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517A - 승용형 이앙기 및 모종 식부 장치 - Google Patents

승용형 이앙기 및 모종 식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517A
KR20190113517A KR1020180164239A KR20180164239A KR20190113517A KR 20190113517 A KR20190113517 A KR 20190113517A KR 1020180164239 A KR1020180164239 A KR 1020180164239A KR 20180164239 A KR20180164239 A KR 20180164239A KR 20190113517 A KR20190113517 A KR 20190113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planting
actuator
rice transplant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야 다나베
마사카즈 후루이치
즈네히사 구니야스
데츠야 다오
도루 즈카모토
겐고 요시미즈
줌페이 미야모토
?야 다카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608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1702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69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701880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11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내기양 액추에이터 및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를, 콤팩트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승용형 이앙기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의도한 양의 모종을 식부할 수 있는 모종 식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승용형 이앙기에, 식부 암이 모종 적재대로부터 취출하는 모종의 양을 변경하는 모내기양 변경 기구(20)와, 식부 암에 의한 모종의 식부 깊이를 변경하는 식부 깊이 변경 기구(29)와, 모내기양 변경 기구(20)를 구동하는 모내기양 모터(M1)와, 식부 깊이 변경 기구(29)를 구동하는 식부 깊이 모터(M2)가 구비되어 있다. 모내기양 모터(M1)와 식부 깊이 모터(M2)는 인접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앙기에 구비되는 모종 식부 장치이며, 매트형 모종을 적재 가능한 모종 적재대(1010)와, 모종 적재대(1010)의 하부를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 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과,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에 지지된 모종 적재대(101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횡이송 기구와,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에 마련된 모종 취출구(1018a)와, 매트형 모종을 모종 취출구(1018a)의 높이까지 종이송하는 종이송 기구(1010a)와, 소정의 궤적을 이동하면서, 모종 취출구(1018a)로부터 모종을 취출하여 논면에 식부하도록 구성된 식부 암(1011)과, 제어 기구에 의해 제어되고, 적어도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종 취출구(1018a)의 높이를 변경 가능한 모내기양 모터(M1001)를 갖는다.

Description

승용형 이앙기 및 모종 식부 장치{RIDING TYPE RICE TRANSPLANTER AND SEEDLING PLA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모종이 적재되는 모종 적재대와, 모종 적재대에 적재된 모종을 취출하여 논면에 식부하는 식부 암을 갖는 모종 식부 장치가 구비된 승용형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앙기에 구비되는 모종 식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승용형 이앙기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승용형 이앙기가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모종이 적재되는 모종 적재대(문헌에서는 「모종 적재대〔10〕」)와, 모종 적재대에 적재된 모종을 취출하여 논면에 식부하는 식부 암(문헌에서는 「식부 암〔8〕」)을 갖는 모종 식부 장치(문헌에서는 「모종 식부 장치〔5〕」)가 구비된 승용형 이앙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승용형 이앙기에는 식부 암이 모종 적재대로부터 취출하는 모종의 양(모내기양)을 변경하는 모내기양 변경 기구(문헌에서는 「종동 기어〔16〕, 조작 암〔43〕」 등)와, 식부 암에 의한 모종의 식부 깊이를 변경하는 식부 깊이 변경 기구(문헌에서는 「종동 기어〔86〕, 조작 암〔90〕」 등)와, 모내기양 변경 기구를 구동하는 모내기양 액추에이터(문헌에서는 「전동 모터〔14〕」)와, 식부 깊이 변경 기구를 구동하는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문헌에서는 「전동 모터〔70〕」)와, 모내기양 변경 기구를 구동하는 모내기양 액추에이터(문헌에서는 「전동 모터〔14〕」)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5570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승용형 이앙기에서는, 모내기양 액추에이터와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모내기양 액추에이터 및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를, 콤팩트하게 배치하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모내기양 액추에이터 및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를, 콤팩트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승용형 이앙기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는, 모내기양을 변경하는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모종의 모내기양을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모종 식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모종이 적재되는 모종 적재대와, 상기 모종 적재대로부터 모종을 취출하여 논면에 식부하는 식부 암을 갖는 모종 식부 장치가 구비된 승용형 이앙기이며, 상기 식부 암이 상기 모종 적재대로부터 취출하는 모종의 양을 변경하는 모내기양 변경 기구와, 상기 식부 암에 의한 모종의 식부 깊이를 변경하는 식부 깊이 변경 기구와, 상기 모내기양 변경 기구를 구동하는 모내기양 액추에이터와, 상기 식부 깊이 변경 기구를 구동하는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모내기양 액추에이터와 상기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는 인접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데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모내기양 액추에이터와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가 인접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모내기양 액추에이터 및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내기양 액추에이터와 상기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는 기체 좌우 방향에 인접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모내기양 액추에이터 및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가 기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보다도, 모내기양 액추에이터 및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를, 기체 좌우 방향으로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내기양 액추에이터 및 상기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모내기양 액추에이터와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에서 지지 부재를 공통화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종 식부 장치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프레임을 갖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횡프레임에 세워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모내기양 액추에이터 및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가 지지 부재를 통해 횡프레임에 지지되게 되어, 모내기양 액추에이터 및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를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내기양 액추에이터 및 상기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를 덮는 커버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흙탕물 등이 모내기양 액추에이터 및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에 끼얹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내기양 액추에이터와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에서 커버를 