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969Y1 -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969Y1
KR200189969Y1 KR2019960057361U KR19960057361U KR200189969Y1 KR 200189969 Y1 KR200189969 Y1 KR 200189969Y1 KR 2019960057361 U KR2019960057361 U KR 2019960057361U KR 19960057361 U KR19960057361 U KR 19960057361U KR 200189969 Y1 KR200189969 Y1 KR 200189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connecting rod
lumber support
center
lower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7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4233U (ko
Inventor
허준열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57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969Y1/ko
Publication of KR19980044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2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9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Abstract

본 고안은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백 프레임의 상,하부에 수평으로 고정연결된 상,하브래킷(12)(14)과; 양단부가 상기 상,하브래킷(12)(14)의 일측부에 힌지연결되고, 중앙부에 나사부(26)가 형성된 제 1연결로드(18)와; 양단부가 상기 상,하브래킷(12)(14)의 타측부와 힌지연결되고, 중앙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 상부에 제 1 베벨기어(20)가 고정설치된 제 2연결로드(22)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로드(18)(22)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가 좌우측에 고정설치되고, 일정부위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가이드 패널(30)과;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 패널(30)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형성된 스토퍼(5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나사체결되는 럼버 서포트 플레이트(60)가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제 2 베벨기어(34)가 형성된 제 3 연결로드(32)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브래킷을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일단부에는 조정노브(48)가 장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 3 연결로드(32)의 제 2 베벨기어(34)에 맞물리는 제 3 베벨기어(40)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 2 연결로드(22)의 제 1 베벨기어(20)에 맞물리는 위치에 제 4 베벨기어(42)가 설치되는 제 4 연결로드(44); 를 구비하여, 럼버 서포트를 전후상하로 조절함으로서 승객의 신체 조건에 맞출 수 있고, 신체 하중시에도 밀리지 않으며, 조절단수가 무단식으로 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백에서 허리를 지지하는 럼버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럼버 서포트가 전후상하로 조절되는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Lumbar Support Direction Adjusto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내부의 시트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시트가 설치되어 있고 이느 시트쿠션과 그 일측단이 시트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프론트 시트의 시트 쿠션과 시트백 연결부에는 시트백의 허리지지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각도를 조절하여 운전자에게 만족감을 부여하고 또한 장시간 운전에도 허리를 받쳐주어 피로감을 들어주는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프레임(1)의 일측하단에 단수조정노브(2)를 갖는 작동캠(3)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캠(3)에는 운전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돌부 패널(4)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돌부 패널(4)은 상기 시트백프레임(1)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 조절바아(5)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바아(5)의 일측단에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6)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는 운전자가 시트백 프레임(1)에 기댄 상태에서 편안한 자세로 교정하기 위해 단수 조정노브(2)를 잡은 다음 회전시키면 작동캠(3)이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캠(3)의 캠면이 상기 조절바아(5)에 접촉됨과 동시에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조절바아(5)에 결합된 중앙돌부 패널(4)이 운전자의 허리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의한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는, 전후 조절만 가능하여 승객의 신체별 차이를 보완하는 기능이 없었을 뿐 아니라, 상기 조절바아를 조정하는 작동캠이 한쪽방향에만 설치되었기 때문에 작동캠 작동시 조절바아에 결합된 중앙돌부 패널은 작동캠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로 밀림으로 중앙돌부 패널의 좌우측이 기울어짐으로서 운전자의 허리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어와 연결로드을 조합하여 상기 럼버서포트르 전후상하로 조절함으로서 승객의 신체 조건에 맞출 수 있고 신체 하중시에도 밀리지 않는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에서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8,22,32,44:제 1, 제2, 제 3 및 제 4 연결로드, 20,34,40,42:제 1, 제 2, 제 3, 제 4 베벨기어, 30:가이드 패널, 48:조정노브, 60:럼버 서포트 플레이트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는, 시트백 프레임의 상,하부에 수평으로 고정연결된 상하브래킷과; 양단부가 상기 상,하브래킷의 일측부에 힌지연결되고, 중앙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 1연결로드와; 양단부가 상기 상,하브래킷의 타측부와 힌지연결되고, 중앙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 상부에 제 1 베벨기어가 고정설치된 제 2연결로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로드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가 좌우측에 고정설치되고, 일정부위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가이드 패널과;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 패널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형성된 스토퍼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나사체결되는 럼버 서포트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제 2 베벨기어가 형성된 제 3 연결로드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브래킷을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일단부에는 조정노브가 장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 3 연결로드의 제 2 베벨기어에 맞물리는 제 3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 2 연결로드의 제 1 베벨기어에 맞물리는 위치에 제 4 베벨기어가 설치되는 제 4 연결로드; 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구성에 의하여 럼버 서포트를 상하조절하려면 조정노브를 당겨서 제 1베벨기어와 제 4 베벨기어가 맞물리게 한 뒤 상기 조정노브를 회전시키면 상기 가이드 패널이 상하운동을 하면서 럼버 서포트를 상하로 조절한다.
