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951B1 - 이앙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7951B1 KR102077951B1 KR1020187011587A KR20187011587A KR102077951B1 KR 102077951 B1 KR102077951 B1 KR 102077951B1 KR 1020187011587 A KR1020187011587 A KR 1020187011587A KR 20187011587 A KR20187011587 A KR 20187011587A KR 102077951 B1 KR102077951 B1 KR 1020779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edling
- planting
- actuator mechanism
- adjustment actuator
- adjust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 Y02P60/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이앙기에 있어서 조절 부재(122)의 변위에 따라 위치 조절 되는 피조절체(32a, 32b)와, 조절 부재(137)의 변위에 따라 위치 조절되는 피조절체(131)를 구비한 모종 식부 장치가 주행 기체에 연결되어 있다. 조절 부재(122)를 위치 조절하는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와, 조절 부재(137)를 위치 조절하는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본원 발명은 조절 부재의 변위에 따라 위치 조절되는 피조절체를 구비한 모종 식부 장치가 주행 기체에 연결되어 있는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종의 식부 깊이를 조절하는 식부 깊이 조절 레버와, 모종 적재대 상의 모종 매트로부터의 모종 인출량을 조절하는 모종 인출 조절 레버를 갖는 이앙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식부 깊이 조절은 모종 식부 장치 하부에 배치된 플로트가 식부 깊이 조절 레버의 변위에 따라 위치 조절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모종 인출 조절은 모종 적재대 하단부에 배치된 모종 인출판이 모종 인출 조절 레버의 변위에 따라 위치 조절됨으로써 행해진다. 식부 깊이 조절과 모종 인출 조절은 오퍼레이터가 조절 레버를 수동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식부 깊이 조절과 모종 인출 조절은 모종 심기 작업(모내기 작업)이 한창인 때에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조절 레버는 모종 식부 장치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운전석에서 내려 흙탕물 등이 부착된 상태의 조절 레버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 현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모종 식부 장치에 설치된 플로트나 모종 인출판등의 피조절체의 위치 조절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한 이앙기는 조절 부재의 변위에 따라 위치 조절되는 피조절체를 구비한 모종 식부 장치가 주행 기체에 연결되어 있는 이앙기로서, 상기 조절 부재를 위치 조절하는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는 이송 나사와 상기 이송 나사의 회전에 의해 직선 운동되는 접동자를 구비하고, 상기 접동자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모종 식부 장치에 가로로 길게 배치된 조절축을 회동 지점으로 해서 상기 조절 부재를 원호 운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접동자와 상기 조절 부재는 융통 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이앙기는 상기 피조절체로서 모종의 식부 깊이를 조절하는 플로트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에 설치된 모종 적재대로부터 인출하는 1주분(株分)의 모종 인출량을 조절하는 모종 인출판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 부재로서 상기 플로트를 위치 조절하는 식부 깊이 조절 부재와, 상기 모종 인출판을 위치 조절하는 모종 인출 조절 부재를 구비한 구성이며, 상기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로서 상기 식부 깊이 조절 부재를 위치 조절하는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상기 모종 인출 조절 부재를 위치 조절하는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상기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는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이앙기는 상기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상기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이앙기는 상기 주행 기체의 진행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해서 상기 주행 기체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후차륜을 구비한 구성이며, 상기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상기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는 상기 후차륜의 궤적 상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모종 식부 장치는 상기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종 적재대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플로트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며, 상기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및 상기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는 측방에서 볼 때 상기 후차륜과 상기 모종 적재대와 상기 플로트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이앙기는 상기 모종 식부 장치에 설치된 모종 적재대의 좌우방향의 가로 이송을 행하는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의 좌우 경사를 조절하는 롤링 제어 장치를 구비한 구성이며, 상기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및 상기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상기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는 상기 롤링 제어 장치의 롤링 지점축에 대하여 좌우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이앙기는 승강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피조절체의 승강 상태를 검출하는 승강 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 액추에이터는 상기 조절 부재를 변위시켜서 상기 피조절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승강 검출 센서의 검출 범위 내에 승강 목표값에 대한 제어상의 불감대를 설정함에 있어서 상기 불감대의 중앙값을 상기 승강 목표값으로부터 어긋나 있게 해도 좋다.
본원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피조절체는 예를 들면, 상기 모종 식부 장치에 설치된 모종 적재대로부터 인출하는 1주분의 모종 인출량을 조절하는 모종 인출판이도록 해도 좋다.
또한, 모종 인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모종 인출판을 상승시키는 경우는 상기 불감대의 상승측 경계값이 상기 승강 목표값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승강 검출 센서의 상기 불감대를 설정해도 좋다.
또한, 모종 인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모종 인출판을 하강시키는 경우는 상기 불감대의 하강측 경계값이 상기 승강 목표값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승강 검출 센서의 상기 불감대를 설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승강 검출 센서의 상기 불감대의 폭이 변경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 피조절체는 모종 인출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피조절체, 예를 들면 모종의 식부 깊이 조절 시에 위치 조절되는 플로트이어도 좋다. 단, 본원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 피조절체를 위치 조절하는 기구나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효과)
본원 발명의 이앙기는 조절 부재의 변위에 따라 위치 조절되는 피조절체를 구비한 모종 식부 장치가 주행 기체에 연결되어 있는 이앙기로서, 조절 부재를 위치 조절하는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피조절체의 위치 조절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는 이송 나사와 상기 이송 나사의 회전에 의해 직선 운동되는 접동자를 구비하고, 상기 접동자를 이동시킴으로써 모종 식부 장치에 가로로 길게 배치된 조절축을 회동 지점으로 해서 조절 부재를 원호 운동시키도록 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조절 부재를 위치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복잡한 링크 기구가 불필요하므로 설치 스페이스나 기능 신뢰성의 관점으로부터 유리하다. 또한, 접동자와 조절 부재는 융통 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도록 하면 간단한 구조로 접동자와 조절 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접동자의 이동에 의한 위치 변화에 대응해서 접동자와 조절 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이앙기는 피조절체로서의 플로트와 모종 인출판을 구비하고, 조절 부재로서의 식부 깊이 조절 부재와 모종 인출 조절 부재를 구비한 구성이며,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로서의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구비하고 있도록 하면 오퍼레이터는 각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플로트와 모종 인출판의 위치 조절, 나아가서는 식부 깊이 조절과 모종 인출 조절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는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도록 하면 양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의 유지 관리를 동시에 행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이앙기는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도록 하면 양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흙탕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는 후차륜의 궤적 상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도록 하면 흙탕물 등의 비산이 적은 위치에 양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배치할 수 있고, 양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에의 흙탕물 등의 부착 저감을 실현된다.
또한, 모종 식부 장치는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고, 모종 적재대보다 낮은 위치에 플로트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며,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및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는 측방에서 볼 때 후차륜과 모종 적재대와 플로트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도록 하면 흙탕물 등의 비산이나 외부로부터의 간섭이 적은 위치에 양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배치할 수 있고, 양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에의 흙탕물 등의 부착 저감이나 외부로부터의 간섭 억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및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는 롤링 제어 장치의 롤링 지점축에 대하여 좌우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도록 하면 모종 식부 장치의 좌우 밸런스, 나아가서는 기체 전체의 좌우 밸런스를 양호하게 하여 안정된 주행 및 고정밀도의 롤링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 승강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피조절체의 승강 상태를 검출하는 승강 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 액추에이터는 상기 조절 부재를 변위시켜서 상기 피조절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승강 검출 센서의 검출 범위 내에 승강 목표값에 대한 제어상의 불감대를 설정함에 있어서 상기 불감대의 중앙값을 상기 승강 목표값으로부터 어긋나 있도록 하면 예를 들면, 피조절체를 상승시키는 경우는 하중의 영향으로 피조절체가 상승 이동하기 어려운 것을 예측하여 상기 불감대의 상승측 경계값을 상기 승강 목표값에 가까이 하도록 상기 불감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조절체를 하강시키는 경우는 하중의 영향에 의한 피조절체의 스무스한 하강을 예측하여 상기 불감대의 하강측 경계값을 상기 승강 목표값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불감대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피조절체의 자체 중량이나 모종 매트량 등을 고려한 뒤에 상기 승강 검출 센서의 검출 범위 내에 상기 승강 목표값에 대한 제어상의 상기 불감대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조절체의 위치 조절에 관해서 기계적인 덜걱거림이나 휨, 제어상의 히스테리시스 등에 의한 악영향을 저감할 수 있고, 종래 수동 조작 시와 같은 오버슈트 조작을 하지 않아도 고정밀도의 위치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피조절체는 모종 식부 장치에 설치된 모종 적재대로부터 인출하는 1주분의 모종 인출량을 조절하는 모종 인출판이도록 하면 모종 인출판의 적절한 위치 조절, 나아가서는 적절한 모종 인출량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승용형 이앙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승용형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엔진, 미션 케이스 및 리어 액슬 케이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엔진, 미션 케이스 및 리어 액슬 케이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조종 핸들을 생략한 운전 조작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승용형 이앙기의 구동 계통도이다.
