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752B1 - 케이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752B1
KR102250752B1 KR1020200038064A KR20200038064A KR102250752B1 KR 102250752 B1 KR102250752 B1 KR 102250752B1 KR 1020200038064 A KR1020200038064 A KR 1020200038064A KR 20200038064 A KR20200038064 A KR 20200038064A KR 102250752 B1 KR102250752 B1 KR 102250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ble
coupled
locking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이명수
조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200038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내부의 부품의 조작이 용이하여 신속하고 안정적인 조립이 가능한 케이블 연결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연결장치는 상기 제1 케이블의 상기 제2 방향쪽 끝단에 결합된 커넥팅부, 상기 제2 케이블의 상기 제1 방향쪽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팅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커넥팅부의 상기 제1 방향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1 방향쪽 양측내측면에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 및 타측에는 제1 또는 제2 방향을 향해 연장된 일부분이 서로를 향해 돌출되어 외측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안쪽에는 슬라이더가 형성되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2 방향쪽에 해당하는 상기 제3 케이스의 일부분은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제3 케이스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의 상기 제2 방향쪽 이동을 제한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CABLE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후방에 위치한 시트들은 트렁크의 공간 확대를 위해 폴딩되도록 제작되고, 탑승자는 트렁크쪽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시트를 폴딩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시트들을 차량에 설치하고, 트렁크쪽에 형성된 스위치에서 연장되는 케이블과 시트의 시트프레임에 형성된 폴딩유닛에서 연장되는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케이블 연결장치가 사용된다.
하지만, 기존의 케이블 연결장치는 케이블의 장력 및 작업위치때문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조작이 어려워 신속한 조립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7975호는 차량 시트 고정장치용 릴리즈 케이블 결속구조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9620호는 차량용 트렁크리드 래치의 케이블 연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케이블 연결장치의 구조는 신속한 조립이 가능한 구조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내부의 부품의 조작이 용이하여 신속하고 안정적인 조립이 가능한 케이블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방향쪽의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쪽의 제2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장치는 상기 제1 케이블의 상기 제2 방향쪽 끝단에 결합된 커넥팅부, 상기 제2 케이블의 상기 제1 방향쪽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팅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커넥팅부의 상기 제1 방향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1 방향쪽 양측내측면에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 및 타측에는 제1 또는 제2 방향을 향해 연장된 일부분이 서로를 향해 돌출되어 외측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안쪽에는 슬라이더가 형성되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2 방향쪽에 해당하는 상기 제3 케이스의 일부분은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제3 케이스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의 상기 제2 방향쪽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제3케이스는 일단은 상기 제2 케이블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확장되며 연장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를 둘러싸며, 일측 및 타측에는 돌기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되는 측면홈이 형성되는 걸림바디 및 일단은 상기 걸림바디의 상기 제1 방향쪽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연장된 후 양측으로 분기되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걸림유닛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팅부는 일단은 상기 제1 케이블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 하부에서 상기 걸림유닛의 타단 하부를 지나 상기 걸림유닛의 일단 양측면을 둘러싸며 상부를 향해 갈고리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유닛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및 돌기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케이스의 타단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제1 방향쪽 끝단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제3 케이스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3 케이스의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연결장치는 걸림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3 케이스가 제2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걸림부의 이동 제어가 용이하여 걸림부 및 커넥팅부의 연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 연결장치는 제3 케이스 및 걸림부를 최대한 제2 케이스와 이격되도록 배치가 가능하면서 제2 케이스가 제3 케이스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 연결장치의 조립용이성이 개선된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 및 3들은 도 1의 케이블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들.
도 4는 도 1의 케이블 연결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케이블 연결장치를 절단한 단면도들.
도 6은 도 1의 케이블 연결장치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3들은 도 1의 케이블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장치(100)는 커넥팅부(200), 제1 케이스(300), 걸림부(400), 제2 케이스(500) 및 제3 케이스(600)를 포함한다.
케이블 연결장치(100)의 일단은 제1 케이블(10)을 통해 제1 방향(1)쪽에 위치하는 시트프레임의 폴딩유닛에 결합되고, 케이블 연결장치(100)의 타단은 제2 케이블(20)을 통해 제1 방향(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2)쪽에 위치한 스위치부와 연결된다.
