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161U -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161U
KR20150000161U KR2020130005433U KR20130005433U KR20150000161U KR 20150000161 U KR20150000161 U KR 20150000161U KR 2020130005433 U KR2020130005433 U KR 2020130005433U KR 20130005433 U KR20130005433 U KR 20130005433U KR 20150000161 U KR20150000161 U KR 201500001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stopper plate
return spring
sta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태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2020130005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161U/ko
Publication of KR20150000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1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7Head-rests with sleeves located in the back-rest for guiding the rods of the head-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턴스프링(53)의 장력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토퍼플레이트(52)에 의한 스테이(3)의 고정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스테이(3)의 떨림현상 예방 및 스테이(3)에 의한 래틀소음의 발생을 없앨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STOPPER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HEADREST}
본 고안은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턴스프링의 장력조절을 통해 스테이의 떨림현상을 예방함으로써 스테이에 의한 래틀소음(rattle noise)을 없앨 수 있는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시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과 시트백(1) 그리고 시트 착석자의 후두부를 지지함으로써 목부상을 예방하는 헤드레스트(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레스트(2)에는 시트백(1)의 윗면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테이(3)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시트백(1)의 상단에는 스테이(3)의 돌출길이를 구속함에 따라 헤드레스트(2)의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스토퍼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장치(10)는 시트백(1)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하우징(11)과, 상기 스테이(3)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하우징(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플레이트(12)와, 상기 가이드하우징(11)과 상기 스토퍼플레이트(12)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스토퍼플레이트(12)의 복귀동작을 도와주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13)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하우징(11)에는 일측으로 개구된 안내홈(11a) 및 상하면을 관통하는 하우징구멍(11b)이 형성되는 바, 상기 안내홈(11a)에는 상기 스토퍼플레이트(12)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구멍(11b)에는 스테이(3)가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플레이트(12)에는 스테이(3)의 관통을 위한 플레이드구멍(12a)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3)의 걸림홈(3a)으로 삽입되는 걸림부(12b)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홈(3a)은 스테이(3)의 바깥 표면에 스테이(3)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하우징(11)의 밑면에는 하우징구멍(11b)과 연결되게 가이드파이프(21)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이다.
따라서, 하우징구멍(11b)과 플레이트구멍(12a)을 통해 스테이(3)를 끼워주게 되면 도 2와 같이 리턴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플레이트(12)의 걸림부(12b)가 스테이(3)의 걸림홈(3a)속으로 삽입되는 바, 이때에는 스테이(3)가 스토퍼플레이트(12)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됨에 따라 헤드레스트(2)는 높이조절이 불가능한 록킹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2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토퍼플레이트(12)를 눌러주면(도 3의 화살표 F1), 스토퍼플레이트(12)는 도 3과 같이 안내홈(11a)속으로 삽입되는 이동을 하고 동시에 리턴스프링(13)은 압축되며 스토퍼플레이트(12)의 걸림부(12b)는 스테이(3)의 걸림홈(3a)으로부터 빠져서 이탈되는 바, 이때부터 헤드레스트(2)는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헤드레스트(2)의 높이조절 완료 후 스토퍼플레이트(12)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리턴스프링(13)에 의해 스토퍼플레이트(12)가 도 2와 같이 복귀되고, 이로 인해 걸림부(12b)가 걸림홈(3a)속으로 삽입됨에 따라 높이조절이 완료된 헤드레스트(2)는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토퍼장치(10)는 리턴스프링(13)의 장력을 필요에 따라 조절해줄 수 없는 구성으로, 노후화로 인해 리턴스프링(13)의 장력이 느슨해진 경우 스토퍼플레이트(12)에 의한 스테이(3)의 고정력이 느슨해지는 단점이 있고, 이럴 경우 스테이(3)의 떨림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스테이(3)에 의한 래틀소음(rattle noise)이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5689호.