공통화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종 식부 장치의 특징 구성은, 이앙기에 구비되는 모종 식부 장치이며, 매트형 모종을 적재 가능한 모종 적재대와, 상기 모종 적재대의 하부를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 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과, 상기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에 지지된 상기 모종 적재대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횡이송 기구와, 상기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에 마련된 모종 취출구와, 상기 매트형 모종을 상기 모종 취출구의 높이까지 종이송하는 종이송 기구와, 소정의 궤적을 이동하면서, 상기 모종 취출구로부터 모종을 취출하여 논면에 식부하게 구성된 식부 암과, 제어 기구에 의해 제어되고, 적어도 상기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모종 취출구의 높이를 변경 가능한 구동 기구를 갖는 점에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식부 암이 소정의 궤적을 이동하면서 모종 취출구를 통과할 때에 매트형 모종으로부터 모종이 취출되는 것이지만, 그때, 제어 기구가 구동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모종 취출구의 높이가 변경되기 때문에, 식부 암이 모종 취출구를 통과하는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경되고, 이에 의해 식부 암이 모종 적재대로부터 취출하는 모종의 양, 즉 모내기양이 적절하게 변경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모종 취출구를 기계적인 가동 영역의 상한 높이와 하한 높이 사이에 존재하는 목표 높이까지 이동시킬 때에, 해당 모종 취출구의 현재 높이가 상기 목표 높이보다 높은 경우는, 상기 모종 취출구를 상기 목표 높이보다 낮은 높이까지 이동시킨 후에 상기 목표 높이까지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모종 취출구를 목표 높이까지 이동시킬 때에, 모종 취출구의 현재 높이가 목표 높이보다 높은 경우는, 목표 높이보다 낮은 높이까지 일단 이동시킨 후에, 목표 높이까지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 기구가 갖는, 예를 들어 기어의 백래시 등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고, 모종 취출구를 목표 높이로 고정밀도로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내기양을 고정밀도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횡이송 기구는, 상기 모종 적재대의 횡이송량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모종 적재대의 횡이송량, 즉 모종 적재대의 좌우 방향의 왕복 이동량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모종 취출구의 높이와 더불어, 식부 암이 모종 적재대로부터 취출하는 모종의 양을 미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횡이송량은 제어 기구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변경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횡이송 기구에 의한 상기 모종 적재대의 횡이송량과, 적어도 상기 모종 취출구의 현재 높이 또는 상기 종이송 기구에 의한 상기 매트형 모종의 종이송량의 어느 것으로부터, 모종의 실소비량을 산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횡이송량과 모종 취출구의 현재 높이(내지 종이송량)로부터, 모종의 실소비량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모종의 실소비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모종의 소비량이란, 단위 시간당의 모내기양이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횡이송량을 검지하는 검지 기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제어 기구는 검지 기구가 검지한 횡이송량을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횡이송량은 변경 가능해도 되고, 변경 불가능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실소비량과 목표 소비량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실소비량과 목표 사용량을 비교하여, 그 차에 따라 모종의 소비량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모종의 소비량을 적정하게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포장당의 매트형 모종의 사용량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모종의 소비 페이스가 빠르면 모종의 소비량을 저감시키고, 모종의 소비 페이스가 느리면 모종의 소비량을 증가시키는 제어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실소비량을 작업자에게 통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모종의 소비 페이스에 따른 모종의 소비량의 증감을, 작업원에게 판단시킬 수 있다. 또한, 통지는, 예를 들어 이앙기에 구비된 액정 화면에 의한 화상 표시, LED 등에 의한 인디케이터의 점등이나 점멸 등, 스피커나 버저에 의한 명동 등에 의해 행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작업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작업원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제어 기구는 구동 기구를 제어하여 모종의 소비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실소비량을 해당 모종 식부 장치의 외부에 있는 제어부에 대하여 송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이앙기가, 작업원이 탑승하지 않고 자동 제어되는 경우나, 포장·작물·작업 정보 등을 일원 관리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 기구의 외부에 있는 제어부와 통신을 행함으로써, 해당 제어부가 갖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판단시키거나, 이앙기의 외부에 있어서의 작업원에게 모종의 소비 페이스에 따른 모종의 소비량의 증감을 판단시키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신된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이앙기가, 작업원이 탑승하지 않고 자동 제어되는 경우나, 포장·작물·작업 정보 등을 일원 관리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 기구의 외부에 있는 제어부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제어 기구는 구동 기구를 제어하여 모종의 소비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승용형 이앙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승용형 이앙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모종 식부 장치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모종 식부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모내기양 변경 기구 및 모내기양 모터를 도시하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식부 깊이 변경 기구 및 식부 깊이 모터를 도시하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모내기양 모터, 식부 깊이 모터 및 이들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모내기양 모터, 식부 깊이 모터 및 이들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수납 상태의 마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수납 상태의 마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승용형 이앙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승용형 이앙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모종 식부 장치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모종 식부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모내기양 변경 기구 및 모내기양 모터를 도시하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모종의 소비량을 많은 측으로 변경할 때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모종의 소비량을 적은 측으로 변경할 때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제어 장치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살표 F의 방향을 「기체 전방측」(도 1 및 도 2 참조), 화살표 B의 방향을 「기체 후방측」(도 1 및 도 2 참조), 화살표 L의 방향을 「기체 좌측」(도 2 참조), 화살표 R의 방향을 「기체 우측」(도 2 참조)이라고 한다.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는 승용형 이앙기를 도시하고 있다. 본 승용형 이앙기에는 좌우 한 쌍의 전륜(1)과, 좌우 한 쌍의 후륜(2)과, 기체 프레임(3)과, 운전부(4)와, 비료를 논면에 공급하는 시비 장치(5)와, 모종을 논면에 식부하는 모종 식부 장치(6)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4)에는 운전자가 착좌하는 운전 좌석(7)이나 조향 조작용 조향 핸들(8)이 구비되어 있다.
