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013B1 - 케이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013B1
KR102180013B1 KR1020190099000A KR20190099000A KR102180013B1 KR 102180013 B1 KR102180013 B1 KR 102180013B1 KR 1020190099000 A KR1020190099000 A KR 1020190099000A KR 20190099000 A KR20190099000 A KR 20190099000A KR 102180013 B1 KR102180013 B1 KR 102180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se
coupled
uni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이명수
조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190099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스위치부의 설치 과정에서 당겨지는 케이블의 위치 제어가 용이한 케이블 연결장치 케이블 연결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방향쪽 시트의 폴딩유닛과 연결된 제1케이블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쪽의 스위치부와 연결된 제2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들과 각각 결합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연결부 및 일단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방향쪽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케이블과 탈부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블을 제1방향을 향해 당겨 상기 길이조절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들을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CABLE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을 위해 시트를 폴딩시키는 기능을 제공하여 트렁크 공간을 확장시키거나 차량의 내부에서 탑승자들이 다용도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차량을 이용하는 탑승자들의 캠핑 장비 또는 레저 장비를 위한 확장된 공간의 필요성에 의해 트렁크 공간 및 시트 폴딩을 통한 차량 내부의 공간이 증가하고 있고 차량 역시 세단보다 공간활용이 뛰어난 SUV의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편리하게 차량 내부의 2열 또는 3열시트를 폴딩시켜 트렁크 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시트의 폴딩유닛에서 연장된 케이블과 트렁크쪽에 배치되는 스위치부를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시트프레임의 폴딩유닛을 제어하는 스위치부의 경우 차량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레버를 당겨야하고 그 과정에서 스위치부쪽 케이블이 스위치부쪽을 향해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시트프레임쪽 케이블과 연결작업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7975호는 차량 시트 고정장치용 릴리즈 케이블 결속구조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9620호는 차량용 트렁크리드 래치의 케이블 연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케이블 연결장치의 구조는 스위치부쪽 케이블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구조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스위치부의 설치 과정에서 당겨지는 케이블의 위치 제어가 용이한 케이블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방향쪽 시트의 폴딩유닛과 연결된 제1케이블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쪽의 스위치부와 연결된 제2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들과 각각 결합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연결부 및 일단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방향쪽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케이블과 탈부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블을 제1방향을 향해 당겨 상기 길이조절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들을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각각의 일단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케이블 끝단의 홀더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제1방향을 향해 상기 홀더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판들로 구성되는 홀더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일단은 상기 탄성판들의 타단을 연결한 원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외측 일부분이 제2방향을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케이블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케이블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케이스 및 일단은 상기 제1케이스와 탈부착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유닛을 둘러싸며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길이조절부와 탈부착 결합되는 제2케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는 일단은 중공을 둘러싼 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중공을 둘러싸는 용기 형태로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 상부에는 하부를 향해 돌출된 아치형태의 걸림턱들이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3케이스, 상기 제2케이블의 피복과 결합되고, 외측에는 링 형태의 돌출부들이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걸림턱들 각각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어댑터 및 상기 제3케이스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에 따라 상기 어댑터를 가압하며 상기 제3케이스와 탈부착 결합되는 레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유닛의 제2방향쪽에 밀착되고, 상기 제2케이스와 제1 또는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더 및 일단은 상기 슬라이더와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중공을 지나 상기 어댑터와 밀착되는 스프링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연결장치는 폴딩 시트의 폴딩을 위해 사용되는 스위치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시트프레임의 폴딩유닛과 연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 연결장치는 스위치부를 차량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당겨지는 제2케이블 및 연결유닛을 자동으로 제1케이블쪽으로 이동시켜 작업편의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케이블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케이블 연결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케이블 연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들.
도 5는 도 3의 케이블 연결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연결유닛과 홀더스프링의 착탈구동을 나타내는 모식도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의 사시도들.