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리턴스프링의 장력을 필요에 따라 조절해줄 수 있게 됨으로써 스토퍼플레이트에 의한 스테이의 고정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스테이의 떨림현상 예방 및 스테이에 의한 래틀소음의 발생을 없앨 수 있는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는, 시트백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안내홈이 형성된 가이드하우징;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플레이트;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의 복귀동작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리턴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하우징에 설치된 장력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에는 상기 안내홈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가이드홈속에 삽입되어서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의 안쪽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조절모듈은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와 대면하도록 상기 안내홈속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리턴스프링이 지지되는 이동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하우징과 나사 결합되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하우징을 관통한 후 선단이 상기 이동브라켓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회전 조작시 상기 이동브라켓을 이동시키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브라켓에는 상기 가이드홈속으로 삽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브라켓이 이동할 때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래그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래그부의 끝에 상기 리턴스프링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리턴스프링의 장력조절을 통해 스토퍼플레이트에 의한 스테이의 고정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스테이의 떨림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이 결과 스테이에 의한 래틀소음의 발생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의 도면,
도 2와 도 3은 종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차량의 시트는 도 1을 참조로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시트쿠션과 시트백(1) 그리고 시트 착석자의 후두부를 지지함으로써 목부상을 예방하는 헤드레스트(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레스트(2)에는 시트백(1)의 윗면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테이(3)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시트백(1)의 상단에는 스테이(3)의 돌출길이를 구속함에 따라 헤드레스트(2)의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스토퍼장치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장치(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1)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하우징(51)과, 상기 스테이(3)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하우징(5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플레이트(52)와, 상기 스토퍼플레이트(52)에 일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스토퍼플레이트(52)의 복귀동작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53); 및 상기 리턴스프링(5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하우징(51)에 설치된 장력조절모듈(5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하우징(51)에는 일측으로 개구된 안내홈(51a) 및 상하면을 관통하는 하우징구멍(51b)이 형성되는 바, 상기 안내홈(51a)에는 상기 스토퍼플레이트(52)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구멍(51b)에는 스테이(3)가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플레이트(52)에는 스테이(3)의 관통을 위한 플레이드구멍(52a)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3)의 걸림홈(3a)으로 삽입되는 걸림부(52b)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홈(3a)은 스테이(3)의 바깥 표면에 스테이(3)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하우징(51)의 밑면에는 하우징구멍(51b)과 연결되게 가이드파이프(21; 도 1 참조)가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라 상기 스토퍼플레이트(52)에는 상기 안내홈(51a)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스토퍼플레이트(52)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홈(52c)이 형성되고; 상기 리턴스프링(53)은 상기 가이드홈(52c)속에 삽입되어서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52c)의 안쪽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리턴스프링(53)이 가이드홈(52c)속에 설치되면 이물질에 의한 리턴스프링(53)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리턴스프링(53)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장력조절모듈(54)은 상기 스토퍼플레이트(52)와 대면하도록 상기 안내홈(51a)속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홈(51a)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리턴스프링(53)이 지지되는 이동브라켓(541); 및 상기 가이드하우징(51)과 나사 결합되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하우징(51)을 관통한 후 선단이 상기 이동브라켓(541)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회전 조작시 상기 이동브라켓(541)을 이동시키는 조절볼트(5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브라켓(541)에는 상기 가이드홈(52c)속으로 삽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브라켓(541)이 이동할 때에 상기 가이드홈(52c)을 따라 이동하는 래그부(54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래그부(543)의 끝에 상기 리턴스프링(53)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이하, 본 고안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헤드레스트(2)에 구비된 스테이(3)를 하우징구멍(51b)과 플레이트구멍(52a)을 통해 끼워주게 되면 리턴스프링(53)의 반발력에 의해 스토퍼플레이트(52)는 도 4의 상태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스토퍼플레이트(52)의 걸림부(52b)가 스테이(3)의 걸림홈(3a)속으로 삽입되는 바, 이때에는 스테이(3)가 스토퍼플레이트(52)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됨에 따라 헤드레스트(2)는 높이조절이 불가능한 록킹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4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토퍼플레이트(52)를 화살표 F1과 같이 눌러서 가압해주면, 스토퍼플레이트(52)는 도시상태에서 좌측(안내홈의 안쪽방향)으로 이동하고 리턴스프링(53)은 압축되며 스토퍼플레이트(52)의 걸림부(52b)는 스테이(3)의 걸림홈(3a)으로부터 빠져서 이탈되는 바, 이때부터 헤드레스트(2)는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헤드레스트(2)의 높이조절 완료 후 스토퍼플레이트(52)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리턴스프링(53)에 탄발력에 