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714A -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714A
KR20170069714A KR1020150177278A KR20150177278A KR20170069714A KR 20170069714 A KR20170069714 A KR 20170069714A KR 1020150177278 A KR1020150177278 A KR 1020150177278A KR 20150177278 A KR20150177278 A KR 20150177278A KR 20170069714 A KR20170069714 A KR 20170069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stopper
housing
vibration
vibration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7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9714A/ko
Publication of KR20170069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91Supports comprising st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와 하우징 간의 오버랩용 스토퍼를 하우징에 장착시킨 새로운 구조의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인슐레이터 바디 상면에 형성하던 오버랩부를 삭제하고, 오버랩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스토퍼를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여, 차체 진동시(예, 둔턱길을 지날 때) 하우징에 장착된 스토퍼가 인슐레이터 바디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방향 변위되도록 함으로써, 인슐레이터의 거동을 축소시키는 동시에 진동 감쇄에 따른 승차감 개선은 물론 스토퍼의 형상 및 특성을 인슐레이터 종류별 및 차종별로 튜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Engine mou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슐레이터와 하우징 간의 오버랩용 스토퍼를 하우징에 장착시킨 새로운 구조의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에는 엔진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엔진에서 발생된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엔진마운트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 엔진마운트는 엔진을 지지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엔진마운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엔진마운트 구성 중 엔진 진동을 실질적으로 감쇄하는 인슐레이터(10)는 고무 재질의 인슐레이터 바디(12)와, 인슐레이터 바디(12)의 상면 중앙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엔진측과 결합되도록 한 볼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특히 인슐레이터 바디(12)의 상면에는 볼록한 오버랩부(16, 스토퍼라고도 칭함)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인슐레이터(10)는 인슐레이터 보호를 위한 하우징(20)에 압입되는 바, 하우징(20)의 상단 저면이 인슐레이터 바디(12)의 오버랩부(16)와 접촉하며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인슐레이터(10)가 하우징(20)에 압입된 상태에서 하우징(20)의 외곽에 차체 연결용 브라켓(30)이 다시 한 번 감싸여지게 되며, 차체 연결용 브라켓(30)은 엔진룸의 차체패널에 고정된다.
참고로, 상기 하우징의 상단 개방부에는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브라켓(30)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더스트 커버(32)에 의하여 커버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종래의 엔진마운트 구성 중, 상기 인슐레이터 바디(12)의 상면에 형성된 오버랩부(16)는 승차감 향상을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차체를 비롯한 엔진 및 파워트레인 진동시 하우징(20)의 상단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인슐레이터의 거동을 축소시키는 동시에 엔진 또는 파워트레인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원리로 승차감을 개선(예, 둔턱길 진동 감쇄)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차량이 둔턱길을 지날 때, 고무 재질의 오버랩부(16) 즉, 스토퍼가 완만히 압축되면서 부드러운 스토핑 역할을 하게 되므로, 진동 감쇄로 인하여 인슐레이터의 거동이 축소되는 동시에 승차감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슐레이터 바디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고무 재질의 오버랩부는 그 고무 경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인슐레이터 거동 제어를 위한 형상 설정 및 특성 변경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특히 오버랩부가 스틸 재질의 하우징 상단 저면과 지속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오버랩부에 마모 및 크랙이 발생하여 승차감 개선에 한계를 가지는 단점이 있다.
