리는, 길이 방향에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71)와의 사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71a)와, 평행부(71a)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경사부(7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평행부(71a)는 접속부(모노 필라멘트)(72)와 동일한 폭 방향의 치수를 갖고 있다.
각 면 파스너부(71)에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77)는 기재부(76)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정렬하고 있다.
세로 방지 벽부(73)는 좌우에 각각 3열의 벽부를 갖고 있으며, 각 열의 벽부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종벽체(73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인접하는 열의 벽부 사이에 있어서, 종벽체(73a)는 서로 엇갈린 위치가 되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로 방지 벽부(74)는 폭 방향으로 정렬한 걸림 결합 소자(77)와,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횡벽체(74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모노 필라멘트를 고정하는 돌출부(78)는 면 파스너부(71)에서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기재부(76)로부터 블록형 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모노 필라멘트를 면 파스너부(71)의 영역 내의 전체에 걸쳐서 매설하고 있다. 면 파스너부(71)에 배치되는 선 형상 자성체(79)는 기재부(76)로부터 블록형 형상으로 돌출한 고정부(80) 내에 그 일부가 매설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면 파스너부(71)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7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면 파스너부(71)의 돌출부(78)에 매설되는 합성 수지제의 선 형상 모노 필라멘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모노 필라멘트는, 면 파스너부(71)의 영역 내에서는 돌출부(78) 내에 매설되어 있지만,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71) 사이의 간극에서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그 모노 필라멘트가 노출된 부분에 의해 접속부(72)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접속부(72)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성형면 파스너(70)를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특허문헌 1의 성형면 파스너(70)를 제조하는 경우, 우선, 복수의 면 파스너부(71)로 분단되기 전의 연속한 긴 면 파스너 부재(이하, '1차면 파스너 부재'라고 함)를 제조한다. 이 1차면 파스너 부재는, 회전 구동하는 다이 휠과, 다이 휠의 주위면에 용융 수지를 공급하는 압출 노즐과, 다이 휠의 용융 수지가 공급되는 위치보다도 상류측으로부터 모노 필라멘트 및 선 형상 자성체(79)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갖는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 경우, 다이 휠의 주위면에는, 걸림 결합 소자(77)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나, 종벽체(73a) 및 횡벽체(74a)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긴 1차면 파스너 부재를 제조한 후, 얻어진 1차면 파스너 부재의 일부를, 접속부(72)를 형성하는 모노 필라멘트를 남기도록 하여 폭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임의의 위치에서 절제한다. 이에 의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의 성형면 파스너(70)가 제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특허문헌 1의 성형면 파스너(70)는 쿠션체를 발포 성형할 때에 성형용 금형에 미리 설치한 자석의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금형의 캐비티면에, 걸림 결합 소자(77)를 캐비티면에 대향시키도록 흡착 고정된다.
이때, 성형면 파스너(70)는 면 파스너부(71)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72)(모노 필라멘트)를 용이하게 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성형면 파스너(70)를 고정하는 금형의 부위(돌면부)가 만곡하고 있어도, 그 금형의 캐비티면에 대하여 성형면 파스너(70)를 폭 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흡착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성형면 파스너(70)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77)가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75)이 세로 방지 벽부(73)와 가로 방지 벽부(74)에 의해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가 세로 방지 벽부(73) 및 가로 방지 벽부(74)를 넘어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75)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쿠션체가 발포 성형된 후에도, 성형면 파스너(70)의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75) 내에서 걸림 결합 소자(77)에 의한 걸림 부착력이 얻어지기 때문에, 쿠션체에 표피재를 씌웠을 때에, 그 표피재의 이면을, 성형면 파스너(70)에 안정적으로 걸림 부착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62339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의 성형면 파스너(70)는 복수의 면 파스너부(71)를 모노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접속부(72)에서 접속하고, 그 접속부(72)를 휘게 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쿠션체의 형태에 대응시키기 위해서, 성형면 파스너(70)를 보다 큰 곡률로 구부러지도록 개선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성형면 파스너(70)는 접속부(72)를 형성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긴 1차면 파스너 부재를 성형한 후, 그 1차면 파스너 부재의 일부를, 적당한 임의의 위치에서 폭 방향에 걸쳐 절제함으로써 제조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성형면 파스너(7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 시에 절제되는 부위가 가로 방지 벽부(74)의 위치에 겹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면 파스너부(71)의 단부 모서리측(도 11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부(71)의 전단부 모서리측)에 배치된 가로 방지 벽부(74)의 일부도 동시에 절제된다.
