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723B1 -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723B1
KR101418723B1 KR1020130078530A KR20130078530A KR101418723B1 KR 101418723 B1 KR101418723 B1 KR 101418723B1 KR 1020130078530 A KR1020130078530 A KR 1020130078530A KR 20130078530 A KR20130078530 A KR 20130078530A KR 101418723 B1 KR101418723 B1 KR 101418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guide
lock plate
headrest
fri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민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30078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시트백 상단에 마련되며 헤드레스트 스테이가 삽입되는 수직의 중공이 형성된 가이드; 가이드 내측에 스테이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가이드로부터 탄성부에 의해 일측으로 가압되며, 스테이와 접촉되는 내측에는 마찰부가 마련되어 스테이와 밀착되는 록플레이트; 가이드에 고정되되 스테이를 기준으로 마찰부와 반대측에 마련되며, 전기가 인가될 경우 록플레이트를 전자기력으로 밀어내어 마찰부가 스테이와 떨어지도록 하는 전자석; 및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명령이 접수될 경우 전자석에 전기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고정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APPARATUS FOR MOUNTING HEADREST}
본 발명은 전동식 헤드레스트 상,하 이송장치에 있어서, 작동력을 향상시키고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시트의 파워 헤드레스트 구속장치에 유격이 생기면 소음 문제가 발생되고 작동력이 무거우면 모터전류가 과다하게 증가 되면서 저온시 헤드레스트가 작동되지 않은 문제점이 항상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헤드레스트 고정장치에 로킹구조를 추가시켜 평소에는 작동력이 아주 무거워 소음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파워가 작동될 때는 로킹이 해제되기 때문에 파워모터에 부하가 적게 들면서 헤드레스트를 원활이 작동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0-0019390 A
본 발명은 전동식 헤드레스트 상,하 이송장치에 있어서, 작동력을 향상시키고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고정장치는, 시트백 상단에 마련되며 헤드레스트 스테이가 삽입되는 수직의 중공이 형성된 가이드; 가이드 내측에 스테이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가이드로부터 탄성부에 의해 일측으로 가압되며, 스테이와 접촉되는 내측에는 마찰부가 마련되어 스테이와 밀착되는 록플레이트; 가이드에 고정되되 스테이를 기준으로 마찰부와 반대측에 마련되며, 전기가 인가될 경우 록플레이트를 전자기력으로 밀어내어 마찰부가 스테이와 떨어지도록 하는 전자석; 및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명령이 접수될 경우 전자석에 전기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마찰부는 록플레이트 하방의 지점에서 보조탄성부에 의해 가이드로부터 스테이에 밀착되도록 가압될 수 있다.
가이드의 중공 내측면 중 스테이를 기준으로 마찰부와 반대측에는 보조마찰부가 마련되어 록플레이트가 스테이를 가압할 경우 스테이의 양측에는 마찰부와 보조마찰부가 각각 밀착될 수 있다.
마찰부와 보조마찰부는 스테이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된 패드 형상일 수 있다.
록플레이트는 가이드의 상단부에 내장되며, 마찰부는 가이드의 중공 상단부에서 록플레이트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헤드레스트 고정장치에 따르면, 전자석을 이용하여 평소에는 스테이를 고정하고 슬라이딩 구현시에는 로킹을 해제하여, 파워 헤드레스트의 평상시 유동에 의한 소음을 개선하고 파워시트 모터의 부하를 적게 하여 작동문제에 대한 품질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고정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고정장치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고정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고정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고정장치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고정장치는, 시트백 상단에 마련되며 헤드레스트(100) 스테이(120)가 삽입되는 수직의 중공(220)이 형성된 가이드(200); 가이드(200) 내측에 스테이(120)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가이드(200)로부터 탄성부(320)에 의해 일측으로 가압되며, 스테이(120)와 접촉되는 내측에는 마찰부(500)가 마련되어 스테이(120)와 밀착되는 록플레이트(300); 가이드(200)에 고정되되 스테이(120)를 기준으로 마찰부(500)와 반대측에 마련되며, 전기가 인가될 경우 록플레이트(300)를 전자기력으로 밀어내어 마찰부(500)가 스테이(120)와 떨어지도록 하는 전자석(400); 및 헤드레스트(100)의 슬라이딩 명령이 접수될 경우 전자석(400)에 전기를 인가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헤드레스트(100)는 머리를 지지하는 쿠션의 하방으로 스테이(120)가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러한 스테이(120)는 시트의 상단을 관통하여 가이드(200)에 삽입되고, 가이드(20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헤드레스트(100)의 높낮이를 조정하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높낮이 조정기능이 모터를 이용한 전자식으로 대체되고 있는바, 이를 위해 스테이(120)는 모터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된다.
