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553B1 -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553B1
KR102075553B1 KR1020180094877A KR20180094877A KR102075553B1 KR 102075553 B1 KR102075553 B1 KR 102075553B1 KR 1020180094877 A KR1020180094877 A KR 1020180094877A KR 20180094877 A KR20180094877 A KR 20180094877A KR 102075553 B1 KR102075553 B1 KR 102075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plate
tension ribs
case
piec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80094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553B1/ko
Priority to US17/268,253 priority patent/US11548421B2/en
Priority to CN201880096706.9A priority patent/CN112585028B/zh
Priority to PCT/KR2018/015018 priority patent/WO202003626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6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되며, 스테이로드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락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전후 텐션 리브가 위치되고, 상기 전후 텐션 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의 슬라이딩방향과 다른방향으로 상기 락플레이트에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락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전후 텐션 리브가 일체로 이루어진 판재 형상으로,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의 유격을 없애는 동시에 복원 기능이 구현되고, 상기 락플레이트 제작 원가가 절감되는 헤드레스트 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락킹장치{Headrest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락플레이트가 구비된 헤드레스트 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4319호(이하, '특허문헌 1')의 헤드레스트 락킹장치는, 시트 백에 장착되는 메인 브라켓과, 헤드레스트에 장착되어 업라이트(언폴딩) 위치와 폴딩 위치 사이로 움직이도록 메인 브라켓에 대해 선회되는 스테이와, 메인 브라켓에 대해 스테이가 업라이트 위치에 로킹시키는 록킹 메커니즘과, 록킹 메커니즘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작동되는 작동부재인 당김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는 수평바와, 수평바의 양단에서 후방쪽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바와, 이 수직바에서 위쪽 전방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경사바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 메커니즘은 스테이의 수평바에 고정되는 록 링크와, 일단이 메인 브라켓에 지지되고 타단이 수평바에 지지되는 제1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릴리스 레버와, 록 링크와 릴리스 레버 사이에 구비된 래칫과, 일단이 메인 브라켓에 지지되고 타단이 릴리스 레버에 지지되는 제2비틀림 코일 스프링, 래칫의 복귀를 위한 제3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록 링크는 수평바의 양쪽에 고정되는 좌우측용 록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우측용 록 링크는 우측용 링크판과, 우측용 링크판의 상측에 형성되는 우측용 힌지공과, 우측용 링크판의 하단에 형성되는 산형 홈과, 우측용 링크판의 후측을 향하게 형성되어 수평바에 끼워져 고정되는 우측용 후방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우측용 힌지공은 우측용 힌지축이 끼워진 채 우측 측판용 제1힌지공에 지지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특허문헌 1은 스테이가 록킹(업라이트)된 상태의 록킹 메커니즘의 경우, 록 링크의 산형 홈과 래칫의 산형 돌기가 서로 도킹한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릴리스 레버의 후단은 래칫을 대각선 방향으로 밀어 올려주는 자세로 경사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록킹 상태에서 당김부재를 아래로 당기면, 릴리스 레버가 제2힌지축을 통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림턱이 래칫의 걸림돌기를 아래로 당긴다.
그러면, 걸림돌기는 지축에 대해 래칫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래칫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도킹된 산형 돌기가 산형 홈에서 벗어나게 한다.
산형 돌기가 산형 홈에서 벗어나면, 스테이는 제1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제1힌지축에 대해서 회전(공전)되어 폴딩된 위치로 가게 된다. 즉, 스테이의 수평바의 회전 중심이 변경되게 공전하게 된다.
물론, 산형 돌기가 산형 홈에서 벗어난 직후 당김부재의 당김을 놓으면, 반대로 릴리스 레버가 제2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제2힌지축을 통해 반시계방향으로, 래칫은 제3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지축을 통해 시계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면서 래칫의 걸림돌기가 걸림턱를 위로 당겨 올라간다.
이와 같이 록킹이 해제되어 스테이가 폴딩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업라이트 상태로 하기 위해, 사용자가 스테이를 후방쪽으로 밀어 올리면, 제1힌지축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록 링크가 회전되어 산형 홈이 산형 돌기에 걸려 도킹이 완료되면 업라이트 상태가 된다.
헤드레스트 락킹장치의 다른 예가 게재된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435151호(이하, '특허문헌 2')의 고정 장치 및 머리 받침대는, 로드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시키는 스프링 및 슬라이드부가 별개의 부품이므로, 상기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부를 상기 고정 장치에 각각 설치시키는 공정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생산 시간이 증가되므로, 원가 또한 증가되었다.
