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067B1 -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067B1
KR102054067B1 KR1020180046587A KR20180046587A KR102054067B1 KR 102054067 B1 KR102054067 B1 KR 102054067B1 KR 1020180046587 A KR1020180046587 A KR 1020180046587A KR 20180046587 A KR20180046587 A KR 20180046587A KR 102054067 B1 KR102054067 B1 KR 102054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inder
foil
metallic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990A (ko
Inventor
이병화
Original Assignee
이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화 filed Critical 이병화
Priority to KR1020180046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0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2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ingeing, teasing, shearing, etching or bru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04Decorating textiles by metall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2Decorating textiles by transferring a chemical agent or a metallic or non-metallic material in particulate or other form, from a solid temporary carrier to the tex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에 후로킹 후가공과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을 모두 적용하여 화려한 무늬를 갖는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의 일부에 후로킹 후가공으로 문양을 만들고, 후로킹 후가공된 부분에 다시 메탈릭 후가공 및 포일 후가공을 하여 화려한 무늬를 갖는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후가공된 원단은 무늬의 일부 구성요소는 메탈릭에 의해 표현되며, 다른 일부 구성요소는 포일에 의해 표현되어 구성요소의 재질에 따라 다른 반사성질을 갖기 때문에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반짝임이 다른 무늬를 갖는 화려한 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 FABRIC COMPRISING AFTER-TREADTED FLOCKING, METALIC, FOIL AN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원단에 후로킹 후가공과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을 모두 적용하여 화려한 무늬를 갖는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의 일부에 후로킹 후가공으로 문양을 만들고, 후로킹 후가공된 부분에 다시 메탈릭 후가공 및 포일 후가공을 하여 화려한 무늬를 갖는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후로킹 후가공이란 원단에 후로킹 바인더(접착제)를 도포한 후 후로킹(FLOCKING)을 정전기에 의해 직립상태로 유지한 채로 원단에 심어서 가공하는 것이다.
메탈릭 후가공이란 원단에 메탈릭 바인더(접착제)를 도포한 후 메탈릭 파우더를 붙여서 가공하는 것이다.
포일 후가공이란 원단에 포일 바인더를 도포한 후 포일(FOIL)을 접착하여 가공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후가공을 하나의 원단의 동일한 영역에서 중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기술로는 후로킹 후가공된 부분에 다시 메탈릭 바인더를 도포하여 메탈릭 후가공을 하거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3815호와 같이 단일의 접착공정만으로 후로킹 후가공과 메탈릭 후가공을 진행하는 기술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반짝거리는 효과를 메탈릭만으로 얻기 때문에 원단의 화려함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나의 무늬에는 구분이 필요한 다수의 구성요소를 갖는데, 메탈릭만으로는 구별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로킹 후가공과 메탈릭 후가공과 포일 후가공을 원단의 같은 영역 내에 적용함으로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여 화려하면서 어떠한 각도에서도 화려한 무늬의 구성요소의 구분 식별이 가능한 무늬를 갖는 후가공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을 갖는다. 무늬를 갖는 원단을 제조하는 본 발명은 상기 원단의 무늬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후로킹 바인더를 도포하는 후로킹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원단에 후로킹을 정전기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하여 심어주는 후로킹 식모단계와 상기 후로킹 식모단계에서 원단에 발생한 후로킹 가루를 흡입하는 후로킹 가루 흡입단계와 상기 후로킹 바인더를 가열에 의해 건조하는 후로킹 건조단계와 상기 무늬의 일부 구성요소의 영역에 발포 포일 바인더를 도포하는 포일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발포 포일 바인더를 열판으로 건조하는 포일 바인더 건조단계와 상기 무늬의 다른 일부 구성요소의 영역에 메탈릭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 메탈릭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메탈릭 바인더에 메탈릭 파우더를 부착하는 메탈릭 부착단계와 상기 원단을 텐타 화이날 열판 건조하는 화이날 건조단계와 상기 포일 바인더에 포일을 부착하는 포일 부착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무늬의 구성요소의 표현을 달리하기 위해 일부의 단계의 순서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 제조방법으로도 가능하다. 