이와 같이 가로 방지 벽부(74)의 일부가 절제되면, 성형면 파스너(70)를 일체화하여 쿠션체를 발포 성형할 때에 발포 수지 재료가, 절제된 가로 방지 벽부(74)를 넘어, 면 파스너부(7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다음의 가로 방지 벽부(74)의 배치 위치까지 침입한다. 그 결과, 그 면 파스너부(71)에 있어서의 유효한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75)이 작아져서, 예정하고 있던 원하는 걸림 부착력을 안정적으로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1차면 파스너 부재를 적당한 임의의 위치에서 절제하여 성형면 파스너(70)를 제조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시에 절제되는 부위가 가로 방지 벽부(74)의 위치에 겹치지 않아도, 예를 들어 가로 방지 벽부(74)의 근방 위치에서 절제된 경우, 면 파스너부(71)의 단부 모서리(도 11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부(71)의 후단부 모서리)에 접근한 위치에 가로 방지 벽부(74)가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가로 방지 벽부(74)가 면 파스너부(71)의 단부 모서리에 접근하여 배치되는 경우, 예를 들어 쿠션체의 발포 성형에 있어서, 금형에 대하여 분사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분사 노즐로부터 발포 수지 재료를 분사했을 때에, 발포 수지 재료가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분사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분사된 발포 수지 재료가 가로 방지 벽부(74)(특히, 횡벽체(74a))에 직접 충돌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발포 수지 재료가 가로 방지 벽부(74)에 직접 충돌한 경우, 발포 수지 재료가 분사에 의한 압력을 받아서 가로 방지 벽부(74)에 힘있게 부딪힌다. 이로 인해, 발포 수지 재료가 가로 방지 벽부(74)에 형성된 간극 등으로부터 가로 방지 벽부(74)를 넘어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75)에 침입하기 쉬워져서, 성형면 파스너(70)의 걸림 부착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목적은, 발포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면에 흡착 고정할 때에 종래보다도 큰 곡률로 폭 방향으로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발포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가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에 침입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표피재와 같은 다른 부재와의 걸림 부착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성형면 파스너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성형면 파스너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가 기재부의 제1면에 세워 설치된 복수의 면 파스너부와, 상기 면 파스너부를 길이 방향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구비한 접속 부재를 갖고, 발포체의 성형 시에 상기 발포체의 표면에 일체화되는 성형면 파스너이며, 상기 면 파스너부는, 복수의 상기 걸림 결합 소자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기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와, 좌우의 상기 세로 방지 벽부 사이에 배치된 가로 방지 벽부를 갖고, 상기 면 파스너부는, 상기 기재부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접속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갖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로 방지 벽부의 면 파스너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의 일부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특징에 더하여 모든 상기 면 파스너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부는, 상기 고정부의 배치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 결합 소자가 배제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를 갖고, 상기 접속 부재는 가요성 있는 모노 필라멘트이며, 상기 모노 필라멘트는 가로 방지 벽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가로 방지 벽부의 성형과 동시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면 파스너부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에서의 길이 방향의 치수(L1)는, 인접하는 상기 면 파스너부 사이의 최소 간격(L2)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의 일부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 결합 소자는, 상기 기재부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정렬하여 세워 설치되고, 좌우의 상기 세로 방지 벽부 사이에, 폭 방향으로 정렬한 상기 걸림 결합 소자와 함께 상기 가로 방지 벽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횡벽체가 폭 방향을 따라서 세워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에서의 전단부 모서리 및 후단부 모서리로부터 상기 횡벽체까지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상기 걸림 결합 소자의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의 50%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기재부의 폭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어 구성되며, 상기 접속부에 적어도 2개의 절곡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 부재는, 장축이 상기 기재부의 표리 방향을 따른 타원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또,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면 파스너부의 대향하는 단부 모서리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와, 상기 평행부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면 파스너부 사이의 간격을 상기 면 파스너부의 측단부 모서리를 향하여 점증시키는 경사부를 갖고, 상기 평행부의 폭 치수는, 상기 접속부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각각의 면 파스너부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가 세워 설치된 기재부와, 기재부에 접속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배치 위치로부터 기재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걸림 결합 소자가 배제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를 갖고 있다. 또한, 접속 부재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된 면 파스너부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에서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1의 성형면 파스너에서는, 접속 부재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된 접속부의 길이 치수는,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 사이의 최소 간격과 동일한 길이이기 때문에, 성형 면 파스너를 폭 방향으로 구부릴 때의 크기(곡률)가 면 파스너부 사이의 간격의 길이에 따라 제한된다.
한편, 예를 들어 면 파스너부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상기 면 파스너부에 있어서의 전방 연장 설치부측의 전단부 모서리 및 후방 연장 설치부측의 후단부 모서리의 위치보다도 내측에 배치하여, 본 발명과 같이 접속 부재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된 접속부의 길이 치수를,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도 길게 설정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를 폭 방향으로 보다 구부리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그 성형면 파스너를 구부릴 때의 크기(곡률)를 면 파스너부 사이 간격의 길이로 제한하지 않아, 종래보다도 용이하게 증대할 수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종래의 발포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는, 캐비티면에 성형면 파스너가 세트되어 발포 성형을 행할 때에,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으로의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캐비티면의 성형면 파스너를 세트하는 부위에, 걸림 결합 소자를 둘러싸도록 벽부가 소정의 높이로 세워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캐비티면에 벽부가 세워 설치되어 있는 금형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를 갖지만, 후술하는 세로 방지 벽부 및 가로 방지 벽부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발포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가 수직 방향에 대하여 기울여 분사되어져도,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가 차양의 역할을 완수하여, 발포 수지 재료가 금형의 벽부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금형의 벽부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 경우에도, 발포 수지 재료가 그 벽부를 넘어,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의 걸림 부착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서, 각 면 파스너부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를 사이에 끼우고 기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세워 설치된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와,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 사이에 배치된 가로 방지 벽부를 갖고, 또한, 고정부는 가로 방지 벽부에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속부의 고정부 사이에서의 길이 치수를,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도 확실하게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가, 가로 방지 벽부의 배치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발포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가 수직 방향에 대하여 기울여 분사되어도,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가 가로 방지 벽부에 대하여 차양의 역할을 완수하여, 발포 수지 재료가 가로 방지 벽부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포 수지 재료가 가로 방지 벽부를 넘어 면 파스너부의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에 침입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의 걸림 부착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각 면 파스너부의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의 연장 설치 길이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가로 방지 벽부의 부착 피치의 크기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면 파스너부에 있어서,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허용하지 않는 유효한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을 적절한 크기(면적)로 확보하여, 예정하고 있던 원하는 걸림 부착력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걸림 결합 소자는, 기재부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정렬하여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 사이에, 폭 방향으로 정렬한 걸림 결합 소자와 함께 가로 방지 벽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횡벽체가 폭 방향을 따라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면 파스너부에 가로 방지 벽부를 확실하게 설치하여, 발포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가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에 침입하는 것을 가로 방지 벽부에서 안정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면 파스너부의 가장 전방측 및 가장 후방측에 배치되는 가로 방지 벽부와,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의 면적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의 전단부 모서리 및 후단부 모서리로부터 횡벽체까지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걸림 결합 소자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50% 이상으로 길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발포 수지 재료가 분사되었을 때에,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가 보다 효과적으로 차양의 역할을 완수하기 때문에, 발포 수지 재료가 가로 방지 벽부(특히, 횡벽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기재부의 폭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접속부에, 적어도 2개의 절곡부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접속 부재의 접속부를 폭 방향으로 더 절곡하기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성형면 파스너를 만곡시킨 상태로 금형에 고정할 때에, 성형면 파스너를 용이하게 절곡하여 금형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장축이 기재부의 표리 방향을 따른 타원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접속 부재를 폭 방향으로 보다 절곡하기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의 대향하는 단부 모서리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와, 평행부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면 파스너부 사이의 간격을 면 파스너부의 측단부 모서리를 향하여 점증시키는 경사부를 갖고 있으며, 또한, 평행부의 폭 치수는, 접속부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면 파스너부의 대향 단부 모서리에 경사부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성형면 파스너를 폭 방향으로 구부릴 때에,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면 파스너부에 있어서의 평행부의 폭 치수를 접속부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면 파스너부에 있어서의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의 길이 치수나 유효한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의 면적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접속 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의 접속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속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접속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성형면 파스너를 폭 방향으로 구부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성형면 파스너의 구부림 정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의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에 흡착 고정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발포체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성형면 파스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면서,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기만 하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의 성형면 파스너는 세로 방지 벽부 및 가로 방지 벽부를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는, 소정의 조건으로 접속 부재와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가 배치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세로 방지 벽부 및 가로 방지 벽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성형면 파스너도 포함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서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성형면 파스너의 기재부에서의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규정하고, 기재부에서의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규정한다. 또한, 기재부에서의 표리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규정하고, 특히, 기재부에 대하여 걸림 결합 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측의 방향을 상방으로 하고, 그 반대측의 방향을 하방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1)는 평판 형상의 기재부(11)의 상면(제1면)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6)가 세워 설치된 복수의 면 파스너부(10)와,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10)를 전후 방향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로 되는 모노 필라멘트(30)와, 각 성형면 파스너(1)에 전후 방향을 따라서 고정되는 선 형상 자성체(40)를 갖는다.