〔모종 식부 장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식부 장치(6)는 기체 프레임(3)의 후방부에 링크 기구(9)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종 식부 장치(6)는 8줄 심기 형식의 모종 식부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 모종 식부 장치(6)의 식부 줄수는 8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종 식부 장치(6)에는 8줄분의 매트형 모종이 적재되는 모종 적재대(10)와, 식부 암(11)과, 피드 케이스(12)와, 식부 전동 케이스(13)와, 회전 케이스(14)와, 플로트(15)와, 좌우 한 쌍의 마커(16)(도 1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마커(16)는 주행 지표를 논면에 형성하는 것이고, 기복 요동 가능하도록, 그 하단부가 축심 Y1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모종 식부 장치(6)의 하부에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프레임(17)이 설치되어 있다. 횡프레임(17)에는 피드 케이스(12)나 식부 전동 케이스(13)가 지지되어 있다.
모종 적재대(10)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왕복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모종 적재대(10)의 하부를 기체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 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8)이 마련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8)에는 모종 적재대(10) 상의 모종이 취출되는 모종 취출구(18a)가 형성되어 있다. 모종 취출구(18a)의 상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모종 적재대(10) 및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8)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9)가 기체 좌우 방향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다.
회전 케이스(14)는 식부 전동 케이스(13)의 후방부의 좌우 양측부의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식부 암(11)은 모종 취출구(18a)를 통과하여 모종 적재대(10)로부터 모종을 취출하여 논면에 식부한다. 식부 암(11)은 회전 케이스(14)의 양 자유 단부의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드 케이스(12)로부터의 엔진 구동력이 식부 전동 케이스(13)를 거쳐 회전 케이스(14)로 전달됨으로써, 회전 케이스(14)가 회전 구동되어, 식부 암(11)에 의한 모종의 식부가 행해진다.
〔모내기양 변경 기구, 모내기양 모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부 암(11)이 모종 적재대(10)로부터 취출하는 모종의 양을 변경하는 모내기양 변경 기구(20)가 마련되어 있다. 모내기양 변경 기구(20)를 구동하는 모내기양 모터(M1)(본 발명에 관한 「모내기양 액추에이터」에 상당)가 마련되어 있다. 모내기양 모터(M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전동 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에 관한 「모내기양 액추에이터」는 전동 모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내기양 모터(M1)에는 구동력을 출력하는 피니언 기어(21)나 감속 기구(도시 생략)가 구비되어 있다.
모내기양 변경 기구(20)에는 섹터 기어(22)와, 모내기양 레버(23)와, 모내기양 조절 로드(24)와, 연결 스테이(25)와, 복수의 연계편(26)이 구비되어 있다. 섹터 기어(22)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 X1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다. 섹터 기어(22)의 요동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27)(모내기양 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위치 센서(27)에는 검출용의 센서 암(27a)이 구비되어 있다. 센서 암(27a)과 섹터 기어(22)에 걸쳐서, 섹터 기어(22)의 요동을 센서 암(27a)으로 전달하는 링크(28)가 마련되어 있다. 섹터 기어(22)에는 모내기양 모터(M1)의 피니언 기어(21)가 맞물려 있다. 모내기양 레버(23)의 전단부에는 긴 구멍(23a)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23a)에는 섹터 기어(22)로부터 돌출되는 핀(22a)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모내기양 조절 로드(24)는 식부 전동 케이스(13)의 상부에,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 X2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모내기양 조절 로드(24)는 연결 스테이(25)를 통해 모내기양 레버(23)의 후방부와 연결되어 있다. 연계편(26)은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8)과 연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 스테이(25) 및 연계편(26)은 모내기양 조절 로드(24)에 모내기양 조절 로드(24)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내기양 모터(M1)의 구동력이 피니언 기어(21)로부터 출력됨으로써, 섹터 기어(22)가 축심 X1 주위에서 요동한다. 그리고, 섹터 기어(22)의 요동력이 핀(22a) 및 긴 구멍(23a)을 통해 모내기양 레버(23)로 전달되어, 모내기양 레버(23), 연결 스테이(25), 모내기양 조절 로드(24) 및 연계편(26)이 축심 X2 주위에서 일체적으로 요동하고, 이에 의해,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8) 및 모종 적재대(10)가 지지부(19)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여기서,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8) 및 모종 적재대(10)가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경우는, 모종 취출구(18a)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렇게 하면, 식부 암(11)이 모종 취출구(18a)에 깊게 들어간 상태로 모종 취출구(18a)를 통과하여 모종 적재대(10)로부터 모종을 취출하게 되고, 이 결과, 모내기양이 많아진다.
한편,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8) 및 모종 적재대(10)가 상방으로 이동한 경우는, 모종 취출구(18a)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렇게 하면, 식부 암(11)이 모종 취출구(18a)에 얕게 들어간 상태로 모종 취출구(18a)를 통과하여 모종 적재대(10)로부터 모종을 취출하게 되고, 이 결과, 모내기양이 적어진다.
