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878B1 -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 Google Patents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878B1
KR102071878B1 KR1020190048776A KR20190048776A KR102071878B1 KR 102071878 B1 KR102071878 B1 KR 102071878B1 KR 1020190048776 A KR1020190048776 A KR 1020190048776A KR 20190048776 A KR20190048776 A KR 20190048776A KR 102071878 B1 KR102071878 B1 KR 102071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air
filling
passage
c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형원
Original Assignee
채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형원 filed Critical 채형원
Priority to KR102019004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878B1/ko
Priority to JP2021562938A priority patent/JP7245559B2/ja
Priority to CN202080028909.1A priority patent/CN113825412B/zh
Priority to PCT/KR2020/004921 priority patent/WO20202187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04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by means of a fluid j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소주입시 소주입장치를 구성하는 밸브하우징에 구비되는 노즐부 외면에 달라 붙어 딸려 올라가는 소를 소주입 후 벌어져 있던 외피의 상단을 오므려 꼭지를 형성하는 전단계에서 사전에 제거하여줄 수 있는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딸려 올라가던 소가 낙하하면서 포피식품의 외피 외면에 지저분하게 묻혀지는 현상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외면이 항상 깨끗한 포피식품을 얻을 있도록 함은 물론,
제조하고자 하는 포피식품의 종류에 따라 외피내에 주입되는 소의 양을 간편하게 조정가능하도록 하는 등 작업의 효율성과 장치의 호환성을 더욱 증대시켜 사용자가 오랫동안 고장없이 안심하고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Filling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a wrapping food}
본 발명은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주입시 소주입장치를 구성하는 밸브하우징에 구비되는 노즐부 외면에 달라 붙어 딸려 올라가는 소를 소주입 후 벌어져 있던 외피의 상단을 오므려 꼭지를 형성하는 전단계에서 사전에 제거하여줌으로써,
딸려올라가던 소가 낙하하면서 포피식품의 외피 외면에 지저분하게 묻혀지는 현상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외면이 항상 깨끗한 포피식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조하고자 하는 포피식품의 종류에 따라 외피내에 주입되는 소의 양을 간편하게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피식품이라는 것은 팥소(bean jam)나 고기를 간 것(miced meat)과 같은 소(filling)를, 빵 생지(bread 生地 : bread dough)나 파이 생지(pie dough)와 같은 생지로 덮은 식품으로서, 중국식 만두, 팥빵, 소가 들어간 도넛(filled doughnuts) 혹은 미트 파이(meat pi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포피식품을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해서 일본국 특허출원공개번호 제2008-259520호, 일본국 특허출원공개번호 제2008-178391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미 많은 포피식품의 제조가 자동화되고 있다.
이들 문헌에서는 포피식품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들의 기술에 의하면 일단 평평하게 연장된 생지 위에 적절한 양의 소를 소주입장치를 이용하여 주입한 다음, 생지의 가장자리를 모이도록 함으로써 소가 생지로 덮어 진다.
그런데 상기 문헌에 기술된 소주입장치들은 그 구조의 특성상 소의 상태가 무른 상태인 것은 주입이 용이하나 소가 당도나 점도 등이 높아 된 것은 일정량씩 고르게 주입할 수 없었다.