도 7은 승용형 이앙기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8은 모종 식부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모종 식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모종 식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식부 깊이 조절축 및 모종 인출 조절축 주변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모종 인출량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군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액추에이터 기구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15는 동 사시도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액추에이터 기구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다.
도 21은 모종 인출 조절 제어와 식부 깊이 조절 제어에 관한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이다.
도 22는 모종 인출 조절에 있어서의 제어상의 불감대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3은 모종 인출 조절에 있어서의 제어상의 불감대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승용형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엔진, 미션 케이스 및 리어 액슬 케이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엔진, 미션 케이스 및 리어 액슬 케이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조종 핸들을 생략한 운전 조작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승용형 이앙기의 구동 계통도이다.
도 7은 승용형 이앙기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8은 모종 식부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모종 식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모종 식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식부 깊이 조절축 및 모종 인출 조절축 주변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모종 인출량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군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액추에이터 기구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15는 동 사시도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액추에이터 기구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다.
도 21은 모종 인출 조절 제어와 식부 깊이 조절 제어에 관한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이다.
도 22는 모종 인출 조절에 있어서의 제어상의 불감대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3은 모종 인출 조절에 있어서의 제어상의 불감대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8조 심기식의 승용형 이앙기(1)(이하, 단지 이앙기(1)라고 한다)에 적용했을 경우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기체(2)의 진행방향을 향해 좌측을 단지 좌측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진행방향을 향해 우측을 단지 우측이라고 칭한다.
우선, 도 1부터 도 5를 참조하면서 이앙기(1)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 쌍의 전차륜(3) 및 마찬가지로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에 의해 지지된 주행 기체(2)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는 엔진(5)이 탑재되어 있다.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방의 미션 케이스(6)에 전달하여 전차륜(3) 및 후차륜(4)을 구동시킴으로써 주행 기체(2)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6)의 좌우측방에 프론트 액슬 케이스(7)를 돌출시켜서 프론트 액슬 케이스(7)로부터 좌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전차축(36)에 전차륜(3)이 조타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6)의 후방에 통 형상 프레임(8)을 돌출시켜 통 형상 프레임(8)의 후단측에 리어 액슬 케이스(9)를 고정 설치하고, 리어 액슬 케이스(9)로부터 좌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후차축(37)에 후차륜(4)이 부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2)의 전방부 및 중앙부의 상면측에는 오퍼레이터 탑승용의 작업 스텝(차체 커버)(10)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 스텝(10)의 전방부의 상방에는 프론트 보닛(11)이 배치되고, 프론트 보닛(11)의 내부에 엔진(5)을 설치하고 있다. 작업 스텝(10)의 상면 중 프론트 보닛(11)의 후방부 측방에 밟기 조작용의 주행 변속 페달(12)이 배치되어 있다. 상세는 생략하지만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주행 변속 페달(12)의 밟기량에 따른 변속 전동 모터의 구동으로 미션 케이스(6)의 유압 무단 변속기(40)로부터 출력되는 변속 동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보닛(11)의 후방부 상면측에 있는 운전 조작부(13)에는 조종 핸들(14)과 주행 주변속 레버(15)와 승강 조작구로서의 작업 레버(16)가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작업 스텝(10)의 상면 중 프론트 보닛(11)의 후방에는 시트 프레임(7)을 통해 조종 좌석(1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보닛(11)의 좌우측방에는 작업 스텝(10)을 사이에 두고 좌우의 예비 모종 적재대(24)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후단부에 링크 프레임(19)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링크 프레임(19)에는 로어 링크(20) 및 톱 링크(21)로 이루어지는 승강 링크 기구(22)를 통해 8조 심기용의 모종 식부 장치(23)가 승강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모종 식부 장치(23)의 전면측에 롤링 지점축(도시 생략)을 통해 히치 브래킷(38)을 설치하고 있다. 승강 링크 기구(22)의 후방부측에 히치 브래킷(38)을 연결함으로써 주행 기체(2)의 후방에 모종 식부 장치(23)를 승강 이동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통 형상 프레임(8)의 상면 후방부에 유압식의 승강 실린더(39)의 실린더 기단측을 상하 회동가능하게 지지시킨다. 승강 실린더(39)의 로드 선단측은 로어 링크(20)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39)의 신축 이동으로 승강 링크 기구(22)를 상하 회동 시키는 결과, 모종 식부 장치(23)가 승강 이동한다. 또한, 모종 식부 장치(23)는 상기 롤링 지점축 둘레로 회동하여 좌우방향의 경사 자세를 변경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오퍼레이터는 작업 스텝(10)의 측방에 있는 승강 스텝(25)으로부터 작업 스텝(10) 상에 탑승하고, 운전 조작으로 포장 내를 이동하면서 모종 식부 장치(23)를 구동시켜서 포장에 모종을 식부하는 모종 심기 작업(모내기 작업)을 실행한다. 또한, 모종 심기 작업 중에 있어서 모종 식부 장치(23)에는 예비 모종 적재대(24) 상의 모종 매트를 오퍼레이터가 수시 보급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 장치(23)는 엔진(5)으로부터 미션 케이스(6)를 경유한 동력이 전달되는 식부 입력 케이스(26)와, 식부 입력 케이스(26)에 연결하는 8조용 4세트(2조에서 1세트)의 식부 전동 케이스(27)와, 각 식부 전동 케이스(27)의 후단측에 설치된 모종 식부 기구(28)와, 8조 심기용의 모종 적재대(29)와, 각 식부 전동 케이스(27)의 하면측에 배치된 논바닥 균평용의 플로트(32)를 구비하고 있다. 모종 식부 기구(28)에는 1조분 2개의 식부 클로(30)를 갖는 식부 전동 케이스(27)가 설치되어 있다. 식부 전동 케이스(27)에 2조분의 식부 전동 케이스(27)가 배치되어 있다. 식부 전동 케이스(27)의 1회전에 의해 2개의 식부 클로(30)가 각각 1주씩의 모종을 베어내어 잡고 플로트(32)에 의해 정지(整地)된 논바닥에 식부한다. 모종 식부 장치(23)의 전면측에는 포장면을 고르게 하는(정지하는) 정지 로터(85)를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엔진(5)으로부터 미션 케이스(6)를 경유한 동력은 전차륜(3) 및 후차륜(4)에 전달될 뿐만 아니라 모종 식부 장치(23)의 식부 입력 케이스(26)에도 전달된다. 이 경우, 미션 케이스(6)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23)를 향하는 동력은 리어 액슬 케이스(9)의 우측 상부에 설치된 주간(株間) 변속 케이스(75)에 일단 전달되고, 주간 변속 케이스(75)로부터 식부 입력 케이스(26)에 동력 전달된다. 상기 전달된 동력으로 각 모종 식부 기구(28)나 모종 적재대(29)가 구동한다. 주간 변속 케이스(75)에는 식부되는 모종의 주간을 예를 들면 성기게 심기, 표준 심기 또는 배게 심기 등으로 스위칭하는 주간 변속 기구(76)와, 모종 식부 장치(23)로의 동력 전달을 접속 차단하는 식부 클러치(77)가 내장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모종 식부 장치(23)의 좌우 외측에는 사이드 마커(33)를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 마커(33)는 리니에이션용의 마커 휠체(34)와, 마커 휠체(34)를 회전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마커 암(35)을 갖고 있다. 