〔식부 깊이 변경 기구, 식부 깊이 모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부 암(11)에 의한 모종의 식부 깊이를 변경하는 식부 깊이 변경 기구(29)가 마련되어 있다. 식부 깊이 변경 기구(29)를 구동하는 식부 깊이 모터(M2)(본 발명에 관한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에 상당)가 마련되어 있다. 식부 깊이 모터(M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전동 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에 관한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는 전동 모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부 깊이 모터(M2)에는 구동력을 출력하는 피니언 기어(30)나 감속 기구(도시 생략)가 구비되어 있다.
식부 깊이 변경 기구(29)에는 섹터 기어(31)와, 식부 레버(32)와, 지지축(33)과, 복수의 지지 암(34)이 구비되어 있다. 섹터 기어(31)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 X3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다. 섹터 기어(31)의 요동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35)(식부 깊이 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위치 센서(35)에는 검출용의 센서 암(35a)이 구비되어 있다. 센서 암(35a)과 섹터 기어(31)에 걸쳐서, 섹터 기어(31)의 요동을 센서 암(35a)으로 전달하는 링크(36)가 마련되어 있다. 섹터 기어(31)에는 식부 깊이 모터(M2)의 피니언 기어(30)가 맞물려 있다. 식부 레버(32)의 전단부에는 긴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32a)에는 섹터 기어(31)로부터 돌출되는 핀(31a)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지지축(33)은 식부 전동 케이스(13)의 하부에,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 X4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식부 레버(32) 및 지지 암(34)은 지지축(33)에 지지축(33)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지 암(34)의 후단부에는 플로트(15)가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 X5(도 3 참조) 둘레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부 깊이 모터(M2)의 구동력이 피니언 기어(30)로부터 출력됨으로써, 섹터 기어(31)가 축심 X3 주위에서 요동한다. 그리고, 섹터 기어(31)의 요동력이 핀(31a) 및 긴 구멍(32a)을 통해 식부 레버(32)로 전달되고, 식부 레버(32), 지지축(33) 및 지지 암(34)이 축심 X4 주위에서 일체적으로 요동하고, 이에 의해, 논면 G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6)(축심 X4)까지의 높이(설정 높이) H가 변경된다.
여기서, 지지 암(34)이 축심 X4 주위에서 상측으로 요동한 경우는, 설정 높이 H가 낮아지고, 이 결과, 식부 깊이가 깊어진다. 한편, 지지 암(34)이 축심 X4 주위에서 하측으로 요동한 경우는, 설정 높이 H가 높아지고, 이 결과, 식부 깊이가 얕아진다.
〔모내기양 모터 및 식부 깊이 모터의 지지 구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내기양 모터(M1)와 식부 깊이 모터(M2)는 기체 좌우 방향에 인접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모내기양 모터(M1) 및 식부 깊이 모터(M2)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37)(본 발명에 관한 「지지 부재」에 상당)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37)은 횡프레임(17)에 약간 전방으로 쓰러지는 자세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37)의 상부로부터는, 모내기양 모터(M1) 및 식부 깊이 모터(M2)가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37)에는 좌측판(38)과, 우측판(39)과, 저판(40)과, 상판(41)이 구비되어 있다.
저판(40)은 횡프레임(17)에 볼트(42)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판(41)은 좌측판(38)의 상부의 후방측 부분과 우측판(39)의 상부의 후방측 부분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좌측판(38)의 상부의 전방측 부분과 우측판(39)의 상부의 전방측 부분에 걸쳐서,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43)가 마련되어 있다. 좌측판(38)과 우측판(39) 사이에는 모내기양 모터(M1)나 식부 깊이 모터(M2), 섹터 기어(22), 섹터 기어(31)가 배치되어 있다.
모내기양 모터(M1), 섹터 기어(22) 및 위치 센서(27)는 우측판(39)에 지지되어 있다. 모내기양 모터(M1)는 우측판(39)의 상부에 볼트(44)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내기양 모터(M1)는 우측판(39)의 횡내면(좌측면)에 맞닿게 된 상태로, 우측판(39)에 대하여 횡외측(우측)으로부터 볼트(44)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섹터 기어(22)는 지지축(22b)을 통해 우측판(39)에 지지되어 있다. 우측판(39)에는 지지축(22b)을 지지하는 보스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판(39)의 상부에는 대략 원형의 개구(39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9a)를 통해, 피니언 기어(21)와 섹터 기어(22)의 맞물림부를, 지지 브래킷(37)의 횡외측(우측)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피니언 기어(21)와 섹터 기어(22)의 맞물림부가 개구(39a)로부터 횡외측(우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식부 깊이 모터(M2), 섹터 기어(31) 및 위치 센서(35)는 좌측판(38)에 지지되어 있다. 식부 깊이 모터(M2)는 좌측판(38)의 상부에 볼트(46)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부 깊이 모터(M2)는 좌측판(38)의 횡내면(우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좌측판(38)에 대하여 횡외측(좌측)으로부터 볼트(46)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섹터 기어(31)는 지지축(31b)을 통해 좌측판(38)에 지지되어 있다. 좌측판(38)에는 지지축(31b)을 지지하는 보스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판(38)의 상부에는 대략 원형의 개구(38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8a)를 통해, 피니언 기어(30)와 섹터 기어(31)의 맞물림부를, 지지 브래킷(37)의 횡외측(좌측)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피니언 기어(30)와 섹터 기어(31)의 맞물림부가 개구(38a)로부터 횡외측(좌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커버〕