또한, 노즐 입구가 점진적으로 막히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그러는 한편, 소 주입 후 노즐 입구 외부로 잔여찌꺼기가 발생하여 소주입 후 생지를 오므린 봉합부 즉, 꼭지부분에 잔여찌꺼기가 묻으면서 더럽혀져 외관상은 물론 위생상으로도 좋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면서도 소주입시 소주입장치를 구성하는 밸브하우징에 구비되는 노즐부 외면에 달라 붙어 딸려 올라가는 소를 소주입 후 벌어져 있던 외피의 상단을 오므려 꼭지를 형성하는 전단계에서 사전에 제거하여줄 수 있는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딸려 올라가던 소가 낙하하면서 포피식품의 외피 외면에 지저분하게 묻혀지는 현상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외면이 항상 깨끗한 포피식품을 얻을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하고자 하는 포피식품의 종류에 따라 외피내에 주입되는 소의 양을 간편하게 조정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장치의 호환성을 더욱 증대시켜 사용자가 오랫동안 고장없이 안심하고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고자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는 기본적으로 포피식품제조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호퍼 내부에 투입된 소를 교반날개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하측의 소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소공급장치와;
상기 소공급장치의 소배출구와 후방면 형성된 제1통로가 공급호스로 연결되어 소를 공급받으며 방향전환실린더)에 의해 회전하면서 반죽공급방향을 전환시킬수 있는 3웨이밸브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제2통로가 형성되고 전방면에는 제3통로가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 상면에 형성된 제2통로(202)에 연결설치되어 소이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승강하는 피스톤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단에는 피스톤의 승강을 감지하여 승강판을 하강시키는 감지센서 및 승강된 피스톤을 하강시킬수 있도록 수직으로 입설된 푸쉬바가 구비되는 소충전통과;
상기 소충전통과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며, 피스톤로드 선단에 푸쉬바를 연계설치하여 상기 3웨이밸브의 방향을 전환시켜 제1통로를 막은 상태에서 피스톤로드를 하강시키면 푸쉬바가 동시에 하강하면서 피스톤을 하강시켜 소충전통내에 충전된 소를 밸브하우징의 제3통로로 배출시키는데 사용되는 소가압실린더와,
상기 밸브하우징의 제3통로에 연결설치되어 소를 공급받으며 하단에는 노즐입구가 형성된 노즐부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노즐입구를 개폐하는 노즐밸브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노즐밸브를 상단에 설치된 밸브작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와 연결설치하여서된 소주입케이싱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소주입케이싱의 하단에는 외피내에 소주입시 노즐입구가 구비된 노즐부 외면에 묻는 소를 에어로 떼어낼 수 있는 에어커팅시스템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충전통상측에 수직으로 입설됨과 동시에, 상기 소충전통과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어진 소가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계설치되어 피스톤로드 승하강과 동시에 승하강하는 푸쉬바를 구성하되,
상단에는 푸쉬바 상단에는 회전노브를 설치하고,
푸쉬바하단에는 승강블럭을 나사체결하여서,
회전노브를 이용 푸쉬바를 회전시키면 승강블럭이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소충전통내에서 상하 승강하는 피스톤의 승강 폭을 단속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밸브하우징의 제2통로를 통해 소충전통 내로 주입되는 소의 양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주입장치를 구성하는 소주입케이스 내에 공급된 소를 스테핑터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스크류의 강력한 회전력에 의해 노즐입구를 통해 생지 내부로 주입하는 것이어서 생지 내부에 주입하는 소의 상태가 무른 상태이거나 된 상태이거나와 전혀 상관없이 일정량씩 고르게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생지 내부에 소가 적정량 주입되면 스테핑모터가 정지되면서 스크류의 회전이 정지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의 작동으로 개폐구가 하강하여 노즐입구를 밀폐하여 주도록 구성된 것과 같이 노즐부 끝부분이 밸브화되어 있기 때문에 소찌거기가 노즐입구를 막거나 또는 입구 외면에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주입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소 주입이 용이하고 정확하며 위생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주입장치를 구성하는 소주입케이스가 클램프를 이용하여 착탈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주입케이스 내부의 세척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소주입장치가 설치되는 포피식품제조기의 일 구성 상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소주입장치의 구성상태도로서,
도 3 및 도 4는 사시도.
도 5는 요부 단면 확대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소주입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은 소 공급전의 초기상태도.
도 7은 소를 소충전통에 충전한 상태도.
도 8은 소를 외피내에 공급하는 상태도.
도 9는 소 주입후 노즐부 외면에 달라붙은 소를 에어커팅시스템을 이용하여 떼어내는 상태도.