스위치부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트렁크쪽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조작을 통해 연결된 제2 케이블(20) 안쪽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는 제2 방향(2)을 향해 이동하거나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한다.
케이블 연결장치(100)를 차량에 설치하는 작업자 또는 탑승자가 상기 스위치부를 작동시켜 제2 케이블(20)을 제2 방향(2)을 향해 당기면, 제1 케이블(10) 안쪽의 제1와이어가 제2 방향(2)을 향해 이동하면서 폴딩유닛이 작동한다.
상기 폴딩유닛이 제1 케이블(10)의 이동으로 작동하면 상기 시트프레임이 폴딩되거나 언폴딩(Unfolding)되므로, 탑승자는 트렁크쪽에서 편리하게 상기 시트프레임을 폴딩 또는 언폴딩 시킬 수 있다.
커넥팅부(200)는 커넥팅바디(205), 제1 삽입홈(201), 제2 삽입홈(202), 제1 슬라이딩홈(203) 및 제1 슬라이딩홈(204)들을 포함한다.
커넥팅부(200)의 일단은 제1 케이블(10)의 타단에 해당하는 제2 방향(2)쪽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걸림부(400)의 일부분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커넥팅바디(205)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케이블(1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하부 일부분이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된 후 타단의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갈고리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삽입홈(201)은 커넥팅바디(205)의 중앙 상부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된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해당하는 커넥팅바디(205)의 하부 내측면은 곡면이 하부를 향하는 반기둥 형태로 함몰된다.
제2 삽입홈(202)은 제1 삽입홈(201)의 제2 방향(2)쪽 커넥팅바디(205)의 상부면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제1 삽입홈(201)과 커넥팅바디(205)의 제2 방향(2)쪽 외부공간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제2 삽입홈(202)은 제1 삽입홈(201)보다 상대적으로 좌우폭이 좁게 형성되므로, 제1 삽입홈(201) 안쪽의 커넥팅바디(205)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들 사이의 거리는 제2 삽입홈(202) 안쪽의 커넥팅바디(205)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들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커넥팅바디(205)의 타단은 제2 삽입홈(20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제1 삽입홈(201)의 제2 방향(2)쪽을 둘러싸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부(400)의 일부분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슬라이딩홈(203)은 커넥팅바디(205)의 제1 방향(1)쪽 끝단 및 제2 방향(2)쪽 끝단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팅바디(205)의 일측면 일부분이 제1 삽입홈(20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
제2 슬라이딩홈(204)은 커넥팅바디(205)의 제1 방향(1)쪽 끝단 및 제2 방향(2)쪽 끝단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팅바디(205)의 타측면 일부분이 제1 삽입홈(20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
제1 케이스(300)는 케이스바디(305), 커버판(310), 하부판(320), 제1 돌출부(330), 가이드(340, 345)들 및 브라켓부(350)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300)의 일단은 제1 케이블(10)을 커버하는 보호커버와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방향(2)을 향해 캡 형태로 연장되어 커넥팅부(200)를 둘러싸며, 제2 케이스(500)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바디(305)의 일단은제1 케이블(10)을 커버하는 보호커버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내부의 제1 공간(301)이 제2 방향(2)을 향해 개방된 캡 형태로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된다.
커버판(310)의 일단부는 케이스바디(305)의 타단 테두리의 하부를 제외한 외측 일부분이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커버판(310)은 제1 및 제2 케이스(300, 50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케이스(500)의 제1 방향(1)쪽 일부분을 커버하고, 제2 케이스(500)의 표면과 연결되어 평면을 형성한다.
커버판(310)의 타단의 일측 및 타측 테두리 일부분은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고, 타단의 일측 및 타측에는 커버판(310)의 타단 일측면 및 타측면에 해당하는 사각형 형태의 일부분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및 제2 결속홈(352, 355)들이 형성된다.
하부판(320)의 일단은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표면이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바디(305)의 타단 하부 테두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1 돌출부(330)의 하단부는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제1 공간(301)의 하부에 해당하는 케이스바디(305)의 하부 내측면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양측면이 축소되며 연장되어 양측면은 하단부의 양측면과 연결된 경사면이 형성된다.
