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571Y1 - 럼버서포트 장치 - Google Patents

럼버서포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571Y1
KR200464571Y1 KR2020100011676U KR20100011676U KR200464571Y1 KR 200464571 Y1 KR200464571 Y1 KR 200464571Y1 KR 2020100011676 U KR2020100011676 U KR 2020100011676U KR 20100011676 U KR20100011676 U KR 20100011676U KR 200464571 Y1 KR200464571 Y1 KR 2004645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rack bar
lumber support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537U (ko
Inventor
서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2020100011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57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5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5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5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5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Abstract

승객의 허리 지지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럼버서포트 장치로서, 그 럼버서포트 장치는, 시트프레임(10)에 설치된 고정플레이트(30); 고정플레이트(30) 전방에 배치된 이동플레이트(20); 일측은 이동플레이트(20)에 고정되며 타측은 정역모터(60)에 연결되어, 정역모터(6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플레이트(20)를 상하방향 이동시키는 캐리어(40);를 포함한다. 이동플레이트(20)의 이동은 슬라이드 가이드(50)에 의해 가이드 된다.

Description

럼버서포트 장치{LUMBER SUPPORT APPARATUS}
본 고안은 럼버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방향으로 허리 지지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럼버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시트에는 시트에 앉은 승객의 신체특성에 맞추어 허리를 받쳐줄 수 있는 럼버서포트 장치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럼버서포트 장치는 승객의 허리 지지 깊이(전후방향)나 각도, 굴곡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종래 럼버서포트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의 허리 지지 범위는 극히 제한적이었다.
종래, 한국등록특허 제0461133호와 같이 허리 지지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럼버서포트 장치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실제 제품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제안된 것으로, 허리 지지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종래보다 개선된 형태의 차량용 럼버서포트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럼버서포트 장치는, 시트프레임에 설치된 고정플레이트; 승객 허리 부위를 지지하도록 고정플레이트 전방에 배치된 이동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된 정역모터; 및 일측은 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측은 정역모터에 연결되어, 정역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플레이트를 상하방향 이동시키는 캐리어;를 포함한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된 제1 가이드와,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제1 가이드에 대하여 좌우방향 이동은 제한되며 상하방향 이동 가능한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캐리어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간의 슬라이딩 접촉면 너비(W)는 이들의 총 두께(T)보다 클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는 그 사이에 슬라이딩홈에 마련되도록 서로 대칭되는 "┌ ┐" 형상의 돌기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슬라이딩홈의 어느 일단으로부터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정역모터은 그 회전축에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피니언바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어는 이 피니언바와 치합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랙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앙부에 개방부가 마련되며, 이 개방부에는 상하방향 이동하는 랙바를 지지하는 하우징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며, 랙바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서 고정플레이트에는 랙바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그루브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럼버서포트 장치는, 허리 지지위치의 상하방향 조절이 가능하며 안정적인 허리 지지력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럼버서포트 장치는, 전후방향으로 두께가 얇고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시트백에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럼버서포트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플레이트의 상하방향 슬라이딩 구조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가이드의 개략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럼버서포트 장치의 작동 전 상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럼버서포트 장치의 작동 후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럼버서포트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고안에 따른 럼버서포트 장치를 고안함에 있어 주요하게 고려된 요소는, 허리 지지위치의 상하방향 조절이 가능하되, 장치의 허리 지지 성능이 안정적이어야 하며, 시트백에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럼버서포트 장치는, 고정플레이트(30)의 전방에 배치된 이동플레이트(20)가 캐리어(40)를 따라 상하방향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0)는 그 일단은 시트프레임(10)의 좌측 프레임에 타단은 우측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어, 시트프레임(10)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동플레이트(20)는 고정플레이트(30)로부터 이격되며 승객의 허리 지지에 필요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40)의 이동은 정역모터(60)의 구동력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동플레이트(20)의 이동은 슬라이드 가이드(50)에 의해 가이드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정역모터(60)는 고정플레이트(30)에 설치되며, 그 회전축에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피니언바(61)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어(40)는 그 일측이 이동플레이트(20)에 고정되며 타측은 정역모터(6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캐리어(40) 타측에는 피니언바(61)에 치합된 랙바(41)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정역모터(60)의 회전방향에 따라 캐리어(4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피니언바(61)와 랙바(41)는 하우징(70) 내부에 치합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70)에는 랙바(41)가 통과하는 관통홀과 같은 구조가 마련되어, 하우징(70)에 의해 랙바(41)의 상하방향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70)의 설치를 위해 고정플레이트(30)의 중앙부에는 개방부(31)가 마련된다. 하우징(70)은 브래킷(32)에 의해 고정플레이트(30)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러한 설치구조는 럼버서포트 장치의 두께 감소 및 소형화에 기여한다.
한편, 도 2 및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플레이트(30)에는 랙바(41)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서, 랙바(41)가 고정플레이트(3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그루브(33)가 마련된다. 당연히, 그루브(33) 또한 장치의 두께 감소에 기여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50)는 캐리어(40)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설치되며, 이동플레이트(20)에 고정된 제1 가이드(51)와, 고정플레이트(30)에 고정되며 제1 가이드에 대하여 좌우방향 이동은 제한되며 상하방향 이동 가능한 제2 가이드(52)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제2 가이드(52)는 슬라이딩홈에 마련되도록 서로 대칭되는 "┌ ┐" 형상의 돌기(52a)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가이드(51)는 슬라이딩홈의 어느 일단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 형상으로 형성된다.
위와 같은 슬라이드 가이드(50)의 구조는 장치의 두께를 감소 및 전후방향으로의 하중 지지에 기여를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가이드(51,52) 간의 슬라이딩 접촉면 너비(W)가 다소 넓게 하는 것이 좋은데, 이를 수치화하기 어려우나, 적어도 이들의 총 두께(T)보다 큰 것이 좋다.
도면부호 P는 고정플레이트(30)에의 제2 가이드(52) 고정점이다. 총 4점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럼버서포트 장치의 슬라이딩 과정을 살펴본다.
도 4는 이동플레이트(20)가 제일 아래에 놓여져 있는 상태가 도시된 것으로, 이 상태에서 정역모터(60)가 정방향 회전하면, 피니언바(61)에 치합된 랙바(41)가 상방향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캐리어(40)가 상방향 이동하며, 최종적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이동플레이트(20)가 캐리어(40)를 따라 상방향 이동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정역모터(60)가 역방향 구동되면, 다시 이동플레이트(20)는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고 또 이것이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는 것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 시트프레임 20: 이동플레이트
30: 고정플레이트 40: 캐리어
50: 슬라이드 가이드 51: 제1 가이드
52: 제2 가이드 60: 모터