가이드(200)는 시트백 상단에 마련되며 헤드레스트 스테이(120)가 삽입되는 수직의 중공(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200) 내측에는 스테이(120)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가이드(200)로부터 탄성부(320)에 의해 일측으로 가압되며, 스테이(120)와 접촉되는 내측에는 마찰부(500)가 마련되어 스테이(120)와 밀착되는 록플레이트(300)가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플레이트(300)는 사각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테이(120)를 감싸고, 가이드(200)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스테이(120)와 접촉되거나 접촉이 해제되도록 한다.
한편, 전자석(400)은 가이드(200)에 고정되되 스테이(120)를 기준으로 마찰부(500)와 반대측에 마련되며, 전기가 인가될 경우 록플레이트(300)를 전자기력으로 밀어내어 마찰부(500)가 스테이(120)와 떨어지도록 한다. 즉, 평상시 록플레이트(300)는 탄성부(320)에 의해 스테이(120)측으로 가압되어 스테이(120)가 록플레이트(300)의 마찰부(500)와 접촉되면서 스테이(120)의 위치를 마찰에 의해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자석(400)의 작동시에는 전자석(400)에 의해 록플레이트(300)가 밀려나가 마찰부(500)와 스테이(120)의 접촉이 해제면서 스테이(120)가 원활이 수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스테이(120)는 모터에 물려 있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데, 평상시에는 마찰부(500)에 접촉되어 있어 차량의 심한 거동시에도 마찰에 의해 고정되어 소음 등이 발생되지 않고, 슬라이딩 작동시에는 마찰부(500)의 접촉이 해제되어 스테이(120)가 원활이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700)는 헤드레스트(100)의 슬라이딩 명령이 접수될 경우 전자석(400)에 전기를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에만 로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석(400)의 경우 전기의 인가시 록플레이트(300) 측으로 일정한 자극(N극)을 형성하게 되고, 록플레이트(300)의 전자석(400)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반대극(S극)을 형성하여 둠으로써, 전기의 인가시에만 척력의 작용을 통해 록플레이트(300)를 밀어내도록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전기가 인가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탄성부(320)에 의해 록플레이트(300)가 전자석(400)측으로 가압되고 마찰부(500)가 스테이(120)에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마찰부(500)는 록플레이트(300) 하방의 지점에서 보조탄성부(520)에 의해 가이드로부터 스테이(120)에 밀착되도록 가압 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마찰부(500)가 전체적으로 스테이(120)에 밀착되고 유효한 마찰력을 제공하여 마찰부(500)의 면적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200)의 중공(220) 내측면 중 스테이(120)를 기준으로 마찰부(500)와 반대측에는 보조마찰부(600)가 마련되어 록플레이트(300)가 스테이(120)를 가압할 경우 스테이의 양측에는 마찰부(500)와 보조마찰부(600)가 각각 밀착될 수 있다. 즉, 보조마찰부(600)는 마찰부(500)가 스테이(120)를 가압할 경우 자연스럽게 반대측에서 스테이(120)를 가압하는 것이며, 마찰부(500)가 떨어지면 자연스럽게 마찰부(500)와 보조마찰부(600)의 마찰력도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마찰부(500)와 보조마찰부(500)는 스테이(120)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된 패드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록플레이트(300)는 가이드(200)의 상단부에 내장되며, 마찰부(500)는 가이드(200)의 중공(220) 상단부에서 록플레이트(300)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찰부(500)는 유효한 마찰 면적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헤드레스트 고정장치에 따르면, 전자석을 이용하여 평소에는 스테이를 고정하고 슬라이딩 구현시에는 로킹을 해제하여, 파워 헤드레스트의 평상시 유동에 의한 소음을 개선하고 파워시트 모터의 부하를 적게 하여 작동문제에 대한 품질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20 : 스테이 200 : 가이드
300 : 록플레이트 400 : 전자석
500 : 마찰부 700 : 제어부

Claims (5)

  1. 시트백 상단에 마련되며 헤드레스트 스테이가 삽입되는 수직의 중공이 형성된 가이드;
    가이드 내측에 스테이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가이드로부터 탄성부에 의해 일측으로 가압되며, 스테이와 접촉되는 내측에는 마찰부가 마련되어 스테이와 밀착되는 록플레이트;