제1 돌출부(330)의 상단부는 곡면이 하부를 향하고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반원기둥 형태로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안착홈(332)이 형성되고, 커넥팅바디(205)가 제1 공간(301)에 삽입되면, 커넥팅바디(205)의 저면이 안착홈(332)에 안착된다.
가이드(340)의 일단은 제1 공간(301)의 내부에서 케이스바디(305)의 제1 방향(1)쪽 일측 내측면에 원기둥 스틱 형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제1 돌출부(330)의 제2 방향(2)쪽 끝단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가이드(345)의 일단은 제1 공간(301)의 내부에서 케이스바디(305)의 제1 방향(1)쪽 타측 내측면에 원기둥 스틱 형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제1 돌출부(330)의 제2 방향(2)쪽 끝단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부(35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수직 절곡되고 연장되어 하부판(320)의 저면과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커넥팅바디(205)의 저면이 안착홈(332)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이드(340, 345)들 각각은 제1 슬라이딩홈(203, 204)들 각각에 삽입되어 커넥팅바디(205)의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하는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가이드(340, 345)들 각각은 제1 및 제2 케이스(300, 500)들이 서로 결합되고, 케이블 연결장치(100)가 차량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커넥팅바디(205)가 회전하면서 걸림부(400)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걸림부(400)는 걸림바디(405) 및 걸림유닛(410)을 포함한다.
걸림부(400)의 일단은 제2 케이스(500)의 내부에서 제2 케이블(20)의 보호커버 안쪽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커넥팅부(20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걸림바디(405)의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케이스(500)의 안쪽에서 제2 케이스(50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제2와이어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측면홈(430)은 걸림바디(405)의 제1 방향(1)쪽 끝단 및 제2 방향(2)쪽 끝단 사이를 연결하는 걸림바디(405)의 일측면 일부분이 걸림바디(405)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
측면홈(432)은 걸림바디(405)의 제1 방향(1)쪽 끝단 및 제2 방향(2)쪽 끝단 사이를 연결하는 걸림바디(405)의 타측면 일부분이 걸림바디(405)의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
걸림유닛(410)은 연결축(411) 및 연결스틱(412)을 포함한다.
걸림유닛(410)의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바디(405)의 제1 방향(1)쪽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일측 및 타측을 향해 각각 분리되며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T'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연결축(111)의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바디(405)의 타단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연결스틱(412)의 외측 중앙에 결합된다.
연결스틱(412)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스틱(412)의 제2 방향(2)쪽 외측 중앙은 연결축(411)의 타단과 연결된다.
제2 케이스(500)는 케이스프레임(510), 가이드판(515), 걸림턱부(520, 530)들 및 스토퍼(540, 550)들을 포함한다.
제2 케이스(500)의 일단은 제2 케이블(20)을 둘러싸는 보호커버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걸림부(400)를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케이스프레임(510)의 일단은 내부의 제2 공간(501)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개방된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제2 케이블(20)을 둘러싸고, 타단은 일단에서 내부의 제2 공간(501)을 둘러싸는 원통형 캡 형태로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된다.
가이드판(515)의 일단부는 케이스프레임(510)의 타단 테두리의 제2 공간(501)쪽 안쪽의 일부분이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커버판(3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케이스(300, 500)들이 서로 결합되면, 커버판(310)의 내측면이 가이드판(515)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커버판(310)의 제2 방향(2)쪽 테두리는 케이스프레임(510)의 제1 방향(1)쪽 테두리에 밀착되면, 커버판(310)의 외측면과 케이스프레임(510)의 외측면이 서로 연결되어 평면으로 형성된다.
걸림턱부(520)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프레임(510)의 타단 일측 테두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의 외측면 일부분은 케이스프레임(510)의 일측을 향해 걸림턱 형태로 돌출되어 경사면(521) 및 평면(522)이 형성된다.
걸림턱부(520)의 타단은 제1 및 제2 케이스(300, 500)들이 서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결속홈(352)에 삽입되고, 평면(522)은 제1 결속홈(352)의 제2 방향(2)쪽에서 커버판(310)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경사면(521)은 커버판(310)의 일측에 노출된다.