도 8은 도 7의 케이블 연결장치를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및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케이블 연결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장치(100)는 연결부(200) 및 길이조절부(400)들을 포함한다.
케이블 연결장치(100)의 일단은 제1케이블(10)을 통해 시트프레임(3)에 결합되어 시트프레임(3)을 폴딩시키거나 시트프레임(3)을 펼쳐서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폴딩유닛(1)과 연결된다.
케이블 연결장치(100)의 타단은 차량의 후방쪽 시트나 트렁크에 배치되고, 연결된 제2케이블(20)을 제2방향(6)을 향해 당기거나 제2방향(6)과 반대 방향인 제1방향(5)을 향해 밀어내는 스위치부(2)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케이블 연결장치(100)를 차량에 설치하는 작업자가 스위치부(2)를 작동시켜 제2케이블(20)을 제2방향(6)을 향해 당기면, 케이블 연결장치(100) 및 제1케이블(10)이 제2방향(6)을 향해 이동하고, 폴딩유닛(1)이 작동한다.
또한, 케이블 연결장치(100)는 제2케이블(20)을 제1방향(5)을 향해 당기고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케이블(10, 20)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어, 제1 및 제2케이블(10, 20)들의 연결 상태가 일정 수준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스위치부(2) 및 케이블 연결장치(100)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시트프레임(3)이 차량에 결합되고 제1케이블(10) 및 제2케이블(20)들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제2케이블(20)의 장력을 유지해야 하는데 케이블 연결장치(100)는 자체적으로 제2케이블(20)을 당기고 고정시키는 기능이 있어서 제1 및 제2케이블(10, 20)들 간의 결합작업이 용이하다.
한편, 스위치부(2)는 차량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스위치부(2)의 레버 안쪽의 볼트를 차량에 결합시키기 위해 스위치부(2)의 레버를 당겨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이미 케이블 연결장치(100)에 고정된 제2케이블(20)이 당겨지고 후술 될 연결유닛(260)이 제2방향(6)으로 이동하여 제1케이블(10)을 연결유닛(260)에 결합시키기 위해 다시 연결유닛(260)을 제1방향(5)쪽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추가된다.
따라서, 후술될 케이블 연결장치(100, 120)는 스위치부(2)를 설치하면서 제2방향(6)으로 당겨지는 연결유닛(260)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1방향(5)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작업편의성을 개선시킨다.
연결부(200)는 제1케이스(220), 제2케이스(210), 홀더(230), 홀더스프링(240), 연결유닛(260) 및 고정스프링(270)들을 포함한다.
제1케이스(220)는 일단은 제1케이블(10)을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제2방향(6)을 향해 확장되며 원통형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 하부에서 제2방향(6)을 향해 상하부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제2케이스(210)의 일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1케이스(220)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걸림턱 결합되고, 타단은 원통형을 유지하며 제2방향(6)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길이조절부(400)와 탈부착 결합된다.
제2케이스(210)의 일단 외측에는 외측을 향해 걸림턱(211)이 돌출된 플레이트 형태의 복수의 걸림부재들이 일단 테두리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2케이스(210)가 제1케이스(220)와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턱(211)들 각각은 제1케이스(220)의 중앙부 안쪽 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2케이스(210)의 타단 외측면을 둘러싸며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걸림턱(213)들 각각의 상부면은 제2방향(6)을 향해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케이스(210)의 타단이 길이조절부(400)의 일단에 삽입되며 결합되는 경우 길이조절부(400)에 형성된 제1홀(415) 및 제2홀(416)들 각각에 삽입된다.
제2케이스(210)의 중앙 일측 및 타측 각각에는 외측면에서 제2케이스(210)의 안쪽까지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홈(214)들이 각각 형성되어 후술 될, 고정스프링(270)의 일부분이 제2케이스(210)의 내부에 삽입된다.
홀더(230)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방향(5, 6)을 향해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1케이블(10)의 끝단에 결합되고, 홀더(230)의 타단은 원기둥 형태로 제2방향(6)을 향해 연장된다.
