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056B1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056B1
KR101881056B1 KR1020170090826A KR20170090826A KR101881056B1 KR 101881056 B1 KR101881056 B1 KR 101881056B1 KR 1020170090826 A KR1020170090826 A KR 1020170090826A KR 20170090826 A KR20170090826 A KR 20170090826A KR 101881056 B1 KR101881056 B1 KR 101881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plate
case
elastic
disposed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7009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056B1/ko
Priority to CN201880046064.1A priority patent/CN110869242B/zh
Priority to US16/624,137 priority patent/US10974632B2/en
Priority to PCT/KR2018/008050 priority patent/WO201901766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락플레이트와 케이스 사이에는 탄성리브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의 슬라이딩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락플레이트에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탄성리브의 양단 사이에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상기 케이스에 접촉되고, 상기 탄성리브의 양단은 상기 굴곡부가 접촉되는 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의 유격을 없애는 동시에 상기 락플레이트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이동장치{Headrest Moving Devic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락플레이트와 케이스 사이에는 탄성리브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의 슬라이딩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락플레이트에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탄성리브의 양단 사이에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상기 케이스에 접촉되고, 상기 탄성리브의 양단은 상기 굴곡부가 접촉되는 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83094호(특허문헌 1)에는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부가 형성되는 미들커버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치형이 배치되는 락킹 커버와, 상기 미들 커버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치형에 삽입되는 락핀이 설치되는 락핀 플레이트와, 스테이로드의 수직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 커버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락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락플레이트와,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락핀 플레이트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락플레이트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커버는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가 나타나 있다.
특허문헌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상기 락플레이트를 상기 버튼으로 눌러서 슬라이딩시켜서 상하방향 로킹을 해제하여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락플레이트와 커버 사이에 리브를 형성하여 상기 락플레이트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커버와 락플레이트의 치수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리브를 형성하더라도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8309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락플레이트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며, 스테이로드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락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탄성리브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의 슬라이딩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락플레이트에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탄성리브의 양단 사이에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상기 케이스에 접촉되고, 상기 탄성리브의 양단은 상기 굴곡부가 접촉되는 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리브 반대쪽에는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리브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리브는 켄틸레버 형태로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리브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기 탄성리브가 연결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플레이트를 누르는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젤부와, 상기 버튼부를 복귀시키는 버튼복귀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와 상기 버튼복귀스프링 사이 또는 상기 베젤부와 상기 버튼복귀스프링 사이에는 범퍼가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락플레이트와 케이스 사이에는 탄성리브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의 슬라이딩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락플레이트에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탄성리브의 양단 사이에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상기 케이스에 접촉되고, 상기 탄성리브의 양단은 상기 굴곡부가 접촉되는 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의 유격을 없애는 동시에 상기 락플레이트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탄성리브를 상기 케이스에 형성할 때보다 구조가 단순해진다.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락플레이트가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락플레이트가 스테이로드의 걸림홈에 더욱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다.
상기 탄성 리브 반대쪽에는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리브가 배치되어,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진다.
상기 탄성리브는 켄틸레버 형태로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리브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기 탄성리브가 연결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리브의 자유단이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상기 케이스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서 제2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서 제1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서 제1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락플레이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부싱부 사시도.
도 8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9는 도 1의 B-B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C-C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며, 스테이로드(700)의 걸림홈(711)에 삽입되는 락플레이트(500)를 포함하며, 상기 락플레이트(500)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탄성리브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500)의 슬라이딩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락플레이트(500)에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탄성리브의 양단 사이에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락플레이트(500) 또는 상기 케이스에 접촉되고, 상기 탄성리브의 양단은 상기 굴곡부가 접촉되는 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차량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하고, 차량의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하고, 차량의 상하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한다.
상기 케이스는 등받이에 대해 고정되거나, 헤드레스트에 대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케이스는 락플레이트(500)와 스테이로드(70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사출 등에 의해 성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는 전방에 배치되는 제1케이스(110)와 제1케이스(1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110)는 전면과, 상하면과, 양 측면을 포함한다.
제2케이스(120)는 후면과, 상하면과, 양 측면을 포함한다.