각 마커 암(35)의 기단측이 모종 식부 장치(23)의 좌우 외측에 좌우 회동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사이드 마커(33)는 운전 조작부(13)에 있는 작업 레버(16)의 조작에 의거하여 다음 공정에서의 기준이 되는 궤적을 논바닥에 착지해서 형성하는 작업 자세와, 마커 휠체(34)를 상승시켜서 논바닥으로부터 이간시킨 비작업 자세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2)는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기체 프레임(50)을 구비하고 있다. 각 기체 프레임(50)은 전방부 프레임(51)과 후방부 프레임(52)으로 2분할되어 있다. 전방부 프레임(51)의 후단부와 후방부 프레임(52)의 전단부가 좌우 가로로 긴 중간 연결 프레임(53)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전방부 프레임(51)의 전단부는 전방 프레임(54)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후방부 프레임(52)의 후단측은 후방 프레임(55)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54), 좌우 양 전방부 프레임(51) 및 중간 연결 프레임(53)은 평면으로 볼 때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중간 연결 프레임(53), 좌우 양 후방부 프레임(52) 및 후방 프레임(55)도 평면으로 볼 때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양 전방부 프레임(51)의 전방 부근 부위는 전후 2개의 베이스 프레임(5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 베이스 프레임(56)의 중간부는 좌우 양 전방부 프레임(51)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베이스 프레임(56)의 좌우 단부는 대응하는 전방부 프레임(51)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대략 평판 형상의 엔진대(57) 및 복수의 방진 고무(도시 생략)를 통해 전후 양 베이스 프레임(56)에 엔진(5)이 탑재되어 방진 지지되어 있다. 후측의 베이스 프레임(56)은 후방 중계 브래킷(60)을 통해 미션 케이스(6)의 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우 양 전방부 프레임(51)의 후방 부근 부위는 미션 케이스(6)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프론트 액슬 케이스(7)에 연결되어 있다. 중간 연결 프레임(53)의 중앙측에는 측면에서 볼 때 후방 경사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U자 형상 프레임(61)의 좌우 양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U자 형상 프레임(61)의 중간부가 미션 케이스(6)와 리어 액슬 케이스(9)를 연결하는 통 형상 프레임(8)의 중도부에 연결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후방 프레임(55)의 중간부에는 좌우 2개의 세로 프레임(62)의 상단측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좌우 양 세로 프레임(62)의 하단측에는 좌우 가로로 긴 리어 액슬 지지 프레임(63)의 중간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리어 액슬 지지 프레임(63)의 좌우 양단부가 리어 액슬 케이스(9)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전방부 프레임(51)으로 외향 돌출된 스텝 지지대(64)의 하방에 엔진(5)의 배기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65)가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5)의 후방에 배치된 미션 케이스(6)의 전방부에는 파워 스티어링 유닛(66)이 설치되어 있다. 상세는 생략하지만 파워 스티어링 유닛(66)의 상면에 세워 설치되는 핸들 포스트의 내부에 핸들축이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핸들축의 상단측에 조종 핸들(14)이 고정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유닛(66)의 하면측에는 조타 출력축(도시 생략)이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조타 출력축에는 좌우의 전차륜(3)을 조타하는 조타간(68)(도 4 참조)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엔진(5)은 출력축(70)(크랭크축)을 좌우방향을 향해 전후 양 베이스 프레임(56)의 중간부 상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5) 및 엔진대(57)의 좌우폭은 좌우 양 전방부 프레임(51) 사이의 안치수보다 작고, 엔진(5)의 하부측 및 엔진대(57)는 전후 양 베이스 프레임(56)의 중간부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좌우 양 전방부 프레임(51)보다 하측에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 엔진(5)의 출력축(70)(축선)은 측면에서 볼 때 좌우 양 전방부 프레임(51)과 겹치는 위치에 있다. 엔진(5)의 좌우 일측면(실시형태에서는 좌측면)에는 엔진(5)의 배기계에 연통하는 배기관(69)이 배치되어 있다. 배기관(69)의 기단측이 엔진(5)의 각 기통에 접속되고, 배기관(69)의 선단측이 머플러(65)의 배기 입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운전 조작부(13)에 있어서, 주행 주변속 레버(15)는 조종 핸들(14)을 사이에 둔 좌우 일방측(실시형태에서는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운전 조작부(13)에 형성된 가이드 홈(83)을 따라 주행 주변속 레버(15)를 조작함으로써 이앙기(1)의 주행 모드를 전진, 중립, 후진, 모종 첨가 및 이동의 각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 레버는 조종 핸들(14)을 사이에 둔 좌우 타방측(실시형태에서는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작업 레버는 모종 식부 장치(23)의 승강 조작, 식부 클러치(77)의 접속 차단 조작 및 좌우 사이드 마커(33)의 선택 조작이라는 복수의 조작을 단독으로 담당하는 것이며, 십자방향으로 조작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작업 레버(16)를 1회 앞으로 기울이기 조작하면 모종 식부 장치(23)가 하강하고, 다시 1회 앞으로 기울이기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77)가 온 작동한다(동력 접속 상태가 된다). 반대로 작업 레버(16)를 1회 뒤로 기울이기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77)가 오프 작동하고(동력 차단 상태가 되고), 다시 1회 뒤로 기울이기 조작하면 모종 식부 장치(23)가 상승한다. 모종 식부 장치(23)의 승강 동작을 중지하는 경우는 작업 레버(16)를 역방향으로 경동 조작한다. 예를 들면, 모종 식부 장치(23)의 하강 이동을 도중에 정지시키는 경우는 작업 레버(16)를 뒤로 기울이기 조작하면 좋다. 작업 레버(16)를 1회 우측으로 경동 조작하면 좌측의 사이드 마커(33)가 작업 자세가 되고, 다시 1회 좌측으로 경동 조작하면 좌측의 사이드 마커(33)가 비작업 자세로 되돌아간다. 작업 레버(16)를 1회 우측으로 경동 조작하면 우측의 사이드 마커(33)가 작업 자세가 되고, 다시 1회 우측으로 경동 조작하면 우측의 사이드 마커(33)가 비작업 자세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이앙기(1)의 구동 계통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5)의 출력축(70)은 엔진(5)의 좌우 양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출력축(70) 중 엔진(5)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단부에 엔진 출력 풀리(72)를 설치하고, 미션 케이스(6)로부터 좌방 외측으로 돌출된 미션 입력축(71)에 미션 입력 풀리(73)를 설치하고, 양 풀리(72, 73)에 전달 벨트를 감아 걸고 있다. 양 풀리(72, 73) 및 전달 벨트를 통해 엔진(5)으로부터 미션 케이스(6)에 동력 전달한다.
미션 케이스(6) 내에는 유압 펌프(40a) 및 유압 모터(40b)로 이루어지는 유압 무단 변속기(40), 유성 기어 장치(41), 유압 무단 변속기(40) 및 유성 기어 장치(41)를 경유한 변속 동력을 복수단으로 변속하는 기어식 부변속 기구(42), 유성 기어 장치(41)로부터 기어식 부변속 기구(42)로의 동력 전달을 접속 차단하는 주 클러치(43), 및 기어식 부변속 기구(42)로부터의 출력을 제동시키는 주행 브레이크(4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미션 입력축(71)으로부터의 동력으로 유압 펌프(40a)를 구동시키고, 유압 펌프(40a)로부터 유압 모터(40b)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유압 모터(40b)로부터 변속 동력이 출력된다. 유압 모터(40b)의 변속 동력은 유성 기어 장치(41) 및 주 클러치(43)를 통해 기어식 부변속 기구(42)에 전달된다. 그리고, 기어식 부변속 기구(42)로부터 전후 차륜(3, 4)과 모종 식부 장치(23)의 2방향으로 분기되어서 동력 전달된다.
전후 차륜(3, 4)을 향하는 분기 동력의 일부는 기어식 부변속 기구(42)로부터 차동 기어 기구(45)를 통해 프론트 액슬 케이스(7) 전차축(36)에 전달되어 좌우 전차륜(3)을 회전 구동시킨다. 전후 차륜(3, 4)을 향하는 분기 동력의 나머지는 기어식 부변속 기구(42)로부터 자재 이음축(46), 리어 액슬 케이스(9) 내의 리어 구동축(47), 좌우 한 쌍의 마찰 클러치(48) 및 기어식 감속 기구(49)를 통해 리어 액슬 케이스(9)의 후차축(37)에 전달되어 좌우 후차륜(4)을 회전 구동시킨다. 주행 브레이크(44)를 작동시켰을 경우는 기어식 부변속 기구(42)로부터의 출력이 없어지므로 전후 차륜(3, 4) 모두에 브레이크가 걸린다. 또한, 이앙기(1)를 선회시키는 경우는 리어 액슬 케이스(9) 내의 선회 내측의 마찰 클러치(48)를 오프 작동시켜서 선회 내측의 후차륜(4)을 자유 회전시키고 동력 전달되는 선회 외측의 후차륜(4)의 회전 구동에 의해 선회한다.