홀더(23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해당하는 외측면은 홀더(230)의 안쪽을 향해 함몰되어 홀더스프링(240)이 안착될 수 있는 원통형태의 홈이 형성된다.
홀더스프링(240)의 일단은 상기 홈에서 홀더(230)의 제2방향(6)쪽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홀더(230)와 결합되고, 타단은 홀더(230)의 외측면과 이격되며 제1방향(5)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판들 각각이 홀더스프링(240)의 일단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판들 각각의 타단 외측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된 탄성체(242)들이 각각 형성되고, 탄성체(242)들 각각은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이 후술 될 연결유닛(26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홀더(230)를 향해 탄성 이동하여 연결유닛(260)의 내부에 삽입된다.
연결유닛(260)의 일단은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을 둘러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유닛(260)의 일단쪽 내경은 홀더(230)의 일단쪽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거나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홀더스프링(240)의 타단쪽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연결유닛(260)의 타단은 일단 테두리 외측쪽 일부분이 제2방향(6)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원통형으로 연장되고, 제2케이블(20)의 끝단에 연결된 원통형의 핀홀더(22) 및 제2케이블(20)들을 둘러싸며 제2케이블(20)과 결합된다.
연결유닛(260)의 일단 테두리 제2방향(6)쪽 내측면은 상부를 향해 돌출된 아치 형태로 형성되는 스토퍼(262)가 위치하고, 홀더스프링(240)이 연결유닛(260)의 안쪽에 삽입되어 탄성체(242)가 스토퍼(262)와 밀착되면 홀더스프링(240)이 제1방향(5)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연결유닛(260)의 하부에는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이 하부를 향해 이동이 가능한 통로(261)가 형성되고, 연결유닛(260)의 타단 하부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함몰되어 제2케이블(20)이 이동가능한 케이블홈(263)이 형성된다.
따라서,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 각각이 연결유닛(260)의 제1방향(5)쪽으로 삽입되면, 홀더스프링(240)의 타단쪽 탄성체(242)는 스토퍼(262)에 밀착되어 제1방향(5)으로의 이동이 차단되고, 핀홀더(22)가 케이블홈(263)을 통해 연결유닛(260)의 타단쪽 내부로 삽입되면 제1 및 제2케이블(10, 20)들이 서로 연결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스프링(240) 및 핀홀더(22)들이 연결유닛(26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체(242)의 제1방향(5)쪽 끝단 및 핀홀더(22)의 제2방향(6)쪽 배면 사이의 거리는 스토퍼(262) 및 연결유닛(260)의 타단 내측면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또한, 홀더스프링(240) 및 핀홀더(22)들이 연결유닛(26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판들 각각의 일부분은 연결유닛(260)의 제1방향(5)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므로, 핀홀더(22)를 연결유닛(260)에서 분리시킨 후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을 제2방향(6)으로 이동시켜야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을 통로(261)를 통해 연결유닛(260)의 하부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유닛(260)이 제2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고, 스위치부(2)의 레버 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케이블(10, 20)들이 이동하는 상태에서는 홀더(230) 및 핀홀더(22)들이 연결유닛(260)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스프링(270)의 하단부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제2케이스(210)의 삽입홈(214)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제2케이스(210)의 저면에 밀착된다.
고정스프링(270)의 상단부는 하단부의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이 상부 및 삽입홈(214)을 향해 경사지게 각각 연장되고, 제2케이스(210)의 내부에서 절곡되어 각각이 제2케이스(210)의 외측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1케이스(220) 및 제2케이스(210)들이 결합되고, 연결유닛(260)이 제1방향(5)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스프링(270)의 상단부 일부분이 삽입홈(214)으로 삽입되면, 연결유닛(260)의 제2방향(6)쪽 배면이 고정스프링(270)의 상단부와 밀착되어 연결유닛(260)의 제2방향(6)쪽 이동이 제한된다.