원단의 무늬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후로킹 바인더를 도포하는 후로킹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원단에 후로킹을 정전기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하여 심어주는 후로킹 식모단계와 상기 후로킹 식모단계에서 원단에 발생한 후로킹 가루를 흡입하는 후로킹 가루 흡입단계와 상기 후로킹 바인더를 가열에 의해 건조하는 후로킹 건조단계와 상기 무늬의 일부 구성요소의 영역에 메탈릭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 메탈릭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메탈릭 바인더에 메탈릭 파우더를 부착하는 메탈릭 부착단계와 상기 메탈릭 부착단계에서 원단에 발생한 메탈릭 가루를 흡입하는 메탈릭 가루 흡입단계와 상기 메탈릭 바인더를 열판 건조하는 메탈릭 건조단계와 상기 무늬의 다른 일부 구성요소의 영역에 발포 포일 바인더를 도포하는 포일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발포 포일 바인더를 열판으로 건조하는 포일 바인더 건조단계와 상기 원단을 텐타 화이날 열판 건조하는 화이날 건조단계와 상기 포일 바인더에 포일을 부착하는 포일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후가공된 원단은 무늬의 일부 구성요소는 메탈릭에 의해 표현되고, 다른 일부 구성요소는 포일에 의해 표현되어 구성요소의 재질에 따라 다른 반사성질을 갖기 때문에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반짝임이 다른 무늬를 갖는 화려한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 단계 중 일부 단계에서의 원단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 단계 중 일부 단계에서의 원단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 단계 중 일부 단계에서의 원단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 단계 중 일부 단계에서의 원단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원단은 도3의 일실시예와 같이 무늬가 있는 원단(1)이며, 도3의 일실시예에서는 꽃모양의 무늬를 갖으며, 꽃잎(10)은 후로킹 후가공으로, 꽃술은 포일(20) 후가공으로, 꽃가루는 메탈릭(30) 후가공으로 표현하였다.
상기와 같이 무늬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순서대로 포함한다.
후로킹 바인더 도포단계는 상기 원단의 무늬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후로킹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이며, 후로킹 바인더는 후로킹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재료이며, 도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꽃잎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에 도포하여 이후 후로킹(10)이 꽃잎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후로킹 식모단계는 상기 원단에 후로킹을 정전기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하여 심어주는 단계이며, 상기 후로킹 바인더가 도포된 영역에 후로킹이 접착되어 식모된다.
후로킹 가루 흡입단계는 상기 후로킹 식모단계에서 원단에 발생한 후로킹 가루를 흡입하는 단계로, 상기 후로킹 식모단계에서 후로킹 바인더에 접착되지 않는 후로킹 가루 혹은 식모 단계에서 이탈한 후로킹 가루를 원단에서 제거하게 된다.
후로킹 건조단계는 상기 후로킹 바인더를 가열에 의해 건조하는 단계로 후로킹이 후로킹 바인더와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한편 후로킹 바인더를 건조하여 다른 재료가 붙는 것을 방지한다.
포일 바인더 도포단계는 상기 무늬의 일부 구성요소의 영역에 발포 포일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2에서와 같이 꽃술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에 도포하였으며, 이 영역은 후로킹(10)의 위에 도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단계의 순서가 후로킹 후가공 이후에 포일 후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은 순서가 달라지는 경우 포일의 접착이 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본 발명의 단계 순서에 의해 포일에 의한 무늬의 표현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포일 바인더 건조단계는 상기 발포 포일 바인더를 열판으로 건조하는 단계이다.
메탈릭 바인더 도포단계는 상기 무늬의 다른 일부 구성요소의 영역에 메탈릭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3과 같이 꽃잎에 꽃가루 표현 영역에 도포하였으며, 이 영역은 후로킹(10)의 위에 도포되는 것이다.
메탈릭 부착단계는 상기 메탈릭 바인더에 메탈릭 파우더를 부착하는 단계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3과 같이 메탈릭(30)이 형성되게 된다.
화이날 건조단계는 상기 원단을 텐타 화이날 열판 건조하는 단계로 원단의 폭을 맞추는 것이며, 텐타 화이날 열판 건조는 본 발명의 원단 후가공 업계에서 원단의 폭을 맞추는 가열 건조에 대한 일반적인 업계용어이다.