의해 스토퍼플레이트(52)가 복귀되고, 이로 인해 걸림부(52b)가 걸림홈(3a)속으로 삽입됨에 따라 높이조절이 완료된 헤드레스트(2)는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장기간 사용하면 노후화로 인해 리턴스프링(53)의 장력은 느슨해지게 되고, 이럴 경우 스토퍼플레이트(52)에 의한 스테이(3)의 고정력이 느슨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스테이(3)의 떨림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스테이(3)에 의한 래틀소음(rattle noise)이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리턴스프링(53)의 장력이 느슨해져서 스테이(3)의 떨림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절볼트(542)를 조작해서 이동브라켓(541)을 도 4의 도시 상태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래그부(543)가 가이드홈(52c)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리턴스프링(53)은 장력의 느슨함이 없어지게 되며, 이 결과 스토퍼플레이트(52)에 의한 스테이(3)의 고정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스테이(3)의 떨림현상 예방 및 스테이(3)에 의한 래틀소음의 발생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는 필요한 경우 리턴스프링(53)의 장력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토퍼플레이트(52)에 의한 스테이(3)의 고정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스테이(3)의 떨림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이 결과 스테이(3)에 의한 래틀소음의 발생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시트백 2 - 헤드레스트
3 - 스테이 51 - 가이드하우징
52 - 스토퍼플레이트 53 - 리턴스프링
54 - 장력조절모듈 541 - 이동브라켓
542 - 조절볼트 543 - 래그부

Claims (4)

  1. 시트백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안내홈이 형성된 가이드하우징;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플레이트;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의 복귀동작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리턴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하우징에 설치된 장력조절모듈;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에는 상기 안내홈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가이드홈속에 삽입되어서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의 안쪽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모듈은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와 대면하도록 상기 안내홈속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리턴스프링이 지지되는 이동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하우징과 나사 결합되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하우징을 관통한 후 선단이 상기 이동브라켓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회전 조작시 상기 이동브라켓을 이동시키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라켓에는 상기 가이드홈속으로 삽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브라켓이 이동할 때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래그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래그부의 끝에 상기 리턴스프링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
KR2020130005433U 2013-07-03 2013-07-03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 KR201500001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433U KR20150000161U (ko) 2013-07-03 2013-07-03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433U KR20150000161U (ko) 2013-07-03 2013-07-03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161U true KR20150000161U (ko) 2015-01-13

Family

ID=5247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433U KR20150000161U (ko) 2013-07-03 2013-07-03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16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553B1 (ko) 2018-08-14 2020-02-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553B1 (ko) 2018-08-14 2020-02-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US11548421B2 (en) 2018-08-14 2023-01-10 Woobo Tech Co., Ltd. Headrest lock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061B1 (ko) 부시 압입장치
KR101598163B1 (ko) 헤드레스트 지지 구조
US9969309B2 (en) Vehicle seat
KR101534414B1 (ko) 의자 팔걸이 조정 장치
JP2013169945A (ja) 乗物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JP618240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40093483A (ko) 조향컬럼의 틸트장치
KR20150000161U (ko)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장치
KR101488976B1 (ko)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톱퍼
JP6031185B2 (ja) 乗り物用座席
KR20180070155A (ko) 헤드레스트의 폴가이드
JP2015107232A (ja) 高さ調整機構、子供乗せ装置および二輪車
KR101705610B1 (ko) 차량의 케이블 길이보상장치
KR200464095Y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록킹구조
JP2015067173A (ja) 乗物用シート
KR101372955B1 (ko)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CN110770493A (zh) 托件
KR200483515Y1 (ko)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JP2008155794A (ja) 可動部材のスライド機構
CN106660468B (zh) 交通工具用座椅滑轨装置
KR101468704B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1407263B1 (ko) 헤드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KR20180001205U (ko) 헤드레스트 고정 어셈블리
KR102122901B1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KR101263232B1 (ko) 헤드 레스트의 록킹 및 해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