헤드레스트 락킹장치의 또 다른 예가 게재된 유럽 등록특허공보 0864461 B1(이하, '특허문헌 3')은 제1실시 예의 경우, 로드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시키는 와이어 스프링을 상기 로드의 양측에 각각 설치시키는 공정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생산 시간이 증가되므로, 원가 또한 증가되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스프링을 탄성 변형시키는 횡 로드와 상기 와이어 스프링이 서로 걸린 상태로만 연결되어 있어 둘의 연결이 해제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0161호(이하, '특허문헌 4')에 게재된 헤드레스트 락킹장치는, 로드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스토퍼장치를 각각 작동시켜야만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불편하고, 상기 스토퍼장치를 상기 로드의 양측에 각각 설치시키는 공정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생산 시간이 증가되므로, 원가 또한 증가되었다. 또한 상기 스토퍼장치를 로드의 양측이 아닌 일측에만 설치시키면 상기 스토퍼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로드의 타측 및 타측에 연결된 상기 헤드레스트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헤드레스트 락킹장치에 관한 기술로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결정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1056호(이하 '특허문헌 5')에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며, 스테이로드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락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탄성리브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의 슬라이딩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락플레이트에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탄성리브의 양단 사이에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상기 케이스에 접촉되고, 상기 탄성리브의 양단은 상기 굴곡부가 접촉되는 면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락플레이트는 플라스틱재질의 본체부와, 상기 걸림홈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로드가 걸리며 상기 본체부보다 큰 강성을 갖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인서트부재, 락플레이트에 우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복귀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로드는 2 개의 상하로드와, 상기 상하로드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우로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락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홈이 2 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부재 또한 2 개가 설치된다. 상기 복귀스프링은 상기 락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에 1 개씩 총 2 개가 설치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5와 같은 종래의 헤드리스트 이동장치의 경우 상기 락플레이트의 부품이 총 5 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품들을 조립하는 공정이 필요하였고 이에 따라 락플레이트의 생산 시간이 증가되므로, 원가 또한 증가되었다.
또한, 상기 락플레이트는 상기 인서트부재와 상기 몸체를 인서트 사출로 생산하므로 원가가 증가되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4319호(2016.12.02)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435151호(2010.01.08) 유럽 등록특허공보 0864461 B1(2000.07.26)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0161호(2015.01.1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1056호(2018.07.1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테이로드의 위치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락플레이트가 일체의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원가가 절감되는 헤드레스트 락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효과가 좋은 락플레이트가 설치된 헤드레스트 락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락킹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되며, 스테이로드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락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전후 텐션 리브가 위치되고, 상기 전후 텐션 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의 슬라이딩방향과 다른방향으로 상기 락플레이트에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락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전후 텐션 리브가 일체로 이루어져 판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후 텐션 리브의 일측은 상기 케이스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락플레이트와 연결되며, 상기 전후 텐션 리브에는 상기 일측과 타측 사이에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굴곡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후 텐션 리브는 상기 일측과 연결된 제1굴곡편과, 상기 제1굴곡편과 상기 락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제2굴곡편과, 상기 제1굴곡편과 상기 제2굴곡편 사이에 형성된 직선편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굴곡편과 상기 제2굴곡편은 호 형상이고, 상기 제1굴곡편은 상기 제2굴곡편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후 텐션 리브 중 상기 케이스와 접촉되는 일측은 상기 굴곡편보다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플레이트에는 상기 락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상하 텐션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락킹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락플레이트는 1회 프레스 공정으로 성형이 완료되는 것이므로 성형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락플레이트가 일체형이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부품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헤드레스트 락킹장치의 조립 공수 또한 감소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제작 원가도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의 락플레이트는 탄성력이 좋아 종래기술에 비해 수명이 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락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락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1의 B-B 단면도.
도 7은 도 1의 C-C 단면도.
도 8은 도 1의 헤드레스트 락킹장치의 후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락킹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차량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하고, 차량의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하고, 차량의 상하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한다. 도 1의 L, R, F, B, U, D는 차례대로 좌, 우, 전, 후, 상, 하 방향을 말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헤드레스트(HR) 락킹장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되며, 스테이로드(700)의 걸림홈(711)에 삽입되는 락플레이트(500);를 포함하되, 상기 락플레이트(500)와 상기 케이스(100) 사이에는 전후 텐션 리브(511)가 위치되고,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는 상기 락플레이트(500)의 슬라이딩방향과 다른방향으로 상기 락플레이트(500)에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락플레이트(500)는 상기 걸림홈(711)에 삽입되는 몸체(510)와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가 일체로 이루어져 판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플레이트(500)의 몸체(510)에는 상기 락플레이트(500)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상하 텐션 리브(512)가 형성된다.