고정스프링(270)은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이 연결유닛(26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유닛(260)이 제2방향(6)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시켜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과 연결유닛(260)의 편리한 결합작업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케이스(210)의 타단 하부에는 일단이 제2케이스(210)의 저면에 연결되어 하부를 향해 바 형태로 연장되고, 타단은 일단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서 일측 및 타측 각각을 향해 연장되는 하부돌출부(217)가 형성된다.
제1케이스(220)의 타단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은 제2방향(6)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일부분이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후크(222, 223)들 각각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케이스(220, 210)들 각각이 결합되면 후크(222, 223)들 각각은 하부돌출부(217)의 일단 일측 및 타측을 각각 둘러싸면서 하부돌출부(217)의 제2방향(6)쪽에 배치되어 하부돌출부(217)와 결합된다.
도 3 및 4들을 참조하면, 길이조절부(400)는 제3케이스(410), 레버(420) 및 어댑터(440)들을 포함한다.
길이조절부(400)의 일단은 중공이 형성된 환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부(200)의 타단에 결합되고, 길이조절부(400)의 타단은 용기 형태로 제2방향(6)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타단 상부에는 하부를 향해 돌출된 아치 형태의 복수의 걸림턱(412)들이 제1 또는 제2방향(5, 6)을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3케이스(410)의 일단은 중앙에 제1 또는 제2방향(5, 6)으로 연장된 중공이 형성된 환 형태로 형성되어 제2케이스(210)의 타단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213)들을 통해 제2케이스(210)와 탈부착 결합한다.
제3케이스(410)의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중공의 하부를 둘러싸는 용기형태로 제2방향(6)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제3케이스(410)의 타단 상부에는 하부를 향해 돌출된 아치 형태의 복수의 걸림턱(412)들 각각이 제3케이스(410)의 상부에 돌출된다.
제3케이스(410)의 타단 저면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은 제1 또는 제2방향(5, 6)을 향해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상부를 향해 함몰되어 제3케이스(410)의 타단 저면 양측에는 후술 될 레버(420)의 걸림턱(424, 426)들이 걸쳐지는 측면홈들이 형성된다.
슬롯(419, 418)들 각각의 일단은 제3케이스(410)의 타단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제3케이스(41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후 제2방향(6)을 향해 절곡되고 연장되어 슬롯(419, 418)들 각각과 제3케이스(410)의 사이에는 삽입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레버(420)의 일단은 제3케이스(410)의 일측 및 타측면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3케이스(41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제3케이스(410)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후 제2방향(6)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제3케이스(410)의 타단 상부를 커버한다.
레버(420)의 저면에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돌출부(422)들이 제1 또는 제2방향(5, 6)을 따라 서로 돌출부(442)들 사이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레버(420)의 저면에 배치된다.
레버(420)의 타단 저면의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은 양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하부를 향해 슬롯(418, 419)들 각각의 높이만큼 연장되고, 각각의 하부에는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걸림턱(424, 426)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레버(420)의 일단을 축으로 레버(420)의 타단이 하부를 향해 이동하면, 레버(42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턱(424, 426)들 각각은 슬롯(419, 418)들 각각에 삽입되고, 하강을 지속하면서 슬롯(419, 418)들을 양측으로 밀어내고 걸림턱(424, 426)들 각각의 상부면은 상기 측면홈들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3케이스(410)의 저면과 밀착된다.
어댑터(440)의 일단은 제2케이블(20)을 둘러싸는 원통형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형태의 돌출부(442)들이 제1 또는 제2방향(5, 6)을 따라 걸림턱(412)의 전후방 두께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어댑터(440)의 타단은 원통형으로 제2방향(6)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외경 및 내경이 동시에 확장하면서 제2방향(6)을 향해 연장되어 제2케이블(20)을 둘러싸는 피복과 결합된다.