    가이드에 고정되되 스테이를 기준으로 마찰부와 반대측에 마련되며, 전기가 인가될 경우 록플레이트를 전자기력으로 밀어내어 마찰부가 스테이와 떨어지도록 하는 전자석; 및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명령이 접수될 경우 전자석에 전기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찰부는 록플레이트 하방의 지점에서 보조탄성부에 의해 가이드로부터 스테이에 밀착되도록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의 중공 내측면 중 스테이를 기준으로 마찰부와 반대측에는 보조마찰부가 마련되어 록플레이트가 스테이를 가압할 경우 스테이의 양측에는 마찰부와 보조마찰부가 각각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마찰부와 보조마찰부는 스테이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된 패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록플레이트는 가이드의 상단부에 내장되며, 마찰부는 가이드의 중공 상단부에서 록플레이트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KR1020130078530A 2013-07-04 2013-07-04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KR101418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530A KR101418723B1 (ko) 2013-07-04 2013-07-04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530A KR101418723B1 (ko) 2013-07-04 2013-07-04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723B1 true KR101418723B1 (ko) 2014-07-11

Family

ID=5174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530A KR101418723B1 (ko) 2013-07-04 2013-07-04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9242A (zh) * 2017-07-18 2020-03-06 牛步科技有限公司 头枕移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719Y1 (ko) 1997-12-29 2001-12-28 이계안 자동차용헤드레스트의높이조절장치
JP2006520289A (ja) 2003-03-20 2006-09-07 ブローゼ・ファールツォイクタイレ・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コーブルク 自動車シート用ヘッドレスト装置
KR20100019390A (ko) * 2008-08-07 2010-02-18 홍정명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719Y1 (ko) 1997-12-29 2001-12-28 이계안 자동차용헤드레스트의높이조절장치
JP2006520289A (ja) 2003-03-20 2006-09-07 ブローゼ・ファールツォイクタイレ・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コーブルク 自動車シート用ヘッドレスト装置
KR20100019390A (ko) * 2008-08-07 2010-02-18 홍정명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9242A (zh) * 2017-07-18 2020-03-06 牛步科技有限公司 头枕移动装置
CN110869242B (zh) * 2017-07-18 2022-04-15 牛步科技有限公司 头枕移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83447B (zh) 具有弹性支承的操纵元件和操作触觉功能的机动车操作设备
EP2959084B1 (en) A guide system for a sliding door
NZ702052A (en) Damping unit for a lift
JP2017043325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WO2016006094A1 (ja) ユニット格納装置及び鉄道車両
KR101418723B1 (ko)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GB201219996D0 (en) Support for a functional element in a pair of rails within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CN110383216B (zh) 用于机械反馈单元的电磁致动器
KR20110013665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N102956394A (zh) 一种翘板开关
JP2011141963A (ja) 電磁接触器及び電磁継電器用補助接点ユニット
CN209104083U (zh) 具有新型动触头组件的继电器
CN210578195U (zh) 一种直线电机
CN202384262U (zh) 一种纺织电控继电器安装定位装置
KR200464571Y1 (ko) 럼버서포트 장치
CN212517045U (zh) 一种交流接触器的底部固定结构
KR101945386B1 (ko) 방진 시스템
KR101905733B1 (ko) 맞춤형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CN103332557A (zh) 降噪减震导靴
CN213112112U (zh) 一种电梯导轨
CN103213918A (zh) 电梯用卷扬机
CN108561028A (zh) 一种实验室通风柜玻璃门导轨机构及装置
CN203372956U (zh) 降噪减震导靴
CN107077995B (zh) 具有用于开关装置的减速元件的轭组件及开关装置
CN212717634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直线滑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