상하 텐션 리브(512) 또한 몸체(510) 및 전후 텐션 리브(511)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락플레이트(500)와 케이스(100) 사이의 유격이 없어질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에 의해 락플레이트(500)의 복원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판재 형상의 락플레이트(500)는 1회 프레스 공정으로 성형이 완료되는 것이므로 성형이 용이하다. 또한, 락플레이트(500)는 일체형이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부품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헤드레스트(HR) 락킹장치의 조립 공수 또한 감소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제작 원가도 감소된다. 보다 자세하게 락플레이트(500)가 삽입된 케이스(100)에 브라켓(810)에 연결된 스테이로드(700)를 삽입시키는 것으로 헤드레스트(HR) 락킹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스테이로드(700)>
상기 스테이로드(700)는 상기 케이스(100)에 삽입되는 상하로드(710)와, 상기 상하로드(710)의 양측을 연결하는 좌우로드(720)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로드(710)와 상기 좌우로드(720)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하로드(710)는 좌우로드(720)에서 후측으로 절곡된 수직로드(721)와, 수직로드(721)의 후측에서 후측 상방으로 휘어졌다가 전측 상방으로 휘어진 경사로드(723)와, 경사로드(723)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형성된 삽입로드(725)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로드(725)는 케이스(10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삽입로드(725)의 전측 중 하부에는 1 개의 걸림홈(71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711)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후측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하측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제1평면과, 상기 제1평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2평면, 상기 제2평면 하측에 연결되며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제3평면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711)이 상기 락플레이트(500)에 걸리면, 상기 제1평면은 락플레이트(500)의 상면과 마주보고, 상기 제3평면은 락플레이트(500) 본체(510)의 하면과 마주본다. 따라서 걸림홈(711)에 걸린 상기 락플레이트(50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스테이로드(700)를 기준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고정된다.
<케이스(100)>
본 실시 예의 케이스(100)는 상기 헤드레스트(HR)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락플레이트(500)와 상기 스테이로드(700) 상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사출 등에 의해 성형된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전면의 중앙이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1)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하단 및 좌우 양단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돌출부(111)는 상하측 중앙부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111)는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한다.
상기 돌출부(111)의 후면에는 보강리브가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락플레이트(500)가 삽입되는 락플레이트 삽입부(113)가 형성된다.
락플레이트 삽입부(113)는 락플레이트(50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락플레이트 삽입부(113)는 대략 직육면체에 가까운 형상이다.
락플레이트 삽입부(113)는 좌우 길이와 전후 길이는 돌출부(111)의 좌우길이와 전후 길이보다 길다.
락플레이트 삽입부(113)는 전측부와 양측부 및 상하측부(113a, 113b)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상기 전측부와 양측부 및 상하측부(113a, 113b)에 의해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된 락플레이트 삽입홈(115)이 형성된다.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상기 상측부(113a)와 하측부(113b)는 케이스(100)와 접촉된다. 보다 자세하게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상기 상측부(113a)와 하측부(113b)는 각각 락플레이트(500)의 상하 텐션 리브(512)와 하면에 접촉된다.
락플레이트(500)의 전후 텐션 리브(511)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좌우 양측은 전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좌우 양측에는 스테이로드(700)의 삽입로드(725)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는 관통공이 1 개씩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상하측부(113a,113b)에도 각각 형성되어 락플레이트 삽입홈(115)과 연통된다. 상기 관통공 중 상기 상측부(113a)에 형성된 관통공은 후술될 스테이로드 삽입부(117)의 내부에 형성된 스테이로드 삽입홈과 연통된다. 따라서 삽입로드(725)는 상기 관통공과 락플레이트 삽입홈(115)과 상기 스테이로드 삽입홈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상기 전측부에는 락플레이트(500)의 삽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관통공(123) 3 개가 좌우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관통공(123)은 상기 전측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23)은 삽입로드(725)가 삽입되는 상기 양측의 관통공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관통공(123) 중 좌우 양측의 2 개는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상기 전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되어 락플레이트(500)의 전후 텐션 리브(511)의 전측에 위치된다.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하측부(113b)에는 후측과 상하측이 개방된 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홈(114)은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좌우 양측에 1 개씩 총 2 개가 형성된다.
상기 홈(114)은 삽입로드(725)가 삽입되는 상기 관통공보다 후측에 배치된다.
상기 홈(114)의 상측은 락플레이트 삽입홈(115)과 연통된다. 이로 인해 락플레이트 삽입홈(115)에 삽입된 락플레이트(500)의 몸체(510)는 상기 홈(114)에 의해 외부에 노출된다. 이때 락플레이트(500)는 슬라이딩된 위치에 따라 몸체(510)의 노출 정도가 다르다.