모내기양 모터(M1) 및 식부 깊이 모터(M2)를 덮는 커버(48)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48)는 지지 브래킷(37)의 상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커버(48)에는 좌측면부(48a)와, 우측면부(48b)와, 전방면부(48c)와, 상면부(48d)가 구비되어 있다. 좌측면부(48a)는 식부 깊이 모터(M2) 및 좌측판(38)의 상부를 좌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우측면부(48b)는 모내기양 모터(M1) 및 우측판(39)의 상부를 우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전방면부(48c)는 모내기양 모터(M1) 및 식부 깊이 모터(M2)를 전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상면부(48d)는 모내기양 모터(M1) 및 식부 깊이 모터(M2)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상면부(48d)의 후방부는 상판(41)의 상부에 돌기 및 볼트(49)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커(16)의 수납 상태로서, 제1 수납 상태(도 9 참조)와 제2 수납 상태(도 10 참조)가 선택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제1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좌측의 마커(16)와 우측의 마커(16)의 간격을 D1이라고 하고, 도 10에 도시하는 제2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좌측의 마커(16)와 우측의 마커(16)의 간격을 D2라고 하면, 간격 D2의 쪽이 간격 D1보다도 좁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모종 식부 장치(6)의 기체와의 연결 시(통상의 식부 작업 시)에는 제1 수납 상태를 선택하고, 본 기기의 헛간 등으로의 수납 시에는 제2 수납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마커(16)를 적절하게 수납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모내기양 모터(M1)와 식부 깊이 모터(M2)가 기체 좌우 방향에 인접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 대신에, 모내기양 모터(M1)와 식부 깊이 모터(M2)가 기체 전후 방향에 인접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모내기양 모터(M1)와 식부 깊이 모터(M2)가 상하 방향에 인접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브래킷(37)이 횡프레임(17)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대신에, 지지 브래킷(37)이 횡프레임(17)과는 별도의 부재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모내기양 모터(M1) 및 식부 깊이 모터(M2)가 동일한 지지 브래킷(37)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대신에, 모내기양 모터(M1) 및 식부 깊이 모터(M2)가 별도의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모내기양 모터(M1) 및 식부 깊이 모터(M2)가 동일한 커버(48)에 덮여 있다. 그러나, 이 대신에, 모내기양 모터(M1) 및 식부 깊이 모터(M2)가 별도의 커버에 덮여 있어도 된다.
(6)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앙기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 화살표 F의 방향을 「전」(도 11 및 도 12 참조), 화살표 B의 방향을 「후」(도 11 및 도 12 참조), 화살표 L의 방향을 「좌」(도 12 참조), 화살표 R의 방향을 「우」(도 12 참조)라고 한다.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구성〕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용형 이앙기에는 좌우 한 쌍의 전륜(1001)과, 좌우 한 쌍의 후륜(1002)과, 기체 프레임(1003)과, 운전부(1004)와, 비료를 논면에 공급하는 시비 장치(1005)와, 모종을 논면에 식부하는 모종 식부 장치(1006)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1004)에는 운전자가 착좌하는 운전 좌석(1007)이나 조향 조작용의 조향 핸들(1008)이 구비되어 있다.
〔모종 식부 장치〕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식부 장치(1006)는 기체 프레임(1003)의 후방부에 링크 기구(1009)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종 식부 장치(1006)는 8줄 심기 형식의 모종 식부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 모종 식부 장치(1006)의 식부 줄수는 8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종 식부 장치(1006)에는, 8줄분의 매트형 모종이 적재되는 모종 적재대(1010)와, 모종 적재대(1010)의 모종 적재면의 각각에 구비된 종이송 기구(1010a)와, 식부 암(1011)과, 피드 케이스(1012)와, 식부 전동 케이스(1013)와, 회전 케이스(1014)와, 플로트(1015) 등이 구비되어 있다. 피드 케이스(1012)나 식부 전동 케이스(1013)는 모종 식부 장치(1006)의 하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횡프레임(1017)에 지지되어 있다.
승용형 이앙기의 기체 프레임(1003)에 지지된 엔진 등의 동력원(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은, 주행용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주간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식부 클러치 및 PTO축을 통해, 피드 케이스(1012)로 전달되고, 피드 케이스(1012)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1006)의 각 부로 분배되어, 각 부가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종 식부 장치(1006)는 모종 적재대(1010)의 하부를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 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과,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에 지지된 모종 적재대(101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횡이송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해당 횡이송 기구는 피드 케이스(101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횡이송 기구는 모종 적재대(1010)의 횡이송량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식부 암(1011)에 의한 1회의 모내기마다의 횡이송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식부 암(1011)에 의한 모내기양이 변경된다. 또한, 모종 식부 장치(1006)에, 횡이송 기구에 의한 모종 적재대(1010)의 횡이송량을 검지하는 검지 기구로서의 횡이송량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에는 모종 적재대(1010)에 적재된 매트형 모종으로부터 모종을 취출하기 위한 모종 취출구(1018a)가 마련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의 좌우 양단은 지지부(1019)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1019)는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에 하향으로 연결된 지지 로드(1019b)가, 식부 전동 케이스(1013)의 횡측면에 연결된 브래킷(1019a)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성되어 있다.
종이송 기구(1010a)는 모종 적재대(1010)가 왕복 횡이송 구동의 우측 단부 또는 좌측 단부에 도달하면, 소정량만큼 구동되어, 모종 적재대(1010)에 적재된 매트형 모종이 모종 취출구(1018a)의 높이까지 종이송된다.
