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789B1 -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789B1
KR100592789B1 KR1020040028718A KR20040028718A KR100592789B1 KR 100592789 B1 KR100592789 B1 KR 100592789B1 KR 1020040028718 A KR1020040028718 A KR 1020040028718A KR 20040028718 A KR20040028718 A KR 20040028718A KR 100592789 B1 KR100592789 B1 KR 100592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braking
holding
spring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429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04002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789B1/ko
Priority to DE112005000915T priority patent/DE112005000915B4/de
Priority to JP2007510617A priority patent/JP4510883B2/ja
Priority to PCT/KR2005/001197 priority patent/WO2005113286A1/en
Priority to US11/587,739 priority patent/US7543891B2/en
Priority to CNB2005800132387A priority patent/CN100480094C/zh
Publication of KR2005010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6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B60N2/859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rear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인승의 승합차에서 시트의 간격이 서로 타이트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시트의 등판을 좌판위로 눕힐 때 그 상단에 부설되어 있는 헤드레스트가 자동으로 굽혀져 앞 좌석의 상단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헤드레스트를 분리하지 않고도 시트를 눕혀줄 수 있게 한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의 등판 내부에 착설되며 상기 등판의 상부에 노출되게 설치된 헤드레스트가 회동되게 축착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상측부내에 홀딩스프링에 의해 헤드레스트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축착 설치되며 헤드레스트를 수직으로 직립시켜 주면 직립상태로 정지되어 있게 홀딩하는 홀딩부재와, 상기 하우징내의 하측부에 제동스프링에 의해 상기 홀딩부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축착 설치되어 헤드레스트를 홀딩하고 있는 홀딩부재가 회전되지 않게 제동하며 상기 제동스프링의 반발력과 반대 방향으로 당겨져서 회전되면 상기 홀딩부재의 제동을 해제하게 되는 제동부재와, 상기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주게 하우징에 설치되는 메인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Description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bending device for headrests}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 굽힘장치의 적용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2는 동 굽힘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a는 동 굽힘장치에서 하우징을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3b는 동 굽힘장치에서 홀딩부재 및 제동부재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동 굽힘장치의 조립상태의 배면도
도 5a-d는 동 굽힘장치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굽혀지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
도 6a,b는 본 고안 헤드레스트 굽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2 ; 안내홈 13 ; 힌지공
10a ; 브래킷 17 ; 수용홈
20 ; 헤드레스트
21 ; 받침부재 22 ; 스테이로드
23 ; 힌지편 24 ; 힌지축
221 ; 수직부 222 ; 수평축부
30 ; 홀딩부재
32 ; 홀딩홈 33 ; 걸이편
34 ; 홀딩턱 35 ; 홀딩스프링
30a ; 홀딩축
40 ; 제동부재
42 ; 제1 제동턱 43 ; 제2 제동턱
46 ; 제동스프링 40a ; 제동축
40b : 와이어
50 ; 메인스프링
60 ; 하우징케이스
61 ; 슬리브하우징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인승의 승합차에서 차량의 내부 뒤쪽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시트의 등판을 좌판위로 눕힐 때 등판의 상단에 직립되게 부설되어 있는 헤드레스트가 자동으로 굽혀져서 등판과 직교되는 상태로 되게 하는 굽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고차등과 같은 다인승의 승합차에는 탑승인원수에 따라 3인이 함께 앉을 수 있는 시트가 3열 또는 4열등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차량의 내부 뒤쪽에 화물등을 싣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통상 리어시트의 등판을 좌판 위로 눕히거나 또는 시트를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승합차들은 차량의 내부 공간에 비례하여 시트의 배열 간격이 매우 타이트하기 때문에, 화물 적재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리어시트를 들어내지 않고 등판을 눕혀 공간을 확보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 시트의 상단에 부설된 헤드레스트가 앞쪽 시트의 등판에 걸리기 때문에 그대로는 눕힐 수 없어 헤드레스트를 분리한 다음 눕혀 주었다.
그런데, 종래에는 분리한 헤드레스트를 차내에 아무렇게 놓아두는 등 거의 방치하였기 때문에, 보관 또는 취급 등의 잘못으로 인하여 헤드레스트가 더렵혀지거나 훼손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음은 물론 분실하는 경우도 허다하였다.