도 10은 소주입 후 외피 상단을 오므려 꼭지를 형성하여 포피식품을 완성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주입장치는 포피식품제조기(1)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지는 소주입장치승,하강수단(미도시)과 연계설치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소주입장치승,하강수단에 대하여 등록받고자 하는 것이 아니어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핵심기술인 소주입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소주입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포피식품제조기(10)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먼저 호퍼(110) 내부에 투입된 소(1)를 교반날개(111)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하측의 소배출구(112)로 배출시키는 소공급장치(100) 및;
포피식품제조기(10)에 설치되어 모터 또는 유공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강판(11)의 승하강시 동시에 승하강하도록 각각 연계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소공급장치(100)의 소배출구(112)와 후방면 형성된 제1통로(201)가 소공급호스(130)로 연결되어 소(1)를 공급받으며 방향전환실린더(210)에 의해 회전하면서 반죽공급방향을 전환시킬수 있는 3웨이밸브(211)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제2통로(202)가 형성되고 전방면에는 제3통로(203)가 형성된 밸브하우징(200)과;
상기 밸브하우징(200) 상면에 형성된 제2통로(202)에 연결설치되어 소(1)가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승강하는 피스톤(310)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단에는 피스톤(310)의 승강을 감지하여 승강판(11)을 하강시키는 감지센서(320)가 구비되는 소충전통(300)과;
상기 소충전통(300)과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며, 피스톤로드(410) 선단에 소충전통(300)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연계설치되어 방향절환실린더(210)를 이용하여 3웨이밸브(211)의 방향을 전환시켜 제1통로(201)를 막은 상태에서 피스톤로드(410)를 하강시키면 푸쉬바(420)가 동시에 하강하면서 소주입압력에 의해 상승된 피스톤(310)을 하강시켜 소충전통(300)내에 충전된 소(1)를 밸브하우징(200)의 제3통로(203)로 배출시키는데 사용되는 소가압실린더(400)와;
상기 밸브하우징(200)의 제3통로(203)에 연결설치되어 소(1)를 공급받으며 하단에는 노즐입구(511)가 형성된 노즐부(510)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노즐입구(511)를 개폐하는 노즐밸브(520)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노즐밸브(520)를 상단에 설치된 밸브작동실린더(530)의 피스톤로드(531)와 연결설치하여서된 소주입케이싱(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센서(320)는 에컨데 리미트스위치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소주입케이싱(500)의 하단에는 외피(2)내에 소주입시 노즐입구(511)가 구비된 노즐부(510) 외면에 묻는 소(1)를 에어로 떼어낼 수 있는 에어커팅시스템(600)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일예로서, 상기 에어커팅시스템(600)은 소주입케이싱(500)의 하단에 결합설치된 노즐부(510) 외면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에어분사구가 형성된 에어박스(610)를 노즐부(510) 외면이 감싸지도록 설치하고,
이 에어박스(610)와 에어발생장치(620)를 에어공급호스(621)로 연결하여서,
소주입 후 외피(2)의 상단부를 오므리기전에 에어발생장치(620)에서 발생하는 에어를 에어분사구(611)를 통해 공급하여 노즐부(510) 외면에 붙어있는 소(1)가 제거되어 외피(2) 내부로 넣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주입케이싱(5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외피(2)내에 소주입시 노즐입구(511)가 구비된 노즐부(510) 외면에 묻는 소(1)를 에어로 떼어낼 수 있는 에어커팅시스템(600)는 상기한 본 발명의 소주입장치를 구성하는 소주입케이싱(500)은 물론이고 포피식품제조기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는 소주입장치를 구성하는 역시 다양한 형태의 소주입케이싱에도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소공급장치(100)의 경우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그 일예로서 상기 기어하우징(120) 상면에 결합된 호퍼(110) 내부로 축설되어 모터(121)에 의해 회전하면서 호퍼(110) 내부에 투입된 소(1)를 교반날개로(111)를 이용 골고루 교반하면서 호퍼(110) 하측의 기어하우징(120) 내부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소(1)를 기어하우징(120) 내부로 축설되어 모터(122)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회전기어(미도시)를 이용하여 강제로 소배출구(112)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소주입장치의 작동상태를 특히 도 6 내지 도 10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주입장치 하측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는 셔터장치(20)로 얇은 판상의 외피(2)가 공급되면,
먼저 모터(121)가 작동으로 교반날개(111)가 회전하면서 호퍼(110) 내부에 투입된 소(1)가 골고루 교반되면서 호퍼(110) 하측의 기어하우징(120) 내부로 이송된다.