회전 케이스(1014)는 피드 케이스(101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회전 케이스(1014)에 마련된 식부 암(1011)은 회전 케이스(1014)의 회전에 수반하여 소정의 궤적을 이동하면서, 모종 취출구(1018a)로부터 모종을 취출하여 논면에 식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내기양 변경 기구, 모내기양 모터〕
모종 식부 장치(1006)는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내기양 변경 기구(1020)를 구비하고 있다. 모내기양 변경 기구(1020)가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식부 암(1011)에 대한 모종 취출구(1018a)의 높이가 변경되고, 식부 암(1011)이 모종 적재대(1010)로부터 취출하는 모종의 양이 변경된다.
모내기양 변경 기구(1020)에는 모내기양 변경 기구(1020)를 구동하는 모내기양 모터(M1001)(본 발명에 관한 구동 기구), 모내기양 모터(M1001)의 구동력을 피니언 기어(1021)로부터 출력하는 감속 기구(도시 생략), 부채형의 섹터 기어(1022)와, 모내기양 레버(1023)와, 모내기양 조절 로드(1024)와, 연결 스테이(1025)와, 복수의 연계편(1026)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내기양 모터(M1001)는 전동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단, 모내기양 모터(M1001)는 전동 모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구동 기구는 그 밖의 모터나, 유압 실린더나 전동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로 구성되어도 된다.
섹터 기어(1022)에는 모내기양 모터(M1001)의 구동력이 출력되는 피니언 기어(1021)가 맞물려 있다. 피니언 기어(1021)의 회동에 수반하여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 X1001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다.
모내기양 레버(1023)의 전단부에는 긴 구멍(1023a)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1023a)에는 섹터 기어(1022)로부터 돌출되는 핀(1022a)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섹터 기어(1022)의 요동 위치는 지지 브래킷(1037)에 마련된 위치 센서(모내기양 센서)(1027)에 의해 검출된다. 모내기양 센서(1027)에는 검출용의 센서 암(1027a)이 구비되어 있다. 센서 암(1027a)과 섹터 기어(1022)에 걸쳐서, 섹터 기어(1022)의 요동을 센서 암(1027a)으로 전달하는 링크(1028)가 마련되어 있다. 모내기양 센서(1027)에 의해 검출된 섹터 기어(1022)의 각도가 검출되고, 이것이 후술하는 제어 장치(1040)에 입력된다.
모내기양 조절 로드(1024)는 식부 전동 케이스(1013)의 상부에,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 X1002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모내기양 조절 로드(1024)는 연결 스테이(1025)를 통해 모내기양 레버(1023)의 후방부와 연결되어 있다. 연계편(1026)은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과 연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 스테이(1025) 및 연계편(1026)은 모내기양 조절 로드(1024)에 모내기양 조절 로드(1024)와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모내기양 모터(M1001)의 구동력이 피니언 기어(1021)로부터 출력됨으로써, 섹터 기어(1022)가 축심 X1001 주위에서 요동한다. 그리고, 섹터 기어(1022)의 요동력이 핀(1022a) 및 긴 구멍(1023a)을 통해 모내기양 레버(1023)로 전달되고, 모내기양 레버(1023), 연결 스테이(1025), 모내기양 조절 로드(1024) 및 연계편(1026)이 축심 X1002 주위에서 일체적으로 요동하고, 이에 의해,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이 지지부(1019)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부 암(1011)은 일정한 궤적에 의해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의 모종 취출구(1018a)를 통과한다.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이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경우는, 모종 취출구(1018a)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식부 암(1011)이 모종 취출구(1018a)에 깊게 들어간 상태로 모종 취출구(1018a)를 통과하여 모종 적재대(1010)로부터 모종을 취출하게 되고, 이 결과, 모내기양이 많아진다.
한편,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이 상방으로 이동한 경우는, 모종 취출구(1018a)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식부 암(1011)이 모종 취출구(1018a)에 얕게 들어간 상태로 모종 취출구(1018a)를 통과하여 모종 적재대(1010)로부터 모종을 취출하게 되고, 이 결과, 모내기양이 적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내기양을 변경한 경우에는, 종이송 기구(1010a)에 의한 매트형 모종의 종이송량도 변경된다. 모내기양의 변경에 따라, 기계적으로 연동하거나, 또는 제어 장치(104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기적으로 연동하여, 모내기양이 적은 측으로 되면, 종이송 기구(1010a)에 의한 종이송량을 적은 측으로 변경하고, 모내기양이 많은 측으로 되면, 종이송 기구(1010a)에 의한 종이송량을 많은 측으로 변경한다.
〔제어 장치〕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용형 이앙기는 해당 승용형 이앙기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0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40)는 승용형 이앙기의 기체측에 구비되어도 되고, 모종 식부 장치(1006)측에 구비되어도 된다.
제어 장치(1040)는 마이크로컴퓨터나,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 메모리 등의 주변 기기에 의해, 모종 식부 장치(1006)에 있어서의 모내기양을 조절하는 모내기양 제어부(1041)나, 외부의 제어부(105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신부나 수신부로 이루어지는 통신부(1042) 등의 각 기능 블록이 구비되고, 운전부(1004)의 조향 핸들(1008) 등에 대한 작업자의 조작이나, 횡이송량 센서나, 모내기양 센서(1027)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승용형 이앙기의 구동원이나, 모종 식부 장치(1006), 그 밖의 각 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1040)의 일부가, 모내기양 모터(M1001)를 구동하는 제어 기구를 구성한다.