포일 부착단계는 상기 포일 바인더에 포일을 부착하는 단계로 상기 포일 바인더에 포일이 눌러져 부착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2와 같이 꽃술의 표현이 포일(20)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후가공 원단은 상기와 같은 단계들을 순서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이하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되며, 아울러 하기와 같은 다른 일실시예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제2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와 일부 단계를 달리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메탈릭 후가공(메탈릭 바인더 도포단계, 메탈릭 부착단계, 메탈릭 가루 흡입단계)에 메탈릭 건조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포일 바인더 도포단계와 포일 바인더 건조단계를 메탈릭 열판 건조단계 이후에 진행하고, 이후에 화이날 건조단계를 수행한 후, 포일 부착단계를 실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2와 도3의 포일(20)부분에 메탈릭이 형성되고, 메탈릭(30)부분에 포일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메탈릭 건조단계는 메탈릭 바인더를 열판으로 건조하는 단계로 제1실시예에서는 화이날 열판 건조단계에 의해 같은 효과를 갖기 때문에 생략되었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이후 포일 바인더 도포단계의 순서가 변경되므로 화이날 열판 건조단계와 인접하지 않아 추가로 실시하게 된다.
한편 제2실시예의 메탈릭 가루 흡입 단계를 메탈릭 열판 건조단계와 서로 순서가 바꾸는 실시예인 3실시예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는 후로킹(10)위에 포일(20)과 메탈릭(30)이 형성되도록 후로킹(10)을 무늬 전체의 영역에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후로킹(10)의 포일(20)과 메탈릭(30)이 형성되는 영역이 아닌 일부 영역에 형성되도록 하고, 포일(20)과 메탈릭(30)을 후로킹(10) 영역이 아닌 원단 영역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 원단
10 : 후로킹
20 : 포일
30 : 메탈릭

Claims (4)

  1. 무늬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단의 무늬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후로킹 바인더를 도포하는 후로킹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원단에 후로킹을 정전기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하여 심어주는 후로킹 식모단계와;
    상기 후로킹 식모단계에서 원단에 발생한 후로킹 가루를 흡입하는 후로킹 가루 흡입단계와;
    상기 후로킹 바인더를 가열에 의해 건조하는 후로킹 건조단계와;
    상기 무늬의 일부 구성요소의 영역에 발포 포일 바인더를 도포하는 포일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발포 포일 바인더를 열판으로 건조하는 포일 바인더 건조단계와;
    상기 무늬의 다른 일부 구성요소의 영역에 메탈릭 바인더를 도포하는 메탈릭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메탈릭 바인더에 메탈릭 파우더를 부착하는 메탈릭 부착단계와;
    상기 원단을 텐타 화이날 열판 건조하는 화이날 건조단계와;
    상기 포일 바인더에 포일을 부착하는 포일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의 제조방법.
  2. 무늬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단의 무늬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후로킹 바인더를 도포하는 후로킹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원단에 후로킹을 정전기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하여 심어주는 후로킹 식모단계와;
    상기 후로킹 식모단계에서 원단에 발생한 후로킹 가루를 흡입하는 후로킹 가루 흡입단계와;
    상기 후로킹 바인더를 가열에 의해 건조하는 후로킹 건조단계와;
    상기 무늬의 일부 구성요소의 영역에 메탈릭 바인더를 도포하는 메탈릭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메탈릭 바인더에 메탈릭 파우더를 부착하는 메탈릭 부착단계와;
    상기 메탈릭 부착단계에서 원단에 발생한 메탈릭 가루를 흡입하는 메탈릭 가루 흡입단계와;
    상기 메탈릭 바인더를 열판 건조하는 메탈릭 건조단계와;
    상기 무늬의 다른 일부 구성요소의 영역에 발포 포일 바인더를 도포하는 포일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발포 포일 바인더를 열판으로 건조하는 포일 바인더 건조단계와;
    상기 원단을 텐타 화이날 열판 건조하는 화이날 건조단계와;
    상기 포일 바인더에 포일을 부착하는 포일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의 제조방법.