제1케이스(110)는 전면의 중앙에 제1돌출부(111)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전면의 우측 하부에 제2돌출부(112)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돌출부(111)와 제2돌출부(112)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돌출부(111)는 제1케이스(110)의 상하단 및 양측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돌출부(111)는 아래로 향할수록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돌출부(111)의 전면은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돌출부(111)는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한다.
제2돌출부(112)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우측 하부 모서리 쪽에 배치된다.
제2돌출부(112)의 전면은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1케이스(110)의 배면에는 스테이로드 제1안착홈과, 부싱 제1안착홈과, 락플레이트 제1안착홈과, 누름전달부 제1유동공간(116)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로드 제1안착홈에는 스테이로드(700)의 제1로드(710)의 상부와 제2로드(720)가 안착된다. 제1로드(71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로드이며, 제2로드(72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로드이고, 제1로드(710)와 제2로드(720)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로드 제1안착홈은 하부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로드 제1안착홈은 제1케이스(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부싱 제1안착홈은 상기 스테이로드 제1안착홈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부싱 제1안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부싱 제1안착홈은 두 개가 형성되고, 제1케이스(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락플레이트 제1안착홈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로드 제1안착홈과 상기 부싱 제1안착홈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락플레이트 제1안착홈은 제1케이스(110)의 배면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락플레이트 제1안착홈은 제1상부접촉부(114)와 제1하부접촉부(115) 사이에 형성된다. 제1상부접촉부(114)와 제1하부접촉부(115)는 제1케이스(110)의 배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상부접촉부(114)와 제1하부접촉부(115)는 제1돌출부(111)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상부접촉부(114)와 제1하부접촉부(115)는 두 개의 상기 부싱 제1안착홈 사이에 배치된다. 제1상부접촉부(114)의 중간부분 및 제1하부접촉부(115)의 양측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각각 형성된다. 제1상부접촉부(114)의 좌우길이는 제1하부접촉부(115)의 좌우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1케이스(110)의 배면에는 제2로드(720)가 걸리는 걸림돌출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출부는 제1상부접촉부(114)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출부는 양측의 부싱 제1안착홈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돌출부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과도하게 잡아당겨서 다른 부품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누름전달부 제1유동공간(116)은 제2돌출부(112)의 후방에 형성된다. 상기 누름전달부 제1유동공간(116)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누름전달부 제1유동공간(116)과 상기 스테이로드 제1안착홈 및 상기 부싱 제1안착홈 및 상기 락플레이트 제1안착홈은 격벽에 의해 분리된다. 이로 인해, 상기 누름전달부 제1유동공간(116)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격벽에는 상기 락플레이트 제1안착홈과 연통되는 구멍이 있다.
제1케이스(110)의 배면에는 제2지지돌기(113)가 형성된다. 제2지지돌기(113)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지지돌기(113)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지지돌기(113)는 상기 락플레이트 제1안착홈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지지돌기(113)는 두 개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케이스(110)의 배면에는 조립돌기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돌기 삽입홈은 제1상부접촉부(114)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조립돌기 삽입홈은 후방 및 좌측 또는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립돌기 삽입홈은 상기 부싱 제1안착홈에 연통된다.
제1케이스(110)의 배면 및 제2케이스(120)의 정면에는 보강리브가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케이스(120)의 정면에는 스테이로드 제2안착홈과, 부싱 제2안착홈(121)과, 락플레이트 제2안착홈(122)과, 누름전달부 제2유동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로드 제2안착홈은 상기 스테이로드 제1안착홈과 연통되고, 부싱 제2안착홈(121)은 상기 부싱 제1안착홈과 연통되고, 락플레이트 제2안착홈(122)은 상기 락플레이트 제1안착홈에 연통되고, 상기 누름전달부 제2유동공간은 상기 누름전달부 제1유동공간(116)에 연통된다.