리어 액슬 케이스(9) 내에는 정지 로터(85)로의 동력 접속 차단용의 정지 로터 클러치를 갖는 로터 구동 유닛(86)을 구비하고 있다. 기어식 부변속 기구(42)로부터 자재 이음축(46)에 전달된 동력은 로터 구동 유닛(86)에도 분기되어서 전달되고, 로터 구동 유닛(86)으로부터 자재 이음축(87)을 통해 정지 로터(85)에 동력 전달된다. 정지 로터(85)의 회전 구동에 의해 포장면이 고르게 된다.
모종 식부 장치(23)를 향하는 분기 동력은 자재 이음축 부착의 PTO 전동축 기구(74)를 통해 주간 변속 케이스(75)에 전달된다. 주간 변속 케이스(75) 내에는 식부되는 모종의 주간을 예를 들면, 성기게 심기, 표준 심기, 배게 심기 등으로 스위칭하는 주간 변속 기구(76)와, 모종 식부 장치(23)로의 동력 전달을 접속 차단 하는 식부 클러치(77)를 구비하고 있다. 주간 변속 케이스(75)에 전달된 동력은 주간 변속 기구(76), 식부 클러치(77) 및 자재 이음축(78)을 통해 식부 입력 케이스(26)에 전달된다.
식부 입력 케이스(26) 내에는 모종 적재대(29)를 가로 이송 이동시키는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79)와, 모종 적재대(29) 상의 모종 매트를 세로 이송 반송시키는 모종 세로 이송 기구(80)와, 식부 입력 케이스(26)로부터 각 식부 전동 케이스(27)에 동력 전달하는 식부 출력축(81)을 구비하고 있다. 식부 입력 케이스(26)에 전달된 동력에 의해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79) 및 모종 세로 이송 기구(80)가 구동하고, 모종 적재대(29)를 연속적으로 왕복으로 가로 이송 이동시키고, 모종 적재대(29)가 왕복 이동단(왕복 이동의 반환점)에 도달했을 때에 모종 적재대(29) 상의 모종 매트를 간헐적으로 세로 이송 반송한다. 식부 입력 케이스(26)로부터 식부 출력축(81)을 경유한 동력은 각 식부 전동 케이스(27)에 전달되어 각 식부 전동 케이스(27)의 식부 전동 케이스(27) 및 식부 클로(30)를 회전 구동시킨다. 또한, 시비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는 주간 변속 케이스(75)로부터 시비 장치에 동력 전달된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이앙기(1)의 유압 회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앙기(1)의 유압 회로(90)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40)의 구성요소인 유압 펌프(40a) 및 유압 모터(40b)와, 챠지 펌프(91) 및 작업 펌프(92)를 구비한다. 유압 펌프(40a), 챠지 펌프(91) 및 작업 펌프(92)가 엔진(5)의 동력에 의해 구동한다. 유압 펌프(40a)와 유압 모터(40b)는 폐쇄 루프 유로(油路)(93)를 통해 각각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접속하고 있다. 챠지 펌프(91)를 폐쇄 루프 유로(93)에 접속하고 있다. 주행 변속 페달(12)의 밟기량에 따른 변속 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유압 펌프(40a)의 경사판 각도를 조절하여 유압 모터(40b)를 정전 또는 역전 구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작업 펌프(92)는 조종 핸들(14)의 조작을 보조하는 파워 스티어링 유닛(66)에 접속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유닛(66)은 조향 유압 스위칭 밸브(94) 및 조향 유압 모터(95)를 구비하고 있다. 조종 핸들(14)의 조작에 의해 조향 유압 스위칭 밸브(94)를 스위칭 작동시켜서 조향 유압 모터(95)를 구동시키고 조종 핸들(14)의 조작을 보조한다. 그 결과, 좌우 전차륜(3)을 작은 조작력으로 간단하게 조타할 수 있다.
파워 스티어링 유닛(66)은 플로우 디바이더(96)에 접속되어 있다. 플로우 디바이더(96)는 제 1 유로(97)와 제 2 유로(98)로 분기되어 있다. 제 1 유로(97)는 승강 실린더(39)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승강 스위칭 밸브(99)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 스위칭 밸브(99)는 승강 실린더(39)에 작동유을 공급하는 공급 위치(99a)와, 승강 실린더(39)로부터 작동유를 배출하는 배출 위치(99b)의 2위치로 스위칭가능한 4포트 2위치 스위칭형의 기계식 스위칭 밸브이다. 작업 레버(16)의 조작으로 승강 스위칭 밸브(99)를 스위칭 작동시켜서 승강 실린더(39)를 신축 이동시킴으로써 승강 링크 기구(22)를 통해 모종 식부 장치(23)가 승강 이동한다. 또한, 플로우 디바이더(96)나 승강 스위칭 밸브(99)는 미션 케이스(6) 후방부에 설치한 밸브 유닛(89) 내에 수용되어 있다.
승강 스위칭 밸브(99)로부터 승강 실린더(39)에 이르는 실린더 유로(100) 중에 전자 개폐 밸브(101)를 설치하고 있다. 전자 개폐 밸브(101)는 승강 실린더(39)에 대하여 작동유을 급배하는 개방 위치(101a)와, 승강 실린더(39)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정지하는 폐쇄 위치(101b)의 2위치로 스위칭가능한 전자 제어 밸브이다. 따라서, 전자 솔레노이드(102)를 여자(勵磁)시켜 전자 개폐 밸브(101)를 개방 위치(101a)로 하면 승강 실린더(39)는 신축 이동가능해지고, 모종 식부 장치(23)가 승강 이동가능해진다. 전자 솔레노이드(102)를 비여자로 해서 리턴 스프링(103)에 의해 전자 개폐 밸브(101)를 폐쇄 위치(101b)로 하면 승강 실린더(39)는 신축 이동불능으로 유지되고 모종 식부 장치(23)가 임의의 높이 위치에서 승강 정지한다.
또한, 실린더 유로(100) 중 전자 개폐 밸브(101)와 승강 실린더(39) 사이에는 어큐뮬레이터 유로(104)를 통해 어큐뮬레이터(105)를 접속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39) 내의 급격한 작동 유압 변동 시는 어큐뮬레이터(105)에 의해 작동 유압 변동을 흡수하고, 승강 스위칭 밸브(99) 및 전자 개폐 밸브(101)의 조합에 의해 승강 실린더(39)를 스무스하게 신축 이동시켜 모종 식부 장치(23)를 경쾌하게 승강 이동시킨다.
플로우 디바이더(96)의 제 2 유로(98)는 모종 식부 장치(23)의 좌우 경사 자세를 제어하는 롤링 제어 유닛(106)에 접속하고 있다. 롤링 제어 유닛(106)에는 롤링 실린더(108)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전자 제어 밸브(107)를 내장하고 있다. 전자 제어 밸브(107)의 스위칭 작동에 의해 롤링 제어 유닛(106)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롤링 실린더(108)를 작동시킨 결과, 모종 식부 장치(23)가 수평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이앙기(1)의 유압 회로(90)는 릴리프 밸브나 유량 조절 밸브, 체크 밸브, 오일 필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어서, 도 8부터 도 11을 참조하여 모종 식부 장치(2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종 식부 장치(23)는 8조용 4세트의 식부 전동 케이스(27)의 전단 사이를 연결하는 식부 프레임(111)을 구비하고 있다. 식부 프레임(11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식부 프레임(111)의 중앙부에 식부 입력 케이스(26)가 부착되어 있다. 식부 입력 케이스(26)는 모종 적재대(29)의 좌우방향의 가로 이송을 행하는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79)의 가로 이송축과, 모종 적재대(29) 상의 모종의 세로 이송을 행하는 모종 세로 이송 기구(80)의 세로 이송 구동축(80a)과, 모종 식부 기구(28)의 식부 출력축(81)을 회전시킨다.