한편,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상측부(113a) 중 후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2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21)는 상기 양측의 홈(114) 사이에 총 3 개가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걸림돌기(121)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똑바로 볼 때,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전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된 걸림면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락플레이트 삽입홈(115)에 삽입된 락플레이트(500)는 몸체(510)의 후면이 상기 걸림면에 걸려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에서 빠지지 않는다. 이를 위해 걸림돌기(121)의 하단부터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하측부(113b)간에 상하 이격거리는 상기 락플레이트(500) 몸체(510)의 상하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상측부(113a)의 좌우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리브(113c)가 형성된다.
리브(113c)는 몸체(510)의 삽입로드(725)의 양측에 1 개씩 위치되도록 상측부(113a)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면, 보다 자세하게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상기 하측부(113b) 중앙에는 릴리즈홀(10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릴리즈홀(101)은 락플레이트(5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도록 공구가 삽입될 수 있다.
릴리즈홀(101)은 락플레이트(500)의 몸체(51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503)과 연통된다.
릴리즈홀(101)의 전후길이는 구멍(503)의 전후길이보다 길다. 보다 자세하게 릴리즈홀(101)의 전후길이는 구멍(503)의 전후길이 대비 최소한 걸림홈(711)의 상기 제1평면의 전후길이만큼 길게 형성된다. 이는 락플레이트(500)를 슬라이딩시켜 걸림홈(711)에서 빼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케이스(10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돌출부(111)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로드(700)가 삽입되는 스테이로드 삽입부(117)가 형성된다.
스테이로드 삽입부(117)는 케이스(100)의 좌우 양측에 1 개씩 총 2 개가 배치된다.
스테이로드 삽입부(117)는 삽입로드(725)의 외형과 대응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테이로드 삽입부(117)의 하부는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와 연결된다.
스테이로드 삽입부(117)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인 스테이로드 삽입홈은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로드 삽입홈에는 스테이로드(700)의 상하로드(710)가 삽입된다.
스테이로드 삽입부(117)의 상하길이는 돌출부(111)의 상하길이보다 길다.
양측의 스테이로드 삽입부(117)간에 좌우 길이는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좌우 길이보다 짧다.
<락플레이트(500)>
상기 락플레이트 삽입홈(115)에 삽입된 락플레이트(500)는 상기 케이스(100) 및 스테이로드(7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다.
상기 락플레이트(500)는 상기 스테이로드(700)의 상하방향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락플레이트(500)와 상기 케이스(100) 사이에는 상기 몸체(510)와 일체인 텐션 리브가 배치된다.
본 실시 예의 상기 텐션 리브는 켄틸레버 형태로 상기 락플레이트(500)의 몸체(510)에 연결된다. 본 설명에서 상기 텐션 리브의 일단은 자유단이고 타단은 고정단으로 한다.
상기 텐션 리브는 전술된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 상기 상하 텐션 리브(512)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와 상하 텐션 리브(512) 각각은 락플레이트(500)에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상하 텐션 리브(512)-
본 실시 예에서 상하 텐션 리브(512)는 락플레이트(500)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락플레이트(500)의 상측에 배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상하 텐션 리브(512)는 좌우측 전후 텐션 리브(511) 사이에 총 2 개가 배치된다.
상하 텐션 리브(512)는 상측 또는 하측에서 똑바로 볼 때, 전후측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좌측 상하 텐션 리브(512)의 자유단은 후측에 배치되고, 우측 상하 텐션 리브(512)의 자유단은 전측에 배치된다. 즉 좌측 상하 텐션 리브(512)와 우측 상하 텐션 리브(512)는 서로 반대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하 텐션 리브(512)는 몸체(510)는 전후측을 균일하게 눌러주므로, 락플레이트 삽입홈(115)에 삽입된 락플레이트(500)가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하 텐션 리브(512)는 최상단에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상측부(113a)와 접촉되는 굴곡부가 배치된다. 상기 굴곡부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상하 텐션 리브(512)의 양단은 케이스(10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하 텐션 리브(512)의 상기 굴곡부는 대략 몸체(510)의 전후측 중앙에 배치된다.