상기 스테이로드 제2안착홈은 상기 스테이로드 제1안착홈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고, 부싱 제2안착홈(121)은 상기 부싱 제1안착홈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고, 락플레이트 제2안착홈(122)은 상기 락플레이트 제1안착홈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며, 상기 누름전달부 제2유동공간은 상기 누름전달부 제1유동공간(116)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스테이로드 제2안착홈과, 부싱 제2안착홈(121)과, 락플레이트 제2안착홈(122)과, 누름전달부 제2유동공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플레이트 제2안착홈(122)은 제2상부접촉부(124)와 제2하부접촉부(123)에 의해 형성된다. 제2상부접촉부(124)의 전단은 제1상부접촉부(114)의 전단과 접하고, 제2하부접촉부(123)는 제1하부접촉부(115)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상부접촉부(114)의 전후 길이는 제2상부접촉부(124)의 전후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락플레이트(500)는 상기 케이스 및 스테이로드(700)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며, 스테이로드(700)의 걸림홈(711)에 삽입된다. 즉, 락플레이트(500)는 스테이로드(700)의 상하방향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걸림홈(711)은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수평하게 형성되는 걸림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락플레이트(500)는 상기 케이스가 스테이로드(700)에 대해 상부로 이동되는 것은 허용하되, 상기 케이스가 스테이로드(700)에 대해 하부로 이동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
락플레이트(500)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플레이트(500)의 전방은 락플레이트 제1안착홈에 안착되고, 락플레이트(500)의 후방은 락플레이트 제2안착홈(122)에 안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플레이트(500)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본체부(510)와, 본체부(510)의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누름전달부(520)를 포함한다.
본체부(510)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510)의 양측에는 스테이로드(700)의 제1로드(710)가 관통되는 관통공(50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체부(510)에는 인서트부재(530)가 인서트된다.
본체부(510)는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며, 인서트부재(530)는 본체부(510)보다 큰 강성을 갖는 금속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락플레이트(500)를 경량화할 수 있는 동시에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다. 인서트부재(530)는 관통공(501)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인서트부재(530)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된다. 인서트부재(530)의 노출된 부분은 스테이로드(700)의 걸림홈(711)에 삽입된다.
인서트부재(530)는 외주면에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인서트부재(530)의 노출된 부분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인서트부재(530) 및 본체부(510)에는 인서트부재(530)의 노출된 부분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도록 위치고정 관통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인서트 사출시 상기 위치고정 관통공에는 핀이 삽입되어, 인서트부재(530)가 사출 압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플레이트(500)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탄성리브가 배치된다.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500)의 슬라이딩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락플레이트(500)에 탄성력을 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리브는 락플레이트(500)에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리브는 락플레이트(500)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리브는 락플레이트(5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탄성리브(511)와, 락플레이트(5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탄성리브(512)를 포함한다.
제1,2탄성리브(511, 512)는 좌우방향으로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탄성리브(511)는 두 개가 구비되어, 관통공(501)에 근접하도록 양측에 배치된다. 제1탄성리브(511)는 두 개의 관통공(501) 사이에 배치된다.
제2탄성리브(512)는 두 개의 제1탄성리브(511) 사이에 배치된다. 제2탄성리브(512)는 본체부(510)의 중간에 배치된다.
제1,2탄성리브(511, 512)는 켄틸레버 형태로 락플레이트(500) 또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2탄성리브(511, 512)의 일단은 락플레이트(500)의 본체부(510)에 연결된다. 즉, 상기 탄성리브는 본체부(5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탄성리브(511)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탄성리브(512)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2탄성리브(511, 512)의 좌측단은 고정단이고, 우측단은 자유단이다.
제1,2탄성리브(511, 512)는 우측으로 향할수록 본체부(510)와의 사이간격이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2탄성리브(511, 512)에는 고정단보다 자유단에 근접하도록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제1케이스(110)의 내면에 접촉된다. 상기 굴곡부는 제1탄성리브(511)의 우측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거나, 제2탄성리브(512)의 우측이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굴곡부는 제1,2탄성리브(511, 512)의 양단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의 양측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는 인접한 부분보다 돌출되어, 상기 굴곡부만 상기 케이스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굴곡부는 최전방에 배치되거나, 최상단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2탄성리브(511, 512)의 양단은 상기 굴곡부가 접촉되는 면인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510)에는 제1,2탄성리브(511, 512)의 고정단 및 자유단이 삽입되는 제1,2탄성리브 삽입홈(511a, 512a)이 각각 형성된다.
제1탄성리브 삽입홈(511a)은 전방 및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2탄성리브 삽입홈(512a)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조립된 상태일 때 제1,2탄성리브(511, 512)의 자유단은 제1,2탄성리브 삽입홈(511a, 512a)에 삽입된다. 따라서, 락플레이트(500)가 좌우로 이동될 때 제1,2탄성리브(511, 512)의 자유단이 상기 케이스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제1,2탄성리브(511, 512) 반대쪽에는 락플레이트(500)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리브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2탄성리브(511, 512)가 배치되는 쪽에도 락플레이트(500)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리브가 배치된다.