이 성형면 파스너(1)에 있어서의 각 면 파스너부(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이 휠을 사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재료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면 파스너부(10)의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그들 공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성형면 파스너(1)에 있어서, 각 면 파스너부(10)는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전후 방향(길이 방향)으로 긴 대략 팔각형의 형태를 갖고 있다. 이 경우, 각 면 파스너부(10)의 좌우측 단부 모서리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면 파스너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면 파스너부(10)의 전후 단부 모서리에는,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10) 사이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10a)와, 면 파스너부(10) 사이의 간격을 좌우측 단부 모서리를 향하여 점증시키는 경사부(10b)를 갖고 있다. 면 파스너부(10)의 전후 단부 모서리에 경사부(10b)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를 좌우 폭 방향으로 구부렸을 때에(도 7이나 도 8을 참조), 면 파스너부(10)끼리를 간섭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면 파스너부(10)는 평판 형상의 기재부(11)와, 기재부(11)의 상면에 세워 설치된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12)와,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12)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6)(수형 걸림 결합 소자)와, 걸림 결합 소자(16)와 함께 가로 방지 벽부(14)를 구성하는 복수의 횡벽체(15)와, 모노 필라멘트(30)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21)와, 선 형상 자성체(40)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22)를 각각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재부(11)는 성형면 파스너(1)를 상하 방향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판 두께를 얇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기재부(11)의 상면에 있어서의 세로 방지 벽부(12)도 가로 방지 벽부(14)도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재부(11)의 하면측에는, 성형면 파스너(1)를 후술하는 발포체(쿠션체(5))에 일체 성형했을 때에 성형면 파스너(1)와 발포체의 접합 면적을 크게 하여 고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오목 홈부(10c)(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성형면 파스너(1)와 발포체의 고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예를 들어 기재부(11)의 하면에 화살촉 형상의 돌기부를 설치해도 되고, 또한, 부직포나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수지 성형체를 접착 또는 고착시켜도 된다. 또한, 기재부(11)의 하면측에 부직포나 수지 성형체를 접착 또는 고착하는 경우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포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면 파스너부(10)의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18)에 침입하는 것을 세로 방지 벽부(12) 및 가로 방지 벽부(14)에 의해 방지하는 효과를 보조하기 위해서, 부직포나 수지 성형체를 면 파스너부(10)보다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크게 형성하여, 기재부(11)의 하면에 접착 또는 고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12)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6)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전후 방향을 따라서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기재부(11)의 좌우 모서리부(좌우 연장 설치부(25, 26)의 단부 모서리)로부터 약간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12)는 각각 3열의 벽부를 갖고 있으며, 각 열의 벽부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종벽체(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로 방지 벽부(12)에는, 인접하는 열에 배치된 종벽체(1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7)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세로 방지 벽부(12)의 가장 걸림 결합 소자(16) 측에 배치된 열의 종벽체(13)를 제1번째 열의 종벽체(13a)로 하고, 그 제1번째 열의 종벽체(13a)의 외측에 배치된 열의 종벽체(13)를 제2번째 열의 종벽체(13b)로 하며, 가장 외측에 배치된 열의 종벽체(13)를 제3번째 열의 종벽체(13c)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세로 방지 벽부(12)를 구성하는 종벽체의 형태나 배치 수(열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열의 종벽체(13)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부착 피치를 갖고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 종벽체(13)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번째 열 내지 제3번째 열의 종벽체(13a 내지 13c)는 각 열 사이에서 서로 엇갈린 위치 관계가 되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1번째 열의 종벽체(13a)와 제3번째 열의 종벽체(13c)에서는, 종벽체(13)의 크기나 배치 위치 및 종벽체(13) 사이의 간극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2번째 열의 종벽체(13b)는 제1번째 열 및 제3번째 열의 종벽체(13a, 13c)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번째 열의 종벽체(13b)에서의 상하 방향의 치수(기재부(11)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는 제1번째 열 및 제3번째 열의 종벽체(13a, 13c)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지만, 전후 방향의 치수(길이 치수)는 제1번째 열 및 제3번째 열의 종벽체(13a, 13c)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그 세로 방지 벽부(12)의 연결부(17)는 제1번째 열 및 제3번째 열의 종벽체(13a, 13c)와 제2번째 열의 종벽체(13b)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번째 열 및 제3번째 열의 종벽체(13a, 13c)의 전단부 및 후단부와, 제2번째 열의 종벽체(13b)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 연결부(17)의 높이 치수는, 제1번째 열 내지 제3번째 열의 종벽체(13a 내지 13c)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으며, 좌우 방향의 치수(폭 치수)는 제1번째 열 및 제3번째 열의 종벽체(13a, 13c)와 제2번째 열의 종벽체(13b)의 사이의 폭 방향에서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세로 방지 벽부(12)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발포체(쿠션체(5))를 발포 성형할 때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세로 방지 벽부(12)를 넘어 내부의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18) 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세로 방지 벽부(12)에서는, 각 열의 종벽체(13)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넓히거나, 좁히거나 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를 상하 방향으로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각 면 파스너부(10)의 기재부(11)에 세워 설치하는 걸림 결합 소자(16)는 발포체(쿠션체(5))에 씌워지는 표피재와의 사이에서 걸림 부착력이 얻어지도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부착 피치로 정렬하여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12)의 사이에, 걸림 결합 소자(16)가 폭 방향으로 5열로 배열되어서 배치되어 있으며, 각 면 파스너부(10)의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18)은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12)와, 가장 전방에 배치된 가로 방지 벽부(14)와, 가장 후방에 배치된 가로 방지 벽부(14)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걸림 결합 소자(16)는 기재부(1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되는 상승부(16a)와, 그 상승부(16a)의 상단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분기하여 만곡하는 훅 형상의 걸림 결합 헤드부(16b)를 갖고 있다. 