또한, 리어시트의 등판을 눕히고 세울때마다 헤드레스트를 일일이 분리 또는 재결합하여야 되었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헤드레스트를 분리하지 않고도 리어시트의 등판을 눕히거나 세울 수 있게 함으로써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매우 간편 용이하게 됨은 물론 헤드레스트의 훼손 및 분실등이 방지되게 한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목적은 화물의 적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리어시트의 등판을 눕히게 되면 그 상단에 부설된 헤드레스트가 앞쪽 시트의 등판에 닿기전에 직립상태의 헤드레스트를 자동으로 굽혀서 리어시트의 등판과 직교되는 상태로 되게 굽혀주므로 헤드레스트를 분리하지 않아도 리어시트의 등판을 좌판위로 눕혀줄 수 있게 하는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굽힘장치는 등판을 눕히기 전에는 헤드레스트가 직립상태를 유지토록 하며 등판을 눕히기 위해 전방으로 젖히면 헤드레스트를 자동으로 등판과 직교되는 상태로 굽혀 줌으로써 헤드레스트가 설치된 상태로 좌판 위에 눕혀줄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의 적용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동 굽힘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a는 동 굽힘장치에서 하우징을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동 굽힘장치에서 홀딩부재 및 제동부재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동 굽힘장치의 조립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5a-d는 동 굽힘장치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굽혀지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는 시트(1)의 등판(1a)의 상측부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등판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후면판의 상측에 착설되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에 회전되게 축착되는 헤드레스트(20)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벽 내측에 직교되게 착설되는 브래킷(10a)의 상측부에 축착되어 헤드레스트의 하부를 잡아주는 홀딩부재(30)와, 상기 브래킷의 하측부에 회전되게 축착되며 홀딩부재가 상기 헤드레스트의 하부를 잡아주고 있을 때 홀딩부재를 회전되지 않게 제동하는 제동부재(40)와, 이 제동부재에 의한 제동이 해제되면 상기 헤드레 스트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주게 하우징에 설치되는 메인스프링(50)과, 상기 홀딩부재 및 제동부재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설치되는 홀딩스프링(35) 및 제동스프링(46)을 구비하여 된다.
하우징(10)은 상면과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되는 것으로서, 양 측면 판(11)의 각 상측 중간부분 동일 위치에는 안내홈(12)이 각각 상부로 개구되게 요입 형성되어 있고, 이들 안내홈의 하부 전방측에는 힌지공(1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일 측면판의 안내홈(12)의 하방측에는 걸이공(14)이 저면판(15)의 후단측에는 유통홈(1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중간을 수직으로 가로지르게 브래킷(10a)이 착설되며, 이 브래킷의 상측 중간부분에는 안내홈(12)과 일치하는 동일 선상에 수용홈(17)이 요입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홈의 하측부 소정의 위치에는 고정공(18)(18')과 걸이공(19)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의 전방측에는 걸이홈(19')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12)은 힌지공(13)을 동심원으로 하여 상부가 하부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후단면(121)은 수직으로 형성하는 반면에 전단면(122)과 상기 후단면의 상측부분 사이의 간격(l)은 넓게 하고 하측부분 사이의 간격(l')은 스테이로드(22)의 직경과 비례하는 정도로 좁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전단면의 상하측부분은 만곡된 중간부분(r)에 의해 연결되게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20)가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 즉 90°정도로 회전되었을 때 스테이로드(22)의 수평축부(222)가 전단면(122)의 상측부분에 걸어져 더 이상 회동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헤드레스트(20)는 발포물이 충진된 머리의 받침부재(21)와, 상기 받침부재가 상단에 착설되는 양측 수직부(221) 및 상기 양측 수직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측의 수평축부(222)는 하우징(10)에 회동되게 축결합되는 스테이로드(22)로 이루어진다.
양측 수직부(221)의 상단부분은 등판(1a)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측 수직부의 상단 사이에는 받침부재(21)의 고정판(223)이 가로지르게 고정 착설된다.
그리고, 수평축부(222)의 양측에는 전단에 축공(231)이 형성된 힌지편(23)들이 각각 고정 착설되며, 상기 축공은 양 측면판(11)의 외측에서 힌지공(13)과 일치시킨 다음 힌지축(24)을 각각 축착한다.