식부 전동 케이스(27)의 전단부 하측에 식부 깊이 조절축(121)이 회동가능하게 피벗팅되어 있다. 식부 깊이 조절축(121)에 각 플로트(32a, 32b) 후단부 상면에 배치된 브래킷(113a, 113b)이 식부 깊이 조절 링크(114a, 114b)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식부 깊이 조절축(121)에 기준 식부 깊이의 조절을 행하는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의 기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는 후술하는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에 의해 식부 깊이 조절축(121)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회동되어서 위치 조절된다.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가 위치 조절됨으로써 식부 깊이 조절축(121) 및 식부 깊이 조절 링크(114a, 114b)를 통해 브래킷(113a, 113b)의 높이 위치, 나아가서는 플로트(32a, 32b)(피조절체)가 소망의 식부 깊이 설정 높이에 배치된다. 센터 플로트(32a)의 전단부에 승강 센서(115)의 센싱 암이 부착되어 있다. 승강 센서(115)는 플로트 경사 각도(식부 깊이)의 변화를 검출한다. 또한, 사이드 플로트(32b)의 전단부에 사이드 플로트(32b) 전단부의 상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플로트 융통 기구(11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모종 식부 장치(23)에는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모종 적재대(29) 하단의 모종 인출판(131)(피조절체)을 상하 이동시켜서 모종 인출량을 조절하는 모종 인출 조절구(132)가 설치되어 있다. 모종 인출 조절구(132)는 식부 전동 케이스(27)에 볼트 체결된 가이드 부재(133)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 로드(134) 상부에 고착되어 있다. 좌우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모종 인출 조절축(136)에 모종 인출 조절 캠(135)의 기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모종 인출 조절 캠(135)의 선단부는 모종 인출 조절구(132)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모종 인출 조절축(136)에 모종 인출 조절 부재(137)의 기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후술하는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에 의해 모종 인출 조절 부재(137)가 위치 조절됨으로써 모종 인출 조절축(136) 및 모종 인출 조절 캠(135)을 통해 모종 인출판(131), 모종 인출 조절구(132) 및 가이드 로드(134)가 상하 이동되어서 식부 클로(30)가 인출하는 1주분의 모종량의 조절이 행해진다. 모종 인출 조절축(136)은 식부 전동 케이스(27) 상부에 고정 설치하는 각 축 받이판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어서, 롤링 제어 장치(10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히치 브래킷(38) 하단부는 식부 프레임(111) 대략 중앙에 고정 설치된 지점 부재(141)에 롤링 지점축(142)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히치 브래킷(38) 상단측에 설치된 부착 시트(143)에 유압 롤링 실린더(108)가 부착되어 있다. 실린더(108)의 피스톤 로드(145) 선단은 좌우방향으로 연신된 롤링 암(146)에 부착된 고정 브래킷(147)에 연결되어 있다. 롤링 암(146)의 양단은 식부 프레임(111) 양단부에 각각 세워 설치된 모종 적재대 사이드 프레임(157, 157)의 도중부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108)에 복동형의 실린더(108)를 왕복 구동하는 롤링 제어 유닛(106)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부착 시트(143) 상면에 고정 설치된 수용판(148)과, 모종 적재대(29) 이면측의 상부 가이드 레일(151)에 가이드 레일(151) 중앙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스프링 후크 사이에 롤링 보정 스프링(149)이 장설되어 있다. 진자형 롤링 센서(도시 생략)가 모종 식부 장치(23)의 경사를 검출할 때, 실린더(108)의 피스톤 로드(145)를 진퇴 제어해서 롤링 지점축(142) 둘레로 모종 식부 장치(23)를 좌우로 요동시켜서 모종 식부 장치(23)의 수평 유지를 도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식부 입력 케이스(26)에는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79)와 모종 세로 이송 기구(80)가 접속되어 있다.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79)의 이송체(79a)는 모종 적재대(29)의 이면 하부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부 가이드 레일(151) 및 하부 가이드 레일(152)을 따르는 좌우 폭방향으로 모종 적재대(29)를 가로 이송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모종 적재대(29) 상의 모종 매트는 연속적으로 왕복으로 가로 이송 반송된다. 양 모종 적재대 사이드 프레임(157, 157)의 상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모종 적재대 가로 프레임(158)의 좌우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모종 적재대 가로 프레임(158)에 단 부근 검출 센서(159)가 부착되어 있다. 단 부근 검출 센서(159)는 모종 적재대(29)가 좌우 일방의 이동단까지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단 부근 검출 수단으로서의 접촉식의 센서이다.
단 부근 검출 센서(159)는 위쪽으로 연장되는 감지체(159a)를 갖고 있다. 감지체(159a)가 상부 가이드 레일(151)에 고착된 L자 형상의 접촉 암(160)에 접촉하여 탄성에 저항해서 릴리프 회동하면 단 부근 검출 센서(159)가 온 작동하여 좌우 일방의 이동단으로의 모종 적재대(29)의 도달이 검출된다. 모종 적재대(29)의 좌우 타방으로의 가로 이송 이동에서 접촉 암(160)이 감지체(159a)로부터 떨어지면 감지체(159a)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리턴 회동하고 단 부근 검출 센서(67)가 오프 작동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단 부근 검출 센서(159)는 모종 적재대 가로 프레임(158)의 우측 부근 부위에 배치되고, 접촉 암(160)은 단 부근 검출 센서(159)보다 우측방의 위치에서 상부 가이드 레일(151)의 우측 부근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단 부근 검출 센서(159)의 감지체(159a)에 접촉 암(160)이 접촉한 상태에서는 모종 적재대(29)가 주행 기체(2) 좌외측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한편, 모종 세로 이송 기구(80)의 세로 이송 구동축(80a)에는 한 쌍의 세로 이송 구동 캠(80b)이 고착되어 있다. 모종 적재대(29)이 왕복 이동단(왕복 이동의 반환점)에 도달하면 세로 이송 구동축(80a)에 의해 각 세로 이송 구동 캠(80b)이 회전 구동된다. 이 때, 구동 캠(80b)은 종동캠(153)에 접촉되고, 이것에 의해 모종 세로 이송 벨트(155)가 구동되어 모종 적재대(29) 상의 모종 매트가 간헐적으로 세로 이송 반송된다. 연동 와이어(156)를 통해 모종 인출 조절축(136)에 고착된 모종 인출 연동캠(138)과 세로 이송 롤러 축(154)에 부착된 종동캠(153)을 연결시키고, 모종 인출량의 변화에 대응시켜서 모종 세로 이송량도 변화시켜서 모종 인출량에 따른 적정한 모종 세로 이송을 행한다.
이어서, 도 13부터 도 20을 참조하면서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갖는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군(161)은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와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와 액추에이터 기구 커버(162)를 구비하고 있다.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군(161)은 롤링 지점축(142)보다 좌측방 위치에서 식부 프레임(111)에 부착되어 있다.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군(161)에 있어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는 좌우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다.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는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보다 주행 기체(2)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다.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와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는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는 이송 나사(172, 182)와, 슬라이더(173, 183)(접동자)와, 전동 모터(174, 184)와, 이송 나사 상부 지지 부재(175, 185)와, 이송 나사 하부 지지 부재(176, 186)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모터(174, 184)에 의해 이송 나사(172, 182)가 회전됨으로써 이송 나사(172, 182) 상에서 슬라이더(173, 183)가 직선 운동된다. 이송 나사 상부 지지 부재(175, 185)는 이송 나사(172, 182)의 상단측(전동 모터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송 나사 하부 지지 부재(176, 186)는 이송 나사(172, 182)의 하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는 전동 모터(174, 184)로 바꿔 이송 나사(172, 182)를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액추에이터 기구 커버(162)는 모터 커버 부재(163)와 이송 나사 커버 부재(164)와 커버 리브 부재(165)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 나사 커버 부재(164)는 전저후고에 배치되는 상면(164a)과, 후방 하단부가 식부 프레임(111) 상면에 볼트 체결되는 좌측면(164b)과, 후방 하단부가 식부 입력 케이스(26) 좌측면에 볼트 체결되는 우측면(164c)을 구비하고 있다. 상면(164a)의 이면측에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의 이송 나사(172, 182), 슬라이더(173, 183), 이송 나사 상부 지지 부재(175, 185) 및 이송 나사 하부 지지 부재(176, 186)가 배치된다. 상면(164a) 이면의 상단부에 이송 나사 상부 지지 부재(175, 185)가 볼트 체결되고, 상면(164a) 이면의 하단부에 이송 나사 하부 지지 부재(176, 186)가 볼트 체결되어 있다. 상면(164a)에는 이송 나사(172)를 따라 개구된 슬라이더 회전 방지홈(164d)과, 이송 나사(182)를 따라 개구된 슬라이더 회전 방지홈(164e)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회전 방지홈(164d, 164e)에 슬라이더(173, 183)의 회전 방지 돌기부(173a ,183a)가 삽입되어 있다.