스위치부(2) 및 시트프레임(3)들이 차량에 결합되고 제2케이블(20) 및 제2케이블(20)을 감싸는 피복이 차량에 배치되면 제2케이블(20) 및 상기 피복의 절곡에 의해 연결유닛(260)이 제2방향(6)쪽으로 당겨지게 되며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과 연결유닛(260) 간의 결합작업이 난해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해당 작업자는 제2케이블(20)의 피복과 결합된 어댑터(440)를 제1방향(5)을 향해 당겨서 제2케이블(20)의 장력을 유지하고, 차량 내에 설치되는 제2케이블(20)의 피복의 절곡된 형태에 의해 제2방향(6)으로 끌어당겨지는 제2케이블(20)을 제1방향(5)으로 당긴 후 어댑터(440)를 고정시켜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과 연결유닛(260)의 결합작업의 편의성이 개선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유닛(260)에서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을 연결유닛(260)에서 분리시키는 경우, 우선적으로 핀홀더(22)를 통로(261)를 통해 하강시켜 연결유닛(260)과 핀홀더(22)를 서로 분리시킨다.
그리고 핀홀더(22)가 분리된 공간을 향해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을 제2방향(6)으로 이동시켜 탄성체(242)가 형성된 탄성판들의 끝단이 통로(261)의 직상방에 배치되면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을 하강시켜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을 연결유닛(260)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케이블 연결장치를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및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120)는 연결부(5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케이블 연결장치(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8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장치(120)는 연결부(500)를 포함한다.
스위치부(2)를 차량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스위치부(2)의 레버를 당기는 구동에 의해 제2케이블(20) 및 연결유닛(260)이 제2방향(6)을 향해 이동하면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과 연결유닛(260)의 결합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케이블 연결장치(120)는 연결부(500) 내부에 스프링을 배치시키고, 스위치부(2)를 차량에 설치하면서 제2방향(6)을 향해 이동하는 연결유닛(260)을 자동으로 제1방향(5)을 향해 이동시켜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과 연결유닛(260)의 결합작업 편의성을 개선한다.
연결부(500)는 슬라이딩홈(512, 513)들, 슬라이더(520) 및 스프링(53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에 개시된 연결부(20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걸림턱(211, 213)들 및 하부돌출부(217)들과 동일한 걸림턱(511, 513)들 및 하부돌출부(517)들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부(500)는 제2케이스(510), 슬라이더(520) 및 스프링(530)들을 포함한다.
제2케이스(510)의 일단은 걸림턱(511)들을 통해 제1케이스(220)의 중앙부에 삽입 및 결합되고, 타단은 연결유닛(260)을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제2방향(6)을 향해 연장되어 걸림턱(513)들을 통해 제3케이스(410)와 탈부착 결합된다.
제2케이스(51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제1 또는 제2방향(5, 6)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바 형태의 제2케이스(510)의 양측면 일부분이 제2케이스(510)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제2케이스(51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슬라이딩홈(512, 513)들이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더(520)의 중앙부는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이 제1 또는 제2방향(5, 6)을 향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케이스(510)의 내부공간에서 연결유닛(260)의 제2방향(6)쪽에 배치된다.
슬라이더(520)의 상단부는 슬라이더(520)의 중앙 일측 및 타측에 각각에서 슬라이딩홈(512, 513)들 각각을 지나 각각 외부로 연장되며,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2케이스(510)의 외부를 둘러싸면서 제2케이스(510)의 상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슬라이더(520)는 제2케이스(510)의 내부공간에서 제1 또는 제2방향(5, 6)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작업자는 슬라이더(520)의 상단부를 제1방향(5)을 향해 밀어내어 연결유닛(260)을 제1방향(5)쪽으로 이동시킨 후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을 연결유닛(26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스프링(530)의 일단은 제2케이스(510)의 내부에서 제2케이블(20)을 둘러싸면서 슬라이더(520)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방향(6)을 향해 연장되어 제3케이스(410)의 일단에 형성된 중공을 지나 어댑터(440)의 일단과 결합된다.