따라서, 스테이로드(22)는 힌지축(24)을 축으로 하여 회동되게 하우징(10)에 설치되는 것이며, 아울러 수평축부(222)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직립되면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안내홈(12)과 수용홈(17)의 하측부분을 가로지르는 상태로 진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헤드레스트(20)가 힌지축(24)을 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되면 수평축부(222)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안내홈(12)과 수용홈(17)으로부터 상향 벗어나게 되며, 계속 회동되어 전단면(122)의 상측부분에 걸어지면 더 이상 회동되지 않게 되어 상기 헤드레스트는 수평상태로 정지된다.
한편, 일측의 힌지축(24)에는 메인스프링(50)이 축 결합되며, 이 메인스프링의 만곡된 일단(51)은 수평축부(222)에 걸어주고 타단(52)은 하우징(10)의 일 측면판(11)에 형성된 걸이공(14)에 걸어준다.
이에 따라, 메인스프링(50)의 반발력은 수평축부(222)에 가해져 스테이로드(22)를 힌지축(24)을 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20)가 수직에서 수평으로 굽혀지게 된다.
홀딩부재(30)는 대략 "∪"자 형태를 이루는 판체로 되는 것으로서, 그 중앙에 형성된 축공(31)을 관통하여 브래킷(10a)의 고정공(18)에 일단이 결합 고정되는 홀딩축(30a)에 의해 상기 브래킷의 측면에 축착되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축공(31)을 기준으로 하여 그 직상부의 위치에는 브래킷(10a)의 수용홈(17)과 일치하는 홀딩홈(32)이 수직으로 요입 형성되며, 이 홀딩홈의 후측부 상단에는 걸이홈이 형성된 걸이편(33)이 2단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축공의 직하부 전측위치의 하단에는 홀딩턱(34)이 형성된다.
홀딩축(30a)에는 홀딩스프링(35)이 결합되며, 이 홀딩스프링의 일단(351)은 걸이편(33)에 형성된 걸이홈에 걸어주고, 타단(352)은 브래킷(10a)의 걸이공(19)에 걸어준다.
이렇게 하면, 홀딩스프링(35)의 반발력은 홀딩부재(30)를 헤드레스트(20)와 반대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홀딩부재가 홀딩스프링을 가압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으면 브래킷(10a)의 수용홈(17)에 수용되어 있는 스테이로드(22)의 수평축부(222)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홀딩시켜 주기 때문에 상기 헤드레스트가 수직상태로 정지되어 있게 되며, 상기 홀딩스프링의 반발력이 작용되어 홀딩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수평축부가 메인스프링(50)의 힘에 의해 회동되어 안내 및 수용홈(12)(17)으로부터 벗어날 때 밀어내 주는 작용도 하게 된다.
제동부재(40)는 판체로 되는 것으로서, 전단측에 형성된 축공(41)을 관통하여 고정공(18')에 일단이 결합 고정되는 제동축(40a)에 의해 홀딩부재(30)의 하방에 위치하게 브래킷(10a)의 측면에 축착되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단면의 후단부측에는 홀딩부재(30)의 홀딩턱(34)을 걸어주는 제1 제동턱(4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1제동턱과 소정 간격을 둔 전측에는 제2 제동턱(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2 제동턱측에는 걸이공(44)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제동부재(40)를 당겨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와이어(40b)의 일단을 결속하는 결속편(45)이 형성되어 있다.
일단이 결속편(45)에 결속되는 와이어(40b)는 하우징(10)의 저면판(15)에 형성된 유통홈(16)을 통과하여 그 타단이 일반적으로 등판(1a)을 좌판위로 눕혀주기 전에 그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주도록 상기 등판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레버를 조작하면 등판의 고정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가 제동부재(40)를 당겨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이때, 제동부재(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간격은 홀딩턱(34)이 제1 제동턱(42)에서 벗어나서 제2 제동턱(43)에 걸어지는 정도이며, 상기 홀딩턱이 제2 제동턱에 걸어지면 홀딩부재는 더 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다.
즉, 홀딩부재(30)의 시계방향 회전은 홀딩턱(34)이 제1 제동턱(42)이나 제2 제동턱(4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위치에서 정지되는 것이다.
제동축(40a)에는 제동스프링(46)이 결합되며, 이 제동스프링의 일단(461)은 걸이공(44)에 걸어주고, 타단(462)은 브래킷(10a)의 걸이홈(19')에 걸어준다.