모터 커버 부재(163)는 전동 모터(174, 184)를 덮도록 전면 하단부가 이송 나사 커버 부재(164)의 상면(164a) 상단측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커버 리브 부재(165)는 그 전단부가 이송 나사 하부 지지 부재(176, 186) 고정 위치의 사이에서 이송 나사 커버 부재(164)의 상면(164a)의 이면 하단부에 용접 고착되어, 후단부가 식부 프레임(111) 전면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서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의 슬라이더(173)에 상술의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가 융통 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기단부가 식부 깊이 조절축(121)에 고착된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의 선단부는 식부 프레임(111)의 상방측에서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우방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의 선단부에 전측 하방으로 연신되는 봉 형상 부재(123)의 기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봉 형상 부재(123)의 선단부에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측으로 돌출 설치된 핀 부재(124)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더(173)에는 핀 부재(124)의 선단부가 맞물리는 홈을 갖는 맞물림 부재(173b)가 부착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의 슬라이더(173)와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는 연결되어 있다.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는 운전 조작부(13)에 배치된 식부 깊이 조절 다이얼(177)(도 5 참조)에 의해 조절되는 설정 식부 깊이에 따라 전동 모터(174)의 구동에 의해 이송 나사(172)를 회전시켜서 슬라이더(173)를 이동시킨다. 슬라이더(173)의 위치는 예를 들면, 이송 나사 커버 부재(164)의 좌측면(164b)에 부착된 승강 검출 센서로서의 식부 깊이 센서(178)(여기서는 포텐셔미터)에 의해 검출된다. 슬라이더(173)와 함께 맞물림 부재(173b)가 이동되면 핀 부재(124) 및 봉 형상 부재(123)를 통해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가 식부 깊이 조절축(121)을 회동 지점으로 해서 회전되어 위치 조절된다. 식부 깊이 조절축(121)의 회전에 의해 식부 깊이 조절축(121) 및 상술의 식부 깊이 조절 링크(114a, 114b)가 회전되고, 플로트(32)가 식부 깊이 조절 다이얼(177)에 의해 설정된 설정 식부 깊이에 따른 설정 식부 깊이 위치에 배치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서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의 슬라이더(183)에 상술의 모종 인출 조절 부재(137)가 융통 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모종 인출 조절 부재(137)에 전방으로 연장 설치된 연결 부재(139)의 기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연결 부재(139)의 선단부는 식부 프레임(111)보다 상방측에서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 좌방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139)의 선단부에 연결 부재(139)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슬롯(139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183)에는 슬롯(139a)에 삽입되는 맞물림 핀 부재(183b)가 핀 지지 부재(183c)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139)의 슬롯(139a)에 맞물림 핀 부재(183b)가 삽입됨으로써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의 슬라이더(183)와 모종 인출 조절 부재(137)는 연결되어 있다.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는 운전 조작부(13)에 배치된 모종 인출량 조절 다이얼(187)(도 5 참조)에 의해 조절되는 설정 모종 인출량에 따라 전동 모터(184)의 구동에 의해 이송 나사(182)를 회전시켜 슬라이더(183)를 이동시킨다. 슬라이더(183)와 함께 맞물림 핀 부재(183b)가 이동되면 연결 부재(139)를 통해 모종 인출 조절 부재(137)가 모종 인출 조절축(136)을 회동 지점으로 해서 회전되어 위치 조절된다. 모종 인출 조절 부재(137)의 회전에 의해 모종 인출 조절축(136)을 통해 모종 인출 조절 캠(135)이 회전되고, 모종 인출판(131)이 모종 인출량 조절 다이얼(187)에 의해 설정된 설정 모종 인출량에 따른 설정 모종 인출량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슬라이더(183)의 위치는 예를 들면, 기단부가 모종 인출 조절축(136)에 고착된 검출용 봉 형상 부재(188)의 선단부의 위치를 식부 프레임(111)에 센서 브래킷(189)을 통해 부착된 모종 인출판 센서(190)(여기서는 포텐셔미터)가 검출함으로써 검출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를 위치 조절 하는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와, 모종 인출 조절 부재(137)를 위치 조절하는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각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를 작동시킴으로써 피조절체로서의 플로트(32a, 32b)나 모종 인출판(131)의 위치 조절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각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를 작동시킴으로써 모종 인출 조절과 식부 깊이 조절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와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는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양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의 유지 관리를 동시에 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또한, 예를 들면 커버 등의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보호 부재를 배치하는 경우에 1개의 보호 부재로 양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를 보호할 수 있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마다 보호 부재를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비용의 저감이나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앙기(1)에 있어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는 이송 나사(172, 182)와 이송 나사(172, 182)의 회전에 의해 직선 운동되는 슬라이더(173, 18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는 슬라이더(173, 183)를 이동시킴으로써 모종 식부 장치(23)에 가로로 길게 배치된 조절축(121, 136)을 회동 지점으로 해서 조절 부재(122, 137)를 원호 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조절 부재(122, 137)를 원호 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복잡한 링크 기구가 불필요하므로 설치 스페이스나 기능 신뢰성의 관점으로부터 유리하다.
또한, 슬라이더(173, 183)와 조절 부재(122, 137)는 융통 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173, 183)의 이동에 의한 위치 변화에 대응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슬라이더(173, 183)와 조절 부재(122, 137)의 연결이 실현되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 접동자(슬라이더)와 조절 부재는 융통 기구 이외의 연결 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의 슬라이더(173)의 직선 운동 방향은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핀 부재(124))의 원호 운동 방향에 대한 접선방향, 예를 들면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의 원호 운동 궤도 상의 중앙부 위치에 있어서의 접선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를 효율이 좋은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고,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에 대한 조작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슬라이더(183)의 직선 운동 방향이 모종 인출 조절 부재(137)의 원호 운동 방향에 대한 접선방향, 예를 들면 모종 인출 조절 부재(137)의 원호 운동 궤도 상의 중앙부 위치에 있어서의 접선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슬라이더(173, 183)와 조절 부재(122, 137)를 연결하는 융통 기구는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진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173)와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는 슬라이더(183)와 모종 인출 조절 부재(137)를 연결하는 융통 기구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슬라이더(183)와 모종 인출 조절 부재(137)는 슬라이더(173)와 식부 깊이 조절 부재(122)를 연결하는 융통 기구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를 덮는 액추에이터 기구 커버(16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양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를 흙탕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는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고, 액추에이터 기구 커버(162)는 양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를 덮고 있다. 이렇게 공통의 커버(162)로 양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가 덮여 있는 구성은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가 별개의 커버 부재로 덮여 있는 구성에 비해 비용 저감이나 메인터넌스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 있어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는 도 2,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차륜(4)의 궤적 상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측방에서 볼 때 후차륜(4)과 모종 적재대(29)와 플로트(32)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흙탕물 등의 비산이나 외부로부터의 간섭이 적은 위치에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가 배치되어 있고,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에의 흙탕물 등의 부착 저감이나 외부로부터의 간섭 억제를 실현된다.