상기 리브는 락플레이트(500)의 본체부(510)에 형성된 제1,2리브(514, 513)를 포함한다.
제1리브(514)는 본체부(510)의 전방과 후방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리브(514)는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전후방 좌측에 배치되는 제1리브(514)는 좌측에 배치되는 제1탄성리브(511)보다 좌측에 배치되고, 전후방 우측에 배치되는 제1리브(514)는 우측에 배치되는 제1탄성리브(511)보다 우측에 배치된다. 즉, 제1리브(514)는 제1탄성리브(511)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제1리브(514)의 수평단면 형상은 원호형상이다.
제2리브(513)는 본체부(510)의 상면과 하면에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리브(513)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리브(513)는 제2탄성리브(512)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고, 관통공(50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본체부(510)의 하부에는 제1지지돌기(515)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지지돌기(515)는 두 개가 형성되어, 제2탄성리브(51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1지지돌기(515)에는 끼움돌기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에는 복귀스프링(910)이 끼워진다. 복귀스프링(910)은 락플레이트(500)에 우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복귀스프링(910)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우측이 제1지지돌기(515)에 의해 지지되고, 좌측이 제2지지돌기(113)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복귀스프링(910)은 락플레이트(500)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었을 때 락플레이트(5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누름전달부(52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누름전달부(520)와 본체부(510)의 상면 사이에 보강리브(521)가 형성된다.
스테이로드(700)의 제1로드(710)는 부싱부(840)에 의해 둘러싸인다.
부싱부(840)의 전방은 상기 부싱 제1안착홈에 안착되고, 부싱부(840)의 후방은 부싱 제2안착홈(121)에 안착되어, 부싱부(840)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설치된다.
부싱부(840)는 전방이 부싱 제1안착홈에 안착되고, 후방이 부싱 제2안착홈(121)에 안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부(840)에는 제1로드(710)가 관통하는 스테이로드 관통공(845)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부싱부(840) 내측에는 접촉리브(842)가 상하방향으로 여러개 형성되어, 제1로드(710)와의 접촉면적은 최소화하되 제1로드(710)를 안정적을 지지할 수 있다.
부싱부(840)는 제1부분(840a)과, 제1부분(840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부분(840b)과, 제2부분(840b)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부분(840c)을 포함한다.
제1부분(840a)의 내측에는 제1개구부(84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개구부(841)로 인해, 상기 케이스가 스테이로드(70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2로드(720)가 부싱부(840)에 간섭되지 않는다.
제2부분(840b)에는 전방과 후방에 탄성접촉부(843)가 형성된다. 탄성접촉부(843)는 수직단면형상이 원호형상이 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2부분(840b)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조립돌기(844)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조립돌기(844)는 제1케이스(110)의 조립돌기 삽입홈에 삽입된다. 이러한 조립돌기(844)로 인해 부싱부(840)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3부분(840c)의 양측에는 제2개구부(847)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개구부(847)를 통해 락플레이트(500)가 드나든다.
부싱부(840)의 일측에는 인접한 부분보다 두께를 얇게 형성한 박육부(84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박육부(848)는 제2부분(840b)에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부싱부(840)는 양단이 분리되도록 제조하고, 사용시에는 박육부(848)를 절곡한 후에 일단에 형성된 삽입돌기를 타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하여 양단을 연결해서 사용한다. 이로인해 부싱부(840)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에는 누름전달부(520)를 누르기 위한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버튼부(160)와, 버튼부(160)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젤부(140)와 버튼부(160)를 복귀시키는 버튼복귀스프링(150)을 포함한다.
버튼부(160)는 베젤부(140)에 후크를 통해 체결되어, 베젤부(140)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버튼부(160)는 탑승자의 손이 닿는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베젤부(140)는 상기 케이스의 우측에 후크 등을 통해 설치된다.
베젤부(140)에는 버튼부(160)가 안착되는 안착홈(142)이 형성된다.
베젤부(140)의 내벽에는 접촉돌기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버튼복귀스프링(150)은 베젤부(140)의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끼움봉에 끼워진다.