한편, 상기 럼버 서포트를 전후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조정노브를 밀어 제 2베벨기어와 제 4 베벨기어가 맞물리게 한 뒤 회전시키면 럼버 서포트가 전후로 조절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2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에서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의 상부와 하부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하브래킷(12)(14)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상하브래킷(12)(14)의 좌우측에는 힌지구가 형성된 4개의 브래킷(16a)(16b)(16c)(16d)이 장착된다.
상기 상,하브래킷(12)(14)의 좌측 브래킷(16a)(16c) 힌지구에 힌지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는 제 1 연결로드(18)은 중앙부에 나사부(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브래킷(12)14)의 우측 브래킷(16b)(16d) 힌지구에 힌지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는 제 2 연결로드(22)은 중앙부에 나사부(26)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26) 상부에 제 1 베벨기어(20)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로드(18)(22)의 나사부(24)(26)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결합부(50a)(50b)가 좌우측에 고정설치된 가이드 패널(30)은, 중앙부에 관통구(5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패널(30)의 관통구(52)에 힌지연결되기 위하여 일단부에 스토퍼(54)가 형성된 제 3 연결로드(32)은, 상기 스토퍼(54) 전방으로 제 2 베벨기어(34)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나사부(36)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36)가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3 연결로드(32)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럼버 서포트 플레이트(60) 는 내주면에 너트부(56)가 형성된다.
일단부에 상기 제 3 연결로드(32)의 제 2 베벨기어(34)에 맞물리는 제 3 베벨기어(40)가 형성된 제 4 연결로드(44)은, 타단부에는 조정노브(48)가 고정설치되고, 제 2 연결로드(22)의 제 1 베벨기어(20)에 맞물리는 위치에 제 4 베벨기어(42)가 설치되며, 상기 시트백 프레임(1)에 형성된 브래킷(46)에 힌지연결되어 시트백의 좌우측프레임과 직교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를 상하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2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노브(48)를 당긴다. 이와 동시에 제 4 연결로드(44)이 당겨지면서 제 4 베벨기어(42)와 제 1 베벨기어(20)는 맞물리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조정노브(48)를 회전시키면 제 4 베벨기어(42)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에 따라 맞물려 있는 제 1 베벨기어(2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에 따라 제 2 연결로드(22)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패널(30)은 직선운동을 하여 럼버 서포트 플레이트(60)는 상하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조정노브(48)를 좌회전시키면 상기 럼버 서포트 플레이트(60)가 상향조절되고, 우회전시키면 상기 럼버 서포트 플레이트(60)가 하향조절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럼버 서포트 플레이트(60)를 전후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당겨져 있던 조정노브(48)를 밀어 제 2 베벨기어(34)와 제 3 베벨기어(40)를 맞물리게 한다. 상기 동작후 조정노브(48)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3 베벨기어(40)가 회전하고 상기 제 3 베벨기어(40)와 맞물린 제 2 베벨기어(34)도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게된다. 상기 회전동작에 따라, 제 3 연결로드(32)은 일단부에 형성된 스토퍼(54)가 상기 가이드 패널(30)과 힌지연결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된다. 상기 동작으로 제 3 연결로드(32)의 나사부(36)가 회전하면서 상기 럼버 서포트 플레이트(60) 내주면에 형성된 너트부(56)를 밀어주고 당겨줌으로서 상기 럼버 서포트 플레이트(60)는 전후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조정노브(48)를 좌회전시키면 상기 럼버 서포트 플레이트(60)는 전방으로 작동하고, 우회전시키면 상기 럼버 서포트 플레이트(60)는 후방으로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는, 럼버 서포트를 전후상하로 조절함으로서 승객의 신체 조건에 맞출 수 있고, 신체 하중시에도 밀리지 않으며, 조절단수가 무단식으로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시트백 프레임의 상,하부에 수평으로 고정연결된 상하브래킷과;
    양단부가 상기 상,하브래킷의 일측부에 힌지연결되고, 중앙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 1연결로드와;