또한, 기재부(11)의 상면으로부터의 각 걸림 결합 소자(16)의 높이 치수는, 세로 방지 벽부(12)를 구성하는 종벽체(13)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 결합 소자의 형상, 치수, 부착 피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측의 세로 방지 벽부(12)로부터 길이 방향의 2열째와 4열째에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16)는 상기 걸림 결합 소자(16)에 인접하는 횡벽체(15)에 연결된 보강부(16c)를 갖고 있다. 이 보강부(16c)는 걸림 결합 소자(16)의 상승부(16a)에 있어서의 좌우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보강부(16c)의 상하 방향의 높이 치수는, 걸림 결합 소자(16) 및 횡벽체(15)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횡벽체(15)는 세로 방지 벽부(12)에 있어서의 제2번째 열의 종벽체(13b)와 걸림 결합 소자(16)의 사이 및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걸림 결합 소자(16)의 사이에, 폭 방향을 따라서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폭 방향으로 정렬한 걸림 결합 소자(16)와 함께 가로 방지 벽부(14)를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각 횡벽체(15)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걸림 결합 소자(16)와 하단부(기재부(11) 측의 단부)에서 연결되어 있으며(도 2를 참조), 이에 의해, 횡벽체(15)와 걸림 결합 소자(16)가 서로 보강되어 있다.
또한, 기재부(11)의 상면으로부터의 각 횡벽체(15)의 높이 치수는, 종벽체(13)의 높이 치수 및 걸림 결합 소자(16)의 높이 치수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벽체(13), 횡벽체(15) 및 걸림 결합 소자(16)의 높이 치수가 모두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고, 이들 상면이 동일 평면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포체의 발포 성형을 행할 때에 성형면 파스너(1)를 금형의 평탄한 캐비티면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그것에 의해, 발포성 수지 재료가, 세로 방지 벽부(12) 및 가로 방지 벽부(14)를 넘어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18)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또한, 횡벽체(15)와 걸림 결합 소자(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서 연결되어 있지만, 상단부에서는 작은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횡벽체(15)와 걸림 결합 소자(16)가 상단부에서 서로 이격하고 있어도, 그 이격하고 있는 간격은 매우 작기 때문에, 발포체의 발포 성형을 행할 때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횡벽체(15)와 걸림 결합 소자(16)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18)에 침입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가로 방지 벽부는, 걸림 결합 소자와 횡벽체 상단부 근방끼리를 일체적으로 연결시켜서, 하나의 연속하는 벽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가로 방지 벽부는, 폭 방향을 따라서 정렬하고 있는 걸림 결합 소자의 위치와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걸림 결합 소자를 이용하지 않고, 횡벽체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모노 필라멘트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로 방지 벽부(횡벽체)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면 파스너부(10)에 있어서, 모노 필라멘트(30)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21)는 면 파스너부(10)에서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기재부(11)로부터 블록 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모노 필라멘트(30)가 제1 고정부(21)를 관통하도록, 모노 필라멘트(30)를 소정의 간격으로 매설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고정부(21)는 블록 형상의 형태로 가로 방지 벽부(14)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피치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제1 고정부(21)는 가로 방지 벽부(14)를 구성하는 걸림 결합 소자(16) 및 횡벽체(15)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성형면 파스너(1)를 성형하였을 때에, 모노 필라멘트(30)의 좌우 양측에 상기 모노 필라멘트(30)를 좌우로부터 지지하도록 하는 리브, 또는 리브 형상의 버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리브나 버는, 폭 방향으로 얇게 형성되어 용이하게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모노 필라멘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각 면 파스너부(10)에 있어서, 선 형상 자성체(40)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22)는 세로 방지 벽부(12)의 내측 근방에, 기재부(11)로부터 블록 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선 형상 자성체(40)가 제2 고정부(22)를 관통하도록, 선 형상 자성체(40)를 소정의 간격으로 매설하고 있다. 또한, 제2 고정부(22)는 제1 고정부(21)와 마찬가지로, 가로 방지 벽부(14)를 구성하는 걸림 결합 소자(16) 및 횡벽체(15)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피치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모노 필라멘트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선 형상 자성체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는, 가로 방지 벽부(횡벽체)와는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며, 나아가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기재부의 하면측에 배치하여, 모노 필라멘트나 선 형상 자성체를 기재부의 하면측에서 고정하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모든 면 파스너부(10)에 있어서, 기재부(11)는 면 파스너부(10)의 전후 단부 모서리부에 배치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와, 세로 방지 벽부(12)의 외측에 배치된 좌우 연장 설치부(25, 26)를 갖고 있고, 이들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와 좌우 연장 설치부(25, 26)로부터는 걸림 결합 소자(16)가 배제되고, 걸림 결합 소자(16)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는,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12) 사이에 걸쳐, 횡벽체(15) 및 제1 고정부(21)의 배치 위치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에 있어서의 횡벽체(15)로부터의 전후 방향의 연장 설치 길이의 최소값, 즉, 각 면 파스너부(10)의 가장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횡벽체(15)로부터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의 전단부 모서리 및 후단부 모서리까지의 길이 치수의 최소값이, 걸림 결합 소자(16)의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즉, 걸림 결합 헤드부(16b)의 길이 치수)의 50%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의 연장 설치 길이의 최소값이란, 각 면 파스너부(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부(10b)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12) 근방의 위치에 있어서의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의 연장 설치 길이이다.