한편, 몸체(510)에는 상기 상하 텐션 리브(512)의 외형을 따라 상하 텐션 리브 삽입홈(512a)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락플레이트(500)가 상기 케이스(100)와 조립된 상태일 때, 상하 텐션 리브(512)가 케이스(100)에 눌려 압축되어 형상이 변형되면 상하 텐션 리브(512)의 자유단이 상하 텐션 리브 삽입홈(512a)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락플레이트(500)가 이동될 때 상하 텐션 리브(512)의 자유단이 상기 케이스(100)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하 텐션 리브(512)의 고정단이 몸체(510)와 연결되도록, 상하 텐션 리브 삽입홈(512a)은 몸체(510)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51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스테이로드(700)의 삽입로드(725)가 삽입되는 관통공(50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501)은 전후 텐션 리브(511)보다 몸체(510)의 좌우 양단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관통공(501)은 상기 몸체(510)의 내면인 평면들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평면 중 전측에 배치된 평면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로드(700) 걸림홈(711)의 상기 제2평면과 마주보는 면이다.
한편 삽입로드(725)의 상기 제1평면, 상기 제3평면은 몸체(510) 중 전면과 상기 관통공(501) 사이의 상면, 하면과 마주보게 된다.
- 전후 텐션 리브(511) -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는 상기 락플레이트(5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락플레이트(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몸체(510)와 전후 텐션 리브(511)는 좌우로 수평하게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전후 텐션 리브(511)는 몸체(51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되, 좌측의 관통공(501)과 좌측의 상하 텐션 리브(512) 사이에 1 개, 우측의 관통공(501)과 우측의 상하 텐션 리브(512) 사이에 1 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좌측 전후 텐션 리브(511)와 상기 우측 전후 텐션 리브(511)는 상기 락플레이트(5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의 일측은 상기 케이스(100)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락플레이트(500)와 연결되며,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에는 상기 일측과 타측 사이에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굴곡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곡편은 제1굴곡편(534a, 534b)과 제2굴곡편(536)을 포함한다.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는 상기 일측과 연결된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과,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과 상기 락플레이트(500)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2굴곡편(536)과,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과 상기 제2굴곡편(536) 사이에 형성된 제1직선편(535)을 포함한다.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과 상기 제2굴곡편(536)은 호(Arc, 弧) 형상이고,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은 상기 제2굴곡편(536)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2굴곡편(536)은 제1굴곡편(534a, 534b)에 둘러싸이게 배치된다.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 중 상기 케이스(100)와 접촉되는 일측(532)은 상기 굴곡편보다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510)의 일측과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 중 일측(532)은 상기 몸체(510)의 전면과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상기 전측부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의 일타측 양단 사이에는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 중 상기 케이스(100)와 접촉되는 일측'인 굴곡부(532)가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532)는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 제2굴곡편(536)보다 전측에 위치된다. 나아가 상기 굴곡부(532)는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의 최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의 일타측 양단은 상기 굴곡부(532)가 접촉되는 면인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상기 전측부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락플레이트(500)와 상기 케이스(100)가 조립되면, 상기 굴곡부(532)가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상기 전측부에 접촉되어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가 압축되어 형상이 변형되며, 변형된 전후 텐션 리브(511)는 락플레이트 삽입부(113)의 전측부와 멀어지는 방향인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우측의 전후 텐션 리브(511)의 경우, 상기 굴곡부(532)는 상기 굴곡편보다 우측에 위치되고, 좌측의 전후 텐션 리브(511)의 경우 상기 굴곡부(532)는 상기 굴곡편보다 좌측에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보다 자세하게 전후 텐션 리브(511)를 설명하되, 우측에 배치된 전후 텐션 리브(511)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후 텐션 리브(511)는, 일단에서 굴곡부(532)측으로 갈수록 전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편(531)과, 제1경사편(531)의 타단에 연결되고 전측으로 볼록한 상기 굴곡부(532)와, 상기 굴곡부(532)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제2경사편(533)과, 제2경사편(533)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과,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의 타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상기 제1직선편(535)과, 상기 제1직선편(535)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제2굴곡편(536)과, 상기 제2굴곡편(536)의 타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2직선편(538)과, 상기 제2직선편(538)의 타단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전후길이가 길어지는 일협타광편(537)을 포함한다.
제1경사편(531)의 일단은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의 일단이고, 상기 일협타광편(537)의 타단은 전후 텐션 리브(511)의 타단이다.
상기 굴곡부(532)는 상기 관통공(501)의 좌우방향 중 중앙부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의 일단은 몸체(510)의 전면과 상기 굴곡부(53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은 2 개의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굴곡편들이 연결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 제1굴곡편(534a, 534b)은 상기 제2경사편(533)의 타단과 연결된 제1-1굴곡편(534a)과, 상기 제1-1굴곡편(534a)의 타단에 연결된 제1-2굴곡편(534b)을 포함한다.
상기 제1-1굴곡편(534a)은 원호와 대응되는 형상이며, 상기 원호를 제1-1굴곡편(534a)의 원호라 한다. 상기 제1-1굴곡편(534a) 외에 다른 굴곡편들도 호를 기준으로 설명할 경우 이와 같은 기준을 따른다.