제어 장치(1040)는 횡이송량 센서에 의해 검지된, 횡이송 기구에 의한 모종 적재대(1010)의 횡이송량과, 모종 취출구(1018a)의 현재 높이로부터, 모종의 실소비량을 산출하고, 이것을 통신부(1042)를 통해 외부에 있는 제어부(1050)에 대하여 송신하고, 제어부(1050)로부터 송신된 지시에 기초하여 모내기양 모터(M1001)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1040)는, 예를 들어 제어부(1050)로부터 송신된 목표 소비량이, 실소비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모내기양 모터(M1001)를 제어하고, 모종의 소비량이 목표 소비량으로 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모종 취출구(1018a)가 하측으로 조작되어 모내기양이 많은 측으로 변경된다.
또한, 이와 같은 모종 취출구(1018a)의 현재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목표 높이까지 이동시킬 때에는, 제어 장치(1040)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취출구(1018a)를 목표 높이보다 낮은 높이까지 이동시킨 후에 목표 높이까지 이동시키도록 모내기양 모터(M1001)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모내기양 변경 기구(1020)가 갖는 섹터 기어(1022) 등의 백래시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40)는, 예를 들어 제어부(1050)로부터 송신된 목표 소비량이, 실소비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모내기양 모터(M1001)를 제어하여, 모종의 소비량이 목표 소비량이 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모종 취출구(1018a)가 상측으로 조작되어 모내기양이 적은 측으로 변경된다.
이와 같은 모종 취출구(1018a)의 현재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목표 높이까지 이동시킬 때에는, 제어 장치(104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취출구(1018a)를 현재 높이로부터 목표 높이까지 이동시키도록 모내기양 모터(M1001)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1040)는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의 상승측으로의 작동 속도와,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의 하강측으로의 작동 속도가 등속이 되도록 모내기양 모터(M1001)를 제어해도 되고, 상승측과 하강측에서 작동 속도가 상이하도록, 예를 들어 하강측일 때는 상승측보다도 작동 속도가 저속이도록 모내기양 모터(M1001)를 제어해도 된다. 또한, 모종 취출구(1018a)의 높이를 변경하는 데 있어서, 모내기양 변경 기구(1020)는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만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1018) 및 모종 적재대(1010)를 일체적으로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어 장치(10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산출한 실소비량을, 작업자에게 통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통지는, 예를 들어 운전부(1004)에 구비된 액정 화면(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화상 표시, LED 등에 의한 인디케이터(도시하지 않음)의 점등이나 점멸 등, 스피커나 버저(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명동 등에 의해 행해진다. 제어 장치(1040)는 작업원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모내기양 모터(M1001)를 제어하여 모종의 소비량을 증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1040)는 모종의 실소비량을, 횡이송 기구에 의한 모종 적재대(1010)의 횡이송량과, 모종 취출구(1018a)의 현재 높이로부터 산출했지만, 모종의 실소비량은 횡이송 기구에 의한 모종 적재대(1010)의 횡이송량과, 종이송 기구(1010a)에 의한 매트형 모종의 종이송량으로부터 산출해도 된다. 또한, 제어 장치(1040)는 모종의 실소비량을, 횡이송 기구에 의한 모종 적재대(1010)의 횡이송량과, 모종 취출구(1018a)의 현재 높이와, 종이송 기구(1010a)에 의한 매트형 모종의 종이송량으로부터 산출해도 된다.
또한, 볍씨(직파기), 시비(이앙기, 직파기, 승용 관리기, 시비 전용기), 약제(이앙기, 직파기, 승용 관리기, 시약 전용기)·제초제(이앙기, 직파기, 승용 관리기, 시약 전용기)는 조출 구동 제어량이나 자재 저류 탱크의 중량 검출 등으로부터 실소비량을 산출 가능하고, 이 실소비량과, 목표 소비량에 어긋남이 발생하면, 조출 구동 제어량을 변경함으로써 어긋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다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승용형 이앙기에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8줄 심기 형식의 승용형 이앙기뿐만 아니라, 6줄 및 4줄 심기 형식의 모종 식부 장치를 장비한 승용형 이앙기나, 정지 장치를 장비하지 않은 승용형 이앙기, 회전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은 크랭크 형식의 식부 암을 구비한 모종 식부 장치를 장비한 승용형 이앙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6 : 모종 식부 장치
10 : 모종 적재대
11 : 식부 암
17 : 횡프레임
20 : 모내기양 변경 기구
29 : 식부 깊이 변경 기구
34 : 지지 브래킷(지지 부재)
45 : 커버
M1 : 모내기양 모터(모내기양 액추에이터)
M2 : 식부 깊이 모터(식부 깊이 액추에이터)
1006 : 모종 식부 장치
1010 : 모종 적재대
1010a : 종이송 기구
1011 : 식부 암
1018 :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
1018a : 모종 취출구
1040 : 제어 장치(제어 기구)
1050 : 제어부
M1001 : 모내기양 모터(구동 기구)

Claims (14)

  1. 모종이 적재되는 모종 적재대와, 상기 모종 적재대로부터 모종을 취출하여 논면에 식부하는 식부 암을 갖는 모종 식부 장치가 구비된 승용형 이앙기이며,
    상기 식부 암이 상기 모종 적재대로부터 취출하는 모종의 양을 변경하는 모내기양 변경 기구와,
    상기 식부 암에 의한 모종의 식부 깊이를 변경하는 식부 깊이 변경 기구와,
    상기 모내기양 변경 기구를 구동하는 모내기양 액추에이터와,
    상기 식부 깊이 변경 기구를 구동하는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모내기양 액추에이터와 상기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는 인접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승용형 이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내기양 액추에이터와 상기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는 기체 좌우 방향에 인접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승용형 이앙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내기양 액추에이터 및 상기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승용형 이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식부 장치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프레임을 갖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횡프레임에 세워 설치되어 있는 승용형 이앙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내기양 액추에이터 및 상기 식부 깊이 액추에이터를 덮는 커버가 구비되어 있는 승용형 이앙기.