또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의 연장 설치 길이의 최대값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가로 방지 벽부(14)의 부착 피치의 크기보다도 짧아지도록,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에 인접하는 횡벽체(15)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의 연장 설치 길이의 최대값이란, 각 면 파스너부(10)의 평행부(10a)가 배치되어 있는 폭 방향의 중앙부 영역에서의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의 연장 설치 길이이다.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의 연장 설치 길이의 최대값이 상기 범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를 제조했을 때에, 걸림 결합 소자(16)가 배치되지 않는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성형면 파스너(1)를 접속부(31)에서 좌우 방향으로 구부렸을 때에,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10)끼리를 간섭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한편, 좌 연장 설치부(25)와 우 연장 설치부(26)는 면 파스너부(10)의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1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좌우 연장 설치부(25, 26)는, 3열째의 종벽체(13c)의 배치 위치로부터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 연장 설치부(25, 26)에 있어서의 종벽체(13)로부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연장 설치 길이는, 전술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에 있어서의 연장 설치 길이의 최소값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와 좌우 연장 설치부(25, 26)가 모든 면 파스너부(10)의 기재부(11)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발포체의 발포 성형 시에 각 연장 설치부(23 내지 26)가 분사되는 발포 수지 재료에 대하여 차양의 역할을 완수하기 때문에, 발포 수지 재료가 가로 방지 벽부(14)나 세로 방지 벽부(12)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에 있어서의 연장 설치 길이가 걸림 결합 소자(16)의 길이 치수의 50% 이상으로 길게 설정되어 있으며, 전방 연장 설치부(23)의 전단부 모서리 및 후방 연장 설치부(24)의 후단부 모서리가 걸림 결합 소자(16)의 걸림 결합 헤드부(16b)보다도 내측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는 없다. 이로 인해, 성형면 파스너(1)를 향하여 분사되는 발포 수지 재료가, 가로 방지 벽부(14)를 구성하는 횡벽체(15)에 대하여 직접 충돌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와 좌우 연장 설치부(25, 26)란, 발포체가 발포 성형되었을 때에, 상기 발포체의 내부에 매설되기 때문에, 발포체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1)의 고착 강도를 증대시킨다라고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와 좌우 연장 설치부(25, 26)는 기재부(11)에 포함되기 때문에,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의 상면과 좌우 연장 설치부(25, 26)의 상면과는 동일 평면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와 좌우 연장 설치부(25, 26)의 하면측에도,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오목 홈부(10c)(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면 파스너부(10)에는, 블록 형상의 제1 고정부(21)에 의해 모노 필라멘트(30)가 고정되어 있으며, 각 면 파스너부(10)의 가장 전방에 배치된 제1 고정부(21)와, 그 전방측에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10)의 가장 후방에 배치된 제1 고정부(21)의 사이에 끼워진 모노 필라멘트(30)의 부위에 의해,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10)를 접속하는 접속부(31)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노 필라멘트(30)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모노 필라멘트(30)는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모노 필라멘트(30)만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는 굴곡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곧 바로 연장하고 있지만, 좌우 방향으로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어 구성되어 있다. 특히, 모노 필라멘트(30)는 접속부(31)를 구성하는 제1 고정부(21) 사이에 있어서, 절곡 방향이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절곡부가 배치되도록 절곡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노 필라멘트(30)의 횡단면은, 장축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기재부(11)의 표리 방향으로 길게 연장한 타원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모노 필라멘트(30)의 횡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성형면 파스너(1)를 접속부(31)에서 상하 방향보다도 폭 방향으로 구부리기 쉽게 설계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더욱 가늘고 긴 타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모노 필라멘트(30a)나,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변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한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모노 필라멘트(30b)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속부(31)를 구성하는 모노 필라멘트(30)가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갖고 있음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를 접속부(31)에서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모든 면 파스너부(10)에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1 고정부(21)가 면 파스너부(10)의 전단부 모서리 및 후단부 모서리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고정부(21) 사이에 배치되는 접속부(3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 L1은, 성형면 파스너(1)를 직선 형상으로 보유 지지했을 때에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10) 사이의 최소 간격 L2(즉, 면 파스너부(10)의 전단부 모서리에 있어서의 평행부(10a)와,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10)의 후단부 모서리에 있어서의 평행부(10a) 사이의 거리)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1)는 접속부(31)를 휘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성형면 파스너(70)에 비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다 용이하게 좌우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성형면 파스너(1)를 보다 큰 곡률로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성형면 파스너(1)는 성형면 파스너(1)의 크기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곡률 반경이 80㎜로 되도록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 형상 자성체(40)는 면 파스너부(10)의 영역 내에 있어서,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12)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걸림 결합 소자(16)의 열을 따라서, 기재부(11)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고정부(22)를 개재하여 면 파스너부(10)에 고정되어 있다. 