각 호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1굴곡편(534a)은 상기 제2경사편(533)의 타단에서 우측의 후방으로 약 180도 정도 휘어진 나선형이고, 상기 제1-2굴곡편(534b)은 상기 제1-1굴곡편(534a)의 타단에서 좌측의 전방으로 약 90도 정도 휘어진 나선형이다.
상기 제1-1굴곡편(534a)와 대응되는 호의 곡률이 상기 제1-2굴곡편(534b)의 곡률 및 상기 제2굴곡편(536)와 대응되는 호의 곡률보다 작다.
상기 제1-1굴곡편(534a)과 상기 제1-2굴곡편(534b)의 연결부위는 상하 텐션 리브(512)와 관통공(501) 사이에 배치되되, 몸체(510)의 전후측 중앙보다 전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굴곡편(536)은 몸체(510)의 전측에 배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제2굴곡편(536)의 타단은 몸체(510)의 전면 상에 배치된다. 즉 제2굴곡편(536)의 타단은 몸체(510)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2굴곡편(536)은 호 형상이며, 약 180도 정도 휘어진 나선형이다.
상기 제2굴곡편(536)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은 상기 제2굴곡편(536)과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므로,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과 상기 제2굴곡편(536)이 서로 접촉되기 어려워 락플레이트(500)의 탄성효과가 좋다.
상기 제1직선편(535)의 좌우길이는 상기 제1-1굴곡편(534a)의 원호의 반지름의 절반보다 조금 짧다. 달리 설명하자면 상기 제1직선편(535)의 좌우길이는 제1-1굴곡편과 제2굴곡편(536)의 이격거리와 유사하거나 같다.
상기 제2직선편(538)의 전면은 몸체(510)의 전면 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2직선편(538)의 전면은 몸체(510)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2직선편(538)의 좌우길이는 상기 제1직선편(535)의 좌우길이와 유사하다.
상기 제2직선편(538)의 전후길이는 상기 제1직선편(535)의 전후길이보다 두껍다.
상기 일협타광편(537)의 전면은 몸체(510)의 전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몸체(510)의 전면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일협타광편(537)의 전면은 좌우로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일협타광편(537)의 좌우길이는 상기 제2직선편(538)의 좌우길이와 유사하다.
상기 락플레이트(500)의 몸체(510)에는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 중 상기 제1,2경사편(531,533)과 굴곡부(532) 및 제1-1굴곡편(534a)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몸체(510)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전방이 개방된다. 상기 관통공은 전후 텐션 리브(511)의 굴곡편(534a, 534b,536) 및 제1,2직선편(535,538)과 대응되는 형상이다.
전후 텐션 리브(511)의 탄성 효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케이스(100)에 눌린 상기 전후 텐션 리브(511)는 상기 락플레이트(500)의 몸체(510)에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탄성력이 상기 굴곡부(532)와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을 통해 일정량 감소된 후 상기 제1직선편(535)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탄성력은 좌우로 나란한 상기 제1직선편(535)과 대략 직교를 이루므로, 상기 제1직선편(535)은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보다 탄성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직선편(535)에서 탄성력이 전부 감소되지 않으면 남은 탄성력은 상기 제2굴곡편(536)으로 전달되어 한 번 더 감소된다. 이후에 상기 제2굴곡편(536)에서 탄성력이 전부 감소되지 않으면 남은 탄성력은 상기 제2직선편(538)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탄성력은 좌우로 나란한 상기 제2직선편(538)과 대략 직교를 이루므로, 상기 제2직선편(538)은 상기 제2굴곡편(536)보다 탄성력을 크게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제2직선편(538)에서 탄성력이 전부 감소되지 않으면 남은 탄성력은 몸체(510)로 전달되어 전부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 스프링의 역할을 하는 락플레이트(500)의 탄성력이 좋아 종래기술에 비해 락플레이트(500)의 수명이 길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헤드레스트(HR)를 상하로 이동시키려는 경우, 공구를 릴리즈홀(101)과 락플레이트(500)의 구멍(503)에 삽입시키고 구멍(503)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구로 락플레이트(500)를 전측으로 밀면 전후 텐션 리브(511)가 압축 변형되면서 전후폭이 감소되어 몸체(510)가 전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스테이로드(700)의 걸림홈(711)에 삽입되어 있던 몸체(510)는 걸림홈(71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00)에 고정된 상기 헤드레스트(HR)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헤드레스트(HR)를 다시 원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공구로 락플레이트(500)를 전측으로 미는 힘을 제거시킨다. 이로 인해 전후 텐션 리브(511)의 압축이 해제되면 전후 텐션 리브(511)가 복원되며, 동시에 헤드레스트(HR)를 이동시켜 몸체(510)가 다시 걸림홈(711)에 삽입되면 상기 헤드레스트(HR)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된 락킹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의 락킹장치는 전판과 좌우측판을 포함하는 브라켓(810), 상기 헤드레스트(HR)에 장착되어 언폴딩(업라이트) 위치와 폴딩 위치 사이로 움직이도록 상기 브라켓(810)에 대해 선회되는 상기 스테이로드(700)와, 상기 브라켓(810)에 대해 상기 스테이로드(700)가 업라이트 위치에 로킹시키는 록킹 메커니즘과, 상기 록킹 메커니즘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작동되는 작동부재인 당김부재(800)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 메커니즘은 좌우로드(720)에 고정되는 록 링크와, 일단이 상기 브라켓(810)에 지지되고 타단이 좌우로드(720)에 지지되는 제1비틀림 코일 스프링(820)과, 릴리스 레버와, 상기 브라켓(8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릴리스 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록 링크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래칫과, 일단이 상기 브라켓(810)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릴리스 레버에 지지되는 제2비틀림 코일 스프링, 상기 래칫의 복귀를 위한 제3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락킹장치는, 상기 언폴딩 위치에서 상기 당김부재(800)를 아래로 당기면, 상기 릴리스 레버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래칫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래칫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테이로드(700)는 상기 제1비틀림 코일 스프링(820)에 의해 회전(공전)되어 상기 폴딩 위치로 가게 된다. 즉, 스테이로드(700)의 좌우로드(720)의 회전 중심이 변경되게 회전된다.