그리고 모터(122)가 작동하면서 회전하는 한쌍의 회전기어(123)에 의해 소(1)가 강제로 소배출구(112)로 배출되면서 소공급호스(130)를 통해 3웨이밸브(211)가 구비된 밸브하우징(200)의 제1통로(201)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3웨이밸브(211)는 방향전환실린더(21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어 제1통로(201)와 제2통로(202)가 연통되어지고 제3통로(203)는 밀폐된 상태이므로 밸브하우징(200)의 제1통로(201)로 유입된 소(1)는 제2통로(202)를 통해 소충전통(300)으로 공급되면서 이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310)이 승강하게 되고 피스톤(310)이 끝까지 상승하면 소충전통(300) 상단의 감지센서(320)가 이를 감지함과 동시에 감지신호에 의해 순차적으로 모터(122)가 멈추면서 한쌍의 기어(123)가 회전이 멈추어 소(1)의 공급이 중단되고, 이어서 방향전환실린더(210)의 작동에 의해 3웨이밸브(211)가 회전되어 이번에는 제2통로(202)와 제3통로(203)가 연통되어지고 제1통로(201)는 밀폐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어서 모터나 유공압실린더와 연계설치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지는 소주입장치승,하강수단(미도시)에 의해 승강판(11)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에 고정설치된 장치들이 하강하게 되는데 이들 장치들 중에 하나에 해당하는 소주입케이싱(500) 또한 하강하여 노즐부(510)가 셔터장치(20) 중앙에 안착된 외피(2)의 상측 정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주입장치의 하강과 동시에 받침대(31)가 상승하면서 벨트(30)가 들어 올려 진다.
그런다음 상기 소주입케이싱(500) 상단에 형성된 밸브작동실린더(530)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로드(531)가 상승하면서 이 피스톤로드(531) 하단에 고정설치된 노즐밸브(520)가 동시에 상승되면서 노즐부(510)의 노즐입구(511)가 개방된다.
그리고 연이어서 상기 소충전통(300)과 근접된 위치에 설치된 소가압실린더(400)의 작동에 의해 상승되어 있던 피스톤로드(410)가 하강함과 동시에 피스톤로드(410) 선단에 연계설치된 푸쉬바(420)가 동시 하강하면서 피스톤(310)을 하강시켜 소충전통(300)내에 충전된 소(1)를 밸브하우징(200)의 제3통로(203)를 통해 소주입케이싱(500) 내부로 공급하게되는데, 이때 밸브작동실린더(5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노즐부(510)의 노즐입구(511)가 이미 개방되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소(1)가 노즐입구(511)를 통해 토출되면서 외피(2)내에 채워지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외피(2)내에 소(1)의 주입이 완료되면,
이번에는 소주입장치승,하강수단(미도시)에 의해 승강판(11)이 승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에 고정설치된 장치들이 승강하게 되는데 이들 장치들 중에 하나에 해당하는 소주입케이싱(500) 또한 상승하여 원위치되고, 셔터장치(20)를 구성하는 셔터날(21)이 오므라들면서 외피(2) 윗부분을 봉합하면서 꼭지를 형성시켜 포피식품의 제조가 완성된 상태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때, 외피(2)내에 소(1)의 주입시에는 노즐부(510) 외면에 소(1)가 달라 붙은 상태로 승강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노즐부(510) 외면에 달라붙어 딸려 올라가던 소(1)가 외피(2) 윗부분을 봉합하여 꼭지를 형성시켜 완성된 포피식품의 상면에 떨어지거나 혹은 다음번의 외피(2)가 공급되기전 셔터장치(20)의 외피안착면으로 떨어져 결과적으로는 외피(2) 외면에 소(1)가 지저분하게 묻혀진 불량 포피식품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소주입케이싱(500)의 하단에 결합설치된 노즐부(510) 외면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에어분사구(611)가 형성된 에어박스(610)를 노즐부(510) 외면이 감싸지도록 설치하고,
이 에어박스(610)와 에어발생장치(620)를 에어공급호스(621)로 연결하여서 이루어지는 에어커팅시스템(600)을 더 설치하였기 때문에,
소주입 후 외피(2)의 상단부를 오므리기전에 소주입케이싱(500) 승강과 동시에 에어발생장치(620)를 가동하여 발생되는 에어를 에어분사구(611)를 통해 노즐부(510) 외면에 분사하여 노즐밸브(520) 저면이나 노즐부(510) 외면에 붙어있는 소(1)가 제거되어 외피(2) 내부로 넣어진다.