또한,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 있어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와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79)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링 제어 장치(109)의 롤링 지점축(142)에 대하여 좌우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모종 식부 장치(23)의 좌우 밸런스, 나아가서는 이앙기(1) 전체의 좌우 밸런스를 양호하게 하여 안정된 주행 및 고정밀도의 롤링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는 모종 인출량 조절 다이얼(187)에 의해 조절되는 설정 모종 인출량(모종 인출판(131)의 목표 위치)에 따라 전동 모터(184)의 구동에 의해 이송 나사(182)를 회전시켜서 슬라이더(183)를 이동시키고, 나아가서는 모종 인출판(131)을 승강시킨다. 또한,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는 식부 깊이 조절 다이얼(177)에 의해 조절되는 모종의 설정 식부 깊이(플로트(32)의 목표 위치)에 따라 전동 모터(174)의 구동에 의해 이송 나사(172)를 회전시켜서 슬라이더(173)를 이동시키고, 나아가서는 플로트(32(32a,32b))를 승강시킨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의 전동 모터(184)와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의 전동 모터(174)는 모종 인출 조절 제어부(201)와 식부 깊이 조절 제어부(207)를 구비한 제어부(200)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제어부(200)는 예를 들면, 각종 연산 처리나 제어를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 ROM(Read Only Memory),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입력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이며, 이앙기(1)의 전체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200)에는 조절 다이얼(177, 187), 식부 깊이 센서(178), 모종 인출판 센서(190), 불감대 조절기(202, 208), 단 부근 검출 센서(159),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181)의 전동 모터(174, 184) 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불감대 조절기(202, 208)는 후술하는 제어상의 불감대의 폭 등을 변경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도 21은 모종 인출 조절 제어와 식부 깊이 조절 제어에 대한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이며,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제어부(200)에는 그 외에도 각종 센서나 구동 장치 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모종 인출판이나 플로트 등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위치 조절되는 피조절체는 수동 조작에 의해 높이 위치 조절된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피조절체의 자체 중량이나 모종 매트량 등에 기인한 기계적인 덜걱거림이나 휨 등의 영향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수동 조작량과 피조절체의 실제의 승강량이 대폭 어긋나 버려 오퍼레이터의 희망대로 피조절체를 승강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어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피조절체의 위치 조절에 관해서 덜걱거림이나 휨 등에 의한 악영향을 저감한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도 22는 모종 인출 조절에 있어서의 제어상의 불감대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승강 검출 센서로서의 모종 인출판 센서(190)는 검출용 봉 형상 부재(188)의 선단부의 위치, 나아가서는 모종 인출판(131)이나 모종 인출 조절 부재(137)의 위치 등을 검출한다. 또한, 모종 인출 조절 부재(137)에는 연결 부재(139)를 통해 슬라이더(183)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슬라이더(183)의 위치를 사용해서 모종 인출 조절에 있어서의 제어상의 불감대를 설명한다. 또한, 도 22에 있어서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편의상 불감대 폭이 크게 도시되어 있다.
모종 인출판 센서(190)의 검출 범위 내에는 모종 인출판(131)의 목표 위치에 대응한 승강 목표값(203)에 대한 제어상의 불감대(204)가 설정된다. 불감대(204)의 중앙값(204c)은 승강 목표값(203)에 대하여 어긋나게 해서 설정된다. 불감대(204)의 상승측 경계값(204u) 또는 하강측 경계값(204d)이 승강 목표값(203)에 가까워(불감대(204)의 하강측 경계값(204d) 또는 상승측 경계값(204u)이 승강 목표값(203)으로부터 멀어진다)지도록 모종 인출판 센서(190)의 불감대(204)가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승강 목표값(203)을 사이에 둔 양측에 할당된 불감대(204)의 할당폭(W204a, W204b)을 각각 다른 폭으로 설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2의 실시형태에서는 상승측 경계값(204u)이 승강 목표값(203)에 가깝고 하강측 경계값(204d)이 승강 목표값(20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불감대(204)를 설정하고 있다. 불감대(204)의 제 1 할당폭(W204a)은 제 2 할당폭(204b)보다 좁게 되어 있다. 불감대(204)의 중앙값(204c)은 제 2 할당폭(W204b)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설정에서는 모종 인출량을 감소시키기(1주분의 모종량을 적게 하기) 때문에 모종 인출판(131)을 상승시키는 경우, 상승측 경계값(204u)이 승강 목표값(203)에 가깝기 때문에 모종 인출판 센서(190)가 될 수 있는 한 승강 목표값(203)에 가까운 곳까지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모종 매트를 얹은 상태의 모종 인출판(131)을 상승시키는 상태에서는 하중의 영향으로 모종 인출판(131)이 상승 이동하기 어려운 것을 예측한 뒤에 모종 인출판(131)이 목표 위치에 극력 가까워질 때까지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의 전동 모터(184)를 구동시켜 목표 위치까지 모종 인출판(131)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반대로 모종 인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종 인출판(131)을 하강시키는 경우, 하강측 경계값(204d)이 승강 목표값(203)으로부터 멀기 때문에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81)의 전동 모터(184)가 목표 위치에 대하여 일찍 구동 정지하지만 예를 들면, 모종 매트를 얹은 상태의 모종 인출판(131)을 하강시키는 상태에서는 하중의 영향으로 모종 인출판(131)이 스무스하게 하강하기 때문에 하강측 경계값(204d)이 승강 목표값(203)까지 멀어도 목표 위치까지 모종 인출판(131)을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종 인출판(131)의 상승 시(1주분의 모종량을 적게 한다) 및 하강 시(1주분의 모종량을 많게 한다)의 양쪽에 있어서 불감대(204)의 할당폭이 상승측과 하강측에서 균등한 경우에 비해 기계적인 덜걱거림이나 휨, 제어상의 히스테리시스 등에 의한 악영향을 저감할 수 있고, 종래 수동 조작 시와 같은 오버슈트 조작을 하지 않아도 모종 인출판(131)의 적절하고 또한 고정밀도의 위치 조절, 나아가서는 적절한 모종 인출량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도 23은 제어상의 불감대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상승측 경계값(204u)이 승강 목표값(203)으로부터 멀고 하강측 경계값(204d)이 승강 목표값(203)에 가까워지도록 불감대(204)를 설정하고 있다. 불감대(204)의 제 1 할당폭(W204a)은 제 2 할당폭(204b)보다 넓게 되어 있다. 불감대(204)의 중앙값(204c)은 제 1 할당폭(W204a)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도 22의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승강 목표값(203)에 대하여 불감대(204)를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불감대(204)의 폭(상승측 경계값(204u)으로부터 하강측 경계값(204d)까지의 폭) 자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하거나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종 인출 불감대 조절기(202)(도 21 참조)를 사용하여 불감대(204)의 폭이나 제 1 및 제 2 할당폭(W204a, W204b)을 변경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모종 인출 불감대 조절기(202)(도 21 참조)를 사용하여 불감대(204)(도 22 참조)나 불감대(205, 206)의 폭이나 승강 목표값(203)에 대한 중앙값의 위치(할당폭)를 변경가능하게 해도 좋다. 모종 인출 불감대 조절기(202)는 예를 들면, 모종 인출량 조절 다이얼(187)과 마찬가지의 구조의 것이어도 좋고, 모종 인출 조절 제어부(201)(제어부(200))에 미리 기억된 복수의 불감대 정보를 선택가능한 것이어도 좋다. 오퍼레이터는 모종 인출 불감대 조절기(202)를 조작함으로써 모종 인출 조절 제어의 불감대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소망의 모종 인출량(1주분의 모종량)을 설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22, 도 23에 나타내어진 불감대(204)는 일례이며 할당폭(W204a와 204b)의 대소관계는 도 22, 도 23에 나타내어진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식부 깊이 조절에 대하여 모종 인출 조절과 마찬가지로 모종의 식부 깊이를 조절하는 플로트(32)의 승강 목표값에 대하여 제어상의 불감대를 설정하고, 상기 불감대의 중앙값이 승강 목표값(플로트(32)의 목표 위치)에 대하여 어긋나게 설정된다. 이 경우,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171), 식부 깊이 조절 다이얼(177), 식부 깊이 센서(178), 식부 깊이 조절 제어부(207), 식부 깊이 불감대 조절기(208) 등을 사용하여 플로트(32)의 목표 위치에 대하여 제어상의 불감대가 설정된다. 또한, 이들의 불감대의 변경은 식부 깊이 불감대 조절기(208)를 사용해서 임의로 행해져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피조절체로서의 플로트(32)나 모종 인출판(131)의 목표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기로서 볼륨식의 조절 다이얼(177, 187)이 사용되고 있지만 본원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 위치 설정기는 볼륨식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위치 설정기는 피조절체의 목표 위치를 설정가능한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수치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 등 어떤 구성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식부 깊이 센서(178), 모종 인출판 센서(190)는 포텐셔미터에 한정되지 않고 피조절체의 위치를 검출가능한 것이면 어떤 승강 검출 센서이어도 좋다.