    양단부가 상기 상,하브래킷의 타측부와 힌지연결되고, 중앙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 상부에 제 1 베벨기어가 고정설치된 제 2연결로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로드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가 좌우측에 고정설치되고, 일정부위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가이드 패널과;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 패널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형성된 스토퍼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나사체결되는 럼버 서포트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제 2 베벨기어가 형성된 제 3 연결로드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브래킷을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일단부에는 조정노브가 장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 3 연결로드의 제 2 베벨기어에 맞물리는 제 3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 2 연결로드의 제 1 베벨기어에 맞물리는 위치에 제 4 베벨기어가 설치되는 제 4 연결로드;
    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
KR2019960057361U 1996-12-26 1996-12-26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 KR200189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361U KR200189969Y1 (ko) 1996-12-26 1996-12-26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361U KR200189969Y1 (ko) 1996-12-26 1996-12-26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233U KR19980044233U (ko) 1998-09-25
KR200189969Y1 true KR200189969Y1 (ko) 2000-08-01

Family

ID=1948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7361U KR200189969Y1 (ko) 1996-12-26 1996-12-26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9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909B1 (ko) 2010-02-12 2012-11-09 (주)디에스시 4방향 조절이 가능한 럼버서포트 장치
KR200464571Y1 (ko) 2010-11-12 2013-01-08 현대다이모스(주) 럼버서포트 장치
KR101229157B1 (ko) 2006-10-25 2013-02-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럼버 서포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8198A (zh) * 2022-04-11 2022-08-05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挂载组件及标定支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157B1 (ko) 2006-10-25 2013-02-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럼버 서포트 장치
KR101199909B1 (ko) 2010-02-12 2012-11-09 (주)디에스시 4방향 조절이 가능한 럼버서포트 장치
KR200464571Y1 (ko) 2010-11-12 2013-01-08 현대다이모스(주) 럼버서포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233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5233A (en) Arrangement of headrest in seat
JPS63212308A (ja) ヘツドレスト装置
KR20180060402A (ko) 시트의 쿠션부 틸트 익스텐션 장치
KR200189969Y1 (ko)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
GB2106172A (en) Seat back adjustment mechanism
KR0178484B1 (ko) 리어시트의 암 레스트 설치구조
KR19990001460U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각도 가변장치
KR100398128B1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장치
KR100187146B1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 받침장치
CN218907002U (zh) 一种长度可调的汽车座椅扶手
KR200142290Y1 (ko) 시트쿠션 사이드 써포트성 자동조절장치
KR100387615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터 조절장치
KR101598967B1 (ko) 자동차 시트 착석부의 쿠션 스프링 장력조절장치
JP2951081B2 (ja) シ−トの格納式フットレスト
JPH0628040Y2 (ja) 自動車用座席
KR970002188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팔걸이부를 지닌 시트
KR0115886Y1 (ko) 차량용 아암레스트의 구조
KR19980050998U (ko) 자동차 시트 전후 높이 조절 장치
KR970000216Y1 (ko) 시트 쿠션
KR100197255B1 (ko) 차량의 시트 백의 허리 지지장치
KR20010063456A (ko) 자동차용 시트 백 측부 조절 장치
KR960007631Y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각도조절장치
KR0114636Y1 (ko) 시트용 룸바서포트구조
KR200150394Y1 (ko) 시트 백의 허리 지지 조절장치
KR960007632Y1 (ko) 자동차형 시트의 각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