걸림턱부(530)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프레임(510)의 타단 타측 테두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의 외측면 일부분은 케이스프레임(510)의 타측을 향해 걸림턱 형태로 돌출되어 경사면(531) 및 평면(532)이 형성된다.
걸림턱부(530)의 타단은 제1 및 제2 케이스(300, 500)들이 서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방향(1)으로 이동하여 제2 결속홈(355)에 삽입되고, 평면(532)은 제2 결속홈(355)의 제2 방향(2)쪽에 해당하는 커버판(310)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경사면(531)은 커버판(310)의 타측에 노출된다.
스토퍼(540)는 케이스프레임(510)의 타단 제2 공간(501) 내부의 일측 내측면의 일부분이 제2 공간(50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방향(2)쪽 끝단 일부분이 제1 방향(1)쪽 끝단 일부분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되어 스토퍼(540)의 제1 방향(1)쪽에는 케이스프레임(510)의 내측면에서 스토퍼(540)의 제2 방향(2)쪽 끝단까지 연장되는 경사면(542)이 형성된다.
스토퍼(550)는 케이스프레임(510)의 타단 제2 공간(501) 내부의 타측 내측면의 일부분이 제2 공간(50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방향(2)쪽 끝단 일부분이 제1 방향(1)쪽 끝단 일부분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되어 스토퍼(540)의 제1 방향(1)쪽에는 케이스프레임(510)의 내측면에서 스토퍼(550)의 제2 방향(2)쪽 끝단까지 연장되는 경사면(552)이 형성된다.
스토퍼(540, 550)들 각각은 제2 케이스(500)의 내부에 제3 케이스(6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3 케이스(600)의 일측 및 타측에 일부분이 삽입되고, 제3 케이스(600)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3 케이스(60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한다.
제3 케이스(600)는 케이스본체(605), 돌기(610, 620)들 및 제2 슬라이딩홈(612, 622)들을 포함한다.
제3 케이스(600)의 일단은 제2 케이블(20)의 외부에 형성된 보호커버(22)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걸림부(400)와 결합되며, 제2 케이스(500)의 내부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2 케이스(5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본체(605)의 일단은 제2 케이블(20)의 보호커버(22)를 둘러싸며 보호커버(22)와 결합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확장되면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걸림부(400)의 외측을 둘러싼다.
제2 및 제3 케이스(500, 60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본체(605)의 일단은 제2 케이스(500)의 제2 방향(2)쪽 외부에 배치되고, 케이스본체(605)의 타단은 제2 케이스(5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케이스본체(605)의 일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케이스본체(605)의 일단을 제1 방향(1)을 향해 밀어내면 제2 케이블(20) 및 걸림부(400)가 제1 방향(1)으로 이동하여 편리하게 걸림부(400)를 커넥팅부(20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슬라이딩홈(612)은 케이스본체(605)의 일측 일단 및 타단 사이를 연결하는 외측면 일부분이 케이스본체(605) 내부의 제3 공간(601)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2 및 제3 케이스(500, 600)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스토퍼(540)가 제2 슬라이딩홈(612)에 삽입된다.
제2 슬라이딩홈(622)은 케이스본체(605)의 타측 일단 및 타단 사이를 연결하는 외측면 일부분이 케이스본체(605) 내부의 제3 공간(601)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2 및 제3 케이스(500, 600)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스토퍼(550)가 제2 슬라이딩홈(622)에 삽입된다.
제2 슬라이딩홈(612, 622)들이 각각 형성되면서 제3 케이스(600)의 안쪽 일부분이 제3 케이스(600)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바디(405)의 측면홈(430, 432)들 각각에 삽입되는 슬라이더가 각각 형성된다.
도 4는 도 1의 케이블 연결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케이블 연결장치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케이블 연결장치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들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610)의 일단은 제2 슬라이딩홈(612)의 제2 방향(2)쪽 안쪽에 해당하는 일부분이 케이스본체(605)의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기(610)의 제1 방향(1)쪽 끝단이 제2 방향(2)쪽 끝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돌출되어 돌기(610)의 제2 방향(2)쪽에는 케이스본체(605)의 내측면에서 돌기(610)의 제1 방향(1)쪽 끝단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614)이 형성된다.