본원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형태로 구체화할 수 있다. 각 부의 구성은 도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이앙기 2 주행 기체
4 후차륜 23 모종 식부 장치
29 모종 적재대 32, 32a, 32b 플로트(피조절체)
79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 109 롤링 제어 장치
121 식부 깊이 조절축 122 식부 깊이 조절 부재
131 모종 인출판(피조절체) 136 모종 인출 조절축
137 모종 인출 조절 부재 142 롤링 지점축
162 액추에이터 기구 커버
171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2, 182 이송 나사
173, 183 슬라이더(접동자)
178 식부 깊이 센서(승강 검출 센서)
181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90 모종 인출판 센서(승강 검출 센서)
203 승강 목표값
204 불감대
4 후차륜 23 모종 식부 장치
29 모종 적재대 32, 32a, 32b 플로트(피조절체)
79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 109 롤링 제어 장치
121 식부 깊이 조절축 122 식부 깊이 조절 부재
131 모종 인출판(피조절체) 136 모종 인출 조절축
137 모종 인출 조절 부재 142 롤링 지점축
162 액추에이터 기구 커버
171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2, 182 이송 나사
173, 183 슬라이더(접동자)
178 식부 깊이 센서(승강 검출 센서)
181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90 모종 인출판 센서(승강 검출 센서)
203 승강 목표값
204 불감대
Claims (12)
- 조절 부재의 변위에 따라 위치 조절되는 피조절체를 구비한 모종 식부 장치가 주행 기체에 연결되어 있는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를 위치 조절하는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피조절체로서 모종의 식부 깊이를 조절하는 플로트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에 설치된 모종 적재대로부터 인출하는 1주분의 모종 인출량을 조절하는 모종 인출판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 부재로서 상기 플로트를 위치 조절하는 식부 깊이 조절 부재와, 상기 모종 인출판을 위치 조절하는 모종 인출 조절 부재를 구비한 구성이며,
상기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로서 상기 식부 깊이 조절 부재를 위치 조절하는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상기 모종 인출 조절 부재를 위치 조절하는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상기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는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는 이앙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는 이송 나사와 상기 이송 나사의 회전에 의해 직선 운동되는 접동자를 구비하고, 상기 접동자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모종 식부 장치에 가로로 길게 배치된 조절축을 회동 지점으로 해서 상기 조절 부재를 원호 운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접동자와 상기 조절 부재는 융통 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이앙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상기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이앙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진행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해서 상기 주행 기체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후차륜을 구비한 구성이며,
상기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상기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는 상기 후차륜의 궤적 상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이앙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식부 장치는 상기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종 적재대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플로트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며,
상기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및 상기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는 측방에서 볼 때 상기 후차륜과 상기 모종 적재대와 상기 플로트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이앙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적재대의 좌우방향의 가로 이송을 행하는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의 좌우 경사를 조절하는 롤링 제어 장치를 구비한 구성이며,
상기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및 상기 모종 인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와 상기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는 상기 롤링 제어 장치의 롤링 지점축에 대하여 좌우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는 이앙기. -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피조절체의 승강 상태를 검출하는 승강 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는 상기 조절 부재를 변위시켜서 상기 피조절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승강 검출 센서의 검출 범위 내에 승강 목표값에 대한 제어상의 불감대를 설정함에 있어서 상기 불감대의 중앙값을 상기 승강 목표값으로부터 어긋나게 하고 있는 이앙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조절체는 상기 모종 식부 장치에 설치된 모종 적재대로부터 인출하는 1주분의 모종 인출량을 조절하는 모종 인출판인 이앙기. - 제 9 항에 있어서,
모종 인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모종 인출판을 상승시키는 경우는 상기 불감대의 상승측 경계값이 상기 승강 목표값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승강 검출 센서의 상기 불감대를 설정하는 이앙기. - 제 9 항에 있어서,
모종 인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모종 인출판을 하강시키는 경우는 상기 불감대의 하강측 경계값이 상기 승강 목표값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승강 검출 센서의 상기 불감대를 설정하는 이앙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검출 센서의 상기 불감대의 폭이 변경가능하게 되어 있는 이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018774A JP6579971B2 (ja) | 2016-02-03 | 2016-02-03 | 田植機 |
JPJP-P-2016-018775 | 2016-02-03 | ||
JPJP-P-2016-018774 | 2016-02-03 | ||
JP2016018775A JP6579972B2 (ja) | 2016-02-03 | 2016-02-03 | 田植機 |
PCT/JP2017/003619 WO2017135308A1 (ja) | 2016-02-03 | 2017-02-01 | 田植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9849A KR20180059849A (ko) | 2018-06-05 |
KR102077951B1 true KR102077951B1 (ko) | 2020-02-14 |
Family
ID=5949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11587A KR102077951B1 (ko) | 2016-02-03 | 2017-02-01 | 이앙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7951B1 (ko) |
CN (1) | CN109068582B (ko) |
WO (1) | WO201713530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3517A (ko) * | 2018-03-27 | 2019-10-08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승용형 이앙기 및 모종 식부 장치 |
CN108834504A (zh) * | 2018-07-12 | 2018-11-20 | 张长清 | 水稻插秧机与动力船板组合防陷防淤机构 |
CN112997647A (zh) * | 2021-04-30 | 2021-06-22 | 石河子大学 | 一种直插式取苗机构 |
CN114097373A (zh) * | 2021-11-26 | 2022-03-01 | 江苏玖顺农业机械有限公司 | 一种乘坐式插秧机用便于调节的秧苗盛放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11028A (ja) | 2011-11-29 | 2013-06-10 | Yanmar Co Ltd | 田植機 |
JP2014187888A (ja) | 2013-03-26 | 2014-10-06 | Yanmar Co Ltd | 田植機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80516A (ja) * | 1975-01-09 | 1976-07-14 | Iseki Agricult Mach | Naeueki |
JPH07236314A (ja) * | 1994-02-28 | 1995-09-12 | Kubota Corp | 田植機 |
JP3378351B2 (ja) | 1994-04-13 | 2003-02-17 | 株式会社クボタ | 田植機 |
JP3274352B2 (ja) * | 1996-04-30 | 2002-04-15 | 株式会社クボタ | 水田作業機 |
JP6060519B2 (ja) * | 2012-04-27 | 2017-01-18 | 井関農機株式会社 | 歩行型田植機 |
-
2017
- 2017-02-01 WO PCT/JP2017/003619 patent/WO201713530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2-01 KR KR1020187011587A patent/KR10207795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2-01 CN CN201780004120.0A patent/CN109068582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11028A (ja) | 2011-11-29 | 2013-06-10 | Yanmar Co Ltd | 田植機 |
JP2014187888A (ja) | 2013-03-26 | 2014-10-06 | Yanmar Co Ltd | 田植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9849A (ko) | 2018-06-05 |
WO2017135308A1 (ja) | 2017-08-10 |
CN109068582A (zh) | 2018-12-21 |
CN109068582B (zh) | 2021-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7951B1 (ko) | 이앙기 | |
JP6579971B2 (ja) | 田植機 | |
KR101196463B1 (ko) | 작업기 | |
JP4998324B2 (ja) | 走行車両 | |
JP6579972B2 (ja) | 田植機 | |
JP2011130736A (ja) | 乗用田植機 | |
JP5332591B2 (ja) | 苗移植機 | |
KR100375582B1 (ko) | 수전작업기 | |
JP2008253231A (ja) | 走行車体 | |
JP4646798B2 (ja) | 移植機 | |
JP2010148377A5 (ko) | ||
JP6142749B2 (ja) | 苗移植機 | |
JP2017140047A (ja) | 苗移植機 | |
KR102217417B1 (ko) | 이앙기 | |
JP6424785B2 (ja) | 苗移植機 | |
JP2013198463A (ja) | 苗移植機 | |
KR102719898B1 (ko) | 전식기 | |
JP2019176745A (ja) | 水田作業機 | |
CN110313282B (zh) | 秧苗移植机 | |
JP6171845B2 (ja) | 苗移植機 | |
JP4635547B2 (ja) | 乗用田植機 | |
JP5779995B2 (ja) | 苗移植機 | |
JP2017029027A (ja) | 苗移植機 | |
JP2007282583A (ja) | 水田作業機 | |
JP2007259782A (ja) | 植え付け作業機の昇降制御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