Claims (5)

  1. 시트프레임에 설치된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전방에 슬라이드 가이드를 매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승객 허리 부위를 지지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된 정역모터; 및
    일측은 랙바를 갖는 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측은 피니언바를 갖는 정역모터에 연결되어, 정역모터의 구동시 피니언바에 치합된 랙바의 움직임에 의해 이동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럼버서포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된 제1 가이드와,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제1 가이드에 대하여 좌우방향 이동은 제한되며 상하방향 이동 가능한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서포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캐리어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간의 슬라이딩 접촉면 너비(W)는 이들의 총 두께(T)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서포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는 그 사이에 슬라이딩홈에 마련되도록 서로 대칭되는 "┌ ┐" 형상의 돌기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슬라이딩홈의 어느 일단으로부터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서포트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모터은 그 회전축에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피니언바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어는 이 피니언바와 치합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랙바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앙부에 개방부가 마련되며, 이 개방부에는 상하방향 이동하는 랙바를 지지하는 하우징이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며, 랙바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서 고정플레이트에는 랙바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그루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서포트 장치.
KR2020100011676U 2010-11-12 2010-11-12 럼버서포트 장치 KR2004645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76U KR200464571Y1 (ko) 2010-11-12 2010-11-12 럼버서포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76U KR200464571Y1 (ko) 2010-11-12 2010-11-12 럼버서포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37U KR20120003537U (ko) 2012-05-22
KR200464571Y1 true KR200464571Y1 (ko) 2013-01-08

Family

ID=4661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676U KR200464571Y1 (ko) 2010-11-12 2010-11-12 럼버서포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5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724B1 (ko) 2021-09-16 2022-09-22 덕일산업 주식회사 통풍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969Y1 (ko) 1996-12-26 2000-08-01 정몽규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969Y1 (ko) 1996-12-26 2000-08-01 정몽규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724B1 (ko) 2021-09-16 2022-09-22 덕일산업 주식회사 통풍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37U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7143B2 (ja) 乗物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EP2719574B1 (en) Seat sliding device
EP2875991B1 (en) Vehicle seat slide device
WO2006136133A3 (de) Sitztiefenverstell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FR2958890B1 (fr) Dispositif de reglage de la longueur d'assise pour un siege d'automobile, et sieg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WO2010146185A3 (fr)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menagee dans un element de structure comprenant des moyens de synchronisation,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WO2008099487A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2057186B1 (ko) 절단기
KR200464571Y1 (ko) 럼버서포트 장치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EP2455246A3 (en) Roof apparatus for vehicle
WO2013189610A3 (de) Bildschirmverstell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EP2845758A3 (en) Sunroof apparatus for vehicle
CN103029237B (zh) 模制品取出机
EP2845760A3 (en) Sunroof apparatus for vehicle
JP2018086885A (ja) スライドレール支持構造
WO2007028891A3 (fr) Siege automobile pour enfant
JPWO2012086069A1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2007283901A (ja) 車載電子機器用案内構造、車載電子機器及びがたつき防止方法
KR101425887B1 (ko) 차량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
JP2017074937A (ja) スライド防止機構付駐輪装置
KR101418723B1 (ko) 헤드레스트 고정장치
KR20160013405A (ko)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KR200469062Y1 (ko) 위치 가변형 오토바이용 짐받이 장치
KR20110013664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