이렇게 하면, 제동스프링(46)의 반발력은 제동부재(40)를 반시계방향, 즉, 홀딩부재(3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되지만, 제1 제동턱(42)에 상기 홀딩부재의 홀딩턱(34)이 걸어져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동부재는 반시계방향으로 또 상기 홀딩부재는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되지 않게 되며, 이때 스테이로드(22)는 도 5a에서와 같이 직립된 상태로 정지되어 있게 된다.
또한, 홀딩부재(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브래킷(10a)의 수용홈(17)과 이 수용홈과 일치하는 상기 홀딩부재의 홀딩홈(32)에 걸어져 있는 스테이로드(22)의 수평축부(222)는 홀딩상태가 해제되며, 이렇게 되면 상기 메인스프링(50)의 반발력의 작용과 상기 홀딩부재의 밀어내는 작용에 의해 헤드레스트(20)는 힌지축(24)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평축부는 수용홈과 홀딩홈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 후에도, 헤드레스트(20)는 메인스프링(50)의 반발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5b-c의 과정을 거쳐 도 5d에서와 같이 그 회전이 정지되면, 상기 헤드레스트는 자동으로 수직에서 수평으로 굽혀져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20)가 수평상태로 굽혀진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게 되는 것은 스테이로드(22)의 수평축부(222)가 양 측면판(11)에 형성된 안내홈(12)의 전단면(122)의 상측부분에 걸어져 더 이상 회전되지 않기 때문이며, 이때 홀딩턱(34)은 제2 제동턱(43)에 걸어지므로 홀딩부재(30)와 제동부재(40)도 회전이 정지된다.
그리고, 헤드레스트(20)가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굽혀지는 시간은 극히 짧은 순간, 즉, 상기 헤드레스트가 앞 시트의 등판 상단에 도달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렇게 되면 상기 헤드레스트는 등판(1a)의 상단에 이 등판과 직교되는 상태로 전방을 향해 굽혀져 있게 되므로 상기 헤드레스트를 분리하지 않아도 상기 등판을 좌판(1b)위로 눕혀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눕혀져 있는 등판(1a)을 일으켜서 세워주면 헤드레스트(20)는 상기 등판의 상단에 수평으로 굽혀진 상태 그대로 있게 되므로, 이때는 상기 헤드레스트를 수동으로 상향 젖혀 주면된다.
이렇게 하면, 스테이로드(22)는 힌지축(24)을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메인스프링(50)은 압축되고, 수평축부(222)는 홀딩홈(32)의 전단부를 하방으로 밀어주면서 이 홀딩홈과 수용홈(17)내로 진입되며, 이에 따라 홀딩부재(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홀딩스프링(35)은 압축된다.
이러한 동작은 홀딩홈(32)의 하부와 수용홈(17)의 하부중심이 서로 일치할 때까지 진행되며, 그 중심이 일치하게 되면 홀딩부재(30)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정지됨과 동시에 수평축부(222)의 중간부위는 상기 홀딩홈와 수용홈이 서로 일치하는 하부내에 위치하게 되고, 또 상기 수평축부의 양측부위는 안내홈(12)의 폭이 좁은 하측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홀딩부재(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홀딩턱(34)이 제동부재(40)의 제2 제동턱(43)으로부터 격리되며, 이렇게 되면 상기 제동부재는 와이어(40b)에 의해 당겨져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압축되었던 제동스프링(46)의 반발력이 작용되어 반시계반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동부재(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간격은 제1 제동턱(42)에 홀딩턱(34)이 걸어져 상기 제동부재와 홀딩부재(30)가 서로 맞물려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도 5a에서와 같이 스테이로드(22)가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가 될 때까지 이며, 이렇게 되면 헤드레스트(20)는 직립된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20)가 직립된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게 되는 것은, 홀딩부재(30)의 홀딩턱(34)이 제동스프링(46)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홀딩부재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축착되어 있는 제동부재(40)의 제1 제동턱(42)에 걸어져 있기 때문이며, 이들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지 않으면 비록 메인스프링(50)의 반발력이 홀딩스프링(35)의 반발력 보다 크다 하여도 상기 헤드레스트는 직립상태로 정지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헤드레스트(20)가 메인스프링(50)의 반발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여도 홀딩부재(30)를 매개로 제동부재(40)에 의해 회전이 제동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홀딩부재의 제동이 해제되지 않는 한 헤드레스트는 회전되지 않게 정지되는 것이다.