돌기(620)의 일단은 제2 슬라이딩홈(622)의 제2 방향(2)쪽 안쪽에 해당하는 일부분이 케이스본체(605)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기(620)의 제1 방향(1)쪽 끝단이 제2 방향(2)쪽 끝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돌출되어 돌기(620)의 제2 방향(2)쪽에는 케이스본체(605)의 내측면에서 돌기(620)의 제1 방향(1)쪽 끝단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624)이 형성된다.
도 4 내지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부(200) 및 걸림부(400)가 서로 결합되고, 제1 및 제2 케이스(300, 50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3 케이스(600)의 일단은 제2 케이스(500)의 제2 방향(2)쪽 외부에 배치된다.
케이스프레임(510)의 일단 테두리는 제2 공간(501)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케이스본체(605)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확장되는 케이스본체(605)의 타단 제2 방향(2)쪽 외측면을 둘러싼다.
따라서, 케이스본체(605)는 제2 공간(5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스프레임(510)의 일단 테두리에 의해 제2 방향(2)을 향한 이동이 제한되고, 제1 및 제2 케이스(300, 50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케이스(50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1 및 제2 케이스(300, 50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돌기(610, 620)들 각각은 제2 슬라이딩홈(612, 622)들 각각의 내부에서 스토퍼(540, 550)들 각각보다 상대적으로 제2 방향(2)쪽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케이스(300, 500)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스본체(605)는 돌기(610, 620)들 각각 및 스토퍼(540, 550)들 각각의 사이의 거리만큼 제1 방향(1)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케이스(300, 50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판(310)의 내측면은 가이드판(515)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커버판(310)의 외측면은 케이스프레임(510)의 외측면과 평면을 형성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걸림부(400)를 커넥팅부(200)에 결합시키는 제1 단계는 케이스본체(605)의 일단을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시켜 걸림부(400), 제2 케이블(20) 및 보호커버(22)를 제1 방향(1)으로 이동시킨 후, 커넥팅부(200)의 상부에서 연결스틱(412)을 커넥팅바디(205)를 향해 하강 이동시켜 연결스틱(412)을 제1 삽입홈(201)에 삽입시킨다.
케이스본체(605)의 일단을 파지하면 보호커버(22)가 수축하면서 상기 제2와이어를 압박하고, 보호커버(22)가 상기 제2와이어를 압박한 상태에서 케이스본체(605)를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시키면 걸림부(400) 및 케이스본체(605)가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한다.
케이스본체(605)가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면 돌기(610, 620)들 각각은 스토퍼(540, 550)들 각각과 밀착되어 이동이 제한되고, 제3 케이스(600) 및 제2 케이스(500)의 분리가 방지된다.
케이스본체(605)가 제1 방향(1)으로 이동가능한 거리는 돌기(610, 620)들 및 스토퍼(540, 550)들 각각의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고, 연결스틱(412)이 안정적으로 제1 삽입홈(201)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케이스프레임(510)의 타단이 케이스본체(605)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제2 방향(2)쪽에 배치되어 제1 케이스(300) 및 제2 케이스(500)들 사이의 충돌이 방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돌기(610, 620)들 각각 및 스토퍼(540, 550)들 각각의 사이의 거리는 제1 및 제2 케이스(300, 50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본체(605)의 타단 및 케이스프레임(510)의 타단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단계는 연결스틱(412)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연결축(411)을 하강시키고, 연결축(411)을 제2 삽입홈(202)에 삽입시켜 걸림부(400)의 일부분을 커넥팅부(200)에 결합시킨다.
제3 단계는 케이스프레임(510)을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켜 걸림턱부(520, 530)들 각각을 제1 및 제2 결속홈(352, 355)들 각각으로 삽입시켜 제1 및 제2 케이스(300, 500)들을 서로 결합시킨다.