  3. 무늬를 포함하는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단의 무늬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후로킹 바인더를 도포하는 후로킹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원단에 후로킹을 정전기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하여 심어주는 후로킹 식모단계와;
    상기 후로킹 식모단계에서 원단에 발생한 후로킹 가루를 흡입하는 후로킹 가루 흡입단계와;
    상기 후로킹 바인더를 가열에 의해 건조하는 후로킹 건조단계와;
    상기 무늬의 일부 구성요소의 영역에 메탈릭 바인더를 도포하는 메탈릭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메탈릭 바인더에 메탈릭 파우더를 부착하는 메탈릭 부착단계와;
    상기 메탈릭 바인더를 열판 건조하는 메탈릭 건조단계와;
    상기 메탈릭 부착단계에서 원단에 발생한 메탈릭 가루를 흡입하는 메탈릭 가루 흡입단계와;
    상기 무늬의 다른 일부 구성요소의 영역에 발포 포일 바인더를 도포하는 포일 바인더 도포단계와;
    상기 발포 포일 바인더를 열판으로 건조하는 포일 바인더 건조단계와;
    상기 원단을 텐타 화이날 열판 건조하는 화이날 건조단계와;
    상기 포일 바인더에 포일을 부착하는 포일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의 제조방법.
  4.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에 의해 무늬를 포함하는 원단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
KR1020180046587A 2018-04-23 2018-04-23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KR102054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587A KR102054067B1 (ko) 2018-04-23 2018-04-23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587A KR102054067B1 (ko) 2018-04-23 2018-04-23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990A KR20190122990A (ko) 2019-10-31
KR102054067B1 true KR102054067B1 (ko) 2019-12-09

Family

ID=6842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587A KR102054067B1 (ko) 2018-04-23 2018-04-23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0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273B1 (ko) * 2001-05-30 2004-02-05 이범선 포일 공정, 주름 공정 및 번-아웃 공정 겸용 원단 처리장치 및 그 이용 방법
KR100574620B1 (ko) * 2004-01-27 2006-04-28 일성엠이엠주식회사 프린팅, 플록킹, 포일링이 가능한 복합기 시스템
KR20060053630A (ko) * 2004-11-17 2006-05-22 김운동 원단의 복합 후가공장치
KR100863815B1 (ko) * 2007-02-14 2008-10-16 이영배 원단상에 다색 메탈릭파우더와 후로킹을 부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990A (ko)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36837A (en) Process of producing flocked designs
KR101253695B1 (ko) 인조속눈썹 및 그 제조방법
CN107264161A (zh) 一种硅胶热转印图案的制造方法
KR102054067B1 (ko)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US3379604A (en) Transfe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2065250B1 (ko) 후로킹 후가공과 메탈릭 후가공과 포일 후가공 또는 락카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JP2010274644A (ja) 漆模様製造方法及びそれを使用して形成された漆模様、並びに漆模様の展示方法
US1545369A (en) Shade or bow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1811577A (zh) 圖形化熱轉印結構
KR102070125B1 (ko) 크리스탈스톤 부착방법
JP2000125912A (ja) 装身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573578Y2 (ja) 光輝模様シート
CN104589763A (zh) 复合型海绵粘合衬布及制造方法
TWI683635B (zh) 製作鞋身轉印圖形方法及其製品
US1794731A (en) Ornamental fabric and method of making and applying the same
JP6460369B2 (ja) 加飾部品及び加飾部品の製造方法
KR101369912B1 (ko) 색채 장식품 및 그 제조 방법
JPH03502592A (ja) 婦人用ストッキングや同様衣料、および類似衣料に装飾を施す方法、並びにその方法によって作られた装飾衣料
CN207072920U (zh) 胶层转移结构
JP3204188U (ja) 装飾具
KR20170018501A (ko) 직물의 무늬형성방법
CN108611009A (zh) 胶层转移结构及其制造方法
JP6265338B2 (ja) 螺鈿調の絵柄を施した布帛の製造方法
JPH03234836A (ja) 箔シートの製造方法
JP4479936B2 (ja) 植毛転写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