상기 락킹장치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상기 특허문헌 1을 참고하도록 한다.
전술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HR) 락킹장치는, 상기 특허문헌 2 내지 5에 게재된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폴딩타입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스테이로드(700)가 차량의 시트(SB)에 고정된 타입의 메커니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HR)에 스테이로드(700)가 고정된 것을 시트(SB)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시트(SB)와 헤드레스트(HR)가 스테이로드(700)로 연결되는 타입의 어떠한 메커니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스 101 : 릴리즈홀
111: 돌출부 113 : 락플레이트 삽입부
113a : 상측부 113b : 하측부
113c : 리브 114 : 홈
115: 락플레이트 삽입홈 117 : 스테이로드 삽입부
121: 걸림돌기 123: 관통공
500: 락플레이트 501: 관통공
503 : 구멍 510: 몸체
511: 전후 텐션 리브 512: 상하 텐션 리브
512a: 상하 텐션 리브 삽입홈 531 : 제1경사편
532 : 굴곡부 533 : 제2경사편
534a : 제1-1굴곡편 534b : 제1-2굴곡편
535 : 제1직선편 536 : 제2굴곡편
537 : 일협타광편 538 : 제2직선편
700: 스테이로드 710: 상하로드
711: 걸림홈 720: 좌우로드
721 : 수직로드 723 : 경사로드
725 : 삽입로드 800 : 당김부재
810 : 브라켓 820 : 제1코일스프링

Claims (6)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스테이로드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락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전후 텐션 리브가 위치되고,
    상기 락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전후 텐션 리브가 일체로 이루어져 판재 형상이고,
    상기 전후 텐션 리브의 일측은 상기 케이스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락플레이트와 연결되며,
    상기 전후 텐션 리브는 상기 일측과 연결된 제1굴곡편(534a, 534b)과,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과 상기 락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제2굴곡편(536)과,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과 상기 제2굴곡편(536) 사이에 형성된 직선편(535)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 텐션 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의 슬라이딩방향과 다른방향으로 상기 락플레이트에 탄성력을 가하는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과 상기 제2굴곡편(536)은 호 형상이고,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은 상기 제2굴곡편(536)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후 텐션 리브 중 상기 케이스와 접촉되는 일측은 상기 제1굴곡편(534a, 534b) 및 상기 제2굴곡편(536)보다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 사이에 위치되는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락플레이트에는 상기 락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상하 텐션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KR1020180094877A 2018-08-14 2018-08-14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KR102075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877A KR102075553B1 (ko) 2018-08-14 2018-08-14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US17/268,253 US11548421B2 (en) 2018-08-14 2018-11-29 Headrest locking device
CN201880096706.9A CN112585028B (zh) 2018-08-14 2018-11-29 头枕锁定装置
PCT/KR2018/015018 WO2020036263A1 (en) 2018-08-14 2018-11-29 Headrest loc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877A KR102075553B1 (ko) 2018-08-14 2018-08-14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553B1 true KR102075553B1 (ko) 2020-02-11

Family

ID=6952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877A KR102075553B1 (ko) 2018-08-14 2018-08-14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48421B2 (ko)
KR (1) KR102075553B1 (ko)
CN (1) CN112585028B (ko)
WO (1) WO20200362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297B1 (ko) * 2019-01-21 2020-07-2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64461B1 (en) 1997-03-11 2000-07-26 Martur Sünger ve Koltuk Tesisleri Tic. San. A.S. (Martur Co. Inc.) A headrest for motor vehicle seats, provided with means for a quick height adjustment
JP4435151B2 (ja) 2003-03-20 2010-03-17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固定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KR101231013B1 (ko) * 2011-09-02 2013-02-0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KR20130045404A (ko) * 2010-08-26 2013-05-03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머리 받침대용 래칭 장치