이 선 형상 자성체(4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있으며, 자기적으로 흡인되는 재료, 또는 자기적으로 흡인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선 형상 자성체(40)는 면 파스너부(10)의 재질보다도 연질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자기적으로 흡인되는 선 형상 자성체(40)의 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에 철, 코발트, 니켈 등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자성 입자를 혼입된 모노 필라멘트(30)나, 이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세선을 몇 개 묶어서 꼬아진 금속제 연사(꼰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자기적으로 흡인하는 선 형상 자성체(40)의 재료로서는, 자화된 선재, 구체적으로는 금속제의 선 형상 자석이나 고무에 자성 산화철을 함유시켜서 자기를 띠게 한 선 형상의 고무 자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선 형상의 자성체 대신에, 가는 테이프 형상의 자성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1)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성형면 파스너(1)의 제조 장치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한 방향으로 구동 회전하는 다이 휠과, 다이 휠의 주위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용융 수지의 연속 압출 노즐과, 연속 압출 노즐보다도 다이 휠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다이 휠의 주위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픽업 롤과, 연속 압출 노즐보다도 다이 휠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고, 다이 휠과 연속 압출 노즐의 대향면 사이에 모노 필라멘트(30)를 도입하는 모노 필라멘트 공급부와, 다이 휠과 연속 압출 노즐의 대향면 사이에 선 형상 자성체(40)를 도입하는 선 형상 자성체 공급부와, 다이 휠의 주위면으로부터 떼어낸 긴 면 파스너 부재(이하, '1차면 파스너 부재'라고 함)의 소정의 부위를 절제하는 절단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제조 장치가 갖는 다이 휠의 주위면에는, 성형면 파스너(1)의 걸림 결합 소자(16), 세로 방지 벽부(12) 및 횡벽체(15) 등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용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이 휠은, 냉각 액을 다이 휠의 내부에 유통시키고 있으며, 다이 휠의 하부에는, 상기 다이 휠의 하반부를 침지시키도록 냉각 액조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1)를 제조하는 경우, 우선, 용융한 수지 재료를 연속 압출 노즐로부터 다이 휠의 주위면을 향하여 연속하여 압출한다. 이때, 다이 휠은 한 방향으로 구동 회전하고 있으며, 그 주위면에 압출된 용융 수지는 연속 압출 노즐과 다이 휠의 사이에서 성형면 파스너(1)의 기재부(11) 등을 성형하고, 그와 동시에, 전술한 성형용 캐비티에서, 걸림 결합 소자(16), 세로 방지 벽부(12) 및 횡벽체(15) 등을 순차 성형한다.
또한, 용융한 수지 재료가 연속 압출 노즐로부터 압출됨과 동시에, 지그재그 형상의 모노 필라멘트(30)와 선 형상 자성체(40)가 각 공급부로부터 용융 수지의 압출 위치에 공급되고, 전술한 1차면 파스너 부재에 일체 성형된다.
다이 휠의 주위면 위에서 성형되는 1차면 파스너 부재는, 다이 휠의 주위면에 담지되어 냉각되면서 반회전함으로써 고화되고, 그 후, 픽업 롤에 의해 다이 휠의 주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떼어내어진다.
이어서, 다이 휠로부터 떼어내어진 1차면 파스너 부재는, 절단부를 향하여 반송되고, 상기 절단부에서, 면 파스너부(10)의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도록, 1차면 파스너 부재의 소정의 범위에 있어서의 모노 필라멘트(30) 이외의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1차면 파스너 부재에 있어서의 가로 방지 벽부를 포함하는 길이 방향의 소정의 범위의 부위가, 모노 필라멘트(30)를 제외하여 폭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절제된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1)가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성형면 파스너(1)의 제조 장치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실시 형태의 성형면 파스너(1)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좌석용 시트 등의 쿠션체(발포체)에 성형 일체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제조된 성형면 파스너(1)를 소요 길이로 절단하고, 그 절단한 성형면 파스너(1)를 쿠션체의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면에 적재한다.
이때, 금형의 내부에는, 성형면 파스너(1)를 적재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자석이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1)를 걸림 결합 소자(16)가 형성되어 있는 면이 금형의 캐비티면에 대향하도록 적재함으로써,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에 배치된 선 형상 자성체(40)를 끌어당길 수 있어, 성형면 파스너(1)가 금형의 캐비티면에 흡착해서 고정된다.
특히,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체(5)에 성형면 파스너(1)용의 오목부(6)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6) 내에 성형면 파스너(1)를 장착 고정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7)의 캐비티면(8)에 쿠션체(5)의 오목부(6)에 대응하는 돌출부(9)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돌출부(9)의 고르게 평탄한 선단면(돌출면)(9a)을 따라서 성형면 파스너(1)가 흡착 고정된다. 이때, 성형면 파스너(1)는 면 파스너부(10)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소자(16), 종벽체(13) 및 횡벽체(15)의 상면을, 돌출부(9)의 돌출면(9a)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9)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성형면 파스너(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부(31)를 휘게 함으로써 큰 곡률까지 좌우의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기 때문에, 금형(7)의 돌출부(9)가 만곡하고 있거나, 또는, 사행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그 만곡 또는 사행된 돌출부(9)의 돌출면(9a)을 따라서 성형면 파스너(1)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성형면 파스너(1)를 금형(7)의 소정 위치에 흡착 고정한 후, 분사 노즐로부터 금형(7) 내에 발포성 수지 재료를 분사하여 주입한다. 이때, 금형(7)에 대하여 분사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발포 수지 재료를 분사함으로써, 금형(7)의 캐비티 공간의 구석구석까지 발포 수지 재료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성형면 파스너(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면 파스너부(10)에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와 좌우 연장 설치부(25, 26)가 가로 방지 벽부(14) 및 세로 방지 벽부(12)에 대하여 차양 형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사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발포 수지 재료를 분사해도, 그 분사된 발포 수지 재료가 면 파스너부(10)의 횡벽체(15)나 종벽체(13)에 직접 힘 있게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발포 수지 재료가 가로 방지 벽부(14) 및 세로 방지 벽부(12)를 넘어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18)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량의 발포 수지 재료를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한 후, 금형(7)을 형 체결한다. 이에 의해, 발포성 수지 재료가 발포하면서 성형면 파스너(1)의 배면(하면)이나, 세로 방지 벽부(12) 및 가로 방지 벽부(14)의 주변에 유동하면서 금형(7)의 캐비티 공간 전체에 고루 미쳐서, 쿠션체(5)가 성형된다.