따라서, 에어의 분사에 의해 노즐부(510) 외면이 항상 깨끗하게 제거되므로 소(1)가 외피(2)윗부분을 봉합하여 꼭지를 형성시켜 완성된 포피식품의 상면에 떨어지거나 혹은 다음번의 외피(2)가 공급되기전 셔터장치(20)의 외피(2)안착면으로 떨어져 결과적으로는 외피(2) 외면에 소(1)가 지저분하게 묻혀진 불량 포피식품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완벽하게 방지된다.
이와 같이 외피(2)에 소(1)가 묻혀져 더럽혀지지 않은 않고 항상 깨끗하게 생산 완료된 포피식품은 받침대(31)가 하강하면서 이후 벨트(30)를 타고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포피식품제조시 외피(2)내에 주입되는 소(1)의 양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
이와같이 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전노브(421)를 이용 푸쉬바(420)를 회전시켜 푸쉬바(420) 하단에 나사체결된 승강블럭(422)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줌으로서 소충전통(300)내에서 상하 승강하는 피스톤(310)의 승강 폭을 조절하여 주면 된다.
이와같이 하면 밸브하우징(200)과의 제2통로(202)를 통해 소충전통(300) 내로 소(1)가 주입되는 압력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피스톤(310)의 하강폭이 단속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소충전통(300)에 충전되는 소(1)의 양이 자연스럽게 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주입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포피식품의 종류에 따라 외피(2)내에 주입되는 소(1)의 양을 간편하게 조정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소(filling) 2:외피
10:포피식품제조기 100:소공급장치
110:호퍼 111:교반날개
112:소배출구 120:기어하우징
130:소공급호스 200:밸브하우징
201:제1통로 202:제2통로
203:제3통로 210:방향전환실린더
211:3웨이밸브 300:소충전통
310:피스톤 320:감지센서
400:소가압실린더 410:피스톤로드
420:푸쉬바 421:회전노브
422:승강블럭 500:소주입케이싱
510노즐부 511:노즐입구
520:노즐밸브 530:밸브작동실린더
531:피스톤로드 600:에어커팅시스템
610:에어박스 611:에어분사구
620:에어발생장치 621:에어공급호스

Claims (4)

  1. 포피식품제조기(10)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소주입케이싱(500)의 하단에 구비된 노즐부(510)의 노즐입구(511)를 통해 소주입케이싱(500) 내부의 소(1)를 외피(2)내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소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주입장치를 구성하는 소주입케이싱(500)의 하단에 외피(2)내에 소주입시 노즐입구(511)가 구비된 노즐부(510) 외면에 달라 붙는 소(1)를 소주입완료 후 외피의 상단을 오므려 꼭지를 형성하는 전단계에서 에어로 떼어낼 수 있는 에어커팅시스템(600)을 더 설치하되,
    상기 에어커팅시스템(600)는,
    소주입케이싱(500)의 하단에 결합설치된 노즐부(510) 외면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에어분사구(611)가 형성된 에어박스(610)를 노즐부(510) 외면이 감싸지도록 설치하고,
    에어박스(610)를 에어발생장치(620)와 에어공급호스(621)로 연결하여서,
    소(1)주입 후 외피(2)의 상단부를 오므리기전에 에어발생장치(620)에서 발생하는 에어를 에어분사구(611)를 통해 공급하여 노즐부(510) 외면에 붙어 있던 소(1)가 제거되어 외피(2)내부로 넣어지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주입장치는,
    포피식품제조기(10)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호퍼(110) 내부에 투입된 소(1)를 교반날개(111)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하측의 소배출구(112)로 배출시키는 소공급장치(100) 및;
    포피식품제조기(10)에 설치되어 모터 또는 유공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강판(11)의 승하강시 동시에 승하강하도록 각각 연계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소공급장치(100)의 소배출구(112)와 후방면에 형성된 제1통로(201)가 소공급호스(130)로 연결되어 소(1)를 공급받으며 방향전환실린더(210)에 의해 회전하면서 반죽공급방향을 전환시킬수 있는 3웨이밸브(211)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제2통로(202)가 형성되고 전방면에는 제3통로(203)가 형성된 밸브하우징(200)과;
    상기 밸브하우징(200) 상면에 형성된 제2통로(202)에 연결설치되어 소(1)가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승강하는 피스톤(310)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단에는 피스톤(310)의 승강을 감지하여 승강판(11)을 하강시키는 감지센서(320)가 구비되는 소충전통(300)과;