따라서, 케이블 연결장치(100)는 연결스틱(412)을 제1 삽입홈(210)에 삽입 시키고, 제2 케이스(500)를 하강시킨 후 제2 케이스(500)의 이동을 통해 간편하게 제1 및 제2 케이블(10, 20)들을 연결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3 케이스(600)를 통해 걸림부(400)를 제2 케이스(500)의 제1 방향(1) 쪽에 편리하게 돌출시켜 걸림부(400) 및 커넥팅부(200)들의 연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케이블(10, 20)들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케이스(300, 500)들을 서로 분리시킨 후 제2 케이스(500)의 일단을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작업만으로 스토퍼(540, 550)들을 통해 제2 케이스(500) 및 걸림부(400)가 동시에 상승하여 연결스틱(412)을 제1 삽입홈(201)에서 분리하기 용이한 상태로 편리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케이블 연결장치 200: 커넥팅부
300: 제1케이스 400: 걸림부
500: 제2케이스

Claims (6)

  1. 제1 방향쪽의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쪽의 제2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의 상기 제2 방향쪽 끝단에 결합된 커넥팅부;
    상기 제2 케이블의 상기 제1 방향쪽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팅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커넥팅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1 방향쪽 양측내측면에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 및 타측에는 제1 또는 제2 방향을 향해 연장된 일부분이 서로를 향해 돌출되어 외측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안쪽에는 슬라이더가 형성되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2 방향쪽에 해당하는 상기 제3 케이스의 일부분은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제3 케이스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의 상기 제2 방향쪽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케이스는,
    일단은 상기 제2 케이블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확장되며 연장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를 둘러싸며, 일측 및 타측에는 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되는 측면홈이 형성되는 걸림바디 및 일단은 상기 걸림바디의 상기 제1 방향쪽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연장된 후 양측으로 분기되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걸림유닛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는,
    일단은 상기 제1 케이블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 하부에서 상기 걸림유닛의 타단 하부를 지나 상기 걸림유닛의 일단 양측면을 둘러싸며 상부를 향해 갈고리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유닛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및 돌기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케이스의 타단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제1 방향쪽 끝단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3 케이스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3 케이스의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장치.












KR1020200038064A 2020-03-30 2020-03-30 케이블 연결장치 KR10225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064A KR102250752B1 (ko) 2020-03-30 2020-03-30 케이블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064A KR102250752B1 (ko) 2020-03-30 2020-03-30 케이블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752B1 true KR102250752B1 (ko) 2021-05-11

Family

ID=7591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064A KR102250752B1 (ko) 2020-03-30 2020-03-30 케이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7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7315U (ko) * 1985-10-31 1987-05-18
JPH0522830U (ja) * 1991-09-05 1993-03-26 中央発條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結合具
JPH0532820U (ja) * 1991-10-07 1993-04-30 中央発條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連結構造
JP2014009708A (ja) * 2012-06-27 2014-01-20 Nhk Spring Co Ltd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7315U (ko) * 1985-10-31 1987-05-18
JPH0522830U (ja) * 1991-09-05 1993-03-26 中央発條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結合具
JPH0532820U (ja) * 1991-10-07 1993-04-30 中央発條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連結構造
JP2014009708A (ja) * 2012-06-27 2014-01-20 Nhk Spring Co Ltd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連結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06082A1 (en) Retractable handle arrangement
EP3356626B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JP4344883B2 (ja) ロック装置を備えたキャブリオレのルーフ
US20080100103A1 (e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switch cover for an automotive armrest
US7780218B2 (en) Locking device for a convertible top
KR102250752B1 (ko) 케이블 연결장치
US20220079344A1 (en) Folding seat
CN111827808A (zh) 低型把手组件
JP4597703B2 (ja) オープンカーのルーフロック装置
KR102233493B1 (ko) 케이블 연결장치
US9156380B2 (en) Vehicle seat of type having upwardly foldable seat cushion
KR102237817B1 (ko) 케이블 연결장치
JP6091005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6151293A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
KR101189327B1 (ko) 안전기구를 가지는 문손잡이
JP3775627B2 (ja) 容器
CN102268947B (zh) 门窗
JP6473181B2 (ja) 車両用シートおよび車両
KR102180013B1 (ko) 케이블 연결장치
JP6168698B2 (ja) 車両用シート
JP6642265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JP5241390B2 (ja) コンパクト容器
CN211166687U (zh) 车辆用控制台
KR100510297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JP6642829B2 (ja) 車両用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