이때, 성형면 파스너(1)는 금형(7) 내에 매설한 자석의 흡인 작용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성 수지 재료의 유동 및 발포 압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의 위치가 움직이게 되는 일은 없다. 또한, 캐비티 내를 유동하는 발포성 수지 재료가, 예를 들어 면 파스너부(10)의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18)에 침입하려고 해도, 면 파스너부(10)의 걸림 결합 소자(16), 종벽체(13) 및 횡벽체(15)의 상면이, 금형(7)에 배치된 돌출부(9)의 돌출면(9a)에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가로 방지 벽부(14) 및 세로 방지 벽부(12)를 넘어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18)에 침입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성형면 파스너(1)에 있어서의 세로 방지 벽부(12)에 있어서는, 3열의 종벽체(13a 내지 13c)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종벽체(13) 사이에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가로 방지 벽부(14)에 있어서는, 걸림 결합 소자(16)와 횡벽체(15)의 사이에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간극은 어느 것이나 극히 작기 때문에, 발포 성형 시에 세로 방지 벽부(12)나 가로 방지 벽부(14)에 형성된 간극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유입했다고 해도,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18) 내에 침입하기 전에 냉각되어 고화하기 때문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세로 방지 벽부(12)나 가로 방지 벽부(14)의 간극을 개재하여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18) 내에 도달하는 일은 없다.
그 후, 발포성 수지 재료가 발포 고화하여 성형이 종료함으로써,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한 오목부(6)를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성형면 파스너(1)가 성형 일체화된 쿠션체(5)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쿠션체(5)에는, 본 실시 형태와는 다른 직선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2)도 상기 쿠션체(5)의 직선 형상의 오목부(6)를 따라서 성형 일체화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쿠션체(5)의 직선 형상의 오목부(6)에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1)를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쿠션체(5)는 표면의 오목부(6) 내에 일체화된 성형면 파스너(1)의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18)에 발포체가 침입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걸림 결합 소자(16)가 본래 갖고자 하던 원하는 걸림 부착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얻어진 쿠션체(5)의 표면에 표피재를 씌우고, 그 표피재를 쿠션체(5)에 있어서의 성형면 파스너(1)의 부착 위치를 향하여 밀어붙임으로써, 표피재의 이면에 배치된 암형 걸림 결합 소자를, 성형면 파스너(1)의 걸림 결합 소자(16)(수형 걸림 결합 소자)에 확실하게 걸어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표피재를 쿠션체(5)로부터 들뜨게 하지 않고, 쿠션체(5)의 표면의 만곡면을 따라서 밀착시켜서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1: 성형면 파스너
2: 성형면 파스너
5: 쿠션체
6: 오목부
7: 금형
8: 캐비티면
9: 돌출부
9a: 선단면(돌출면)
10: 면 파스너부
10a: 평행부
10b: 경사부
10c: 오목홈부
11: 기재부
12: 세로 방지 벽부
13: 종벽체
13a: 제1번째 열의 종벽체
13b: 제2번째 열의 종벽체
13c: 제3번째 열의 종벽체
14: 가로 방지 벽부
15: 횡벽체
16: 걸림 결합 소자
16a: 상승부
16b: 걸림 결합 헤드부
16c: 보강부
17: 연결부
18: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
21: 제1 고정부
22: 제2 고정부
23: 전방 연장 설치부
24: 후방 연장 설치부
25: 좌 연장 설치부
26: 우 연장 설치부
30: 모노 필라멘트
30a: 모노 필라멘트
30b: 모노 필라멘트
31: 접속부
40: 선 형상 자성체
L1: 접속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
L2: 인접하는 면 파스너부 사이의 최소 간격

Claims (7)

  1.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6)가 기재부(11)의 제1면에 세워 설치된 복수의 면 파스너부(10)와, 상기 면 파스너부(10)를 길이 방향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구비한 접속 부재(30)를 갖고, 발포체(5)의 성형 시에 상기 발포체(5)의 표면에 일체화되는 성형면 파스너(1)이며,
    상기 면 파스너부(10)는 복수의 상기 걸림 결합 소자(16)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기재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좌우의 세로 방지 벽부(12)와, 좌우의 상기 세로 방지 벽부(12) 사이에 배치된 가로 방지 벽부(14)를 갖고,
    상기 면 파스너부(10)는 상기 기재부(11)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접속 부재(30)를 고정하는 고정부(21)를 갖고,
    상기 고정부(21)는 상기 가로 방지 벽부(14)의 면 파스너부(71)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모든 상기 면 파스너부(10)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부(11)는 상기 고정부(21)의 배치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 결합 소자(16)가 배제된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를 갖고,
    상기 접속 부재(30)는 가요성 있는 모노 필라멘트이며, 상기 모노 필라멘트는 가로 방지 벽부(14)의 측면을 관통하여 가로 방지 벽부(14)의 성형과 동시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부재(30)의 상기 고정부(21) 사이에 배치된 상기 면 파스너부(10)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3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치수(L1)는, 인접하는 상기 면 파스너부(10) 사이의 최소 간격(L2)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면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소자(16)는 상기 기재부(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정렬하여 세워 설치되고,
    좌우의 상기 세로 방지 벽부(12) 사이에, 폭 방향으로 정렬한 상기 걸림 결합 소자(16)와 함께 상기 가로 방지 벽부(14)를 구성하는 복수의 횡벽체(15)가 폭 방향을 따라서 세워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연장 설치부(23, 24)에 있어서의 전단부 모서리 및 후단부 모서리로부터 상기 횡벽체(15)까지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상기 걸림 결합 소자(1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의 50% 이상으로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30)는 상기 기재부(11)의 폭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어 구성되며, 상기 접속부(31)에 적어도 2개의 절곡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30)는 장축이 상기 기재부(11)의 표리 방향을 따른 타원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6.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면 파스너부(10)가 대향하는 단부 모서리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10a)와, 상기 평행부(10a)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면 파스너부(10) 사이의 간격을 상기 면 파스너부(10)의 측단부 모서리를 향하여 점증시키는 경사부(10b)를 갖고,
    상기 평행부(10a)의 폭 치수는, 상기 접속부(31)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7. 삭제
KR1020137023680A 2011-03-07 2011-03-07 성형면 파스너 KR101509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5243 WO2012120618A1 (ja) 2011-03-07 2011-03-07 成形面ファスナ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679A KR20130122679A (ko) 2013-11-07
KR101509375B1 true KR101509375B1 (ko) 2015-04-07

Family

ID=4679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680A KR101509375B1 (ko) 2011-03-07 2011-03-07 성형면 파스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271547B2 (ko)
EP (1) EP2684480B1 (ko)
JP (1) JP5635179B2 (ko)
KR (1) KR101509375B1 (ko)
CN (1) CN103415226B (ko)
ES (1) ES2593503T3 (ko)
MX (1) MX2013009908A (ko)
TW (1) TWI513424B (ko)
WO (1) WO20121206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085A (ko) * 2019-02-15 2021-10-19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성형면 파스너 및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93609T3 (es) * 2010-08-23 2016-12-12 Ykk Corporation Dispositivo de fijación de ganchos y bucles de moldeo
CN103648318B (zh) * 2011-07-05 2016-02-03 Ykk株式会社 成形粘扣带以及成形粘扣带的制造方法及缓冲体的制造方法
KR101559688B1 (ko) 2011-10-26 2015-10-13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성형면 파스너
ITTV20120021A1 (it) * 2012-02-10 2013-08-11 Stemma Srl Metodo per l'applicazione di un inserto in materiale polimerico su un supporto e attrezzatura per l'esecuzione di tale metodo.