3. 현재까지는 승차감 개선을 위해 인슐레이터 오버랩부 형상 변경(높이, 폭)으로 대응 하였으나 이는 인슐레이터 메인 바디를 변경하는 것으로 많은 시간과 투자비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본 기술을 적용하면 간단하게 튜닝이 가능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의 인슐레이터 바디 상면에 형성하던 오버랩부를 삭제하고, 오버랩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스토퍼를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여, 차체 진동시(예, 둔턱길을 지날 때) 하우징에 장착된 스토퍼가 인슐레이터 바디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방향 변위되도록 함으로써, 인슐레이터의 거동을 축소시키는 동시에 진동 감쇄에 따른 승차감 개선은 물론 스토퍼의 형상 및 특성을 인슐레이터 종류별 및 차종별로 튜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 바디의 상면 중앙부에 볼트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구비되는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 보호를 위하여 인슐레이터 바디를 감싸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곽에 감싸여져 엔진룸의 차체패널에 고정되는 차체 연결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 다수개의 진동 감쇄용 스토퍼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스토퍼의 저면이 인슐레이터 바디의 상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진동 감쇄용 스토퍼는 인슐레이터 바디의 상면에 밀착되어 진동시 상방향 변형되는 변위 몸체와, 변위 몸체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장착홀에 분리 가능하게 압입 체결되는 체결단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감쇄용 스토퍼의 변위 몸체는 상방향 변위 제어가 가능하도록 위쪽으로 갈수록 넓은 직경을 갖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 감쇄용 스토퍼의 체결단은 하우징의 장착홀에 압입되는 직선형 로드와, 직선형 로드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장착홀의 외주면에 걸리게 되는 원추형 락킹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인슐레이터를 감싸는 하우징의 상단부에 진동 감쇄를 위한 스토퍼를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여, 차체 진동시(예, 차량이 둔턱길을 지날 때) 스토퍼가 인슐레이터 바디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방향 변위되도록 함으로써, 차체 진동시 인슐레이터의 거동을 축소시킬 수 있고, 스토퍼의 상방향 변위에 따른 진동 감쇄로 승차감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하우징에 스토퍼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스토퍼의 형상 및 특성을 인슐레이터 종류별 및 차종별로 튜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즉, 인슐레이터의 형상 및 고무 경도와 무관하게 스토퍼 형상 및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고, 인슐레이터의 내구력 및 차량 거동 특성에 따라 타 차종에도 스토퍼를 경도만 변경하는 등 쉽게 튜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셋째, 하우징에 고무 재질 스토퍼가 직접 장착되므로, 스토퍼와 하우징 간의 직접적인 마찰 접촉을 회피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스토퍼에 마모 내지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을 취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엔진마운트 구성 중 하우징(20)은 인슐레이터(10)를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진동 감쇄용 스토퍼(40)를 장착하기 위한 다수개의 장착홀(22)이 관통 형성된다.
도 5에서 보듯이, 엔진마운트 구성 중 엔진 진동을 실질적으로 감쇄하는 인슐레이터(10)는 고무 재질의 인슐레이터 바디(12)와, 인슐레이터 바디(12)의 상면 중앙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엔진측과 결합되도록 한 볼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우징(20)내에 장착된다.
즉, 상기 인슐레이터(10)는 인슐레이터 보호를 위한 하우징(20)에 압입되는 바, 인슐레이터(10)의 볼트(14)는 하우징(20)의 상단 개방부를 통하여 엔진과의 결합을 위해 외부로 노출되고, 인슐레이터 바디(12)의 측부는 하우징(20)에 의하여 감싸여지는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20)의 상단면에 형성된 각 장착홀(22)에는 진동 감쇄용 스토퍼(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스토퍼(40)의 저면은 인슐레이터 바디의 상면에 밀착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도 4 및 도 5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인슐레이터(10)가 하우징(20)에 압입된 상태에서 하우징(20)의 외곽에 차체 연결용 브라켓이 다시 한 번 감싸여지게 되고, 차체 연결용 브라켓은 엔진룸의 차체패널에 고정된다.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진동 감쇄용 스토퍼(40)는 고무 재질의 탄성력을 이용하고자 한 것으로서, 인슐레이터 바디(12)의 상면에 밀착되어 진동시 상방향 변형되는 변위 몸체(42)와, 변위 몸체(42)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20)의 장착홀(22)에 분리 가능하게 압입 체결되는 체결단(44)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감쇄용 스토퍼(40)의 변위 몸체(42)는 상방향 변위 제어가 가능하도록 위쪽으로 갈수록 넓은 직경을 갖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진동 발생시(예, 둔턱길 주행시) 변위 몸체(42)가 상방향으로 용이하게 변위되며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감쇄용 스토퍼(40)의 체결단(44)은 하우징(20)의 장착홀(22)에 압입되는 직선형 로드(44-1)와, 직선형 로드(44-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장착홀(22)의 외주면에 걸리게 되는 원추형 락킹단(44-2)으로 구성되는 바, 원추형 락킹단(44-2)이 장착홀(22)의 외주면에 락킹된 상태가 되므로, 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없이 견고한 장착 고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둔턱길을 지날 때 발생하는 진동이 차체에 고정된 브라켓을 통하여 하우징(20)으로 전달되면, 하우징(20)의 장착홀(22)에 장착된 진동 감쇄용 스토퍼(40)의 변위 몸체(42)가 상방향으로 압축 변위되거나 다시 복원되는 진동 감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차체 진동시(예, 차량이 둔턱길을 지날 때) 스토퍼(40)에서 그 진동을 감쇄시키게 되므로, 차체 진동시(예, 차량이 둔턱길을 지날 때) 승차감 개선을 도모할 수 있고, 스토퍼(40)와 접촉된 인슐레이터 바디(12)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크게 