    상기 소충전통(300)과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며, 피스톤로드(410) 선단에 소충전통(300)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연계설치되어 방향절환실린더(210)를 이용하여 3웨이밸브(211)의 방향을 전환시켜 제1통로(201)를 막은 상태에서 피스톤로드(410)를 하강시키면 푸쉬바(420)가 동시에 하강하면서 소주입압력에 의해 상승된 피스톤(310)을 하강시켜 소충전통(300)내에 충전된 소(1)를 밸브하우징(200)의 제3통로(203)로 배출시키는데 사용되는 소가압실린더(400)와;
    상기 밸브하우징(200)의 제3통로(203)에 연결설치되어 소(1)를 공급받으며 하단에는 노즐입구(511)가 형성된 노즐부(510)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노즐입구(511)를 개폐하는 노즐밸브(520)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노즐밸브(520)를 상단에 설치된 밸브작동실린더(530)의 피스톤로드(531)와 연결설치하여서된 소주입케이싱(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가압실린더(400)의 피스톤로드(410) 선단에 연계설치되어 피스톤로드(410)의 승하강과 동시에 승하강하는 푸쉬바(420)는,
    푸쉬바(420) 상단에 회전노브(421)를 설치하고,
    푸쉬바(420) 하단에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이에 승강블럭(422)을 나사체결하여서,
    승강블럭(422)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회전노브(421)를 이용 푸쉬바(420)를 회전시키면 승강블럭(422)이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소충전통(300)내에서 상하 승강하는 피스톤(310)의 승강 폭을 단속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밸브하우징(200)의 제2통로(202)를 통해 소충전통(300) 내로 주입되는 소(1)의 양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KR1020190048776A 2019-04-25 2019-04-25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KR102071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76A KR102071878B1 (ko) 2019-04-25 2019-04-25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JP2021562938A JP7245559B2 (ja) 2019-04-25 2020-04-11 包皮食品を製造するための具材詰め込み装置
CN202080028909.1A CN113825412B (zh) 2019-04-25 2020-04-11 用于制造包馅食品的注馅装置
PCT/KR2020/004921 WO2020218766A1 (ko) 2019-04-25 2020-04-11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76A KR102071878B1 (ko) 2019-04-25 2019-04-25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878B1 true KR102071878B1 (ko) 2020-01-31

Family

ID=6936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776A KR102071878B1 (ko) 2019-04-25 2019-04-25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45559B2 (ko)
KR (1) KR102071878B1 (ko)
CN (1) CN113825412B (ko)
WO (1) WO20202187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766A1 (ko) * 2019-04-25 2020-10-29 채형원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4139A1 (en) * 2021-01-05 2023-09-20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Apparatuses and methods for enclosing a filling in a food produ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54A (ja) * 1997-03-28 1998-01-27 Rheon Autom Mach Co Ltd フィリング充填装置
JP2004033165A (ja) * 2002-07-08 2004-02-05 Kobird Co Ltd 食材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80010508A (ko) * 2016-07-21 2018-01-31 채형원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의 승,하강 장치