도 6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양측의 수직부(221)와 하측의 수평축부(222)가 단일체로 구성된 상기 스테이로드(22)의 구조를 변경하여 받침부재(2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스테이로드(22)는 양측의 수직부(221)와 하측의 수평축부(222)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수직부의 각 하단부는 통상 등판(1a)의 상단 양측부에 착설하는 하우징케이스(60)에 각각 수직으로 장착되는 슬리브하우징(61)에 결합하며, 상기 수평축부의 양단은 하우징케이스의 외면에 용접하여 고정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스테이로드(22)가 슬리브하우징(61)에 수직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결합되는 것이므로 헤드레스트(20)의 높낮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굽힘장치가 리어시트에 설치되는 것을 그 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모든 시트에 장착하여도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헤드레스트(20)가 수직과 수평의 90°정도의 범위내에서 회동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현존하는 승합차의 시트(1)의 배열 간격을 감안하면 상기 범위의 이상으로 회전되게 하지 않아도 등판을 눕혀주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이며, 상기 시트의 배열간격에 따라 그 범위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는, 다인승의 승합차에서 간격이 서로 타이트하게 시트가 설치되어 있어도 시트의 등판을 좌판위로 눕힐 때 그 상단에 부설되어 있는 헤드레스트가 자동으로 굽혀져 앞 좌석의 상단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헤드레스트를 분리하지 않고도 시트를 눕혀줄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를 분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트를 눕혀주는 것이 매우 간편 용이하게 됨은 물론 헤드레스트가 훼손되거나 분실될 염려가 없게 되는 등의 장점도 있다.

Claims (4)

  1. 시트 등판의 내부에 설치되며, 양 측면판(11)의 각 상측에 각각 힌지공(13)을 동심원으로 하여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안내홈(12)과, 내측에 착설되며 상기 안내홈(12)과 일치하는 상측 중간부분에는 수용홈(17)이 형성된 브래킷(10a)을 구비하는 하우징(10)과:
    받침부재(21)가 상단에 착설되는 양측 수직부(221)와 그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축부(222)로 형성되는 스테이로드(22)와, 상기 수평축부(222)의 양쪽에 착설되며 각 전단은 각각의 힌지공(13)에 축착하는 힌지편(23)을 구비하는 헤드레스트(20)와;
    홀딩스프링(35)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헤드레스트(2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브래킷(10a)에 축착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헤드레스트(20)를 직립시켜 주면 안내홈(12)과 수용홈(17)을 가로지르게 되는 수평축부(222)를 걸어주어 직립상태로 정지되어 있게 홀딩하는 홀딩홈(32)과, 하단면에 형성된 홀딩턱(34)을 구비하는 홀딩부재(30)와;
    제동스프링(46)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홀딩부재(3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브래킷(10a)의 하측부에 축착 설치되며, 상단면에는 상기 홀딩부재(30)가 직립상태의 헤드레스트(20)를 홀딩하고 있을 때에는 홀딩턱(34)을 걸어주어 회전하지 않게 제동하는 제동턱(42)이 구비하는 제동부재(40)와;
    일단은 상기 제동부재(40)의 후단에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등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레버에 결속하여 설치되며, 상기 레버를 조작하여 제동부재(40)를 당겨서 제동스프링(46)의 반발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홀딩부재(30)의 제동이 해제되게 하는 와이어(40b)와;
    일단은 상기 수평축부(222)에 걸어지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10)의 일 측면판(11)에 걸어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동부재(40)에 의한 홀딩부재(30)의 제동이 해제되면 반발력이 작용하여 직립상태의 상기 헤드레스트(2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주는 메인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상면과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되는 것으로서, 안내홈(12)은 개방된 상부가 하부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홀딩스프링(35)은, 그 일단은 홀딩부재(30)에 걸어주고 타단은 브래킷(10a)에 걸어주어 설치되며;
    상기 제동부재(40)의 상단면에 형성된 제동턱(42)의 전측에는 상기 홀딩턱(34)이 걸어지면 홀딩부재(30)가 더 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정지시켜 주는 제2 제동턱(43)이 형성되고, 상기 제동스프링(45)의 일단은 제동부재(40)에 걸어주고 타단은 브래킷(10a)에 걸어주어 설치되고;