따라서, 어댑터(440)가 레버(420)에 의해 길이조절부(400)에 고정되고, 스위치부(2)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제2방향(6)을 향해 당겨지는 연결유닛(260)은 스위치부(2)가 설치된 후 스프링(530)에 의해 자동으로 제1방향(5)을 향해 이동하므로 홀더(230) 및 홀더스프링(240)들과 연결유닛(260)을 서로 연결시키는 작업편의성이 개선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케이블 연결장치 200, 500: 연결부
400: 길이조절부

Claims (6)

  1. 제1방향쪽 시트의 폴딩유닛과 연결된 제1케이블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쪽의 스위치부와 연결된 제2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들과 각각 결합되는 연결유닛 및 일단은 상기 제1케이스와 탈부착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유닛을 둘러싸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연결부; 및
    일단은 중공을 둘러싼 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케이스의 제2방향쪽에 탈부착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중공을 둘러싸는 용기 형태로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 상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된 아치형태의 걸림턱들이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3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블의 피복과 탈부착 결합되고 외측에는 링 형태의 돌출부들이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걸림턱들 각각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길이조절부;
    상기 제2케이블을 제1방향을 향해 당겨 상기 길이조절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들을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시키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유닛의 제2방향쪽에 밀착되고, 상기 제2케이스와 제1 또는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더 및 일단은 상기 슬라이더와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중공을 지나 상기 어댑터와 밀착되는 스프링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각각의 일단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케이블 끝단의 홀더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제1방향을 향해 상기 홀더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판들로 구성되는 홀더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일단은 상기 탄성판들의 타단을 연결한 원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외측 일부분이 제2방향을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케이블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3케이스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에 따라 상기 어댑터를 가압하며 상기 제3케이스와 탈부착 결합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장치.

  6. 삭제
KR1020190099000A 2019-08-13 2019-08-13 케이블 연결장치 KR10218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000A KR102180013B1 (ko) 2019-08-13 2019-08-13 케이블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000A KR102180013B1 (ko) 2019-08-13 2019-08-13 케이블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013B1 true KR102180013B1 (ko) 2020-11-17

Family

ID=7364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000A KR102180013B1 (ko) 2019-08-13 2019-08-13 케이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0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394Y1 (ko) * 2003-12-16 2004-06-10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기어변속케이블의 길이조정 취부소켓
JP2006038217A (ja) * 2004-06-23 2006-02-09 Nippon Cable Syst Inc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中継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394Y1 (ko) * 2003-12-16 2004-06-10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기어변속케이블의 길이조정 취부소켓
JP2006038217A (ja) * 2004-06-23 2006-02-09 Nippon Cable Syst Inc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中継接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0883B2 (ja) 自動車用ヘッドレストを屈める装置
US8061777B2 (en) System for seat-actuated head rest extension and retraction
JP4092189B2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KR101080313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KR101518644B1 (ko)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KR102180013B1 (ko) 케이블 연결장치
KR101404478B1 (ko)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JP5131277B2 (ja) ケーブル連結構造
US11754105B2 (en) Connecting device for cables
KR20050103429A (ko)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KR100582529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JP2007186105A (ja) 車両用シートの操作部材配置構造
CN104553905B (zh) 儿童汽车安全座
KR101033493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JP2020535076A (ja) ヘッドレスト調節装置
JP4640271B2 (ja) 車両用シートのケーブル連結構造
JPH08100882A (ja) 支持体の上に装置を固定する機器
KR20120008926A (ko) 이동가능한 버스 손잡이
JP2001190357A (ja) 自動車のルームハンガー装置
KR102250752B1 (ko) 케이블 연결장치
JP5206219B2 (ja) 車両用シートのテーブル構造
KR101716968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4929974B2 (ja) 車両用シート
JP5857919B2 (ja) ロック機構
KR102220040B1 (ko)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