KR20180010501A (ko) * 2016-07-21 2018-01-31 채형원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8667B2 (ja) * 2003-02-19 2007-07-25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流動性を有する食品生地の包あん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336629B2 (ja) 2004-07-22 2009-09-30 トーセー工業株式会社 包皮食品製造装置
JP4597094B2 (ja) * 2006-06-05 2010-12-15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餅入り食品の製造方法
TW200838443A (en) 2006-12-27 2008-10-01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wrapped food
KR20080065059A (ko) * 2007-01-08 2008-07-11 안청용 호떡·찐빵·왕만두 제조장치
KR100768422B1 (ko) * 2007-04-27 2007-10-18 박용선 링 타입 및 원형 타입 도넛 자동성형기
KR100889281B1 (ko) * 2007-07-04 2009-03-17 김광석 빵 제조 장치
JP5897377B2 (ja) * 2011-06-02 2016-03-30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シャッタ装置及び包み方法並びに包被食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AT513798B1 (de) 2013-01-07 2017-12-15 Haas Food Equipm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osierten, formgebenden Ausgabe von Massenkörpern aus pumpfähigen Massen
CN208032910U (zh) * 2017-12-04 2018-11-02 何柳清 一种封边机涂胶设备
KR102071878B1 (ko) * 2019-04-25 2020-01-31 채형원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54A (ja) * 1997-03-28 1998-01-27 Rheon Autom Mach Co Ltd フィリング充填装置
JP2004033165A (ja) * 2002-07-08 2004-02-05 Kobird Co Ltd 食材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80010508A (ko) * 2016-07-21 2018-01-31 채형원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의 승,하강 장치
KR20180010501A (ko) * 2016-07-21 2018-01-31 채형원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766A1 (ko) * 2019-04-25 2020-10-29 채형원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25412B (zh) 2023-06-09
JP7245559B2 (ja) 2023-03-24
CN113825412A (zh) 2021-12-21
WO2020218766A1 (ko) 2020-10-29
JP2022529826A (ja)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878B1 (ko) 포피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주입장치
TWI569726B (zh) A gate device and a wrapping method, and a method and a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foreskin food
KR101666986B1 (ko) 인삼씨 낱개분리기 및 인삼씨 파종기
CN211212552U (zh) 一种智能电饭锅及其控制系统
KR20100090500A (ko) 호떡 및 찹쌀도넛용 자동성형기
CN117598332A (zh) 一种苏打饼干生产线
JP3261131B2 (ja) ハム等の製造装置
KR101893136B1 (ko) 포피식품제조장치
CN115299382B (zh) 一种用于家禽养殖的饲料自动投放装置及方法
US3814560A (en) Apparatus for extruding toroids of settable slurries with means to wash the extrudate during formation and severance
KR20170127133A (ko) 제빵용 반죽물 정량 공급장치
CN111315242A (zh) 食品材料排出装置
CN212356488U (zh) 一种香辣油生产车间用包装机
JP3587465B2 (ja) 食品成形装置
CN209732410U (zh) 一种和面机
CN214593893U (zh) 一种抽拉截断式蛋糕注糊机
CN207653445U (zh) 一种多功能点心机
KR102071877B1 (ko) 포피식품 퍼짐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터장치
JP3421668B1 (ja) 食材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CN220402911U (zh) 一种双螺杆式灌装机
CN219784479U (zh) 一种低糖耐高温可丝达酱配料装置
CN215013074U (zh) 一种饺子馅料放料机
CN112352800B (zh) 一种圆形饼干制作机器
KR200333180Y1 (ko) 순대제조장치
CN220182169U (zh) 一种原料定量下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