나아가, 버튼부(160)와 버튼복귀스프링(150) 사이 및/또는 베젤부(140)와 버튼복귀스프링(150) 사이에는 링형상의 범퍼(170)가 배치된다. 이러한 범퍼(170)로 인해 노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에 버튼부(160)를 누르면, 버튼부(160)가 누름전달부(520)를 누르게 되어, 락플레이트(500)는 좌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로 인해, 스테이로드(700)의 걸림홈(711)에 있던 인서트부재(530)는 걸림홈(71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버튼부(16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락플레이트(500)는 복귀스프링(910)의 탄성력에 의해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락플레이트(500)는 걸림홈(711)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상기 헤드레스트의 위치는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제1케이스 111: 제1돌출부
112: 제2돌출부 113: 제2지지돌기
114: 제1상부접촉부 115: 제1하부접촉부
116: 누름전달부 제1유동공간 120: 제2케이스
121: 부싱 제2안착홈 122: 락플레이트 제2안착홈
123: 제2하부접촉부 124: 제2상부접촉부
140: 베젤부 150: 버튼복귀스프링
160: 버튼부 170: 범퍼
500: 락플레이트 501: 관통공
510: 본체부 511: 제1탄성리브
511a: 제1탄성리브 삽입홈 512: 제2탄성리브
512a: 제2탄성리브 삽입홈 513: 제2리브
514: 제1리브 515: 제1지지돌기
520: 누름전달부 521: 보강리브
530: 인서트부재 700: 스테이로드
710: 제1로드 711: 걸림홈
720: 제2로드 840: 부싱부
840a: 제1부분 840b: 제2부분
840c: 제3부분 841: 제1개구부
842: 접촉리브 843: 탄성접촉부
844: 조립돌기 845: 스테이로드 관통공
847: 제2개구부 848: 박육부
910: 복귀스프링

Claims (6)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며, 스테이로드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락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탄성리브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의 슬라이딩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락플레이트에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탄성리브의 양단 사이에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상기 케이스에 접촉되고,
    상기 탄성리브의 양단은 상기 굴곡부가 접촉되는 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리브는 상기 락플레이트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리브 반대쪽에는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리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리브는 켄틸레버 형태로 상기 락플레이트 또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리브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기 탄성리브가 연결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락플레이트를 누르는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젤부와, 상기 버튼부를 복귀시키는 버튼복귀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와 상기 버튼복귀스프링 사이 또는 상기 베젤부와 상기 버튼복귀스프링 사이에는 범퍼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170090826A 2017-07-18 2017-07-18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881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826A KR101881056B1 (ko) 2017-07-18 2017-07-18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201880046064.1A CN110869242B (zh) 2017-07-18 2018-07-17 头枕移动装置
US16/624,137 US10974632B2 (en) 2017-07-18 2018-07-17 Headrest moving device
PCT/KR2018/008050 WO2019017669A1 (en) 2017-07-18 2018-07-17 DEVICE FOR MOVING HEAD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826A KR101881056B1 (ko) 2017-07-18 2017-07-18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056B1 true KR101881056B1 (ko) 2018-07-24

Family

ID=6305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826A KR101881056B1 (ko) 2017-07-18 2017-07-18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74632B2 (ko)
KR (1) KR101881056B1 (ko)
CN (1) CN110869242B (ko)
WO (1) WO201901766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553B1 (ko) 2018-08-14 2020-02-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KR102075552B1 (ko) * 2018-08-07 2020-02-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91220B1 (ko) * 2018-10-04 2020-03-1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56B1 (ko) * 2017-07-18 2018-07-24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109720254B (zh) * 2019-03-11 2023-08-29 上海国琻汽车科技有限公司 四向头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784Y1 (ko) * 2004-08-19 2004-12-03 최부길 헤드레스트의 디스플레이 설치 구조
KR20130045404A (ko) * 2010-08-26 2013-05-03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머리 받침대용 래칭 장치
KR101383094B1 (ko) 2013-02-20 2014-04-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WO2014087488A1 (ja) * 2012-12-04 2014-06-1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783A (ja) * 1998-07-29 2000-02-15 Kensetsu Rubber Kk 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のロック装置
JP2000083756A (ja) * 1998-09-14 2000-03-28 Araco Corp ヘッドレスト