CN104902777B (zh) * 2013-01-07 2018-03-30 Ykk株式会社 成形搭扣带及缓冲体的制造方法
JP6438347B2 (ja) * 2015-05-12 2018-12-12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US10189387B2 (en) * 2015-07-17 2019-01-29 Ykk Corporation Fastening tape with flexibility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10548374B2 (en) 2015-07-17 2020-02-04 Ykk Corporation Fastening tape with flexibi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10051926B2 (en) * 2016-02-08 2018-08-21 Ykk Corporation Fastening tape with injected foam gasket
KR102044182B1 (ko) * 2016-02-19 2019-11-13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성형면 파스너
US10694821B2 (en) * 2016-12-21 2020-06-30 Ykk Corporation Fastening tape
DE102018002180A1 (de) * 2018-03-17 2019-09-19 Gottlieb Binder Gmbh & Co. Kg Haftverschlussteil
CN113163906B (zh) * 2018-12-26 2023-01-17 Ykk株式会社 搭扣带
US20200298737A1 (en) * 2019-03-19 2020-09-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lanar upholstery fastener for seating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6003A (ja) * 1989-10-31 1991-06-21 Nanba Press Kogyo Kk シートのクッション材用のファスナアセンブリ
JPH05211909A (ja) * 1992-02-10 1993-08-24 Yoshida Kogyo Kk <Ykk> シートクッション用の面ファスナー片連結体
JP2005211198A (ja) 2004-01-28 2005-08-11 Ykk Corp 成形面ファスナーと同面ファスナーに成形一体化されたクッション体
KR20100084988A (ko) * 2009-01-19 2010-07-28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쿠션 본체 주형 내에 사용하기 위한 수형 표면 체결구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6563B1 (en) 2000-05-23 2003-12-02 Velcro Industries B.V. Segmented separable fastener
US7108814B2 (en) * 2004-11-24 2006-09-19 Velcro Industries B.V. Molded touch faste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2006205641A (ja) * 2005-01-31 2006-08-10 Toyo Tire & Rubber Co Ltd ファスナが一体成形された発泡成形品及びファスナが一体成形された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GB2468869A (en) * 2009-03-24 2010-09-29 Ykk Europ Ltd Fastener strip for use with cushion body
TWI381813B (zh) * 2010-01-12 2013-01-11 Taiwan Paiho Ltd A Velcro assembly for a foamed article and a foamed article comprising the adhesive tape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6003A (ja) * 1989-10-31 1991-06-21 Nanba Press Kogyo Kk シートのクッション材用のファスナアセンブリ
JPH05211909A (ja) * 1992-02-10 1993-08-24 Yoshida Kogyo Kk <Ykk> シートクッション用の面ファスナー片連結体
JP2005211198A (ja) 2004-01-28 2005-08-11 Ykk Corp 成形面ファスナーと同面ファスナーに成形一体化されたクッション体
KR20100084988A (ko) * 2009-01-19 2010-07-28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쿠션 본체 주형 내에 사용하기 위한 수형 표면 체결구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085A (ko) * 2019-02-15 2021-10-19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성형면 파스너 및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KR102620608B1 (ko) * 2019-02-15 2024-01-03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성형면 파스너 및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US11944165B2 (en) 2019-02-15 2024-04-02 Ykk Corporation Molded surface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13424B (zh) 2015-12-21
US20130340214A1 (en) 2013-12-26
EP2684480B1 (en) 2016-08-10
CN103415226B (zh) 2016-02-24
WO2012120618A1 (ja) 2012-09-13
TW201236594A (en) 2012-09-16
EP2684480A4 (en) 2014-12-17
JP5635179B2 (ja) 2014-12-03
CN103415226A (zh) 2013-11-27
ES2593503T3 (es) 2016-12-09
KR20130122679A (ko) 2013-11-07
US9271547B2 (en) 2016-03-01
EP2684480A1 (en) 2014-01-15
JPWO2012120618A1 (ja) 2014-07-07
MX2013009908A (es)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375B1 (ko) 성형면 파스너
KR101440739B1 (ko) 성형면 파스너
JP5763207B2 (ja) 成形面ファスナー
KR101719086B1 (ko) 성형면 파스너 및 쿠션체의 제조 방법
JP3886971B2 (ja) 成形面ファスナーと同面ファスナーに成形一体化されたクッション体
US20140130311A1 (en) Molding Hook and Loop Fastener,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ing Hook and Loop Faste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shion Body
JP6266777B2 (ja)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KR20160096151A (ko) 성형면 파스너
GB2468869A (en) Fastener strip for use with cushion body
JP5709953B2 (ja) 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CN114599250A (zh) 网状钩面紧固件及其制造方法以及带有面紧固件的成形体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