감소되면서 인슐레이터의 거동을 축소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하우징(20)에 스토퍼(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스토퍼(40)의 형상 및 특성을 인슐레이터 종류별 및 차종별로 튜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슐레이터(10)의 형상 및 고무 경도와 무관하게 스토퍼(40)의 형상 및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고, 인슐레이터 바디의 내구력 및 차량 거동 특성에 따라 타 차종에도 스토퍼를 경도만을 변경하여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스토퍼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특성(예, 경도)를 변경시켜서 인슐레이터 바디의 내구력 및 차량 거동 특성에 따라 타 차종에도 스토퍼를 경도만을 변경하여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에 스토퍼(40)가 직접 장착되므로, 스토퍼(40)와 하우징(20) 간의 직접적인 마찰 접촉을 회피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스토퍼에 마모 내지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인슐레이터
12 : 인슐레이터 바디
14 : 볼트
16 : 오버랩부
20 : 하우징
22 : 장착홀
30 : 차체 연결용 브라켓
32 : 더스트 커버
40 : 진동 감쇄용 스토퍼
42 : 변위 몸체
44 : 체결단
44-1 : 직선형 로드
44-2 : 원추형 락킹단

Claims (5)

  1. 인슐레이터 바디의 상면 중앙부에 볼트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구비되는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 보호를 위하여 인슐레이터 바디를 감싸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곽에 감싸여져 엔진룸의 차체패널에 고정되는 차체 연결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 다수개의 진동 감쇄용 스토퍼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스토퍼의 저면이 인슐레이터 바디의 상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쇄용 스토퍼는 인슐레이터 바디의 상면에 밀착되어 진동시 상방향 변형되는 변위 몸체와, 변위 몸체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장착홀에 분리 가능하게 압입 체결되는 체결단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쇄용 스토퍼의 변위 몸체는 상방향 변위 제어가 가능하도록 위쪽으로 갈수록 넓은 직경을 갖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쇄용 스토퍼의 체결단은 하우징의 장착홀에 압입되는 직선형 로드와, 직선형 로드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장착홀의 외주면에 걸리게 되는 원추형 락킹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인슐레이터 바디의 내구력 및 차량 거동 특성에 따라,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특성를 변경시킨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
KR1020150177278A 2015-12-11 2015-12-11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 KR20170069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278A KR20170069714A (ko) 2015-12-11 2015-12-11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278A KR20170069714A (ko) 2015-12-11 2015-12-11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714A true KR20170069714A (ko) 2017-06-21

Family

ID=5928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278A KR20170069714A (ko) 2015-12-11 2015-12-11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97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946A (ko) * 2017-07-24 2019-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마운트의 인슐레이터
KR20190047297A (ko) * 2017-10-27 2019-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특성 가변형 엔진마운트
KR102341392B1 (ko) * 2021-07-15 2021-12-20 평화산업주식회사 공정단순화 및 경량화 구현을 위한 엔진마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946A (ko) * 2017-07-24 2019-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마운트의 인슐레이터
KR20190047297A (ko) * 2017-10-27 2019-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특성 가변형 엔진마운트
KR102341392B1 (ko) * 2021-07-15 2021-12-20 평화산업주식회사 공정단순화 및 경량화 구현을 위한 엔진마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996B2 (en) Vibration-damping device
US10598245B2 (en) Dynamic damper for vehicle
US20080211151A1 (en) Vibration Damper, in Particular for Applying to a Motor Vehicle Seat
JP5864980B2 (ja) 車両懸架装置用ストラット組立体のリバウンドストッパー
KR101846568B1 (ko) 엔진마운트 구조
KR20170069714A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장치
US6454236B2 (en) Elastic device for suspending a vibrating structure on a rigid structure
JP6710140B2 (ja) 防振装置
US6352250B1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US11143259B2 (en) Vibration absorber
JP2007010005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20434A (ja) 防振装置
US9505285B2 (en) Anti-vibration device
KR101887387B1 (ko) 절곡된 고정용 돌기를 가지는 자동차 배기관용 행거
JP2004232824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2131808B1 (ko)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KR20110022199A (ko) 차량의 다이나믹 댐퍼
KR20170078993A (ko)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KR100541929B1 (ko) 다이나믹 댐퍼
JP2020190268A (ja) キャブマウント
JPH04118326A (ja) 車両用エンジンにおける燃料フイルターの支持装置
KR102237071B1 (ko) 서브프레임 부시
JP7309591B2 (ja) 防振装置
KR101428200B1 (ko) 마운트 구조
JPH02103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