    상기 메인스프링(50)은 힌지편(23)을 힌지공(13)에 축착하는 힌지축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로드(22)는, 양측의 수직부(221)와 하측의 수평축부(222)가 단일체로 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로드(22)는, 시트 등판의 상단 양측부에 각각 착설하는 하우징케이스(60)에 각각 수직으로 장착되는 슬리브하우징(61)에 하부가 결합되는 양측의 수직부(221)와, 양단이 상기 하우징케이스(60)의 외면에 각각 고정되는 하측의 수평축부(222)로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KR1020040028718A 2004-04-26 2004-04-26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KR100592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718A KR100592789B1 (ko) 2004-04-26 2004-04-26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DE112005000915T DE112005000915B4 (de) 2004-04-26 2005-04-26 Vorrichtung zum Umklappen von Auto-Kopfstützen
JP2007510617A JP4510883B2 (ja) 2004-04-26 2005-04-26 自動車用ヘッドレストを屈める装置
PCT/KR2005/001197 WO2005113286A1 (en) 2004-04-26 2005-04-26 A device for stooping car headrests
US11/587,739 US7543891B2 (en) 2004-04-26 2005-04-26 Device for stooping car headrests
CNB2005800132387A CN100480094C (zh) 2004-04-26 2005-04-26 用于使汽车头枕弯曲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718A KR100592789B1 (ko) 2004-04-26 2004-04-26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555U Division KR200356974Y1 (ko) 2004-04-26 2004-04-26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429A KR20050103429A (ko) 2005-10-31
KR100592789B1 true KR100592789B1 (ko) 2006-06-30

Family

ID=3728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718A KR100592789B1 (ko) 2004-04-26 2004-04-26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92789B1 (ko)
CN (1) CN10048009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529B1 (ko) * 2005-04-25 2006-05-22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KR100849282B1 (ko) * 2007-04-26 2008-07-29 최순봉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101274451B1 (ko) * 2007-11-08 201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090063580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헤드레스트 장치
KR101033493B1 (ko) * 2009-01-21 2011-05-09 한국지엠 주식회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DE102010045128B4 (de) * 2010-09-11 2016-11-10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S9120404B2 (en) * 2011-03-31 2015-09-01 Ts Tech Co., Ltd. Conveyance seat
CN102204759B (zh) * 2011-05-17 2014-03-19 长春富维—江森自控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座椅翻转机构
CN105266458A (zh) * 2015-11-09 2016-01-27 甘超旺 一种沙发头枕铰链
KR101684319B1 (ko) * 2015-11-18 2016-12-0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CN105882478B (zh) * 2016-05-16 2018-08-21 沈阳金杯延锋汽车内饰系统有限公司 一种头枕姿态控制支架及翻折式头枕
KR102075553B1 (ko) * 2018-08-14 2020-02-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6590A (zh) 2007-04-11
CN100480094C (zh) 2009-04-22
KR20050103429A (ko) 2005-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0883B2 (ja) 自動車用ヘッドレストを屈める装置
KR100592789B1 (ko)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JP5709936B2 (ja) 車両用シート
JP4403154B2 (ja) 搭乗者用の保護装置
AU2016287080B2 (en) Device for transporting bicycles
KR101080313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JP2004203098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KR200356974Y1 (ko)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CN112208639A (zh) 运输车及其车架
KR100582529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JP6244847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033493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20120132995A (ko) 타이어보관용 자동수납장치
JP6219289B2 (ja) 駐輪装置
JP3244474U (ja) タイヤ止め具
JP6544794B2 (ja) 昇降式上下二段駐輪装置
KR20120035920A (ko) 열차용 자전거 주차대
JP5864384B2 (ja) ロック機構
JP7190801B2 (ja) シート構造
JP6436709B2 (ja) シートスライドのロック解除構造
KR102180013B1 (ko) 케이블 연결장치
KR20100010173A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JP6544793B2 (ja) 昇降式上下二段駐輪装置
JPH0567592U (ja) 自転車収納装置
JPS5848932Y2 (ja) 駐輪設備における自転車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