JP2001037576A (ja) * 1999-07-29 2001-02-13 Aisin Seiki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DE10312517B4 (de) * 2003-03-20 2012-01-19 Johnson Controls Gmbh Arretiervorrichtung und Kopfstütze
FR2881694B1 (fr) * 2005-02-04 2008-07-25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e guidage en translation avec blocage en position notamment pour des elements ajustables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US7621598B2 (en) * 2006-10-03 2009-11-24 Lear Corporation Adjustable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FR2912354B1 (fr) * 2007-02-09 2009-05-08 Cera Dispositif de blocage d'une tige crantee d'appui-tete comprenant un tiroir monte mobile axialement
US7845721B2 (en) * 2007-02-14 2010-12-07 Inoac Corporation Headrest
US8376465B2 (en) * 2009-07-07 2013-02-19 Lear Corporatio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for vehicle seats
FR2954241B1 (fr) * 2009-12-23 2012-02-17 Faurecia Sieges D Automobiles Appui-tete reglable en hauteur pour un dossier de siege d'automobile
EP2657072B1 (en) * 2010-12-24 2018-11-21 TS Tech Co., Ltd. Headrest fore-aft position adjuster
EP2867061A4 (en) * 2012-06-27 2016-04-06 Porter Group Llc ARRANGEMENT OF A VEHICLE HEADREST WITH VERTICAL AND LENGTH ADJUSTMENT
KR101418723B1 (ko) * 2013-07-04 2014-07-11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CN104442483B (zh) * 2014-11-03 2017-01-11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两向头枕结构
DE102016208533B4 (de) * 2016-05-18 2022-11-10 Lear Corporation Einstellbare Kopfstützenanordnung für Fahrzeugsitze
DE102016013721A1 (de) * 2016-11-17 2018-05-17 Grammer Ag Feder, Verwendung eines Kunststoffschlauchs als Feder und Ausstattungsteil eines Fahrzeuginnenraums
KR101881056B1 (ko) * 2017-07-18 2018-07-24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784Y1 (ko) * 2004-08-19 2004-12-03 최부길 헤드레스트의 디스플레이 설치 구조
KR20130045404A (ko) * 2010-08-26 2013-05-03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머리 받침대용 래칭 장치
WO2014087488A1 (ja) * 2012-12-04 2014-06-1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KR101383094B1 (ko) 2013-02-20 2014-04-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552B1 (ko) * 2018-08-07 2020-02-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WO2020032441A1 (en) * 2018-08-07 2020-02-13 Woobo Tech Co., Ltd. Headrest moving device
KR102075553B1 (ko) 2018-08-14 2020-02-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WO2020036263A1 (en) * 2018-08-14 2020-02-20 Woobo Tech Co., Ltd. Headrest locking device
CN112585028A (zh) * 2018-08-14 2021-03-30 牛步科技有限公司 头枕锁定装置
US11548421B2 (en) 2018-08-14 2023-01-10 Woobo Tech Co., Ltd. Headrest locking device
CN112585028B (zh) * 2018-08-14 2023-01-24 牛步科技有限公司 头枕锁定装置
KR102091220B1 (ko) * 2018-10-04 2020-03-1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71992A1 (en) 2020-06-04
WO2019017669A1 (en) 2019-01-24
CN110869242A (zh) 2020-03-06
US10974632B2 (en) 2021-04-13
CN110869242B (zh)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056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38309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10449881B2 (en) Head rest
KR200357471Y1 (ko) 자동차용 시트로킹장치의 로크가이드
US9457700B2 (en) Head rest
EP2902255A1 (en) Head rest
US20150258924A1 (en) Head rest
EP2902254A1 (en) Head rest
US10837206B2 (en) Lock device for vehicles
US20200130549A1 (en) Headrest guide and vehicle seat
KR101936819B1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10187034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90060061A (ko)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폴가이드
KR10165047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어셈블리
KR101971148B1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EP3647119B1 (en) Stabilizer bar
JP2018052401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972509B1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101593048B1 (ko)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JP2005347082A (ja) コネクタ
JP6180157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202900B2 (ja) フロアコンソール
KR20180040951A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2018052398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115723644A (zh) 儿童安全座椅的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