KR101372955B1 (ko) * 2012-11-28 2014-03-12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KR20150000161U (ko) 2013-07-03 2015-01-13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
KR101684319B1 (ko) 2015-11-18 2016-12-0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881056B1 (ko) 2017-07-18 2018-07-24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6341A (en) * 1978-08-19 1981-03-17 Recaro Gmbh & Co. Head support for vehicle seats
FR2755653B1 (fr) * 1996-11-14 1999-01-08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equipe d'une telle glissiere
JP3363078B2 (ja) 1997-04-11 2003-01-0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6464294B1 (en) * 2001-06-08 2002-10-15 Cosco Management, Inc.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seat
KR100592789B1 (ko) * 2004-04-26 2006-06-30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US7887135B2 (en) * 2005-11-14 2011-02-15 Okamura Corporation Headrest device in a chair
CN101797087B (zh) * 2009-02-06 2014-06-18 荷兰商伍轮实业股份有限公司 组合式扣具
DE102010044932B4 (de) * 2010-09-10 2022-12-22 Grammer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für Fahrzeugsitze
KR101327391B1 (ko) * 2012-04-10 2013-11-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10238215B2 (en) * 2012-09-20 2019-03-26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with headrest assembly
DE102013007633B4 (de) * 2013-05-06 2022-01-05 Grammer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mit Verriegelungsvorrichtung
KR102123892B1 (ko) 2014-05-29 2020-06-19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헤드레스트
DE102015011477B4 (de) * 2015-02-20 2023-08-03 Grammer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CN108698528A (zh) * 2016-10-27 2018-10-23 岱美北美汽车股份有限公司 头枕组件
US10829019B2 (en) * 2016-12-28 2020-11-10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Headrest for a vehicle seat
US10576860B2 (en) * 2017-03-27 2020-03-03 Windsor Machine and Stamping (2009) Ltd. Vertically adjustable head restraint
CN207496520U (zh) * 2017-11-06 2018-06-15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头枕解锁机构及汽车座椅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64461B1 (en) 1997-03-11 2000-07-26 Martur Sünger ve Koltuk Tesisleri Tic. San. A.S. (Martur Co. Inc.) A headrest for motor vehicle seats, provided with means for a quick height adjustment
JP4435151B2 (ja) 2003-03-20 2010-03-17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固定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KR20130045404A (ko) * 2010-08-26 2013-05-03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머리 받침대용 래칭 장치
KR101231013B1 (ko) * 2011-09-02 2013-02-0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KR101372955B1 (ko) * 2012-11-28 2014-03-12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KR20150000161U (ko) 2013-07-03 2015-01-13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
KR101684319B1 (ko) 2015-11-18 2016-12-0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881056B1 (ko) 2017-07-18 2018-07-24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6263A1 (en) 2020-02-20
CN112585028B (zh) 2023-01-24
US11548421B2 (en) 2023-01-10
US20210316645A1 (en) 2021-10-14
CN112585028A (zh)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3452B1 (en) Cord lock
JP5333015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のロック構造
JP5260199B2 (ja) コンパクト容器
US20080197659A1 (en) Sunvisor of a Vehicle
JP2013160288A (ja) クリップ
KR102075553B1 (ko)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JP6476804B2 (ja) 綴じ具
US20180168312A1 (en) Hair clip
JP5789438B2 (ja) ラッチ装置
JPH0576429A (ja) スライドレール
JP6332079B2 (ja) カップホルダ
KR101971148B1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102091220B1 (ko)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JP2968490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JP2007008127A5 (ko)
JP3035378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固定装置
WO2014038068A1 (ja) ベルトアジャスター
KR102075552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972509B1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JPH10137072A (ja) アームレスト
JP2667638B2 (ja) Icソケット
JP2016145024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807910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余長吸収装置
JP4395885B2 (ja) ロール紙保持装置
JPH0833536A (ja) 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