  6. 이앙기에 구비되는 모종 식부 장치이며,
    매트형 모종을 적재 가능한 모종 적재대와,
    상기 모종 적재대의 하부를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 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과,
    상기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에 지지된 상기 모종 적재대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횡이송 기구와,
    상기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에 마련된 모종 취출구와,
    상기 매트형 모종을 상기 모종 취출구의 높이까지 종이송하는 종이송 기구와,
    소정의 궤적을 이동하면서, 상기 모종 취출구로부터 모종을 취출하여 논면에 식부하도록 구성된 식부 암과,
    제어 기구에 의해 제어되고, 적어도 상기 미끄럼 이동 가이드 레일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모종 취출구의 높이를 변경 가능한 구동 기구를 갖는 모종 식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모종 취출구를 기계적인 가동 영역의 상한 높이와 하한 높이 사이에 존재하는 목표 높이까지 이동시킬 때에, 해당 모종 취출구의 현재 높이가 상기 목표 높이보다 높은 경우는, 상기 모종 취출구를 상기 목표 높이보다 낮은 높이까지 이동시킨 후에 상기 목표 높이까지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모종 식부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횡이송 기구는, 상기 모종 적재대의 횡이송량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모종 식부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횡이송 기구에 의한 상기 모종 적재대의 횡이송량과, 적어도 상기 모종 취출구의 현재 높이 또는 상기 종이송 기구에 의한 상기 매트형 모종의 종이송량의 어느 것으로부터, 모종의 실소비량을 산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모종 식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실소비량과 목표 소비량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모종 식부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실소비량을 작업자에게 통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모종 식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작업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모종 식부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실소비량을 해당 모종 식부 장치의 외부에 있는 제어부에 대하여 송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모종 식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신된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모종 식부 장치.
KR1020180164239A 2018-03-27 2018-12-18 승용형 이앙기 및 모종 식부 장치 KR201901135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0834A JP2019170211A (ja) 2018-03-27 2018-03-27 乗用型田植機
JPJP-P-2018-060834 2018-03-27
JPJP-P-2018-069299 2018-03-30
JP2018069299A JP7018803B2 (ja) 2018-03-30 2018-03-30 苗植付け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517A true KR20190113517A (ko) 2019-10-08

Family

ID=6807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239A KR20190113517A (ko) 2018-03-27 2018-12-18 승용형 이앙기 및 모종 식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13517A (ko)
CN (1) CN110301199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5704A (ja) 2015-09-16 2017-03-23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田植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3508A (ja) * 1985-11-25 1987-06-04 S G:Kk 位置決め方式
JP3380665B2 (ja) * 1995-12-11 2003-02-24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の昇降制御装置
KR100219363B1 (ko) * 1996-12-16 1999-09-01 미쯔이 고오헤이 모종 모내기장치를 구비한 이앙기
JP2000083419A (ja) * 1998-09-09 2000-03-28 Kubota Corp 密植型式の苗植付装置
JP5590017B2 (ja) * 2011-12-26 2014-09-17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田植機
JP6579971B2 (ja) * 2016-02-03 2019-09-25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JP6579972B2 (ja) * 2016-02-03 2019-09-25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WO2017135308A1 (ja) * 2016-02-03 2017-08-10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JP6545632B2 (ja) * 2016-03-04 2019-07-17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CN206879407U (zh) * 2017-06-25 2018-01-16 山东金大丰机械有限公司 一种水稻插秧机的取秧调节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5704A (ja) 2015-09-16 2017-03-23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田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01199A (zh) 2019-10-08
CN110301199B (zh)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650B1 (ko) 이앙기
KR101363949B1 (ko) 작업 차량
CN106797738A (zh) 乘坐型插秧机
JP2018198562A (ja) 作業車両
CN102845168B (zh) 秧苗移植机
JP4367029B2 (ja) 農作業車
AU2018387581B2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driving condition for a tractor of an agricultural machine and an agricultural machine
CN109068582A (zh) 插秧机
KR20190113517A (ko) 승용형 이앙기 및 모종 식부 장치
JP4872271B2 (ja) 苗移植機
CN103988623B (zh) 苗移植机
JP4826757B2 (ja) 苗植機
KR20130025796A (ko) 작업차의 통지 제어 구조
JP2007053939A5 (ko)
JP7018803B2 (ja) 苗植付け装置
JP4840489B2 (ja) 田植機
JP2019110773A (ja) 水田作業機
JP2019170211A (ja) 乗用型田植機
JP2010213639A (ja) 田植機
JP2010213638A (ja) 田植機
JP2019176745A (ja) 水田作業機
JP6061827B2 (ja) 水田作業機
JP2013198463A (ja) 苗移植機
JP7068612B2 (ja) 苗移植機
JP4059799B2 (ja) 乗用型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